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1352B1 - 관연결구 - Google Patents

관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1352B1
KR100991352B1 KR1020080066464A KR20080066464A KR100991352B1 KR 100991352 B1 KR100991352 B1 KR 100991352B1 KR 1020080066464 A KR1020080066464 A KR 1020080066464A KR 20080066464 A KR20080066464 A KR 20080066464A KR 100991352 B1 KR100991352 B1 KR 1009913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pair
fastening
fastening portion
pressing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6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6290A (ko
Inventor
이성환
이광도
이상훈
민지훈
Original Assignee
민지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지훈 filed Critical 민지훈
Priority to KR10200800664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1352B1/ko
Publication of KR20100006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62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13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13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6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8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dditional lock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각각 종단 외표면에 돌출륜이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관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관연결구에 있어서, 상호 나란하게 배치되고 각각 반원의 호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된 한 쌍의 좌측걸림벽부와 상기 한 쌍의 좌측걸림벽부와 협조하여 디귿자 단면을 이루도록 형성된 좌측가압면부를 구비한 좌측바디부와, 상기 좌측가압면부의 일 측 종단으로부터 외측방향을 따라 수직으로 연장 형성된 좌측지지판을 구비한 좌측상부체결부와, 상기 좌측가압면부의 타 측 종단에 형성된 좌측하부체결부를 갖는 좌측연결구와; 상호 나란하게 배치되고 각각 반원의 호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된 한 쌍의 우측걸림벽부와 상기 한 쌍의 우측걸림벽부와 협조하여 디귿자 단면을 이루도록 형성된 우측가압면부를 구비한 우측바디부와 상기 우측가압면부의 일 측 종단으로부터 외측방향을 따라 수직으로 연장 형성된 우측지지판을 구비한 우측상부체결부와 상기 우측가압면부의 타 측 종단에 형성된 우측하부체결부를 가지고, 상기 우측상부체결부와 상기 좌측상부체결부사이의 체결동작과 상기 우측하부체결부와 상기 좌측하부체결부사이의 체결동작을 통해 상기 우측지지판이 상기 좌측지지판에 면접촉되도록 상기 좌측연결구에 체결되는 우측연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돌출륜의 형태면에서 사용범위를 확대시킬 수 있다.
관연결구, 돌출륜, 체결부, 바디부

Description

관연결구{Pipe Connector}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연결구의 분해사시도,
도2 내지 도10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연결구의 사용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연결구의 요부사시도,
도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연결구의 설치상태단면도,
도13은 종래의 관연결구의 분해사시도,
도14는 종래의 관연결구의 설치상태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좌측연결구 11 : 좌측바디부
12 : 좌측하부체결부 20, 20' : 좌측상부체결부
21, 21' : 좌측지지판 22, 22' : 좌측행거홈형성부
23 : 좌측보조판 30 : 우측연결구
31 : 우측바디부 32 : 우측하부체결부
40, 40' : 우측상부체결부 41, 41' : 우측지지판
42, 42' : 우측행거홈형성부 43 : 좌측보조판
110 : 상측연결구 111 : 상측바디부
112 : 상측플랜지 130 : 하측연결구
131 : 하측바디부 132 : 하측플랜지
본 발명은 관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각각 종단 외표면에 돌출륜이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관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물의 이동경로를 제공하기 널리 사용되는 관중에는 주름관과 같이 외표면에 돌출륜이 형성되어 있는 관들이 있으며, 이들 돌출륜을 갖는 관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관연결구가 안출되어 사용되고 있다.
도13은 종래의 관연결구의 분해사시도이다.
종래의 관연결구는,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 연부를 통해 상호 체결되는 상측연결구(110) 및 하측연결구(130)를 갖고 있다.
상측연결구(110)는 원형관을 길이방향을 따라 절단한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된 상측바디부(111)와, 상측바디부(111)의 양측 연부로부터 상호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한 쌍의 상측플랜지(112)를 갖고 있다.
