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4087Y1 - 로울러식 방충망 - Google Patents

로울러식 방충망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4087Y1
KR0124087Y1 KR2019960010220U KR19960010220U KR0124087Y1 KR 0124087 Y1 KR0124087 Y1 KR 0124087Y1 KR 2019960010220 U KR2019960010220 U KR 2019960010220U KR 19960010220 U KR19960010220 U KR 19960010220U KR 0124087 Y1 KR0124087 Y1 KR 01240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h
guide
rail
fixed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102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8738U (ko
Inventor
박우대
Original Assignee
박우대
주식회사대상창호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우대, 주식회사대상창호시스템 filed Critical 박우대
Priority to KR20199600102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4087Y1/ko
Publication of KR9700587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873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40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4087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9/54Roller fly scree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58Guiding devices
    • E06B9/581Means to prevent or induce disengagement of shutter from side 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78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direct manual operation, e.g. by tassels, by 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그물망체가 걸리적거림이 없이 자연스럽게 동작되도록 하여 주면서도, 그 그물망체의 내구성을 확보하여 주는 로울러식 방충망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은; 하우징(10)내부에 탄력적으로 설치되는 그물망체(2)끝단부는 망체손잡이(30)의 가스켓홈(32)에 삽입 고정하되 그 망체손잡이(3)후면의 양측단에는 한쌍의 가이드편(31)이 부착 고정되고, 상기 그물망체(20)양측 끝부분의 후면에 봉재선(22)이 중앙선을 따라 재봉되는 안내띠(21)의 끝단부가 상기 가이드편(31)의 후면에 접착되며, 상기 그물망체(20)를 안내하여 주도록 내, 외벽부(41)(42)및 측벽부(43)로서 한 쌍의 레일몸체(40)를 형성하되 그 측벽부(43)에는 직각으로 형성되는 일측레일(44)이, 그 레일몸체(40)의 내벽부(41)끝단이 절곡된 타측레일(45)을 형성하여서, 상기 그물망체(20)가 양측단의 레일몸체(40)내에 끼워져서 동작되도록 구성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그물망체(20)는 재봉된 한쌍의 안내띠(21)중앙의 봉재선(22)과 만나는 일직선상의 끝부분에 내측으로 일정길이 만큼 절취된 절개부(23)를 각기 형성하고, 상기 안내띠(21)중앙의 봉재선(22)을 기준으로 절개부(23)를 포함한 그물망체(20)외측 끝부분이 상기 안내띠(21)와 일체가 되도록 외측 봉재선(24)으로 재봉되도록 하는 로울러식 방충망이다.

Description

로울러식 방충망
제1도는 종래 고안의 배면 사시도.
제2도는 종래 고안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요부 발췌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배면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요부 발췌 사시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요부 발췌 단면도.
제6도의 (a)(b)는, 본 고안의 그물망체에 보강띠를 배치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임.
제7도의 (a)(b)는, 본 고안의 망체손잡이에 클릭을 결착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임.
제8도는 본 고안의 레일몸체이 변형된 일실시예를 나타낸 일부분 사시도.
제9도의 (a)는 제8도의 일부 절결 정면도. (b)는 제8도의 일부 절결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하우징 20 : 그물망체
21 : 안내띠 22 : 봉재선
23 : 절개부 24 : 외측 봉재선
25 : 보강띠 30 : 망체손잡이
31 : 가이드편 31a : 양측 안내레일홈
32 : 가스켓홈 33 : 결착홈
34 : 파지부 35 : 클립
35a : 끼움홈 35b : 안내홈부
40 : 레일몸체 41,42 : 내,외벽부
43 : 측벽부 44 : 일측레일
45 : 타측레일 a : 절삭면
b : 가공부
본 고안은 각종의 해충이 건축물의 실내로 침입하는 것을 차단하여 주는 로울러식 방충망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그물망체가 걸리적거림이 없이 자연스럽게 동작되도록 하여 주면서도, 그 그물망체의 내구성을 확보하여 주는 로울러식 방충망에 관한것이다.
이전의 일반적인 방충망은,창문틀에 고정되는 미닫이식으로 만들어져서 사용되어 왔으며, 이러한 미닫이식의 방충망은 계절의 변화에 따라서 설치 또는 해체하게 되는 사용상의 불편함으로 인하여, 최근에는 설치 및 사용이 용이한 로울러식 방충망이 선호된는 추세에 있다.
