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9706Y1 - 배관용 파이프 행거 - Google Patents

배관용 파이프 행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9706Y1
KR200439706Y1 KR2020060027715U KR20060027715U KR200439706Y1 KR 200439706 Y1 KR200439706 Y1 KR 200439706Y1 KR 2020060027715 U KR2020060027715 U KR 2020060027715U KR 20060027715 U KR20060027715 U KR 20060027715U KR 200439706 Y1 KR200439706 Y1 KR 2004397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iece
band
mounting
support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77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0469U (ko
Inventor
김태식
Original Assignee
김태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식 filed Critical 김태식
Priority to KR20200600277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9706Y1/ko
Publication of KR2008000046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046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97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970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14Hangers in the form of bands or cha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with two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tubing, both being made of thin band material completely surrounding the pi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배관용 파이프행거는, 좌·우로 분할된 반원밴드의 하단을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시키고, 각 반원밴드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된 장착편에는 지지브래킷의 하단에 형성된 지지편을 장착하되, 지지브래킷의 내부에는 방진장치부(스프링)를 상측에 형성된 너트뭉치와 결합하여 일체로 형성시키고, 일측 반원밴드의 장착편과 지지브래킷의 지지편에는 장착공을 형성하여 고정볼트를 강제치구하며, 일측 반원밴드의 장착편에는 지지관뭉치를 장착시켜주며, 반원밴드의 내측으로 방진패드를 형성시켜준 것으로서, 지지브래킷의 내부에는 방진장치부를 구비하여 너트뭉치를 억류시켜 줌으로서 외부에 충격에 의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잠금장치부를 다양하게 형성시켜 사용하는 데 있어 용이하고 간편하며, 밴드내부에 패드를 장착시켜 줌으로서 파이프에 부식을 원천적으로 방지함과 동시에 미동을 흡수하여 파이프가 뒤틀리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전산볼트. 반원밴드. 지지브래킷. 너트뭉치. 패드. 잠금장치부. 방진장치부.

Description

배관용 파이프 행거{A Pipe Hanger}
도 1a 및 도 1b는 본 고안에 따른 배관용 파이프 행거의 분해사시도 및 결합단면도.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배관용 파이프 행거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및 결합단면도.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배관용 파이프 행거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및 결합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배관용 파이프 행거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및 결합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에 따른 배관용 파이프 행거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및 결합단면도.
도 6은 종래의 배관용 파이프 행거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1. 1-2. 1-3. 1-4: 배관용파이프행거 2. 3: 반원밴드
4. 5: 장착편 4-1. 5-1. 11-1: 장착공 7-1: 볼트
7-2: 클립 8: 너트 10: 지지브래킷
11: 지지편 11-2: 안착홈 13: 너트뭉치
13-1: 지지관 13-2: 나사부 13-3: 플랜지
14: 방진패드 14-1: 돌기 15: 방진장치부
19: 전산볼트 20. 20-1. 20-2. 20-3. 20-4: 잠금장치부
21: 고정용볼트 21-1: 수평봉 21-2: 나사봉
22: 지지관뭉치 22-1: 나사부 22-2: 지지관
22-3: 이탈방지테 23: 2중나사지지관뭉치 24: 2중나사지지관
24-1: 외측나사 24-2: 내측나사 24-3: 돌테
24-4: 디스크판 30: 파이프
본 고안은 건물의 천정이나 벽체에 부착하여 파이프를 배관시키는 배관용 파이프 행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좌·우로 분할된 반원밴드의 하단을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시키고, 각 반원밴드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된 장착편에는 지지브래킷의 하단에 형성된 지지편을 장착하되, 지지브래킷의 내부에는 방진장치부(스프링)를 상측에 형성된 너트뭉치와 결합하여 일체로 형성시키고, 일측 반원밴드의 장착편과 지지브래킷의 지지편에는 장착공을 형성하여 고정용볼트를 강제치구하며, 일측 반원밴드의 장착편에는 지지관뭉치를 장착시켜주고, 반원밴원 내측으로 방진패드를 형성시켜서 된 배관용 파이프 행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천정과는 설치면에는 상수관 및 옥내배관 등으로 사용되는 각종 파이프를 설치할 때에는 천정에 전산볼트를 등간격으로 형성시켜 주고, 형성된 전산볼트의 하단에 파이프 행거를 장착하며, 파이프 행거를 이용하여 파이프를 억류시켜 설치하게 된다.
도 6은 상기와 같이 파이프를 설치할 때에 지지봉의 하단에 장착되는 종래의 파이프행거(1-5)를 보인 것이다.