상측바디부(111)는 내표면에 다수의 상측치합홈(111a)이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하측연결구(130)는 원형관을 길이방향을 따라 절단한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 된 하측바디부(131)와, 하측바디부(131)의 양측 연부로부터 상호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한 쌍의 하측플랜지(132)를 갖고 있다.
하측바디부(131)는 내표면에 다수의 하측치합홈(131a)이 상측치합홈(111a)에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관연결구를 사용하는 방법을 도1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돌출륜(203a)이 하측치합홈(131a)에 삽입되도록 한 쌍의 관(203)을 하측연결구(130)에 설치한다.
다음에 돌출륜(203a)이 상측치합홈(111a)에 삽입되도록 상측연결구(110)를 하측연결구(130)의 상면에 설치한다.
다음에 하측플랜지(132)와 상측플랜지(112)를 관통하도록 볼트를 체결한 후, 너트로 조인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관연결구는 2004년 실용신안등록출원 제11031호(고안의 명칭 : 주름관 연결구)에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관연결구에 따르면, 돌출륜(203a) 형태(돌출륜사이의 거리, 돌출륜의 폭과 높이)와 상측치합홈(111a) 또는 하측치합홈(131a)의 형태가 일치해야 하기 때문에 상측치합홈(111a) 또는 하측치합홈(131a)에 대응하는 규격의 돌출륜(203a)을 갖는 관에 한해 제한적으로 사용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돌출륜의 형태면에서 사용범위가 확대된 관연결구 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각각 종단 외표면에 돌출륜이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관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관연결구에 있어서, 상호 나란하게 배치되고 각각 반원의 호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된 한 쌍의 좌측걸림벽부와 상기 한 쌍의 좌측걸림벽부와 협조하여 디귿자 단면을 이루도록 형성된 좌측가압면부를 구비한 좌측바디부와, 상기 좌측가압면부의 일 측 종단으로부터 외측방향을 따라 수직으로 연장 형성된 좌측지지판을 구비한 좌측상부체결부와, 상기 좌측가압면부의 타 측 종단에 형성된 좌측하부체결부를 갖는 좌측연결구와; 상호 나란하게 배치되고 각각 반원의 호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된 한 쌍의 우측걸림벽부와 상기 한 쌍의 우측걸림벽부와 협조하여 디귿자 단면을 이루도록 형성된 우측가압면부를 구비한 우측바디부와 상기 우측가압면부의 일 측 종단으로부터 외측방향을 따라 수직으로 연장 형성된 우측지지판을 구비한 우측상부체결부와 상기 우측가압면부의 타 측 종단에 형성된 우측하부체결부를 가지고, 상기 우측상부체결부와 상기 좌측상부체결부사이의 체결동작과 상기 우측하부체결부와 상기 좌측하부체결부사이의 체결동작을 통해 상기 우측지지판이 상기 좌측지지판에 면접촉되도록 상기 좌측연결구에 체결되는 우측연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연결구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연결된 관을 행거를 통해 벽체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좌측상부체결부는 상기 좌측지지판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좌측지지판의 외표면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절곡 형성된 좌측행거홈바닥판부와 상기 좌측행거홈바닥판부의 종단으로 부터 상기 좌측지지판의 판면방향을 따라 수직으로 절곡 형성된 좌측행거홈측벽부를 갖는 좌측행거홈형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우측상부체결부는 상기 우측지지판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우측지지판의 외표면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수직으로 절곡 형성된 우측행거홈바닥판부와 상기 우측행거홈바닥판부의 종단으로부터 상기 우측지지판의 판면방향을 따라 수직으로 절곡 형성된 우측행거홈측벽부를 갖는 우측행거홈형성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연결된 관이 고정되는 고정벽체의 범위를 확대할 수 있도록, 상기 좌측상부체결부는 상기 좌측지지판의 상단 양측으로부터 상기 좌측지지판의 판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한 쌍의 좌측보조판과 상기 한 쌍의 좌측보조판의 사이영역에서 디귿자단면형상을 갖도록 형성된 좌측행거홈형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우측상부체결부는 상기 우측지지판의 상단 양측으로부터 상기 우측지지판의 판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한 쌍의 우측보조판과 상기 한 쌍의 우측보조판의 사이영역에서 디귿자단면형상을 갖도록 형성된 우측행거홈형성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밀폐링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좌측가압면부는 내표면에 좌측링가압언덕부가 상기 한 쌍의 좌측걸림벽부로부터 이격되도록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우측가압면부는 내표면에 우측링가압언덕부가 상기 한 쌍의 우측걸림벽부로부터 이격되도록 돌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연결구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연결구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의 호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양단을 통해 상호 체결되는 좌측연결구(10) 및 우측연결구(30)를 갖고 있다.
