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4850B1 - 지폐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지폐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4850B1
KR100704850B1 KR1020050114847A KR20050114847A KR100704850B1 KR 100704850 B1 KR100704850 B1 KR 100704850B1 KR 1020050114847 A KR1020050114847 A KR 1020050114847A KR 20050114847 A KR20050114847 A KR 20050114847A KR 100704850 B1 KR100704850 B1 KR 1007048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ck
banknote
shutter
processing apparatus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48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0606A (ko
Inventor
노보루 야마기시
노부유키 이이다
유키오 이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닛본 콘럭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닛본 콘럭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닛본 콘럭스
Publication of KR200600606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06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48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48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6Handling of valuable pap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7/00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 G07F7/04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paper currency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11/00Paper-money handl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ile Receivers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폐반송로(6)를 개폐하는 셔터부(21)와, 상기 지폐반송부(6)를 따라 안내된 지폐를 지폐수납부(4)에 수납하는 스택부(11)를 구비한 지폐처리장치에 있어서, 셔터부(21)와 스택부(11)를 하나의 구동부(스택 모터(42))로 구동하는 구동부(41)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부(41)는 셔터부(21)를 구동하는 제 1 구동부재(스택 링크(45)의 선단(45a))와, 스택부(11)를 구동하는 제 2 구동부재(스택 링크(45)의 돌출면(45b))를 가지며, 이 제 1 구동부재와 제 2 구동부재 중 적어도 한 쪽의 구동부재의 동작에 대하여, 셔터부(21) 또는 스택부(11)가 동작하지 않는 부동작영역을 가지도록 하고 있다.
지폐처리, 지폐반송, 지폐수납

Description

지폐처리장치{Apparatus for processing paper money}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지폐처리장치의 개념단면도로, 특히 지폐처리장치의 대기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지폐처리장치의 요부개념 사시도로서, 특히 도 1의 장치본체로부터 지폐수납부를 제거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지폐처리장치의 요부개념 사시도로서, 특히 도 2의 장치본체로부터 상부 슈트를 제거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지폐처리장치의 요부개념 사시도로서, 특히 도 2의 장치본체로부터 노출한 리프트 테이블을 제거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d는 도 1의 지폐처리장치의 스택 캠(stack cam)의 회전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특히 도 5a는 대기상태에서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5b는 지폐반송 도중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5c는 지폐를 일시 보류하고, 투입지폐가 진권이라고 판별되었을 때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또한 도 5d는 스택 동작시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지폐처리장치의 개념단면도로서, 특히 셔터(shutter)부의 동작에 의해 지폐반송로가 확개(擴開)된 경우에 스택부가 동작하지 않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한편, 도 6은 캐리어 스위치와 이것이 검지 하는 리프트 테이블의 셔터의 모습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요부개념 확대도도 함께 도시하고 있다.
도 7은 도 3의 상부 슈트를 제거한 상태에서 다시 지폐식별부 및 리프트 테이블을 제거한 모습을 나타내는 확대개념 파단면도로서, 구동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지폐처리장치의 개념단면도로서, 특히 지폐수납통로영역으로 안내된 지폐를 일시 보류하여 셔터부의 동작에 의해 지폐반송로를 폐색(閉塞)한 경우, 스택부가 동작하지 않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제 1 실시예의 지폐처리장치의 개념단면도로서, 특히 스택부의 동작에 의해 지폐수납동작을 하고 있는 경우, 셔터부가 동작하지 않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지폐처리장치의 요부개념 단면도로서, 특히 스택부에 의한 지폐수납동작이 이루어지지 않고, 셔터부에 의해 제 1 통로가 폐색된 상태에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지폐처리장치의 요부개념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지폐처리장치의 요부개념 단면도로서, 특히 스택부에 의한 지폐수납동작이 이루어지지 않고, 셔터부에 의해 제 2 통로가 폐색된 상태에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의 지폐처리장치의 요부개념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지폐처리장치의 요부개념 단면도로 서, 특히 스택부에 의한 지폐수납동작이 이루어지지 않고, 셔터부에 의해 제 1 통로가 폐색된 상태에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a 및 도 15b는 셔터수단과 스택수단을 공통의 구동원에 의해 구동하는 종래의 지폐처리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개념도로, 특히 도 15a는 셔터수단에 의해 지폐반송로의 상류가 개방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5b는 셔터수단에 의해 지폐반송로의 상류가 폐색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자동판매기, 환전기, 파칭코구슬 대여기, 메달 대여기 등(이하, '자동판매기 등'이라고 함)에 사용되는 지폐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폐(쿠폰권 등을 포함)를 취급하는 자동판매기 등의 기기본체 안에는, 삽입된 지폐의 진위를 판별하는 동시에, 진권이라고 보이는 지폐만을 축적수용하도록 한 지폐처리장치가 장착되어 있다.
이 종래의 지폐처리장치는, 지폐투입구로부터 투입된 지폐를 지폐반송로를 따라 반송하는 동시에 상기 지폐반송로의 도중에서 지폐를 일시 보류하는 지폐반송수단과, 상기 일시 보류된 지폐의 진위를 판별하는 지폐식별부와, 상기 지폐식별부의 판별결과에 따라 지폐반송로를 개폐하는 셔터수단과, 진권이라고 판별된 지폐를 지폐수납부에 수납하는 스택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종래의 지폐처리장치에는 특히, 상술한 셔터수단과 스택수단을 공통의 구동원에 의해 구동하는 것이 있다(일본 특허공개 2002-230621호 공보의 도 1, 도 7, 도 8 및 도 9 참조).
도 15a 및 도 15b는 셔터수단과 스택수단을 공통의 구동원에 의해 구동하는 종래의 지폐처리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개념도로서, 특히 도 15a는 셔터수단에 의해 지폐반송로의 상류가 개방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5b는 셔터수단에 의해 지폐반송로의 상류가 폐색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래의 지폐처리장치(100)에서는 지폐투입구(115)에 연결되어 지폐반송로(11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지폐반송로(116)의 종단에 연결되어 지폐수납통로영역(110)(일점쇄선으로 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지폐반송로(116)의 상류에는 셔터 레버인 셔터수단(121)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지폐수납통로영역(110)을 사이에 두고 지폐수납부(도시하지 않음)와 마주보는 위치에는, 지폐를 상기 지폐수납부로 수납하는 스택수단(111)이 설치되어 있다. 이 스택수단(111)은 지폐수납통로영역(110)으로 안내된 지폐의 지면을 상기 지폐수납부를 향하여 누르는 리프트 테이블(112)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셔터수단(121)과 스택수단(111)은 서로 연결되어 도시하지 않은 공통의 모터에 의해 연동하여 구동된다. 한편, 이 구성은 예를 들어, 상술한 일본 특허공개 2002-230621호 공보(도 1, 도 7, 도 8 및 도 9)에 개시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공보를 참조하면 된다.
이와 같은 구조의 종래의 지폐처리장치(100)에서는 도 1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셔터수단(121)에 의해 지폐반송로(116)의 상류가 개방되어 있을 때, 리프트 테이블(112)에 의해 지폐반송로(116)의 종단이 폐색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모터를 구동하면, 도 1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셔터수단(121)에 의해 지폐반송로(116)의 상류가 폐색되는 동시에, 리프트 테이블(112)에 의해 지폐반송로(116)의 종단이 개방된다.
또한, 도 15b의 상태에서 상기 모터를 구동하면, 도 1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셔터수단(121)에 의해 지폐반송로(116)의 상류가 개방되는 동시에, 리프트 테이블(112)에 의해 지폐반송로(116)의 종단이 폐색된다.
또한, 이와 같은 구조의 종래의 지폐처리장치(100)에서는, 대기 상태에서 도 1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셔터수단(121)에 의해 지폐반송로(116)의 상류가 개방되어 있다. 또한, 지폐투입구(115)로부터 지폐가 투입되면, 상기 지폐반송수단에 의해 지폐가 지폐반송로(116)를 따라 반송된다.
또한, 반송된 지폐가 지폐반송로(116)의 소정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지폐반송수단이 구동을 일시 정지하기 때문에, 이에 의해 지폐반송로(116) 안에 지폐가 일시 보류된다. 또한 그 후, 도 1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셔터수단(121)에 의해 지폐반송로(116)의 상류가 폐색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지폐반송로(116)의 상류가 폐색된 후, 지폐식별부에 의해 일시 보류된 지폐가 진권이라고 판별되면, 상기 지폐는 상기 지폐반송수단의 구동에 의해 다시 지폐반송로(116)를 따라 안내된다.
그리고, 지폐가 지폐수납통로영역(110)에 안내되면, 도 1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모터를 구동한다. 그러면, 리프트 테이블(112)이 상기 지폐의 지면을 누르기 때문에 압착된 지폐는 지폐수납부로 수납된다.
상술한 종래의 지폐처리장치(100)에서는 도 1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기상태에서부터 지폐를 일시 보류하려고 할 때까지는, 셔터수단(121)에 의해 지폐반송로(116)의 상류가 개방되어 있는 한편, 리프트 테이블(112)에 의해 지폐반송로(116)의 종단이 폐색되어 있기 때문에, 일시 보류하려고 하는 지폐를 지폐수납통로영역(110)으로 안내할 수 없다.
즉, 종래의 지폐처리장치에서는 지폐를 일시 보류하기 위한 통로의 일부로서 지폐수납통로영역(110)을 사용할 수 없었다.