도 1에 예시된 파이프 행거(1-5)는, 국내의 공개실용신안 공개번호 제20-1990-14681호·공개실용신안 공개번호 제20-1664-21123호·실용신안 등록 제20-190184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의 것을 설명하면, 한 쌍의 반원밴드(2)(3)를 형성하되, 각 반원밴드(2)(3)의 상단에는 장착공이 뚫어진 장착편(4)(5)을 일체로 형성하고, 하단에는 체결공(4-2)과 체결편(5-2)을 서로 엇갈리게 삽입시켜 결합형성시키며, 반원밴드(2)(3)의 장착편(4)(5)에는 지지브래킷(10)의 하측 양단에 각각 형성되고 장착공이 뚫어진 지지편(11)을 볼트(7) 및 너트(8)와 같은 체결수단으로 체결시키며, 지지브래킷(10)의 상면에 결합된 너트뭉치(13)에는 전산볼트를 결합시키도록 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종래의 파이프행거(1-5)는 파이프를 설치할 때에, 반원 밴드(2)(3)의 장착편(4)(5)과 지지브래킷(10)의 지지편(11)에 체결된 너트(8)를 풀어 일측의 반원밴드(2)를 분리시키고, 고정되어 있는 반원밴드(3)와 자유상태의 반원밴드(2) 사이로 파이프를 인입시킨 상태에서 파이프를 손으로 받쳐 이탈되지 않도록 하면서 분리된 반원밴드(2)의 체결편(5-2)에 걸어주고 장착편(4)에 뚫어진 장착공에 볼트(7)를 끼운 상태에서 장착편(4)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볼트(7)의 선단에 너트(8)를 나사결합시켜 주어야 하므로, 설치공정이 매우 까다롭고, 반원밴드가 완전반원으로 형성되어 있어 단부가 수직선상에 위치하므로 내측에 인입된 파이프가 낙하하지 않도록 지지하면서 반원밴드를 체결시켜야 하므로 파이프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없다는 점과 장착공과 볼트(7) 사이에 유격이 있어 반복되는 진동으로 체결부가 풀림 현상이 발생하여 파이프의 파지력이 약해져 파이프가 뒤틀리거나 심지어는 탈락하는 경우의 문제가 야기 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더욱 개선된 배관용 파이프 행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은, 좌·우로 분할된 반원밴드의 하단을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시키고, 각 반원밴드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된 장착편에는 지지브래킷의 하단에 형성된 지지편을 장착하되, 지지브래킷의 내부에는 방진장치부(스프링)를 상측에 형성된 너트뭉치와 결합하여 일체로 형성시키고, 일측 반원밴드의 장착편과 지지브래킷의 지지편에는 장착공을 형성하여 고정볼트를 강제치구하며, 일측 반원밴드의 장착편 에는 지지관뭉치를 장착시켜주며, 반원밴드의 내측으로 방진패드를 형성시켜서 된 배관용 파이프 행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지지브래킷의 내부에 방진장치부를 형성시켜 주어 진동에 의한 흔들리는 것을 미연에 방지시켜 주며, 잠금장치부를 다양하게 형성시켜 줌으로서 파이프행거에 파이프를 체결시 좀더 견고하게 체결시켜줄 수 있으며, 파이프를 쉽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파이프행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반원밴드 내측으로 방진패드를 장착시켜 줌으로서 파이프와 반원밴드 내측으로 녹이 생기는 것을 방지시켜 주고, 미세한 진동 등을 방진패드가 감쇄시켜 줌으로 파이프를 좀더 견고하게 지지되어 파이프가 이탈되거나 뒤틀리는 것을 방지시켜 준다.
본 고안의 상기 및 기타 목적,
각 하단에는 체결편(5-2)과 체결공(4-2)이 형성되고 좌·우로 분할된 반원밴드(2)(3)를 결합/분리시켜 파이프를 지지/해제하고, 각 반원밴드(2)(3)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된 장착편(3)(4)에는 너트뭉치(13)가 상면에 설치된 지지브래킷(10)의 지지편(11)을 장착시킨 것에 있어서;
지지브래킷(11)의 내부에 장착되어 너트뭉치(13)와 일체로 형성되고, 너트뭉치(13)를 상측으로 탄발시키면서 방진기능을 하는 방진장치부(15)와;
일측 반원밴드(2)의 장착편(4)과 지지브래킷(10)의 각 지지편(11)에 뚫어진 장착공(4-1)(11-1)에 강제치구되는 고정볼트(21) 및 타측 반원밴드(3)의 장착편(5)에 장착된 너트지지관(22)에 의해 잠금/해제되는 잠금장치부(20)와;
반원밴드(2)(3) 내측에 인입되어 고정되며 외면에 돌기(14-1)를 구성한 방진패드(14)를 형성한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파이프행거(1)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의 상기 및 기타 목적은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된 도면 도 1a 및 도 1b는 본 고안에 따른 배관용 파이프 행거의 분해사시도 및 결합단면도,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배관용 파이프 행거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및 결합단면도,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배관용 파이프 행거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및 결합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배관용 파이프 행거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및 결합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에 따른 배관용 파이프 행거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및 결합단면도이다.
