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2137B1 - 행거용 볼트를 갖는 파이프 지지구조체 - Google Patents

행거용 볼트를 갖는 파이프 지지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2137B1
KR101912137B1 KR1020170097175A KR20170097175A KR101912137B1 KR 101912137 B1 KR101912137 B1 KR 101912137B1 KR 1020170097175 A KR1020170097175 A KR 1020170097175A KR 20170097175 A KR20170097175 A KR 20170097175A KR 101912137 B1 KR101912137 B1 KR 1019121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ger
bolt
pipe
connection structure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71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근
김대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더윈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더윈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더윈테크
Priority to KR10201700971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21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21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21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20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5/00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 F16B35/04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with specially-shaped head or shaft in order to fix the bolt on or in an object
    • F16B35/06Specially-shaped hea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1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for supporting or guiding th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between relatively movable points, e.g. movable chan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partly surrounding th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리부가 헤드부의 슬롯공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고리부의 하측에 절개부가 형성되어 연결구조물의 분해 없이 절개부를 통해 고리부를 연결구조물에 매달 수 있으며, 체결부를 이용하여 파이프가 파지된 고정클립에 간편하게 체결할 수 있도록 하여 연결구조물에 대한 분해 및 조립이 용이하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행거용 볼트를 갖는 파이프 지지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실내에 배치된 전선이나 와이어의 연결구조물에 착탈 가능하게 고리 결합되는 행거용 볼트와, 상기 행거용 볼트에 체결되어 상기 연결구조물에 파이프를 매달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클립으로 이루어진 행거용 볼트를 갖는 파이프 연결구조로서, 상기 행거용 볼트는 상기 고정클립에 내장된 너트에 체결되도록 외주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된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의 상측에 연장되고 상기 체결부의 외경보다 더 큰 외경을 갖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에 경사지게 형성된 슬롯공과, 상기 슬롯공에 끼워져 상기 헤드부의 중심에 양측 단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절개된 하부가 결합되고 상부가 연결구조물에 매달리도록 연결되는 고리부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행거용 볼트를 갖는 파이프 지지구조체{PIPE SUPPOTR STRUCTURE HAVING HANGER BOLT}
본 발명은 행거용 볼트를 갖는 파이프 지지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리부가 헤드부의 슬롯공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고리부의 하측에 절개부가 형성되어 연결구조물의 분해 없이 절개부를 통해 고리부를 연결구조물에 매달 수 있으며, 체결부를 이용하여 파이프가 파지된 고정클립에 간편하게 체결할 수 있도록 하여 연결구조물에 대한 분해 및 조립이 용이하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행거용 볼트를 갖는 파이프 지지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행거용 볼트는 건물 천장 하부에 설치되는 각종 파이프 또는 전선 등의 피지지물을 지지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층 슬래브의 저면에 돌출되는 각종의 배관이나 배선, 덕트(Duct)시설 등을 커버하고 하층의 천정을 이루기 위하여 설치되는 실링 플레이트를 부착할 수 있도록 하는 프레임을 지지하는 행거볼트와 앵커볼트를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너트가 사용된다.
경우에 따라서 앵커볼트에는 현재 층의 공조기와 연결하는 흡배기 덕트(Duct)나, 상층 슬래브의 저면으로 관통하여 배관되는 상, 하수관을 지지하도록 하는 수단으로서도 앵커볼트를 이용하기도 하므로 그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서는 상층 슬래브에 지지되는 구조가 견고하여야 됨으로써 짧은 앵커볼트의 형상을 가져야 타격건에 의해 콘크리트 슬래브에 앵커부가 강하게 박히어 고정할 수 있기에 그 앵커볼트가 짧게 이루어지게 된다.
기존 행거용 볼트와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7017호 "행거볼트용 앵커"(등록일자 : 2007.10.19)에 개시된 바와 같이, 일체형의 금속환봉 선단을 슬리브 형태로 가공 후 4등분으로 절개한 확개관에 원뿔형으로 이루어진 확장용 콘이 결합되도록 앵커부를 형성하고, 행거용 전산볼트를 대체하도록 상기 금속환봉의 후단에는 너트체결과 수평조절을 위하여 일부가 나사가공 되어 있는 나사봉체를 일체형으로 형성하되, 상기 나사봉체의 단부에는 상기 타격부가 형성되어 진 것이다.