본 출원인은 로울러식 방충망과 관련하여 수차례 제안을 한 바가 있으며,그중의 하나는 1994년 6월 26일자, 실용신안등록 출원 제94-15465호에는 제1도에 도시되는 바와같이,하우징(10)내부에 탄력적으로 설치되는 그물망체(20)의 끝단부를 고정하는 망체손잡이(30)양단부가 상기 하우징(10)의 양끝부분에 평행하게 설치되며, 내,외벽부(41)(42) 및 측벽부(43)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레일몸체(40)에 안내되어 상기 그물망체(20)가 펼쳐지거나 감겨지도록 구성되는 로울러식 방충망에 있어서, 상기 레일몸체(40)의 측벽부(43)에서 직각으로 연장되어 일측레일(44)이 형성되고, 그 일측레일(44)과 레일간격(46)을 두고 평행하도록 레일몸체(40)의 내벽부(41)끝단을 절곡하여 타측레일(45)이 형성되며, 상기 망체손잡이(30)후면의 양측단에는 상기 레일몸체(40)의 일측 및 타측레일(44)(45)에 끼워져서 움직이도록 양측 안내레일홈(31a)이 형성되는 한쌍의 가이드편(31)이 부착 고정되고,상기 그물망체(20)의 양측 끝부분의 후면에는 상기 레일몸체(40)보다 폭이 작고 봉재선(22)이 중앙선을 따라 재봉되는 안내띠(21)의 끝단부가 상기 가이드편(31)의 후면에 접착되어, 상기 일측 및 타측레일(44)(45)이 그물망체(20)와 안내띠(21)의 자유단 사이에 밀착되게 끼워져서 동작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로울러식 방충망을 선출원한 사실이 있다.
상기한 본 출원인의 선출원 고안은,제2도에 도시되는 바와같이,그물망체(20)가 고정된 망체손잡이(30)의 양측단과, 후면에 부착 고정되는 가이드편(31)의 중앙부는 상기 레일몸체(40)의 레일간격(46)과 대접되도록 위치되면, 그 가이드편(31)의 양측 안내레일홈(31a)이 상기 레일몸체(40)의 내측에 형성되는 일측 및 타측레일(44)(45)에 결착된 상태가 되어, 상기 망체손잡이(30)를 하측방으로 이동시켜서 그물망체(20)까 펼쳐지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그물망체(20)와 그 그물망체(20)후면에 접착되는 안내띠(21)의 양측 자유단 사이가 상기 레일몸체(40)의 일측 및 타측레일(44)(45)에 밀착된 상태로 동작하게 된다. 따라서, 이는 그물망체(20)가 펼쳐진 상태에서는 팽팽한 상태로 유지되는 동시에, 그물망체(20)의 이동시에는 탈선이 방지되는 작용효과를 가지는 등의 장점이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본인의 선출원은, 상기 안내띠(21)를 구획하여 주는 봉재선(22)을 기준으로 그물망체(20)외측의 자유단이, 상기 레일몸체(40)의 일측 및 타측레일(44)(45)의 선단부와 간섭 마찰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 안내띠(21)의 봉재선(22)을 중심으로 그 안내띠(21)와 그물망체(20)사이의 내측 자유단은, 그물망체(20)가 당겨지는 힘과 봉재선(22)으로 인하여 적정한 긴장감을 부여 받게 되어, 그 그물망체(20)가 펼쳐지도록 하는 동작시에 상기 레일몸체(40)의 일측레일(44)선단부와 간섭 마찰을 감소되는 반면에,이때의 상기 안내띠(21)의 봉재선(22)을 중심으로 그물망체(20)외측 자유단은 자체적인 지탱력이 상실되어 임의로 흐느적거리게 되어, 상기 그물망체(20가 펼치도록 하는 동작시에 레일몸체(40)의 타측레일(45)선단부와 간섭 마찰을 일으킬 수 밖에 없었다.
