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7152B1 - 탄성 신축성 복합 시트 - Google Patents

탄성 신축성 복합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7152B1
KR100707152B1 KR1020000039894A KR20000039894A KR100707152B1 KR 100707152 B1 KR100707152 B1 KR 100707152B1 KR 1020000039894 A KR1020000039894 A KR 1020000039894A KR 20000039894 A KR20000039894 A KR 20000039894A KR 100707152 B1 KR100707152 B1 KR 1007071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e sheet
elastic
elastic stretchable
sheet according
we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9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66922A (ko
Inventor
고바야시도시오
단게사토루
야마키고이치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651080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707152(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669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69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71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71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being specifically extensible by reason of its structure or arrangement, e.g. by reason of the chemical nature of the fibres or filament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32B27/28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comprising polyet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04H1/559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the fibres being within layered web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04H1/5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in association with fibre formation, e.g. immediately following extrusion of staple fibr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05Synthetic yarns or filaments
    • D04H3/007Addition polym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05Synthetic yarns or filaments
    • D04H3/009Condensation or reaction polymers
    • D04H3/011Polyest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1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fine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67/00Polyesters, e.g. PET, i.e. polyethylene terephtha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71/00Polyethers, e.g. PEEK, i.e. polyether-etherketone; PEK, i.e. polyetherket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55/00Personal care
    • B32B2555/02Diapers or napki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802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 Y10T428/2481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including layer of mechanically interengaged strands, strand-portions or strand-like stri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802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 Y10T428/24826Spot bonds connect compon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9921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 Y10T428/249953Composite having voids in a component [e.g., porous, cellular, etc.]
    • Y10T428/249978Voids specified as micro
    • Y10T428/24998Composite has more than two lay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7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the element or component having a specified weight per unit area [e.g., gms/sq cm, lbs/sq ft,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01Nonwoven fabric has an elastic qual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01Nonwoven fabric has an elastic quality
    • Y10T442/602Nonwoven fabric comprises an elastic strand or fiber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59Including an additional nonwoven fabric
    • Y10T442/668Separate nonwoven fabric layers comprise chemically different strand or fiber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74Nonwoven fabric with a preformed polymeric film or she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성 시트와 섬유 집합체로 이루어지는 탄성 신축성의 복합 시트에 관한 것이다. 비탄성적 신장성을 갖는 섬유 집합체(2)가 간헐적으로 배치된 접합부(4)에서 탄성 시트(3)의 적어도 한쪽 면에 접합되어 복합 시트(1)를 형성한다. 섬유 집합체(2)의 구성 섬유(6)는 쌍을 이룬 접합부(4, 4) 사이에서 연속하여 연장하는 긴 섬유이며, 이들 접합부(4, 4)의 사이에서 곡선을 이루고 있다.

Description

탄성 신축성 복합 시트{ELASTICALLY STRETCHABLE COMPOSITE SHEE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시트의 사시도.
도 2는 도 1과 유사하지만,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도 1과 유사하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복합 시트 제조 공정의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다이아그램.
도 5는 복합 시트 제조 공정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다이아그램.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복합 시트
2 : 섬유 집합체(상층)
3 : 탄성 시트(하층)
4 : 접합부
6 : 긴 섬유(연속 섬유)
10 : 연속 섬유
20 : 필름
본 발명은 탄성 신축성의 복합 시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탄성 시트와 시트형의 섬유 집합체로 이루어지는 그러한 복합 시트에 관한 것이다.
탄성 신축성 부직포를 플라스틱 엘라스토머 등으로 제조되는 탄성 신축성 시트에 접합하여, 그 탄성 신축성 시트의 고유한 고무질의 촉감을 천의 촉감으로 바꾸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예컨대, 일회용 기저귀의 액체 불투과성 이면 시트에 탄성 신축성을 제공하기 위해서, 액체 불투과성의 탄성 신축성 시트에 탄성 신축성 부직포를 적층하는 것도 또한 공지되어 있다.
