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7439B1 - 덕트 배관의 체결구조 - Google Patents

덕트 배관의 체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7439B1
KR100807439B1 KR1020070013479A KR20070013479A KR100807439B1 KR 100807439 B1 KR100807439 B1 KR 100807439B1 KR 1020070013479 A KR1020070013479 A KR 1020070013479A KR 20070013479 A KR20070013479 A KR 20070013479A KR 100807439 B1 KR100807439 B1 KR 1008074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duct pipe
binding
flange portion
j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3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문
Original Assignee
이종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문 filed Critical 이종문
Priority to KR10200700134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74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7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74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09Duct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connecting means, e.g. fl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덕트 배관의 체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덕트 배관의 체결구조에 있어 그 결속구가 플랜지부의 모서리에만 구비되어 그 강성이 약한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덕트 배관의 체결구조에 있어서, 덕트 배관의 단부에 플랜지부를 형성하고, 덕트 배관의 양측에서 결합되어 상호 결속되는 두 개의 결속바를 구비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덕트 배관의 단부에 플랜지부를 형성하고, 상기 덕트 배관의 양측에서 결합되어 상호 결속되는 두 개의 결속바로 구성함으로써 그 결속 상태에서 상기 결속바가 덕트 배관의 외부를 감싸 지지하여 줌으로써 덕트 배관의 외형이 유지되고 그 강성이 향상되는 것이며, 그 결속이 플랜지부의 모서리에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플랜지부의 전체적인 면에서 이루어져 그 결속이 견고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덕트 배관

