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1175B1 - 고주파 회로 모듈 및 통신 장치 - Google Patents

고주파 회로 모듈 및 통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1175B1
KR100711175B1 KR1020000046552A KR20000046552A KR100711175B1 KR 100711175 B1 KR100711175 B1 KR 100711175B1 KR 1020000046552 A KR1020000046552 A KR 1020000046552A KR 20000046552 A KR20000046552 A KR 20000046552A KR 100711175 B1 KR100711175 B1 KR 1007111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electric substrate
transmission line
high frequency
layer
ground condu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6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30080A (ko
Inventor
하세에이찌
이마이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100300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00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11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11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3/00Waveguides; Transmission lin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3/02Waveguides; Transmission lines of the waveguide type with two longitudinal conductors
    • H01P3/08Microstrips; Strip lines
    • H01P3/088Stacked transmission li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3/00Details relating to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covered by the group H01L23/00
    • H01L2223/58Structural electrical arrangements for semiconductor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1L2223/64Impedance arrangements
    • H01L2223/66High-frequency adaptations
    • H01L2223/6661High-frequency adaptations for passive devices
    • H01L2223/6677High-frequency adaptations for passive devices for antenna, e.g. antenna included within housing of semiconductor devi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26Layer connectors, e.g. plate connectors, solder or adhesive laye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31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layer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32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layer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layer connector
    • H01L2224/321Disposition
    • H01L2224/32151Disposition the layer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 H01L2224/32221Disposition the layer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 H01L2224/32225Disposition the layer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non-metallic, e.g. insulating substrate with or without metallis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81Disposition
    • H01L2224/48151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 H01L2224/48221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 H01L2224/48225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non-metallic, e.g. insulating substrate with or without metallisation
    • H01L2224/48227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non-metallic, e.g. insulating substrate with or without metallisation connecting the wire to a bond pad of the it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73Means for bonding being of different types provided for in two or more of groups H01L2224/10, H01L2224/18, H01L2224/26, H01L2224/34, H01L2224/42, H01L2224/50, H01L2224/63, H01L2224/71
    • H01L2224/732Location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73251Location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n different surfaces
    • H01L2224/73265Layer and wire 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73Means for bonding being of different types provided for in two or more of groups H01L24/10, H01L24/18, H01L24/26, H01L24/34, H01L24/42, H01L24/50, H01L24/63, H01L24/71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30Technical effects
    • H01L2924/301Electrical effects
    • H01L2924/3011Imped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icrowave Amplifiers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보다 소형화가 가능한 고주파 회로 모듈 및 그것을 이용한 통신 장치를 제공한다.
2층이상의 유전체 기판을 이용하여, 입력측 정합 회로나 출력측 정합 회로의 전송선로와 접지 도체 사이의 유전체 기판의 두께를 2층 이상으로 한다.
유전체 기판 전체의 두께를 바꾸지 않고, 필요한 부분의 두께를 두껍게 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전송 손실을 저감시킬 수 있고, 또한 고주파 회로 모듈 및 이것을 이용한 통신 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유전체 기판, 반도체 소자, 정합 회로, 접지 도체, 고주파 회로 모듈

Description

고주파 회로 모듈 및 통신 장치{HIGH FREQUENCY CIRCUIT MODULE AND COMMUNICATION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고주파 회로 모듈의 분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고주파 회로 모듈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고주파 회로 모듈의 증폭기 전체로서의 등가 회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종래의 고주파 회로 모듈의 출력측 정합 회로의 손실을 계산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고주파 회로 모듈의 분해도 및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고주파 회로 모듈의 분해도 및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고주파 회로 모듈의 분해도 및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의 고주파 회로 모듈의 분해도 및 단면도.
도 9는 단층의 유전체 기판 상에 형성한 전송선로의 단면도.
도 10은 단층의 유전체 기판 상에 형성한 전송선로의 고주파 손실을, 유전체 기판의 두께를 바꿔 계산한 도면.
도 11은 단층의 유전체 기판 상에 형성한 전송선로의 고주파 손실을, 도체의 폭을 바꿔 계산한 도면.
도 12는 2층의 유전체 기판에 형성한 전송선로의 단면도.
도 13은 2층의 유전체 기판에 형성한 전송선로의 고주파 손실을, 유전체 기판의 두께를 바꿔 계산한 도면.
도 14는 2층의 유전체 기판에 형성한 전송선로의 고주파 손실을, 도체의 폭을 바꿔 계산한 도면.
도 15는 이동 무선 단말 고주파부의 블록 다이어그램.
도 16은 이동 무선 단말 고주파부의 부품 배치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유전체 기판
2 : 전송선로
3, 4, 5 : 칩 용량
6, 7 : 접지 도체
8 : 입력 단자
9 : 전송선로
10, 11, 12 : 칩 용량
13, 14 : 접지 도체
15 : 출력 단자
16 : 반도체 칩
17 : 유전체를 제거한 홀
18 : 유전체 기판
19 : 접지 도체
20, 21, 22, 23 : 관통 홀
24 : 유전체 기판
25 : 전송 선로
26 : 단자
27, 28 : 관통 홀
29 : 접지 도체
30 : 유전체 기판
31 : 전송선로
32 : 단자
33 : 접지 도체
34 : 이면의 접지 도체
35 : 접지 도체의 제거 부분
36, 37, 38, 39 : 접지 도체,
20, 121, 122, 123, 151, 152, l53, 154 : 관통 홀
본 발명은 고주파 회로 모듈 및 이것을 이용한 이동 무선 단말이나 휴대 전화 등의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 무선 단말이나 휴대 전화 등에 이용되는 고주파 회로 모듈에서는 탑재 성이나 통화 시간의 관점으로부터 장치의 소형화, 고전력 효율화가 중요한 과제로 되고 있다.
