KR100707812B1 - 전기압력밥솥의 현미 취사시 불림 방법 - Google Patents

전기압력밥솥의 현미 취사시 불림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7812B1
KR100707812B1 KR1020050113191A KR20050113191A KR100707812B1 KR 100707812 B1 KR100707812 B1 KR 100707812B1 KR 1020050113191 A KR1020050113191 A KR 1020050113191A KR 20050113191 A KR20050113191 A KR 20050113191A KR 100707812 B1 KR100707812 B1 KR 1007078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wn rice
temperature
electric pressure
pressure cooker
soa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3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혜경
윤선
박정우
Original Assignee
웅진쿠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쿠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쿠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131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78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78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78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2Control mechanisms for pressure-cook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97Treatment of whole grai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23L7/117 - A23L7/196
    • A23L7/1975Cooking or roas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6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built-in heat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압력밥솥의 현미 취사시 현미의 불림 방법으로서, 상기 전기압력밥솥의 내솥에 쌀과 물을 넣고 불림시간을 기설정하는 제1단계; 상기 전기압력밥솥의 내솥 내부의 온도가 기설정된 불림온도 구간까지 도달하도록 가열하는 제2단계; 및 상기 불림온도 구간에 도달한 후 상기 불림시간 동안 상기 불림온도 구간을 유지하도록 가열과 비가열을 조절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기압력밥솥의 현미 취사시 내솥에 수용된 현미를 최적으로 불림시킴으로서 최상의 밥맛을 도출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전기압력밥솥,현미,취사,불림.방법.

Description

전기압력밥솥의 현미 취사시 불림 방법{Tempering method in such cooking uncleaned rice in electric rice cooker}
도 1은 일반적인 전기압력밥솥의 전기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의 취사과정을 도시한 그래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의 현미 취사시 불림 방법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의 현미 취사시 불림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전기압력밥솥의 현미 취사시 불림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압력밥솥의 현미 취사시 내솥에 수용된 현미를 최적으로 불림시킴으로서 최상의 밥맛을 도출할 수 있도록 하는 불림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기압력밥솥은 밀폐된 공간의 내솥을 전기 히터에 의해 가열함으로써 식품을 단시간에 조리하는 조리기구로서, 일반적인 전기압력밥솥은 각 내용물에 따라 취사조건이 구비되어 있고, 이는 최초에 내솥이 안착된 상태가 검출된 이후 각 취 사키의 동작에 따라 각각의 취사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전기압력밥솥은 밥솥의 외면을 형성하는 외솥과, 상기 외솥에 안착되는 내솥과, 전기압력밥솥을 덮는 뚜껑과, 상기 내솥의 내용물을 가열하는 히터로 구성된다.
이러한 전기압력밥솥의 구성은 첨부한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취사기능과 보온기능을 갖는 전기압력밥솥의 각종 동작환경을 설정하는 키들로 구성된 키 입력부(12)와, 전기압력밥솥의 바닥과 몸통 및 뚜껑에 설치되어 있으며 각종 히터에 의해 발열되는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14)와, 키 입력부(12)로부터 입력되는 키 입력과 온도센서(14)에 의해 검출되는 온도 값에 의해 전기압력밥솥의 동작을 제어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10)와, 전기압력밥솥의 바닥과 뚜껑 및 몸통에 설치되어 있으며 제어부(10)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전기압력밥솥의 내부를 가열하는 각종 히터부(16)와, 상기한 전기압력밥솥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18)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종래의 전기압력밥솥에서 히터부(16)에 의해 구동되는 열판이 위치하는 곳은 보통 내솥이 안착되는 외솥의 안쪽면 바닥이다. 이런 경우 열판의 히터에 의하여 내솥이 가열되거나 또는 열전도에 의하여 내솥에 열이 전달되면 내솥 내부의 쌀과 물이 가열되어 취사가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전기압력밥솥에서의 취사과정은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흐름을 갖고 있으며, 상기 취사과정을 간략히 살펴보면, 제어부(10)가 전기압력밥솥에 동작 전원을 투입하게 되면 키 입력 대기상태를 유지하면서 사용자 가 취사를 하기 위하여 키 입력부(12)의 취사모드 설정키를 입력하였는지 여부를 검출한다.