그 때문에, 지폐반송로(116)의 통로길이를, 지폐를 일시 보류하기 위한 통로로서 필요한 통로길이 즉, 지폐 길이방향의 길이만큼의 통로길이(S)를 적어도 가지도록 형성할 필요가 있으며, 이에 의해 지폐처리장치(100)가 대형화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소형 지폐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지폐처리장치에서는 지폐반송로를 개폐하는 셔터부와, 상기 지폐반송로를 따라 안내된 지폐를 지폐수납부에 수납하는 스택부를 구비한 지폐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셔터부와 상기 스택부를 하나의 구동부로 구동하는 구동부를 가지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셔터부를 구동하는 제 1 구동부재와 상기 스택부를 구동하는 제 2 구동부재를 가지며, 상기 제 1 구동부재와 상기 제 2 구동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구동부재의 동작에 대하여, 상기 셔터부 또는 상기 스택부가 동작하지 않는 부동작영역을 가지도록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지폐처리장치는, 셔터부와 스택부를 하나의 구동부로 구동하는 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부는 셔터부를 구동하는 제 1 구동부재와, 스택부를 구동하는 제 2 구동부재를 가지며, 제 1 구동부재와 상기 제 2 구동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구동부재의 동작에 대하여, 셔터부 또는 상기 스택부가 동작하지 않는 부동작영역을 가지도록 하였기 때문에, 셔터부에 의해 지폐반송로가 개방되고, 스택부에 의해 지폐반송로의 종단이 폐색되지 않는 상태를 확보할 수 있어, 이에 의해 지폐반송로 종단에 연결된 지폐수납통로영역을 지폐를 일시 보류하기 위한 통로의 일부로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지폐반송로와 상기 지폐수납통로영역에 의해, 지폐를 일시 보류하기 위한 통로로서 필요한 통로길이, 즉 적어도 지폐 길이방향의 길이만큼의 길이를 확보하면 되고, 이에 의해 지폐처리장치의 소형화를 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및 효과는 아래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도면에 의해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지폐처리장치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지폐처리장치의 개념단면도로서, 특히 지폐처리장치의 대기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실시예의 지폐처리장치(1)는 장치본체(2) 와, 상기 장치본체(2)의 정면에 나사멈춤 고정되는 프론트 마스크(3)와, 장치본체(2)의 뒷면에 지지되는 지폐수납부(4)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 프론트 마스크(3)에는 지폐투입구(5)가 형성되어 있다. 이 프론트 마스크(3)는, 도시하지 않은 자동판매기 등의 정면을 구성하는 문에 형성된 프론트 마스트 설치구멍으로부터 지폐투입구(5)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장치본체(2)에는 지폐반송로(6)가 형성되어 있다.
이 지폐반송로(6)는 지폐투입구(5)에 연통하는 프론트 마스크(3)측의 제 1 통로(7)와, 상기 제 1 통로(7)와 연결되며 지폐반송로(6)의 종단을 형성하는 지폐수납부(4)측의 제 2 통로(8)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지폐반송로(6)의 종단, 즉 제 2 통로(8)의 종단에는 지폐수납통로영역(10)이 연직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이 지폐수납통로영역(10)의 폭방향 양끝에는 단면 'ㄷ'자 모양의 스택 가이드(20)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이 스택 가이드(20)는 그 홈 안에 끼워들어간 지폐를 지폐수납통로영역(10)을 따라 안내하는 부재이다.
도 2는 도 1의 지폐처리장치의 요부개념 사시도로서, 특히 도 1의 지폐처리장치(1)로부터 지폐수납부(4)를 제거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치본체(2)에는, 도 1의 지폐수납부(4)와 지폐수납통로영역(10)을 사이에 두고 마주보는 위치에 리프트 테이블(12)이 배치되어 있다.
이 리프트 테이블(12)은 지폐수납통로영역(10)에 안내된 지폐를 압착하여 지 폐수납부로 수납하는 스택부(11)를 구성하는 것이다.
한편, 도 2의 부호 55는 장치본체(2) 안에 배치된 캐리어 스위치이다. 이 캐리어 스위치(55)는 리프트 테이블(12) 상단의 셔터(12a)(도 6)를 검지하는 센서로서,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로 구성되어 있다.
도 3은 도 1의 지폐처리장치의 요부개념 사시도로서, 특히 도 2의 장치본체로부터 상부 슈트(2a)를 제거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의 장치본체(2)에 설치되는 상부 슈트(2a)를 제거하면,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치본체(2) 안에 지폐식별부(3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지폐식별부(30) 및 상부 슈트(2a)는 장치본체(2)에 착탈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지폐식별부(30)에는 셔터부(21)가 설치되어 있다.
이 셔터부(21)는 제 2 통로(8)를 개폐하는 부재로서, 상기 셔터부(21)는 선단(22a)을 제 2 통로(8)로 출몰시키는 셔터 레버(22)와, 상기 셔터 레버(22)의 지지부(22b)(도 1)를 제 1 통로(7)가 형성되어 있는 측에 수평방향으로 누르는 도시하지 않는 셔터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중 셔터 레버(22)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단(22a)을 지지하는 지지부(22b)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 지지부(22b)의 근방에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22b)를 검지하는 셔터 스위치(31)가 배치되어 있다. 한편, 이 셔터 스위치(31)는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3의 부호 28은 제 1 통로(7) 및 제 2 통로(8)를 따라 지폐를 반송 하는 지폐반송 벨트이다. 이 지폐반송 벨트(28)는 도 1의 상부 슈트(2a) 안의 지폐반송 모터(27)에 의해 구동된다. 또한, 도 3의 부호 29는 지폐의 진위를 식별하는 지폐식별부로서, 상기 지폐식별부(29)는 자기센서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이 지폐식별부(29)와 지폐반송 벨트(28)는 상술한 지폐식별부(30)에 설치되어 있다.
도 4는 도 1의 지폐처리장치의 요부개념 사시도로서, 특히 도 2의 장치본체로부터 노출되는 리프트 테이블을 제거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치본체(2) 안에는 상기 셔터부(21)와 스택부(11)를 구동하는 구동부(41)가 설치되어 있다.
이 구동부(41)는 스택 모터(42)와, 스택 모터(42)의 도시하지 않는 기어에 맞물려 회전운동하는 스택 캠(44)과, 스택 캠(44)에 맞물려 셔터부(21)(도 1)를 향하거나 또는 그 반대방향을 향하여 이동하는 스택 링크(45)와, 스택 링크(45)의 상기 이동에 의해 스택 링크(45)의 면(45c)에 접한(혹은 약간 이간(離間)한) 위치로부터 돌출면(45b)을 승강하는 스택 롤러(46)와, 상기 스택 롤러(46)를 지지하여 스택 롤러(46)의 상기 승강에 의해 지폐수납부(4)를 향하거나 혹은 그 반대방향을 향하여 이동하는 스택 샤프트(47)와, 상기 스택 샤프트(47)를 끼워넣는 동시에 스택부(11)의 뒷면에 맞물려, 스택부(11)를 지폐수납부(4)를 향하거나 또는 그 반대방향을 향하여 이동시키는 팬터그래프(pantograph) 구조의 스택 암(13)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 스택 모터(42)는 도 1의 셔터부(21)와 스택부(11)를 구동하는 공통의 구동원이다.
또한, 스택 링크(45)는 셔터부(21)를 향하여 설치된 선단(45a)과, 지폐수납부(4)를 향한 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을 따라 형성된 면(45c)과, 지폐수납부(4)를 향하여 돌출하는 돌출면(45b)을 가지고 있다. 이 돌출면(45b)과 면(45c)은 연결되어 있다.
또한, 면(45c)의 대략 중간부에는 관통하는 창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창을 관통하여 장치본체(2)에 고정된 리브에 리프트 스프링(19)의 일단이 지지되어 있다. 이 리프트 스프링(19)의 타단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프트 테이블(12)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리프트 스프링(19)은 리프트 테이블(12)을 항상 장치본체(2) 측으로 누르고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택 링크(45)의 후단부에는 스택 캠(44)의 캠축(44a)이 끼워져 들어가는 긴 구멍(45d)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스택 샤프트(47)는 스택 롤러(46)의 양단을 지지하고 있다. 또한, 스택 샤프트(47)의 양단에는 가이드(50)가 설치되어 있다. 이 가이드(50)는 그 홈 안에 스택 샤프트(47)를 끼워넣고 있다. 이 가이드(50)는 스택 롤러(46) 및 스택 샤프트(47)의 이동을 지폐수납부(4)를 향한 측 및 그 반대방향으로 규제하는 가이드 부재이다.
또한, 팬터그래프 구조의 스택 암(13)은 스택 샤프트(47)의 끝에 설치되어 있다.
이 스택 암(13)은 제 1 암(14)과 제 2 암(15)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 1 암(14)과 제 2 암(15)에는 모두 스택 샤프트(47)의 일단이 끼워져 들어가는 긴 구멍 (1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암(14)은 일단측이 장치본체(2)의 제 1 축(17)에 지지되어 있으며, 타단측은 후술하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프트 테이블(12)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제 2 암(15)은 일단측이 장치본체(2)의 제 2 축(18)에 지지되어 있으며, 타단측은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프트 테이블(12)에 연결되어 있다.