전술한 적층에 의하여 얻어지는 복합 시트에 있어서는, 섬유 길이가 약 50㎜인 짧은 섬유가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복합 시트에 있어서는, 함께 엉켜 부직포를 형성하는 짧은 섬유가 복합 시트의 신축에 따라 점차로 서로 풀리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그 결과, 복합 시트의 적절한 조직 뿐 아니라 부직포의 적절한 조직이 손상되고, 섬유가 엉킨 지점 및/또는 부직포와 탄성 신축성 시트 사이의 접합부가 가능한 한 밀접하게 분포되어 있지 않으면 보풀이 일게 된다. 그러나, 상기 엉킨 지점 및/또는 접합부가 밀접하게 분포되면, 고탄성의 신축성을 발휘하는 복합 시트를 얻기 곤란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탄성 신축성 복합 시트의 신축성을 손상시키는 요인을 없애거나 감소시켜 가능한 한 높은 신축성을 갖는 탄성 신축성 복합 시트를 얻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서로 직교하는 2방향으로 신축성을 갖는 탄성 시트와, 이 탄성 시트의 적어도 한 면에 접합되고 상기 2방향으로 신장성을 갖는 시트형의 섬유 집합체로 이루어지는 탄성 신축성 복합 시트가 제공되며, 상기 섬유 집합체는 비탄성적 신장성을 가지며, 상기 탄성 시트와 섬유 집합체는 상기 2방향으로 간헐적으로 배치된 접합부에서 함께 접합되고, 상기 섬유 집합체를 구성하는 구성 섬유는 쌍을 이룬 접합부 사이에서 연속하여 연장하고 이들 접합부의 사이에서 곡선을 이루는 긴 섬유이며, 이 긴 섬유는 접합부에서 탄성 시트에 접합된다.
본 발명에 따른 탄성 신축성 복합 시트는 탄성 시트와 섬유 집합체가 서로 접합되어 있는 접합부가 서로 멀리 떨어져 있더라도 그들 탄성 시트와 섬유 집합체를 서로 접합되어 있는 상태로 신뢰성 있게 유지할 수 있다. 이는 탄성 시트의 적어도 한 면에 적층된 신장성 섬유 집합체가 연속 섬유를 구비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얻어진 복합 시트에 있어서, 복합 시트의 신축성은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밀접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는 접합부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는다. 본 발명의 복합 시트는 신축적이지만, 연속 섬유의 존재로 인하여 천과 같은 편안한 촉감을 제공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복합 시트는 일회용 기저귀, 생리대 또는 일회용 가운과 같은 의류에 사용되는 원료 물질로서 적당하다.
본 발명에 따른 탄성 신축성 복합 시트는 첨부 도면을 참조로 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 보다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에 사시도로 나타낸 탄성 신축성 복합 시트(1)는 접합부(4)에서 함께 접합되어 있는 상층(2)과 하층(3)을 구비한다. 복합 시트(1)는,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양방향 화살표로 나타낸 Y-Y 방향에 대해 수직한 양방향 화살표로 나타낸 X-X 방향보다는 적어도 Y-Y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다.
복합 시트(1)의 상층(2)은 X-X 방향보다는 적어도 Y-Y 방향으로 신장 가능하다. 상층(2)은 길고, 바람직하게는 연속적인 열가소성 합성 수지 섬유(6)의 집합체이며, 이것은 접합부(4) 둘레에 형성된 영역에서 연속적으로 연장한다. 상기 합성 수지 섬유(6)는 접합부(4)에서만 서로 용착되어 있고, 접합부(4) 둘레에 형성된 영역에서는 함께 접합되지도 용착되지도 않는데, 다시 말하면 접합부 둘레에 형성된 영역에서는 서로 분리되어 있다. 쌍을 이룬 인접한 접합부의 사이에서, 연속 섬유(6)는 불규칙한 곡선을 그리면서 하층(3)의 상면 위에서 연장한다. 복합 시트(1)가 Y-Y 방향 및/또는 X-X 방향으로 신장되는 경우, 그 신장에 따라 곡선을 그리는 연속 섬유(6)는 Y-Y 방향 및/또는 X-X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방향을 바꾸어서, 상층(2)은 비탄성적으로 신장된다. 이러한 연속 섬유(6)는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부텐 랜덤 공중합체,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에틸렌과 같은 비탄성 합성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각 연속 섬유의 직경은 0.1 내지 5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복합 시트(1)의 하층(3)은 Y-Y 방향, 바람직하게는 Y-Y 방향과 X-X 방향 모두로 탄성 신축성을 갖는 시트를 구비한다. 이 시트는 Y-Y 방향으로 적어도 200%, 바람직하게는 400% 이상의 신장비를 가지며, 100% 신장된 후에, 원래 길이의 1.3배 미만까지 탄성적으로 수축될 수 있다. 이러한 시트로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진 연속적인 탄성 섬유를 포함하는 섬유 집합체와, 기계적으로 엉켜 있거나 함께 접합되어 있는 연속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 또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 구성되는 필름일 수 있다. 사용 시에, 필름은 수분 침투성 또는 수분 불침투성일 수 있다. 시트는 연속 섬유(10)를 구비하는 부직포 형태로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하층(3)을 구성하는 연속 섬유 및 필름은 경질 성분과 연질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블록 공중합체 폴리에스테르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지는 연속 섬유는 환경 조건에 따라서 천연 섬유와 동일한 흡습성과 방습성을 발휘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연속 섬유로 이루어지는 복합 시트(1)는 일회용 가운 등과 같은 의류에 사용되는 원료 물질로서 적합하다. 또한, 이러한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지는 필름도 또한 적절한 수분 침투성을 가지며, 필름을 이용하는 복합 시트는 일회용 기저귀 또는 생리대와 같은 일회용 체액 처리 용품의 액체 불투과성 이면을 위한 원료 물질로서 적절하다. 필름의 이러한 용례에 있어서, 경질 성분과 연질 성분은 조합되며, 그에 따라 필름은 JIS(일본 산업 표준) Z 0208의 규정에 따른 수분 흡수성이 1000 g/m2/24 hr이상 이고, JIS L 1092의 규정에 따른 내수압성이 적어도 1m,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m의 내수압성을 가질 수 있다. 복합 시트를 제조하는 데 유용한 필름의 예로는 도요 방적 주식회사로부터「펠푸렌(PELPRENE) P30B」라는 상품명으로 판매되는 것이 있다.