도 1a 및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배관용 파이프행거(1)로 다음과 같이 구성하였다.
한 쌍의 반원밴드(2)(3)를 형성하되, 각 반원밴드(2)(3)의 상단에는 장착 편(4)(5)을 형성시켜주고, 반원밴드(2)(3) 사이에는 상광하협 형상으로 상단에 유통공이 형성되고 하단은 지지편(11)이 분할 형성된 지지브래킷(10)을 위치시켜 주며, 각 장착편(4)(5)과 지지편(11)의 중앙부분에는 서로 연통되게 장착공(4-1)(5-1)(11-1)을 형성시켰다.
상기의 일측 반원밴드(2) 하단에는 체결공(4-2)과 체결편안치홈(4-3)을 형성하였고, 타측 반원밴드(3)의 하단에는 T자 형으로 된 체결편(5-2)을 형성시켜주어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일측의 반원밴드(3)에 형성되는 상기 체결편(5-2)은 체결편(5-2)이 상측에 형성되도록 절곡 형성된 안착편(5-3)의 외측 단부에 통상의 체결편(5-2)을 일체로 형성하며, 체결편(5-2)을 체결홈(4-2)에 결합/분리시킬 수 있게 하고, 결합된 체결편(5-2)은 체결편안치홈(4-3)의 상면에 위치하도록 하였다.
상광하협 형상으로 상단이 넓고 하단이 연접되는 지지브래킷(10)은, 상면에 형성된 유통공에 너트뭉치(13)를 장착하고 전산볼트(19) 하단의 나사산과 나사결합 하도록 하였으며, 연접되게 형성된 지지편(11)의 장착공(11-1)은 일측반원밴드(2)의 장착공(4-1)과 크기가 같은 구멍을 뚫어 서로 연통되게 형성하였다.
지지브래킷(10)의 경사면에는 안착홈(11-2)을 형성하여 안착홈(11-2)에 방진장치부(스프링)(15)의 하단을 장착/고정시켜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방진장치부(15)의 상단 내주면에 너트뭉치(13)의 하단을 억지끼움시켜 항상 너트뭉치(13)가 상측으로 지지(탄발)되도록 하면서 방진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의 너트뭉치(13)는 다음과 같이 형성하였다.
내면에 나사부(13-2)가 형성된 지지관(13-1)의 하단에는 플랜지(13-3)를 결합하여 일체형으로 형성하고 이를 지지브래킷(10)의 상면에 형성된 유통공에 결합시키되, 너트뭉치(13) 하단에 플랜지(13-3)를 방진장치부(15)의 상단과 억찌끼움시켜 방진방치부(15)와 너트뭉치(13)가 지지브래킷(10)의 내부에서 일체형이 되도록 형성하였다.
반원밴드(2)(3)의 장착편(4)(5)과 지지브래킷(10)의 지지편(11)에는 잠금장치부(20)를 결합시켰으며, 잠금장치부(20)는 다음과 같이 형성하였다.
반원밴드(2) 상단에 형성된 장착편(4)에는 지지브래킷(10)의 지지편(11)을 연접시키고, 서로 연통하는 장착공(4-1)(11-1)에는 수평봉(21-1)과 나사봉(21-2)으로 형성된 고정용볼트(21)를 장착공(4-1)(11-1)에 강제치구시켜 지지브래킷(10)과 반원밴드(2)가 서로 이탈되지 않도록 일체형으로 형성하였으며, 타측반원밴드(3) 상단의 장착편(5)에 형성된 장착공(5-1)에는 내부에 나사부(22-1)가 형성되고 일측에 너트헤드가 형성된 지지관(22-2)를 지지관뭉치(22)를 장착공(5-1)에 삽입하되, 장착공(5-1)의 지름을 약간 크게 형성하여 지지관(22-2)이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한 상태에서 지지관(22-2)의 끝단을 내측으로 둥글게 말아 이탈방지테(22-3)를 형성하여 지지관뭉치(22)가 장착편(5-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토록 하였다.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배관용 파이프행거(1-1)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것으로서, 반원밴드(2)(3)의 상측에 형성되는 잠금장치부(20-1)를 제외하고, 다른 부분은 도 1a 및 도 1b에 예시된 배관용 파이프행거(1)와 동일하게 형성하였 다.
