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5210B1 - 스크린 장치 - Google Patents

스크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5210B1
KR100715210B1 KR1020057025466A KR20057025466A KR100715210B1 KR 100715210 B1 KR100715210 B1 KR 100715210B1 KR 1020057025466 A KR1020057025466 A KR 1020057025466A KR 20057025466 A KR20057025466 A KR 20057025466A KR 100715210 B1 KR100715210 B1 KR 1007152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guide
net
movable frame
fram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25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4654A (ko
Inventor
요지 카모사와
히로츠구 토다
미츠히코 치노
마사토 모리야
Original Assignee
세이키 한바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3188212A external-priority patent/JP417993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274927A external-priority patent/JP4179940B2/ja
Application filed by 세이키 한바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키 한바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346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46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52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52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6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2Doors or windows extensible when set in position
    • E06B3/94Doors of the bellows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9/522Dimensionally adjustable fly scree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9/54Roller fly screens
    • E06B2009/543Horizontally moving screens

Abstract

본 발명은 구성이 간단하고 동작이 안정적이며, 또한 도출상태에서는 직선적인 레일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는 스크린 가이드를 구비한 스크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고, 이 스크린 장치에 있어서의 스크린 가이드(12)는 스크린(4)의 끝부를 따르는 저부(14a)와 상기 스크린의 외측면을 따르는 입벽부(14b)에 의해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된 가이드블럭(14)의 다수를 구비하여, 상기 입벽부의 선단부를 따라서 통과구멍(14c)을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통과구멍에 일련의 와이어 부재(16)가 삽입 통과되고, 스크린 가이드가 스크린의 끝부를 따라서 도출되었을 때, 인접하는 가이드블럭(14)의 연접면이 서로 접촉하는 것으로 해서 구성된다.

Description

스크린 장치{SCREEN DEVICE}
본 발명은 스크린의 개폐방향을 따르는 끝부를 가이드하기 위한 스크린 가이드를 구비한 스크린 장치에 관한 것이고, 더욱 구체적으로는 방충망 등의 건구(建具), 칸막이, 커튼 등의 스크린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의 개폐에 따라서 상기 스크린의 개폐방향 양단에 부착된 프레임재 중 적어도 한쪽으로부터 그 내부로 굴곡해서 출입하고, 팽팽하게 설치된 상태에 있는 상기 스크린의 끝부를 따라 도출되어서 그 끝부를 가이드하는 스크린 가이드를 구비한 스크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크린의 끝부를 가이드하는 스크린 가이드를 구비한 스크린 장치는, 그 스크린 가이드가 스크린의 개폐에 따라서, 상기 스크린의 개폐방향 양단에 부착된 프레임재 중 적어도 한쪽으로부터 그 내부로 굴곡해서 출입하고, 팽팽하게 설치된 상태에 있는 상기 스크린의 끝부를 따라 도출되어서 그 끝부를 가이드하도록 되어 있으며, 예를 들면, 특허문헌1에 개시되어 있는 슬라이드 가이드 프레임부를 구비한 스크린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미 알려진 이 스크린 장치에 있어서는, 슬라이드 가이드 프레임부가 가교부를 통해서 대향 배치된 측벽부를 가지는 강성 유닛을 연결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1에 기재된 것은, 스크린 가이드로서의 슬라이드 가이 드 프레임부를 구성하는 강성 유닛의 구조가 복잡하고, 그 제조에도 비용이 들뿐만 아니라 상기 강성 유닛의 연결에도 수고를 필요로 하며, 또한, 그 구조의 복잡함 때문에 슬라이드 가이드 프레임부의 유지·보수에도 수고를 필요로 하는 것이다. 또한 강성 유닛을 회전할 수 있게 연결하고 있기 때문에, 이 스크린 장치는 그들이 바닥면이나 프레임재에 접촉할 때에 소음을 발생시켜, 스크린의 조용하고 안정적인 개폐조작도 기대할 수 없는 것이다.
상술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는 스크린 장치로서, 특허문헌2에 있어서는 스크린(네트)의 개폐에 따라서, 상기 스크린의 양단에 부착한 프레임재의 하단으로부터 그 내부로 굴곡해서 출입하고, 팽팽하게 설치된 상태에 있는 상기 스크린의 하단을 따라 도출되어서 그 하단을 가이드하는 스크린 가이드(네트 가이드)를 구비한 스크린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2의 스크린 장치에서는, 네트 가이드의 가이드블럭의 연접 부분에 있어서의 테이프형상 부재의 만곡의 반력이 가동틀의 조작력에 대항하는 완충을 위한 작용력으로 되어, 가동틀의 개폐의 조작성을 손상하는 일 없이, 적절한 저항에 의한 완충성을 부여함으로써 소음을 억제할 수 있으며, 또한 네트 가이드를 간이한 구조이고 또 저렴한 비용으로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유효한 것이다.
그런데, 상기 네트 가이드에서는 네트에 예상외의 강한 바람 등의 외력이 작용하면, 네트 가이드에 있어서의 프레임재로부터 직선적으로 도출된 부분에서는, 상기 네트의 하단에 밀려서 상기 네트 가이드가 수평 가로방향으로 만곡되어 버리 는 경우가 고려된다.
또한, 상기 네트 가이드는 각 가이드블럭을 연접하는 테이프형상 부재에 의해 상기 네트 가이드의 역방향으로의 만곡(바닥면으로부터의 부상)을 억지하도록 하고 있지만, 네트를 비교적 넓은 범위에 걸쳐 팽팽하게 설치했을 경우, 즉 네트 가이드가 비교적 길게 도출된 상태에 있어서, 강한 힘으로 가동틀에 의한 네트의 수납조작을 행하면, 네트 가이드에 대해서 상기 프레임재로의 도입방향에 큰 힘이 작용하게 되어 상기 네트 가이드가 가로방향으로 만곡되어 버리거나, 네트 가이드가 통상과는 반대로 상방으로 볼록하게 만곡되어서 부분적으로 떠올라 버리거나 할 경우가 고려되어, 네트 가이드의 역방향으로의 만곡을 억지하기 위한 대책을 강구하는 것이 기대되고 있다.
