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9547B1 - 플렉시블 기판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플렉시블 기판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9547B1
KR100709547B1 KR1020017007783A KR20017007783A KR100709547B1 KR 100709547 B1 KR100709547 B1 KR 100709547B1 KR 1020017007783 A KR1020017007783 A KR 1020017007783A KR 20017007783 A KR20017007783 A KR 20017007783A KR 100709547 B1 KR100709547 B1 KR 1007095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piece
branch
flexible board
cove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7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93201A (ko
Inventor
미우라카즈토
Original Assignee
니혼 앗사쿠단시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앗사쿠단시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앗사쿠단시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93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32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95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95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8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rotating or pivoting connector housing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83Linear camming means or pivoting lever for connectors for flexible or rigid printed circuit boards, flat or ribbon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플렉시블 기판용 커넥터(1)는 개구부를 보유하는 하우징(4)과, 소정의 회전이동 축선의 둘레로 회전이동하여 개구부를 개폐하는 덮개부재(7)를 보유한다. 포오크형상 접촉자(23)의 탄성편부(35)의 자유단(38)은, 서로 분기하는 제 1 및 제 2의 분기편(39, 41)을 보유한다. 제 2의 분기편(41)은 삽입공간(3)에 삽입되는 플렉시블 기판(2)에 접촉하는 접점을 포함한다. 덮개부재(7)의 한끝 가장자리에, 제 1 및 제 2의 분기편(39, 41)의 사이에 배치되는 규제부(55)를 설치한다. 규제부(55)가 탄성편부(35)의 자유단(38)의 쌍방향의 변위를 소정의 범위 내로 규제한다.

Description

플렉시블 기판용 커넥터{CONNECTOR FOR FLEXIBLE BOARD}
본 발명은 FPC(FLEXIBLEㆍPRINTEDㆍCIRCUIT)라 불리우는 플렉시블 기판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인쇄회로판의 회로를 커넥터의 접촉자에 곧바로 연결하는 기술이 제공되고 있다. 통상, 이러한 종류의 커넥터는, 상방에 개방하는 개구부를 보유하는 합성수지제 하우징과, 이 하우징의 개구부에 면하도록 배열되는 복수의 포오크형상 접촉자와,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를 회전이동에 의해 개폐할 수 있는 합성수지제 덮개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포오크형상 접촉자는, 그 고정편부 및 탄성편부를 상하로 대향시키고 있다.
또한, 이러한 종류의 커넥터에서는, 덮개부재를 개방하여 플렉시블 기판으로서의 예컨대 FPC를 삽입이탈할 때에, FPC용 삽입공간을 넓게 확보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FPC를 무구속상태로 하여 무 삽입력으로 삽입하거나 무 이탈력으로 뽑아낼수 있게 하여, 삽입이탈 시에 FPC가 손상되지 않게 하고 있다.
무구속으로 FPC를 삽입이탈하는 커넥터로서, 하접점 타입의 커넥터가 각종 제공되고 있다. 하접점 타입의 커넥터에서는, 하측으로 되는 탄성편부에만 접점을 설치하고, 탄성편부 상에 배치된 FPC와 상측으로 되는 고정편부의 사이에, 폐쇄상 태의 덮개부재의 한끝 가장자리를 끼우고, 상기 한끝 가장자리에 의해서, FPC를 탄성편부에 가압한다.
한편, FPC와의 접속에 관해서 자유도의 증가를 위해서, 상측으로 되는 탄성편부에만 접점을 설치하는 상접점 타입의 커넥터도 요망되고 있다.
다른 한편, 다도체 평케이블로부터 피박된 도체끝부를 상하 양접점에서 접속하는 타입의 커넥터로서, 예컨대, 일본 특허청 발행의 하기 공보가 있다.
