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7220B1 - 배관용 파이프 행거 - Google Patents

배관용 파이프 행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7220B1
KR100697220B1 KR1020060045157A KR20060045157A KR100697220B1 KR 100697220 B1 KR100697220 B1 KR 100697220B1 KR 1020060045157 A KR1020060045157 A KR 1020060045157A KR 20060045157 A KR20060045157 A KR 20060045157A KR 100697220 B1 KR100697220 B1 KR 1006972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piece
mounting
pip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5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식
Original Assignee
김태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식 filed Critical 김태식
Priority to KR10200600451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7220B1/ko
Priority to US11/470,780 priority patent/US7546986B2/en
Priority to JP2006251591A priority patent/JP4390791B2/ja
Priority to CNB2006800040144A priority patent/CN100535490C/zh
Priority to PCT/KR2006/005120 priority patent/WO2007136158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72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72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with two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tubing, both being made of thin band material completely surrounding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1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and hanging from a penda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배관용 파이프 행거는, 좌우로 분할된 반원밴드의 하단을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 분리시키고, 각 반원밴드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된 장착편에는 지지브래킷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된 장착편을 장착하되, 지지브래킷의 내부에는 탄발장치를 구비하여 너트뭉치를 상측으로 탄발시키고, 일측 반원밴드와 지지브래킷의 장착편에는 장금판 또는 잠금봉을 결합시키고 타측 반원밴드의 장착편에는 잠금캡과 록킹작동편을 장착하며, 일측 반원밴드의 하단에 형성되는 체결부를 수직선상을 넘어 반대편까지 연장되게 형성하여서 된 것으로서, 지지브래킷의 내부에는 탄발장치를 구비하여 너트뭉치를 억류시켜 줌으로서 외부의 충격에 의해 흔들리는 현상을 방지하면서 천장에 고정되는 지지봉의 풀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일측 반원밴드와 지지브래킷의 장착편에 결합된 장금판 또는 잠금봉과 타측 반원밴드의 장착편에 장착된 록킹작동편을 용이하게 잠금/해제시키면서 파이프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수직선상을 넘어 반대편까지 연장되게 형성된 일측 반원밴드의 체결부에 의해 안치되는 파이프를 받쳐 지지하여 줌으로서 안치된 파이프가 낙하하지 않도록 하면서 타측의 반원밴드를 용이하게 장착시킬 수 있다.
반원밴드. 지지브래킷. 장착편. 잠금판. 잠금장치부. 잠금캡. 록킹작동편.

Description

배관용 파이프 행거{A Pipe Hang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용 파이프 행거를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용 파이프 행거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용 파이프 행거에서 잠금장치부의 작동관계 설명도.
도 4a 내지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용 파이프 행거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와 결합 단면도 및 작동관계 설명도.
도 5a 내지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용 파이프 행거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와 결합 단면도 및 작동관계 설명도.
도 6 및 도 7은 종래의 각기 다른 배관용 파이프 행거를 보인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1-1. 1-2: 파이프행거 2. 3: 반원밴드 4.5: 장착편
6: 체결공 7: 체결부 10: 지지브래킷
11: 장착편 13: 너트뭉치 15: 방진장치부
20: 잠금장치부 21: 잠금캡 25: 록킹작동편
29: 판스프링 30: 잠금판 31: 잠금공
34: 잠금봉 40: 상측밴드 50: 하측반원밴드
본 발명은 건물의 천장이나 벽체에 파이프를 배관할 때에 사용되는 배관용 파이프 행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좌우로 분할된 반원밴드의 하단을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 분리시키고, 각 반원밴드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된 장착편에는 지지브래킷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된 장착편을 장착하되, 지지브래킷에는 방진장치부를 구비하여 진동이나 외부의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이를 감쇄시켜 방진효과를 얻고, 각 반원밴드의 장착편과 지지브래킷의 장착편을 잠금장치부에 의해 용이하게 잠금 또는 분리시킬 수 있으며, 일측 반원밴드의 하단에 형성되는 체결부를 수직선상을 넘어 반대편까지 연장되게 형성하여 설치되는 파이프를 용이하게 받쳐 지지하도록 된 배관용 파이프 행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건물의 천장과 같은 설치면에 상수관과 하수관 및 옥내배관 등으로 사용되는 각종 파이프를 설치할 때에는 설치면에 지지봉을 등 간격으로 고정하고, 각 지지봉의 하단에는 파이프행거를 장착하며, 파이프행거에 파이프를 억류시켜 설치하게 된다.
도 6 및 도 7은 상기와 같이 파이프를 설치할 때에 지지봉의 하단에 장착되는 종래의 파이프행거(1-3)(1-4)를 보인 것이다.
도 6에 예시된 종래의 파이프행거(1-3)는, 국내의 공개실용신안 공개번호 제20-1990-14681호ㆍ공개실용신안 공개번호 제20-1994-27123호ㆍ공개실용신안 공개번호 제20-1995-27946호ㆍ공개실용신안 공개번호 제20-1997-43463호ㆍ공개실용신안 공개번호 제20-1998-3991호ㆍ실용신안 등록 제20-190184호ㆍ실용신안 등록 제20-197233호(특허 출원번호 제10-2005-109563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는, 한 쌍의 반원밴드(2)(3)를 형성하되, 각 반원밴드(2)(3)의 상단에는 장착공(4-1)(5-1)이 뚫어진 장착편(4)(5)을 일체로 형성하고 하단에는 체결공(6)과 체결편(9)을 형성하여 결합시키며, 반원밴드(2)(3)의 장착편(4)(5)에는 지지브래킷(10)의 하측 양단에 각각 형성되고 장착공(11-1)이 뚫어진 장착편(11)을 볼트(12) 및 너트(12-1)와 같은 체결수단으로 체결시키며, 지지브래킷(10)의 상면에 결합된 너트뭉치(13)에는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은 통상의 전산볼트(60)를 결합시키도록 된 것이다.