종래의 이동 무선 단말이나 휴대 전화 등의 통신 장치에 이용되는 고주파 회로 모듈로서, 단층 또는 다층의 유전체 기판을 이용한 것이 알려져 있다.
단층의 유전체 기판을 이용한 고주파 회로 모듈의 예로는, 1996년 전자 정보 통신 학회 통합 대회 C-86 「단층 알루미나 박막 기판을 이용한 800㎒대 아날로그, 디지털 공용 파워 앰프 모듈」에 도시되어 있다(이하, 제1 종래 기술이라고 함). 이 제1 종래 기술에서는, 분포 상수 소자를 구성하는 전송선로, 저항, 용량, 인덕터 등의 집중 상수 소자, 및 반도체 소자를 유전체 기판의 동일면 상에 형성하고, 입출력 정합 회로 및 전력 증폭기를 구성하고 있다. 고주파 신호는 유전체 기판의 표면에 설치한 고주파 신호 전극에 의해 외부와 접속하고 있다. 유전체 기판의 표면에 설치한 반도체 소자의 접지 전극과 이면의 접지 전극은 관통 홀을 통해 접속되어 있다.
또한, 다층(2층)의 유전체 기판을 이용한 고주파 회로 모듈의 예는, 1997년 전자 정보 통신 학회 일렉트로닉스 소사이어티 대회 C-2-14 「세라믹 기판을 이용한 1.9㎓대 RF 프론트 앤드 모듈」에 도시되어 있다(이하, 제2 종래 기술이라고 함). 이 제2 종래 기술에서는, 분포 상수 소자를 구성하는 전송선로, 저항, 용량, 인덕터 등의 집중 상수 소자에 따른 입출력 정합 회로, 및 반도체 소자를 유전체 기판의 동일면 상에 형성하고, 고주파 회로 모듈을 구성하고 있다. 유전체 기판의 1층째 표면에 설치한 고주파 신호 전극과 2층째 이면의 고주파 신호 전극은, 2층째 표면에 설치한 배선을 통해 관통 홀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유전체 기판의 1층째 표면에 설치한 반도체 소자의 접지 전극과 이면의 접지 전극은 관통 홀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유전체 기판층의 순서는 표면으로부터 이면을 향해 1층째, 2층째, 3층째………로 센다.
상기 제1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소형화, 고전력 효율화의 관계를 도 9, 도 10 및 도 11을 이용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도 9는, 단층의 유전체 기판 상에 형성한 전송선로의 일반적인 단면 개략도이다. 전송선로를 형성하는 표면의 도체(43), 유전체 기판(44), 이면의 접지 도체(45)로 구성되어 있다.
도 10은, 유전체 기판(44)의 비유전률을 8.1, 유전체 기판(44)의 두께를 0.1㎜∼3.0㎜까지 변화시켰을 때의 1.9㎓에서의 전송 손실의 계산치이다. 곡선(1, 2, 3)은, 전송선로를 형성하는 도체(43)의 폭이 각각 0.1㎜, 0.2㎜, 0.5㎜의 경우이다. 도 10으로부터 분명히 알 수 있듯이, 어느 한 도체(43)의 폭의 경우도, 유전체 기판(44)이 두꺼워짐에 따라 전송 손실은 낮아진다.
도 11은, 유전체 기판(44)의 비유전률을 8.1, 전송선로를 형성하는 도체(43)의 폭을 0.02㎜∼3.0㎜까지 변화시켰을 때의 1.9㎓에서의 전송 손실의 계산치이다. 곡선(1, 2, 3)은, 유전체 기판(44)의 두께가 각각 0.15㎜, 0.3㎜, 0.6㎜의 경우이다. 도 11로부터 분명히 알 수 있듯이, 모든 유전체 기판(44)의 두께의 경우도, 전송 손실은, 전송선로를 형성하는 도체(43)의 폭이 넓어짐에 따라서는 감소하고, 도체(43)의 폭이 0.3㎜∼0.7㎜의 범위에서 최소가 되고, 도체(43)의 폭이 더욱 넓어지면 전송 손실은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이상으로부터 분명히 알 수 있듯이, 전송 손실의 저감에는, 유전체 기판(44)이 두껍고, 도체(43)의 폭을 넓게 할 필요가 있어, 고주파 회로 모듈의 소형화에는 한계가 있다.
이어서, 상기 제2 종래 기술에서의 소형화, 고전력 효율화의 관계를 도 12, 도 13 및 도 14를 이용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도 12는, 2층의 유전체 기판 상에 형성한 전송선로의 일반적인 단면 개략도이다. 전송선로를 형성하는 도체(46), 유전체 기판(47), 이면의 접지 도체(48), 표면의 접지 도체(49)로 구성되어 있다.
도 13은, 유전체 기판(47)의 비유전률을 8.1, 유전체 기판(47)의 두께를 0.1㎜∼3.0㎜까지 변화시켰을 때의 1.9㎓에서의 전송 손실의 계산치이다. 곡선(1, 2, 3)은, 전송선로를 형성하는 도체(46)의 폭이 각각 0.1㎜, 0.2㎜, 0.5㎜ 경우이다. 도 13으로부터 분명히 알 수 있듯이, 모든 도체(46)의 폭의 경우도, 유전체 기판(47)이 두꺼워짐에 따라 전송 손실은 낮아진다.