출원국 : 일본
공개번호 : 특개평1-315976호
공개일 : 1989년 12월 20일
상기 공보의 커넥터는, 탄성편부의 앞끝으로부터 연장되어 폐쇄상태의 덮개부재의 한끝 가장자리의 상방으로 연장하는 레버암을 보유하고 있다. 덮개부재를 개방한 상태에서 덮개부재의 한끝 가장자리가 레버암을 눌러올림으로써, 양 접점 간격이 넓게 되고, 그 결과 FPC의 삽입이탈을 용이하게 하고 있다. 덮개부재의 개방 시에 덮개부재의 한끝 가장자리가 레버암의 탄성반발력을 받음으로써, 덮개부재의 개방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공보의 커넥터는, 탄성편부의 상방으로의 변위가 규제되고 있지 않으므로, 탄성편부가 어떠한 외력을 받아서 상방을 눌러올려졌을 때에 소성변형되고, 이후, FPC에 대해서 충분한 접촉압력이 얻어지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접촉자의 과도한 변형을 방지함으로써 충분한 접촉압력을 확보할 수 있는 상접점 타입의 플렉시블 기판용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는, 개구부를 보유하는 합성수지제 하우징과, 상기 개구부에 면하도록 배열되고, 또한 각각 서로 대향하는 탄성편부 및 고정편부를 보유하는 복수의 포오크형상 접촉자와, 상기 탄성편부와 고정편부의 사이에 구획되는 플렉시블 기판용 삽입공간과, 소정의 회전이동 축선의 둘레로 회전이동하여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합성수지제의 덮개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복수의 포오크형상 접촉자는, 탄성편부의 자유단에 서로 분기하는 제 1 및 제 2의 분기편을 포함하는 포오크형상 접촉자를 포함한다. 상기 제 2의 분기편은 상기 삽입공간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 2의 분기편은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되는 플렉시블 기판에 압압 접촉하는 접점을 포함한다. 덮개부재의 한끝 가장자리는, 제 1 및 제 2의 분기편의 사이에 배치되어서 탄성편부의 자유단의 변위의 범위를 규제하는 규제부를 포함한다.
본 형태에서는, 제 1 및 제 2의 분기편의 사이에 배치되는 덮개부재의 한끝 가장자리의 규제부에 의해서, 탄성편부의 자유단의 변위의 범위를 쌍방향으로 규제할 수 있으므로, 접촉자의 과도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소위 상접점 타입에 있어서, 플렉시블 기판에 대한 충분한 접촉압력을 항상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접촉자의 과도한 변형에 기인하는 접촉자나 플렉시블 기판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규제부가, 덮개부재의 개방동작에 따라서 상기 삽입공간을 확대 하도록 제 1의 분기편을 눌러서 변위시키는 캠면을 포함하고 있으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덮개부재의 개방시에, 플렉시블 기판을 위한 넓은 삽입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캠면은 덮개부재의 폐쇄동작에 따라서 제 1의 분기편으로부터 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덮개부재의 폐쇄상태에서 캠면에 의한 제 1의 분기편의 변위가 해소되는 것이므로, 탄성편부의 탄성을 작용시켜서 플렉시블 기판에 대한 충분한 접촉압력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1실시형태의 플렉시블 기판용 커넥터와 플렉시블 기판으로서의 FPC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덮개부재를 폐쇄시킨 상태의 커넥터의 일부 절결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III-III선에 따르는 단면도에 있어서 덮개부재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단 보강탭에 관해서는 단면을 표시하는 해칭을 생략하고 있다.
도 4는, 도 2의 IV-IV선에 따르는 단면도이다. 단 제 1의 접촉자에 관해서는 단면을 나타내는 해칭을 생략하고 있다.
도 5A는 도 2의 V-V선에 따르는 단면도이고, 도 5B는 그 요부확대도이다. 단 제 2의 접촉자에 관해서는 단면을 표시하는 해칭을 생략하고 있다.
도 6은, 덮개부재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는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덮개부재의 일부 절결 단면도이다.
도 8은, FPC의 단부의 상면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A는, 덮개부재를 개방한 상태의, 도 5A에 대응하는 커넥터의 단면도이고, 도 9B는, 그 요부확대도이다. 단 제 2의 접촉자에 관해서는 단면을 표시하는 해칭을 생략하고 있다.
도 10은, FPC를 접속한 상태의 도 5A에 대응하는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단, 제 2의 접촉자에 관해서는 단면을 표시하는 해칭을 생략하고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플렉시블 기판용 커넥터(1)(이하에서는, 단 커넥터(1)라고도 함)는 전방으로부터 플렉시블 기판(2)(이하에서는, 단 FPC(2)라고도함)이 삽입이탈되는 삽입공간(3)을 구획하는 합성수지제 하우징(4)을 구비하고 있다. 이 하우징(4)의 전반부는, 하우징(4)의 상판부(5)의 개구부(6)를 통해서 상방으로 향하고 개방되어 있고, 이 개구부(6)를 회전이동 축선(A1)의 둘레로 회전이동시킴으로써 개폐하는 합성수지 성형품으로 이루어지는 덮개부재(7)가 설치되어 있다.