한편, 도 4의 부호 55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장치본체(2)에 설치된 캐리어 스위치이다. 이 캐리어 스위치(55)는 리프트 테이블(12)의 일단을 검지하는 것으로,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지폐처리장치(1)는, 대기상태에서는 도 4 및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캠축(44a)은 연직방향의 최하점으로부터 캠(44)이 한 방향으로 제 1 소정 각도(예를 들어, 60도) 회전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한편, 도 5a 내지 도 5d는 도 1의 지폐처리장치의 스택 캠(44)의 회전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특히 도 5a는 대기상태에서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5b는 지폐반송 도중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5c는 지폐를 일시 보류하고 투입지폐가 진권이라고 판별되었을 때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또한 도 5d는 스택 동작시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5a에 나타내는 대기상태에서 스택 링크(45)의 선단(45a)은, 셔터 레버(22)의 지지부(22b)의 뒷면으로 들어가 지지부(22b)를 누르고 있다. 그 때문에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셔터 레버(22)는 도시하지 않은 셔터 스프링의 압력에 대하여 지점(24)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선단(22a)을 제 2 통로(8)로 돌출시키고 있 으며, 이에 의해 상기 제 2 통로(8)는 폐색되어 있다.
또한, 셔터 스위치(31)(도 1)는 차광상태로 되어 있어, 이에 의해 제 2 통로(8)의 폐색이 검지된다.
또한, 대기상태에서 스택 롤러(46)는 스택 링크(45)의 면(45c)에 압접(혹은 약간 이간)되어 있다.
또한, 팬터그래프 구조의 스택 암(13)은 제 1 암(14)과 제 2 암(15)에 의해 수축하여, 지폐수납부(4)로부터 가장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그 때문에 제 2 통로(8)의 종단은 리프트 테이블(12)에 의해 막히지 않고 개방되어 있다. 한편, 지폐수납통로영역(10)도 개방되어 있다.
한편, 캐리어 스위치(55)는 리프트 테이블(12)의 일단에 의해 차광되어 있으며, 이에 의해 리프트 테이블(12)이 수납동작을 하지 않는 대기위치에 있는 것이 검지되고 있다.
이어서, 지폐가 투입되면,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투입을 검지하여 지폐반송 모터(27)가 구동됨으로써 지폐반송벨트(28)(도 3)가 회전운동되는 동시에, 스택 모터(42)를 구동하여 스택 캠(44)을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지폐반송벨트(28)의 구동에 의해 지폐는 지폐반송로(6)의 제 1 통로(7)를 따라 안내된다. 그리고, 그 후 지폐는 제 2 통로(8)를 따라 안내된다.
또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택 캠(44)의 회전에 의해 스택 링크(45)는 캠 축(44a)과 함께 연직방향을 따라 아래로 이동한다. 또한, 아래로 이동하는 스택 링크(45)는 상기 스택 스프링의 압력에 의해 서서히 선단(45a)을 셔터 레 버(22)의 지지부(22b)로부터 이간시키고, 상기 지지부(22b)의 뒷면으로 들어가 상기 지지부(22b)를 누른 상태를 서서히 해제한다.
그리고,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택 캠(44)의 회전각도(D)가 제 1 소정 각도(예를 들어, 60도)에 도달하면, 캠축(44a) 및 스택 링크(45)는 각각 연직방향 최하점에 도달하고,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택 링크(45)의 선단(45a)이 결국 셔터 레버(22)의 지지부(22b)로부터 완전히 떨어져, 상기 지지부(22b)의 뒷면으로 들어가 상기 지지부(22b)를 누르고 있던 상태를 완전히 해제한다.
그 때문에, 셔터 레버(22)는 상기 셔터 스프링의 압력에 의해 지점(24)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그 선단(22a)을 제 2 통로(8)로부터 떨어뜨리기 때문에, 이에 의해 상기 제 2 통로(8)가 개방된다.
한편, 이 제 2 통로(8)의 개방은 셔터 스위치(31)가 셔터 레버(22)의 지지부(22b)에 의해 투광됨으로써 검지된다.
또한, 셔터 레버(22)에 의해 제 2 통로(8)가 개방된 후, 지폐식별부(29)(도 3)에 의해 투입된 지폐에 대한 진위판별이 이루어진다(지폐를 판별할 때, 투입된 지폐는 에스크로(escrow) 위치에서 정지된다).
여기서, 지폐가 진권이라고 판별된 경우에는, 스택 모터(42)를 구동하여 스택 캠(44)을 다시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리고, 그 회전각도(D)가 도 5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소정 각도(예를 들어, 120도)에 도달했을 때, 스택 모터(42)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이에 의해, 도 7의 화살표 A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택 링크(45)는 캠 축 (44a)과 함께 셔터 레버(22)를 향하여 연직방향으로 위로 이동한다. 또한, 도 7의 화살표 B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로 이동한 스택 링크(45)의 선단(45a)은 상기 셔터 스프링의 압력에 대하여 서서히 셔터 레버(22) 지지부(22b)의 뒷면으로 들어가려고 하여 이에 의해 상기 지지부(22b)의 뒷면을 누른다.
그리고,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택 캠(44)의 회전각도(D)가 제 2 소정 각도(예를 들어, 120도)에 도달하여 스택 모터(42)가 정지했을 때, 결국 스택 링크(45)의 선단(45a)은 지지부(22b)의 뒷면으로 들어가, 지지부(22b)의 뒷면을 누른다. 그 때문에, 지지부(22b)에 눌린 셔터 레버(22)는 지점(24)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선단(22a)을 제 2 통로(8)로 돌출시키기 때문에, 이에 의해 상기 제 2 통로(8)가 폐색된다. 한편, 이 제 2 통로(8)의 폐색은 셔터 스위치(31)가 차광상태가 됨으로써 검지된다.
또한, 제 2 통로의 통로(8)가 폐색되었을 때, 제 2 통로(8)를 따라 안내되던 지폐는 이미 그 후단이 셔터 레버(22)의 선단(22a)을 통과하고 있기 때문에, 여기서 지폐반송 벨트(28)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그러면, 지폐는 그 후단이 셔터 레버(22)의 선단(22a)을 통과한 위치에서 일시 보류하게 된다.
한편, 지폐 후단의 하류에 있는 제 2 통로(8)는 셔터 레버(22)의 선단(22a)에 의해 폐색되기 때문에, 지폐투입구(5)로부터 보류지폐를 뽑아내는 등의 이용자의 나쁜 행동을 가급적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대기상태에서 일시 보류될 때까지, 리프트 테이블(12)은 대기위치로부터 움직이지 않는다.
즉, 스택 링크(45)의 상기 상하로의 움직임에 의해, 상기 스택 링크(45)의 돌출면(45b)은 스택 롤러(46)로부터 서서히 이간 또는 접근하는데, 스택 롤러(46)는 면(45c)에 압접(또는 약간 이간)하고 있기 때문에, 지폐수납부(4)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스택 롤러(46) 및 스택 샤프트(47)는 지폐수납부(4)를 향한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대기위치를 유지하며, 이에 의해 팬터그래프 구조의 스택 암(13) 및 리프트 테이블(12)도 상기 대기위치를 유지한다.
따라서, 지폐를 일시 보류하는 경우, 제 2 통로(8)의 종단은 스택부(11)에 의해 막히지 않고 개방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와 같이 투입된 지폐를 일시 보류할 때, 제 2 통로(8)의 종단은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폐 선단을 지폐수납통로영역(10) 안으로 안내한 위치에서 상기 지폐를 일시 보류할 수 있다.
한편, 캐리어 스위치(55)는 리프트 테이블(12)의 일단에 의해 차광됨으로써, 대기위치의 유지를 검지한다.
한편, 상술한 도 6은 제 1 실시예의 지폐처리장치의 개념단면도로서, 특히 셔터부의 동작에 의해 지폐반송로가 확개된 경우에 스택부가 동작하지 않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한편, 도 6에서는 캐리어 스위치(55)와 이것이 검지하는 리프트 테이블(12)의 셔터부(12a)의 모습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요부개념 확대도도 함께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7은 도 3의 상부 슈트(2a)를 제거한 상태에서, 다시 지폐식별부(29) 및 리프트 테이블(12)을 제거한 모습을 나타내는 확대개념 파단면 도로서, 구동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8은 제 1 실시예의 지폐처리장치의 개념단면도로서, 특히 지폐수납통로영역에 안내된 지폐를 일시 보류시켜 셔터부의 동작에 의해 지폐반송로를 폐색한 경우에, 스택부가 동작하지 않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일시 보류된 지폐는 지폐처리장치(1)가 배치되어 있는 자동판매기 등에 있어서, 상품의 구입 버튼이 눌리고, 이에 의해 상품이 배출된 후, 지폐반송 벨트(28)의 구동에 의해 다시 반송된다.
그리고, 반송되는 지폐의 후단이 지폐수납통로영역(10)에 도달한 경우에는, 스택 모터(42)를 구동하여 도 5c의 스택 캠(44)을 다시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리고, 도 5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회전각도(D)가 제 3 소정각도(예를 들어, 240도)에 도달할 때까지 회전시킨다.
그러면, 스택 링크(45)는 캠 축(44a)과 함께 연직방향을 따라 위로 이동한다. 그리고 스택 캠(44)의 회전각도(D)가 제 3 소정 각도(예를 들어, 240도)에 도달하면, 캠축(44a) 및 스택 링크(45)는 각각 연직방향 최상점에 도달한다.
또한,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택 롤러(46)는 스택 링크(45)가 위로 움직임으로써, 상기 돌출면(45b)을 따라 상승한다. 그리고 스택 캠(44)의 회전각도(D)가 제 3 소정 각도(예를 들어, 240도)에 도달하면, 스택 롤러(46)는 그 돌출면(45b)의 가장 높은 위치에 도달한다. 또한, 이 상승시에, 스택 샤프트(47)는 돌출면(45b)의 경사에 의해 지폐수납부(4)측을 향한 방향 즉, 도 7의 화살표 C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안내된다.