상기 배관용 파이프행거(1-1)의 잠금장치부(20-1)는 다음과 같이 형성하였다.
반원밴드(2) 상단에 형성된 장착편(4)의 내측면에 지지브래킷(10)의 지지편(11)를 연접시키고, 서로 연통되게 형성한 장착공(4-1)(11-1)에는 수평봉(21-1)과 나사봉(21-2)으로 구성된 고정볼트(21)를 장착공(4-1)(11-1)에 삽입시켜 강제치구시켜 주되, 수평봉(21-1)의 끝단이 장착공(11-1)의 외면과 일치되도록 하여 고정볼트(21)와 장착편(4) 및 지지편(11)이 서로 이탈되지 않도록 일체형으로 형성시켜 준다.
타측 반원밴드(3) 상단에 형성되는 장착편(5)의 중앙에는 장착공(5-1)을 뚫어주었고, 장착공(5-1)에는 2중나사지지관뭉치(23)를 결합시켜 주었으며, 상기 2중나사지지관뭉치(23)는 다음과 같이 형성하였다.
지지관의 외부과 내부에는 외측나사(24-1)와 내측나사(24-2)를 형성하고, 외부면 일측에는 돌테(24-3)를 형성하여 된 2중나사지지관(24)을 형성하되, 지지관의 일측을 장착공(5-1)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끝단을 내측으로 둥글게 말아 이탈방지테(24-4)을 형성시키고, 2중나사지지관(24)의 외면에 형성된 외측나사(24-1)에 너트(8) 대응시켜 외부 돌테(24-3)가 형성된 부분까지 조여 결합/체결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배관용 파이프행거(1-2)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것으로서, 반원밴드(2)(3)의 상측에 형성되는 잠금장치부(20-2)를 제외하고 , 다른 부분은 도 1a 및 도 1b에 예시된 배관용 파이프행거(1)와 동일하게 형성하였 다.
상기 배관용 파이프행거(1-2)의 잠금장치부(20-2)는 다음과 같이 형성하였다.
반원밴드(2) 상단에 형성된 장착편(4)의 중앙부분에는 장착공(4-1)을 형성시켜주었고, 지지브래킷(10)의 하단에 형성된 지지편(11) 중앙에는 육각형상의 장착공(11-2)을 형성시켜주었으며, 장착공(11-2) 내부에는 너트(8)를 억지끼움 시킨 상태에서 반원밴드(2) 상단에 형성된 장착편(4)에 지지편(11)을 연접시키고, 수평봉(21-1)과 나사봉(21-2)이 형성된 고정용볼트(21)를 체결시켜줌으로써 고정용볼트(21)와 장착편(4) 및 지지편(11)이 서로 이탈되지 않게 일체형이 되도록 형성하였다.
타측반원밴드(3) 상단의 장착편(5)에 형성된 장착공(5-1)에는 내부에 나사부(22-1)가 형성되고 일측에 너트헤드가 형성된 지지관(22-2)를 장착공(5-1)에 삽입하되, 장착공(5-1)의 지름을 약간 크게 형성하여 지지관(22-2)이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한 상태에서 지지관(22-2)의 끝단을 내측으로 둥글게 말아 이탈방지테(22-3)를 형성하여 지지관뭉치(22)가 장착편(5-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토록 하였다.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배관용 파이프행거(1-3)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것으로서, 반원밴드(2)(3)의 상측에 형성되는 잠금장치부(20-3)를 제외하고 , 다른 부분은 도 1a 및 도 1b에 예시된 배관용 파이프행거(1)와 동일하게 형성하였다.
상기 배관용 파이프행거(1-3)의 잠금장치부(20-3)는 다음과 같이 형성하였 다.
반원밴드(2) 상단에 형성된 장착편(4)의 중앙부분에는 장착공(4-1)을 형성시켜주었고, 지지브래킷(10)의 하단에 형성된 지지편(11) 중앙에는 육각형상의 장착공(11-2)을 형성시켜주었으며, 장착공(11-2) 내부에는 너트(8)를 억지끼움 시킨 상태에서 반원밴드(2) 상단에 형성된 장착편(4)에 지지편(11)을 연접시키고, 수평봉(21-1)과 나사봉(21-2)이 형성된 고정용볼트(21)를 체결시켜줌으로써 고정용볼트(21)와 장착편(4) 및 지지편(11)이 일체형이 되도록 형성하였다.