경질 성분은 50℃ 이상의 유리 전이 온도를 나타내는 폴리에스테르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 폴리에스테르는 디카르복시산과 디올로부터 얻어진다. 디카르복시산과 디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방향족 고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카르복시산의 예로는 프탈산,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2,6-나프탈렌 디카르복시산, 2,7-나프탈렌 디카르복시산, 1,5-나프탈렌 디카르복시산, 디페닐-4,4'-나프탈렌 디카르복시산, 3,3'-디메틸디페닐-4,4'-디카르복시산, 4,4'-디페닐술폰 디카르복시산, 4,4'-디페녹시에탄디카르복시산 등과 같은 방향족 디카르복시산; 숙신산, 옥살산, 아디핀산, 세바식산, 도데칸 디산 등과 같은 지방족 디카르복시산; 1,4-시클로헥산디카르복시산, 데카히드로나프탈렌-2,6-디카르복시산 등과 같은 지환족 디카르복시산이 있다.
연질 성분은 20℃ 이하의 유리 전이 온도를 나타내는 폴리에테르,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에테르와 지방족 폴리에스테르의 공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에테르의 예로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에틸렌/프로필렌) 블록 폴리글리콜,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리콜, 폴리헥사메틸렌 글리콜 등이 있고, 지방족 폴리에스테르의 예로는 폴리에틸렌 아디페이트,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 폴리카프롤락톤 등이 있다.
이들 상층(2)과 하층(3)은 압력 작용하에서 가열함으로써 접합부(4)에서 접합될 수 있거나, 또는 그것을 고주파 처리함으로써 서로 접합될 수 있다. 또한, 상층(2)의 연속 섬유(6)를 하층(3)의 조직과 기계적으로 엉키게 하는 기법을 사용여 양자를 접합하는 경우에, 그러한 엉키게 하는 수단으로는 니들 펀칭, 고압 기둥형 수류 처리 등을 채용할 수 있다. 각 접합부(4)의 면적은 0.03 내지 10㎟ 사이에 있고, 접합부(4)의 총면적은 복합 시트(1) 면적의 1 내지 50%를 점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합 시트(1)를, 예컨대 Y-Y 방향으로 인장하면, 하층(3)은 Y-Y 방향으로 탄 성적으로 신장될 수 있다. 뒤이어, 하층(3)이 신장되면, 그 신장에 따라 곡선을 그리는 상측의 연속 섬유(6)가 방향을 바꾸어 Y-Y 방향으로 비탄성적으로 신장한다. 곡선을 그리는 연속 섬유(6)가 완전히 펴지기 전에, 복합 시트(1)를 인장하는데 요구되는 힘은 하층(3) 만을 신장하는데 요구되는 힘과 실질적으로 일치한다. 상층(2)은 복합 시트(1)를 신장하는 데 요구되는 힘에 거의 영향을 끼치지 않는데, 그 이유는 상층(2)이 그것의 연속 섬유(6)의 방향을 바꾸는 데에 전혀 큰 힘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이다. 복합 시트(1)를 추가로 인장하면, 곡선을 이루는 연속 섬유(6)는 추가로 방향이 바뀌고, 그에 의하여 인접한 접합부(4)의 각 쌍 사이에서 연장하는 영역에서 직선형으로 된다. 이러한 상태로부터 복합 시트(1)를 더욱 신장하기 위해서는, 하층(3) 만을 신장하는데 요구되는 힘 이외에도 직선형 연속 섬유(6)를 신장하는 힘이 필요하다. 연속 섬유(6)는 연속 섬유(6)가 그것의 곡선을 유지하는 한 하층(3)이 X-X 방향으로도 부드럽게 신장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다. 연속 섬유(6)는 Y-Y 방향과 X-X 방향으로 동일하게 예컨대 적어도 20%까지는 탄성적으로 신장하는 등방성 복합 시트(1)를 얻을 수 있도록 복합 시트(1)의 평면에서 고리 형태로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도 1과 유사하지만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복합 시트(1)에서, 하층(3)은 Y-Y 방향, 또는 Y-Y 방향과 X-X 방향의 양방향으로 탄성 신축성을 갖는 필름(20)에 의하여 형성된다. 상층(2)과 하층(3)은 접합부(4)에서 서로 접합되어 있다.