또한, 이와 같이 스택 샤프트(47)가 지폐수납부(4)를 향한 방향으로 이동하면,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팬터그래프 구조의 스택 암(13)을 구성하는 제 1 암(14)이 제 1 축(17)을 중심으로 한 방향으로 회전하여 리프트 테이블(12)을 지폐수납부(4)측으로 이동시키는 동시에, 제 2 암(15)이 제 2 축(18)을 중심으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여 리프트 테이블(12)을 지폐수용부 측으로 이동시킨다. 그 때문에, 스택 암(13) 전체는 리프트 스프링(19)에 대하여 연장되고, 리프트 테이블(12)은 제 2 통로(8)의 종단 및 지폐수납통로영역(10)을 가로질러 지폐수납부(4)측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스택 캠(44)의 회전각도(D)가 제 3 소정 각도(예를 들어, 240도)에 도달했을 때, 리프트 테이블(12)은 지폐수납부(4)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도달한다.
또한, 이 리프트 테이블(12)은 지폐수납통로영역(10)에 배치된 지폐를 지폐수납부(4)측으로 누른다. 그 때문에 눌린 지폐는 그 폭방향 양단을 각 스택 가이드(20)의 홈으로부터 빼내어 지폐수납부(4)에 수용되게 된다.
한편, 리프트 테이블(12)이 대기위치로부터 이동하고 있는 것은, 캐리어 스위치(55)가 투광상태가 됨으로써 검지된다.
한편, 상술한 스택 링크(45)가 위로 이동함으로써, 스택 링크(45)의 선단(45a)도 연직방향을 따라 위로 이동하는데, 여전히 상기 선단(45a)이 셔터 레버(22)의 지지부(22b)의 뒷면으로 들어가 지지부(22b)를 누르는 상태를 유지한다. 그 때문에, 도 9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셔터 레버(22)는 선단(22a)을 제 2 통로(8)로 돌출시킨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이에 의해 상기 제 2 통로(8)가 폐색된 상태 가 유지된다. 한편, 이 폐색상태의 유지는 셔터 스위치(31)의 차광상태가 유지됨으로써 검지된다.
한편, 상기 도 9는 제 1 실시예의 지폐처리장치의 개념단면도로서, 특히 스택부의 동작에 의해 지폐수납동작을 하고 있는 경우에, 셔터부가 동작하지 않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지폐가 수납된 후에는 스택 모터(42)를 다시 구동하고, 이에 의해 도 5d의 스택 캠(44)을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각도(D)가 제 4 소정 각도(예를 들어, 360도)에 도달할 때까지 다시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스택 링크(45)는 캠 축(44a)과 함께 연직방향을 따라 아래로 움직인다. 또한, 이렇게 스택 링크(45)가 아래로 이동함으로써 스택 롤러(46)는 돌출면(45b)을 따라 하강한다.
또한, 이 스택 링크(45)의 하강시, 스택 롤러(46) 및 스택 샤프트(47)는 돌출면(45b)의 경사에 의해 지폐수납부(4)를 향한 측과 반대측을 향하여 안내된다.
또한, 스택 샤프트(47)가 지폐수납부(4)를 향한 측과 반대측을 향하여 이동하면, 스택 암(13)을 구성하는 제 1 암(14)이 제 1 축(17)을 중심으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여 리프트 테이블(12)을 지폐수납부(4)를 향한 측과 반대측으로 이동시키는 동시에, 제 2 암(15)이 제 2 축(18)을 중심으로 한 방향으로 회전하여 리프트 테이블(12)을 지폐수납부(4)를 향한 측과 반대측으로 이동시킨다. 이 때문에, 스택 암(13) 전체는 리프트 스프링(19)의 압력에 의해 수축하고, 리프트 테이블(12)은 제 2 통로(8)의 종단 및 지폐수납통로영역(10)을 다시 가로질러 지폐수납부(4)를 향한 측과 반대측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스택 캠(44)의 회전각도(D)가 제 4 소정 각도(예를 들어, 360도)에 도달하면, 스택 롤러(46)는 돌출면(45b)을 하강한 후 결국 면(5c)에 도달하고, 상기 면(45c)을 압접(또는 약간 이간)한다(도 1 참조). 그 때문에, 스택 롤러(46) 및 스택 샤프트(47)는 지폐수납부(4)를 향한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스택 롤러(46) 및 스택 샤프트(47)는 리프트 스프링(19)의 압력에 의해 대기위치로 복귀하고, 또한 팬터그래프 구조의 스택 암(13)도 지폐수납부(4)로부터 가장 떨어진 상기 대기위치로 복귀한다. 그 때문에, 리프트 테이블(12)도 대기위치로 되돌하가고, 이에 의해 제 2 통로(8)의 종단이 개방된다.
한편, 이 대기위치로의 복귀는 캐리어 스위치(55)가 리프트 테이블(12)의 일단에 의해 차광됨으로써 검지된다.
또한, 상술한 스택 링크(45)가 아래로 이동함으로써, 그 선단(45a)도 연직방향을 따라 아래로 움직이는데, 여전히 상기 선단(45a)은 셔터 레버(22) 지지부(22b)의 뒷면으로 들어가 지지부(22b)를 누르는 상태를 유지한다. 이 때문에, 셔터 레버(22)는 선단(22a)을 제 2 통로(8)로 돌출시킨 상태를 유지하며, 이에 의해 상기 제 2 통로(8)의 폐색상태가 유지된다. 한편, 제 2 통로(8)의 폐색상태 유지는, 셔터 스위치(31)에서의 차광상태가 유지됨으로써 검지된다.
또한, 스택 캠(44)의 회전각도가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각도(D)가 제 4 소정 각도(예를 들어, 360도)에 도달한 경우에는, 스택 모터(42)의 구동을 정지한다. 그러면, 도 1에 나타내는 대기위치로 복귀할 수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지폐를 일시 보류시킨 경우에 있어서, 지폐식별부(29)에 의해 지폐가 위조권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스택 캠(44)은 도 5b에 나타내는 상태를 유지하여, 지폐반송벨트(28)를 역전 구동시킨다. 그러면, 위조권이라고 판별된 지폐는 제 2 통로(8)를 따라 안내된 후 제 1 통로(7)로 안내되며, 지폐투입구(5)로부터 반각된다.
또한, 이와 같이 지폐를 반각한 후, 스택 모터(42)를 역전 구동시켜 스택 캠을 도 5a에 나타내는 회전위치까지 복귀시키면, 지폐처리장치(1)는 도 1의 대기상태로 복귀된다.
이상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지폐처리장치(1)는 셔터부(21)를 구동하는 제 1 구동부재 예를 들어, 스택 링크(45)의 선단(45a)의 동작에 대하여, 스택부(11)가 동작하지 않는 부동작영역, 특히 대기위치로부터 동작하지 않는 부동작영역을 가지고 있다. 그 때문에, 셔터부(21)에 의해 제 2 통로(8)가 개방되는 동시에 리프트 테이블(12)의 일단에 의해 제 2 통로(8)의 종단이 폐색되지 않는 상태(도 6)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지폐처리장치(1)는 스택부(11)를 구동하는 제 2 구동부재 예를 들어, 스택 링크(45)의 돌출면(45b)의 동작에 대하여, 셔터부(21)가 동작하지 않는 부동작영역, 특히 제 2 통로(8)의 폐색을 유지하는 부동작영역을 가지고 있다. 그 때문에, 셔터부(21)에 의해 제 2 통로(8)가 개방되는 동시에, 리프트 테이블(12)의 일단에 의해 제 2 통로(8)의 종단이 폐색되지 않는 상태를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설명에서는, 스택부(11)를 구동하는 제 2 구동부재를 스택 링크 (45)의 돌출면(45b)으로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지폐처리장치의 상기 제 2 구동부재는 예를 들어, 스택 샤프트(47), 스택 롤러(46), 스택 암(13)이어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이와 같이 셔터부(21)에 의해 제 2 통로(8)를 개방하는 동시에, 리프트 테이블(12)의 일단에 의해 제 2 통로(8)의 종단, 즉 지폐반송로(6)의 종단이 폐색되지 않는 상태를 확보할 수 있다면,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폐반송로(6)의 종단에 연결되는 지폐수납통로영역(10)을 지폐를 일시 보류하기 위한 통로의 일부로서 사용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이 지폐처리장치(1)에서는 지폐를 일시 보류하기 위한 통로로서 필요한 통로길이, 즉 적어도 지폐 길이방향의 길이만큼의 통로길이(S)(도 15b 참조)를 지폐반송로(6)와 상기 지폐수납통로영역(10)에 의해 확보하면 되며, 이에 의해 지폐처리장치(1)의 소형화를 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지폐처리장치(1)는 셔터부(21)와 스택부(11)를 하나의 구동부(스택 모터(42))로 구동하는 구동부(41)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부(41)는 셔터부(21)를 구동하는 제 1 구동부재와, 스택부(11)를 구동하는 제 2 구동부재를 가지게 하며, 또한 제 1 구동부재와 제 2 구동부재 중 적어도 한 쪽의 구동부재의 동작에 대하여 셔터부(21) 또는 스택부(11)가 동작하지 않는 부동작영역을 가지도록 하였기 때문에, 셔터부(21)에 의해 지폐반송부(6)가 개방되는 경우에 지폐반송로(6)의 종단이 스택부(11)에 의해 폐색되는 상태를 방지할 수 있어, 지폐반송로(6) 종단에 연결되는 지폐수납통로영역을 지폐를 일시 보류시키기 위한 통로의 일부로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지폐반송로(6)와 상기 지폐수납통로영역(10)에 의해 지폐를 일시 보류시키기 위한 통로로서 필요한 통로길이 즉, 적어도 지폐 길이방향의 길이만큼의 통로길이(S)를 확보하면 되고, 이에 의해 지폐처리장치(1)의 소형화를 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지폐처리장치의 구동부(41)는 상기 제 1 구동부재와 상기 제 2 구동부재 중 적어도 한 쪽의 구동부재의 동작에 대하여, 셔터부(21) 또는 스택부(11)가 동작하지 않는 부동작영역을 가지도록 한 것으로서, 지폐처리장치의 구동부(41)가 상기 제 1 구동부재 예를 들어, 스택 링크(45)의 선단(45a)의 동작에 대하여, 셔터부(21)가 동작하지 않는 부동작영역을 가지는 구성인 것도 가능하며,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경우에도, 셔터부(21)에 의해 지폐반송로(6)가 개방되며, 스택부(11)에 의해 지폐반송로(6) 종단이 폐색되지 않는 상태를 확보할 수 있어, 이에 의해 지폐반송로(6) 종단에 연결되는 지폐수납통로영역(10)을 지폐를 일시 보류시키기 위한 통로의 일부로서 이용할 수 있어 지폐처리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이 지폐처리장치(1)에서는 셔터부(21)를 스택 모터(42)에 의해 구동하는 경우, 상기 셔터부(21)를 종래의 지폐처리장치와 같이 상부 슈트(2a)(도 1)에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장치본체(2) 안에 설치되며 상기 장치본체(2)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지폐식별부(30)에 설치하였기 때문에, 상기 종래의 지폐처리장치에 비하여 지폐처리장치의 구조가 보다 단순해진다.