이와 같이 형성된 종래의 파이프행거(1-3)는 파이프를 설치할 때에, 반원밴드(2)(3)의 장착편(4)(5)과 지지브래킷(10)의 장착편(11)에 체결된 볼트(12)에서 너트(12-1)를 풀어 일측의 반원밴드(3)를 분리시키고, 고정되어 있는 반원밴드(2)와 자유상태의 반원밴드(2)의 사이로 파이프를 인입시킨 상태에서 파이프를 손으로 받쳐 이탈되지 않도록 하면서 분리된 반원밴드(3)를 체결편(9)에 걸어주며, 장착편(5)에 뚫어진 장착공(5-1)을 볼트(12)에 끼운 상태에서 장착편(5)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볼트(12)의 선단에 너트(12-1)를 나사 결합시켜 주어야 하므로, 설치공정이 매우 까다롭고, 반원밴드(2)가 완전반원으로 형성되어 있어 단부가 수직선상에 위치하므로 내측에 인입된 파이프가 낙하하지 않도록 지지하면서 반원밴드(3)를 체결시켜야 하므로 파이프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장착편(4)(5)(11)에 나사 결합 된 볼트(12)와 너트(12-1)도 진동에 의해 풀림 현상이 발생하여 파이프의 파지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도 7은 종래의 다른 파이프행거(1-4)를 보인 것으로서, 국내의 실용신안 등록 제20-184219호 및 실용신안 등록 제20-414911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는 각형으로 된 상측밴드(40)와 반원형으로 된 하측반원밴드(50)로 분할형성하여 결합/분리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상측밴드(40)의 하측 양단에서 일측 단부에는 체결공(43)이 뚫어지고 타측 단부에는 걸이돌편(42)이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연장부(41)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하측반원밴드(50)의 상측 양단에서 일측 단부에는 체결공(43)에 결합/분리시킬 수 있도록 된 체결편(59)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 단부에는 수직삽탈공(52)과 수평삽탈공(53)이 뚫어지고 상면 양단에 스프링걸이홈(51-1)이 각각 형성된 갭형플랜지(51)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캡형플랜지(51)의 하측 내부에는 억류편(54)을 구비하여 수직삽탈공(52)으로 삽입(결합)되는 상측밴드(40)의 걸이돌편(42)을 억류시키되, 억류편(54)은 선단과 후단에 삽탈편(56)과 장전홈(55)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양단의 전후에는 스프링걸이홈(54-1)과 지지돌편(57)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결합된 캡형플랜지(51)와 억류편(54)은 스프링걸이홈(51-1)(54-1)에 고리형코일스프링(58)을 걸어 결합/분리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이다.
그러나, 이는 배관용 파이프를 설치할 때에, 상측밴드(40)에서 하측반원밴드(50)를 분리시켜야 하고, 분리된 하측반원밴드(50)를 파이프의 저면에 연접시키면서 체결편(59)을 체결공(43)에 결합시켜야 하며, 하측반원밴드(50)의 캡형플랜지(51)를 상향시켜 수직삽탈공(52)에 걸이돌편(52)을 삽입시켜야 하며, 캡형플랜지(51)의 하측에는 억류편(54)을 결합시키되 장전홈(55)으로 삽입되는 걸이돌편(42)이 억류편(54)의 저면에 걸리도록 하고 선단의 삽탈편(56)을 수평삽탈공(53)으로 삽입시키며 양측의 지지돌편(57)이 캡형플랜지(51)의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한다.
연접하는 캡형플랜지(51)와 억류편(54)의 외측에 고리형코일스프링(58)을 걸어 주어야 하므로, 설치 공정이 매우 복잡하고 파이프를 받쳐 지지하면서 설치하여야하므로 용이하게 설치할 수 없는 문제가 있고, 설치시간이 많이 소용되어 작업능률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으며, 억류편(54)과 고리형코일스프링(58)이 분리되어 있으므로 이를 분실하게 되면 파이프를 설치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이들 종래의 파이프행거(1-3)(1-4)들은 지지브래킷(10) 또는 상측밴드(40)의 상면에 결합된 너트뭉치(13)(44)가 자유스럽게 회전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외부의 충격에 의해 흔들리고 회전하게 되고, 따라서 전산볼트(60)의 결합상태가 점진적으로 해제되면서 지지력이 약화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지지브래킷(10)의 상면에 장착되는 너트뭉치(13)는 상면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삽입되는 지지관의 하단에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면으로 돌출되는 지지관의 상단에 별도의 결속구를 결합(억류)시켜 단순하게 지지되어 있으므로, 외부에 충격이 가해지거나 지진 등에 의해 진동이 발생할 경우에는 이를 감쇄(방진)시키지 못하여 전산볼트(60)와 중량의 파이프를 지탱하고 있는 지지브래킷(1)과의 사이에 변형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고, 심지어 충격이 강하게 되면 파이프가 뒤틀리게 될 뿐만 아니라 탈락하게 되는 문제를 배제할 수 없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더욱 개선된 배관용 파이프 행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좌우로 분할된 반원밴드의 하단을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 분리시키고, 각 반원밴드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된 장착편에는 지지브래킷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된 장착편을 장착하되, 지지브래킷의 내부에는 탄발장치를 구비하여 너트뭉치를 상측으로 탄발시키고, 일측 반원밴드와 지지브래킷의 장착편에는 장금판을 결합시키고 타측 반원밴드의 장착편에는 잠금장치부를 장착하며, 일측 반원밴드의 하단에 형성되는 체결부를 수직선상을 넘어 반대편까지 연장되게 형성하여서 된 배관용 파이프 행거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지브래킷의 내부에는 탄발장치를 구비하여 너트뭉치를 억류시켜 줌으로서 외부의 충격에 의해 흔들리는 현상을 방지하면서 천장에 고정되는 지지봉의 풀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일측 반원밴드와 지지브래킷의 장착편에 결합된 장금판와 타측 반원밴드의 장착편에 장착된 잠금장치를 용이하게 잠금/해제시키면서 파이프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수직선상을 넘어 반대편까지 연장되게 형성된 일측 반원밴드의 체결부에 의해 안치되는 파이프를 받쳐 지지하여 줌으로서, 안치된 파이프가 낙하하지 않도록 하고, 타측의 반원밴드를 용이하 게 장착시킬 수 있도록 된 배관용 파이프 행거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은,
각 하단에는 체결편(9)과 체결공(6)이 형성되고 좌우로 분할된 반원밴드(2)(3)를 결합/분리시켜 파이프를 지지/해제하고, 각 반원밴드(2)(3)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된 장착편(4)(5)에는 너트뭉치(13)가 상면에 설치된 지지브래킷(10)의 장착편(11)을 장착시킨 것에 있어서;
반원밴드(2)(3)의 내면에 결합 되어 지지되는 파이프를 결속시키고 방진하는 패드(14)와;
지지브래킷(10)의 내부에 설치되어 너트뭉치(13)을 상측으로 탄발시키면서 방진기능을 하는 방진장치부(15)와;
일측 반원밴드(2)와 지지브래킷(10)의 각 장착편(4)(11)에 뚫어진 장착공(4-1)(11-1)에 억지 끼움으로 결합되는 잠금판(30) 및 타측 반원밴드(3)의 장착편(5)에 장착되어 잠금판(30)에 잠금/해제되는 잠금장치부(20)와;
일측 반원밴드(20)의 하단에 형성되는 체결편(9)을 요홈(8-1)이 형성되도록 절곡된 안착편(8)에 의해 수직선상(0)을 넘어 반대편까지 연장되게 형성한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행거(1)(1-1)(1-2)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은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행거(1)의 구체적인 실현 예를 보인 것으로서, 도 1 내지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행거(1)의 분해 사시도와 결합 단면도 및 작동관계 설명도이고, 도 4a 내지 도 4c와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각기 다른 배관용 파이프 행거(1-1)(1-2)를 보인 분해 사시도와 결합 단면도 및 작동관계 설명도이다.