따라서, 상기한 본인의 선출원 고안은 첫째, 레일몸체와 그물망체 상호간의 간섭 마찰로 인한 그물망체의 부드러운 동작을 기대할 수 없었으며; 둘재, 반복적인 작동으로 그물망체 외측의 자유단 훼손이 가중되어 내구성이 저하되는 등의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그물망체의 동작시에 발생될 수 있는 부재간의 마찰을 최소화하여 주어, 첫째, 그물망체가 걸리적거림이 없이 자연스럽게 동작되도록 하여 주면서도; 둘째, 그물망체의 훼손을 미연에 방지하여 주어서 제품 전체의 내구성과 신뢰성을 향상시켜 주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도 하우증(10)내부에 탄력적으로 설치되는 그물망체(20)끝단부는 망체손잡이(30)의 가스켓홈(32)에 삽입 고정하되 그 망체손잡이(30)후면의 양측단에는 한쌍의 가이드편(31)이 부착 고정되고, 상기 그물망체(20)양측 끝부분의 후면에 봉재선(22)이 중앙선을 따라 재봉되는 안내띠(21)의 끝단부가 상기 가이드편(31)의 후면에 접착되며, 상기 그물망체(20)를 안내하여 주도록 내,외벽부(41)(42) 및 측벽부(43)로서한 쌍의 레일몸체(40)를 형성하되 그 측벽부(43)에는 직각으로 형성되는 일측레일(44)이, 그 레일몸체(40)의 내벽부(41)끝단이 절곡된 타측레일(45)을 형성하여서, 상기 그물망체(20)가 양측단의 레일몸체(40)내에 끼워져서 동작되도록 구성되는 점에 있어서는 종래의 것과 다를 바 없다.
단,본 고안은 제3도 내지 제5도에 도시되는 바와같이, 상기 그물망체(20)는 재봉된 한쌍의 안내띠(21)중앙의 봉재선(22)과 만나는 일직선상의 끝부분에서 내측으로 일정길이 만큼 절취된 절개부(23)를 각기 형성하고, 상기 안내띠(21)중앙의 봉재선(22)을 기준으로 절개부(23)를 포함한 그물망체(20)외측 끝부분이 상기 안내띠(21)와 일체가 되도록 외측 봉재선(24)으로 재봉한다는 점에서 본인의 선출원과 구분되는 기술적 구성의 특징이 있다.
상기한 바와같은 본 고안의 각 부성부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하우징(10)은 그 내부에서 그물망체(20)가 펼쳐지거나 감겨지도록 하는 수납공간을 확보하여 주는 동시에, 그 그물망체(20)가 탄력적으로 동작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그물망체(20)는 해충의 침입을 차단하는 직접적인 기능을 수행하게 되며,이러한 그물망체(20)끝단부의 대부분은 당겨져서 펼쳐지거나 감겨질 수 있도록 망체손잡이(30)의 가스켓홈(32)내에 끼워져서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그물망체(20)양측 끝부분의 후면에는 안내띠(21)가 각기 중앙선을 따라서 봉재선(22)으로 부착되며, 상기 그물망체(20)는 안내띠(21)의 봉재선(22)과 만나는 일직선상의 끝부분에서 내측으로 일정길이 만큼 절취된 절개부(23)를 형성하여,상기 안내띠(21)중앙의 봉재선(22)을 기준으로 상기 절개부(23)를 포함한 그물망체(20)의 양단부 외측 끝부분이 상기 안내띠(21)와 일체가 되도록 외측 봉재선(24)을 재봉되도록 함이 중요하다. 그 이유는, 상기 안내띠(21)의 봉재선(22)을 중심으로 그 안내띠(21)와 그물망체(20)내측 자유단 사이에 상기 레일몸체(40)의 타측레일(45)이 끼워져서 동작되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안내띠(21)의 봉재선(22)을 중심으로 외측 봉재선(24)이 일체적으로 재봉된 그물망체(20)의 외측 끝부분이, 상기 레일몸체(40)의 타측레일(45)후면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동작되도록 하여서,상기 그물망쳬(20)외측의 자유단이 레일몸체(40)의 타측레일(45)선단부와 간섭 마찰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어,그물망체(20)의 부드러운 동작과 함께 그의 훼손을 방지하여 주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에서, 제6도에 도시되는 바와같이, 상기 그물망체(20)와 안내띠(21)가 봉재된 사이에는,상기 안내띠(21)와 동일폭의 일정길이를 가지며 상기 그물망체(20)와 동일한 위치가 절취된 보강띠(25)가 배치되어서 일체로 재봉되도록 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이러한,보강띠(25)는 레일몸체(40)의 일측 및 타측레일(44)(45)선단부에 의하여 상기 그물망체(20)의 절취부위를 포함한 절개부(23)가 훼손됨이 없도록 더욱 확실하게 보호하는 데에 도움을 준다.