FPC(2)의 상면(2a)의 단부에는, 도 8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쇄회로 패턴에 의해서 형성된 각 복수의 제 1 및 제 2의 도전접속부(17, 18)가 노출되어 있다. 이들 제 1 및 제 2의 도전접속부(17, 18)는, 교대로의 지그재그형상의 2열로 배열되어 있고, 각각 커넥터(1)의 제 1 및 제 2의 접촉자(22, 23)에 접속된다. 17a, 18a는 제 1 및 제 2의 도전접속부(17, 18)가 대응하는 접촉자(22, 23)의 접점과 압압을 두는 라인이다.
덮개부재(7)의 양단부에는 회전이동 지지축(A)이 노출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이동 지지축(A)은 덮개부재(7)에 매설된 금속제 와이어(45)의 양단부로 구성되어 있다. 51도 덮개부재(7)에 매설된 금속제 보강용 와이어이다. 와이어(51)의 양단부에는 덮개부재(7)의 성형 시에 금형에 의해 지지되는 돌기(C)가 형성되어 있다. 53, 54는 와이어(45, 51)의 일부를 각각 덮개부재(7)의 외부에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이다.
하우징(4)에 대향하는 측판부(8, 9)는, 삽입공간(3)의 양측부를 구획하고 있다. 측판부(8, 9)의 앞끝면에는 보강탭(10)을 앞측으로부터 수용하여 고정하는 고정구멍(11)(도 1에서는 나타내고 있지 않지만, 도 2 및 도 3을 참조)이 개구되어 있다. 보강탭(10)은 덮개부재(7)의 양측방으로 돌출하는 한쌍의 회전이동 지지축 (A)을 지지하기 위한 금속판으로 이루어진다.
도 3을 참조하여, 보강탭(10)은, 주체부(12)와 회전이동 지지부(14)와 갈고리형상의 고정부(15)를 구비한다. 상기 주체부(12)는 고정구멍(11) 내에 앞측으로부터 삽입되어서 걸림돌기를 통해서 고정된다. 상기 회전이동 지지부(14)는 주체부 (12)의 앞끝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연장편(13)에 의해 구획되는 오목홈으로 이루어지고 또한 회전이동 지지축(A)을 회전이동가능하게 지지한다. 상기 고정부 (15)는, 주체부(12)의 앞끝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고, 기판표면에 납땜된다. 주체부(12)의 앞끝에는 잠금홈(50)이 형성되어 있다. 잠금홈(50)은 덮개부재(7)의 폐쇄상태에서 상기 와이어(51)의 양단부로 이루어지는 돌기(C)를 결합시킴으로써, 덮개부재(7)의 폐쇄상태를 잠금한다. 회전이동 지지부(14)로서의 오목홈에 도입된 회전이동 지지축(A)에, 하우징(4)의 접촉부(60)를 접촉시킴으로써, 회전이동 지지축 (A)을 오목홈 내에 지지하고 있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19, 20은 하우징(4)의 하판부(16)의 앞부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세워올리는 안내벽이다. 각 안내벽(19, 20)은, 덮개부재(7)의 폐쇄상태에서, 덮개부재(7)의 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대응하는 오목홈(21) 내에 도입되고, 덮개부재(7)를 좌우방향의 이동을 규제한다. 또한, 하우징(4)의 삽입공간 (3)에는, 각 복수의 포오크형상의 제 1 및 제 2의 접촉자(22, 23)가 서로 다른 횡으로 늘어선 2열로 배열되어 있다.
도 1, 도 2 및 도 4를 참조하여 제 1의 접촉자(22)는 금속부재로 이루어지는 하우징(4)의 삽입공간(3)에 앞측으로부터 삽입되어서 고정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제 1의 접촉자(22)는, 하우징(4)의 하판부(16)의 상면에 형성된 수용홈(24)에 앞측으로부터 수용되는 고정편부(25)와, 삽입공간(3)의 후반부에 있어서 고정편부(25)의 상방에 배치되는 탄성편부(26)를 구비하고 있다.