도 1 내지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행거(1)는 다음과 같이 형성하였다.
한 쌍의 반원밴드(2)(3)를 분할 형성하되, 각 반원밴드(2)(3)의 상단에는 장착(4)(5)을 각각 일체로 형성하여 장착공(4-1)(5-1)을 수직으로 뚫어주었고, 반원밴드(2)(3)의 각 하단에는 T형으로 된 체결공(6)과 별도의 체결부(7)를 형성하여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일측의 반원밴드(2)에 형성되는 상기 체결부(7)는, 요홈(8-1)이 양측에 형성되도록 절곡 형성된 안착편(8)의 외측 단부에는 통상의 체결편(9)을 일체로 형성하여 체결편(9)을 체결공(6)에 결합/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였는데, 결합시에는 반원밴드(3)의 단부(3-2)가 타측 반원밴드(2)의 하단 저면에 위치하고 체결편(9)이 반원밴드(3)의 하단 상면에 위치하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이 결합 되는 반원밴드(2)(3)의 내부에는 고무 또는 연질의 합성수지로 성형된 패드(14)를 결합시켜 파이프를 설치하였을 때에 견실하게 결속시키고 방진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였다.
반원밴드(2)(3)에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결속공(2-1)(3-1)을 뚫어주고 패드(14)의 외면에는 결속편(14-1)을 대응되게 형성하여, 각 결속편(14-1)을 결속공(2-1)(3-1)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삽입시키고, 결속공(2-1)(3-1)의 외측으로 돌출(노출)되는 각 결속편(14-1)의 상단을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열 융착하여 이탈되지 않도록 하였다.
장방형으로 되고 양단이 하측에서 연접되는 지지브래킷(10)은, 상면에 너트뭉치(13)를 장착하여 전산볼트(60)의 하단에 나사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였고, 양단을 연접시켜 형성한 한 쌍의 장착편(11)에는 수직으로 긴 장착공(11-1)을 각각 뚫어 연통 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구성은 안착편(8)에 체결편(9)을 형성하고, 장착공(4-1)(5-1)(11-1)을 수직으로 길게 뚫어준 것 외에는 종래의 파이프행거(1-3)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지지브래킷(10)의 내부에는 방진장치부(15)를 설치하여 상면에 장착된 너트뭉치(13)를 상측으로 지지(탄발)시키면서 방진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였다.
방진장치부(15)는, 너트뭉치(13)를 지지브래킷(10)의 상면 중앙에 내측에서 상부 외측으로 결합시키고, 너트뭉치(13)의 저면과 지지브래킷(10)의 내부 하측면과의 사이에는 방진코일스프링(16)을 장전시켜 너트뭉치(13)를 상측으로 탄발시키도록 하였다.
특히, 상기 너트뭉치(13)는 내부 하단에 나사부(13-2)가 형성된 지지관(13-1)의 하단 외측에 플랜지(13-3)를 일체로 형성하여 지지관(13-1)을 지지브래킷(10)의 상면 중앙에 내측에서 상부 외측으로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일체로 형성되는 방진코일스프링(16)은 상측을 확개안치스프링부(17)로 형성하고 하측을 협소받침스프링부(18)로 형성하여 확개안치스프링부(17)의 내측에 너트뭉치(13)의 플랜지(13-3)를 삽입(장전)하여 협소받침스프링부(18)의 위에 안치토록 하였다.
반원밴드(2)(3)의 장착편(4)(5)과 지지브래킷(10)의 장착편(11)에는 잠금장치부(20)를 결합시켰으며, 잠금장치부(20)는 다음과 같이 형성하였다.
반원밴드(2)의 상단에 형성된 장착편(4)의 내면에는 지지브래킷(10)의 장착편(11)을 연접시키고, 서로 연통하는 장착공(4-1)(11-1)에는 선단부에 잠금공(31)이 뚫어진 잠금판(30)을 억지 끼움으로 이탈되지 않게 결합시키되, 잠금판(30)의 후측 양단에 돌편(32)을 각각 형성하여 장착편(4)의 외면에 걸리도록 하였고, 선단 양측 모서리를 경사면(33)으로 형성하여 장착편(4)(5)(11)의 장착공(4-1)(5-1)(11-1)에 용이하게 삽입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잠금캡(21)은, 그의 내부에 록킹작동편수납실(21-1)을 일면 즉, 반원밴드(3)의 장착편(5) 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하였고, 중앙부에는 체결공(22)을 수직으로 길게 뚫어 잠금판(30)의 선단을 삽탈시킬 수 있도록 하였으며, 양측에는 억류편(24)을 돌출되게 형성하고 잠금캡(21)을 장착편(5)에 연접시킨 상태에서 억류편(24)을 장착편(5)의 후면 내측으로 절곡하여 잠금캡(21)을 장착편(5)에 일체형으로 장착시키도록 하였으며, 일 측면의 하단에는 유통공(23)을 뚫어 주었다.
잠금캡(21)의 록킹작동편수납실(21-1)에는 록킹작동편(25)을 유통공(23)의 방향으로 탄발시키는 탄발수단 즉, 판스프링(29) 또는 코일스프링(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을 장전시켰다.
상기 록킹작동편(25)은, 작동판(26)의 일면 중앙에는 길이가 짧은 잠금단봉(26-2)을 일체로 형성하고 하단에는 길이가 긴 밀대(26-1)를 잠금단봉(26-2)과 동일한 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하였으며, 밀대(26-1)의 선단부에는 스토퍼(26-3)를 작동판(26)과 나란하게 형성하여 전방으로 이동을 제한하도록 하였다.
록킹작동편(25)을 잠금캡(21)의 록킹작동편수납실(21-1)에 수납시켰을 때에 길이가 긴 밀대(26-1)의 선단이 잠금캡(21)의 일측 하단에 형성된 유통공(23)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였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행거(1-1)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것으로서, 반원밴드(2)(3)의 상측에 형성되는 잠금장치부(20-1)를 제외하고, 다른 부분은 도 1 내지 도 3에 예시된 파이프행거(1)와 동일하게 형성하였다.