좌측연결구(10)는 대략 디귿자단면의 좌측바디부(11)와, 좌측바디부(11)의 상단에 형성된 좌측상부체결부(20)와, 좌측바디부(11)의 하단에 형성된 좌측하부체결부(12)를 갖고 있다.
좌측바디부(11)는 상호 나란하게 배치된 한 쌍의 좌측걸림벽부(11a)와, 한 쌍의 좌측걸림벽부(11a)와 협조하여 디귿자 단면을 이루도록 형성된 좌측가압면부(11b)를 갖고 있다.
각 좌측걸림벽부(11a)는 반원의 호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좌측가압면부(11b)는 반원의 호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고, 내표면에는 좌측링가압언덕부(11c)가 한 쌍의 좌측걸림벽부(11a)로부터 이격되도록 돌출 형성되어 있다.
좌측상부체결부(20)는 좌측가압면부(11b)의 상단으로부터 외측방향을 따라 수직으로 연장 형성된 좌측지지판(21)과, 좌측지지판(21)의 상단에 형성된 좌측행거홈형성부(22)를 갖고 있다.
좌측행거홈형성부(22)는 좌측지지판(21)의 상단에 형성된 좌측행거홈바닥판부(22a)와, 좌측행거홈바닥판부(22a)의 종단에 형성된 좌측행거홈측벽부(22b)를 갖고 있다.
좌측행거홈바닥판부(22a)는 좌측지지판(21)의 외표면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절곡 형성되어 있다.
좌측행거홈측벽부(22b)는 좌측지지판(21)의 판면방향을 따라 수직으로 절곡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좌측행거홈측벽부(22b)에는 좌측볼트공(22c)이 형성되어 있다.
좌측하부체결부(12)는 좌측가압면부(11b)로부터 요홈단면을 이루도록 연장 형성된 좌측체결요홈부(12a)와, 좌측체결요홈부(12a)의 종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좌측걸림판(12c)을 갖고 있다.
좌측체결요홈부(12a)는 양단에 체결홈(12b)이 하나씩 절취 형성되어 있다.
우측연결구(30)는 대략 디귿자단면의 우측바디부(31)와, 우측바디부(31)의 상단에 형성된 우측상부체결부(40)와, 우측바디부(31)의 하단에 형성된 우측하부체결부(32)를 갖고 있다.
우측바디부(31)는 상호 나란하게 배치된 한 쌍의 우측걸림벽부(31a)와, 한 쌍의 우측걸림벽부(31a)와 협조하여 디귿자 단면을 이루도록 형성된 우측가압면부(31b)를 갖고 있다.
각 우측걸림벽부(31a)는 반원의 호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우측가압면부(31b)는 반원의 호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고, 내표면에는 우측링가압언덕부(31c)가 한 쌍의 우측걸림벽부(31a)로부터 이격되도록 돌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우측가압면부(31b)는 하단에 삽입보조공(31d)이 형성되어 있다.
우측상부체결부(40)는 우측가압면부(31b)의 상단으로부터 외측방향을 따라 수직으로 연장 형성된 우측지지판(41)과, 우측지지판(41)의 상단에 형성된 우측행거홈형성부(42)를 갖고 있다.
우측행거홈형성부(42)는 우측지지판(41)의 상단에 형성된 우측행거홈바닥판부(42a)와, 우측행거홈바닥판부(42a)의 종단에 형성된 우측행거홈측벽부(42b)를 갖고 있다.
우측행거홈바닥판부(42a)는 우측지지판(41)의 외표면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절곡 형성되어 있다.