고정편부(25)와 탄성편부(26)와의 연결부분에서는, 걸림돌기를 보유하는 걸림편(27)이 뒤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걸림편(27)은, 하우징(4)의 고정구멍(28) 내에 삽입되어서 고정된다. 또한, 고정편부(25)의 앞끝에는 역 T자형 형상을 이루는 리드부(29)가 설치되어 있다. 리드부(29)는, 본 커넥터(4)가 실장되는 기판표면에 납땜됨과 아울러, 하우징(4)의 하판부(16)의 앞 가장자리에 걸려서 고정편부 (25)의 벌어짐을 방지한다. 30, 31은 고정편부(25) 및 탄성편부(26)에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된 산형상 돌기이고, 삽입된 FPC(2)를 이들 산형상 돌기(30, 31) 사이에 끼워지지하여 FPC(2)로의 접촉압력을 확보한다.
도 1 및 도 7을 참조하여, 덮개부재(7)는 대략 직사각형의 판형상을 하고 있고, 서로 대향하는 제 1 및 제 2의 끝가장자리(42, 43)를 보유하고 있다. 제 1의 끝가장자리(42)의 서로 대향하는 좌우의 측부(44, 44)로부터는 상기 한쌍의 회전이동 지지축(A)이 각각 돌출하고 있다. 이들 한쌍의 회전이동 지지축(A)은 덮개부재 (7)의 성형 시에 매설된 금속제의 와이어(45)의 노출하는 대향 끝부(46, 46)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와이어(45)는 전체가 크랭크형상을 이루고, 그 중간부(47)가 제 1의 끝가장자리(42)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져서 평행하게 연장하고 있다.
덮개부재(7)의 제 1의 끝가장자리(42)에는, 도 9A 및 도 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의 접촉자(23)의 후술하는 탄성편부(35)의 상분기편(39)을 출입시키기 위한 복수의 투과구멍(40)이 횡으로 늘어져서 배치되어 있다. 도 7에 있어서, 투과구멍(40)보다도 제 1의 끝 가장자리(42)측에 있는 부분이 탄성편부(35)의 가동범위를 규제하기 위한 규제부(55)를 구성하고 있다. 덮개부재(7)의 제 2의 끝 가장자리 (43)의 서로 대향하는 좌우의 측부(49, 49)에는 각각, 상기 한쌍의 돌기(C)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한쌍의 돌기(C)는, 곧은 금속제 보강 와이어(51)의 노출하는 대향 끝부(52, 52)로 구성되어 있다. 보강 와이어(51)는 덮개부재(7)의 성형 시에 매설되고 또한 제 1의 끝 가장자리(43)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져서 평행하게 연장된다. 돌기(C)는 제 2의 끝 가장자리(43)의 측부(49)의 하방 및 후방에 노출되어 있다. 상기 보강 와이어(51)는 제 1의 끝 가장자리(43)로부터 소정거리 떨어져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53은 와이어(45)를 1 내지 복수 개소 노출시키는 개구이고, 54는 와이어(51)의 중간부를 1 내지 복수 개소 노출시키는 개구이다. 이들 개구(53, 54)는 하기의 역할을 한다. 즉, 금속제 와이어(45, 51)를 덮개부재(7)의 성형시에 삽입하여 덮개부재(7)의 성형품에 매설하기 위해서는, 금속제 와이어(45, 51)를 성형 금형 내에 소정의 자세로 지지하여 둘 필요가 있지만, 금형 내에 있어서 개구(53, 54)에 대응하는 부위에 광폭의 지지핀(삽입핀)을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와이어(53, 54)를 금형 내에 안정하게 지지할 수 있는 결과, 성형품에 있어서 와이어(45, 51)의 대향 끝부로 이루어지는 회전이동 지지축(A) 및 돌기(C)의 위치정밀도를 높게 할 수 있다.
도 1, 도 2 및 도 5A를 참조하여, 제 2의 접촉자(23)는 금속부재로 이루어지고, 하우징(4)의 삽입이탈공간(3)에 후방측으로부터 삽입되어 고정되어 있다. 도 5(A)를 참조하여, 제 2의 접촉자(23)는, 고정편부(33)와 탄성편부(35)와 주체부(36)와 리드부(37)를 구비하고 있다. 고정편부(33)는, 걸림돌기를 보유하고, 하우징(4)의 하부의 고정구멍(32)에 뒤측으로부터 삽입되어 고정된다. 탄성편부(33)는, 하우징(4)의 상판부(5)의 하면에 형성된 수용홈(34)에 뒤측으로부터 수용되고, 고정편부(33)의 상방에 위치한다. 주체부(36)는 고정편부(33)와 탄성편부(35)의 뒤끝부를 연결한다. 리드부(37)는 주체부(36)로부터 뒤로 경사진 하방으로 연장되어 기판표면에 납땜된다.