이때, 키 입력부(12)로부터 취사시작 키가 검출되면 제어부(10)는 취사를 진행하여 온도센서(12: 바닥, 몸통, 뚜껑에 설치된 취사온도 검출용 온도센서)로부터 검출되는 전기압력밥솥의 내부온도를 체크하게 된다.
이후, 제어부(10)는 검출되는 전기압력밥솥의 내부온도가 제 2 가열과정의 초기 온도로 미리 설정된 임계온도 이상으로 상승하였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결과 전기압력밥솥의 내부온도가 상기 임계온도 이상이면 취사과정을 취소하고, 전기압력밥솥의 내부온도가 상기 임계온도 이하이면 제어부(10)는 온도센서(12)에서 검출되는 전기압력밥솥의 내부온도가 제 1 가열과정의 초기 온도로 미리 설정된 임계온도 이상으로 상승하였는지를 판단한다.
이때, 제어부(10)는 전기압력밥솥 내부온도가 임계온도 이하면 히터부(16)에 포함된 취사용 히터, 뚜껑용 히터 및 몸통용 히터에 동작 전원을 공급하여 내부온도를 상승시키면서 전기압력밥솥 내부에 수납된 쌀을 불리기 위한 불림과정을 일정시간 동안 진행하여 전기압력밥솥의 내부온도가 제 1 가열공정의 초기 온도로 미리 설정된 임계온도까지 상승시킨다.
상기 불림과정의 진행이 완료되면 제 2 가열공정의 초기 온도로 미리 설정된 임계온도까지 상승시키면서 취사량을 판정하는 제 1 가열공정을 수행하여 전기압력밥솥 내부에 수납된 쌀의 량을 판정하게 된다.
또한, 연속적으로 제 1 가열공정에서 판정된 취사량에 근거를 두어 열량을 배분하여 내부온도를 비등유지과정의 초기 온도로 미리 설정된 임계온도까지 상승시키는 제 2 가열과정을 수행하면서 취사량 판정에 의한 열량을 가변시킨다.
상기 제 2 가열과정을 수행하면서 취사량 판정에 의한 열량이 가변된 경우, 제어부(10)는 비등유지과정을 수행하여 상기 제 2 가열과정에서 판정된 취사량을 데이터화 하고 이후, 비등유지과정을 위한 가열 범위의 한계치을 결정한다.
상기 가열 범위의 한계치가 결정되면, 제어부(10)는 히터부(16)의 취사용 히터, 뚜껑용 히터 및 몸통용 히터를 가열시키고 온도센서(14)로부터 검출되는 전기압력밥솥의 내부온도가 상기에서 결정된 임계온도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결과 전기압력밥솥의 내부온도가 상기 임계온도가 아니면, 제어부(10)는 온도센서(14)로부터 검출되는 전기압력밥솥의 내부온도가 임계온도 이상인가를 판단하여 임계 온도 이하면 히터부(16)의 취사용 히터, 뚜껑용 히터 및 몸통용 히터를 계속해서 가열시킨다.
또한, 상기 판단결과 전기압력밥솥의 내부온도가 상기 임계온도이거나 전기압력밥솥의 내부온도가 상기 임계온도 이상인 경우 일정한 온도를 일정시간 유지하는 뜸과정을 진행하고 상기 뜸과정이 종료된 경우 취사과정을 모두 종료하고 보온과정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한 종래의 전기압력밥솥은, 첨부한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각 취사 과정의 임계치를 여러 가지의 이유로 인해 하드웨어적으로 설정 구현하여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제어부(10)에서는 현재 조리하고 있는 내용물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 한 조리순서에 따라 진행하게 되는데, 이러한 종래의 조리순서에 입각한 그래프는 보편적인 조리물 즉, 백미를 기준으로 작성된 것이므로 근래 각광받고 있는 현미 등에는 적합하지 않게 설정되어 있다.