도 14는, 유전체 기판(47)의 비유전률을 8.1, 전송선로를 형성하는 도체(46)의 폭을 0.02㎜∼3.0㎜까지 변화시켰을 때의 l.9㎓에서의 전송 손실의 계산치이다. 곡선(1, 2, 3)은, 유전체 기판(47)의 두께가 각각 0.15㎜, 0.3㎜, 0.6㎜의 경우이다. 도 14로부터 분명히 알 수 있듯이, 모든 유전체 기판(47)의 두께의 경우도, 전송선로를 형성하는 도체(46)의 폭이 넓어짐에 따라 전송 손실은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
이상으로부터 분명히 알 수 있듯이, 전송 손실의 저감에는, 유전체 기판(47)이 두껍고, 도체(46)의 폭을 넓게 할 필요가 있어, 고주파 회로 모듈의 소형화에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소형화가 가능한 고주파 회로 모듈 및 그것을 이용한 통신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은, 2층 이상의 유전체 기판을 이용하고, 입력 또는 출력측 정합 회로의 전송선로와 접지 도체 사이의 유전체 기판의 두께를 2층이상으로 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입력 또는 출력측 정합 회로의 전송선로와 접지 도체 사이의 연속한 유전체의 두께를 두껍게 하기 위해, 이들 사이에 존재하는 유전체 기판에 대해서는, 그것에 설치되는 접지 도체의 형상을, 전송선로에 대향하는 부분을 포함하도록 도려낸 형상으로 한다.
유전체 기판 전체의 두께를 바꾸지 않고, 필요한 부분의 두께를 두껍게 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전송 손실을 저감할 수 있고, 또한 고주파 회로 모듈 및 이것을 이용한 통신 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1은 제1 실시예의 고주파 회로 모듈의 분해도이다. 1층째의 유전체 기 판(1)의 표면에는, 전송선로(2)와 칩 용량(3, 4, 5)으로 이루어지는 입력측 정합 회로, 및 전송선로(9)와 칩 용량(10, 11, 12)으로 이루어지는 출력측 정합 회로를 형성한다. 칩 용량(3)은 입력 단자(8)에, 칩 용량(4)은 접지 단자(6)에, 칩 용량(5)은 접지 단자(7)에, 칩 용량(10)은 출력 단자(15)에, 칩 용량(11)은 접지 단자(13)에, 칩 용량(12)은 접지 단자(14)에 접속한다. 또한, 1층째의 유전체 기판(1)에는 이것을 관통하는 홀(17)을 설치한다. 이 홀(17)을 통해 반도체 칩(16)을 2층째의 유전체 기판(18) 상에 설치한 접지 도체(19)에 접착한다.
1층째 유전체 기판(1) 표면의 전송선로(2)는, 1층째의 유전체 기판(1)에 설치한 관통 홀(120) 및 2층째의 유전체 기판(18)에 설치한 관통 홀(20)을 통해 3층째의 유전체 기판(24) 표면에 설치한 전송선로(25)의 일단에 접속한다. 전송선로(25)의 타단은, 2층째의 유전체 기판(18)에 설치한 관통 홀(21) 및 1층째의 유전체 기판(1)에 설치한 관통 홀(121)을 통해 1층째의 유전체 기판(1) 표면에 설치한 단자(26)에 접속한다.
또한, 1층째 유전체 기판(1) 표면의 전송선로(9)는, 1층째의 유전체 기판(1)에 설치한 관통 홀(122), 2층째의 유전체 기판(18)에 설치한 관통 홀(22) 및 3층째의 유전체 기판(24)에 설치한 관통 홀(27)을 통해 4층째의 유전체 기판(30) 표면에 설치한 전송선로(31)의 일단에 접속한다. 전송선로(31)의 타단은, 3층째의 유전체 기판(24)에 설치한 관통 홀(28), 2층째의 유전체 기판(18)에 설치한 관통 홀(23) 및 1층간의 유전체 기판(1)에 설치한 관통 홀(123)을 통해 1층째의 유전체 기판(1) 표면에 설치한 단자(32)에 접속한다.
반도체 칩(16)은 1층째 유전체 기판(1) 표면의 전송선로(2, 9)에 본딩으로 접착한다. 반도체 칩(16)을 접착한 2층째 유전체 기판(18) 표면의 접지 도체(19)는, 2층째의 유전체 기판(18)에 설치한 관통 홀(151), 3층째의 유전체 기판(24)에 설치한 관통 홀(152), 4층째의 유전체 기판(30)에 설치한 관통 홀(153), 및 4층째의 유전체 기판(30)의 이면의 접지 도체(34)에 설치한 관통 홀(154)을 통해, 3층째의 유전체 기판(24) 표면에 설치한 접지 도체(29), 4층째의 유전체 기판(30) 표면에 설치한 접지 도체(33), 및 4층째의 유전체 기판(30)의 이면에 설치한 접지 도체(34)에 접속한다. 여기서, 관통 홀(151, 152, 153, 154)을 둘러싼 네모난 프레임선은 반도체 칩(16)의 설치 영역을 나타낸다.