타측 반원밴드(3) 상단에 형성되는 장착편(5)의 중앙에는 장착공(5-1)을 뚫어주었고, 장착공(5-1)에는 2중나사지지관뭉치(23)를 결합시켜 주었으며, 상기 2중나사지지관뭉치(23)는 다음과 같이 형성하였다.
지지관의 외부과 내부에는 외측나사(24-1)와 내측나사(24-2)를 형성하고, 외부면 일측에는 돌테(24-3)를 형성하여 된 2중나사지지관(24)을 형성하되, 지지관의 일측을 장착공(5-1)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끝단을 내측으로 둥글게 말아 이탈방지테(24-4)을 형성시키고, 2중나사지지관(24)의 외면에 형성된 외측나사(24-1)에 너트(8) 대응시켜 외부 돌테(24-3)가 형성된 부분까지 조여 결합/체결한다.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에 따른 배관용 파이프행거(1-4)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것으로서, 반원밴드(2)(3)의 상측에 형성되는 잠금장치부(20-4)를 제외하고 , 다른 부분은 도 1a 및 도 1b에 예시된 배관용 파이프행거(1)와 동일하게 형성하였다.
상기 배관용 파이프행거(1-4)의 잠금장치부(20-4)는 다음과 같이 형성하였 다.
반원밴드(3)의 상단에 형성된 장착편(5)의 내측면에 지지브래킷(10)의 지지편(11)를 연접시키고, 서로 연통하는 장착공(5-1)(11-1)에는 지지관(22-2)의 내부에 나사부(22-1)가 형성되고 일측에 너트헤드가 형성된 지지관뭉치(22)를 장착공(4-1)(11-1)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장착공(11-1)의 외면까지 돌출되는 지지관(22-2)의 끝단을 내측으로 둥글게 말아 이탈방지테(22-3)를 형성시켜 지지브래킷(10)과 반원밴드(2)가 서로 이탈되지 않도록 형성하였으며, 타측 반원밴드(2)의 상단 장착편(4)에 형성된 장착공(4-1)에는 수평봉(21-1)과 나사봉(21-2)으로 구성된 볼트(21)를 삽입시켜주되, 장착공(4-1)의 지름을 약간 크게 형성하여 볼트(21)가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형성하였으며, 나사봉(21-2)의 피치 사이에는 클립(26)을 끼워줌으로써 장착편(4)에 장전된 볼트(21)가 장착편(4)에서 이탈되어 손실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였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배관용 파이프행거(1)(1-1)(1-2)(1-3)(1-4)의 사용상태 즉, 파이프를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하도록 하겠다.
일측 반원밴드(2)의 상측에 장착된 잠금장치부(20)(20-1)(20-2)(20-3)(20-4)를 고정용볼트(21) 또는 지지관뭉치(22)에 결합 또는 분리시킨 상태에서 너트뭉치(13)를 천정과 같은 고정된 전산볼트(19)의 하단에 나사 결합하여 배관용 파이프행거(1)를 장착시키고, 배관용 파이프행거(1)를 전산볼트(19)에 장착시키면 지지브래킷(10)의 내부에 장전된 방진장치부(15)가 너트뭉치(13)를 상측으로 밀어 억류시키므로 지지브래킷(10)은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충격을 흡수하여 흔들리지 않고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a 및 도 1b에 예시된 바와 같은 경우에 잠금 상태를 해제시키려 하는 경우에는, 전산볼트(19)의 하단에 장착된 배관용 파이프행거(1)에서 잠금장치부(20)(20-1)(20-2)의 너트지지관체결구(22) 또는 체결구(24)를 나사산이 구성된 반대방향으로 돌려 잠금 상태를 해제시키고, 도 2a 및 도 2b에 예시된 바와 같은 경우에는 2중나사지지관(24)에 너트(8)를 강하게 체결하여 형성된 2중나사지지관뭉치(23)를 나사봉(21-2)에 형성된 나사산과 반대방향으로 돌려 2중나사지지관뭉치(23)와 고정용볼트(21)의 잠금 상태를 해제시키면 되며, 도 3a 및 도 3b에 예시된 바와 같은 경우에는 고정용볼트(21)와 육각너트(8)에 의해 체결/고정된 지지편 외측편까지 연장되는 나사봉(21-2)에 나사산이 형성된 반대방향으로 지지관뭉치(22)를 돌려 그 잠금상태를 해제시키면 되며, 도 4a 및 도 4b에 예시된 바와 같은 경우에는 고정용볼트(21)와 육각너트(8)에 의해 체결/고정된 지지편 외측편까지 연장되는 나사봉(21-2)에 결합된 2중나사지지관뭉치(24)를 나사산이 형성된 반대방향으로 돌려 그 잠금 상태를 해제시키면 되며, 도 5a 및 도 5b에 예시된 바와 같은 경우에는 나사봉(21-2)에 클립(26)이 체결된 상태에서 볼트(21)를 지지관뭉치(22) 내면에 형성된 나사산의 반대방향으로 돌려 그 체결상태를 해제시켜주면 된다.