이러한, 현미밥은 백미밥과 비교하여 많은 영양소를 포함하고 있어 소비자들에게 건강식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현미밥의 조리가 가능하도록 현미취사기능을 갖는 전기압력밥솥도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전기압력밥솥은 백미 등의 취사시에 불림 과정, 가열과정 및 뜸과정을 통해 취사가 진행되도록 구성되었으나, 현미의 취사 과정 중 특히 불림 과정에서는 현미의 특성상 외피가 두꺼워 백미에 비해 수분 흡수율이 현저히 낮아서 불림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취사 후 밥맛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전기압력밥솥의 현미 취사시 내솥에 수용된 현미를 최적으로 불림시킴으로서 최상의 밥맛을 도출할 수 있도록 하는 전기압력밥솥의 현미 취사시 불림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전기압력밥솥의 현미 취사시 현미의 불림 방법으로서, 상기 전기압력밥솥의 내솥에 쌀과 물을 넣고 불림시간을 기설정하되, 상기 불림시간은 상기 현미의 포화수분 상태와 근접한 시간으로 기설정하는 제1단계; 상기 전기압력밥솥의 내솥 내부의 온도가 기설정된 불림온도 구간까지 도달하도록 가열하되, 상기 내솥에 수용된 물의 기준온도에 비례하여 상기 현미의 호화가 일어나지 않는 온도범위 내에서 최고온을 침지온도로 설정하여 가열하는 제2단계; 및 상기 불림온도 구간에 도달한 후 상기 불림시간 동안 상기 불림온도 구간을 유지하도록 가열과 비가열을 조절하되, 상기 현미의 침지온도를 유지하는 범위 내에서 가열과 비가열을 조절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의 현미 취사시 불림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 2단계에서 상기 전기압력밥솥의 가열온도는 70℃ 이상 8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상기 현미의 침지온도는 55℃ 이상 65℃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현미의 포화수분 상태와 근접한 상기 현미의 함수율은 상기 현미의 무게를 기준으로 1 : 1.06 이상 1 : 1.26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 불림시간은 15분 이상 25분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불림온도 구간은 50℃ 이상 6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단계에는, 상기 전기압력밥솥의 내솥 내부의 온도가 기설정된 불림온도 구간까지 도달하는 가열시간을 감지하여 소정의 인분을 판정하는 제2-1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의 현미 취사시 불림 방법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의 현미 취사시 불림 방법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의 현미 취사시 불림 방법은 제1단계(S10), 제2단계(S20), 및 제3단계(S40)로 이루어진다.
먼저, 제1단계(S10)는 전기압력밥솥의 내솥에 쌀과 물을 넣고 불림시간을 기설정하는 것이다.
여기서, 불림시간은 현미의 포화수분 상태와 근접한 시간으로 기설정하도록 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15분 이상 25분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현미의 포화수분 상태와 근접한 현미의 함수율은 현미의 무게를 기준으로 1 : 1.06 이상 1 : 1.26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현미의 함수율이 현미의 무게를 기준으로 1 : 1.16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2단계(S20)는 전기압력밥솥의 내솥 내부의 온도가 기설정된 불림온도 구간까지 도달하도록 가열하는 것이다.
이러한 제2단계(S20)에서 전기압력밥솥의 내솥 내부의 온도가 불림온도 구간 까지 도달하도록 가열하는 것은, 내솥에 수용된 물의 기준온도에 비례하여 현미의 호화가 일어나지 않는 온도범위 내에서 최고온을 침지온도로 설정하여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전기압력밥솥의 가열온도는 70℃ 이상 80℃ 이하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75℃ 정도가 바람직하다.
그리고 현미의 침지온도는 55℃ 이상 65℃이하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60℃ 정도가 바람직하다.
또한, 불림온도 구간은 50℃ 이상 60℃ 이하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55℃ 이상 58℃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2단계(S20)에는 전기압력밥솥의 내솥 내부의 온도가 기설정된 불림온도 구간까지 도달하는 가열시간을 감지하여 소정의 인분을 판정하는 제2-1단계(S30)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제2-1단계(S30)는 예를 들어, 가열온도가 75℃ 정도에 도달하는 시간이, 260초 미만일 경우는 2 또는 3인분으로 판정하고, 260초 초과 329초 미만일 경우는 4인분으로 판정하며, 330초 초과일 경우는 5인분 이상으로 판정한다.
상기 제3단계(S40)는 불림온도 구간에 도달한 후 불림시간 동안 불림온도 구간을 유지하도록 가열과 비가열을 조절하는 것이다.
이러한 제3단계(S40)에서, 불림온도 구간에 도달한 후 불림시간 동안 불림온도 구간을 유지하도록 가열과 비가열을 조절하는 것은, 현미의 침지온도를 유지하는 범위 내에서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현미의 침지온도는 55℃ 이상 65℃이하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60℃ 정도가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의 현미 취사시 불림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먼저, 현미의 불림시간이 기설정된 상태(S101)에서, 현미 취사모드를 입력한다(S102). 현미 취사모드는 사용자가 키 입력부(도1의 도면부호 12 참조)를 직접 눌러 설정하게 된다.