또한, 도 3도 도 1과 유사하지만,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러한 복합 시트(1)의 경우에 있어서, 필름(20) 형태의 하층(3)에는 그 하면에 제3 층(300)이 형성되고, 제3 층은 상층(2)과 유사하게 탄성적 또는 비탄성적으로 신장 가능하다. 이들 상층(2) 및 하층(3)과 제3 층(300)은 접합부(4)로 서로 접합되어 있다. 제3 층(300)은 열가소성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연속 섬유(310)의 집합체이며, 연속 섬유(310)는 바람직하게는 접합부(4)에서 서로 접합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인접한 접합부(4)의 각 쌍 사이에서는 서로 용착되지도 접착되지도 않는다. 인접한 접합부(4, 4)의 각 쌍 사이에서, 연속 섬유(310)는 곡선을 따라 하층(3)의 하면 상에서 연장하며, 바람직하게는 복합 시트(1)의 평면에서 루프를 그리면서 연장한다. 복합 시트(1)가 신장함에 따라, 제3 층(300)은 상층(2)과 동일한 방식으로 비탄성적으로 신장한다. 연속 섬유(310)는 연속 섬유(6)와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1의 복합 시트(1)로부터도 도 3에 도시된 3층 구조의 시트를 얻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예컨대, 도 1의 복합 시트(1)의 하층(3)의 하면에는 제3 층(300)이 형성되며, 이어서 제3 층(300)은 접합부(4)에서 하층(3)에 접합된다.
도 4는 복합 시트 제조 공정의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다이아그램이다. 무단 벨트(30)는 다이아그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주행한다. 좌측에서, 벨트(30) 위에는 제1 멜트블로우 섬유 성형기(31)가 마련되고, 벨트의 아래에는 흡입 기구(31A)가 마련된다. 제1 성형기(31)는 벨트(30)의 횡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노즐을 포함하며, 이 노즐은 비신축성의 열가소성 합성 수지 의 제1 멜트블로우 연속 섬유(35)를 방출하도록 되어 있다. 연속 섬유(35)는 제1 웹(41)을 형성하도록 불규칙한 곡선을 따라 벨트(30)에 퇴적된다. 제1 웹(41)에 있어서, 제1 성형기(31)의 방출 조건과 벨트(30)의 주행 조건은 제1 웹(41)에서 다른 것의 위에 적층되는 연속 섬유(35)가 함께 접합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또는 함께 용착되어 있더라도 이들 용착된 연속 섬유(35)가 뒤이은 단계에서 서로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선택된다. 제1 연속 섬유(35)는 70% 이상의 파단 신장도를 갖는다.
제1 성형기(31)의 오른쪽에는 제2 멜트블로우 섬유 성형기(32)와 흡입 기구(32A)가 마련된다. 또한, 제2 성형기(32)는 벨트(30)의 횡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노즐을 포함하며, 이 노즐은 비신축성의 열가소성 합성 수지의 제2 멜트블로우 연속 섬유(40)를 방출하도록 되어 있다. 제2 멜트블로우 연속 섬유(40)는 제2 웹(42)을 형성하도록 불규칙한 곡선을 따라 제1 웹(41)에 퇴적된다. 제2 성형기(32)의 방출 조건은 다른 것의 위에 적층되는 이들 제2 연속 섬유(40)가 함께 용착될 수 있고, 그에 의해 벨트(30)의 주행 방향, 바람직하게는 벨트의 주행 방향과 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탄성 신축성을 갖는 시트를 형성하도록 선택된다. 이러한 제2 연속 섬유(40)는 제1 연속 섬유(35)의 파단 신장도보다 큰 파단 신장도를 갖는다.