상기 파이프행거(1-1)의 잠금장치부(20-1)는 다음과 같이 형성하였다.
반원밴드(2)의 상단에 형성된 장착편(4)의 내면에는 지지브래킷(10)의 장착편(11)을 연접시키고, 서로 연통하는 장착공(4-1)(11-1)에는 선단부에 잠금공(31)이 뚫어진 잠금판(30)을 억지 끼움 하여 이탈되지 않게 결합시켰다.
잠금판(30)은 후측 양단에 돌편(32)을 각각 형성하여 장착편(4)의 외면에 걸리도록 하였고, 선단부의 상측과 하측에는 잠금홈(34)을 동일선상에 각각 형성하였으며, 선단의 상하 모서리를 경사면(33)으로 형성하여 장착편(4)(5)(11)의 장착공(4-1)(5-1)(11-1)에 용이하게 삽입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잠금캡(21)은, 내부에 록킹작동편수납실(21-1)을 일면 즉, 반원밴드(3)의 장착편(5) 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하였고, 잠금캡(21)의 중앙부에는 체결공(22)을 수직으로 길게 뚫어 잠금판(30)의 선단을 삽탈시킬 수 있도록 하였으며, 양측에는 억류편(24)을 돌출되게 형성하고 잠금캡(21)의 장착편(5)에 연접시킨 상태에서 억류편(24)을 장착편(5)의 후면 내측으로 절곡하여 잠금캡(21)을 장착편(5)에 일체형으로 장착시켰으며, 일 측면의 하단에는 유통공(23)을 뚫어 주었다.
록킹작동편(25)은 작동판(27)의 내부에 폭이 넓은 해제공(27-4)과 폭이 좁은 록킹공(27-3)이 연통되게 뚫어진 록킹해제공(27-2)을 형성하였고, 해제공(27-4)이 위치하는 작동판(27)의 밑면 하단에는 길이가 긴 밀대(27-1)를 일체로 형성하여 선단이 잠금캡(21)의 유통공(23)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였다.
잠금캡(21)의 록킹작동편수납실(21-1)에는 록킹작동편(25)을 유통공(23)의 방향으로 탄발시키는 탄발수단 즉, 판스프링(29) 또는 코일스프링(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을 장전시키도록 하였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행거(1-2)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것으로서, 반원밴드(2)(3)의 상측에 형성되는 잠금장치부(20-2)를 제외하고, 다른 부분은 도 1 내지 도 3에 예시된 파이프행거(1)와 동일하게 형성하였다.
상기 파이프행거(1-2)의 잠금장치부(20-2)는 다음과 같이 형성하였다.
반원밴드(2)의 상단에 형성된 장착편(4)의 내면에는 지지브래킷(10)의 장착편(11)을 연접시키고, 서로 연통하는 장착공(4-1)(11-1)에는 잠금봉(35)을 억지 끼움 하여 이탈되지 않게 결합시켰다.
상기 잠금봉(35)은 외주 선단부에 록킹홈(35-2)을 형성하였고 후단에 플랜지(35-1)를 일체로 형성하여 장착편(4)의 외면에 걸리도록 하였다.
잠금캡(21)은, 잠금캡(21)의 내부에 록킹작동편수납실(21-1)을 일면 즉, 반원밴드(3)의 장착편(5) 방향으로 개방되도록 형성하였고, 잠금캡(21)의 중앙부에는 체결공(22)을 수직으로 길게 뚫어 주었으며, 양측에는 억류편(24)을 돌출되게 형성하고 잠금캡(21)의 장착편(5)에 연접시킨 상태에서 억류편(24)을 장착편(5)의 후면 내측으로 절곡하여 잠금캡(21)을 장착편(5)에 일체형으로 장착시켰으며, 일 측면의 하단에는 유통공(23)을 뚫어 주었다.
잠금캡(21)의 내부에 설치되는 록킹작동편(25)은 작동판(28)의 내부에 유통공(28-2)을 뚫어주었고, 일면 하단에는 길이가 긴 밀대(28-1)를 일체로 형성하여 선단이 잠금캡(21)의 유통공(23)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였다.
록킹작동편수납실(21-1)에는 탄발수단을 장전시켜 록킹작동편(25)을 유통공(23)의 방향으로 탄발시키도록 하였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행거(1)(1-1)(1-2)의 사용상태 즉, 파이프를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일측 반원밴드(3)의 상측에 장착된 잠금장치부(20)(20-1)(20-2)를 잠금장치(30)에 결합 또는 분리시킨 상태에서 너트뭉치(13)를 천장과 같은 설치면에 고정된 전산볼트(60)의 하단에 나사 결합하여 파이프행거(1)를 장착시킨다.
파이프행거(1)를 전산볼트(60)에 장착시키면 지지브래킷(10)의 내부에 장전된 방진코일스프링(16)이 너트뭉치(13)를 상측으로 밀어 억류시키므로 지지브래킷(10)은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충격을 흡수하여 흔들리지 않고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전산볼트(60)의 하단에 장착된 파이프행거(1)에서 잠금장치부(20)(20-1)(20-2)의 밀대(26-1)(27-1)(28-1)를 눌러주면 록킹작동편(25)을 형성하는 작동판(26)(27)(28)이 판스프링(29)을 이기고 후퇴하게 된다.
도 1 내지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은 잠금장치부(20)인 경우에는 록킹작동편(25)의 잠금단봉(26-2)이 후퇴하면서 잠금판(30)의 잠금공(31)에서 벗어나 잠금 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도 4a 내지 도 4c에 예시된 바와 같은 잠금장치부(20-1)인 경우에는 잠금홈(33)에 끼워져 있던 록킹공(27-3)이 벗어나(후진)면서 해제공(27-4)이 잠금홈(33)에 위치하여 록킹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도 5a 내지 도 5c에 예시된 바와 같은 잠금장치부(20-2)인 경우에는 잠금봉(35)의 록킹홈(35-2)에 결려져 있던 록킹면(28-3)이 록킹홈(35-2)을 벗어나면서 유통공(28-2)의 중심부에 잠금봉(35)이 위치하여 록킹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잠금장치부(20)(20-1)(20-2)를 작동시켜 잠금 상태가 해제되면 반원밴드(3)를 외측으로 젖혀 반원밴드(2)와의 사이(내측)를 개방시켜 준다.