상기와 같이 반원밴드(3) 상단에 형성된 지지관뭉치(22) 또는 2중나사지지관뭉치(24) 및 볼트(21)등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면, 반원밴드(2)의 일측을 손으로 파지 한 상태에서 타측반원밴드(3)를 외측으로 젖혀 내측을 개방시켜 준다.
반원밴드(2)(3)가 개방된 상태에서 반원밴드(2)의 내측으로 파이프를 올려 놓은 다음 손으로 파지 후 타측 반원밴드(3)를 다시 위로 접어 나사봉(21-2) 끝단에 지지관뭉치(22)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지지관뭉치(22)을 왼쪽 혹은 오른쪽으로 회전시켜 체결시킨 것을 도 1a 및 도 1b와 같이 도시하였다.
또한, 도 2a 및 도 2b에 예시된 바와 같은 배관용 파이프행거(1-1)의 잠금장치부(20-1)인 경우에는, 반원밴드(2)와 지지브래킷(10)이 고정용볼트(21)에 의해 일체형으로 된 상태에서 고정용볼트(21)의 나사봉(21-2)의 끝단에 타측 반원밴드(3)의 장착편(5)에 장착된 2중나사지지관뭉치(23)를 위치시킨 후 나사산이 형성된 방향으로 회전시켜 체결시켰으며, 도 3a 및 도 3b에 예시된 바와 같은 배관용 파이프행거(1-2)의 잠금장치부(20-2)인 경우에는, 반원밴드(2)와 지지브래킷(10)이 고정용볼트(21)와 육각너트(8)에 의해 일체형으로 된 상태에서 고정용볼트(21)의 나사봉(21-2)의 끝단에 타측 반원밴드(3)의 장착편(5)에 지지관뭉치(22)를 위치시킨 후 나사산이 형성된 방향으로 회전시켜 체결하며, 도 4a 및 도 4b에 예시된 바와 같은 배관용 파이프행거(1-3)의 잠금장치부(20-3)인 경우에는, 반원밴드(2)와 지지브래킷(10)이 고정용볼트(21)와 육각너트(8)에 의해 일체형으로 된 상태에서 고정용볼트(21)의 나사봉(21-2)의 끝단에 타측 반원밴드(3)의 장착편(5)에 2중나사지지관뭉치(23)를 위치시킨 후 나사산이 형성된 방향으로 회전시켜 체결하며, 도 5a 및 도 5b에 예시된 바와 같은 배관용 파이프행거(1-4)의 잠금장치부(20-4)인 경우에는, 반원밴드(3)와 지지브래킷(10)의 중앙부분에 형성된 장착공(5-1)(11-1)에 지지관뭉치(22)를 결합하여 일체형으로 형성시키고, 타측 반원밴드(2)의 장착편(4)에 형성된 장착공(4-1)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나사봉(21-2)의 피치 사이에 클립(26)을 장착한 볼트(21)를 형성시켜 주고, 볼트(21)의 끝 선단을 지지관뭉치(22)의 내측면에 형성된 나사부(22-1)에 위치시켜 나사산이 형성된 방향과 동일하게 회전시켜 체결하며, 결합이 진행될수록 반원밴드(2)(3)의 내측에 형성된 파이프는 차츰차츰 억류되게 된다.
