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2293A - 설치가 용이한 파이프 행거 - Google Patents

설치가 용이한 파이프 행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2293A
KR20230082293A KR1020210170085A KR20210170085A KR20230082293A KR 20230082293 A KR20230082293 A KR 20230082293A KR 1020210170085 A KR1020210170085 A KR 1020210170085A KR 20210170085 A KR20210170085 A KR 20210170085A KR 20230082293 A KR20230082293 A KR 202300822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band
fixing
pipe
band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0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7209B1 (ko
Inventor
김유철
Original Assignee
김유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유철 filed Critical 김유철
Priority to KR10202101700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7209B1/ko
Publication of KR20230082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22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72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72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설치가 용이한 파이프 행거에 관한 것으로서, 천정 등에 설치된 전산볼트의 일단에 체결되는 고정브라켓과 내측에 파이프의 일측이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하는 밴드브라켓으로 구성되되, 상기 고정브라켓에 밴드브라켓을 착탈되게 구성함으로써, 설치의 용이성으로 작업시간의 단축과, 작업의 편리성 및 안전성을 확보하고, 결합 시 별도의 전용 공구가 불필요 하는 등의 작업 효율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천정에 설치된 전산볼트의 하단에 체결되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고정브라켓; 및 파이프의 일측에 구성되어, 내측에 상기 파이프가 안착시켜 양단에서 상호 밀착시켜 상기 파이프를 고정함과 함께 상단부를 상기 고정브라켓의 하단에 착탈방식으로 결합시키도록 구성되는 밴드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설치가 용이한 파이프 행거{pipe hanger}
본 발명은 설치가 용이한 파이프 행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천정 등에 설치된 전산볼트의 일단에 체결되는 고정브라켓과 내측에 파이프의 일측이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하는 밴드브라켓으로 구성되되, 상기 고정브라켓에 밴드브라켓을 착탈되게 구성함으로써, 설치의 용이성으로 작업시간의 단축과, 작업의 편리성 및 안전성을 확보하고, 결합 시 별도의 전용 공구가 불필요 하는 등의 작업 효율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설치가 용이한 파이프 행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천정 등에는 상수관 및 옥내배관 등으로 사용되는 각종 파이프를 설치할 수 있도록 천정에 전산볼트를 등간격으로 구성하고, 상기 전산볼트의 하단에 파이프 행거를 장착함에 따라, 상기 파이프 행거를 통해 파이프를 고정시키게 된다.
종래의 파이프 행거(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반원밴드(2)(3)를 형성하되, 상기 각 반원밴드(2)(3)의 상단에는 장착공이 뚫어진 장착편(4)(5)을 일체로 형성하고, 하단에는 체결공(4-2)과 체결편(5-2)을 서로 엇갈리게 삽입시켜 결합 형성시키며, 반원밴드(2)(3)의 장착편(4)(5)에는 지지브래킷(10)의 하측 양단에 각각 형성되고, 장착공이 뚫어진 지지편(11)을 볼트(7) 및 너트(8)와 같은 체결수단으로 체결시키며 지지브래킷(10)의 상면에 결합된 너트뭉치(13)에는 전산볼트를 결합시키도록 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종래의 파이프 행거(1-5)는 파이프를 설치할 때에 반원밴드(2)(3)의 장착편(4)(5)과 지지브래킷(10)의 지지편(11)에 체결된 너트(8)를 풀어 일측의 반원밴드(2)를 분리시키고, 고정되어 있는 반원밴드(3)와 자유상태의 반원밴드(2) 사이로 파이프를 인입시킨 상태에서 파이프를 손으로 받쳐 이탈되지 않도록 하면서 분리된 반원밴드(2)의 체결편(5-2)에 걸어주고 장착편(4)에 뚫어진 장착공에 볼트(7)를 끼운 상태에서 장착편(4)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볼트(7)의 선단에 너트(8)를 나사 결합시켜 설치를 완료한다.