반원밴드(2)(3)가 개방된 상태에서 고정되어 반원밴드(2)의 내측에 배관용 파이프(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를 올려놓으면, 파이프는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반원밴드(2)의 하단에서 수직중심선상(0)을 넘어 타측까지 중첩되도록 연장되어 있는 체결부(7)에 의해 이탈되지 않고 안정되게 안치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파이프를 고정된 반원밴드(2)에 안치시킨 상태에서 젖혀져 있는 반원밴드(3)를 상측으로 회전시키고, 잠금장치부(20)(20-1)(20-2)를 파지하여 록킹작동편(25)을 눌러 상태에서, 장착편(11)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잠금판(30)의 선단을 일치하는 장착편(5)과 잠금캡(21)의 장착공(5-1) 및 체결공(22)에 삽입시키며, 밀대(26-1)(27-1)(28-1)에서 눌러주는 압력을 제거하면 록킹작동편(25)은 판스프링(29)의 탄발력에 의해 전진하게 된다.
도 1a 내지 도 3에 예시된 파이프행거(1)의 잠금장치부(20)인 경우에는, 잠금캡(21)의 내부에 장전된 록킹작동편(25)이 판스프링(29)의 탄발력에 의해 전진하게 되고, 잠금단봉(26-2)이 전진하면서 록킹작동편수납실(21-1)에 있는 잠금판(30)의 잠금공(31)에 삽입되어 잠금장치부(20)를 잠금판(30)에 록킹시키게 되며, 록킹작동편(25)이 잠금판(30)에 록킹되면 파이프는 반원밴드(2)(3)의 패드(14)에 의해 억류되어 설치(상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 도 4a 내지 도 4c에 예시된 바와 같은 파이프행거(1-1)의 잠금장치부(20-1)인 경우에는, 잠금캡(21)의 내부에 장전된 록킹작동편(25)이 판스프링(29)의 탄발력에 의해 전진하게 되면 록킹작동편수납실(21-1)에 있는 잠금판(20)의 잠금홈(34)에는 작동판(27)의 해제공(27-4)이 벗어나고 록킹공(27-3)이 슬라이딩 결합되어 록킹되고, 작동판(27)이 잠금판(30)에 록킹되면 파이프는 반원밴드(2)(3)의 패드(14)에 의해 억류(설치)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도 5a 내지 도 5c에 예시된 바와 같은 파이프행거(1-2)의 잠금장치부(20-2)인 경우에는, 잠금캡(21)의 내부에 장전된 록킹작동편(25)이 판스프링(29)의 탄발력에 의해 전진하게 되면 작동판(28)이 전진하여 록킹면(28-3)이 잠금봉(35)의 록킹홈(35-2)에 결합(삽입)되어 록킹되고, 작동판(28)의 록킹면(28-3)이 잠금봉(35)의 록킹홈(35-2)에 록킹되면 파이프는 반원밴드(2)(3)의 패드(14)에 의해 억류(설치)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반면에 상기와 같이 록킹되어 있는 잠금장치부(20)(20-1)(20-2)의 록킹 상태를 해제하여 설치된 파이프를 인출하고 할 때에는 다음과 같이 실시한다.
잠금장치부(20)(20-1)(20-2)를 파지하여 밀대(26-1)(27-1)(28-1)를 눌러서, 잠금단봉(26-2)을 잠금판(30)의 잠금공(31)에서 이탈(잠금 상태 해제)시키거나(도 1 내지 도 3의 실시 예), 잠금홈(34)에 결합되어 있는 록킹공(27-3)을 이탈시켜 해제공(27-4) 측으로 이동시키거나(도 4a 내지도 4c의 실시 예), 록킹면(28-3)을 록킹홈(35-2)에서 이탈시킨다(도 5a 내지 도 5c의 실시 예).
상기와 같이 이탈(잠금 상태 해제)된 상태에서 파지하고 있는 잠금장치부(20)(20-1)(20-2)와 함께 반원밴드(3)를 외측으로 젖혀 줌으로서 록킹 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으며, 반원밴드(3)를 외측으로 젖힌 상태에서 반원밴드(2)의 체결부(7)에 안치되어 있는 파이프를 인출하여 분리(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행거(1)는 반원밴드(3)의 장착편(5)에 장착된 록킹작동편(25)을 반원밴드(2)와 지지브래킷(10)의 장착편(4)(11)에 설치되어 있는 잠금판(30)의 잠금공(31)이나 잠금홈(34) 또는 잠금봉(35)의 록킹홈(35-2)에 잠금/해제시키면서 파이프를 용이하게 설치 또는 분리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예에 대하여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배관용 파이프 행거는, 좌우로 분할된 반원밴드의 하단을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 분리시키고, 각 반원밴드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된 장착편에는 지지브래킷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된 장착편을 장착하되, 지지브래킷의 내부에는 탄발장치를 구비하여 너트뭉치를 상측으로 탄발시키고, 일측 반원밴드와 지지브래킷의 장착편에는 장금판 또는 잠금봉을 결합시키고 타측 반원밴드의 장착편에는 잠금캡과 록킹작동편을 장착하며, 일측 반원밴드의 하단에 형성되는 체결부를 수직선상을 넘어 반대편까지 연장되게 형성하여서 된 것으로서, 지지브래킷의 내부에는 탄발장치를 구비하여 너트뭉치를 억류시켜 줌으로써 외부의 충격에 의해 흔들리는 현상을 방지하면서 천장에 고정되는 지지봉의 풀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일측 반원밴드와 지지브래킷의 장착편에 결합된 장금판 또는 잠금봉과 타측 반원밴드의 장착편에 장착된 록킹작동편을 용이하게 잠금/해제시키면서 파이프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수직선상을 넘어 반대편까지 연장되게 형성된 일측 반원밴드의 체결부에 의해 안치되는 파이프를 받쳐 지지하여 줌으로써 안치된 파이프가 낙하하지 않도록 하면서 타측의 반원밴드를 용이하게 장착시킬 수 있는 것이다.