또한, 기존 행거용 볼트와 관련된 다른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16185호 "앵커볼트 체결이 용이한 파이프 행거"(등록일자 : 2009.09.01)에 개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결합부와 너트결합부를 구비한 본체; 상기 너트결합부에 선회가능하게 배열되는 너트; 상기 너트와 체결되는 앵커볼트; 및 상기 너트에 결합되어 너트를 선회시켜 너트와 앵커볼트의 체결을 돕는 회전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회전체의 외곽 크기는 상기 본체 너트결합부의 평면 영역을 벗어나 돌출될 수 있는 크기인 것이다.
그런데, 기존 행거용 볼트는 실내 구조물에 나사 체결방식으로 고정되는 것이 대부분이지만, 배관 파이프를 전선이나 와이어에 매달아 지지하는 방식인 경우에는 행거용 볼트의 고리를 전선이나 와이어에 연결하기 위해 전선이나 와이어의 단부를 통해 연결해야 하는 작업이 번거롭고 분해 조립이 용이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7017호 "행거볼트용 앵커"(등록일자 : 2007.10.19)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16185호 "앵커볼트 체결이 용이한 파이프 행거"(등록일자 : 2009.09.01)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고리부가 헤드부의 슬롯공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고리부의 하측에 절개부가 형성되어 연결구조물의 분해 없이 절개부를 통해 고리부를 연결구조물에 매달 수 있으며, 체결부를 이용하여 파이프가 파지된 고정클립에 간편하게 체결할 수 있도록 하여 연결구조물에 대한 분해 및 조립이 용이하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행거용 볼트를 갖는 파이프 지지구조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실내에 배치된 전선이나 와이어의 연결구조물에 착탈 가능하게 고리 결합되는 행거용 볼트와, 상기 행거용 볼트에 체결되어 상기 연결구조물에 파이프를 매달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클립으로 이루어진 행거용 볼트를 갖는 파이프 연결구조로서, 상기 행거용 볼트는 상기 고정클립에 내장된 너트에 체결되도록 외주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된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의 상측에 연장되고 상기 체결부의 외경보다 더 큰 외경을 갖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에 경사지게 형성된 슬롯공과, 상기 슬롯공에 끼워져 상기 헤드부의 중심에 양측 단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절개된 하부가 결합되고 상부가 연결구조물에 매달리도록 연결되는 고리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행거용 볼트의 슬롯공은 상기 헤드부의 저면으로부터 상기 헤드부의 중심을 향해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고리부는 하부에 양측 단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분할되는 절개부를 갖는 좌,우측 분할바와, 상기 좌,우측 분할바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좌,우측 연장바와, 상기 좌,우측 연장부의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경사진 각도로 연결되는 좌,우측 연결바로 구성되어서, 내부에 연결구조물이 수용되는 오각형 단면 구조로 형성된 것이다.
상기 슬롯공은 헤드부의 저면에 형성된 입구부와, 상기 입구부로부터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된 연결통로와, 상기 연결통로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고리부가 끼워져 헤드부가 고리부에 매달리도록 헤드부의 중심에 횡방향으로 연통되게 형성된 수용부로 구성되며, 상기 슬롯공의 입구부측 내경 폭이 상기 고리부의 진입이 용이하도록 연결통로의 내경 폭보다 더 크게 형성된 것이다.
상기 슬롯공은 상기 연결통로와 수용부 사이의 내주면에 상기 고리부의 외경과 대응되는 폭을 갖도록 서로 마주보는 내측으로 돌출된 끼움턱을 더 구비한다.