그러나, 종래의 파이프 행거는 설치가 까다롭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천정에 기설치된 전산볼트에 지지브래킷을 체결시켜 고정시키고, 파이프의 일측에 하나의 반원밴드를 고정시키며, 고정된 하나의 반원밴드에 파이프를 가 안착시킨 후 다른 하나의 반원밴드를 파이프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볼트와 너트로 체결시키는 복잡한 과정의 설치공정으로 설치작업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파이프가 한 쌍의 반원밴드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반원밴드를 지지브래킷에 볼트와 너트로 체결되는 동안 상기 파이프를 받침하여야 하는 어려움과 함께, 사익 파이프의 받침이 불안정할 경우에 낙하됨에 따라 안전사고 발생의 위험성을 가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파이프 행거는 설치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즉, 파이프의 일측에 구성된 한 쌍의 반원밴드를 지지브래킷에 고정시키기 위해 볼트의 일단에 너트를 체결하여야 하고, 이렇게 상기 볼트의 길이에 따라 너트의 체결시간이 증감되고, 또한, 파이프에 대하여 파이프 행거의 구성 갯수에 따라 체결시간이 비례적으로 증가함으로써, 결국, 누적된 체결시간으로 설치시간이 오래 걸릴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파이프 행거는 별도의 공구를 필수적으로 구비하여야 하는 불편성을 가지는 문제점이 있다.
즉, 볼트와 너프를 상호 체결시키기 위하여, 상기 볼트와 너트에 맞는 공구를 구비하여야 하고, 만약, 공구를 구비하지 못하면 파이프 행거의 설치작업을 수행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439706호(2008.04.29. 공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440304호(2008.06.09. 공고)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천정 등에 설치된 전산볼트의 일단에 체결되는 고정브라켓과 내측에 파이프의 일측이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하는 밴드브라켓으로 구성되되, 상기 고정브라켓에 밴드브라켓을 착탈되게 구성함으로써, 설치의 용이성으로 작업시간의 단축과, 작업의 편리성 및 안전성을 확보하고, 결합 시 별도의 전용 공구가 불필요 하는 등의 작업 효율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설치가 용이한 파이프 행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천정에 설치된 전산볼트의 하단에 체결되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고정브라켓; 및 파이프의 일측에 구성되어, 내측에 상기 파이프가 안착시켜 양단에서 상호 밀착시켜 상기 파이프를 고정함과 함께 상단부를 상기 고정브라켓의 하단에 착탈방식으로 결합시키도록 구성되는 밴드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고정브라켓은, 중앙에 구성되어 전산볼트에 체결되도록 하는 고정너트가 구성되는 상단절곡부; 및 상기 상단절곡부의 하방에 구성되어 밴드브라켓의 상단부가 착탈되게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하단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단삽입부는 일정길이로 형성되되, 양단 각각에 일정폭으로 개방되어밴드브라켓의 상단부가 이출입되는 개방구가 형성되는 삽입단; 및 상기 삽입단의 일측에 구성되어 밴드브라켓의 상단부가 걸림되도록 함에 따라 고정브라켓에 밴드브라켓이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안내홈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안내홈부는, 상기 삽입단에 대칭되게 형성되고; 상기 안내홈부는 개방구에서 일정깊이를 가지도록 구성되는 안내홈과; 상기 안내홈이 삽입단의 외주연을 따라 형성되도록 지지하는 안내면; 및 상기 안내면의 일측에 개방되게 구성되어 밴드브라켓의 상단부 일측이 삽입됨에 따라 고정력이 발휘되도록 지지하는 제1안착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삽입단의 하방에 구성되어, 밴드브라켓의 일단이 안내홈부에 의해 1차 고정된 후 상기 밴드브라켓의 일단이 삽입됨에 따라 2차 고정력이 발휘되도록 지지하는 걸림홈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걸림홈부는, 삽입단의 일측에서 돌출되어, 내측에 밴드브라켓의 일단이 삽입되는 제2안착홈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밴딩돌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밴딩돌기의 일측에는, 고정핀을 삽입시켜 밴드브라켓의 일측이 걸림되도록 하여 3차 고정력이 발휘되도록 지지하는 고정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밴드브라켓은, 상호 양분되게 구성되는 제1 및 제2밴드브라켓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밴드브라켓은 일정길이로 형성되어 고정브라켓의 하단에 이출입되는 안착단과; 상기 안착단의 일측에서 일정높이 돌출되어 고정브라켓에 실질적으로 걸림됨에 따라 고정력이 발휘되도록 구성되는 걸림돌기; 및 상기 안착단의 하단에 구성되어 파이프를 파지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파지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1밴드브라켓의 일단에 구성되는 걸림돌기와; 상기 제2밴드브라켓의 일단에 구성되어, 