[특허문헌1] 일본 특허공개 2000-145314호 공보
[특허문헌2] 일본 특허공개 2003-161089호 공보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구성이 간단하고 동작이 안정적이며, 또한 도출상태에서는 직선적인 레일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는 스크린 가이드를 구비한 스크린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단순한 형태이고, 수평 가로방향으로의 만곡이나 역방향으로의 굴곡(설치면으로부터의 부상)을 방지하여, 스크린의 끝부를 항상 안정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는 스크린 가이드를 구비한 스크린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스크린 장치는, 팽팽하게 설치 가능한 스크린을 개폐할 수 있게 하여 상기 스크린의 개폐에 따라서 상기 스크린의 개폐방향 양단에 부착된 프레임재 중 적어도 한쪽으로부터 그 내부로 굴곡해서 출입하고, 팽팽하게 설치된 상태에 있는 상기 스크린의 끝부를 따라 도출되어서 그 끝부를 가이드하는 스크린 가이드를 구비한 스크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가이드가 상기 스크린의 끝부를 따르는 저부와 상기 스크린의 외측면을 따르는 입벽부에 의해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된 합성수지제의 다수의 가이드블럭을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블럭에 있어서의 입벽부의 선단부를 따라서 통과구멍을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통과구멍에 일련의 와이어 부재가 삽입 통과되어, 그것에 의해서 상기 가이드블럭의 연접면에 있어서의 입벽부의 선단부가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접되고, 상기 스크린 가이드가 상기 스크린의 끝부를 따라서 도출되었을 때, 인접하는 가이드블럭의 연접면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서로 접촉하는 것으로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스크린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입벽부의 통과구멍에 일련의 와이어 부재를 끼우고 빼는 홈을 형성해서, 각 가이드블럭의 부착, 교환 등을 위한 착탈을 쉽게 할 수 있으며, 또한, 인접하는 가이드블럭의 일련의 와이어 부재를 삽입 통과하는 통과구멍 사이에 중간회전자를 개재시켜서, 가이드블럭 사이의 굴곡의 원활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블럭의 전부 또는 일부에 그들의 슬라이딩면에 설치한 가이드 레일에 결합해서 슬라이딩하는 결합부를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크린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스크린이 교대로 역방향으로 되접어 꺽음으로써 아코디언형상으로 신축 가능하게 형성되고, 혹은 롤에 감기는 가요성 시트형상 부재에 의해 형성된다. 이들의 경우에, 상기 스크린을 방충 네트로 함으로써 스크린 장치를 방충망으로서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크린을 교대로 역방향으로 되접어 꺾음으로써 아코디언형상으로 형성했을 경우에는, 상기 스크린 가이드가 상기 스크린의 개폐방향 양단에 부착된 프레임재의 쌍방으로부터 그 내부에 출입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스크린 장치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스크린을 가로끌기에 의해 개폐할 수 있게 하고, 그때 필요에 따라서 상기 스크린의 상하 양측단을 따르도록 스크린 가이드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스크린이 가로끌기에 의해 개폐 가능할 경우에는, 상기 스크린의 개폐조작에 제공하는 가동의 프레임재를 평행 이동시키기 위한 스트레칭끈의 일단을 상기 스크린 가이드에 연결하고, 상기 스크린 가이드와 상기 스트레칭끈에 의해 상기 프레임재의 평행이동기구를 구성시킬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스크린 장치에 따르면, 상기 스크린 가이드가 그것을 구성하는 가이드블럭에 있어서의 입벽부의 선단부를 따라서 통과구멍을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통과구멍에 일련의 와이어 부재를 삽입 통과시킨다는 간단한 구성을 갖고 있으므로, 스크린 가이드를 저렴하게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조립이 용이함과 동시에 유지·보수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굴곡부를 가이드블럭의 입벽부의 상부(굴곡의 내측)에 설치하고 있으므로, 굴곡시에 인접하는 가이드블럭의 일부가 서로 겹칠 일이 없고, 또 스크린 가이드가 직선형상으로 되어 있을 때에는 일련의 홈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상기 스크린의 개폐조작의 가이드를 안정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크린 가이드가 스크린의 끝부를 따라서 도출되었을 때, 인접하는 가이드블럭의 연접면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서로 접촉하는 것으로 해서 구성되어 있으므로, 스크린의 수평 가로방향으로의 만곡이나 역방향으로의 굴곡(설치면으로부터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상기 가이드블럭은 측면에서 볼 때의 형상을 정사각형 혹은 직사각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으므로, 스크린 가이드의 도출상태에 있어서는 그 윗 가장자리에 요철이 없는 직선적인 레일형상으로 형성되어, 외관적으로도 산뜻할 뿐만 아니라 다른 것(스크린 등)과의 걸림이 생기는 일도 없어서, 스크린의 보다 안정적인 개폐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을 아코디언형상의 가로끌기 방충망에 적용한 제1실시예의 전체적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평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가로끌기 방충망의 구성을 나타내는 주요부 파단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제1실시예를 구성하는 네트 가이드의 가이드블럭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가이드블럭을 연접한 네트 가이드의 부분측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가이드블럭을 연접한 네트 가이드의 굴곡상태를 나타내는 사 시도이다.
도 7(A)는 네트 가이드의 가이드블럭의 다른 구조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B)는 동측면도이다.
도 8(A)는 네트 가이드의 가이드블럭의 또 다른 구조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B)는 동측면도이다.
도 9는, 네트 가이드의 가이드블럭의 또 다른 구조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가이드블럭을 연접한 네트 가이드의 굴곡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11(A)~(C)는, 도 4의 가이드블럭의 설치면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을 가로끌기 방충망에 적용한 제2실시예의 전체적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평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을 가로끌기 방충망에 적용한 제3실시예의 전체적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5는, 동 제4실시예의 전체적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6은 동 제5실시예의 전체적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7은, 동 제6실시예의 전체적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8은, 동 제7실시예의 전체적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9는, 동 제8실시예의 전체적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을 롤식의 가로끌기 방충망에 적용한 제9실시예의 전체적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평단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을 롤식의 가로끌기 방충망에 적용한 제1O실시예의 전체적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3은, 도 22의 평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방충망 프레임
4, 31 방충네트(스크린)
5, 5M, 5N 가동틀(프레임재)
6, 6M, 6N 세로 프레임 부재(프레임재)
8 세로 프레임 부재
10 가로 프레임 부재
12, 12A, 12B, 12N 네트 가이트(스크린 가이드)
14, 14N, 141, 142, 143 가이드블럭
14a, 141a, 142a, 143a 저부
14b, 141b, 142b, 143b 입벽부
14c, 141c, 142c, 143c 통과구멍
14d 연접면
14f 결합부
15 가이드 레일
16 와이어 부재
19a~19c, 191a~191c, 192a~192d, 193a~193d, 194a~194c, 195a~195b, 196a~196b, 197a~197c 스트레칭끈
21 중간회전자
141f, 142f 홈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 장치를 건물 개구부에 장착설치하는 아코디언형상의 가로끌기 방충망으로서 구성한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상기 가로끌기 방충망은, 개략적으로는 방충망 프레임(2)과 상기 방충망 프레임(2) 내에 가로열기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부착된 스크린으로서의 방충 네트(4)와, 상기 네트(4)의 일단에 부착된 개폐조작용 가동틀(5)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방충망 프레임(2)은 좌우의 세로 프레임 부재(6, 8)와 상부의 가로 프레임 부재(10)를 갖고, 상기 방충망 프레임(2)의 하부에 있어서 상기 네트(4)의 하단부를 가이드하는 네트 가이드(스크린 가이드)(12)를 가동틀(5)의 이동에 따라서 세로 프레임 부재(6)로부터 출몰하도록 설치하고 있다.
또한, 상기 도 1 및 도 3에 있어서는 도면을 명료화하기 위해서 가동틀(5)이나 세로 프레임 부재(6, 8)의 내부구조도 실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일부의 도면을 제외하고 다른 도면에서도 같은 도시를 행하고 있다.