Description

덕트 배관의 체결구조{Coupling device of Duct}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로 플랜지부에
바지지턱을 형성한 것을 보인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 예로 플랜지부에
끼움턱을 형성한 것을 보인 사시도.
도 4 는 도 3 의 실시 예에 따른 결합 상태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 예로
결속바를 분할 형성한 것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덕트 배관
110 : 플랜지부
121 : 바지지턱 122 : 끼움턱
130 : 끼움부
200 : 결속바
210 : 중앙바 211 : 중앙 연결턱
220 : 연결바 221 : 바 연결턱
230 : 연결공
240 : 결속공
본 고안은 덕트 배관의 체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각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진 덕트 배관을 체결함에 있어서, 덕트의 연결부에 플랜지부를 형성하고, 덕트의 양쪽에서 결합되어 상호 결속되는 두 개의 결속바로 구성하여서, 덕트 배관의 체결에 있어서 덕트의 형을 유지하며 견고하게 상호 결속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덕트 배관은 공기조화시설에 있어서 공기의 유동관로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판재를 절곡하여서 일정 길이로 제작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일정 길이로 제작된 덕트 배관은 상호 결속하여서 연속되는 배관을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일정 길이로 제작된 덕트 배관을 상호 결속을 위하여 그 단부에 체결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덕트 배관의 체결구조는 덕트 배관의 단부 에 측면으로 절곡 형성한 플랜지부를 형성한 후 서로 접하는 플랜지부를 접어 결속하여서 상호 결속시켰으나 그 결속작업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덕트 배관의 플랜지부 모서리에 볼트공이 천공되며 "ㄱ"으로 형성된 결속바를 결속시킨 후 이를 통하여 볼트 결속에 의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덕트 배관의 체결구조는 플랜지부의 모서리에만 고정되는 결속바를 구비하고 이를 볼트 체결에 의하여 결속할 수 있게 구성하여서 덕트 배관의 상호 결속은 견고하게 이루어지나 얇은 판재로 이루어진 덕트 배관의 형을 유지하거나 그 강성을 높이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 덕트 배관의 체결구조에 있어 그 결속구가 플랜지부의 모서리에만 구비되어 그 강성이 약한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덕트 배관의 체결구조에 있어서, 덕트 배관의 단부에 플랜지부를 형성하고, 덕트 배관의 양측에서 결합되어 상호 결속되는 두 개의 결속바를 구비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덕트 배관의 단부에 플랜지부를 형성하고, 상기 덕트 배관의 양측에서 결합되어 상호 결속되는 두 개의 결속바로 구성함으로써 그 결속 상태에서 상기 결속바가 덕트 배관의 외부를 감싸 지지하여 줌으로써 덕트 배관의 외형이 유지되고 그 강성이 향상되는 것이며, 그 결속이 플랜지부의 모서리에서만 이 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플랜지부의 전체적인 면에서 이루어져 그 결속이 견고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일정 길이로 제작되는 덕트 배관을 그 외형을 유지하며 강성을 높이면서 견고하게 결속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덕트 배관의 체결구조에 있어서, 일정 길이로 제작되는 사각 박스 형상의 덕트 배관(100) 단부에 외측으로 절곡 형성한 플랜지부(110)를 형성하고, 상기 덕트 배관(100)의 양측에서 결합되어 상호 결속되는 두 개의 결속바(200)를 구비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결속바(200)는 사각 박스 형상의 덕트 배관(100)를 바깥쪽에서 감싸 지지할 수 있게 판상 막대로 이루어진 중앙바(210)와 상기 중앙바(210)의 양측에서 덕트 배관(100) 폭의 1/2 길이로 돌출 형성한 판상 막대의 연결바(220)와 상기 연결바(220)의 단부에 면 쪽으로 직각 절곡 형성하고 볼트 결속되는 연결공(230)을 형성한 바 연결턱(221) 및 상기 중앙바(210)와 연결바(220)에 덕트 배관(100)의 결속을 위하여 천공 형성한 결속공(240)으로 구성한 것이다.