걸림돌기가 삽입됨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밴드브라켓의 일단이 상호 연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걸림지지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천정 등에 설치된 전산볼트의 일단에 체결되는 고정브라켓과 내측에 파이프의 일측이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하는 밴드브라켓으로 구성되되, 상기 고정브라켓에 밴드브라켓을 착탈되게 구성함으로써, 설치의 용이성으로 작업시간의 단축과, 작업의 편리성 및 안전성을 확보하고, 결합 시 별도의 전용 공구가 불필요 하는 등의 작업 효율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례를 보인 파이프 행거의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행거의 도면으로서,
2a는 사시도 이고, 2b는 정 단면도이며, 2c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브라켓의 평면 전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브라켓의 안내홈부의 보인 일부 절개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절개홈부의 도면으로서,
5a는 도 3의 'V'부 확대도이고, 5b는 요부확대 사시도이며, 5c는 고정핀이 삽입된 상태 측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1밴드브라켓의 평면 전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2밴드브라켓의 평면 전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및 제2밴드브라켓의 결합상태도로서,
8a는 결합 전 상태이고, 8b는 결합에 의해 탄성이 작용되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행거의 작용상태도로서,
9a는 밴드브라켓으로 파이프를 안착하기 전 상태이고, 9b는 밴드브라켓으로 파이프를 안착한 상태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브라켓에 밴드브라켓의 결합관계를 보인 일부 평면 단면도로서,
10a는 삽입 전 상태이고, 10b는 고정브라켓에 밴드브라켓이 삽입된 상태이며, 10c는 고정브라켓 및 밴드브라켓의 상호 회동에 의해 결합된 상태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파이프행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정 등에 설치된 전산볼트의 일단에 체결되는 고정브라켓(100)과 내측에 파이프의 일측이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하는 밴드브라켓(200)으로 구성되되, 상기 고정브라켓(100)에 밴드브라켓(200)을 착탈되게 구성함으로써, 설치의 용이성으로 작업시간의 단축과, 작업의 편리성 및 안전성을 확보하고, 결합 시 별도의 전용 공구가 불필요 하는 등의 작업 효율성을 향상시킨다.
고정브라켓(100)은 천정 등에 기설치된 전산볼트의 일단에 체결됨으로써, 천정 등에 매달린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고정브라켓(1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재를 밴딩하여 일체로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고정브라켓(100)은 상단절곡부(110) 및 하단 삽입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상단절곡부(110)는 일정폭을 가지는 상단면(112)과, 상기 상단면(112)의 양단 각각에서 일정길이로 절곡되는 측면(114), 및 상기 측면(114)의 하단에서 절곡되어 상기 하단삽입부(120)의 성형이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일정폭의 하단절곡면(116)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단면(112)에는 전산볼트의 일단이 체결되도록 유도하는 고정너트(118)가 구성된다.
상기 고정너트(118)는 상단면(112)의 중앙에 구성되고, 전산볼트의 일단이 체결되도록 내측에 암나사공이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고정너트(118)는 상단면(112)에 인서트 성형, 압입 성형 등과 같이, 상단면(112)에 고정너트(118)를 일체형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방법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상단절곡부(110)를 성형하는 과정 중 형성되도록 할 수 있는 것으로서, 상단면(112)이 전산볼트에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 또는 방법이면 어느 것이든 채택 가능하다.
상기 측면(114)에는 일부를 절개시켜 내측으로 절곡시킴에 따라 상기 측면(114)에 대한 보강력을 강화시키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강리브(119)를 포함한다.
상기 보강리브(119)는 상기 측면(114)의 일측을 절개시켜 이를 내측으로 절곡시킴에 따라 상기 측면(114)에 대한 지지력을 보강시킴으로써, 전산볼트에 매달린 상태를 유지할 때 장시간 사용에도 형상변형 등의 변형이 발생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보강리브(119)는 일정깊이의 홈 등으로 변형할 수 있는 것으로서, 측면(114)에 대한 지지력을 보강할 수 있는 형상 또는 모양, 구조이면 어느 것이든 형성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보강리브(119)는 생략할 수도 있다.