고정편부(33) 및 탄성편부(35)의 앞끝의 각각은 하우징(4)의 전후방향의 중간부까지 연장되어 있다. 탄성편부(35)의 자유단인 앞끝(38)은, 대략 コ자형상으로 분기하는 상분기편(39)과 하분기편(41)을 보유한다. 상분기편(39)이 제 1의 분기편을 제공하고, 하분기편(41)이 제 2의 분기편을 제공한다. 하분기편(41)은 FPC(2)의 제 2의 도전 접촉부(18)에 압압 접촉하는 접점(48)을 포함하고 있다.
한편, 덮개부재(7)의 제 1의 끝 가장자리(42)는, 각 탄성편부(35)의 상분기편(39)과 하분기편(41)의 사이에 배치되어서, 탄성편부(35)의 변위의 범위를 규제하는 규제부(55)를 포함하고 있다. 각 규제부(55)는 단면 갈고리형을 이루고 있다. 각 규제부(55)에 인접하여, 덮개부재(7)의 개폐시에 상기 분기편(39)을 출입시키기 위한 투과구멍(40)이 형성되어 있다.
도 5B를 참조하여, 상기 규제부(55)는, FPC(2)가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덮개부재(7)가 폐쇄될 때에, 자유상태에 있는 탄성편부(35)의 상분기편(39)을 받치는 받침면(56)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 받침면(56)과 대향하는 대향면(57)에는, 오목부(58)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58)는 덮개부재(7)의 폐쇄상태에 있어서, 하분기편(41)의 상방으로의 변위를 소정범위(P) 내로 규제한다. A1은 회전이동 지지축(A)의 중심인 회전이동 축선이다. 이 회전이동 축선(A1)은 규제부(55)를 관통하는 상태에서 상기 분기편(39)과 하분기편(41)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회전이동 축선(A1)의 바로 하방에 하분기편(41)의 접점(48)이 레이아웃되어 있다.
또한, 규제부(55)는 캠면을 포함하고 있다. 캠면(59)은, 상기 받침면(56)에 인접함과 아울러 투과구멍(40)의 내벽면의 일부를 구성한다. 캠면(59)은, 도 9A 및 도 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덮개부재(7)의 개방상태에서 상분기편(39)을 눌러올려서, 하분기편(41)의 하방의 FPC용 삽입공간(3)을 넓히는 작용을 한다.
도 10A 및 도 10B는 삽입공간(3) 내에 FPC(2)를 삽입하여 덮개부재(7)를 폐쇄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FPC(2)는 하우징(4)의 하판부(16)와 제 2의 접촉자 (23)의 하분기편(41)의 접점(48) 사이에 끼워져 있다. 도 1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점(48)의 접촉반력에 의해 하분기편(41)이 상분기편(39)과 함께 들어올려져 있고, 하분기편(41)은 규제부(55)의 오목부(58) 내에 진입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상분기편(39)과 받침면(56)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고, 또한, 하분기편(41)과 오목부(58)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가령 탄성부재(35)의 앞끝이 어떠한 외력을 받아서 하방으로 눌러내려졌을 때에는, 상분기편(39)이 규제부(55)의 받침면(56)에 의해 받아져서, 그 이상의 변형이 방지된다. 한편, 어떠한 외력에 의해 탄성편부(35)의 앞끝이 끌어올려졌을 때에는, 하분기편(41)이 오목부(58)에 접촉하여, 그 이상의 변형이 방지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분기편(39)과 하분기편(41)의 사이에 배치되는 덮개부재(7)의 규제부(55)에 의해서, 탄성편부(35)의 변위의 범위를 상하 쌍방향으로 규제가능한 것이므로, 제 2의 접촉자(23)의 과도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상접점 타입에 있어서 FPC(2)에 대해서 항상 높은 접촉압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제 2의 접촉자(23)의 과도한 변형에 기인하는 제 2의 접촉자(23)나 FPC(2)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FPC(2)의 제 1 및 제 2의 도전접속부(17, 18)를 지그재그형상의 배열 패턴으로 배열하고 있고, 제 2의 도전접속부(17)는 제 2의 도전접속부(18)보다 FPC(2)의 삽입방향(X)의 앞쪽에 배치된다. 이 때문에, 삽입방향(X)의 뒤쪽으로 되는 도전접속부(18)에 대응하는 제 2의 포오크형상 접촉자(23)는, 제 1의 포오크형상 접촉자(22)보다 FPC(2)의 이탈방향(Y)에 배치되게 된다. 그 결과, 제 2의 포오크형상 접촉자(23)의 탄성편부 (35)의 스팬이 길게 되고, 외력에 의해서 변형하기 쉽게 된다. 이것에 대해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분기편(39)과 하분기편(41) 사이에 배치되는 규제부(58)에 의해서, 탄성편부(35)의 자유단(38)의 변위의 범위를 직접적으로 규제할 수 있으므로, 특히 효과적이다.