상하로 배치되어 있는 제1 웹(41) 및 2 웹(42)은 수직하게 쌍을 이룬 엠보싱 롤(34, 34)로 함께 이송된다. 그에 의하여, 웹(41, 42)은 주행 방향인 종방향과, 그 종방향에 직교하는 폭방향 중에서 적어도 종방향으로 간헐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접합부에서 압력 작용하에 가열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웹(41, 42)은 함께 접합되어 제1 복합 웹(43)을 형성한다.
제1 복합 웹(43)은 제1쌍의 신장 롤(36), 제2쌍의 신장 롤(37) 및 제3쌍의 신장 롤(38)을 통하여 주행한다. 제1쌍의 신장 롤(36)과 제3쌍의 신장 롤(38)은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지만, 이 속도는 제2쌍의 신장 롤(37)의 회전 속도보다 느리다. 제1쌍의 신장 롤(36)과 제2쌍의 신장 롤(37) 사이의 이러한 회전 속도의 차이는 제1 복합 웹(43)이 10 내지 60℃의 실온에서,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40℃의 실온에서 소정의 신장 비율로 신장될 수 있도록 조정된다. 신장된 후에, 제1 복합 웹(43)은 제2쌍의 신장 롤(37)과 제3쌍의 신장 롤(38) 사이에서 그것의 초기 길이로 수축되어 제2 복합 웹(44)을 형성한다.
제1 복합 웹(43)을 신장시키는 단계에서, 제1 연속 섬유(35)는 인접한 접합부의 쌍 사이에서 임계 파단 신장도 내에서 소성 변형으로 직경이 감소되게 종방향으로 신장되고, 상기 접합부에서 제1 웹(41)과 제2 웹(42)은 접합된다. 제2 연속 섬유(40)를 구비하는 제2 웹(42)은 인접한 접합부의 쌍 사이에서 임계 파단 신장도 내에서 탄성적으로 신장된다. 제1 복합 웹(43)을 신장시키는 단계에서, 두 웹이 쌍을 이룬 엠보싱 롤(34)에 의하여 함께 접합되는 접합부를 제외하고는, 제1 웹(41)의 제1 연속 섬유(35) 사이에 형성될 수 있는 임의의 접합 지점 또는 기계적으로 엉킨 지점은 실질적으로 느슨해지거나 해제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연속 섬유(35)와 제2 웹(42) 사이에 형성될 수 있는 접합 지점이 실질적으로 제거될 수 있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제1 복합 웹(43)은 50 내지 300%의 신장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복합 웹(44)은 롤의 형태로 권취되고, 이어서 개별적인 복합 시트(1)를 얻도록 소정의 치수로 재단된다. 제2 복합 웹(44)의 제1 웹(41) 및 제2 웹(42)은 도 1의 복합 시트(1)의 상층(2) 및 하층(3)과 각각 대응한다. 쌍을 이룬 엠보싱 롤(34)에 의하여 접합되는 제2 복합 웹(44)의 부분은 복합 시트(1)의 접합부(4)에 대응한다.
제1 웹(41)과 제2 웹(42)은 모두 연속 섬유로 형성되며, 그에 의해 심지어 접합부가 비교적 넓은 간격으로 배치될 때에도 이들 두 웹(41, 42)은 신뢰성 있게 유지될 수 있다. 접합부를 비교적 넓은 간격으로 배치함으로써, 제2 복합 웹(44)과 복합 시트(1)의 바람직한 신장성이 실질적으로 보장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얻은 제2 복합 웹(44)과 복합 시트(1)를 일회용 기저귀나 일회용 의료용 가운과 같은 일회용 의류에 원료 물질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심지어 제2 웹(42)에 고무질의 신축성 물질이 포함되더라도 피부에 접촉하도록 사용하면, 고무질의 재료에 특유한 피부에 대한 미끄러짐이 나빠서 피부를 자극하는 일이 없다. 제1 연속 섬유(35)는 신장되어 직경이 가늘게 되고, 그에 따라 이들 연속 섬유는 성형기로부터 방출된 직후보다 편안하고 부드럽게 된다. 접합부를 제외하고는, 제2 복합 웹(44)의 제1 연속 섬유(35)는 그들 스스로도 제2 웹(42)과도 접합되지 않으며, 제2 웹(42) 만을 신장하는데 요구되는 비교적 작은 힘이 제2 복합 웹(44)을 신장하는데 요구되는 초기의 힘으로서 충분하다. 따라서, 신축 가능한 연질 시트는 두 층의 구조에도 불구하고 제2 복합 웹(44)에 의하여 용이하게 형성 된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공정은 제2 복합 웹(44)의 제1 웹(41) 및 제2 웹(42)이 이들이 각각의 성형기(31, 32)로부터 방출된 직후의 그들 각각의 평량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제1 웹(41) 및 제2 웹(42)은 모두 연속 섬유의 집합체이며, 그에 따라 이들 두 웹(41, 42)으로부터 얻은 제2 복합 웹(44)은 일반적으로 통기성이 좋다. 추가로, 심지어 제2 복합 웹(44)이 신축을 반복하는 경우에도 연속 섬유에 보풀이 일거나, 짧은 섬유가 이 웹으로부터 탈락하는 일도 없다. 제2 복합 웹(44)의 탄성으로 인하여, 웹이 절첩된 후에 주름이 형성되는 것은 실질적으로 방지된다. 이러한 성질은 의료용의 일회용 가운으로 복합 시트(1)를 사용할 때에 바람직하다.