하단삽입부(120)는 상기 상단절곡부(110)의 하방에 구성되어, 밴드브라켓(200)의 착탈이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밴드브라켓(200)에 대한 고정력이 제공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하단삽입부(120)는 상단절곡부(110)의 하단에 일정길이로 형성되어 밴드브라켓(200)의 상단부가 삽입됨을 지지하여 고정브라켓(100)과 밴드브라켓(200)의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일정길이의 삽입단(122)이 구성된다.
상기 삽입단(122)은 상기 상단절곡부(110)의 하단에 일정길이로 형성되어, 밴드브라켓(200)의 상단부가 삽입 및 이탈에 의한 착탈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삽입단(122)은 밴드브라켓(200)의 상단부와 동일 또는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착탈이 용이하도록 한다. 예컨대, 상기 삽입단(122)은 평면을 기준으로 대체적으로 원형의 형상이다.
또한, 상기 하단삽입부(120)에는 상기 삽입단(122)을 양단 각각에 형성하면, 상기 삽입단(122)의 양단 각각의 사이에 일정폭의 개방구(124)가 자연스럽게 형성된다.
상기 개방구(124)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 각각에 구성된 삽입단(122)의 폭길이에 의해 자연스럽게 형성됨으로써, 밴드브라켓(200)의 일단이 이출입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삽입단(122)의 상단 일측에는 밴드브라켓(200)의 일단이 삽입되어 걸림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1차 고정력을 제공하는 안내홈부(126)를 포함한다.
상기 안내홈부(126)는 삽입단(122)의 상단 일측에 구성되어, 고정브라켓(100)에 밴드브라켓(200)이 1차적인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안내홈부(126)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단(122)의 일단에서 일정깊이로 형성되는 안내홈(1262)과, 외주연을 따라 상기 안내홈(1262)이 연장되도록 지지하는 안내면(1264), 및 상기 안내면(1264)의 일측에 구성되는 제1안착홈(1266)을 포함한다.
상기 안내홈(1262)은 삽입단(122)의 일단에서 일정깊이로 형성되어 밴드브라켓(200)의 일단이 삽입되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안내면(1264)은 삽입단(122)의 외주연을 따라 상기 안내홈(1262)이 연장되도록 지지함으로써, 밴드브라켓(200)의 일단이 삽입 및 이탈을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경우, 상기 안내홈(1262) 및 안내면(1264)은 상단절곡부(110)의 양단 각각에 구성된 삽입단(122)에 대칭되게 구성함으로써, 한 방향의 회전에 의해 고정브라켓(100)에 밴드브라켓(200)이 착탈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안내면(1264)의 일측에는 밴드브라켓(200)의 일측이 삽입됨으로써, 고정브라켓(100)에 밴드브라켓(200)이 1차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제1안착홈(1266)이 형성된다.
상기 제1안착홈(1266)은 상기 안내면(1264)의 일측에 구성되어, 삽입단(122)의 내측으로 삽입된 밴드브라켓(200)의 일단이 걸림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1차 고정력이 제공하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제1안착홈(1266)은 상기 안내면(1264)의 하방에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안착홈(1226)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홈(1262)에서부터 안내면(1264)을 따라 형성되도록 한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1안착홈(1266)은 삽입단(122)의 내측으로 삽입된 밴드브라켓(200)의 일단이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형상, 모양 또는 구조이면 어느 것이든 채택 가능하다.
또한, 상기 삽입단(122)의 하방에는 상기 걸림홈부(126)를 통해 1차 고정력을 제공받는 밴드브라켓(200)에 2차 고정력을 제공함으로써, 고정브라켓(100)에 밴드브라켓(200)의 고정력이 향상되도록 하여 안전성을 확보하도록 하는 걸림홈부(128)를 포함한다.
상기 걸림홈부(128)는 도 5a 및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단(122)의 외주연에서 일정높이 돌출되도록 함에 따라 상단부에 제2안착홈(1284)이 형성되도록 하는 밴딩돌기(1282)를 포함한다.
상기 밴딩돌기(1282)는 삽입단(122)의 일측에서 일정높이로 돌출되게 밴딩시켜 내측으로 제2안착홈(1284)이 자연스럽게 형성되도록 하여, 안내홈부(126)를 통해 삽입된 밴드브라켓(200)의 일측이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2차 고정력이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밴딩돌기(128)에는 일측에 관통되게 형성되어, 고정핀(1288)이 삽입되도록 하는 고정공(1286)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핀(1288)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공(1286)에 삽입시켜 제2안착홈(1284)에 삽입된 밴드브라켓(200)의 일측이 걸림되도록 함에 따라 3차 고정력이 제공되도록 한다.