1층째 유전체 기판(1) 표면의 출력측 정합 회로의 전송선로(9)에 대향하는 부분을 포함하도록, 2층째 유전체 기판(18) 표면의 접지 도체(19)의 일부분(35)을 제거한다. 접지 도체(19)는, 2층째, 3층째 및 4층째의 유전체 기판(18, 24, 30)의 주변부에 설치한 관통 홀(부호 없음) , 및 4층째의 유전체 기판(30) 이면에 설치한 접지 도체(34)의 주변부에 설치한 관통 홀(부호 없음)을 통해, 3층째의 유전체 기판(24) 표면에 설치한 접지 도체(29, 36, 37), 4층째의 유전체 기판(30) 표면에 설치한 접지 도체(33, 38, 39) 및 4층째의 유전체 기판(30) 이면에 설치한 접지 도체(34)에 접속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접지 도체는 구리로 형성해 두고, 관통 홀을 구리로 매립함에 따라 이들 사이를 접속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송선로(9)와 접지 도체(29)사이에는 1층째 유전체 기판(1)과 2층째 유전체 기판(18)이 연속하고, 양자간의 두께는, 1층간 유전체 기판(1)에 2층째 유전체 기판(18)의 두께가 더해진 것이 된다. 따라서, 전송선로(9)와 접지 도체(29)사이의 두께를, 1층째 유전체 기판(1), 혹은 2층째 유전체 기판(18) 단독의 두께보다 두껍게 할 수 있고, 전송 손실을 작게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고주파 신호를 취급하는 단자(8, 15)와, 반도체 칩(16)에 전압을 인가하는 단자(26, 32)를 1층째의 유전체 기판(1) 표면에 설치하고 있지만, 예를 들면 고주파 신호를 취급하는 단자를 1층째의 유전체 기판(1) 표면에, 반도체 칩(16)에 전압을 인가하는 단자를 4층째의 유전체 기판(30) 이면에 설치해도 좋다. 또한, 고주파 신호를 취급하는 단자와, 반도체 칩(16)에 전압을 인가하는 단자를 4층째의 유전체 기판(30)의 이면에 설치해도 좋다. 또한, 단자의 수도 특별히 한정할 만한 것은 아니다.
도 2는, 도 1을 조립한 경우의 A-B부의 단면도이다. 2층째의 유전체 기판(18) 표면의 접지 도체(19)의 일부를 제거한 부분(35)을 설치함에 따라, 이 부분의 유전체 기판의 두께를, 1층간의 유전체 기판(1), 2층째의 유전체 기판(18), 3층째의 유전체 기판(24), 4층째의 유전체 기판(30)보다 두껍게 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고주파 회로 모듈의 1단 증폭기의 등가 회로이다. 전송선로(2)와 칩 용량(3, 4, 5), 본딩 와이어를 포함하는 반도체 칩(16)에 전원 전압을 인가하는 선로(25), 전원 전압 단자(26), 입출력 단자(8)로 이루어지는 입력측 정합 회로, 전송선로(9)와 칩 용량(10, 11, 12), 본딩 와이어를 포함하는 반도체 칩(16)에 전원 전압을 인가하는 선로(31), 전원 전압 단자(32), 출력 단자(15)로 이루어지는 출력측 정합 회로로 이루어진다. 전송선로(2)는, 전송선로(2a), 전송선로(2b), 전송선로(2c)로 이루어지고, 전송선로(9)는, 전송선로(9a), 전송선로(9b), 전송선로(9c)로 이루어진다.
도 4는, 도 3에서의 출력측 정합 회로의 등가 회로를,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층의 유전체 기판(44)으로 구성하고, 본딩 와이어를 포함하는 반도체 칩(16)의 출력 임피던스를 1∼100Ω, 부하 임피던스를 50Ω, 유전체 기판(44)의 비유전률을 8.1, 유전체 기판(44) 상에 형성한 전송선로(9)의 폭을 0.3㎜, 유전체 기판(44)의 유전정접 tanδ을 0.017로 하고 1.9㎓에서 정합하도록 전송선로(9a), 전송선로(9b), 전송선로(9c)의 길이와 칩 용량(10, 11, 12)의 값을 최적화한 경우의 정합 회로 손실을 나타낸다. 도 4에서, 곡선(1, 2, 3)은, 각각 유전체 기판(44)의 두께가 0.15㎜, 0.3㎜, 0.6㎜의 경우의 계산치이다. 도 4로부터 분명히 알 수 있듯이, 전송선로(9)를 형성하는 유전체 기판(44)이 두꺼워짐에 따라 정합 회로 손실은 낮아지는 경향에 있다. 예를 들면, 본딩 와이어를 포함하는 반도체 칩(16)의 출력 임피던스가 10Ω일 때, 유전체 기판(44)의 두께가 0.15㎜의 정합 회로 손실은 0.16㏈이지만, 유전체 기판(44)의 두께가 0.3㎜가 되면 0.13㏈, 0.6㎜이 되면 0.1dB로 저감된다.
제2 실시예
도 5(a)는 제2 실시예의 고주파 회로 모듈의 분해도, 도 5(b)는 도 5(a)를 조립한 경우의 A-B부의 단면도이다. 1층째의 유전체 기판(1) 상에, 전송선로(2)와 칩 용량(3, 4, 5)으로 이루어지는 입력측 정합 회로를 형성하고, 칩 용량(3)은 입 력 단자(8)에 접속하고, 칩 용량(4)은 접지 단자(6)에 접속하고, 칩 용량(5)은 접지 단자(7)에 접속한다. 입력 단자(8)는 2층째의 유전체 기판(18)에 설치한 관통 홀(8a), 3층째의 유전체 기판(24)에 설치한 관통 홀(8b)에 의해 3층째의 유전체 기판(24)의 이면에 형성한 접지 도체를 제거하여 설치한 단자(8c)에 접속된다. 또한, 전송선로(9)와 칩 용량(10, 11, 12)으로 이루어지는 출력측 정합 회로를 형성하고, 칩 용량(10)은 출력 단자(15)에 접속하고, 칩 용량(11)은 접지 단자(13)에 접속하고, 칩 용량(12)은 접지 단자(14)에 접속한다. 출력 단자(9)는 2층째의 유전체 기판(18)에 설치한 관통 홀(15a), 3층째의 유전체 기판(24)에 설치한 관통 홀(15b)에 의해 3층째의 유전체 기판(24)의 이면에 형성한 접지 도체를 제거하여 설치한 단자(15c)에 접속된다.