또한, 덮개부재(7)의 폐쇄상태에 있어서 탄성편부(35)는, FPC(2)에 압압 접촉하기 위한 탄성을 발휘해야만 한다. 이 탄성편부(35)의 가동범위로서는, 각 부품의 치수공차의 불균형을 고려하면, 가능한한 넓게 설정하여 두고 싶다. 이를 위해서는, 덮개부재(7)의 제 1의 끝 가장자리(42)의 두께를 얇게 할 수록 바람직하다. 한편, 덮개부재(7)의 제 1의 끝 가장자리(42)로서 소정의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소정의 두께가 필요하다. 이들에 감안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덮개부재(7)의 폐쇄상태에서 하분기편(41)의 진입을 허용하는 오목부(58)를 덮개부재(7)의 제 1의 끝 가장자리(42)에 형성하고 있으므로, 하기의 이점이 있다. 즉, 커넥터의 높이를 예컨대 1.0mm정도로 초저높이화하는 커넥터에 있어서, 덮개부재(7)의 제 1의 끝 가장자리(42)의 강도를 확보하면서 탄성편부(35)의 자유단(38)의 가동범위를, 예컨대 0.15 내지 0.2mm 정도로 충분한 접촉압력을 달성할 정도의 넓이로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종래, 저높이화 타입에서도 커넥터의 높이는 2.0 내지 3.0mm이었다.
또한, 덮개부재(7)의 회전이동 지지축(A)이 금속을 이루어지므로, 파손되기 어렵다. 또한, 덮개부재(7)의 폭방향(좌우방향)으로 관통하여 매설된 금속제의 와 이어(45)에 의해서 덮개부재(7)의 휨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FPC(2)와 제 2의 접촉자(23)의 탄성편부(35)의 접점(48)과의 사이에 충분한 접촉압력을 확보할 수 있음과 아울러, 덮개부재(7)가 하우징(4)으로부터 벗어나는 경우도 없다. 또한, 상기 와이어(45)는 덮개부재(7)의 수지성형시에 삽입되게 되므로, 와이어(45)와 덮개부재(7)의 밀착도가 높은 결과, 덮개부재(7)의 변형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와이어(45) 외에 보강 와이어(51)를 설치하여 덮개부재(7)를 보강하고 있는 것이므로, 덮개부재(7)의 휨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덮개부재(7)의 폐쇄상태에서, 금속제의 한쌍의 보강탭(10, 10), 와이어(45) 및 보강용 와이어(51)에 의해서 대략 직사각형을 이루므로, 덮개부재(7)의 고정을 확실히 할 수 있으므로 커넥터(1)가 강도적으로 매우 완강하게 되는 결과, FPC(2)에 대한 접촉압력을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가령, 와이어(45)가 덮개부재(7)의 한끝 가장자리(42)를 관통하여 똑바로 연장하는 것이면, 한끝 가장자리(42)는 와이어(45)를 포함하게 되어서 한끝 가장자리 (42) 전체로서 두께가 두껍게 된다. 이 때문에, 한끝 가장자리(42)에 배치된 규제부(55)의 두께도 두껍게 되고, 그 결과, 제 2의 접촉자(23)의 탄성편부(35)의 상하분기편(39, 41) 사이의 간격이 넓게 되고, 커넥터(1)의 높이가 높게 되어 버린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와이어(45)의 중간부(47)가 채널형상을 이룸으로써, 규제부 (55)가 배치된 덮개부재(7)의 한끝 가장자리(42)로부터 소정거리 떨어져 있으므로,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규제부(55)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는 결과, 커넥터 (1)의 저등화가 도모된다. 또한, 제 2의 접촉자(23)로부터 와이어(45)로의 단락을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는 않고, 예컨대, 상기 실시형태의 커넥터를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실시형태에서 나타낸 커넥터의 상하가 다른 바향으로 향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제 1의 접촉자를 제 2의 접촉자와 마찬가지의 구조로 하여도 좋다. 또한, 제 1의 접촉자를 폐지하고, 제 2의 접촉자만을 포함하는 커넥터로 하여도 좋다.