또한, 이 지폐처리장치(1)에서는 셔터부(21)와 스택부(11)를 공통의 구동원 인 스택 모터(42)로 구동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셔터부(21)를 구동하기 위한 솔레노이드와, 스택부(11)를 구동하는 모터를 개별 독립하여 구비하는 종래의 지폐처리장치와 비교하여, 부품 갯수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으며, 또한 이에 의해 제조 비용을 낮출 수 있다.
또한, 이 지폐처리장치(1)에서는 도 9에 나타내는 지폐수납 동작시, 셔터부(21)에 의해 지폐투입구(5)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있는 제 2 통로(8)가 폐색되기 때문에, 지폐수납 동작시, 지폐투입구(5)로부터 지폐를 뽑아내는 등의 이용자의 나쁜 행동을 가급적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지폐처리장치(1)에서는 지폐반송로(6) 중에서 지폐투입구(5)에 연결되는 제 1 통로(7)가 아니라, 상기 제 1 통로에 연결되는 제 2 통로(8)에 셔터부(21)를 설치하고 있다. 때문에, 셔터부(21)는 상기 셔터부가 제 1 통로(7)에 설치되는 경우에 비하여, 지폐투입구(5)로부터 가급적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게 되어, 이에 의해 지폐투입구(5)로부터 셔터부(21)를 강제로 조작하는 등의 나쁜 행동을 가급적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이 제 1 실시예의 지폐처리장치(1)에서는 제 2 통로(8)에 셔터부(21)를 설치하였으나, 본 발명의 지폐처리장치에서는 셔터부(21)의 배치위치를 이것으로 한정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제 1 통로(7)에 셔터부(21)가 배치되어도 좋다.
한편, 상술한 지폐처리장치(1)에서는, 구동부(41)를 스택 모터(42)와, 스택 모터(42)에 맞물려 회전운동하는 스택 캠(44)과, 셔터부(21)를 향하여 배치된 선단(45a)을 가지고 지폐수납부(4)를 향한 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을 따라 형성된 면(45c)과, 상기 면(45c)에 연결되며 지폐수용부(4)를 향하여 돌출하는 돌출면(45b)을 가지는 동시에, 스택 캠(44)에 맞물리고 셔터부(21)를 향하거나 또는 그 반대방향을 향하여 이동하며, 선단(45a)에 의해 셔터부(21)를 동작시키는 스택 링크(45)와, 상기 스택 링크(45)의 상기 이동에 의해 면(45c)에 접한(혹은 약간 이간된) 위치로부터 돌출면(45b)을 승강하는 스택 롤러(46)와, 상기 스택 롤러(46)를 지지하여 스택 롤러(46)의 상기 승강에 의해 지폐수납부(4)를 향하거나 혹은 그 반대방향을 향하여 이동하는 스택 샤프트(47)와, 상기 스택 샤프트(47)를 끼워넣는 동시에 스택부(11)에 맞물려, 스택부(11)를 지폐수납부(4)를 향하거나 혹은 그 반대방향을 향하여 이동시키는 팬터그래프 구조의 스택 암(13)으로 이루어지게 하여, 이에 의해 셔터부(21)를 구동하는 제 1 구동부재를, 예를 들어 셔터부(21)에 맞물리는 스택 링크(45)의 선단(45a)으로 이루어지게 하고, 또한 스택부(11)를 구동하는 제 2 구동부재를 예를 들어, 스택 롤러(46)에 접하는 스택 링크(45)의 돌출면(45b)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지만, 상기 제 1 실시예의 지폐처리장치(1)에서는 특히 상기 면(45a)을 평면(연직면)으로 하는 동시에 상기 돌출면(45b)을 평면으로 하고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지폐처리장치의 구동부를 구성하는 스택 링크(45)의 상기 면(45c)은 평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곡면으로 구성되어도 좋고, 또한 상기 돌출면(45b)도 평면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곡면으로 구성하여도 좋은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아래의 다른 실시예(실시예 2~4)의 지폐처리장치에 대해서는, 실시예 1의 지폐처리장치(1)와 공통되는 부분(예를 들어, 스택 모터(42) 등)에 대한 설명 및 도 면에 기재된 부호를 생략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지폐처리장치의 요부개념 단면도로서, 특히 스택부에 의한 지폐수납동작이 이루어지지 않고, 셔터부에 의해 제 1 통로가 폐색된 상태에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11은 도 10의 지폐처리장치의 요부개념 단면도이다. 한편, 도 10 및 도 11은 도 1 내지 도 9와 동일한 부분을 동일 부호로 나타내고 있다.
이 제 2 실시예의 지폐처리장치(71)에서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셔터부(21)는 제 1 통로(7)에 배치되어 있는 셔터 레버(22)로 구성된다.
한편, 도 10의 부호 79는 셔터 레버(22)의 선단(22a)측과 장치본체(2)에 맞물리며, 셔터 레버(22)의 선단(22a) 측을 항상 지폐수납부(4)측을 향하도록 힘을 가하는 셔터 스프링이다.
또한,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실시예의 지폐처리장치(71)에서는 제 1 실시예의 지폐처리장치(1)와 같이 스택 캠(44)과 스택 링크(45)와 스택 롤러(46)로 이루어지는 링크 구조를 사용하지 않고, 지폐수납 동작용 기어(73)에 직접 셔터 레버(22)를 맞물리게 하고 있다.
즉, 이 구동부(41)는 제 1 실시예의 지폐처리장치(1)의 상기 스택 캠(44)과 스택 링크(45)와 스택 롤러(46) 대신에, 상기 스택 모터(42)의 기어에 연결되는 기어(73)와, 상기 기어(73)의 회전면에 형성된 한 쌍의 스택 동작용 돌기(75)와, 기어(73)의 회전면에 형성된 한 쌍의 셔터 동작용 돌기(74)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있다.
또한, 이 중 기어(73)의 회전면은 평면(73a)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셔터 동작용 돌기(74)는 원호형 돌기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각 셔터 동작용 돌기(74)의 윗면(이하, '경사면'이라고 함)은 일단(74a)으로부터 타단을 향하여 기어(73)의 평면(73a)으로부터의 높이가 서서히 높아지도록 지폐수납부(4)를 향하여 경사져 있다.
또한, 한 쪽의 셔터 동작용 돌기(74)의 일단(74a)과 다른 쪽 셔터 동작용 돌기(74)의 타단 사이에는, 셔터 레버(22)의 돌기(77)를 기어(73)의 평면(73a)에 압접(壓接) 가능하게 하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스택 동작용 돌기(75)는 셔터 동작용 돌기(74)보다 내주에 형성된 원호형의 돌기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각 스택 동작용 돌기(75)의 윗면(이하, '경사면'이라고 함)은 일단(75a)으로부터 타단을 향하여, 기어(73)의 평면(73a)으로부터의 높이가 서서히 높아지도록 지폐수납부(4)를 향하여 경사져 있다. 또한, 한쪽의 스택 동작용 돌기(75)의 일단(75a)과 다른 쪽 스택 동작용 돌기(75)의 타단 사이에는, 스택 샤프트(47)를 기어(73)의 평면(73a)에 압접 가능하게 하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제 2 실시예의 지폐처리장치(71)에서는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기상태에서 셔터 레버(22)의 돌기(77)는 셔터 동작용 돌기(74)의 타단측의 경사면에 압접되어 있으며, 그 때문에 셔터 레버(22)는 셔터 스프링(79)의 압력에 대하여 축(78)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선단(22a)을 제 1 통로(7)로 돌출시키고 있다. 이 때문에, 제 1 통로(7)는 폐색되어 있다.