1층째의 유전체 기판(1)에는, 반도체 칩(16)을 2층째의 유전체 기판(18) 표면에 설치한 접지 도체(19)에 접착하기 때문에, 유전체를 제거하여 이것을 관통하는 홀(17)을 설치한다. 1층째의 유전체 기판(1) 표면에 설치한 전송선로(2)는 단자(26)에 접속한다. 또한, 1층째의 유전체 기판(1) 표면에 설치한 전송선로(9)는 단자(32)에 접속한다.
반도체 칩(16)은 1층째의 유전체 기판(1) 표면에 설치한 전송선로(2, 9)에 본딩으로 접착한다. 반도체 칩(16)을 접착한 2층째의 유전체 기판(18) 표면에 형성한 접지 도체(19)는, 반도체 칩(16)의 접착부의 관통 홀에 의해 3층간의 유전체 기판(24) 표면에 설치한 접지 도체(29), 3층째의 유전체 기판(24)의 이면에 형성한 접지 도체(34)에 접속한다.
1층째의 유전체 기판(1) 표면에 형성한 출력측 정합 회로의 전송선로(9)에 대향하는 부분을 포함하도록, 2층째의 유전체 기판(18) 표면에 형성한 접지 도체(19)의 일부분(35)을 제거한다. 접지 도체(19)는, 유전체 기판 주변부의 관통 홀에 의해 3층째의 유전체 기판(24)의 표면과 이면에 형성한 접지 도체(29, 34)에 접속한다.
제3 실시예
도 6(a)은 제2 실시예의 고주파 회로 모듈의 분해도, 도 6(b)은 도 6(a)을 조립한 경우의 A-B부의 단면도이다. 1층째의 유전체 기판(1) 표면에, 전송선로(2)와 칩 용량(3, 4, 5)으로 이루어지는 입력측 정합 회로를 형성하고, 칩 용량(3)은 입력 단자(8)에, 칩 용량(4)은 접지 단자(6)에, 칩 용량(5)은 접지 단자(7)에 접속한다. 입력 단자(8)는 2층째의 유전체 기판(18)에 설치한 관통 홀(8a), 3층째의 유전체 기판(24)에 설치한 관통 홀(8b)에 의해 3층째의 유전체 기판(24)의 이면에 형성한 접지 도체를 제거하여 설치한 단자(8c)에 접속한다. 또한, 전송선로(9)와 칩 용량(10, 11, 12)으로 이루어지는 출력측 정합 회로를 형성하고, 칩 용량(10)은 출력 단자(15)에, 칩 용량(11)은 접지 단자(13)에, 칩 용량(12)은 접지 단자(14)에 접속한다. 출력 단자(9)는 2층째의 유전체 기판(18)에 설치한 관통 홀(15a), 3층째의 유전체 기판(24)에 설치한 관통 홀(15b)에 의해 3층째의 유전체 기판(24)의 이면에 형성한 접지 도체(34)를 제거하여 설치한 단자(15c)에 접속한다.
1층째의 유전체 기판(1)에는, 반도체 칩(16)을 2층째의 유전체 기판(18) 표 면에 설치한 접지 도체(19)에 접착하기 위해, 유전체를 제거하여 이것을 관통하는 홀(17)을 설치한다. 1층째의 유전체 기판(1) 상에 설치한 전송선로(2)는 단자(26)에 접속한다. 또한, 1층째의 유전체 기판(1) 표면에 설치한 전송선로(9)는 단자(32)에 접속한다.
반도체 칩(16)은 1층째의 유전체 기판(1) 표면에 설치한 전송선로(2, 9)에 본딩으로 접착한다. 반도체 칩(16)을 접착한 2층째의 유전체 기판(18) 표면에 형성한 접지 도체(19)는, 반도체 칩(16)의 접착부의 관통 홀에 의해 3층째의 유전체 기판(24) 표면 및 이면에 설치한 접지 도체(29, 34)에 접속한다.
1층째의 유전체 기판(1) 표면의 출력측 정합 회로의 전송선로(9)에 대향하는 부분을 포함하도록, 2층째의 유전체 기판(18) 표면의 접지 도체(19)의 일부분(35)을 제거한다. 또한, 3층째의 유전체 기판(24) 표면의 접지 도체(29)의 일부분(40)을, 전송선로(9)에 대향하는 부분을 포함하도록 제거한다. 접지 도체(19, 29)는, 유전체 기판 주변부의 관통 홀에 의해 상호 접속하고, 또한 3층째의 유전체 기판(24)의 이면에 형성한 접지 도체(34)에 접속한다.