또한, 한쌍의 돌기(C)를 덮개부재(7)와 일체의 수지로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보강용 와이어(51)를 폐지하고, 단일 와이어(45)만으로 덮개부재(7)를 보강하도록 하여도 좋다. 그 외,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각종 변경을 실시할 수 있다.

Claims (12)

  1. 개구부를 보유하는 합성수지제 하우징과,
    상기 개구부에 면하도록 배열되고, 또한 각각 서로 대향하는 탄성편부 및 고정편부를 보유하는 복수의 포오크형상 접촉자와,
    상기 탄성편부와 고정편부의 사이에 구획되는 플렉시블 기판용 삽입공간과,
    회전이동 축선의 둘레로 회전이동하여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합성수지제의 덮개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포오크형상 접촉자는, 상기 탄성편부의 자유단에 서로 분기하는 제 1 및 제 2의 분기편을 포함하는 포오크형상 접촉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 2의 분기편은 상기 삽입공간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 2의 분기편은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되는 플렉시블 기판에 압압 접촉하는 접점을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재의 한끝 가장자리는, 상기 제 1 및 제 2의 분기편의 사이에 배치되어서 상기 탄성편부의 자유단의 변위의 범위를 쌍방향으로 규제하는 규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기판용 커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는 상기 덮개부재의 개방동작에 따라 상기 삽입공간이 넓어지도록 상기 제 1의 분기편을 눌러서 변위시키는 캠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기판용 커넥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캠면은 상기 덮개부재의 폐쇄동작에 따라 상기 제 1의 분기편으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기판용 커넥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재는, 덮개부재의 개폐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분기편의 출입을 허용하는 투과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투과구멍의 일부는 상기 캠면에 의해서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기판용 커넥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는, 플렉시블 기판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덮개부재가 폐쇄될 때에 상기 제 2의 분기편의 진입을 허용하면서 상기 제 2의 분기편의 변위를 규제하는 오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기판용 커넥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는, 플렉시블 기판이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덮개부재가 폐쇄될 때에 상기 제 1의 분기편을 받치는 받침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기판용 커넥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상기 받침면에 대향하는 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기판용 커넥터.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면과 캠면은 서로 인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기판용 커넥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이동 축선은 상기 규제부를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기판용 커넥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재에는, 덮개부재의 성형시에 일부가 매립된 금속제 와이어가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의 한쌍의 대향 끝부에 상기 회전이동 축선을 따르는 한쌍의 회전이동 지지축이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기판용 커넥터.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상기 한쌍의 대향 끝부 사이에 중간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부는 대략 채널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기판용 커넥터.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의 분기편을 보유하는 포오크형상 접촉자의 접점은, 나머지 포오크형상 접촉자의 접점보다도 플렉시블 기판의 삽입방향의 앞쪽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기판용 커넥터.