도 4에 도시된 복합 시트(1) 제조 공정은 다양한 방식으로 변형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웹(41)이 벨트(30)에 이송되기 전에 제2 웹(42)을 벨트(30)에 이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 웹(41) 및 제2 웹(42)을 접합하기 위해서는, 쌍을 이룬 엠보싱 롤(34)에 의한 가공 대신에, 니들 펀칭이나 고압 기둥형 수류 처리 등과 같은 다른 수단을 채용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도 4의 제2 성형기(32)의 하류측에 제3 성형기가 설치되고, 이러한 제3 성형기로부터 방출되는 제3 멜트블로우 연속 섬유는 제2 웹(42) 상에 제1 웹(41)과 유사한 제3 웹을 형성할 수 있고, 그에 의하여 제1 웹(41), 제2 웹(41, 42), 그리고 제3 웹으로 이루어지는 3층 구조의 복합 시트(1)를 제조할 수 있다. 제1 웹(41)과 제3 웹은 수지의 종류나 섬도, 색깔을 포함한 외관이 서로 동일하거나,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와 유사하지만 도 2의 복합 시트(1) 제조 공정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다이아그램이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 구성되고 벨트(30)의 주행 방향으로 탄성 신축성을 갖는 필름(52)이 도면의 좌측으로부터 제2 웹(42)으로서 공급되고, 이 필름(52)의 위에는 제1 연속 섬유(35)로 이루어지는 제1 웹(41)이 공급된다. 제1 웹(41) 및 제2 웹(42)은 도 2와 동일한 방식으로 엠보싱 롤(34, 34)로 주행하며, 이들 엠보싱 롤 사이에서 제1 웹(41) 및 제2 웹(42)은 간헐적으로 서로 접합되어 제1 복합 웹(43)을 형성한다. 이러한 제1 복합 웹(43)은 또한 제1롤 내지 제3 롤(36, 37, 38)에 의하여 추가로 신장되고, 뒤이어 수축되어 제2 복합 웹(44)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필름(52)의 형태를 취하는 제2 웹(42)과 제1 웹(41)을 결합함으로써 도 1의 접합부(4)가 형성되는 제2 복합 웹(44)에 있어서, 제1 웹(41)은 도 4의 제2 복합 웹(44)과 유사한 연속 섬유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 개별적인 접합부(4)의 면적은 0.03 내지 1㎟ 정도로 작은 치수로 되거나, 또는 접합부(4)의 총면적은 제2 복합 시트(44)의 면적의 1 내지 10% 정도로 되도록 작게 될 수 있으며, 이때 제1 웹(41) 및 제2 웹(42)이 간단히 분리되는 일은 없다.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개별적인 접합부(4)의 면적은 0.03 내지 10㎟의 범위에서 변화되거나, 이들 접합부(4)의 총면적은 제2 복합 웹(44)의 면적의 1 내지 50%의 범위에서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도 5에 도시된 공정은, 제1 연속 섬유(35)가 이송되는 필름(52)의 하면에 제3 연속 섬유를 이송하는데 제3 멜트블로우 섬유 성형기를 이용하여 두 섬유 웹 사이에서 샌드위치된 필름(52)을 포함하는 도 3의 복합 시트(1)를 얻도록 변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탄성 신축성 복합 시트는 탄성 시트의 적어도 한쪽 면에 적층되는 신장성의 섬유 집합체가 연속 섬유로 이루어지므로, 탄성 시트와 섬유 집합체의 접합부가 서로 멀리 떨어지더라도, 이들 탄성 시트와 섬유 집합체를 접합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얻어지는 복합 시트는 서로 접근하여 형성된 접합부에 의해서 신축성을 방해받는 일은 없다.