또한, 스택 샤프트(47)는 한 쌍의 스택 동작용 돌기(75) 사이의 기어(73)의 평면(73a)에 배치되어 있으며, 그 때문에 스택 샤프트(47)에 링크암(13)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는 리프트 테이블(12)은 지폐수납부(4)로부터 가장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 2 통로(8)의 종단은 개방되어 있다. 한편, 지폐수납통로영역(10)도 개방되어 있다.
이 대기상태로부터 스택 모터(42)를 구동하여 기어(73)의 회전각도가 제 1 소정 각도에 도달할 때까지 기어(73)를 회전시킨다. 그러면, 셔터 스프링(79)의 압력에 의해, 셔터 레버(22)의 돌기(77)는 셔터 동작용 돌기(75) 타단의 경사면으로부터 하강하여, 한 쌍의 셔터 동작용 돌기(75) 사이의 기어 평면(73a)에 압접된다. 그 때문에, 셔터 레버(22)는 축(78)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그 선단(22a)을 제 1 통로(7)로부터 탈출시키기 때문에, 이에 의해 제 1 통로(7)는 개방된다.
또한, 이 때 스택 샤프트(47)는 여전히 한 쌍의 스택 동작용 돌기(75) 사이의 기어 평면(73a)에 압접된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리프트 테이블(12)은 지폐수납부(4)로부터 가장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한다. 이 때문에, 제 2 통로(8)의 종단은 개방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어서 스택 모터(42)를 구동하여 기어(73)를 제 2 소정 각도까지 회전시킨다. 그러면, 셔터 레버(22)의 돌기(77)는 셔터 동작용 돌기(74)의 일단(74a)측에 도달하고, 또한 상기 셔터 동작용 돌기(74)의 경사면을 상승한다. 그 때문에, 셔터 레버(22)는 셔터 스프링(79)의 힘에 대하여 축(78)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기어(73)의 회전각도가 상기 제 2 소정각도에 도달하면, 결국 셔터 레버(22)의 선 단(22a)이 제 1 통로(7)로 돌출하여, 이에 의해 제 1 통로(7)는 폐색된다.
또한, 이 때 스택 샤프트(47)는 여전히 한쌍의 스택 동작용 돌기(75) 사이의 기어 평면(73)에 압접된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리프트 테이블(12)은 지폐수납부(4)로부터 가장 먼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한다. 이 때문에, 제 2 통로(8)의 종단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어서, 스택 모터(42)를 구동하여 기어(73)의 회전각도가 제 3 소정 각도에 도달할 때까지 회전한다. 그러면, 스택 샤프트(47)가 스택 동작용 돌기(75)의 일단(75a)측에 도달하여 그 경사면을 상승한다. 그리고, 상기 제 3 소정 각도까지 기어(73)가 회전했을 때, 상승하는 스택 샤프트(47)는 리프트 스프링(19)의 압력(도 1 참조)에 대하여, 리프트 테이블(12)을 제 2 통로(8)의 종단 및 지폐수납통로영역(10)을 가로지르게 하여 지폐수납부(4)에 가장 가까운 위치로 이동시키기 때문에, 이에 의해 지폐를 지폐수납부(4)에 수납할 수 있다.
또한, 이 때 돌기(77)는 셔터 동작용 돌기(74)의 경사면을 상승하고 있기 때문에, 이에 의해 셔터 레버(22)는 여전히 그 선단(22a)을 제 1 통로(7)로 돌출시킨 상태이며, 그 때문에 제 1 통로(7)는 폐색상태로 유지되고 있다.
이어서, 도 10 및 도 11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택 모터(42)의 구동에 의해 기어(73)를 다시 한 방향으로 회전시켜 그 회전각도가 제 4 소정 각도(예를 들어, 360도)가 되는 위치, 즉 대기상태의 회전위치까지 회전시킨다.
그러면, 리프트 스프링(19)의 힘에 의해, 스택 샤프트(47)는 스택 동작용 돌기(75) 타단의 상기 경사면으로부터 하강하여 한 쌍의 스택 동작용 돌기(75) 사이 의 기어 평면(73)에 압접된다. 그 때문에, 리프트 테이블(12)은 제 2 통로(8)의 종단 및 지폐수납통로영역(10)을 다시 가로질러 지폐수납부(4)로부터 가장 떨어진 대기위치로 복귀하며, 이에 의해 제 2 통로(8)의 종단이 개방된다.
또한, 이 때 셔터 레버(22)의 돌기(77)는 셔터 동작용 돌기(74) 타단측의 상기 경사면에 압접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 때문에, 셔터 레버(22)의 선단(22a)은 제 1 통로(7)로부터 돌출하고, 이에 의해 제 1 통로(7)를 폐색하는 대기위치에 유지되며, 이에 의해 대기상태로 복귀한다.
이와 같이 이 제 2 실시예의 지폐처리장치(71)에서는 지폐반송로(6)를 개폐하는 셔터부(21)와, 상기 지폐반송로(6)를 따라 안내된 지폐를 지폐수납부(4)에 수납하는 스택부(11)를 구비하는 동시에, 셔터부(21)와 스택부(11)를 하나의 스택 모터(42)로 구동시키는 구동부(41)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그 구동부(41)를 셔터부(21)를 구동하는 한 쪽의 구동부재 예를 들어, 셔터 동작용 돌기(74)와, 스택부(11)를 구동하는 제 2 구동부재 예를 들어, 스택 동작용 돌기(75)를 구비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구동부재와 상기 제 2 구동부재 중, 제 1 구동부재의 동작에 대하여 스택부(11)가 동작하지 않는 부동작영역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제 2 구동부재의 동작에 대하여 셔터부(21)가 동작하지 않는 부동작영역을 가지고 있다.
그 때문에, 이 지폐처리장치(71)에서는 상기 실시예 1의 지폐처리장치(1)와 마찬가지로 셔터부(21)에 의해 제 1 통로(7)가 개방되는 동시에, 리프트 테이블(12)의 일단에 의해 제 2 통로(8)의 종단, 즉 지폐반송로(6)의 종단이 폐색되지 않 는 상태를 확보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지폐반송로(6)의 종단에 연결된 지폐수납통로영역(10)을 지폐를 일시 보류하기 위한 통로의 일부로서 사용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이 지폐처리장치(71)에서는 지폐처리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한편, 이 지폐처리장치(71)에서는 상기 부동작영역을 얻기 위하여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셔터 동작용 돌기(74)의 기어(73) 상의 설치각도, 스택 동작용 돌기(75)의 기어(73) 상의 설치각도, 및 이들의 배치관계가 조정된다.
또한, 이 제 2 실시예의 지폐처리장치(71)에서는 지폐수납동작용 기어(73)에 직접 셔터부(21)의 셔터 레버(22)를 맞물리게 하여 상기 셔터부(21)를 동작시키도록 하였기 때문에, 제 1 실시예의 지폐처리장치(1)와 같이 스택 캠(44)과 스택 링크(45)와 스택 롤러(46)로 이루어지는 링크 구조를 사용하지 않는 만큼, 제 1 실시예의 지폐처리장치(1)에 비하여 장치본체(2) 안의 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
한편, 제 2 실시예의 지폐처리장치(71)에서는 제 1 통로(7)를 셔터부(21)에 의해 개폐하도록 하였지만, 이 때 셔터부(21)에 의해 개폐되는 제 1 통로(7)는 장치본체(2) 안에 배치되어 있던 것이어도 좋고, 장치본체(2)와 프론트 마스크(3) 사이에 형성된 것이어도 좋은 것은 말할 것도 없다.
한편, 제 2 실시예의 지폐처리장치(71)에서는, 지폐수납동작용 기어(73)에 직접 셔터부(21)를 맞물리게 하여 상기 셔터부(21)를 동작시킨다고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의 지폐처리장치에서는 기어(73)를 사용하는 형태가 이 구조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지폐수납동작용 기어(73)에 셔터동작용의 다른 기어가 맞물리게 하고, 상기 다른 기어에 셔터부를 맞물리게 하여도 좋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지폐처리장치의 요부개념 단면도로서, 특히 스택부에 의한 지폐수납동작이 이루어지지 않고, 또한 셔터부에 의해 제 2 통로가 폐색된 상태에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의 지폐처리장치의 요부개념 단면도이다. 한편, 이 도 12 및 도 13에서는, 도 1 내지 도 11과 동일한 부분을 같은 부호로 나타내었다.
도 13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제 3 실시예의 지폐처리장치(81)에서는 제 2 실시예의 지폐처리장치(71)의 지폐수납동작용 기어(73)에, 셔터동작용의 다른 기어(82)를 맞물리게 하고 있다. 또한, 상기 다른 기어(82)에는 캠(83)이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캠(83)의 셔터 동작용 돌기(74)에 셔터부(21)의 돌기(77)가 맞물리게 하고 있다. 한편, 부호 89는 스택 모터(42)(도 1)의 기어이다.