상기 망체손잡이(30)는 상기 그물망체(20)의 끝단을 고정하여 주어서, 그 그물망체(20)가 양측에 배치되는 레일몸체(40)를 따라 동작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망체손잡이(30)는 평활한 전면 중앙에 직각으로 돌출되는 양측단이 상기 레일몸체(40)보다 큰 폭 만큼을 남겨 두고 파지부(34)를 형성하고, 상기 망체손잡이(30) 몸체 상단의 길이방향으로 트여져서 상기 그물망체(20)의 끝단부가 결합될 수 있도록 가스켓홈(32)을 형성하며, 상기 그물망체(20)양측단에는 H형상의 단면형상으로서 양측 안내레일홈(31a)이 형성된 가이드편(31)이 배치되도록 하여, 상기 망체손잡이(30)의 후면에 소정의 단면형상을 가지는 결착홈(33)에 끼워져서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7도에 도시되는 바와같이, 상기 망체손잡이(30)의 파지부(34)양단부에는, 전체적으로 피랏밋 형상의 내측 중간에 끼움홈(35a)을 형성되며, 그 외측의 끝부분이 직각으로 트여지는 안내홈부(35b)가 형성되는 클립(35)이 각기 결착 고정되도록 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이러한 클립(35)은 상기 망체손잡이(30)가 상기 레일몸체(40)의 외벽부(42)와 접촉하여 미끄러지면서 유동됨이 없도록 하여서 상기 그물망체(20)가 더욱 안정적으로 동작되도록 하는 데에 도움을 준다.
상기 레일몸체(40)는 내,외벽부(41)(42) 및 측벽부(43)로서 형성되는 한 쌍의 레일몸체(40)의 측벽부(43)에는 직각으로 형성되는 일측레일(44)이, 그 레일몸체(40)의 내벽부(41)를 절곡한 끝단에 타측레일(45)을 형성하여서, 상기 망체손잡이(30)를 안내하여 그물망체(20)가 동작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에서, 제8도 및 제9도에 도시되는 바와같이, 상기 레일몸체(40)의 일측 및 타측레일(44)(45) 선단부를 연마하여서 절삭면(a)을 형성하고, 그 일측 및 타측레일(45)의 선단부 모서리를 구형의 가공부(b)로서 형성하여서, 상기 그물망체(20)의 동작시에 레일몸체(40)의 일측 및 타측레일(44)(45)선단부와의 간섭 마찰을 더욱 감소시켜 주도록 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이와같이 구성되고 실시되는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종합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즉, 본인의 선출원에서 그물망체(20)의 양측단 후면에 재봉되는 안내띠(21)의 중앙선을 따라 봉재선(22)으로 재봉되도록 하여서, 그물망체(20)에 재봉된 안내띠(21)의 봉재선(22)을 기준으로 상기 그물망체(20)외측 자유단이 임의로 흐느적거리게 되어, 그물망체(20)의 동작시에 레일몸체(40)의 타측레일(45)선단부와 간섭 마찰을 일으킬 수 밖에 없는 것과는 달리, 본 고안은 상기 그물망체(20)의 대부분은 망체손잡이(30)와 결착되어 고정되도록 하되 그 그물망체(20)는 안내띠(21)의 봉재선(22)과 만나는 일직선상의 끝부분에서 내측으로 일정길이 만큼 절취된 절개부(23)를 형성하고, 상기 안내띠(21)중앙의 봉재선(22)을 기준으로 상기 절개부(23)를 포함한 그물망체(20)의 양단부 외측 끝부분이 상기 안내띠(21)와 일체가 되도록 외측 봉재선(24)으로 재봉되도록 하여, 상기 안내띠(21)의 봉재선(22)을 중심으로 그 안내띠(21)와 그물망체(20) 내측 자유단 사이에는 상기 레일몸체(40)의 일측레일(44)이 끼워져서 동작하게 된다. 이때, 상기 안내띠(21)의 봉재선(22)을 중심으로 그물망체(20)의 절개부(23)를 포함한 양측단이 안내띠(21)와 일체로서 레일몸체(40)의 타측레일(45)후면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동작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그물망체 양측단의 끝부분이 부재 상호간의 간섭 마찰됨이 없도록 하여 주어서 그물망체가 부드럽게 동작되는 동시에, 그의 훼손을 방지하여 줄수 있는 작용 및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되는것이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같이 본 고안은 레일몸체와의 간섭 마찰을 배제하여 주어 그물망체가 자연스럽게 동작되도록 하면서도, 그물망체의 훼손을 미연에 방지하여 주어 내구성과 신뢰성을 향상시켜 주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4)

  1. 하우징(10)내부에 탄력적으로 설치되는 그물망체(20)끝단부는 망체손잡이(30)의 가스켓홈(32)에 삽입 고정하되 그 망체손잡이(30)후면의 양측단에는 한쌍의 가이드편(31)이 부착 고정되고,상기 그물망체(20)양측 끝부분의 후면에 봉재선(22)이 중앙선을 따라 재봉되는 안내띠(21)의 끝단부가 상기 가이드편(31)의 후면에 접착되며,상기 그물망체(20)를 안내하여 주도록 내,외벽부(41)(42)및 측벽부(43)로서 한쌍의 레일몸체(40)를 형성하되 그 측벽부(43)에는 직각으로 형성되는 일측레일(44)이,그 레일몸체(40)의 내벽부(41)끝단이 절곡된 타측레일(45)을 형성하여서,상기 그물망체(20)가 양측단의 레일몸체(40)내에 끼워져서 동작되도록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상기 그물망체(20)는 재봉된 한쌍의 안내띠(21)중앙의 봉재선(22)과 만나는 일직선상의 끝부분에서 내측으로 일정길이 만큼 절취된 절개부(23)를 각기 형성하고,상기 안내띠(21)중앙의 봉재선(22)을 기준으로 절개부(23)를 포함한 그물망체(20)외측 끝부분이 상기 안내띠(21)와 일체가 되도록 외측 봉재선(24)으로 재봉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로울러식 방충망.