즉, 상기 걸림홈부(128)는 안내홈부(126)를 통과한 밴드브라켓(200)의 일단이 삽입되어 2차 고정력을 제공함과 함께 고정핀(1288)으로 3차 고정력을 제공함으로써, 고정브라켓(100)에 밴드브라켓(200)의 고정력을 향상시켜 안전성을 확보하도록 한다.
밴드브라켓(200)은 파이프의 일측에 구성되되, 내측에 파이프가 안착되도록 하고, 일단이 상기 고정브라켓(100)에 착탈되게 구성됨으로써, 상기 파이프가 천정 등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한다.
상기 밴드브라켓(200)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 각각에 구성되어, 중앙에 위치된 파이프를 기준으로 양측에서 파지하도록 지지하는 제1 및 제2밴드브라켓(210)(220)을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제1 및 제2밴드브라켓(210)(220)은 동일한 기능과 구조에 대하여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고, 다른 기능에 대해서만 다른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상기 밴드브라켓(200)은 일정길이로 형성되어 고정브라켓(100)의 삽입단(122)에 이출입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되는 안착단(202)을 포함한다.
상기 안착단(202)은 일정길이를 가지되, 반원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삽입단(122)으로 삽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즉, 상기 안착단(202)은 반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 및 제2밴드브라켓(210)(220)를 걔합시키면 전체적으로 원형상으로 형성되게 된다.
또한, 상기 안착단(202)의 일측에는 일정높이로 돌출되어 고정브라켓(100)에 걸림되게 고정됨으로써, 고정브라켓(100)에 밴드브라켓(200)이 고정 또는 이탈이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걸림돌기(204)를 포함한다.
상기 걸림돌기(204)는 상기 안착단(202)의 일측에서 일정높이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안내홈부(126) 및 걸림홈부(128)에 걸림됨으로써, 고정브라켓(100)과 밴드브라켓(200) 사이에 고정력에 발휘되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걸림돌기(204)는 안착단(202)에서 밴딩공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걸림돌기(204)는 안내홈부(126) 및 걸림홈부(128)에 걸림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 또는 구성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안착단(202)의 일측에는 고정핀(1288)이 삽입됨에 따라 3차 고정력이 발휘되도록 하는 안착공(205)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안착단(202)의 하단에는 내측에 파이프의 일측에 안착될 수 있도록 반원형상의 파지단(206)을 포함한다.
상기 파지단(206)은 반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안착되는 파이프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파지단(206)은 상기 안착단(202)과 교차되게 구성된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파지단(206)은 내측에 안착되는 파이프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형상이면 어느 것이든 채택 가능하다.
또한, 밴드브라켓(200)의 하단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밴드브라켓(210)(220)이 상호 걸림상태를 유지시켜, 상기 제1 및 제2밴드브라켓(210)(220)의 내측에 파이프의 안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걸림돌기 및 걸림지지홈이 형성된다.
즉, 상기 제1밴드브라켓(210)의 하단에는 일정길이로 돌출되게 걸림돌기(212)가 형성되고, 제2밴드브라켓(220)의 하단에는 상기 걸림돌기(212)가 삽입되는 걸림지지홈(222)이 형성되어, 상기 걸림지지홈(222)에 걸림돌기(212)가 엮이도록 계합됨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밴드브라켓(210)(220)이 상호 계합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밴드브라켓(200)의 파지단(206)에는 일정높이로 돌출되게 구성되어, 상기 파지단(206)에 대한 보강력을 가지도록 하는 리브(208)가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리브(208)는 파지단(206)을 밴딩시켜 일체화로 형성되도록 하며, 생략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파이프 행거의 설치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정 등에 설치된 전산볼트의 하단에 고정브라켓(100)의 고정너트(118)를 체결시킴에 따라 상기 전산볼트에 고정브라켓(100)이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걸림돌기(212)와 걸림지지홈(222)의 상호 계합으로 연결상태를 이룬 제1 및 제2밴드브라켓(210)(220)의 내측에 파이프가 위치되도록 한다.