Claims (7)

  1. 각 하단에는 체결편(9)과 체결공(6)이 형성되고 좌우로 분할된 반원밴드(2)(3)를 결합/분리시켜 파이프를 지지/해제하고, 각 반원밴드(2)(3)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된 장착편(4)(5)에는 너트뭉치(13)가 상면에 설치된 지지브래킷(10)의 장착편(11)을 장착시킨 것에 있어서;
    반원밴드(2)(3)의 내면에 결합시켜 지지되는 파이프를 결속시키고 방진하는 패드(14)와;
    지지브래킷(10)의 내부에 설치하여 너트뭉치(13)을 상측으로 탄발시키고 억류시키는 방진장치부(15)와;
    일측 반원밴드(2)와 지지브래킷(10)의 각 장착편(4)(11)에 뚫어진 장착공(4-1)(11-1)에 억지 끼움으로 결합되는 잠금판(30) 및 타측 반원밴드(3)의 장착편(5)에 장착되어 잠금판(30)에 잠금/해제되는 잠금장치부(20)(20-1)(20-2)와;
    일측 반원밴드(2)의 하단에 형성되는 체결편(9)을 요홈(8-1)이 양측에 형성되도록 절곡된 안착편(8)에 의해 수직선상(0)을 넘어 반대편까지 연장되게 형성한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파이프 행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지지브래킷(10)의 내부에는 설치되는 방진장치부(15)는;
    지지브래킷(10)의 상면 중앙에 내측에서 외측으로 결합되고 지지관(13-1)의 하단에 플랜지(13-3)만 형성된 너트뭉치(13)와;
    너트뭉치(13)의 하측에 설치되어 너트뭉치(13)를 상측으로 탄발시키는 방진방진코일스프링(16);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파이프 행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잠금장치부(20)는;
    선단부에는 잠금공(31)을 상하로 길게 뚫어주고, 선단 양측 모서리를 경사면(33)으로 형성하여 장착편(4)(5)(11)의 장착공(4-1)(5-1)(11-1)에 삽탈시킬 수 있으며, 후측 양단에는 돌편(32)을 각각 형성하여 장착편(4)의 외면에 걸리도록 된 잠금판(30)과;
    내부에는 록킹작동편수납실(21-1)이 일면으로 개방되게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체결공(22)이 수직으로 길게 뚫어지며, 양측에 억류편(24)을 형성하여 잠금캡(21)을 장착편(5)에 연접시킨 상태에서 장착편(5)의 후면 내측으로 절곡시키며, 일 측면의 하단에는 유통공(23)이 뚫어진 잠금캡(21)과;
    작동판(26)의 일면 중앙에는 길이가 짧은 잠금단봉(26-2)를 일체로 형성하고, 작동판(26)의 하단에는 길이가 긴 밀대(26-1)를 잠금단봉(26-2)과 동일한 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하며, 밀대(26-1)의 선단부에는 스토퍼(26-3)를 작동판(26)과 나란하게 형성하며, 길이가 긴 밀대(26-1)의 선단이 유통공(23)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잠금캡(21)의 록킹작동편수납실(21-1)에 장전되는 록킹작동편(25)과;
    록킹작동편수납실(21-1)에 장전되어 록킹작동편(25)을 유통공(23)의 방향으로 탄발시키는 탄발수단;을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파이프 행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잠금장치부(20-1)는;
    선단부의 상측과 하측에는 잠금홈(33)을 동일선상에 각각 형성하고, 선단 양측 모서리를 경사면(33)으로 형성하여 장착편(4)(5)(11)의 장착공(4-1)(5-1)(11-1)에 삽입시킬 수 있으며, 후측 양단에 돌편(32)을 각각 형성하여 장착편(4)의 외면에 걸리도록 한 잠금판(30)과;
    내부에는 록킹작동편수납실(21-1)이 일면으로 개방되게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체결공(22)이 수직으로 길게 뚫어지며, 양측에 억류편(24)을 형성하여 잠금캡(21)을 장착편(5)에 연접시킨 상태에서 장착편(5)의 후면 내측으로 절곡시키며, 일 측면의 하단에는 유통공(23)이 뚫어진 잠금캡(21)과;
    작동판(27)의 내부에 폭이 넓은 해제공(27-4)과 폭이 좁은 록킹공(27-3)이 일체로 뚫어진 록킹해제공(27-2)을 형성하고, 해제공(27-4)측에서 작동판(27)의 밑면 하단에 길이가 긴 밀대(27-1)를 일체로 형성하여 선단이 잠금캡(21)의 유통공(23)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된 록킹작동편(25)과;
    록킹작동편수납실(21-1)에 장전되어 록킹작동편(25)을 유통공(23)의 방향으로 탄발시키는 탄발수단;을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파이프 행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잠금장치부(20-2)는;
    선단부에 록킹홈(35-2)이 형성되고 후단에 플랜지(35-1)가 일체로 형성되어 장착편(4)의 외면에 걸리도록 한 잠금봉(35)과;
    내부에는 록킹작동편수납실(21-1)이 일면으로 개방되게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체결공(22)이 뚫어지며, 양측에 억류편(24)을 형성하여 잠금캡(21)을 장착편(5)에 연접시킨 상태에서 장착편(5)의 후면 내측으로 절곡시키며, 일 측면의 하단에는 유통공(23)이 뚫어진 잠금캡(21)과;
    작동판(28)의 내부에 유통공(28-2)이 뚫어지고, 일면 하단에는 길이가 긴 밀대(28-1)를 일체로 형성하여 선단이 잠금캡(21)의 유통공(23)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된 록킹작동편(25)과;
    록킹작동편수납실(21-1)에 장전되어 록킹작동편(25)을 유통공(23)의 방향으로 탄발시키는 탄발수단;을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파이프 행거.
  6. 청구항 2에 있어서, 방진장치부(15)에서 너트뭉치(13)의 하측에 설치되는 방진방코일스프링(16)은;
    상측의 확개안치스프링부(17)와 하측의 협소받침스프링부(18)를 일체로 형성하고, 확개안치스프링부(17)의 내측에 너트뭉치(13)의 플랜지(13-3)를 장전시켜 협소받침스프링부(18)의 위에 안치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파이프 행거.
  7.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잠금캡(21)의 록킹작동편수납실(21-1)에 장전되어 록킹작동편(25)을 유통공(23)의 방향으로 탄발시키도록 탄발수단은;
    판스프링(29), 코일스프링 중에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파이프 행거.