Claims (14)

  1. 서로 직교하는 2방향으로 신축성을 갖는 탄성 시트와, 상기 두 방향으로 신장성을 가지며 상기 탄성 시트의 하나 이상의 면에 접합되는 시트형 섬유 집합체로 구성되는 탄성 신축성 복합 시트로서,
    상기 섬유 집합체는 비탄성적 신장성을 가지며, 상기 탄성 시트와 섬유 집합체는 상기 2방향으로 간헐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접합부에서 서로 접합되어 일체화되고, 상기 섬유 집합체를 구성하는 구성 섬유는 인접한 접합부의 각 쌍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연장하는 긴 섬유이고, 그들 접합부 사이에서 곡선을 그리며, 상기 접합부에서 상기 긴 섬유는 상기 탄성 시트에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신축성 복합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섬유는 상기 인접한 접합부의 각 쌍 사이에서 연장하는 영역에서 서로 용착 및 접착되지 않는 것을 탄성 신축성 복합 시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섬유는 상기 인접한 접합부의 각 쌍 사이에서 연장하는 영역에서 서로 분리 독립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신축성 복합 시트.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섬유는 상기 인접한 접합부의 각 쌍 사이에서 연장되는 영역에서 고리 모양을 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신축성 복합 시트.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섬유는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스테르로 구성되는 신장된 실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신축성 복합 시트.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섬유 각각은 직경이 0.1 내지 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신축성 복합 시트.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섬유는 연속 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신축성 복합 시트.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 집합체의 평량은 2 내지 100 g/m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신축성 복합 시트.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시트는 탄성 신축성의 필름 또는 탄성 신축성의 연속 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신축성 복합 시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신축성의 필름은 액체 투과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신축성 복합 시트.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신축성의 필름은 JIS Z 0208의 규정에 따른 액체 투과성이 1000g/m2/24 hr이고, JIS L 1092의 규정에 따른 내수압성이 1 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신축성 복합 시트.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신축성의 필름은 경질 성분과 연질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블록 공중합체 폴리에스테르로 구성되고, 상기 연질 성분은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에테르의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신축성 복합 시트.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신축성의 연속 섬유는 경질 성분과 연질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블록 공중합체 폴리에스테르로 구성되고, 상기 연질 성분은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에테르의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신축성 복합 시트.
  1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2방향으로 20% 이상까지 탄성적으로 신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신축성 복합 시트.
KR1020000039894A 1999-07-12 2000-07-12 탄성 신축성 복합 시트 KR1007071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15999 1999-07-12
JP1999-198159 1999-07-12
JP2000-168303 2000-06-05
JP2000168303A JP3794903B2 (ja) 1999-07-12 2000-06-05 弾性伸縮性複合シー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6922A KR20010066922A (ko) 2001-07-11
KR100707152B1 true KR100707152B1 (ko) 2007-04-16

Family

ID=26510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9894A KR100707152B1 (ko) 1999-07-12 2000-07-12 탄성 신축성 복합 시트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6730390B1 (ko)
EP (1) EP1069223B1 (ko)
JP (1) JP3794903B2 (ko)
KR (1) KR100707152B1 (ko)
CN (1) CN1221379C (ko)
AU (1) AU777765B2 (ko)
BR (1) BR0009150A (ko)
CA (1) CA2313707C (ko)
DE (1) DE60026791T2 (ko)
ID (1) ID26544A (ko)
MY (1) MY125135A (ko)
SG (1) SG92721A1 (ko)
TW (1) TW54115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23711B2 (ja) 2000-01-20 2005-12-0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伸縮性複合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768769B2 (ja) 2000-03-30 2006-04-1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弾性伸縮性複合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2067203A (ja) * 2000-09-01 2002-03-05 Uni Charm Corp 親水性の弾性伸縮性複合シート
JP3734695B2 (ja) * 2000-09-01 2006-01-1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弾性伸縮性複合シートおよびその複合シートを使用した使い捨ての着用物品
FI111503B (fi) * 2000-11-17 2003-07-31 Nokia Corp Sanomien lähettäminen pakettiradioverkon käsittävässä tietoliikennejärjestelmässä
JP4965777B2 (ja) * 2001-07-25 2012-07-0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弾性複合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4063519B2 (ja) 2001-10-15 2008-03-1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非弾性的な伸長性を有する繊維ウエブの製造方法