한편, 상기 결속바는 대형 덕트 배관(100)에 적용시 그 크기를 소형화하여 운반 및 체결이 용이하게 중앙바(210)를 분할 형성하고 분할부위에 면 쪽으로 직각 절곡 형성하고 볼트 결속되는 연결공(230)을 형성한 중앙 연결턱(211)을 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110)의 단부에는 덕트 배관(100)의 상호 체결을 위하여 결합되는 결속바(200)의 외측 테두리를 지지할 수 있게 플랜지부의 단부를 접어 형성한 바지지턱(121)을 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110)의 단부에 결합되는 결속바의 양 연결바(220)가 플랜지부(110)의 측면에서 끼움 결합되어 구속되도록 상기 플랜지부(110)의 단부에 형성한 바지지턱(121)의 단부를 180°절곡하여 결속바(200)가 플랜지부(110)의 측면에서 끼움 결합되게 끼움부(130)를 형성하는 끼움턱(122)을 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연결바(220)에 형성한 바 연결턱(221)은 끼움부(130)를 형성한 플랜지부(110)에 끼움 결합함에 있어 걸리지 않게 그 폭을 연결바(220)보다 좁게 형성하여 실시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덕트 배관의 체결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이 덕트 배관의 체결구조에 있어서, 일정 길이로 제작되는 사각 박스 형상의 덕트 배관(100) 단부에 외측으로 절곡 형성한 플랜지부(110)를 형성하고, 상기 덕트 배관(100)의 양측에서 결합되어 상호 결속되는 두 개의 결속바(200)를 구비하되, 상기 결속바(200)는 사각 박스 형상의 덕트 배관(100)를 바깥쪽에서 감싸 지지할 수 있게 판상 막대로 이루어진 중앙바(210)와 상기 중앙 바(210)의 양측에서 덕트 배관(100) 폭의 1/2 길이로 돌출 형성한 판상 막대의 연결바(220)와 상기 연결바(220)의 단부에 면 쪽으로 직각 절곡 형성하고 볼트 결속되는 연결공(230)을 형성한 바 연결턱(221) 및 상기 중앙바(210)와 연결바(220)에 덕트 배관(100)의 결속을 위한 결속공(240)으로 구성한 본 발명을 적용하여 실시하게 되면, 상호 체결시키고자 하는 덕트 배관(100)의 플랜지부(110)를 맞물려 놓고 덕트 배관(100)의 외측에서 결속바(200)을 끼워 결합한 후 양 연결바(220)의 단부에 있는 바 연결턱(221)의 연결공(230)에 볼트를 끼운 후 두 개의 결속바(200)가 일체를 이루게 연결한다.
이상과 같이 두 개의 결속바(200)를 연결시킨 후 상기 결속바(200)에 형성한 결속공(240)에 볼트를 체결함므로써 결속바(200)에 의하여 플랜지부(110)가 가압 밀착되고 그 외형이 지지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와 같이 플랜지부(110)에 바지지턱(121)을 형성하여 실시하게 되면 플랜지부(110)에 밀착되어 결속되는 결속바(200)의 외측이 지지됨으로써 그 유동이 방지되어 그 결속상태가 더욱 견고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와 같이 플랜지부(110)의 바지지턱(121)에 끼움턱(122)을 형성하여 끼움부(130)가 형성되게 함으로써 결속바(200)의 연결바(220)가 상기 끼움부(130)에 끼움 결합되어서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상과 같이 결속바(200)의 연결바(220)가 측면에서 결합되는 과정에 있어 중앙바(210)가 최종적인 결합과정에 있어 플랜지부(110) 끼움턱(122)의 탄 성 변형에 의하여 끼움 결합되고 상기 끼움턱(122)에 의하여 이탈이 방지되는 상태가 되어서 플랜지부(110)와 일체화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결속바(200)를 플랜지부(110)와 일체화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덕트 배관(100)의 결속 후 유지보수를 위하여 이를 해체시 결속바(200)을 덕트 배관(100)와 일체 상태화 된 상태로 강성을 유지하고 있어 그 작업이 용이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덕트 배관의 단부에 플랜지부를 형성하고, 상기 덕트 배관의 양측에서 결합되어 상호 결속되는 두 개의 결속바로 구성함으로써 그 결속 상태에서 상기 결속바가 덕트 배관의 외부를 감싸 지지하여 줌으로써 덕트 배관의 외형이 유지되고 그 강성이 향상되는 것이며, 그 결속이 플랜지부의 모서리에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플랜지부의 전체적인 면에서 이루어져 그 결속이 견고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플랜지부에 바지지턱을 형성함으써 결속바가 상기 바지지턱에 의하여 지지되어 그 결속상태가 더욱 견고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플랜지부의 바지지턱에 끼움턱을 형성하여 플랜지부에 끼움홈을 형성함으로써 결합되는 결속바가 끼움 결합에 의하여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하고 특히 중앙바가 탄성 변형되는 끼움턱에 지지 구속됨으로써 가 조립상태에 있어서 결속바의 결합상태가 유지되고 덕트 배관의 유지보수를 위한 해체시도 그 결속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결속바를 중앙바를 중심으로 분할 형성함으로써 대형 덕트 배관의 시공시 그 사용이 용이한 것이다.