본 발명은 행거용 볼트의 고리부가 헤드부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헤드부의 하측에 형성된 체결부가 파이프를 파지하고 있는 고정클립의 너트에 체결됨에 따라, 파이프를 행거용 볼트를 이용하여 전선 등의 연결구조물에 용이하게 매달리도록 정렬할 수 있으며, 연결구조물에 천장에 근접되게 설치된 상태에서도 고리부가 헤드부의 슬롯공을 통해 착탈 가능한 구조이므로 연결구조물의 분해작업없이 고리부를 연결구조물에 조립시킬 수 있게 되어 행거용 볼트를 이용한 파이프 지지구조체를 이용하여 파이프를 천장과 근접된 연결구조물에 지지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행거용 볼트의 고리부는 오각형 단면 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절개부를 통과하여 고리부의 내부에 수용 가능한 범위내에서 사이즈가 다른 연결구조물에도 적용 가능할 뿐만 아니라, 연결구조물이 고리부의 내부에 수용된 구조에서 상부 꼭지점에 해당하는 좌,우측 연결바의 내측에 걸려 지지됨에 따라 연결구조물의 형태에 관계없이 연결구조물에 대해 체결부의 각도를 수직으로 유지시킬 수 있게 되어 파이프를 일정한 높이에서 수평으로 지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행거용 볼트를 갖는 파이프 지지구조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행거용 볼트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행거용 볼트의 조립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슬롯공에 고리부가 끼워지는 조립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 슬롯공의 다른 변형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본 발명에 따른 행거용 볼트를 갖는 파이프 지지구조체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실내에 배치된 전선이나 와이어의 연결구조물(50)에 착탈 가능하게 고리 결합되는 행거용 볼트(100)와, 상기 행거용 볼트(100)에 체결되어 상기 연결구조물(50)에 파이프(10)를 매달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클립(20)으로 이루어진 행거용 볼트(100)를 갖는 파이프 지지구조체로서, 상기 행거용 볼트(100)는 상기 고정클립(20)에 내장된 너트(25)에 체결되도록 외주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된 체결부(120)와, 상기 체결부(120)의 상측에 연장되고 상기 체결부(120)의 외경보다 더 큰 외경을 갖는 헤드부(110)와, 상기 헤드부(110)에 경사지게 형성된 슬롯공(115)과, 상기 슬롯공(115)에 끼워져 상기 헤드부(110)의 중심에 양측 단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절개된 하부가 결합되고 상부가 연결구조물(50)에 매달리도록 연결되는 고리부(130)로 이루어진 것이다.
여기서 연결구조물(50)은 실내 천장을 가로지르는 전선이나 와이어가 채용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행거용 볼트(100)는 크게 체결부(120)와 헤드부(110) 및 고리부(130)로 구성된다.
상기 헤드부(110)에는 저면으로부터 헤드부(110)의 중심을 향해 상향 경사진 슬롯공(115)이 형성된다.
상기 슬롯공(115)은 상기 고리부(130)가 끼워져 헤드부(110)의 중심측에 결합된 상태로 고리부(130)에 의해 헤드부(110)가 매달리도록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고리부(130)는 내부에 연결구조물(50)이 수용되는 오각형 단면 구조로서, 하부에 양측 단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분할되는 절개부(133)를 갖는 좌,우측 분할바(131,132)와, 상기 좌,우측 분할바(131,132)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좌,우측 연장바(134,135)와, 상기 좌,우측 연장부의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경사진 각도로 연결되는 좌,우측 연결바(136,137)로 구성된다.
상기 고리부(130)는 하측에 형성된 절개부(133)의 틈새를 통해 연결구조물(50)이 내부로 수용되도록 결합된다.
상기 헤드부(110)는 외주면 둘레가 각진 형태의 육각형 볼트의 헤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슬롯공(115)은 헤드부(110)의 저면에 형성된 입구부(115a)와, 상기 입구부(115a)로부터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된 연결통로(115b)와, 상기 연결통로(115b)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고리부(130)가 끼워져 헤드부(110)가 고리부(130)에 매달리도록 헤드부(110)의 중심에 횡방향으로 연통되게 형성된 수용부(115c)로 구성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구부(115a)측 내경 폭이 상기 고리부(130)의 진입이 용이하도록 연결통로(115b)의 내경 폭보다 더 크게 형성된 것이다. 이로 인해 고리부(130)의 입구부(115a)측 진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체결부(120)는 파이프(10)의 외주면을 파지하는 고정클립(20)에 내장된 너트에 나사 체결방식으로 체결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고리부(130)는 슬롯공(115)과의 결합시 상기 헤드부(110)의 저면에 형성된 입구부(115a)로부터 고리부(130)가 진입되어 연결통로(115b)를 거쳐 경사진 각도로 수용부(115c)측으로 상향 이동되어 수용부(115c) 내에 수용되도록 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전선이나 와이어 등의 연결구조물(50)을 고리부(130)의 절개부(133) 틈새로 진입시켜 연결구조물(50)이 고리부(130)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한 후에, 체결부(120)를 파이프(10)가 파지된 고정클립(20)의 너트에 나사 체결시키고, 고리부(130)를 헤드부(110)의 저면에 형성된 슬롯공(115)의 입구부(115a)를 통해 연결통로(115b)를 통해 경사진 각도로 상향 이동시켜 수용부(115c) 내에 진입시키면, 파이프(10)가 고정클립(20)에 파지된 상태로 행거용 볼트(100)를 통해 연결구조물(50)에 매달리도록 결합된다.