제4 실시예
도 7의 a는 제4 실시예의 고주파 회로 모듈의 분해도, 도 7의 b는 도 7의 a를 조립한 경우의 A-B부의 단면도이다. 1층째의 유전체 기판(1) 표면에, 전송선로(2)와 칩 용량(3, 4, 5)으로 이루어지는 입력측 정합 회로를 형성하고, 칩 용량(3)은 입력 단자(8)에, 칩 용량(4)은 접지 단자(6)에, 칩 용량(5)은 접지 단자(7)에 접속한다. 입력 단자(8)는 2층째의 유전체 기판(18)에 설치한 관통 홀(8a), 3층째의 유전체 기판(24)에 설치한 관통 홀(8b)에 의해 3층간의 유전체 기판(24) 이면에 형성한 접지 도체를 제거하여 설치한 단자(8c)에 접속한다. 또한, 전송선로(9)와 칩 용량(10, 11, 12)으로 이루어지는 출력측 정합 회로를 형성하고, 칩 용량(10)은 출력 단자(15)에, 칩 용량(11)은 접지 단자(13)에, 칩 용량(12)은 접지 단자(14)에 접속한다. 출력 단자(9)는 2층째의 유전체 기판(18)에 설치한 관통 홀(15a), 3층째의 유전체 기판(24)에 설치한 관통 홀(15b)에 의해 3층째의 유전체 기판(24) 이면에 형성한 접지 도체를 제거하여 설치한 단자(15c)에 접속한다.
1층째의 유전체 기판(1)에는, 반도체 칩(16)을 2층의 유전체 기판(18) 표면에 설치한 접지 도체(19)에 접착하기 위해, 유전체를 제거하여 이것을 관통하는 홀(17)을 설치한다. 1층째의 유전체 기판(1) 표면에 설치한 전송선로(2)는 단자(26)에 접속한다. 또한, 1층째의 유전체 기판(1) 표면에 설치한 전송선로(9)는 단자(32)에 접속한다.
반도체 칩(16)은 1층째의 유전체 기판(1) 표면에 설치한 전송선로(2, 9)에 본딩으로 접착한다. 반도체 칩(16)을 접착한 2층째의 유전체 기판(18) 표면에 형성한 접지 도체(19)는, 반도체 칩(16)의 접착부의 관통 홀에 의해 3층째의 유전체 기판(24)의 표면 및 이면에 설치한 접지 도체(29, 34)에 접속한다.
1층째의 유전체 기판(1) 표면의 입력측 정합 회로의 전송선로(2)에 대향하는 부분을 포함하도록, 2층째의 유전체 기판(18) 표면의 접지 도체(19)의 일부분(41)을 제거한다. 또한, 출력측 정합 회로의 전송선로(9)에 대향하는 부분을 포함하도록, 2층째의 유전체 기판(18) 표면의 접지 도체(19)의 일부분(35)을 제거한다. 제거 부분은, 1층째의 유전체 기판(1), 2층째의 유전체 기판(18), 3층째의 유전체 기판(24)보다 유전체 기판을 두껍게 할 수 있다. 접지 도체(19)는, 유전체 기판 주변부의 관통 홀에 의해 3층째의 유전체 기판(24)의 표면 및 이면에 형성한 접지 도체(29, 34)에 접속한다.
제5 실시예
도 8의 a는 제5 실시예의 고주파 회로 모듈의 분해도, 도 8의 b는 도 8의 a를 조립한 경우의 A-B부의 단면도이다. 1층째의 유전체 기판(1) 표면에, 전송선로(2)와 칩 용량(3, 4, 5)으로 이루어지는 입력측 정합 회로를 형성하고, 칩 용량(3)은 입력 단자(8)에, 칩 용량(4)은 접지 단자(6)에, 칩 용량(5)은 접지 단자(7)에 접속한다. 입력 단자(8)는 2층째의 유전체 기판(18)에 설치한 관통 홀(8a)에 의해 2층째의 유전체 기판(18) 이면에 형성한 접지 도체를 제거하여 설치한 단자(8c)에 접속한다. 또한, 전송선로(9)와 칩 용량(10, l1, 12)으로 이루어지는 출력측 정합 회로를 형성하고, 칩 용량(10)은 출력 단자(15)에, 칩 용량(11)은 접지 단자(13)에, 칩 용량(12)은 접지 단자(14)에 접속한다. 출력 단자(9)는 2층째(11)의 유전체 기판(18)에 설치한 관통 홀(15a)에 의해 2층째의 유전체 기판(18)의 이면에 형성한 접지 도체를 제거하여 설치한 단자(15c)에 접속한다.
1층째의 유전체 기판(1)에는, 반도체 칩(16)을 2층째의 유전체 기판(18) 표면에 설치한 접지 도체(19)에 접착하기 때문에, 유전체를 제거하여 이것을 관통하는 홀(17)을 설치한다. 1층째의 유전체 기판(1) 표면에 설치한 전송선로(2)는 단자(26)에 접속한다. 또한, 1층째의 유전체 기판(1) 표면에 설치한 전송선로(9)는 단자(32)에 접속한다.
반도체 칩(16)은 1층째의 유전체 기판(1) 표면에 설치한 전송선로(2, 9)에 본딩으로 접착한다. 반도체 칩(16)을 접착한 2층째의 유전체 기판(18) 표면에 형성한 접지 도체(19)는, 반도체 칩(16)의 접착제의 관통 홀에 의해 2층째의 유전체 기판(18)의 이면에 설치한 접지 도체(29)에 접속한다.