또한, 셔터 동작용 돌기(74)는 원호형의 돌기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각 셔터 동작용 돌기(74)의 윗면(이하, '경사면'이라고 함)은 일단(74a)으로부터 타단을 향하여 캠(83)의 회전면으로부터의 높이가 서서히 높아지도록 지폐수납부(4)를 향하여 경사져 있다. 또한, 셔터 동작용 돌기(74)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는, 셔터부(21)의 돌기(77)를 캠(83)의 평면(83a)에 압접 가능하게 하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캠(83)의 회전면은 평면(83a)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지폐처리장치(81)에서는 셔터부(21)의 선단(22a)을 항상 제 1 통로(7)측으로 누르는 도시하지 않는 셔터 스프링이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제 3 실시예의 지폐처리장치(81)에서는,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기상태에서 셔터 레버(22)의 돌기(77)가 셔터 동작용 돌기(74) 타단측의 경사면에 압접되어 있으며, 그 때문에 셔터 레버(22)는 상기 셔터 스프링의 힘에 대하여 축(78)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선단(22a)을 제 2 통로(8)로 돌출시키고 있다. 따라서, 제 2 통로(8)는 폐색되어 있다.
또한, 스택 샤프트(47)는 한 쌍의 스택동작용 돌기(75) 사이의 기어(73)의 평면(73a)에 배치되어 있으며, 그 때문에 스택 샤프트(47)에 링크 암(13)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는 리프트 테이블(12)은 지폐수납부(4)로부터 가장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 2 통로(8)의 종단은 개방되어 있다. 한편, 지폐수납통로영역(10)도 개방되어 있다.
이 대기상태로부터 스택 모터(42)를 구동하여, 기어(73)의 회전각도가 제 1 소정 각도 회전할 때까지 소정 방향으로 기어(73)를 회전시킨다. 그러면, 이 기어(73)의 회전에 의해 캠(83)이 기어(82)를 통하여 소정 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이에 의해 셔터 레버(22)의 돌기(77)는 상기 셔터 스프링의 힘에 의해 셔터 동작용 돌기(75) 타단의 경사면으로부터 하강하고, 한 쌍의 셔터 동작용 돌기(75) 사이의 캠(83)의 평면(83a)에 압접된다. 그 때문에 셔터 레버(22)는 축(78)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선단(22a)을 제 2 통로(8)로부터 탈출시키기 때문에, 이에 의해 제 2 통로(8)는 개방된다.
또한, 이 때, 스택 샤프트(47)는 여전히 한 쌍의 스택 동작용 돌기(75) 사이의 기어(73)의 평면(73a)에 압접된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리프트 테이블(12)은 지폐수납부(4)로부터 가장 떨어진 위치에 있는 상태를 유지한다. 그 때문에, 제 2 통로(8)의 종단은 개방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어서 스택 모터(42)를 구동하여 기어(73)를 소정 방향으로 제 2 소정 각도까지 회전시킨다. 그러면, 캠(83)은 기어(82)를 통하여 소정 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셔터 레버(22)의 돌기(77)는 셔터 동작용 돌기(74)의 일단(74a)측에 도달하고, 또한 상기 셔터 동작용 돌기(74)의 경사면을 상승한다. 그 때문에, 셔터 레버(22)는 도시하지 않은 상기 셔터 스프링의 힘에 대하여 축(78)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회전각도가 상기 제 2 소정 각도에 도달하면, 결국 셔터 레버(22)의 선단(22a)이 제 2 통로(8)로 돌출하고, 이에 의해 제 2 통로(8)는 폐색된다.
또한, 스택 샤프트(47)는 여전히 한 쌍의 스택 동작용 돌기(75) 사이의 기어(73)의 평면(73a)에 압접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 때문에, 스택 샤프트(47)에 스택 암(리프트 암)(13)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는 리프트 테이블(12)은 지폐수납부(4)로부터 가장 먼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한다. 그 때문에, 제 2 통로(8)의 종단은 개방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어서, 스택 모터(42)를 구동하여 기어(73)를 소정 방향으로 제 3 소정 각도까지 회전시킨다. 이에 의해, 스택 샤프트(47)가 스택 동작용 돌기(75)의 일단(75a)측에 도달하여 그 경사면을 상승한다. 그리고, 상기 제 3 소정 각도까지 기어(73)가 회전했을 때, 상승하는 스택 샤프트(47)는 리프트 스프링(19)의 힘(도 1 참조)에 대하여, 리프트 테이블(12)을 제 2 통로(8)의 종단 및 지폐수납통로영역(10)을 가로지르게 하여 지폐수납부(4)에 가장 가까운 위치로 이동시키기 때문에, 이에 의해 지폐를 지폐수납부(4)에 수납할 수 있다.
한편, 이 때 돌기(77)는 셔터 동작용 돌기(74)의 경사면을 상승하고 있기 때문에, 이에 의해 셔터(22)는 여전히 그 선단(22a)을 제 2 통로(8)로 돌출시킨 상태이며, 그 때문에 제 2 통로(8)는 폐색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이어서, 도 12 및 도 13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택 모터(42)의 구동에 의해 기어(73)를 다시 소정 방향으로 회전시켜 그 회전각도가 제 4 소정 각도(예를 들어, 180도)가 되는 위치, 즉 대기상태의 회전위치까지 회전시킨다.
그러면, 스택 샤프트(47)는 리프트 스프링(19)의 힘에 의해 스택 동작용 돌기(74) 타단의 상기 경사면으로부터 하강하여, 한 쌍의 스택 동작용 돌기(75) 사이의 기어(73)의 평면(73a)에 압접된다. 그 때문에, 리프트 테이블(12)은 제 2 통로(8)의 종단 및 지폐수납통로영역(10)을 다시 가로질러 지폐수납부(4)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대기위치로 복귀하며, 이에 의해 제 2 통로(8)의 종단은 개방된다.
또한, 이 때 캠(83)은 기어(82)를 통하여 소정 방향으로 회전하는데, 셔터 레버(22)의 돌기(77)는 셔터 스프링(79)의 힘에 의해 셔터 동작용 돌기(74) 타단의 상기 윗면에 압접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 때문에, 셔터 레버(22)의 선단(22a)은 제 2 통로(8)로부터 돌출하고, 이에 의해 제 2 통로(8)를 폐색하는 대기위치에 유지되며, 이에 의해 대기상태로 복귀한다.
이와 같이 제 3 실시예의 지폐처리장치(81)는 제 2 실시예의 지폐처리장치(71)와 마찬가지로 제 1 구동부재와 제 2 구동부재 중, 제 1 구동부재 예를 들어, 셔터 동작용 돌기(74)의 동작에 대하여, 스택부(11)가 동작하지 않는 부동작영역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제 2 구동부재 예를 들어, 스택 동작용 돌기(75)의 동작에 대하여 셔터부(21)가 동작하지 않는 부동작영역을 가지고 있다.
그 때문에, 이 지폐처리장치(81)에서는 셔터부(21)에 의해 제 2 통로(8)를 개방하는 동시에, 리프트 테이블(12)에 의해 제 2 통로(8)의 종단, 즉 지폐반송로(6)의 종단이 폐색되지 않는 상태를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지폐반송로(6)의 종단에 연결되는 지폐수납통로영역(10)을 지폐를 일시 보류하기 위한 통로의 일부로서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이 지폐처리장치(81)에 따르면, 지폐처리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한편, 이 지폐처리장치(81)에서는 상기 부동작영역을 얻기 위하여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셔터 동작용 돌기(74)의 캠(83) 상의 설치각도, 스택 동작용 돌기(75)의 기어(73) 상의 설치각도, 및 이들의 배치관계를 조정하고 있다.
또한, 이 제 3 실시예의 지폐처리장치(81)에서는 지폐수납 동작용 기어(73)에 맞물리는 기어(82)의 캠(83)의 셔터 동작용 돌기(74)에 셔터부(21)를 압접하여 상기 셔터부(21)를 동작시키도록 하였기 때문에, 제 2 실시예의 지폐처리장치(71)와 마찬가지로, 제 1 실시예의 지폐처리장치(1)와 같이 스택 캠(44)과 스택 링크(45)와 스택 롤러(46)로 이루어지는 링크 구조를 사용하지 않는 만큼, 제 1 실시예의 지폐처리장치(1)와 비교하여 장치본체(2) 안의 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제 4 실시예의 지폐처리장치의 요부개념 단면도로서, 특히 스택부에 의한 지폐수납동작이 이루어지지 않으며, 셔터부에 의해 제 1 통로(7)가 폐색된 상태에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한편, 도 14에서는 도 1 내지 도 13과 동일한 부분을 같은 부호로 나타내었다.
상기 제 1 실시예의 지폐처리장치(1)에서는 셔터 레버(22)를 별개 독립하여 설치하고 있지만, 이 제 4 실시예의 지폐처리장치(91)에서는 제 1 통로(7)에 출몰하여 상기 제 1 통로(7)를 개폐하는 셔터 레버(22)를 스택 링크(45)와 일체로 구성하고 있다.
이 제 4 실시예의 지폐처리장치(91)에서는 제 1 실시예의 지폐처리장치(1)와 마찬가지로, 지폐반송로(6)를 개폐하는 셔터부(21)와, 상기 지폐반송로(6)를 따라 안내된 지폐를 지폐수납부(4)에 수납하는 스택부(11)(도 1 참조)를 구비하는 동시에, 셔터부(21)와 스택부(11)를 하나의 스택 모터(42)로 구동시키는 구동부(41)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그 구동부(41)를 셔터부(21)를 구동하는 한 쪽의 구동부재 예를 들어, 스택 링크(45)의 선단(45a)과(한편, 이 선단(45a)은 그 자체가 지폐반송로(6)를 개폐하는 셔터로서 기능한다), 스택부(11)를 구동하는 제 2 구동부재 예를 들어, 스택 링크의 돌출면(45b)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제 1 구동부재와 제 2 구동부재 중, 제 1 구동부재에 대하여 스택부(11)가 동작하지 않는 부동작영역을 가지고, 또한 제 2 구동부재의 동작에 대하여 셔터부(21)가 동작하지 않는 부동작영역을 가지고 있다.