  2. 제1항에 있어서,상기 그물망체(20)와 안내띠(21)가 봉재된 사이에는, 상기 안내띠(21)와 동일폭의 일정길이를 가지며 상기 그물망체(20)와 동일한 위치가 절취된 보강띠(25)가 배치되어서 일체로 재봉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로울러식 방충망.
  3. 제1항에 있어서,상기 망체손잡이(30)의 파지부(34)양단부에는,전체적으로 피라밋 형상의 내측 중간에 끼움홈(35a)을 형성되며,그 외측의 끝부분이 직각으로 트여지는 안내홈부(35b)가 형성되는 클립(35)이 각기 결착 고정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로울러식 방충망.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몸체(40)의 일측 및 타측레일(44)(45)선단부를 연마하여서 절삭면(a)을 형성하고,그 일측 및 타측레일(45)의 선단부 모서리를 구형의 가공부(b)로서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로울러식 방충망.
KR2019960010220U 1996-04-30 1996-04-30 로울러식 방충망 KR01240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0220U KR0124087Y1 (ko) 1996-04-30 1996-04-30 로울러식 방충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0220U KR0124087Y1 (ko) 1996-04-30 1996-04-30 로울러식 방충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8738U KR970058738U (ko) 1997-11-10
KR0124087Y1 true KR0124087Y1 (ko) 1998-10-15

Family

ID=19455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10220U KR0124087Y1 (ko) 1996-04-30 1996-04-30 로울러식 방충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408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1512B1 (ko) * 2007-03-26 2007-06-21 유재수 롤러형 방충망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1512B1 (ko) * 2007-03-26 2007-06-21 유재수 롤러형 방충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8738U (ko) 1997-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86212B1 (en) Screen device
US7472738B2 (en) Screen device
US4825921A (en) Blinds, screens, partitions and doors
EP0753642B1 (en) Screen apparatus
US4846249A (en) Window shade carrier and carrier assembly
US849604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ixing the length of a pull cord
AU701505B2 (en) A screening device for a wall opening
US5263594A (en) Curtain rod for slidably supporting a curtain around an intermediate corner, and intermediate junction element therefor
US3430678A (en) Traverse rod assembly
KR0124087Y1 (ko) 로울러식 방충망
US20030101653A1 (en) Shutter with louvers pivoted by slotted pivot bar extending along an end of the louvers
US5887636A (en) Venetian blind
US5103889A (en) Dual function window blind cord system
JP4174207B2 (ja) スクリーン装置
JP3965260B2 (ja) 可動框用平行移動機構を備えたスクリーン装置
JP3949410B2 (ja) スクリーン装置
IT201900002879A1 (it) Dispositivo di tensionamento per zanzariere e tende avvolgibili
KR100474246B1 (ko) 방충망장치용 안내레일
JPH0714626Y2 (ja) ロールスクリーン装置用ガイドレール
KR970021629A (ko) 커텐 겸 방충망을 구비한 슬라이딩 샤시창
JP2597314B2 (ja) 遮蔽装置
GB2031716A (en) Curtains
JP3143021B2 (ja) 網 戸
KR960007570Y1 (ko) 로울러식 방충망
JP2597315B2 (ja) 遮蔽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27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