상기 네트 가이드(12)는, 그 일단이 가동틀(5)의 하단에 고정되어, 가동틀(5)의 이동에 따르는 상기 네트(4)의 신축에 따라서 세로 프레임 부재(6)의 내부로 굴곡해서 출입하고, 네트(4)를 펼칠 때에는, 팽팽하게 설치된 상태에 있는 상기 네트(4)의 하단을 따라 도출되어서, 그들의 끝부를 유지함으로써 네트(4) 하단의 바람 등의 외력에 의한 흔들림을 억지하는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네트 가이드(12)는 도 4 내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합성수지로 형성된 다수의 가이드블럭(14)을, 가요성을 갖는 일련의 와이어 부재(16)로 연결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상기 네트 가이드(12)를 구성하는 가이드블럭(14)은, 도 4에 명확하게 나타내는 바와 같이 네트(4)의 하단을 따르는 저부(14a)와 상기 네트(4)의 양 외면을 따라서 기립하는 한 쌍의 입벽부(14b)에 의해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된 것이고, 상기 가이드블럭(14)에 있어서의 입벽부(14b)의 선단부(개구측 끝부)를 따라서, 일련의 와이어 부재(16)를 삽입 통과하는 통과구멍(14c)을 형성하여, 각각의 가이드블럭(14)의 통과구멍(14c)에 상기 와이어 부재(16)를 삽입 통과시킴으로써 각 가이드블럭(14)을 회전할 수 있게 연접하고 있으며, 상기 네트 가이드(12)의 양단의 가이드블럭(14)의 외측단에 있어서, 와이어 부재(16)의 끝부에 각각 스토퍼 부재(18)(도 1 참조)를 부설함으로써 각 가이드블럭(14)이 와이어 부재(16)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이들 가이드블럭(14)은 상기 가이드블럭(14)에 있어서의 입벽부(14b)의 끝면인 연접면(14d)을 서로 접촉시킴으로써 연접되어 있고, 따라서 상기 와이어 부재(16)의 길이는 연접된 다수의 가이드블럭(14)의 실제 길이와 거의 같은 길이여도 좋지만, 상기 네트 가이드(12)의 굴곡이나 원활한 동작에 필요한 만큼만 여유를 갖게 해서, 즉 연접된 다수의 가이드블럭(14)의 실제 길이보다 약간 길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가이드블럭(14)의 입벽부(14b)에는, 상기 네트 가이드(12)가 굴곡할 때에, 인접하는 가이드블럭(14)에 있어서의 입벽부(14b)의 선단부가 접촉하는 미소한 노치부(14e)를 설치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상기 와이어 부재(16)에 여유도 갖게 해서 인접하는 가이드블럭(14) 사이에 간극을 만들지 않더라도 상기 네트 가이드(12)를 굴곡시킬 수 있다.
상기 네트 가이드(12)를 구성하는 와이어 부재(16)는 굴곡이 매우 용이한 재질의 것으로 할 수도 있지만, 가동틀(5)의 조작력에 대항하는 완충을 위한 작용력을 줄 정도의 반력을 나타내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관점으로부터 상기 네트 가이드(12)에 있어서의 와이어 부재(16)는, 그 재질의 선정 혹은 굵기의 조정 등에 의해 적절한 탄성 혹은 가요성을 갖는 것으로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 부재(16)로서 네트(4)의 개폐조작에 제공되는 후술의 가동틀의 평행이동기구를 구성하는 스트레칭끈의 일부를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네트 가이드(12)는, 상술한 바와 같이 네트(4)의 개폐에 따라서 방충망 프레임(2)을 구성하는 세로 프레임 부재(6)의 하단으로부터 만곡시켜서 그 내부에 출입시키고, 그 도출에 의해서 네트(4)의 하단을 가이드시키는 것이다. 네트 가이드(12)는, 네트(4)가 완전히 팽팽하게 설치된 상태에서도 세로 프레임 부재(6) 내로의 삽입측끝이 상기 세로 프레임 부재(6) 내에 있도록 하여, 그것에 의해서 특별히 네트 가이드(12)를 굴곡시키기 위한 가이드를 설치하지 않아도, 원활하게 세로 프레임 부재(6) 내로 출입할 수 있지만, 필요에 따라서 상기 네트 가이드가 굴곡되는 부분에 굴곡을 위한 가이드면(17)을 설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크린으로서의 네트(4)는, 교대로 역방향으로 되접어 꺾어서 다수의 주름(pleat)을 지그재그형상으로 실시함으로써 아코디언형상으로 신축 가능하게 한 것이고, 그 양단에 방충망 프레임(2)의 세로 프레임 부재(6) 및 네트(4)의 개폐조작에 제공하는 가동틀(5)을 부착하여, 상기 가동틀(5)의 조작에 의해 개폐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 네트(4)는 스크린의 일례로서 나타내는 것이며,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네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닌 것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네트(4)의 일단에 부착된 개폐조작용 가동틀(5)의 조작에 의한 네트(4)의 개폐조작시에 있어서는, 상기 네트 가이드(12)는 가이드블럭(14)에 있어서의 입벽부(14b)의 선단부에서 굴곡되기 때문에, 네트 가이드(12)의 굴곡시에 인접하는 가이드블럭(14)의 입벽부(14b)에 서로 겹치는 부분이 없고, 즉, 종래의 네트 가이드와 같이 가이드블럭(14)의 입벽부(14b)에 인접하는 가이드블럭(14)의 입벽부(14b)가 수용되는 도피부를 설치할 필요가 없고, 따라서 네트 가이드(12)의 원활한 만곡동작, 즉 네트(4)의 원활한 개폐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네트(4)의 일단에 부착된 가동틀(5)을 안정적으로 평행 이동시키기 위해서 상기 가동틀(5)에는 평행이동기구를 부설하고 있다. 이 평행이동기구는, 여기서는, 방충망 프레임(2)과 가동틀(5) 사이 및 네트 가이드(12)와 가동틀(5) 사이에 3개의 스트레칭끈(19a~19c)을 팽팽하게 설치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의 스트레칭끈(19a)은 가동틀(5)의 상부에 그 일단을 부착하고, 가동틀(5)의 상단 근방으로부터 네트(4)를 수평으로 관통시켜서 세로 프레임 부재(6) 내로 안내되고, 그리고 방향전환부재(20a)에 의해 세로 프레임 부재(6) 내를 하방으로 안내한 뒤에, 상기 세로 프레임 부재(6)의 하부에 설치된 방향전환부재(20b)에 감아 걸어서 상기 세로 프레임 부재(6) 내를 상방으로 안내하고, 상기 네트 가이드(12)에 있어서의 세로 프레임 부재(6) 내에 출입하는 측의 선단의 가이드블럭(14)에 연결되어 있다.
한편, 제2, 제3의 스트레칭끈(19b,19c)은 각각 상기 가동틀(5)의 중앙 및 하부에 그 일단을 부착하고, 그들을 수평으로 네트(4)를 관통시켜서 세로 프레임 부재(6) 내로 안내하고, 각각 방향전환부재(20c, 20d)에 의해 방향전환시켜서, 상기 세로 프레임 부재(6) 내를 상방의 가로 프레임 부재(10) 내로 안내하며, 그들을 방향전환부재(20e)에 의해 방향전환시켜서 상기 가로 프레임 부재(10) 내를 세로 프레임 부재(8)의 상단으로 안내하고, 그리고 상기 세로 프레임 부재(8)의 상단의 방향전환부재(20f)에 감아 걸어서 상기 가로 프레임 부재(10) 내를 역방향으로 되접어 꺾은 뒤에, 상기 가동틀(5)에 연결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스트레칭끈(19a~19c)을 팽팽하게 설치하면, 그들에 의해서 가동틀(5)의 자세가 구속되어, 상기 가동틀(5)의 임의위치에 개폐조작을 위한 힘이 가해져도 항상 그 자세를 유지한 채로 개폐 구동된다. 또한, 상술한 스트레칭끈(19a~19c)이 네트(4)를 팽팽히 설치한 부분에 있어서 수평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는 부분에 있어서는, 그들의 스트레칭끈(19a~19c)이 네트(4)의 느슨함을 방지하여, 네트(4)가 팽팽하게 설치된 상태를 안정화시킬 수 있다.
상기 각 방향전환부재(20a~20f)로서는, 스트레칭끈(19a~19c)과의 마찰저항이 작은 합성수지제 슬라이딩 부재, 혹은 풀리(pulley)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것은 후술하는 각 실시예에 있어서도 같다.