이후, 히터부(도 1의 도면부호 16 참조)로 내솥을 가열하게 된다(S103). 내솥 가열시 히터부에서 전기압력밥솥의 메인히터를 사용한다. 하지만, 전기압력밥솥에서 탑히터 또는 바디히터 등을 사용해도 무방하다.
그리고 내솥이 가열된 상태에서 가열온도가 현미의 호화가 일어나지 않는 온도범위 내에 있는지를 판단한다(S104).
만약, 온도범위 내에 들어 있지 않다면 히터부로 내솥을 지속적으로 가열시키고(S103), 온도범위 내에 들어 있다면 가열온도가 현미의 호화가 일어나지 않는 온도범위 내에서 최고온의 온도인지를 판단한다(S105).
이러한 온도감지는 온도센서(도 1의 도면부호 14 참조)를 통해 실시하면, 특히 온도센서들 중에서 전기압력밥솥의 바닥센서를 통해 실시한다.
이후, 최고온의 온도가 아니라면 다시 히터부로 내솥을 지속적으로 가열하고(S103) 최고온의 온도라면 내솥 내부 온도가 불림온도 구간에까지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한다(S106).
상기 내솥 내부 온도가 불림온도 구간에까지 도달하지 못하였다면 히터부로 내솥을 지속적으로 가열하고(S103), 내솥 내부 온도가 불림온도 구간에까지 도달하였다면 몇 인분인지 판정한다(S108).
이 인분 판정이 끝난 후에는 히터부의 온/오프로 가열과 비가열을 조절한다(S109).
이후, 불림온도 구간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있는지를 판단한다(S110).
만일, 불림온도 구간을 유지하고 있지 않다고 한다면 히터부의 온/오프로 가열과 비가열을 다시 조절하게 되며(S109), 불림온도 구간을 유지하고 있다면 불림시간을 초과하였는지를 판단한다(S111).
여기서 불림시간을 초과하지 않았다면 다시 히터부의 온/오프로 가열과 비가열을 조절하게 되며(S109), 불림시간을 이미 초과하였다면 본 발명에 따른 현미취사시 불림 과정을 종료시킨다.
하기한 표1 내지 표6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의 현미 취사시 불림 방법의 효과를 뒷받침하는 것이다.
침지 조건(침지온도/불림시간) 기압
5N 85℃/15분 1.7
5* 60℃/25분 1.7
7N 85℃/15분 1.9
7* 60℃/25분 1.9
상기 표1은 5N 내지 7*는 침지조건과 기압 조건을 달리한 전기압력밥솥의 종류를 구분한 것이다.
여기서 5N과 7N은 종래기술에 따른 현미 취사시 불림 방법의 조건으로서, 침지조건 즉 바닥센서에 감지된 가열온도(이하, 침지온도라 함)와 불림시간을 서로 동일하게 설정하였고, 기압은 5N과 7N을 각각 다르게 설정하였다.
아울러, 5*와 7*는 본 발명에 따른 현미 취사시 불림 방법의 조건으로서, 침지온도와 불림시간을 서로 동일하게 설정하였고, 기압은 5*와 7*를 각각 다르게 설정하였다.
Figure 112005068054451-pat00001
표2는 표1의 조건과 같이 침지온도 및 불림시간과, 기압을 다르게 설정한 후 현미밥을 취사하였을 때 각 현미밥의 특성을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SP는 현미밥의 탄력성(Springiness)이고, GU는 현미밥의 뭉치는 성질(Gumminess)이고, CO는 현미밥의 응집성(Cohesiveness)이고, AD는 현미밥의 부착성(Adhesiveness)이고, HD는 현미밥의 현미밥의 경도(Hardness)이며, CW는 현미밥의 씹히는 성질(Chewiness)를 표기한 것이다.
상기한 표2를 참조하였을 때, 본 발명에 해당하는 5*와 7*의 조건으로 취사된 현미밥은 종래기술에 해당하는 5N과 7N의 조건으로 취사된 현미밥에 비해서 대부분의 성질이 우수하지만, 특히, 뭉치는 성질, 부착성 및 씹히는 성질면에서 월등하게 우수함을 보임을 알 수 있다.