그 때문에, 이 지폐처리장치(91)는 셔터부(21)가 제 2 통로(8)를 개방하는 동시에, 리프트 테이블(12)의 일단이 제 2 통로(8)의 종단, 즉 지폐반송로(6)의 종단이 폐색되지 않은 상태를 확보할 수 있어, 이에 의해 지폐반송로(6)의 종단에 연결되는 지폐수납통로영역(10)을 지폐를 일시 보류하기 위한 통로의 일부로서 사용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이 지폐처리장치(91)에서는 지폐처리장치의 소형화를 도모 할 수 있다.
또한, 이 제 4 실시예의 지폐처리장치(91)에서, 제 1 실시예의 지폐처리장치(1)와 같이 셔터 레버(22)와 스택 링크(45)를 개별 독립하여 설치하지 않기 때문에, 그만큼 부품 갯수를 줄일 수 있으며, 지폐처리장치의 제조 비용을 낮출 수 있다.
한편, 이 제 4 실시예의 지폐처리장치(91)에서는 직선 운동하는 스택 링크(45)의 선단(22a)을 제 1 통로(7)로 돌출시키기 쉽게 하기 위하여, 제 1 통로(7)를 연직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이 제 4 실시예의 지폐처리장치(91)에서는 제 1 통로(7)에 스택 링크(45)를 설치하여, 이에 의해 제 1 통로(7)를 개폐하도록 하였는데, 셔터 레버이기도 한 스택 링크(45)를 제 2 통로(8)에 설치하고 이에 의해 상기 제 2 통로(8)를 개폐하도록 하여도 좋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지폐처리장치는 자동판매기 등의 기기본체 안에 배치되는 소형 지폐처리장치로서 유용하며, 또한 자동판매기 등의 이용자의 나쁜 행동을 가급적 방지하는 용도로도 적합하다.
본 발명은 그 정신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이탈하지 않고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때문에 상술한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 범위에 의해 나타내는 것으로, 명세서 본문에 의해 조금도 구속되지 않는다. 또한, 특허청구 범위의 균등 범위에 속하는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 내의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형의 지폐처리장치를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

Claims (5)

  1. 지폐반송로를 개폐하는 셔터수단과, 상기 지폐반송로를 따라 안내된 지폐를 지폐수납부에 수납하는 스택수단를 구비한 지폐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셔터수단과 상기 스택수단을 하나의 구동부로 구동하는 구동수단을 가지고,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셔터수단을 구동하는 제 1 구동부재와,
    상기 스택수단을 구동하는 제 2 구동부재를 가지며,
    상기 제 1 구동부재에 의한 상기 셔터수단의 동작에 대하여, 상기 제 2 구동부재에 의한 상기 스택수단의 동작이 행하여 지지 않는 부동작영역을 가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스택 모터와,
    상기 스택 모터에 맞물려 회전운동하는 스택 캠과,
    상기 셔터수단을 향하여 배치된 선단을 가지고, 상기 지폐수납부를 향한 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을 따라 형성된 면과, 상기 면에 연결되며 상기 지폐수용부를 향하여 돌출하는 돌출면을 가지는 동시에, 상기 스택 캠에 맞물려, 상기 셔터수단을 향하거나 그 반대방향을 향하여 이동하며, 상기 선단에 의해 상기 셔터수단을 동작시키는 스택 링크와,
    상기 스택 링크의 상기 이동에 의해, 상기 면에 접하거나 혹은 약간 이간하고, 또는 상기 돌출면을 승강하는 스택 롤러와,
    상기 스택 롤러를 지지하여, 상기 스택 롤러의 상기 승강에 따라 상기 지폐수납부를 향하거나 또는 그 반대방향을 향하여 이동하는 스택 샤프트와,
    상기 스택 샤프트를 끼워넣는 동시에 상기 스택수단에 맞물려, 상기 스택수단을 상기 지폐수납부를 향하거나 혹은 그 반대방향을 향하여 이동시키는 팬터그래프 구조의 스택 암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구동부재는 상기 스택 링크의 상기 선단이고, 상기 제 2 구동부재는 상기 스택 링크의 상기 돌출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장치.
  5. 삭제
KR1020050114847A 2004-11-30 2005-11-29 지폐처리장치 KR1007048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345252 2004-11-30
JP2004345252A JP4644474B2 (ja) 2004-11-30 2004-11-30 紙幣処理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0606A KR20060060606A (ko) 2006-06-05
KR100704850B1 true KR100704850B1 (ko) 2007-04-09

Family

ID=36565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4847A KR100704850B1 (ko) 2004-11-30 2005-11-29 지폐처리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60113160A1 (ko)
JP (1) JP4644474B2 (ko)
KR (1) KR100704850B1 (ko)
CN (1) CN100509596C (ko)
CA (1) CA2527465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49674B2 (ja) * 2006-07-13 2012-01-11 株式会社ユニバーサルエンターテインメント 紙幣処理装置
JP5416018B2 (ja) * 2010-04-02 2014-02-12 株式会社ユニバーサルエンターテインメント 紙葉類処理装置
JP5621550B2 (ja) * 2010-11-26 2014-11-12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異物除去機構及び紙葉類取扱装置
JP6005979B2 (ja) * 2012-04-24 2016-10-12 株式会社日本コンラックス 紙幣処理装置
JP5889711B2 (ja) * 2012-05-17 2016-03-22 株式会社日本コンラックス 紙幣処理装置
CN103848256A (zh) * 2012-11-30 2014-06-11 山东新北洋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压票机构及具有该机构的收纳箱
JP6227397B2 (ja) * 2013-12-20 2017-11-08 株式会社日本コンラックス 紙幣処理装置
CN109190431B (zh) * 2018-10-26 2023-09-26 安徽千山物流有限公司 一种物流单据图像识别信息录入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3169A (ko) * 2001-01-31 2002-11-01 가부시끼가이샤 닛본 콘럭스 지폐류 처리장치 및 그 장치에 있어서의 지폐류 반송로의개폐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9308B1 (ko) * 1986-03-18 1991-11-09 가부시기가이샤 닛본곤락스 지폐장치
JP3135628B2 (ja) * 1991-09-12 2001-02-19 株式会社日本コンラックス 紙幣識別装置
JPH07220131A (ja) * 1994-01-28 1995-08-18 Hitachi Ltd 紙幣放出回収機構
KR0164259B1 (ko) * 1994-03-10 1999-03-20 오까다 마사하루 지폐처리장치
JPH0820495A (ja) * 1994-07-06 1996-01-23 Daifuku Co Ltd リフト装置
JP3719685B2 (ja) * 1995-02-28 2005-11-24 株式会社日本コンラックス 紙葉類搬送路のシャッター装置
US5657846A (en) * 1995-07-13 1997-08-19 Cashcode Company Inc. Currency validator with split housing
JPH0991487A (ja) * 1995-09-27 1997-04-04 Oki Electric Ind Co Ltd シャッタ開閉機構
US6588569B1 (en) * 2000-02-11 2003-07-08 Cummins-Allison Corp. Currency handling system having multiple output receptacles
JP4038321B2 (ja) * 2000-02-25 2008-01-23 株式会社日本コンラックス 紙幣処理装置
US6896115B2 (en) * 2002-04-16 2005-05-24 International Currency Technologies Corporation Paper currency receiver for ticket vendor
JP2004139189A (ja) * 2002-10-15 2004-05-13 Nippon Conlux Co Ltd 紙幣処理装置
JP4079010B2 (ja) * 2003-02-26 2008-04-23 富士電機リテイ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紙幣収納装置および紙幣入出金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3169A (ko) * 2001-01-31 2002-11-01 가부시끼가이샤 닛본 콘럭스 지폐류 처리장치 및 그 장치에 있어서의 지폐류 반송로의개폐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81833A (zh) 2006-06-07
KR20060060606A (ko) 2006-06-05
CA2527465C (en) 2012-01-10
CN100509596C (zh) 2009-07-08
US20060113160A1 (en) 2006-06-01
JP4644474B2 (ja) 2011-03-02
JP2006155257A (ja) 2006-06-15
CA2527465A1 (en) 2006-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4850B1 (ko) 지폐처리장치
EP1736939B1 (en) Bill handling device and control system thereof
US8100251B2 (en) Bill handling device
ES2311251T3 (es) Dispositivo de manipulacion de billetes.
JPH06150106A (ja) 紙幣識別装置
JP4582787B2 (ja) 紙幣処理装置
JP5416018B2 (ja) 紙葉類処理装置
JP5196518B2 (ja) 紙幣処理装置
JP2010118066A (ja) 紙幣処理装置
JP6637352B2 (ja) 自動釣銭機
JP4142006B2 (ja) 紙幣束入出金機
KR20160064202A (ko) 지엽류 처리 장치
KR101077317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리젝트 박스
US20210327196A1 (en) Currency note acceptor
JP3781847B2 (ja) 紙幣収納装置
JP5261815B2 (ja) 紙幣処理装置、及び紙幣取扱装置
JP3779093B2 (ja) 紙幣処理装置
JP4746199B2 (ja) 紙幣入出金装置
JP5078066B2 (ja) 紙幣処理装置
JP5211323B2 (ja) 紙幣処理装置、及び紙幣取扱装置
JP4647811B2 (ja) 紙幣入出金装置
JP2002279485A (ja) 紙幣入出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