상술한 네트 가이드(스크린 가이드)(12) 대신에, 도 7~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가이드블럭을 연결한 네트 가이드를 사용할 수도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가이드블럭(141)은, 그 저부(141a)의 양측에 세워 설치된 입벽부(141b)의 선단부의 외측에 상기 선단부 내의 통과구멍(141c)을 따라서, 와이어 부재(16)를 끼우고 빼는 홈(141f)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8에 나타내는 가이드블럭(142)은, 그 저부(142a)의 양측에 세워 설치된 입벽부(142b)의 선단부의 내측에, 상기 선단부 내의 통과구멍(142c)을 따라서 와이어 부재(16)를 끼우고 빼는 홈(142f)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홈(141f, 142f)은, 와이어 부재(16)에 어느 정도의 힘을 가함으로써 상기 와이어 부재(16)를 끼우고 뺄 수 있을 정도의 폭을 갖는 것이다. 이들의 가이드블럭(141, 142)은, 도 4~6에 의해서 설명한 가이드블럭(14)과 마찬가지로 그들의 통과구멍(141c, 142c)에 일련의 와이어 부재(16)를 삽입 통과해서 네트 가이드를 구성시키는 것이지만, 상기 홈(141f, 142f)에 의해 가이드블럭의 부착, 교환 등을 위한 착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나타내는 가이드블럭(143)은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네트 가이드를 구성하는 것이고, 인접하는 가이드블럭(143)에 있어서의 저부(143a)의 양 측의 입벽부(143b)의 선단부에 설치한 일련의 와이어 부재(16)를 삽입 통과시키기 위한 통과구멍(143c) 사이에, 대략 구형상의 비드로 이루어지는 중간회전자(21)를 개재시키기 때문에, 상기 통과구멍(143c)의 입구에 상기 중간회전자(21)를 유지시키기 위한 오목부(143g)를 형성하고, 도 10의 형태에서 다수의 가이드블럭(143)을 연접하도록 하고 있다. 이 가이드블럭(143)에 의해서 구성되는 네트 가이드는, 가이드블럭(143) 사이의 굴곡의 원활화를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각 네트 가이드에 있어서의 가이드블럭은, 건물 개구부의 바닥면 등과의 관계에 있어서 도 11의 (A)~(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설치구조로 할 수 있다.
도 11(A)의 가이드블럭(14)은, 그 저부(14a)의 하면을 평면형상으로 해서, 평평한 설치면 위를 슬라이딩시키도록 한 것이며, 동 도(B)의 가이드블럭(14)은 도 4~6에 나타낸 것이고, 설치면 위에 부설된 2~3밀리 정도의 낮은 가이드 레일(15)(도 1, 3 참조)에 걸터타게 해서 이동시키기 위해서, 한 쌍의 짧은 다리(14j)를 양쪽 입벽부(14b)의 하방에 돌출하여 설치하고, 상기 짧은 다리(14j)에 의해 가이드 레일(15)에 가이드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동 도(C)의 가이드블럭(14)은 그 저부(14a)의 이면에 서로 대향하는 갈고랑이형으로 형성된 결합부(14f)를 설치하고, 그들의 결합부(14f)를 가이드 레일(15)의 양측의 오목홈(15a)에 끼워 넣음으로써, 네트 가이드가 보다 안정적으로 가이드되도록 하여, 상기 네트 가이드의 부상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14f)는 가이드블럭의 전부 또는 일부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각 가이드블럭(14, 141, 142, 143)에 있어서의 인접 가이드블럭과의 연접면은 모두 평면형상의 것으로 해서 그들을 전면적으로 접촉시키도록 하고 있지만, 상기 연접면은 전면적으로 접촉시킬 필요는 없고, 각각의 양 가이드블럭(14, 141, 142, 143)의 접촉자세가 일정한 범위 내에 있어서 부분적으로 접촉시킬 수 있다.
상술한 네트 가이드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가로끌기 방충망에 있어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하에 설명하는 각종 방충망 외에, 일반 스크린 장치에 있어서 사용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은 네트 가이드(12)의 일단을, 네트(4)의 일단을 고정한 세로 프레임 부재(6)의 하단에 고정하고, 가동틀(5)의 이동에 따라서 상기 가동틀(5)의 하단으로부터 그 내부로 출입하도록 한 가로끌기 방충망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네트 가이드(12) 자체로서는 상술한 어느 하나의 구성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 제2실시예의 가로끌기 방충망에 있어서는, 제1실시예의 평행이동기구와 같은 3개의 스트레칭끈(191a-191c)을 사용한 평행이동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1의 스트레칭끈(191a)은, 네트(4)를 고정한 세로 프레임 부재(6)의 상부에 그 일단을 부착하고, 네트(4)를 관통시켜서 상기 가동틀(5) 내로 안내한 뒤에, 방향전환부재(201a)에 의해 가동틀(5) 내를 하방으로 안내하며, 상기 가동틀(5)의 하부에 설치된 방향전환부재(201b)에 감아 걸어서 상기 가동틀(5) 내를 다시 상방으로 안내하고, 가동틀(5) 내에 출입하는 상기 네트 가이드(12)의 선단의 가이드블럭(14)에 연결되어 있다.
한편, 제2, 제3의 스트레칭끈(191b, 191c)은 각각 상기 세로 프레임 부재(6)의 중앙 및 하부에 그 일단을 부착하고, 네트(4)를 관통시켜서 상기 가동틀(5) 내로 안내한 뒤에, 방향전환부재(201c) 및 방향전환부재(201d)에 의해 각각 방향전환시켜, 상기 가동틀(5) 내를 상방으로 안내하고, 상부의 가로 프레임 부재(10) 내에 도입하여, 방향전환부재(201e)에 의해 가로 프레임 부재(10) 내를 통해서 세로 프레임 부재(8)의 상단으로 안내하며, 그리고 상기 세로 프레임 부재(8)의 상부에 설치된 방향전환부재(201f)에 감아 걸어서 상기 가로 프레임 부재(10) 내를 역방향으로 안내한 뒤에 상기 세로 프레임 부재(6) 내의 상단에 도입하여, 거기에 연결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스트레칭끈(191a~191c)을 팽팽하게 설치하면 그들에 의해 가동틀(5)의 자세가 구속되어, 상기 가동틀(5)의 임의위치에 개폐조작을 위한 힘이 가해져도, 항상 그 자세를 유지한 채로 개폐 구동된다.
도 14에 나타내는 가로끌기 방충망의 제3실시예는, 네트(4)의 양단를 부착한 세로 프레임 부재(6) 및 가동틀(5)의 쌍방의 하단으로부터 그들의 내부에 네트 가이드(12)가 출입하도록 한 것이고, 네트 가이드(12)는 세로 프레임 부재(6) 및 가동틀(5) 중 어디에도 고정되지 않으며, 그 양단에 이하에 설명하는 스트레칭끈이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네트 가이드(12)의 전체 길이를 길게 할 수 있고, 그것에 따라서 네트(4)의 개폐길이를 길게 할 수 있다.