Figure 112005068054451-pat00002
표3은 표1의 조건과 같이 침지온도 및 불림시간과, 기압을 다르게 설정한 후 현미밥을 취사하였을 경우 각각의 현미밥을 사용자가 씹었을 때 느낄 수 있는 감각적인 특성을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는, 상기한 조건들에 따라 현미밥의 질음, 부드러움, 쫀득함, 및 딱딱함을 각각 평가하였으며, 상기한 표3을 참조하였을 때, 본 발명에 해당하는 5*와 7*의 조건으로 취사된 현미밥은 종래기술에 해당하는 5N과 7N의 조건으로 취사된 현미밥에 비해서 대부분의 성질이 우수하지만, 특히 질음, 부드러움, 및 딱딱함에 있어서 월등하게 우수함을 보이는 것을 알 수가 있다.
흡광도 평균
5N 0.598 0.611 0.615 0.617 0.61025
5* 0.656 0.694 0.708 0.665 0.68075
7N 0.699 0.658 0.67 0.67 0.67425
7* 1.071 1.053 1.053 1.04 1.05425
표4는 표1의 조건과 같이 침지온도 및 불림시간과, 기압을 다르게 설정한 후 현미밥을 취사하였을 때 각 현미밥의 호화도에 대한 흡광도 특성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한 표4를 참조하였을 때, 본 발명에 해당하는 5*와 7*의 조건으로 취사된 현미밥은 종래기술에 해당하는 5N과 7N의 조건으로 취사된 현미밥에 비해서 흡광도 역시 우수한 것을 알 수가 있다.
Maltose 양
5N 0.336 mg/ml
5* 0.372 mg/ml
7N 0.369 mg/ml
7* 0.561 mg/ml
표5는 표1의 조건과 같이 침지온도 및 불림시간과, 기압을 다르게 설정한 후 현미밥을 취사하였을 때, 각 현미밥의 맥아당(말토제:Maltose 라고도 함) 특성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한 표5를 참조하였을 때, 본 발명에 해당하는 5*와 7*의 조건으로 취사된 현미밥은 종래기술에 해당하는 5N과 7N의 조건으로 취사된 현미밥에 비해서 맥아당 역시 상당히 높음을 알 수가 있다.
Figure 112005068054451-pat00003
표6은 표1의 조건과 같이 침지온도 및 불림시간과, 기압을 다르게 설정한 후 현미밥을 취사하고, 그 이후에 24시간 보온한 상태에서 각 현미밥의 특성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한 표6을 참조하였을 때, 본 발명에 해당하는 5*와 7*의 조건으로 취사된 현미밥은 종래기술에 해당하는 5N과 7N의 조건으로 취사된 현미밥에 비해서 특히, 뭉치는 성질 및 경도면에서 월등하게 우수함을 보이고 있다.
본 발명은 전기압력밥솥의 현미 취사시 불림 방법으로서, 불림시간을 기설정하는 단계, 불림온도 구간까지 도달하도록 가열하는 단계, 및 불림온도 구간을 유 지하는 단계를 거치면서, 현미의 수분 흡수율을 높여서 최적의 불림 상태를 유지시키기 때문에 최상의 밥맛을 도출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전기압력밥솥의 현미 취사시 불림 방법으로서, 전기압력밥솥의 내솥 내부의 온도가 기설정된 불림온도 구간까지 도달하는 가열시간을 감지하여 소정의 인분을 판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므로서, 현미의 불림 과정 내에 몇 인분인지를 동시에 판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10)

  1. 전기압력밥솥의 현미 취사시 현미의 불림 방법으로서,
    상기 전기압력밥솥의 내솥에 쌀과 물을 넣고 불림시간을 기설정하되, 상기 불림시간은 상기 현미의 포화수분 상태와 근접한 시간으로 기설정하는 제1단계;
    상기 전기압력밥솥의 내솥 내부의 온도가 기설정된 불림온도 구간까지 도달하도록 가열하되, 상기 내솥에 수용된 물의 기준온도에 비례하여 상기 현미의 호화가 일어나지 않는 온도범위 내에서 최고온을 침지온도로 설정하여 가열하는 제2단계; 및
    상기 불림온도 구간에 도달한 후 상기 불림시간 동안 상기 불림온도 구간을 유지하도록 가열과 비가열을 조절하되, 상기 현미의 침지온도를 유지하는 범위 내에서 가열과 비가열을 조절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의 현미 취사시 불림 방법.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전기압력밥솥의 가열온도는 70℃ 이상 8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의 현미 취사시 불림 방법.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현미의 침지온도는 55℃ 이상 65℃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의 현미 취사시 불림 방법.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현미의 포화수분 상태와 근접한 상기 현미의 함수율은 상기 현미의 무게를 기준으로 1 : 1.06 이상 1 : 1.26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의 현미 취사시 불림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불림시간은 15분 이상 25분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의 현미 취사시 불림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불림온도 구간은 50℃ 이상 6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의 현미 취사시 불림 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에는, 상기 전기압력밥솥의 내솥 내부의 온도가 기설정된 불림온도 구간까지 도달하는 가열시간을 감지하여 소정의 인분을 판정하는 제2-1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의 현미 취사시 불림 방법.