우측행거홈측벽부(42b)는 우측지지판(41)의 판면방향을 따라 수직으로 절곡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우측행거홈측벽부(42b)에는 우측볼트공(42c)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우측상부체결부(40)는 다음과 같은 체결동작을 통해 좌측상부체결부(20)에 체결될 수 있다.
먼저 좌측지지판(21)과 우측지지판(41)을 면접촉시킨다.
다음에 좌측볼트공(22c)과 우측볼트공(42c)에 볼트를 통과시킨 후, 너트로 조인다.
우측하부체결부(32)는 우측가압면부(31b)로부터 요홈단면을 이루도록 연장 형성된 우측체결요홈부(32a)와, 우측체결요홈부(32a)의 종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우측걸림판(32c)을 갖고 있다.
우측체결요홈부(32a)는 중앙영역에 삽입공(32b)이 삽입보조공(31d)에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우측하부체결부(32)는 다음과 같은 체결동작을 통해 우측상부체결부(40)에 체결될 수 있다.
먼저 좌측걸림판(12c)을 삽입보조공(31d)과 삽입공(32b)을 통해 통과시킨 다음, 90도 회전시킨다.
다음에 우측걸림판(32c)을 좌측체결요홈부(12a)에 안착시키고, 좌측걸림판(12c)을 우측체결요홈부(32a)에 안착시킨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연결구를 사용하는 방법을 도2내지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좌측하부체결부(12)와 우측하부체결부(32)를 전술한 방법으로 체결한다(도2 참조).
다음에 외표면이 좌측링가압언덕부(11c)와 우측링가압언덕부(31c)에 접촉하도록 밀폐링(204)을 설치한다(도2 참조).
다음에 관(203)의 돌출륜(203a)이 좌측걸림벽부(11a)와 우측걸림벽부(31a)를 넘어 가도록 한 쌍의 관(203)을 설치한다(도3 및 도7 참조).
다음에 좌측상부체결부(20)와 우측상부체결부(40)를 전술한 방법으로 체결한다(도3 참조). 여기서 관(203)을 벽체에 현수되도록 설치하는 경우에는 앵커볼트(201, 벽체에 설치됨)의 종단에 결합된 행거(202)의 행거볼트공(202a)을 볼트가 통과하도록 좌측상부체결부(20)와 우측상부체결부(40)를 체결한다(도4, 도5 및 도6 참조).
그리고 외표면에 돌출륜이 하나 형성되어 있는 관(203) 상호간을 연결시키거 나(도9 및 도10 참조) 또는 다수의 돌출륜이 형성되어 있는 관(203) 상호간을 연결시킬 때에도 동일한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좌측상부체결부(20)와 우측상부체결부(40)가 양측이 개방된 형태의 좌측행거홈형성부(22)와 우측행거홈형성부(42)를 갖도록 구성하고 있으나,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이 폐쇄된 좌측행거홈형성부(22)와 우측행거홈형성부(42)를 갖도록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도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연결구의 요부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연결구는, 좌측상부체결부(20)와 우측상부체결부(40)를 제외하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연결부와 동일한 구조와 기능을 갖고 있다. 도1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연결구와 동일한 구조와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가 동일한 번호로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좌측상부체결부(20')는 좌측가압면부(11b)의 상단으로부터 외측방향을 따라 수직으로 연장 형성된 좌측지지판(21')과, 좌측지지판(21')의 상단 양측으로부터 좌측지지판(21')의 판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한 쌍의 좌측보조판(23')과, 한 쌍의 좌측보조판(23')의 사이영역에 디귿자단면형상을 갖도록 형성된 좌측행거홈형성부(22')를 갖고 있다.
좌측행거홈형성부(22')는 중앙영역에 좌측볼트공(22'c)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우측상부체결부(40')는 우측가압면부(31b)의 상단으로부터 외측방향을 따라 수직으로 연장 형성된 우측지지판(41')과, 우측지지판(41')의 상단 양측으로부터 우측지지판(41')의 판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한 쌍의 우측보조판(43')과, 한 쌍의 우측보조판(43')의 사이영역에 디귿자단면형상을 갖도록 형성된 우측행거홈형성부(42')를 갖고 있다.