또한, 이 가로끌기 방충망에 있어서는 상기 방충망 프레임(2) 및 가동틀(5) 등의 사이에 4개의 스트레칭끈(192a~192d)을 팽팽하게 설치함으로써 가동틀의 평행이동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 제1의 스트레칭끈(192a)은, 상기 네트 가이드(12)에 있어서의 세로 프레임 부재(6) 내로 출입하는 측의 선단의 가이드블럭(14)에 그 일단을 부착하고, 세로 프레임 부재(6) 내를 그 상방으로 안내한 뒤에 방향전환부재(202a)로 방향전환시키고, 상기 방충망 프레임(2)의 가로 프레임 부재(10) 내에 있어서 네트(4) 및 가동틀(5)을 관통시켜서 세로 프레임 부재(8)의 상단으로 안내하며, 상기 세로 프레임 부재(8)의 상단에 설치된 방향전환부재(202b)에 감아 걸어서 상기 가로 프레임 부재(10) 내를 역방향으로 안내하고, 상기 가동틀(5) 내에 도입하여 그 상단의 방향전환부재(202c)에 의해 방향전환시켜서 하방으로 안내하며, 네트 가이드(12)에 있어서의 가동틀(5) 내에 출입하는 측의 끝부에 연결되어 있다.
한편, 제2~제4의 스트레칭끈(192b-192d)은, 그들의 일단을 상기 네트 가이드(12)에 있어서의 세로 프레임 부재(6) 내에 출입하는 측의 끝부에 고정해서, 세로 프레임 부재(6) 내를 하방으로 안내하고, 그 하단의 방향전환부재(202d)에 감아 걸어서 상기 세로 프레임 부재(6) 내를 상방으로 안내한 뒤에, 방향전환부재(202e, 202f, 202g)에 의해 각각 네트(4)의 상부, 중앙부 및 하부에 있어서 방향전환시켜, 각각의 부위에서 네트(4)를 관통시켜서 가동틀(5) 내에 도입하며, 또한 각각 방향전환부재(202h, 202i, 202j)에 의해 상기 가동틀(5)의 하방으로 안내한 뒤에, 방향전환부재(202k)에 의해 그들을 상기 가동틀(5) 내에 있어서 상방으로 안내하고, 상기 네트 가이드(12)에 있어서의 가동틀(5) 내에 출입하는 측의 끝부에 연결되어 있 다.
도 15에 나타내는 가로끌기 방충망의 제4실시예는, 상기 제3실시예의 구성에 더해서, 네트(4)의 상하단을 가이드하는 2개의 네트 가이드(12A, 12B)를 구비한 것이고, 이들 네트 가이드는 상기 제3실시예의 경우와 다른 부분이 없지만, 평행이동기구는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약간 상이하다.
즉, 이 제4실시예의 가로끌기 방충망에 있어서는, 제1 내지 제4의 4개의 스트레칭끈(193a~193d)을 팽팽하게 설치함으로써 가동틀의 평행이동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 제1 및 제2의 스트레칭끈(193a, 193b)은, 네트(4)의 하단을 가이드하는 네트 가이드(12B)에 있어서의 세로 프레임 부재(6) 내에 출입하는 측의 끝부에 그들의 일단을 부착해서, 그들을 상기 세로 프레임 부재(6) 내에 있어서 하방으로 안내하고, 그 하단의 방향전환부재(203a)에 감아 걸어서 상기 세로 프레임 부재(6) 내를 상방으로 안내한 뒤에, 방향전환부재(203b, 203c)에 의해 각각 방향전환시켜, 네트(4)의 상부 및 중앙상부에 있어서 방향전환시키며, 각각의 부위에서 네트(4)를 관통시켜서 가동틀(5) 내에 도입하고, 또한 각각 방향전환부재(203d, 203e)에 의해 상기 가동틀(5) 내를 하방으로 안내한 뒤에, 방향전환부재(203f)에 의해 그들을 상기 가동틀(5) 내에 있어서 상방으로 안내하며, 상기 네트 가이드(12B)에 있어서의 가동틀(5) 내에 출입하는 측의 끝부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3 및 제4의 스트레칭끈(193c, 193d)은, 네트(4)의 상단을 가이드하는 네트 가이드(12A)에 있어서의 세로 프레임 부재(6) 내에 출입하는 측의 끝부에 그 들의 일단을 부착해서, 그들을 상기 세로 프레임 부재(6) 내에 있어서 상방으로 안내하고, 그 상단의 방향전환부재(203g)에 감아 걸어서 상기 세로 프레임 부재(6) 내를 하방으로 안내한 뒤에, 방향전환부재(203h, 203i)에 의해 각각 방향전환시키며, 네트(4)의 중앙하부 및 하부에 있어서 방향전환시켜, 각각의 부위에서 네트(4)를 관통시켜서 가동틀(5) 내에 도입하고, 또한 각각 방향전환부재(203j, 203k)에 의해 상기 가동틀(5) 내를 상방으로 안내한 뒤에, 방향전환부재(203m)에 의해 그들을 상기 가동틀(5) 내에 있어서 하방으로 안내하며, 상기 네트 가이드(12A)에 있어서의 가동틀(5) 내에 출입하는 측의 끝부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3 및 제4실시예와 같이 세로 프레임 부재(6) 및 가동틀(5)의 쌍방의 끝부로부터 그들의 내부에 출입하는 네트 가이드를 설치할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서 네트 가이드의 끝부가 세로 프레임 부재(6) 및 가동틀(5)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 등을 설치하는 것이 요망된다.
도 16에 나타내는 제5실시예의 가로끌기 방충망은, 가동틀(5)의 상하 끝부에 각각 네트 가이드(12A, 12B)의 일단을 고정하고, 가동틀(5)의 이동에 따라서 세로 프레임 부재(6) 상하단으로부터 상기 네트 가이드(12A, 12B)가 그 내부에 출입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네트 가이드 자체는 상기 실시예의 경우와 다른 부분이 없다.
도 16에 나타내는 가로끌기 방충망에 있어서는, 상기 방충망 프레임(2) 및 가동틀(5) 등의 사이에 3개의 스트레칭끈(194a~194c)을 팽팽하게 설치함으로써 가동틀의 평행이동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 제1의 스트레칭끈(194a)은, 상기 가동틀(5)의 상부에 그 일단을 부착하고, 네트(4)를 관통시켜서 세로 프레임 부재(6) 내로 안내하며, 방향전환부재(204a)에서 방향전환시켜서 세로 프레임 부재(6) 내를 하방으로 안내한 뒤에, 상기 세로 프레임 부재(6)의 하부에 설치한 방향전환부재(204b)에 감아 걸어서 상기 세로 프레임 부재(6) 내를 상방으로 안내하고, 네트(4)의 하단을 가이드하는 네트 가이드(12B)에 있어서의 세로 프레임 부재(6) 내에 출입하는 측의 선단의 가이드블럭(14)에 연결되어 있다.
한편, 제2, 제3의 스트레칭끈(194b,194c)은 각각 상기 가동틀(5)의 중앙 및 하부에 그 일단을 부착하고, 그들을 네트(4)에 관통시켜서 세로 프레임 부재(6) 내로 안내한 뒤에, 각각 방향전환부재(204c, 204d)에 의해 상기 세로 프레임 부재(6) 내를 상방으로 안내하며, 또한 그들을 세로 프레임 부재(6)의 상부에 설치한 방향전환부재(204e)에 감아 걸어서 상기 세로 프레임 부재(6) 내를 하방으로 안내하고, 네트(4)의 상단을 가이드하는 네트 가이드(12A)에 있어서의 세로 프레임 부재(6) 내에 출입하는 쪽의 선단의 가이드블럭(14)에 연결되어 있다.