KR1020050113191A 2005-11-24 2005-11-24 전기압력밥솥의 현미 취사시 불림 방법 KR1007078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3191A KR100707812B1 (ko) 2005-11-24 2005-11-24 전기압력밥솥의 현미 취사시 불림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3191A KR100707812B1 (ko) 2005-11-24 2005-11-24 전기압력밥솥의 현미 취사시 불림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7812B1 true KR100707812B1 (ko) 2007-04-13

Family

ID=38161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3191A KR100707812B1 (ko) 2005-11-24 2005-11-24 전기압력밥솥의 현미 취사시 불림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781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04900A1 (ko) * 2015-12-17 2017-06-22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전기 밥솥의 취사방법
KR20190027400A (ko) * 2017-09-06 2019-03-15 쿠쿠전자 주식회사 전기 조리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19233018A1 (zh) * 2018-06-05 2019-12-12 格力电器(武汉)有限公司 一种蒸煮器具及其控制方法
KR102383767B1 (ko) * 2021-04-08 2022-04-26 (주)쿠첸 조리 기기 및 이의 동작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5368A (ko) * 1997-06-30 1999-01-25 배순훈 전기 보온 밭솥의 현미 조리를 위한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5368A (ko) * 1997-06-30 1999-01-25 배순훈 전기 보온 밭솥의 현미 조리를 위한 제어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04900A1 (ko) * 2015-12-17 2017-06-22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전기 밥솥의 취사방법
KR20190027400A (ko) * 2017-09-06 2019-03-15 쿠쿠전자 주식회사 전기 조리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346108B1 (ko) * 2017-09-06 2022-01-04 쿠쿠전자 주식회사 전기 조리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19233018A1 (zh) * 2018-06-05 2019-12-12 格力电器(武汉)有限公司 一种蒸煮器具及其控制方法
KR102383767B1 (ko) * 2021-04-08 2022-04-26 (주)쿠첸 조리 기기 및 이의 동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7285B1 (ko) 밥솥
TWI489963B (zh) Cooking appliances
US20070104844A1 (en) Method for baking bread using steam
KR100707812B1 (ko) 전기압력밥솥의 현미 취사시 불림 방법
JP2008067899A (ja) 炊飯器
CN110960080B (zh) 用于煮饭器的烹饪方法及烹饪器具
JP2006333815A (ja) 調理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調理機器
KR20090030427A (ko) 배아 백미의 활성화 취사 제어 방법
KR100660693B1 (ko) 전기압력보온밥솥의 취사조절장치 및 그 방법
KR100715244B1 (ko) 전기압력밥솥의 취사 전처리 및 취사 제어 방법
CN110353468B (zh) 烹饪器具、烹饪的方法及计算机存储介质
CN109907661B (zh) 烹饪方法和烹饪器具
JPH11123140A (ja) 加熱調理器
JP2007000327A (ja) 炊飯器
KR100746393B1 (ko) 전기압력보온밥솥의 취사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1130389B1 (ko) 워밍 드로어용 히터 제어 방법
KR102433974B1 (ko) 전기 밥솥의 취사방법
CN112237368B (zh) 养生壶炖煮食材的方法及装置、养生壶
JP2006149713A (ja) 炊飯器
KR102433975B1 (ko) 전기 밥솥의 취사방법
JP2007312871A (ja) 保温装置およびこの装置を有する炊飯器
CN112334047A (zh) 煮饭器
KR102433976B1 (ko) 전기 밥솥의 취사방법
KR0152806B1 (ko) 전기밥솥의 취반상태 제어방법
JP2006081884A (ja) 厨房用電熱装置及びそれを利用した穀物の発芽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3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