KR1020060045157A 2006-05-19 2006-05-19 배관용 파이프 행거 KR1006972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5157A KR100697220B1 (ko) 2006-05-19 2006-05-19 배관용 파이프 행거
US11/470,780 US7546986B2 (en) 2006-05-19 2006-09-07 Pipe hanger
JP2006251591A JP4390791B2 (ja) 2006-05-19 2006-09-15 配管用パイプハンガー
CNB2006800040144A CN100535490C (zh) 2006-05-19 2006-11-30 管悬挂器
PCT/KR2006/005120 WO2007136158A1 (en) 2006-05-19 2006-11-30 A pipe hang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5157A KR100697220B1 (ko) 2006-05-19 2006-05-19 배관용 파이프 행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7220B1 true KR100697220B1 (ko) 2007-03-20

Family

ID=38723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5157A KR100697220B1 (ko) 2006-05-19 2006-05-19 배관용 파이프 행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546986B2 (ko)
JP (1) JP4390791B2 (ko)
KR (1) KR100697220B1 (ko)
CN (1) CN100535490C (ko)
WO (1) WO2007136158A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9578B1 (ko) 2007-03-12 2009-03-23 주식회사 비앤아이 배관설치구
KR101102908B1 (ko) 2011-06-23 2012-01-10 김성구 내진 스프링 안전 행거
KR20160045470A (ko) 2014-10-17 2016-04-27 고재홍 파이프 행거 지지용 슬래브 인서트 앵커너트 및 그 제작방법
CN108675110A (zh) * 2018-05-11 2018-10-19 上海玻璃钢研究院东台有限公司 一种浮动式玻璃钢起吊装置
KR102321507B1 (ko) 2021-04-29 2021-11-03 추용대 슬래브용 매립형 앵커
CN114526377A (zh) * 2021-12-31 2022-05-24 中建二局第二建筑工程有限公司山东分公司 一种可调式支吊架抱死防落底座结构及工作方法
CN114877136A (zh) * 2022-04-29 2022-08-09 彭小华 一种模块化集成式多功能吊架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48300B2 (ja) * 2007-01-16 2013-02-20 株式会社イノアックコーポレーション 配管の支持具及びそれに用いるパッド
US8381361B2 (en) * 2007-12-20 2013-02-26 Airbus Deutschland Gmbh Holding system for a line assembly
US20090265895A1 (en) * 2008-04-28 2009-10-29 Box Neil K Clamp
US8056740B2 (en) * 2008-05-27 2011-11-15 Target Brands, Inc. Product display assembly and tester security apparatus
FR2934021B1 (fr) * 2008-07-18 2010-08-27 Caillau Ets Collier de serrage dont la ceinture comprend deux portions reliees entre elles
US7905457B2 (en) * 2008-09-23 2011-03-15 Meissner Filtration Products, Inc. Interlocking brackets for filter capsules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US8439317B2 (en) 2009-02-27 2013-05-14 Franklin Fastener Company Grommeted clamp assembly
US9482369B2 (en) 2009-03-25 2016-11-01 Franklin Fastener Company Wrap bracket damper assembly
US8870132B2 (en) 2009-03-25 2014-10-28 Franklin Fastener Company Wrap bracket clamp assembly
CZ2009216A3 (cs) 2009-04-08 2010-10-20 Haas Profile S.R.O. Podpurná konstrukce pro rozvody technického zarízení budov a zpusob její výroby
DE102009056907A1 (de) * 2009-12-03 2011-06-09 A. Raymond Et Cie Befestigungsvorrichtung und mit einer Befestigungsvorrichtung ausgestattetes Anbauteil
US8876066B1 (en) * 2009-12-17 2014-11-04 Progressive Fastening, Inc. Hanger with bolt closures
US7988110B1 (en) * 2010-09-13 2011-08-02 Hong Fu Jin Precision Industry (Shenzhen) Co., Ltd. Cable clamp
JP5189151B2 (ja) * 2010-10-06 2013-04-24 日立電線株式会社 ケーブル固定部材
JP2012109678A (ja) * 2010-11-15 2012-06-07 Nifco Inc クリップ
DK2476942T3 (en) * 2011-01-18 2016-01-04 Armacell Entpr Gmbh & Co Kg Mounting system for isolated installations
CN102174969B (zh) * 2011-03-04 2012-11-14 中建一局华江建设有限公司 钢索吊架及其施工方法
US9709192B1 (en) * 2011-04-08 2017-07-18 Com Dangles, Llc Strap for suspending wires that is reconfigurable for various attachment systems
KR101359247B1 (ko) * 2012-02-21 2014-02-06 권태운 파이프 지지장치
WO2014153481A1 (en) * 2013-03-20 2014-09-25 Kirkhill-Ta Co. Releasable securing mechanism
CN103463801B (zh) * 2013-08-13 2015-09-23 袁燕卫 悬挂器
FR3015625B1 (fr) * 2013-12-20 2015-12-11 Snecma Bras de guidage d'elements de forme allongee, en particulier pour une turbomachine
US20150217154A1 (en) 2014-02-06 2015-08-06 Performance Advantage Company, Inc. Universal nozzle connector with an adjustable mount
KR101628860B1 (ko) * 2014-03-07 2016-06-0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부유 저장식 발전플랜트 및 그 발전플랜트의 배관 연결 시스템
US9482370B2 (en) * 2014-05-06 2016-11-01 Image Industries, Inc. Line clamp assembly and method of use
US9903524B2 (en) 2015-01-19 2018-02-27 Erico International Corporation Hanger system
US20170030486A1 (en) * 2015-07-28 2017-02-02 Franklin Fastener Company Captivating clamp
US10274109B2 (en) * 2016-03-09 2019-04-30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Engine block clamp assembly
US9682759B1 (en) * 2016-03-18 2017-06-20 T-H Marine Supplies, Inc. Trolling motor lift cord clamp device
US9777871B1 (en) 2016-03-28 2017-10-03 Jiaxing Tian Hinged pipe mounting fixture
DE102017103079A1 (de) * 2017-02-15 2018-08-16 Norma Germany Gmbh Schelle
US10690266B2 (en) * 2017-03-06 2020-06-23 Jiangmen Eurofix Metal And Rubber Products Co., Ltd. Suspension device
PT3410033T (pt) * 2017-05-31 2020-03-23 Soltec Energias Renovables Sl Dispositivo de suporte para um veio rotativo de um rastreador solar