도 17에 나타내는 제6실시예의 가로끌기 방충망은, 네트(4)의 일단을 고정한 세로 프레임 부재(6)의 상하 끝부에 네트 가이드(12A, 12B)의 일단을 각각 고정하고, 그들의 선단을 가동틀(5)에 그 상하단으로부터 도입하여, 가동틀(5)의 이동에 따라서 상기 가동틀(5)의 내부에 출입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제6실시예의 가로끌기 방충망에 있어서는 상기 방충망 프레임(2) 및 가동틀(5) 등의 사이에 2개의 스트레칭끈(195a, 195b)을 팽팽하게 설치함으로써, 가동틀(5)의 평행이동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 제1의 스트레칭끈(195a)은, 상기 가동틀(5)의 상단으로부터 그 내부에 출입하는 네트 가이드(12A)의 상기 가동틀(5) 내에 출입하는 측의 선단의 가이드블럭(14)에 그 일단을 부착하고, 그것을 하방으로 안내한 후, 방향전환부재(205a)에 감아 걸어서 가동틀(5)의 상단으로 안내한 뒤에, 방향전환부재(205b)에 의해 상부의 가로 프레임 부재(10) 내를 통해서 세로 프레임 부재(8) 내로 안내하며, 거기서 방향전환부재(205c)에 감아 걸어서 상기 가로 프레임 부재(10) 내를 역방향으로 안내한 뒤에, 다시 상기 가동틀(5) 내에 도입하여, 방향전환부재(205d)에서 방향전환시켜서 가동틀(5) 내를 하방으로 안내하고, 상기 가동틀(5)의 하단에 설치한 방향전환부재(205e)에 감아 걸어서, 상기 가동틀(5) 내를 상방으로 안내하여, 그것을 가동틀(5)의 하단으로부터 그 내부에 출입하는 네트 가이드(12B)의 선단의 가이드블럭(14)에 연결하고 있다.
한편, 제2의 스트레칭끈(195b)은 상기 가동틀(5)의 중앙에 그 일단을 부착하고, 네트(4)를 관통시켜서 세로 프레임 부재(6) 내로 안내한 뒤에, 방향전환부재(205f)에 의해 방향전환시켜, 상기 세로 프레임 부재(6) 내를 그 상부에 장착된 가로 프레임 부재(10) 내로 안내하며, 거기에 설치한 방향전환부재(205g)로 방향전환해서 상기 가로 프레임 부재(10) 내를 통과하여, 상기 세로 프레임 부재(8) 내에 도입하고, 거기서 상기 방향전환부재(205c)에 감아 걸어서 상기 제1의 스트레칭끈(195a)과 함께 상기 가로 프레임 부재(10) 내를 역방향으로 안내한 뒤에, 상기 가동틀(5) 내에 도입하며, 또한 방향전환부재(205d)로 방향전환해서 가동틀(5) 내를 하방으로 안내하고, 상기 가동틀(5)의 하단에 설치한 방향전환부재(205e)에 감아 걸어서 상기 가동틀(5) 내를 상방으로 안내하여, 가동틀(5)의 하단으로부터 그 내부에 출입하는 네트 가이드(12B)의 선단의 가이드블럭(14)에 연결하고 있다.
도 18에 나타내는 제7실시예의 가로끌기 방충망은, 건물 개구부의 한 측에 고정됨과 아울러, 네트(4)의 일단을 고정한 세로 프레임 부재(6)의 상단에 네트 가이드(12A)의 일단을 고정해서 그 선단을 가동틀(5)에 그 상단으로부터 도입하고, 또한, 가동틀(5)의 하단에 일단을 고정한 네트 가이드(12B)의 선단을 상기 세로 프레임 부재(6) 내에 그 하단으로부터 도입하여, 가동틀(5)의 이동에 따라서 상기 가동틀(5)의 상단으로부터 그 내부에 네트 가이드(12A)가 출입함과 아울러, 세로 프레임 부재(6)의 하단으로부터 그 내부에 네트 가이드(12B)가 출입하는 것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세로 프레임 부재(8)에 상당하는 것은 구비되어 있지 않다.
이 제7실시예의 가로끌기 방충망에 있어서는, 상기 방충망 프레임(2) 및 가동틀(5) 등 사이에 2개의 스트레칭끈(196a, 196b)을 팽팽하게 설치함으로써 가동틀의 평행이동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 제1의 스트레칭끈(196a)은, 그 일단을 상기 가동틀(5)의 상단으로부터 그 내부에 출입하는 네트 가이드(12A)의 선단의 가이드블럭(14)에 설치하고, 그것을 가동틀(5)의 상방으로 안내한 뒤에, 상부에 설치한 방향전환부재(206a)에 감아 걸어서 상기 가동틀(5) 내를 하방으로 안내하며, 그 하단의 방향전환부재(206b)에 의해 방향전환시켜, 네트(4)의 하부를 관통시켜서 세로 프레임 부재(6) 내로 안내하여, 상기 세로 프레임 부재(6) 내의 하부에 고정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2의 스트레칭끈(196b)은 그 일단을 세로 프레임 부재(6)의 하단으로부터 그 내부에 출입하는 네트 가이드(12B)의 선단의 가이드블럭(14)에 설치하여, 세로 프레임 부재(6) 내를 하방으로 안내하고, 그 하부에 설치된 방향전환부재(206c)에 감아 걸어서 다시 상방으로 안내하며, 그 상부에 설치된 방향전환부재(206d)로 방향전환시켜, 네트(4)의 상부를 관통시켜서 가동틀(5)로 안내하여 그 상부에 고정하고 있다.
상기 제1~제7실시예에 예시한 가로끌기 방충망에 있어서의 가동틀의 평행이동기구를 구성하는 스트레칭끈의 감는 경로는, 상술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한, 네트 가이드를 방충망 프레임 중 어느 프레임재에 출입시킬지 등은, 가로끌기 방충망의 구조에 의해 적절히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면, 도 19에 예시한 제8실시예의 가로끌기 방충망은, 도 1에 나타내는 제1실시예의 가로끌기 방충망과 비교해서 네트 가이드(12)의 배치는 같지만, 평행이동기구를 구성하는 스트레칭끈의 감는 경로에 있어서 상이하다.
이 제8실시예의 가로끌기 방충망에 있어서는, 가동틀(5)의 평행이동기구를 구성하는 3개의 스트레칭끈(197a~197c)이 팽팽하게 설치되어 있다.
제1의 스트레칭끈(197a)은 상기 가동틀(5)의 상부에 그 일단을 부착하고, 네트(4)를 관통시켜서 세로 프레임 부재(6) 내로 안내하고, 방향전환부재(207a)에서 방향전환시켜서 세로 프레임 부재(6) 내를 하방으로 안내한 뒤에, 상기 세로 프레임 부재(6)의 하부에서 방향전환부재(207b)에 감아 걸어서 상기 세로 프레임 부재(6) 내를 상방으로 안내하여, 상기 네트 가이드(12)에 있어서의 세로 프레임 부재(6) 내에 출입하는 측의 선단의 가이드블럭(14)에 연결되어 있다. 이 제1의 스트레칭끈(197a)의 감는 경로는, 제1실시예의 제1의 스트레칭끈(19a)의 경우와 같다.
또한, 제2, 제3의 스트레칭끈(197b, 197c)은 세로 프레임 부재(8)의 상부에 그들 2개의 일단을 부착하고, 그들을 가동틀(5)의 상단으로 안내하여, 이 상단에서 방향전환부재(207c)에 의해 방향전환시켜서 가동틀(5) 내를 하방으로 안내하고, 그리고 한쪽의 제2스트레칭끈(197b)은 가동틀(5)의 중앙에서 방향전환부재(207d)에 의해 방향전환시키며, 또 한쪽의 제3스트레칭끈(197c)은 가동틀(5)의 하부에서 방향전환부재(207e)에 의해 방향전환시키고, 각각 네트(4)를 관통시켜서 세로 프레임 부재(6) 내로 안내하여 상기 세로 프레임 부재(6)에 고정되어 있다.