1층째의 유전체 기판(1) 표면의 출력측 정합 회로의 전송선로(9)에 대향하는 부분을 포함하도록, 2층째의 유전체 기판(18) 표면의 접지 도체(19)의 일부분(35) 제거한다. 제거 부분은, 1층째의 유전체 기판(1), 2층째의 유전체 기판(18)보다 유전체 기판을 두껍게 할 수 있다. 접지 도체(19)는, 유전체 기판 주변부의 관통 홀에 의해 제2층째의 유전체 기판(18)의 이면에 형성한 접지 도체(29)에 접속한다.
실시예 6
도 15는, 본 발명의 통신 장치의 일 실시예인 이동 무선 단말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한 이동 무선 단말 고주파부의 부품 배치도이다. 송신측의 신호는, 부호(108)의 변조기, 참조 번호(107)의 버스트 스위치, 참조 번호(106)의 구동 증폭기, 참조 번호(105)의 필터, 참조 번호(104)의 전력 증폭기, 참조 번호(103)의 듀플렉서를 경유하여 참조 번호(102)의 안테나(2)로부터 출력된다. 수신측의 신호는, 부호(101)의 안테나(1, 109)의 저잡음 증폭기, 참조 번호(105)의 필터, 참조 번호(110)의 주파수 변환기, 참조 번호(111)의 중간 주파 증폭기를 경유한 경우와, 신호(102)의 안테나(2, 109)의 저잡음 증폭기, 참조 번호(105)의 필터, 참조 번호(110)의 주파수 변환기, 참조 번호(111)의 중간 주파 증폭기를 경유한 경우를 비교하여, 참조 번호(113)의 복조 유닛으로 처리되고 참조 번호(114)의 베이스 대역유닛에 도달하는 다이버시 방식이다. 참조 번호(112)는 주파수 합성기이다.
전력 증폭기(104), 저잡음 증폭기(109)에 상기 제1 실시예 내지 제5 실시예에 기재된 고주파 회로 모듈을 이용한다. 전력 증폭기(104)로서는, 출력측 정합 회로의 전송선로와 접지 도체 사이의 유전체 기판의 두께를 2층이상으로 한 고주파 회로 모듈 외에, 입력측 정합 회로의 전송선로와 접지 도체 사이의 유전체 기판의 두께도 2층 이상으로 한 고주파 회로 모듈을 이용한다.
저잡음 증폭기(109)로서는, 입력측 정합 회로의 전송선로와 접지 도체 사이의 유전체 기판의 두께를 2층이상으로 한 고주파 회로 모듈 외에, 출력측 정합 회로의 전송선로와 접지 도체간의 유전체 기판의 두께도 2층 이상으로 한 고주파 회로 모듈을 이용한다.
이들 고주파 회로 모듈을 이용함으로써 이동 무선 단말을 소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전체 기판 전체의 두께를 바꾸지 않고, 필요한 부분의 두께를 두껍게 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전송 손실을 저감할 수 있고, 또한 고주파 회로 모듈 및 이것을 이용한 통신 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Claims (10)

  1. 2층 이상의 유전체 기판과, 그 유전체 기판 상에 형성된, 반도체 소자, 그 반도체 소자의 입력측 정합 회로 및 출력측 정합 회로, 및 접지 도체를 포함하는 고주파 회로 모듈로서,
    상기 출력측 정합 회로의 전송선로와 상기 접지 도체 사이에 존재하는 유전체 기판에 설치된 접지 도체의 형상은, 상기 전송선로에 대향하는 부분을 포함하고, 그 전송선로에 대향한 영역보다도 충분히 넓게 도려내어진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회로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측 정합 회로의 전송선로와 상기 접지 도체 사이에 존재하는 유전체 기판에 설치된 접지 도체의 형상은, 상기 입력측 정합 회로의 전송선로에 대향하는 부분을 포함하고, 그 전송선로에 대향한 영역보다도 충분히 넓게 도려내어진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회로 모듈.
  3. 2층 이상의 유전체 기판과, 그 유전체 기판 상에 형성된, 반도체 소자, 그 반도체 소자의 입력측 정합 회로 및 출력측 정합 회로, 및 접지 도체를 포함하는 고주파 회로 모듈로서,
    상기 입력측 정합 회로의 전송선로와 상기 접지 도체 사이에 존재하는 유전체 기판에 설치된 접지 도체의 형상은, 상기 전송선로에 대향하는 부분을 포함하고, 그 전송선로에 대향한 영역보다도 충분히 넓게 도려내어진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회로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측 정합 회로의 전송선로와 상기 접지 도체 사이에 존재하는 유전체 기판에 설치된 접지 도체의 형상은, 상기 출력측 정합 회로의 전송선로에 대향하는 부분을 포함하고, 그 전송선로에 대향한 영역보다도 충분히 넓게 도려내어진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회로 모듈.