이때, 고정클립(20)은 하측에 형성된 끼움홈(22)에 파이프(10)의 외주면이 끼워지도록 결합되며, 상부에 너트(25)가 내장되어 있다.
상기 고리부(13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오각형 단면 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하부가 슬롯공(115)의 수용부(115c) 내에 끼워진 상태에서 오각형 단면의 상부 꼭지점에 해당하는 좌,우측 연결바(136,137)의 하측 내부에 절개부(133)를 통과한 연결구조물(50)이 걸리도록 한다.
상기 연결구조물(50)은 고리부(130)의 하측에 형성된 절개부(133)를 통해 고리부(130) 내부로 진입 가능하므로, 고리부(130)가 헤드부(110)의 슬롯공(115)을 통해 수용부(115c) 내에 진입된 상태에서 절개부(133)를 통한 고리부(130)와의 결합이 가능하게 되어 조립성이 향상되는 이점을 갖는다.
즉, 상기 고리부(130)는 좌,우측 분할바(131,132)의 단부가 서로 마주보는 절개부(133)의 틈새를 통해 연결구조물(50)과의 조립이 용이함과 아울러, 헤드부(110)의 저면으로부터 상향 경사진 슬롯공(115)을 통해 수용부(115c) 내에 진입된 후에, 체결부(120)가 파이프(10)가 파지된 고정클립(20)의 너트에 체결된 상태로 고리부(130)가 연결구조물(50)에 매달리도록 결합되어 고정클립(20)에 파지된 파이프(10)를 연결구조물(50)에 매달리도록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행거용 볼트(100)의 고리부(130)가 헤드부(110)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헤드부(110)의 하측에 형성된 체결부(120)가 파이프(10)를 파지하고 있는 고정클립(20)의 너트(25)에 체결됨에 따라, 파이프(10)를 행거용 볼트(100)를 이용하여 전선 등의 연결구조물(50)에 용이하게 매달리도록 정렬할 수 있으며, 연결구조물(50)에 천장에 근접되게 설치된 상태에서도 고리부(130)가 헤드부(110)의 슬롯공(115)을 통해 착탈 가능한 구조이므로 연결구조물(50)의 분해작업없이 고리부(130)를 연결구조물(50)에 조립시킬 수 있게 되어 행거용 볼트(100)를 이용한 파이프 지지구조체를 이용하여 파이프(10)를 천장과 근접된 연결구조물(50)에 지지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행거용 볼트(100)의 고리부(130)는 오각형 단면 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절개부(133)를 통과하여 고리부(130)의 내부에 수용 가능한 범위내에서 사이즈가 다른 연결구조물(50)에도 적용 가능할 뿐만 아니라, 연결구조물(50)이 고리부(130)의 내부에 수용된 구조에서 상부 꼭지점에 해당하는 좌,우측 연결바(136,137)의 내측에 걸려 지지됨에 따라 연결구조물(50)의 형태에 관계없이 연결구조물(50)에 대해 체결부(120)의 각도를 수직으로 유지시킬 수 있게 되어 파이프(10)를 일정한 높이에서 수평으로 지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 5는 본 발명 슬롯공의 다른 변형예를 보인 도면으로서, 슬롯공(115)은 헤드부(110)의 저면에 형성된 입구부(115a)와, 상기 입구부(115a)로부터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된 연결통로(115b)와, 상기 연결통로(115b)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고리부(130)가 끼워져 헤드부(110)가 고리부(130)에 매달리도록 헤드부(110)의 중심에 횡방향으로 연통되게 형성된 수용부(115c)로 구성되며, 상기 슬롯공(115)의 입구부(115a)측 폭은 상기 고리부(130)의 진입이 용이하도록 연결통로(115b)의 폭보다 더 크게 형성되고, 상기 연결통로(115b)와 수용부(115c) 사이의 내주면에 상기 고리부(130)의 외경과 대응되는 폭을 갖도록 서로 마주보는 내측으로 돌출된 끼움턱(115d)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또한, 슬롯공(115)은 고리부(130)가 수용부(115c) 내에서 수용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도록 수용부(115c)의 내경이 상기 끼움턱(115d)의 내경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끼움턱(115d)은 연결통로(115b)를 통해 슬라이딩 진입되는 고리부(130)를 억지끼움방식으로 수용부(115c) 내에 결합시키기 위한 것으로, 수용부(115c)내에 진입된 고리부(130)가 수용부(115c)내에서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파이프(10) 등의 피지지물을 실내 천장에 근접된 전선이나 와이어 등의 연결구조물(50)에 매달 수 있도록 행거용 볼트(100)를 이용하여 파이프(10)를 고정하는 고정클립(20)과 연결구조물(50)을 