이렇게, 평행이동기구를 구성하는 스트레칭끈은 가동틀(5)의 자세를 유지하거나, 혹은, 상기 가동틀(5)을 안정적으로 평행 이동시킬 수 있으면, 임의의 감는 경로로 팽팽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아코디언형상으로 신장 가능하게 한 네트(4)를 구비한 가로끌기 방충망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네트 가이드의 각종 사용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스크린 장치는 상술한 아코디언형상으로 신장 가능한 네트(4)를 사용할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또한 가로끌기 방충망에 한정되는 것도 아니며, 면형상으로 전개된 부재를 접어 개기, 권취, 중적(重積) 등에 의해 정리되어서 수납할 수 있도록 한 각종 면부재를 사용한 스크린 장치를 대상으로 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스크린 장치는 도 20 및 도 21에 나타내는 스크린 장치, 혹은 도 22 및 도 23에 나타내는 스크린 장치와 같이, 권취축(30)에 감은 가요 성 차광 스크린, 그 외의 각종 시트, 방충 네트 등의 스크린(31)을 사용한 스크린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도 20 및 도 21에 나타내는 제9실시예는, 내부에 설치한 스프링 가압력으로 스크린(31)을 권취하는 권취축(30)을 가동틀(5M) 내에 회전할 수 있게 수용해서, 상기 스크린(31)의 타단을 세로 프레임 부재(6M)에 고정하고, 상기 가동틀(5M)을 그 상단에 설치한 롤러(5a)로 상부의 가로 프레임 부재(10)에 매달아, 가동틀(5M)의 하단에 일단을 고정한 스크린 가이드(12M)를 세로 프레임 부재(6M)에 그 하단으로부터 출입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스크린 가이드(12M)는 도 4~도 11에서 나타낸 것과 실질적으로 같은 구조를 갖는 것으로 할 수 있지만, 이 실시예의 경우에는 도시와 같이 가이드블럭(14M)을 좁은 폭으로 하고 있다.
또한, 도 22 및 도 23에 나타내는 제10실시예에서는, 상기 제9실시예와 같은 권취축(30)을 세로 프레임 부재(6N)에 수용하고, 스크린(31)의 타단을 가동틀(5N)에 고정해서, 상기 가동틀(5N)을 마찬가지로 롤러(5a)로 가로 프레임 부재(10)에 매달고 있다. 그리고, 세로 프레임 부재(6N)의 하단에 일단을 고정한 스크린 가이드(12N)를, 가동틀(5N)에 그 하단으로부터 출입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가이드블럭(14N)은 실질적으로 상기 제9실시예의 가이드블럭(14M)과 다른 부분이 없다.
또한, 본 발명의 스크린 장치, 특히 상기 제9 및 제10실시예의 스크린 장치는 상기 실시예로서 나타낸 가로끌기의 것에 한하지 않고, 세로끌기의 스크린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Claims (11)

  1. 팽팽하게 설치 가능한 스크린을 개폐할 수 있게 하여, 상기 스크린의 개폐에 따라서 상기 스크린의 개폐방향 양단에 부착된 프레임재 중 적어도 한쪽으로부터 그 내부로 굴곡해서 출입하고, 팽팽하게 설치된 상태에 있는 상기 스크린의 끝부를 따라 도출되어서 그 끝부를 가이드하는 스크린 가이드를 구비한 스크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가이드가 상기 스크린의 끝부를 따르는 저부와 상기 스크린의 외측면을 따르는 한 쌍의 입벽부에 의해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된 합성수지제의 다수의 가이드블럭을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블럭에 있어서의 한 쌍의 입벽부의 각 선단부를 따라서 통과구멍을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통과구멍에 일련의 와이어 부재가 삽입 통과되어, 그것에 의해서 상기 가이드블럭의 연접면에 있어서의 입벽부의 선단부가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접되며, 상기 스크린 가이드가 상기 스크린의 끝부를 따라서 도출되었을 때, 인접하는 가이드블럭의 연접면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서로 접촉하는 것으로 해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벽부의 통과구멍을 따라서 와이어 부재를 끼우고 빼는 홈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인접하는 상기 가이드블럭의 와이어 부재를 삽입 통과하는 통과구멍 사이에 중간회전자를 개재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블럭의 전부 또는 일부에 그들이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면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이 교대로 역방향으로 되접어 꺾음으로써 아코디언형상으로 신축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가이드가 상기 스크린의 개폐방향 양단에 부착된 프레임재의 쌍방으로부터 그 내부에 출입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이 롤에 감기는 가요성 시트형상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장치.
  8. 제 5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이 가로끌기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장치.
  9. 제 5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을 가로끌기에 의 해 개폐 가능하게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스크린의 상하 양측단에 스크린 가이드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장치.
  10.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이 가로끌기에 의해 개폐 가능하고, 상기 스크린의 개폐조작에 제공되는 가동의 프레임재를 평행 이동시키기 위한 스트레칭끈의 일단을 상기 스크린 가이드에 연결하여, 상기 스크린 가이드와 상기 스트레칭끈에 의해 상기 프레임재의 평행이동기구를 구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장치.
  11. 제 5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이 방충 네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장치.
KR1020057025466A 2003-06-30 2004-06-29 스크린 장치 KR1007152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188212 2003-06-30
JP2003188212A JP4179936B2 (ja) 2003-06-30 2003-06-30 可収納張設面部材の端部ガイド
JPJP-P-2003-00274927 2003-07-15
JP2003274927A JP4179940B2 (ja) 2003-07-15 2003-07-15 横引き網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4654A KR20060034654A (ko) 2006-04-24
KR100715210B1 true KR100715210B1 (ko) 2007-05-08

Family

ID=33554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25466A KR100715210B1 (ko) 2003-06-30 2004-06-29 스크린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472738B2 (ko)
EP (1) EP1653038B1 (ko)
KR (1) KR100715210B1 (ko)
AU (1) AU2004252353B2 (ko)
CA (1) CA2529682C (ko)
ES (1) ES2401841T3 (ko)
TW (1) TWI255879B (ko)
WO (1) WO20050012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17152B2 (en) * 2004-10-07 2010-05-18 Seiki Sogyo Co., Ltd. Net guide for wire screen and wire screen apparatus having the same
JP4850498B2 (ja) * 2005-11-30 2012-01-11 セイキ販売株式会社 折畳式スクリーン装置
ITRE20060025A1 (it) * 2006-02-24 2007-08-25 I R S S P A Guida flessibile per rete di zanzariera
JP4794373B2 (ja) * 2006-06-23 2011-10-19 株式会社メタコ スクリーン装置
ITTO20060671A1 (it) * 2006-09-21 2008-03-22 Effe S R L Dispositivo di schermo avvolgibile.