  5. 제1항에 기재된 고주파 회로 모듈을 송신측의 전력 증폭기로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6. 제2항에 기재된 고주파 회로 모듈을 송신측의 전력 증폭기로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7. 제3항에 기재된 고주파 회로 모듈을 수신측의 저잡음 증폭기로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8. 제4항에 기재된 고주파 회로 모듈을 수신측의 저잡음 증폭기로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9. 삭제
  10. 삭제
KR1020000046552A 1999-09-29 2000-08-11 고주파 회로 모듈 및 통신 장치 KR1007111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7573099A JP3976297B2 (ja) 1999-09-29 1999-09-29 高周波回路モジュールおよび通信装置
JP1999-275730 1999-09-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0080A KR20010030080A (ko) 2001-04-16
KR100711175B1 true KR100711175B1 (ko) 2007-04-27

Family

ID=17559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6552A KR100711175B1 (ko) 1999-09-29 2000-08-11 고주파 회로 모듈 및 통신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753604B1 (ko)
EP (1) EP1089375B1 (ko)
JP (1) JP3976297B2 (ko)
KR (1) KR100711175B1 (ko)
DE (1) DE60038854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41416B2 (ja) 2001-04-26 2007-07-04 ソニー株式会社 高周波モジュール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FR2824986B1 (fr) * 2001-05-18 2003-10-31 St Microelectronics Sa Composant electronique permettant le decodage d'un canal de transmission radiofrequence vehiculant des informations numeriques codees, en particulier pour la telediffusion numerique par satellite
US6985712B2 (en) * 2001-08-27 2006-01-1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RF device and communica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DE10224221A1 (de) * 2002-05-31 2003-12-11 Siemens Ag Elektrische Vorrichtung
JP3960277B2 (ja) 2002-10-23 2007-08-15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高周波モジュールおよび通信装置
US7373171B2 (en) * 2003-02-14 2008-05-13 Tdk Corporation Front end module
JP2004266673A (ja) * 2003-03-03 2004-09-24 Mitsubishi Electric Corp 高周波電力増幅器
KR100608289B1 (ko) * 2004-10-01 2006-08-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프론트 엔드 모듈
TWI470752B (zh) * 2011-12-09 2015-01-21 Univ Nat Taipei Technology 應用於電子元件之電容式連接結構
JP5117632B1 (ja) 2012-08-21 2013-01-16 太陽誘電株式会社 高周波回路モジュール
JP5285806B1 (ja) * 2012-08-21 2013-09-11 太陽誘電株式会社 高周波回路モジュール
US9871501B2 (en) 2015-06-22 2018-01-16 Nxp Usa, Inc. RF circuit with multiple-definition RF substrate and conductive material void under a bias line
CN113466733A (zh) * 2020-03-30 2021-10-0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源性能测试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4725642B (zh) * 2022-03-16 2023-09-19 天津大学 针对介质集成悬置线和金属-介质集成悬置线有源器件的封装结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3163A (ja) * 1996-06-25 1998-01-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高周波電力増幅器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3392B2 (ja) * 1986-10-25 1995-10-09 新光電気工業株式会社 超高周波素子用パツケ−ジ
JPH04142801A (ja) * 1990-10-03 1992-05-15 Mitsubishi Electric Corp マイクロ波用パッケージ
JPH04322502A (ja) * 1991-04-22 1992-11-12 Fukushima Nippon Denki Kk 分布定数型整合回路
EP0563873B1 (en) * 1992-04-03 1998-06-0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High frequency ceramic multi-layer substrate
US5510758A (en) * 1993-04-07 1996-04-2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ultilayer microstrip wiring board with a semiconductor device mounted thereon via bumps
JPH07226607A (ja) * 1994-02-10 1995-08-22 Hitachi Ltd 分波器、分波器モジュールおよび無線通信装置
JPH10135749A (ja) * 1996-10-29 1998-05-22 Nec Corp 高周波帯増幅器
JP3538045B2 (ja) * 1998-12-09 2004-06-14 三菱電機株式会社 Rf回路モジュール
JP2000209006A (ja) * 1999-01-14 2000-07-28 Hitachi Ltd 高周波回路モジュ―ルおよび携帯通信機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3163A (ja) * 1996-06-25 1998-01-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高周波電力増幅器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공개특허공보 평10-013163호(1998.01.1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0080A (ko) 2001-04-16
DE60038854D1 (de) 2008-06-26
EP1089375B1 (en) 2008-05-14
EP1089375A3 (en) 2002-12-11
EP1089375A2 (en) 2001-04-04
JP2001102511A (ja) 2001-04-13
JP3976297B2 (ja) 2007-09-12
US6753604B1 (en) 2004-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24233B1 (en) Complex electronic component with a first multilayer filter having a cavity in which a second filter is mounted
US6683512B2 (en) High frequency module having a laminate board with a plurality of dielectric layers
US6456172B1 (en) Multilayered ceramic RF device
US5561406A (en) Duplexer package
JP3139327B2 (ja) 高周波複合部品
US7978031B2 (en) High frequency module provided with power amplifier
US5786738A (en) Surface acoustic wave filter duplexer comprising a multi-layer package and phase matching patterns
US6424223B1 (en) MMIC power amplifier with wirebond output matching circuit
KR100711175B1 (ko) 고주파 회로 모듈 및 통신 장치
EP0949754B1 (en) High-frequency power amplifier circuit and high-frequency power amplifier module
CN100397782C (zh) 双工器和使用此双工器的电子设备
EP1094538A2 (en) Multilayered ceramic RF device
US8170629B2 (en) Filter having impedance matching circuits
WO1998019339A1 (en) Integrated electronic circuit
WO1998019339A9 (en) Integrated electronic circuit
JP3525408B2 (ja) 分波器パッケージ
US7183878B2 (en) Surface acoustic wave filter
JP2000209006A (ja) 高周波回路モジュ―ルおよび携帯通信機器
JP2001267466A (ja) 電力増幅モジュール
JP4399755B2 (ja) 高周波スイッチモジュール
JPH10190307A (ja) 高周波モジュール
JP2002176337A (ja) Sawデュプレクサ
JP2000209120A (ja) 高周波複合部品及びそれを用いた無線機器
JP2003068927A (ja) 電力増幅モジュール及び電力増幅モジュール用誘電体基板
JP2000114813A (ja) 誘電体フィル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