이후,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부가 엮여지도록 계합된 상태를 이룬 제1 및 제2밴드브라켓(210)(220)의 안착단(202)을 상호 밀착되게 하여 원형 형상으로 이루도록 한 후, 상기 안착단(202)을 고정브라켓(100)의 하단삽입부(120)에 삽입시킴으로써, 고정브라켓(100)에 밴드브라켓(200)이 고정되도록 한다.
좀 더 살펴보면, 도 10a와 같이, 상호 밀착으로 원형 형상으로 이룬 안착단(202)을 형성한 후,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착홈(202)의 일측에 돌출되게 형성된 걸림돌기(204)를 하단삽입부(120)의 삽입단(122) 사이에 구성된 개방구(124)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상기 삽입단(122)으로 상기 안착단(202)을 삽입시켜, 상기 걸림돌기(204)가 삽입단(122)에 형성된 안내홈부(126)의 안내홈(1262)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어서,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홈부(126)에 위치된 걸림돌기(204)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걸림돌기(204)가 안내홈부(126)의 안내면(1264)을 따라 회전하게 되고, 이후, 자중에 의해 밴드브라켓(200)이 하강하면서, 상기 안내홈부(126)에 구성된 제1안착홈(1266)에 걸림돌기(204)가 삽입됨으로써, 1차 고정력이 작용하게 된다.
또한, 제1안착홈(1266)을 통해 하강된 걸림돌기(204)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내홈부(126)의 하방에 위치한 걸림홈부(128)의 제2안착홈(1284)으로 삽입됨으로써, 2차 고정력이 작용하게 된다.
또한,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핀(1288)을 걸림홈부(128)의 밴딩돌기(1282)에 형성된 고정공(1286)에 삽입시키면, 밴드브라켓(200)의 안착단(202) 일측에 구성된 안착공(205)으로 삽입이 이루어져 3차 고정력이 작용하게 된다.
위와 같이, 별도의 공구없이 고정브라켓(100)에 밴드브라켓(200)을 착탈방식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작업의 편리성을 가지도록 하고, 1 내지 3차 고정력을 발휘함에 따라 안전성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설치가 용이한 파이프 행거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에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고정브라켓 110: 상단절곡부
112: 상단면 114: 측면
116: 하단절곡면 118: 고정너트
119: 보강리브 120: 하단삽입부
122: 삽입단 124: 개방구
126: 안내홈부 1262: 안내홈
1264: 안내면 1266: 제1안착홈
128: 걸림홈부 1282: 밴딩돌기
1284: 제2안착홈 1286: 고정공
1288: 고정핀 200: 밴드브라켓
202: 안착단 204: 걸림돌기
205: 안착공 206: 파지단
208: 리브 210: 제1밴드브라켓
212: 걸림돌기 220: 제2밴드브라켓
222: 걸림지지홈

Claims (7)

  1. 천정에 설치된 전산볼트의 하단에 체결되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고정브라켓; 및
    파이프의 일측에 구성되어, 내측에 상기 파이프가 안착시켜 양단에서 상호 밀착시켜 상기 파이프를 고정함과 함께 상단부를 상기 고정브라켓의 하단에 착탈방식으로 결합시키도록 구성되는 밴드브라켓;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가 용이한 파이프 행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은,
    중앙에 구성되어 전산볼트에 체결되도록 하는 고정너트가 구성되는 상단절곡부; 및
    상기 상단절곡부의 하방에 구성되어 밴드브라켓의 상단부가 착탈되게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하단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단삽입부는 일정길이로 형성되되, 양단 각각에 일정폭으로 개방되어밴드브라켓의 상단부가 이출입되는 개방구가 형성되는 삽입단; 및
    상기 삽입단의 일측에 구성되어 밴드브라켓의 상단부가 걸림되도록 함에 따라 고정브라켓에 밴드브라켓이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안내홈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가 용이한 파이프 행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홈부는, 상기 삽입단에 대칭되게 형성되고;
    상기 안내홈부는 개방구에서 일정깊이를 가지도록 구성되는 안내홈과;
    상기 안내홈이 삽입단의 외주연을 따라 형성되도록 지지하는 안내면; 및
    상기 안내면의 일측에 개방되게 구성되어 밴드브라켓의 상단부 일측이 삽입됨에 따라 고정력이 발휘되도록 지지하는 제1안착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가 용이한 파이프 행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단의 하방에 구성되어, 밴드브라켓의 일단이 안내홈부에 의해 1차 고정된 후 상기 밴드브라켓의 일단이 삽입됨에 따라 2차 고정력이 발휘되도록 지지하는 걸림홈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가 용이한 파이프 행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홈부는,