연결하고, 행거용 볼트(100)의 고리부(130)가 헤드부(110)의 슬롯공(115)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고리부(130)의 하측에 절개부(133)가 형성되어 연결구조물(50)의 분해 없이 절개부(133)를 통해 고리부(130)를 연결구조물(50)에 매달 수 있으며, 체결부(120)를 이용하여 파이프(10)가 파지된 고정클립(20)에 간편하게 체결할 수 있도록 하여 연결구조물(50)의 분해없이 고리부(130)를 간편하게 연결구조물(50)에 분해 및 조립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고리부(130)가 상부 꼭지점을 갖는 오각형 단면 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고리부(130)의 좌,우측 분할바(131,132)가 슬롯공(115)의 수용부(115c) 내에 끼워진 상태에서 오각형 단면의 상부 꼭지점에 해당하는 좌,우측 연결바(136,137)의 하측 내부에 절개부(133)를 통과한 연결구조물(50)이 걸리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앞서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이상에서와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파이프 20 : 고정클립
22 : 끼움홈 25 : 너트
50 : 연결구조물 100 : 행거용 볼트
110 : 헤드부 115 : 슬롯공
115a : 입구부 115b : 연결통로
115c : 수용부 115d : 끼움턱
120 : 체결부 130 : 고리부
131,132 : 좌,우측 분할바 133 : 절개부
134,135 : 좌,우측 연장바 136,137 ; 좌,우측 연결바

Claims (5)

  1. 실내에 배치된 전선이나 와이어의 연결구조물(50)에 착탈 가능하게 고리 결합되는 행거용 볼트(100)와, 상기 행거용 볼트(100)에 체결되어 상기 연결구조물(50)에 파이프(10)를 매달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클립(20)으로 이루어진 행거용 볼트(100)를 갖는 파이프 지지구조체로서,
    상기 행거용 볼트(100)는 상기 고정클립(20)에 내장된 너트(25)에 체결되도록 외주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된 체결부(120)와,
    상기 체결부(120)의 상측에 연장되고 상기 체결부(120)의 외경보다 더 큰 외경을 갖는 헤드부(110)와,
    상기 헤드부(110)에 경사지게 형성된 슬롯공(115)과,
    상기 슬롯공(115)에 끼워져 상기 헤드부(110)의 중심에 양측 단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절개된 하부가 결합되고 상부가 상기 연결구조물(50)에 매달리도록 연결되는 고리부(130)로 이루어지되,
    상기 행거용 볼트(100)의 슬롯공(115)은 상기 헤드부(110)의 저면으로부터 상기 헤드부(110)의 중심으로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거용 볼트를 갖는 파이프 지지구조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110)는 외주면 둘레가 각진 형태의 육각형 볼트의 헤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거용 볼트를 갖는 파이프 지지구조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리부(130)는 하부에 양측 단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분할되는 절개부(133)를 갖는 좌,우측 분할바(131,132)와,
    상기 좌,우측 분할바(131,132)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좌,우측 연장바(134,135)와,
    상기 좌,우측 연장부의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경사진 각도로 연결되는 좌,우측 연결바(136,137)로 구성되어서, 내부에 연결구조물(50)이 수용되는 오각형 단면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거용 볼트를 갖는 파이프 지지구조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롯공(115)은 헤드부(110)의 저면에 형성된 입구부(115a)와, 상기 입구부(115a)로부터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된 연결통로(115b)와, 상기 연결통로(115b)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고리부(130)가 끼워져 헤드부(110)가 고리부(130)에 매달리도록 헤드부(110)의 중심에 횡방향으로 연통되게 형성된 수용부(115c)로 구성되며, 상기 슬롯공(115)의 입구부(115a)측 내경 폭이 상기 고리부(130)의 진입이 용이하도록 연결통로(115b)의 내경 폭보다 더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거용 볼트를 갖는 파이프 지지구조체.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슬롯공(115)은 상기 연결통로(115b)와 수용부(115c) 사이의 내주면에 상기 고리부(130)의 외경과 대응되는 폭을 갖도록 서로 마주보는 내측으로 돌출된 끼움턱(115d)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거용 볼트를 갖는 파이프 지지구조체.