CN108167549B (zh) * 2018-02-08 2023-10-03 杭州慧喜利科技有限公司 一种悬挂式综合支吊架
KR101856677B1 (ko) 2018-02-20 2018-06-25 (주)산이앤씨건축사사무소 건축물의 화재 발생시 소방 용수 자동 제어시스템
KR102610322B1 (ko) * 2018-08-07 2023-12-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동 펌프 마운팅 어셈블리
US10781944B2 (en) 2018-09-27 2020-09-22 Anvil International, Llc Pipe clamp
JP2020101244A (ja) * 2018-12-25 2020-07-02 有限会社アールストーン 配管支持具
JP2020101243A (ja) * 2018-12-25 2020-07-02 有限会社アールストーン 配管支持具
JP2020101245A (ja) * 2018-12-25 2020-07-02 有限会社アールストーン 配管支持具
JP2020153478A (ja) * 2019-03-22 2020-09-24 有限会社アールストーン 配管支持具
JP2020153476A (ja) * 2019-03-22 2020-09-24 有限会社アールストーン 配管支持具
JP7167269B2 (ja) * 2020-01-10 2022-11-08 株式会社昭和コーポレーション 吊り金具用補助部材及びそれを備えた吊り金具
JP7335180B2 (ja) * 2020-02-07 2023-08-29 Awj株式会社 配管支持具
CN111335948A (zh) * 2020-03-23 2020-06-26 中国十九冶集团有限公司 一种隧道通风管安装结构
USD942847S1 (en) * 2020-07-25 2022-02-08 Laurin Thomas Wilson, Sr. Conduit strap with longitudinally offset feet
JP7348666B2 (ja) 2021-01-07 2023-09-21 株式会社山下製作所 配管支持装置
GB2605006A (en) * 2021-02-17 2022-09-21 Gripple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hangers and hanger systems
CN113847478B (zh) * 2021-09-18 2023-07-18 西安热工研究院有限公司 一种高温蒸汽氧化实验管道三向限位装置及其安装方法
JP2023078923A (ja) * 2021-11-26 2023-06-07 住友電装株式会社 ワイヤハーネス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6948U (ko) * 1997-10-31 1999-05-25 김유일 방진용 행거
KR200191203Y1 (ko) 2000-02-18 2000-08-16 이춘근 천정 구조물 지지체용 행거
JP2001049814A (ja) 1999-08-10 2001-02-20 Otis:Kk パイプ支持バンドの固定構造
KR200269997Y1 (ko) 2001-12-28 2002-03-25 윤종철 파이프고정용 클램프
JP2003042348A (ja) 2001-08-01 2003-02-13 Akagi:Kk 配管支持具及び取付機構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65710A (en) * 1943-08-27 1944-12-26 Grinnell Corp Pipe hanger
US3048359A (en) * 1959-09-14 1962-08-07 Carpenter And Paterson Inc Constant support pipe hanger
KR900001468Y1 (ko) 1987-01-22 1990-02-28 대우자동차주식회사 덤프트럭의 덤핑와이어 조작레버
US5009386A (en) * 1989-06-01 1991-04-23 Berger Richard C Pipe hanger and support
KR940002712Y1 (ko) 1991-09-09 1994-04-23 이수찬 캐비넷의 직각맞춤구조체
KR950002794Y1 (ko) 1992-03-20 1995-04-15 유창근 의자 팔걸이
KR970004346Y1 (ko) 1994-10-25 1997-05-08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 엔진 후드 패널의 라디에이터 그릴 장착부 보강 구조
KR980003991U (ko) 1996-06-07 1998-03-30 정천섭 파이프행거
KR200184219Y1 (ko) 1999-12-22 2000-06-01 이영우 파이프 행거
KR200190184Y1 (ko) 1999-12-30 2000-07-15 김대식 파이프행거 부식방지장치
KR200197233Y1 (ko) 2000-02-07 2000-09-15 한점수 파이프 행거
JP3739342B2 (ja) * 2002-08-06 2006-01-25 株式会社アカギ 配管用吊りバンド
KR200414911Y1 (ko) 2005-11-16 2006-04-27 (주)창신산업 장탈착이 용이한 파이프 행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6948U (ko) * 1997-10-31 1999-05-25 김유일 방진용 행거
JP2001049814A (ja) 1999-08-10 2001-02-20 Otis:Kk パイプ支持バンドの固定構造
KR200191203Y1 (ko) 2000-02-18 2000-08-16 이춘근 천정 구조물 지지체용 행거
JP2003042348A (ja) 2001-08-01 2003-02-13 Akagi:Kk 配管支持具及び取付機構
KR200269997Y1 (ko) 2001-12-28 2002-03-25 윤종철 파이프고정용 클램프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9578B1 (ko) 2007-03-12 2009-03-23 주식회사 비앤아이 배관설치구
KR101102908B1 (ko) 2011-06-23 2012-01-10 김성구 내진 스프링 안전 행거
KR20160045470A (ko) 2014-10-17 2016-04-27 고재홍 파이프 행거 지지용 슬래브 인서트 앵커너트 및 그 제작방법
CN108675110A (zh) * 2018-05-11 2018-10-19 上海玻璃钢研究院东台有限公司 一种浮动式玻璃钢起吊装置
KR102321507B1 (ko) 2021-04-29 2021-11-03 추용대 슬래브용 매립형 앵커
CN114526377A (zh) * 2021-12-31 2022-05-24 中建二局第二建筑工程有限公司山东分公司 一种可调式支吊架抱死防落底座结构及工作方法
CN114526377B (zh) * 2021-12-31 2023-11-24 中建二局第二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可调式支吊架抱死防落底座结构及工作方法
CN114877136A (zh) * 2022-04-29 2022-08-09 彭小华 一种模块化集成式多功能吊架
CN114877136B (zh) * 2022-04-29 2023-11-03 深圳市甲骨文智慧实验室建设有限公司 一种模块化集成式多功能吊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198818A (zh) 2008-06-11
JP2007309510A (ja) 2007-11-29
CN100535490C (zh) 2009-09-02
WO2007136158A1 (en) 2007-11-29
US20070272806A1 (en) 2007-11-29
US7546986B2 (en) 2009-06-16
JP4390791B2 (ja) 2009-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7220B1 (ko) 배관용 파이프 행거
KR200439706Y1 (ko) 배관용 파이프 행거
CN203223718U (zh) 一种建筑内部机电设备的抗震支架
KR101887203B1 (ko) 면진 기능을 구비한 천장마감설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천장마감방법
KR101031545B1 (ko) 배관용 파이프 행거
KR100748189B1 (ko) 배관용 보조파이프 행거
KR102137782B1 (ko) 반도체 배관라인 접속밸브용 락디바이스
KR101346058B1 (ko) 내진 및 방진을 위한 행거 볼트 체결용 인서트
CN202524248U (zh) 一种电机的安装结构
KR100626978B1 (ko) 조명등용 체결구
KR200446638Y1 (ko) 배관용 파이프 행거
JP2013167294A (ja) 防振吊り減震構造体
CN107002400B (zh) 用于固定卫浴物品的固定装置
KR101188727B1 (ko) 고정구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선반장치
KR200487550Y1 (ko) 내진용 유 클램프
CN113483153A (zh) 空调安装工程风管结构及其安装方法
KR20180053050A (ko) 배관용 파이프 행거
CN218719645U (zh) 一种管件配重装置
KR100892818B1 (ko) 자동차용 네트후크
KR101031544B1 (ko) 배관용 파이프 행거
KR20190099696A (ko) 행거 잠금장치
KR200184219Y1 (ko) 파이프 행거
JPH0752459Y2 (ja) 配管支持金具
JPS6116329Y2 (ko)
KR20090126695A (ko) 배관용 파이프 행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