우측행거홈형성부(42')는 중앙영역에 우측볼트공(42'c)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연결구의 사용방법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연결구를 사용하는 방법과 동일하다(도12 참조).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호 나란하게 배치된 한 쌍의 좌측걸림벽부(11a)와 돌출륜(203a)사이의 걸림작용 및 한 쌍의 우측걸림벽부(31a)와 돌출륜(203a)사이의 걸림작용을 통해 관(203)의 연결상태가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돌출륜(203a)의 형태면에서 사용범위를 확대시킬 수 있게 된다(한 쌍의 좌측걸림벽부 또는 한 쌍의 우측걸림벽부사이에 수용될 수 있는 돌출륜이 종단에 형성된 관에 사용할 수 있음).
그리고 좌측행거홈형성부(22, 22')를 포함하도록 좌측상부체결부(20, 20')를 구성함으로써, 연결된 관(203)을 행거(202)를 통해 벽체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양측개구가 개방되도록 좌측행거홈형성부(22)를 형성함으로써, 연결된 관(203)이 고정되는 고정벽체의 범위를 확대할 수 있게 된다(행거와 좌측바디부 또는 우측바디부사이의 배치관계가 일직선이 되지 않아도 됨, 도8 참조).
또한 좌측가압면부(11b)에 좌측링가압언덕부(11c)를 형성하고 우측가압면부(31b)에 우측링가압언덕부(31c)를 형성함으로써, 밀폐링(204)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좌측링가압언덕부와 우측링가압언덕부에 의해 밀폐링이 가압됨).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좌측하부체결부(12)와 우측하부체결부(32)를 걸림 구조로 구성하고 있으나, 좌측상부체결부(20) 및 우측상부체결부(40)와 같이 볼트체결구조로 구현하여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상호 나란하게 배치된 한 쌍의 좌측걸림벽부 또는 한 쌍의 우측걸림벽부와 돌출륜사이의 걸림작용을 통해 관의 연결상태가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돌출륜의 형태면에서 사용범위를 확대시킬 수 있다.

Claims (4)

  1. 각각 종단 외표면에 돌출륜이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관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관연결구에 있어서,
    상호 나란하게 배치되고 각각 반원의 호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된 한 쌍의 좌측걸림벽부와 상기 한 쌍의 좌측걸림벽부와 협조하여 디귿자 단면을 이루도록 형성된 좌측가압면부를 구비한 좌측바디부와, 상기 좌측가압면부의 일 측 종단으로부터 외측방향을 따라 수직으로 연장 형성된 좌측지지판을 구비한 좌측상부체결부와, 상기 좌측가압면부의 타 측 종단에 형성된 좌측하부체결부를 갖는 좌측연결구와;
    상호 나란하게 배치되고 각각 반원의 호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된 한 쌍의 우측걸림벽부와 상기 한 쌍의 우측걸림벽부와 협조하여 디귿자 단면을 이루도록 형성된 우측가압면부를 구비한 우측바디부와 상기 우측가압면부의 일 측 종단으로부터 외측방향을 따라 수직으로 연장 형성된 우측지지판을 구비한 우측상부체결부와 상기 우측가압면부의 타 측 종단에 형성된 우측하부체결부를 가지고, 상기 우측상부체결부와 상기 좌측상부체결부사이의 체결동작과 상기 우측하부체결부와 상기 좌측하부체결부사이의 체결동작을 통해 상기 우측지지판이 상기 좌측지지판에 면접촉되도록 상기 좌측연결구에 체결되는 우측연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연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상부체결부는 상기 좌측지지판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좌측지지판의 외표면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절곡 형성된 좌측행거홈바닥판부와 상기 좌측행거홈바닥판부의 종단으로부터 상기 좌측지지판의 판면방향을 따라 수직으로 절곡 형성된 좌측행거홈측벽부를 갖는 좌측행거홈형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우측상부체결부는 상기 우측지지판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우측지지판의 외표면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수직으로 절곡 형성된 우측행거홈바닥판부와 상기 우측행거홈바닥판부의 종단으로부터 상기 우측지지판의 판면방향을 따라 수직으로 절곡 형성된 우측행거홈측벽부를 갖는 우측행거홈형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연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상부체결부는 상기 좌측지지판의 상단 양측으로부터 상기 좌측지지판의 판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한 쌍의 좌측보조판과 상기 한 쌍의 좌측보조판의 사이영역에서 디귿자단면형상을 갖도록 형성된 좌측행거홈형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우측상부체결부는 상기 우측지지판의 상단 양측으로부터 상기 우측지지판의 판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한 쌍의 우측보조판과 상기 한 쌍의 우측보조판의 사이영역에서 디귿자단면형상을 갖도록 형성된 우측행거홈형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연결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가압면부는 내표면에 좌측링가압언덕부가 상기 한 쌍의 좌측걸림벽부로부터 이격되도록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우측가압면부는 내표면에 우측링가압언덕부가 상기 한 쌍의 우측걸림벽부로부터 이격되도록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연결구.