JP4954676B2 (ja) * 2006-11-10 2012-06-20 株式会社メタコ スクリーン装置
ITVR20070111A1 (it) * 2007-08-03 2009-02-04 Genius Italia Srl Zanzariera riducibile con rete plissettata
JP5358126B2 (ja) * 2008-06-09 2013-12-04 株式会社メタコ スクリーン装置
JP5159503B2 (ja) * 2008-08-06 2013-03-06 株式会社メタコ スクリーン装置
JP5602995B2 (ja) * 2008-08-06 2014-10-08 株式会社メタコ スクリーン装置
AU2010201331B2 (en) * 2009-04-02 2016-04-28 Global Pleated Screens Pty Ltd Pleat screen device
JP5284239B2 (ja) * 2009-10-07 2013-09-11 株式会社メタコ スクリーン装置
GR1007622B (el) 2010-09-30 2012-06-28 Αργυριος Διονυσιου Παπαδοπουλος Συστημα αντικουνουπικης σιτας
GR20110100129A (el) 2011-03-02 2012-09-15 Αργυριος Διονυσιου Παπαδοπουλος Συστημα αντικουνουπικης σιτας πλισε
NL2007194C2 (en) * 2011-07-28 2013-01-29 Unilux Nederland B V Retractable and extendable covering device.
EP2599948B1 (en) 2011-11-30 2014-07-16 IDECO - ARGYRIOS PAPADOPOULOS - ELEFTHERIA FERFELI Ltd Pivotable floor guiding profile for a horizontally sliding mosquito net
EP2817470A1 (en) 2012-02-24 2014-12-31 Argyrios Papadopoulos Anti-mosquito net system with bilateral opening
WO2014024214A1 (en) * 2012-08-10 2014-02-13 Mvlines.P.A. Control and movement device for mosquito screens, curtains and the like
GR1008203B (el) 2013-01-28 2014-05-27 Αργυριος Διονυσιου Παπαδοπουλος Εξαρτημα τρουκ με εσωτερικη τροχαλια
GR1008201B (el) 2013-04-16 2014-05-26 Αργυριος Διονυσιου Παπαδοπουλος Συστημα αντικουνουπικης σιτας με ενδιαμεση κασετινα ολισθησης
WO2015000084A1 (en) * 2013-07-05 2015-01-08 John Poppema Concealed insect screen
RS57312B1 (sr) 2013-11-28 2018-08-31 Ideco Ind S A Sistem sa mrežom protiv komaraca za fiksnu i zglobnu donju vođicu
WO2016206607A1 (zh) * 2015-06-23 2016-12-29 金懋实业有限公司 一种可伸缩卫浴门
ITUB20153218A1 (it) * 2015-08-25 2017-02-25 Patrizia Vittore "catena di guida flessibile perfezionata per schermature, come ad esempio zanzariere e schermi oscuranti/filtranti"
JP6612162B2 (ja) * 2016-03-24 2019-11-27 セイキ販売株式会社 スクリーン装置
ITUA20163337A1 (it) * 2016-05-11 2017-11-11 Mv Line S P A Dispositivo di guida e di tensionamento a scomparsa per schermature a scorrimento
KR101942758B1 (ko) * 2016-07-29 2019-01-29 주식회사 대상테크롤 리니어 체인의 처짐 방지구조가 적용된 롤 스크린 장치
EP3517805B8 (de) 2018-01-29 2022-04-13 Auto-Motion Shade Inc. Kette für eine abschirmvorrichtung
RS62777B1 (sr) * 2018-02-26 2022-01-31 Argyrios Papadopoulos Autonomni komarnici za fiksnu donju vođicu
IT202000003503A1 (it) * 2020-02-20 2021-08-20 D F M S R L Telaio per dispositivi schermanti apribili dotato di fettuccia e percorso dei fili ottimizzato
US11505991B2 (en) * 2021-03-24 2022-11-22 Metaco Inc. Screen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52280A (ja) * 1999-06-10 2000-12-19 Tateyama Alum Ind Co Ltd プリーツスクリーン装置
JP2001248370A (ja) * 2000-03-07 2001-09-14 Ykk Architectural Products Inc ロールタイプ収納網戸のガイドレール
JP2003038226A (ja) * 2001-08-02 2003-02-12 Mieko Iwazawa 携帯用スリッパや靴ケース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21054A (ja) * 1994-10-27 1996-05-14 Fujisash Co 組付け網戸装置
JP3312848B2 (ja) * 1995-07-14 2002-08-12 株式会社メタコ スクリーン装置
JPH09279967A (ja) * 1996-04-11 1997-10-28 Katsuaki Tomita ロールスクリーン
US6186212B1 (en) * 1998-06-11 2001-02-13 Metaco Inc. Screen device
JP3403652B2 (ja) 1998-11-06 2003-05-06 株式会社メタコ スクリーン装置
US6318438B1 (en) * 2000-04-18 2001-11-20 Seiki Hanbai Co., Ltd. Net guide for side-sliding wire screen
JP3965334B2 (ja) 2001-10-30 2007-08-29 セイキ住工株式会社 横引き網戸
JP4174207B2 (ja) 2001-11-27 2008-10-29 セイキ販売株式会社 スクリーン装置
JP4109573B2 (ja) * 2003-05-21 2008-07-02 セイキ販売株式会社 巻取り式スクリーン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52280A (ja) * 1999-06-10 2000-12-19 Tateyama Alum Ind Co Ltd プリーツスクリーン装置
JP2001248370A (ja) * 2000-03-07 2001-09-14 Ykk Architectural Products Inc ロールタイプ収納網戸のガイドレール
JP2003038226A (ja) * 2001-08-02 2003-02-12 Mieko Iwazawa 携帯用スリッパや靴ケース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2352280 *
13248370 *
2003038226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529682A1 (en) 2005-01-06
TW200506168A (en) 2005-02-16
ES2401841T3 (es) 2013-04-24
WO2005001230A1 (ja) 2005-01-06
AU2004252353A1 (en) 2005-01-06
KR20060034654A (ko) 2006-04-24
US7472738B2 (en) 2009-01-06
US20060162871A1 (en) 2006-07-27
EP1653038B1 (en) 2013-02-20
AU2004252353B2 (en) 2008-08-07
TWI255879B (en) 2006-06-01
CA2529682C (en) 2008-11-25
EP1653038A4 (en) 2009-03-04
EP1653038A1 (en) 2006-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5210B1 (ko) 스크린 장치
CA2485724C (en) Cord tensioner
US6978820B2 (en) Sliding screen door
KR100221573B1 (ko) 와이어장력시스템에 의한 주름형상 스크리인장치
CA2524941C (en) Winding-up screen device
RU2422609C2 (ru) Закрыв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со шторой, имеющей гибкие боковые края
ES2355986T3 (es) Dispositivo de persiana plisada.
US7891398B2 (en) Screen device
EP2312113A1 (en) Cable arrangement for actuating a horizontally sliding mosquito screen
JP2005023578A (ja) 可収納張設面部材の端部ガイド
JP6803147B2 (ja) ロールスクリーン装置
JP4174207B2 (ja) スクリーン装置
JP4084327B2 (ja) スクリーン装置
JP4179940B2 (ja) 横引き網戸
JP5496867B2 (ja) 横引き式スクリーン装置
JP4704272B2 (ja) スクリーン装置
JP3965260B2 (ja) 可動框用平行移動機構を備えたスクリーン装置
KR200408085Y1 (ko) 롤 방충망체 이탈방지용 모헤어 털 및 여러 가닥으로형성된 솔.
GB2392701A (en) Window blind
JP3949410B2 (ja) スクリーン装置
JP2727295B2 (ja) 建物開口部用スクリーン装置
KR0124087Y1 (ko) 로울러식 방충망
JP2005048477A (ja) 横引き網戸
JP2537646Y2 (ja) 和室用遮光装置
JP3559257B2 (ja) 横引き式スクリー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