    삽입단의 일측에서 돌출되어, 내측에 밴드브라켓의 일단이 삽입되는 제2안착홈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밴딩돌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가 용이한 파이프 행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밴딩돌기의 일측에는,
    고정핀을 삽입시켜 밴드브라켓의 일측이 걸림되도록 하여 3차 고정력이 발휘되도록 지지하는 고정공;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가 용이한 파이프 행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브라켓은,
    상호 양분되게 구성되는 제1 및 제2밴드브라켓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밴드브라켓은 일정길이로 형성되어 고정브라켓의 하단에 이출입되는 안착단과;
    상기 안착단의 일측에서 일정높이 돌출되어 고정브라켓에 실질적으로 걸림됨에 따라 고정력이 발휘되도록 구성되는 걸림돌기; 및
    상기 안착단의 하단에 구성되어 파이프를 파지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파지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1밴드브라켓의 일단에 구성되는 걸림돌기와;
    상기 제2밴드브라켓의 일단에 구성되어, 걸림돌기가 삽입됨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밴드브라켓의 일단이 상호 연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걸림지지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가 용이한 파이프 행거.
KR1020210170085A 2021-12-01 2021-12-01 설치가 용이한 파이프 행거 KR1026472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0085A KR102647209B1 (ko) 2021-12-01 2021-12-01 설치가 용이한 파이프 행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0085A KR102647209B1 (ko) 2021-12-01 2021-12-01 설치가 용이한 파이프 행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2293A true KR20230082293A (ko) 2023-06-08
KR102647209B1 KR102647209B1 (ko) 2024-03-12

Family

ID=86765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0085A KR102647209B1 (ko) 2021-12-01 2021-12-01 설치가 용이한 파이프 행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720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47278A (ja) * 2003-11-17 2005-06-09 Takayama Metal Industrial Co Ltd パイプハンガー
KR200439706Y1 (ko) 2006-10-11 2008-04-29 김태식 배관용 파이프 행거
KR200440304Y1 (ko) 2008-02-27 2008-06-09 주식회사 중앙씨엠아이 파이프 행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47278A (ja) * 2003-11-17 2005-06-09 Takayama Metal Industrial Co Ltd パイプハンガー
KR200439706Y1 (ko) 2006-10-11 2008-04-29 김태식 배관용 파이프 행거
KR200440304Y1 (ko) 2008-02-27 2008-06-09 주식회사 중앙씨엠아이 파이프 행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7209B1 (ko) 2024-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52753B1 (en) Bar hanger and mounting clip assembly
US20090057498A1 (en) Cable support and method
EP0701385A2 (en) Loudspeaker installing
US20090236477A1 (en) Cable support and method
KR20230082293A (ko) 설치가 용이한 파이프 행거
JP5588799B2 (ja) 配線・配管材引出装置及び配線・配管材引出具
KR101351977B1 (ko) 비닐하우스용 파이프 체결구
US7387287B2 (en) Perforated section supporting device adapted to be fixed to a surface such as a ceiling
JP3381067B2 (ja) メッセンジャーワイヤー用吊り金具
KR200454283Y1 (ko) 천장 시설물 고정용 행거
CN212131546U (zh) U形束带、开槽结构构件组件和支杆接纳件组件
CN201034214Y (zh) 管道安装架
JP3160073U (ja) ハンガーレール用固定金具
KR101370455B1 (ko) 기능성 클램프
JP6450984B1 (ja) 固定具
JPH1026263A (ja) 設備用配管支持金具
KR200332872Y1 (ko) 파이프 지지장치
KR100540580B1 (ko) 처마용 물받이 걸이구
KR200236524Y1 (ko) 콘센트박스
US11881694B2 (en) Data cable support
JP3474418B2 (ja) 配線・配管用ボックス
JPS6127382Y2 (ko)
CN212210432U (zh) 挂绳挂钩及线缆架设组件
WO2008094011A1 (en) Ceiling hanger
JP4237927B2 (ja) 野縁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