KR1020080066464A 2008-07-09 2008-07-09 관연결구 KR1009913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6464A KR100991352B1 (ko) 2008-07-09 2008-07-09 관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6464A KR100991352B1 (ko) 2008-07-09 2008-07-09 관연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6290A KR20100006290A (ko) 2010-01-19
KR100991352B1 true KR100991352B1 (ko) 2010-11-02

Family

ID=41815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6464A KR100991352B1 (ko) 2008-07-09 2008-07-09 관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13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7842B1 (ko) * 2012-07-05 2014-04-22 이준명 파이프용 커플링 클램프
CN104696597A (zh) * 2013-12-09 2015-06-10 国家电网公司 固定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26528U (ko) 1976-08-14 1978-03-07
JPS53163418U (ko) 1977-05-27 1978-12-21
JPS5667235U (ko) 1979-10-31 1981-06-04
KR200439706Y1 (ko) 2006-10-11 2008-04-29 김태식 배관용 파이프 행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26528U (ko) 1976-08-14 1978-03-07
JPS53163418U (ko) 1977-05-27 1978-12-21
JPS5667235U (ko) 1979-10-31 1981-06-04
KR200439706Y1 (ko) 2006-10-11 2008-04-29 김태식 배관용 파이프 행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6290A (ko) 2010-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39316B2 (en) Support collar for long articles, in particular cables, pipes and/or the like
US7922521B1 (en) DIN rail terminal block
KR101422617B1 (ko) 조립구조가 개선된 케이블 트레이
KR101349269B1 (ko) 원터치 방식의 케이블 트레이
KR100991352B1 (ko) 관연결구
CN101951749B (zh) 电气设备的安装装置及具有该安装装置的电路断路器
KR101611763B1 (ko) 토보드 연결구
KR200465966Y1 (ko) 케이블트레이의 연결장치
KR20180085543A (ko) 파이프 고정 클램프
KR101661589B1 (ko) 안내판 걸이구
KR200392716Y1 (ko) 스프링클러 리듀서 장착장치
KR20080092533A (ko) 환봉지지 스텐밴드 분할형 연결구
JP2019052737A (ja) パイプジョイント
JP2004360234A (ja) 鉄筋結合金具
KR200484266Y1 (ko) 클립장치
KR200362304Y1 (ko) 가스관 연결용 커넥터 어셈블리
KR100807439B1 (ko) 덕트 배관의 체결구조
KR200419194Y1 (ko) 220볼트 콘센트의 접지 단자 접속 구조
KR100730917B1 (ko) 배수관 고정장치
JPS5912324Y2 (ja) 溝形鋼用交差連結金具
JP4559902B2 (ja) トラフ支持台
IL262281A (en) Lowered ceiling system
CN109184153A (zh) 一种格栅板定位件
JP4310740B2 (ja) 床板材連結金具及びこれを用いた床構造体
KR100317922B1 (ko) 납골함단용석재커버결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