반면에 상기와 같이 체결된 상태를 해제하여 파이프를 인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손으로 파이프를 파지한 상태에서 지지관뭉치(22) 또는 2중나사지지관뭉치(23) 및 볼트(21)를 체결시키는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그 상태를 해제시키면 되고, 상기의 것의 해제가 완료되면 일측 반원밴드(2)를 젖혀서 내측에 안치된 파이프를 인출시켜 주면 된다.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있어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배관용 파이프행거는, 좌·우로 분할된 반원밴드의 하단을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시키고, 각 반원밴드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된 장착편에는 지지브래킷의 하단에 형성된 지지편을 장착하되, 지지브래킷의 내부에는 방진장치부(스프링)를 상측에 형성된 너트뭉치와 결합하여 일체로 형성시키고, 일측 반원밴드의 장착편과 지지브래킷의 지지편에는 장착공을 형성하여 고정볼트를 강제치구하며, 일측 반원밴드의 장착편에는 지지관뭉치를 장착시켜주며, 반원밴드의 내측으로 방진패드를 형성시켜준 것으로서, 지지브래킷의 내부에는 방진장치부를 구비하여 너트뭉치를 억류시켜 줌으로서 외부에 충격에 의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잠금장치부를 다양하게 형성시켜 사용하는 데 있어 용이하고 간편하며, 밴드내부에 패드를 장착시켜 줌으로서 파이프에 부식을 원천적으로 방지함과 동시에 미동을 흡수하여 파이프가 뒤틀리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Claims (5)

  1. 각 하단에는 체결편(5-2)과 체결공(4-2)이 형성되고 좌·우로 분할된 반원밴드(2)(3)를 결합/분리시켜 파이프를 지지/해제하고, 각 반원밴드(2)(3)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된 장착편(3)(4)에는 너트뭉치(13)가 상면에 설치된 지지브래킷(10)의 지지편(11)을 연접시킨 것에 있어서;
    지지브래킷(10)의 내부에 장착되어 너트뭉치(13)와 일체로 형성되고, 너트뭉치(13)를 상측으로 탄발시키면서 방진기능을 하는 방진장치부(15)와;
    일측 반원밴드(2)의 장착편(4)과 지지브래킷(10)의 각 지지편(11)에 뚫어진 장착공(4-1)(11-1)에 강제치구되는 고정용볼트(21) 및 타측 반원밴드(3)의 장착편(5)에 장착된 지지관뭉치(22)에 의해 잠금/해제되는 잠금장치부(20)와;
    반원밴드(2)(3)의 내측에 인입되어 고정되고 외면에 돌기(14-1)가 형성된 방진패드(14)를 형성한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파이프행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잠금장치부(20)는;
    일측 반원밴드(2)의 장착편(4)과 지지브래킷(10)의 각 지지편(11)에 뚫어진 각장착공(4-1)(11-1)에 각각 강제 치구되는 고정용볼트(21)와;
    지지관의 외면과 내면에는 외측나사(24-1)와 내측나사(24-2)를 형성하고, 지지관의 일측에는 이탈방지편(24-4)이 형성되며, 지지관의 외면 일측에는 돌테(24- 3)를 형성한 2중나사지지관(24)과;
    상기 외측나사(24-1)에 너트(8)가 나사결합되어 형성된 2중나사지지관뭉치(23)를 타측 반원밴드(3)의 장착편(5)에 형성된 장착공(5-1)에 결합/분리시킬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파이프행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잠금장치부(20)는;
    반원밴드(2) 상단에 형성된 장착편(4)의 중앙부분에는 장착공(4-1)이 형성되고, 지지브래킷(10)의 하단에 형성된 지지편(11)의 중앙에는 육각형상의 장착공(12)을 형성시켜 내부에 너트(8)를 억지 끼움시키며, 반원밴드(2)의 상단에 형성된 장착편(4)에는 지지편(11)을 연접시켜 지지브래킷(10)과 장착편(4)을 일체형으로 체결시켜주는 고정볼트구(21)와;
    타측반원밴드(3)의 상단 장착편(5)에 형성된 장착공(5-1)에는 내부에 나사부(22-1)가 형성되고 일측에 너트헤드가 형성된 지지관(22-2)과;
    상기 지지관(22-2)을 장착공에 삽입시켜 지지관(22-2)의 일측편을 내측으로 둥굴게 말아 이탈방지테(22-3)를 형성된 지지관뭉치(22);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파이프행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잠금장치부(20)는;
    반원밴드(2) 상단에 형성된 장착편(4)의 중앙부분에는 장착공(4-1)이 형성되고, 지지브래킷(10)의 하단에 형성된 지지편(11)의 중앙에는 육각형상의 장착공(12)을 형성시켜 내부에 너트(8)를 억지 끼움시키며, 반원밴드(2)의 상단에 형성된 장착편(4)에는 지지편(11)을 연접시켜 지지브래킷(10)과 장착편(4)을 일체형으로 체결시켜주는 고정볼트구(21)와;
    지지관의 외면과 내면에 외측나사(24-1)와 내측나사(24-2)가 형성되고, 지지관의 일측에는 이탈방지편(24-4)이 형성되며, 지지관의 외면 일측에는 돌테(24-3)가 형성된 2중나사지지관(24)과;
    상기 외측나사(24-1)에 너트(8)를 나사 결합시켜 형성한 2중나사지지관뭉치(23)를 타측 반원밴드(3)의 장착편(5)에 형성된 장착공(5-1)에 결합/분리시킬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파이프행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잠금장치부(20)는;
    반원밴드(3)와 지지브래킷(10)의 중앙부분에 형성된 장착공(5-1)(11-1)에는 지지관뭉치(22)를 결합하여 일체형으로 형성한 것과;
    타측 반원밴드(2)의 장착편(4)에 형성된 장착공(4-1)에는 볼트(21)를 외측에서 내측으로 삽입시켜고, 장착편(4)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볼트(21)의 나사봉(21-2)에는 클립(26)을 피치 사이에 장착시켜 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파이프행거.