KR1020017007783A 1999-10-26 2000-10-24 플렉시블 기판용 커넥터 KR1007095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9-304515 1999-10-26
JP30451599A JP3964583B2 (ja) 1999-10-26 1999-10-26 フレキシブル基板用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3201A KR20010093201A (ko) 2001-10-27
KR100709547B1 true KR100709547B1 (ko) 2007-04-20

Family

ID=17933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7783A KR100709547B1 (ko) 1999-10-26 2000-10-24 플렉시블 기판용 커넥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514101B1 (ko)
EP (1) EP1150398A4 (ko)
JP (1) JP3964583B2 (ko)
KR (1) KR100709547B1 (ko)
CN (1) CN1176511C (ko)
HK (1) HK1040836A1 (ko)
TW (1) TW471198B (ko)
WO (1) WO200103175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1378B1 (ko) * 2001-07-24 2003-12-18 성경모 플랙시블 와이어 콘넥터용 플립 잠금장치
JP4109473B2 (ja) 2001-11-29 2008-07-02 キンセイマテック株式会社 電気粘性組成物
JP3936596B2 (ja) * 2002-02-04 2007-06-27 矢崎総業株式会社 基板用コネクタ
JP3757316B2 (ja) * 2002-06-12 2006-03-22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Fpc用コネクタ
TW572397U (en) * 2003-04-30 2004-01-1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JP4184881B2 (ja) * 2003-07-10 2008-11-19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4054741B2 (ja) 2003-09-26 2008-03-05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低背型fpc用zifコネクタ
JP2006013665A (ja) * 2004-06-23 2006-01-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音響変換器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4388879B2 (ja) * 2004-10-26 2009-12-24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コネクタ
JP4528605B2 (ja) * 2004-11-24 2010-08-1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20060121776A1 (en) * 2004-12-08 2006-06-08 Unicorn Electronics Components Co., Ltd. Electric connector
JP2006196424A (ja) * 2005-01-17 2006-07-27 Jst Mfg Co Ltd Fpc用コネクタ
TWM272265U (en) * 2005-01-28 2005-08-01 Cheng Uei Prec Ind Co Ltd Connector for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TWM282346U (en) * 2005-05-06 2005-12-0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JP4692079B2 (ja) 2005-05-31 2011-06-01 オムロン株式会社 コネクタ
US20070090385A1 (en) * 2005-10-21 2007-04-26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JP4938303B2 (ja) 2005-12-16 2012-05-23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コネクタ
JP4576349B2 (ja) * 2006-03-24 2010-11-04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平型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4707610B2 (ja) * 2006-05-31 2011-06-22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5084244B2 (ja) * 2006-12-18 2012-11-28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7727006B1 (en) * 2009-07-23 2010-06-01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Connector for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JP5285118B2 (ja) * 2011-05-13 2013-09-1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JP6210773B2 (ja) * 2013-07-24 2017-10-11 矢崎総業株式会社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2015185469A (ja) * 2014-03-25 2015-10-22 Smk株式会社 ジャック
TWI611633B (zh) * 2016-05-20 2018-01-11 黃家怡 電連接器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Y104734A (en) * 1988-05-05 1994-05-31 Whitaker Corp Zero insertion force electrical connector
JP2892189B2 (ja) 1991-09-11 1999-05-17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ウェーハの研磨板及び研磨装置
JP2580074Y2 (ja) * 1993-04-02 1998-09-03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2976327B2 (ja) * 1995-09-29 1999-11-10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TW325602B (en) * 1995-11-09 1998-01-21 Hirose Electric Co Ltd Electrical connector for flexible substrate
JP3419616B2 (ja) * 1995-12-28 2003-06-23 Smk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基板接続用コネクタ
JPH09283240A (ja) * 1996-04-12 1997-10-31 Smk Corp フレキシブル基板接続用コネクタ
JP3356265B2 (ja) * 1997-07-29 2002-12-16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2000021478A (ja) * 1998-06-19 2000-01-21 Molex Inc 平型柔軟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4159178B2 (ja) * 1999-04-30 2008-10-01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基板用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471198B (en) 2002-01-01
EP1150398A1 (en) 2001-10-31
KR20010093201A (ko) 2001-10-27
US6514101B1 (en) 2003-02-04
JP2001126793A (ja) 2001-05-11
JP3964583B2 (ja) 2007-08-22
CN1327625A (zh) 2001-12-19
WO2001031754A1 (fr) 2001-05-03
EP1150398A4 (en) 2009-06-03
HK1040836A1 (zh) 2002-06-21
CN1176511C (zh) 2004-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9547B1 (ko) 플렉시블 기판용 커넥터
KR100645288B1 (ko)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
KR100572885B1 (ko)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
KR100847304B1 (ko) 전기 커넥터
JP3929763B2 (ja) フラット配線材用コネクタ
KR100843990B1 (ko)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
KR100609798B1 (ko) 전기 요소용 소켓
GB2337164A (en) Connector for flat cable
JP3472559B2 (ja) 電気コネクタ
EP1524727A1 (en) Electrical connector
KR20020068955A (ko) 전기 커넥터
EP1235303B1 (en) A connector terminal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100999053B1 (ko) 전기 커넥터
EP1215759B1 (en) A connector assembly and an electrical connection structure for a flat wire member
JP3472532B2 (ja) フレキシブル基板用コネクタ
US7267574B2 (en) Connector for flexible printed circuit
JP4205259B2 (ja) フレキシブル基板用コネクタ
WO1985002499A1 (en) Low insertion force circuit board connector assembly
JP2004335201A (ja) 電気コネクタ
JP2004335200A (ja) 電気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