US7651653B2 (en) 2004-12-22 2010-01-2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achine and cross-machine direction elastic materials and methods of making same
US8052666B2 (en) 2004-12-30 2011-11-0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Fastening system having elastomeric engaging elements and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made therewith
US20060148359A1 (en) * 2004-12-30 2006-07-0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Nonwoven loop material
EP2022878B1 (en) * 2006-05-31 2014-10-15 Kao Corporation Stretch nonwoven fabric
KR101368848B1 (ko) * 2006-12-28 2014-03-03 가오 가부시키가이샤 신축 시트 및 그 제조방법
US7902093B2 (en) 2007-01-26 2011-03-08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Elastomeric nonwovens
CA2712517C (en) 2008-01-24 2015-12-22 Clopay Plastic Products Company, Inc. Elastomeric materials
US7968479B2 (en) * 2008-06-30 2011-06-2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Elastic multilayer composite including pattern unbonded elastic materials, articles containing same, and methods of making same
DE102009055951A1 (de) 2009-11-27 2011-06-01 Glatfelter Falkenhagen Gmbh Absorbierende Struktur
JP5783951B2 (ja) 2012-04-27 2015-09-2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複合シートおよび複合シートの製造方法
TWI550155B (zh) * 2014-10-17 2016-09-21 Kao Corp Not weaving
JP6074523B1 (ja) * 2016-01-29 2017-02-01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の伸縮構造
JP6108372B1 (ja) * 2016-01-29 2017-04-05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の伸縮構造及びその製造方法
BR112019015923B1 (pt) 2017-01-31 2023-12-2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Não-tecido formatado, artigo absorvente e embalagem de artigo absorvente
DE112018000618T5 (de) 2017-01-31 2019-12-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Geformtes Vlies
DE102019107771A1 (de) * 2019-03-26 2020-10-01 Reifenhäuser GmbH & Co. KG Maschinenfabrik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Vlieslaminates und Vlieslamina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6038620A1 (en) * 1995-06-01 1996-12-0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Flat elastomeric nonwoven laminate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20415A (en) * 1985-07-30 1988-01-19 Kimberly-Clark Corporation Composite elastomeric material and process for making the same
DE19604956C2 (de) * 1996-02-10 1999-03-25 Corovin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mehrlagigen elastischen Flächengebildes sowie mehrlagiges elastisches Flächengebilde
JPH09300504A (ja) * 1996-05-16 1997-11-25 Kao Corp 透湿性複合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吸収性物品
JPH10165437A (ja) * 1996-10-08 1998-06-23 Kao Corp パンツ型の使い捨ておむつ
DE19647459C2 (de) * 1996-11-16 2001-01-25 M & W Verpackungen Gmbh Flächengebilde aus einer gummielastischen Schicht mit aufliegender Vliesschicht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US6001460A (en) * 1996-12-30 1999-12-1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Elastic laminated fabric material and method of making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6038620A1 (en) * 1995-06-01 1996-12-0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Flat elastomeric nonwoven laminat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026791T2 (de) 2006-11-16
AU4717700A (en) 2001-01-18
EP1069223A1 (en) 2001-01-17
TW541157B (en) 2003-07-11
BR0009150A (pt) 2001-11-20
ID26544A (id) 2001-01-18
US6730390B1 (en) 2004-05-04
JP2001079972A (ja) 2001-03-27
EP1069223B1 (en) 2006-03-22
CA2313707A1 (en) 2001-01-12
MY125135A (en) 2006-07-31
KR20010066922A (ko) 2001-07-11
JP3794903B2 (ja) 2006-07-12
CN1221379C (zh) 2005-10-05
AU777765B2 (en) 2004-10-28
CN1283422A (zh) 2001-02-14
DE60026791D1 (de) 2006-05-11
CA2313707C (en) 2014-08-12
SG92721A1 (en) 2002-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7152B1 (ko) 탄성 신축성 복합 시트
KR100657833B1 (ko) 탄성 신축성 복합 시트의 제조 방법
KR100666968B1 (ko) 탄성 신축성 복합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KR100655807B1 (ko) 탄성 신축성 복합 시트의 제조 방법
JP3723711B2 (ja) 伸縮性複合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732125B1 (ko) 탄성 신축성 복합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KR100791865B1 (ko) 탄성신축성을 갖는 복합 시이트의 제조 방법
KR100648157B1 (ko) 탄성 신축성 적층 시이트 및 그 제조 방법
JP2001270018A (ja) 複合シート
JP3723726B2 (ja) 弾性伸縮性複合シートの製造方法
JP3990875B2 (ja) 弾性伸縮性複合シート
KR100933005B1 (ko) 비탄성적인 신장성을 갖는 섬유 웨브의 제조 방법
JP2003105678A (ja) 弾性的な伸長性を有する複合シート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