KR2020060027715U 2006-10-11 2006-10-11 배관용 파이프 행거 KR2004397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7715U KR200439706Y1 (ko) 2006-10-11 2006-10-11 배관용 파이프 행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7715U KR200439706Y1 (ko) 2006-10-11 2006-10-11 배관용 파이프 행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0469U KR20080000469U (ko) 2008-04-16
KR200439706Y1 true KR200439706Y1 (ko) 2008-04-29

Family

ID=41320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7715U KR200439706Y1 (ko) 2006-10-11 2006-10-11 배관용 파이프 행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9706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638Y1 (ko) 2008-10-21 2009-11-16 박황경 배관용 파이프 행거
KR100991352B1 (ko) 2008-07-09 2010-11-02 민지훈 관연결구
KR101912137B1 (ko) * 2017-07-31 2018-10-29 주식회사 더윈테크 행거용 볼트를 갖는 파이프 지지구조체
KR102228836B1 (ko) 2020-09-24 2021-03-17 에이치제이특수철강 주식회사 일체로 연결되어 시공이 간편한 배관용 행거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배관용 행거
KR20230082293A (ko) 2021-12-01 2023-06-08 김유철 설치가 용이한 파이프 행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1545B1 (ko) * 2008-06-05 2011-04-27 김태식 배관용 파이프 행거
KR101031544B1 (ko) * 2008-06-05 2011-04-27 김태식 배관용 파이프 행거
KR102639516B1 (ko) * 2023-02-28 2024-02-23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미분탄 누설방지 기구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1352B1 (ko) 2008-07-09 2010-11-02 민지훈 관연결구
KR200446638Y1 (ko) 2008-10-21 2009-11-16 박황경 배관용 파이프 행거
KR101912137B1 (ko) * 2017-07-31 2018-10-29 주식회사 더윈테크 행거용 볼트를 갖는 파이프 지지구조체
KR102228836B1 (ko) 2020-09-24 2021-03-17 에이치제이특수철강 주식회사 일체로 연결되어 시공이 간편한 배관용 행거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배관용 행거
KR20230082293A (ko) 2021-12-01 2023-06-08 김유철 설치가 용이한 파이프 행거
KR102647209B1 (ko) * 2021-12-01 2024-03-12 김유철 설치가 용이한 파이프 행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0469U (ko) 2008-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39706Y1 (ko) 배관용 파이프 행거
JP4390791B2 (ja) 配管用パイプハンガー
US20060090807A1 (en) Sanitary conduit support systems
CN101755160A (zh) 夹子以及地震抗摇支承件
KR101031545B1 (ko) 배관용 파이프 행거
KR100626978B1 (ko) 조명등용 체결구
CN104832510B (zh) 一种管连接装置
KR101282647B1 (ko) 집게형 고정 클램프
US8220757B2 (en) Conduit hanger
KR100748189B1 (ko) 배관용 보조파이프 행거
KR200446638Y1 (ko) 배관용 파이프 행거
JP2012117303A (ja) 天井防振構造
KR101916114B1 (ko) 배관용 파이프 행거
JP3394168B2 (ja) 吊り金具
KR101864600B1 (ko) 충격흡수장치를 구비한 조명등용 내진 브라켓
KR20080091554A (ko) 배관설치용 행거 체결구조
KR20030083548A (ko) 발판 결합기
JP6162406B2 (ja) 振れ止め装置
KR101031544B1 (ko) 배관용 파이프 행거
JP5377006B2 (ja) 架台、及び、それを備えた配管システム
KR102228836B1 (ko) 일체로 연결되어 시공이 간편한 배관용 행거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배관용 행거
CN219035458U (zh) 一种复合阻尼加固器
KR200290814Y1 (ko) 파이프 행거
KR20110006975U (ko) 스프링쿨러 설치구조
EP1165995B1 (en) Pivotable suspension el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