KR1020170097175A 2017-07-31 2017-07-31 행거용 볼트를 갖는 파이프 지지구조체 KR1019121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7175A KR101912137B1 (ko) 2017-07-31 2017-07-31 행거용 볼트를 갖는 파이프 지지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7175A KR101912137B1 (ko) 2017-07-31 2017-07-31 행거용 볼트를 갖는 파이프 지지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2137B1 true KR101912137B1 (ko) 2018-10-29

Family

ID=64101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7175A KR101912137B1 (ko) 2017-07-31 2017-07-31 행거용 볼트를 갖는 파이프 지지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213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6260B2 (ja) * 1993-12-09 2000-12-11 日本光電工業株式会社 パルスオキシメータ用プローブ
KR200439706Y1 (ko) * 2006-10-11 2008-04-29 김태식 배관용 파이프 행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6260B2 (ja) * 1993-12-09 2000-12-11 日本光電工業株式会社 パルスオキシメータ用プローブ
KR200439706Y1 (ko) * 2006-10-11 2008-04-29 김태식 배관용 파이프 행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91852B2 (en) Hanger device and method for hanging an object
US20130075540A1 (en) Multiple position pipe hanger clamp
US20050286256A1 (en) Small profile hanger system for ceiling suspended lighting fixtures
US20120318934A1 (en) Multiple vertical clevis hangers
US10962046B2 (en) Multi-part fastener for attaching accessories to wire cages
US10233640B1 (en) Drop ceiling attachment assembly
TW200829803A (en) Anchor assembly with large range of motion suspension members, and restraint systems for suspended components
KR101912137B1 (ko) 행거용 볼트를 갖는 파이프 지지구조체
US10431130B2 (en) Display system
US20080135691A1 (en) Securing system
KR101623841B1 (ko) 에어컨 배관용 행거
US9739416B2 (en) Method for mounting electrical equipment to ceiling or to ceiling support structure
WO2023229294A1 (ko) 파이프 고정장치
KR100761558B1 (ko) 낙하물 방지망 설치용 고정구
KR101574463B1 (ko) 천장용 캐링찬넬 고정행거
TW201708769A (zh) 用來安裝照明夾具之連接器總成及用來組裝照明系統之方法
CN213952949U (zh) 一种脚手架连接件
JP2014135211A (ja) 蛍光灯型半導体ランプ及びその吊り下げ支持具
JP2559813Y2 (ja) スプリンクラ−の取付具
CN109537793A (zh) 便于安装调平的吊顶结构及其安装方法
CN215442632U (zh) 一种高效抗震的吊顶安装结构
KR100501431B1 (ko) 공기조화기용 확산체 고정장치
KR200443076Y1 (ko) 작업성이 향상된 배관 고정용 행거
CN209575601U (zh) 一种喷淋管固定预制支架
RU159929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монтажа подвесного осветительного прибора на натяжной потоло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