Claims (4)

  1. 덕트 배관의 체결구조에 있어서,
    일정 길이로 제작되는 사각 박스 형상의 덕트 배관(100) 단부에 외측으로 절곡 형성한 플랜지부(110)를 형성하고, 상기 덕트 배관(100)의 양측에서 결합되어 상호 결속되는 두 개의 결속바(200)를 구비하여 구성하며,
    상기 결속바(200)는 사각 박스 형상의 덕트 배관(100)를 바깥쪽에서 감싸 지지할 수 있게 판상 막대로 이루어진 중앙바(210)와 상기 중앙바(210)의 양측에서 돌출 형성한 판상 막대의 연결바(220)와 상기 연결바(220)의 단부에 면 쪽으로 직각 절곡 형성하고 볼트 결속되는 연결공(230)을 형성한 바 연결턱(221) 및 상기 중앙바(210)와 연결바(220)에 덕트 배관(100)의 결속을 위하여 천공 형성한 결속공(240)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배관의 체결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바는 대형 덕트 배관(100)에 적용시 그 크기를 소형화하여 운반 및 체결이 용이하게 중앙바(210)를 분할 형성하고 분할부위에 면 쪽으로 직각 절곡 형성하고 볼트 결속되는 연결공(230)을 형성한 중앙 연결턱(211)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배관의 체결구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110)의 단부에는 덕트 배관(100)의 상호 체결을 위하여 결합되는 결속바(200)의 외측 테두리를 지지할 수 있게 플랜지부의 단부를 접어 형성한 바지지턱(121)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배관의 체결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110)의 단부에 결합되는 결속바의 양 연결바(220)가 플랜지부(110)의 측면에서 끼움 결합되어 구속되도록 상기 플랜지부(110)의 단부에 형성한 바지지턱(121)의 단부를 180°절곡하여 결속바(200)가 플랜지부(110)의 측면에서 끼움 결합되게 끼움부(130)를 형성하는 끼움턱(122)을 형성하고,
    상기 연결바(220)에 형성한 바 연결턱(221)은 끼움부(130)를 형성한 플랜지부(110)에 끼움 결합함에 있어 걸리지 않게 그 폭을 연결바(220)보다 좁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배관의 체결구조.
KR1020070013479A 2007-02-09 2007-02-09 덕트 배관의 체결구조 KR1008074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3479A KR100807439B1 (ko) 2007-02-09 2007-02-09 덕트 배관의 체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3479A KR100807439B1 (ko) 2007-02-09 2007-02-09 덕트 배관의 체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7439B1 true KR100807439B1 (ko) 2008-02-25

Family

ID=39383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3479A KR100807439B1 (ko) 2007-02-09 2007-02-09 덕트 배관의 체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743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1969B1 (ko) * 2013-04-03 2015-01-14 윤정옥 일체형 플랜지부를 갖는 사각덕트
KR101569322B1 (ko) 2015-05-01 2015-11-13 이용호 소음저감형 덕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60788U (ko) 1985-10-07 1987-04-15
JPS63153048U (ko) 1987-03-27 1988-10-07
JPH04117977U (ja) * 1991-04-05 1992-10-22 株式会社フジタ 空調用ダクトの接続金具
KR200403137Y1 (ko) 2005-08-29 2005-12-08 한국하이프레스주식회사 나선형 닥트의 연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60788U (ko) 1985-10-07 1987-04-15
JPS63153048U (ko) 1987-03-27 1988-10-07
JPH04117977U (ja) * 1991-04-05 1992-10-22 株式会社フジタ 空調用ダクトの接続金具
KR200403137Y1 (ko) 2005-08-29 2005-12-08 한국하이프레스주식회사 나선형 닥트의 연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1969B1 (ko) * 2013-04-03 2015-01-14 윤정옥 일체형 플랜지부를 갖는 사각덕트
KR101569322B1 (ko) 2015-05-01 2015-11-13 이용호 소음저감형 덕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054425A1 (en) Assembling channel of supporting tool
US7896573B2 (en) Clamping assembly for making connections to elongated members
WO2011037417A3 (ko) 조립 완구 구성물
CA2467127A1 (en) Hanger for fire sprinkler pipe
KR100807439B1 (ko) 덕트 배관의 체결구조
MA34079B1 (fr) Système et procédé pour fixer une paroi à une structure de construction
JP2014181514A (ja) 鉄筋交差部締結金具
KR200470819Y1 (ko) 스터드기능을 갖는 조립형 스퀘어바
KR100684650B1 (ko) 탄성부재를 갖는 송·배전 전주용 완금밴드
CN110195477A (zh) 一种模块化墙体转角多功能链接件
CN101975210A (zh) 一种用于矩形管或矩形管与角钢之间交叉连接的紧固装置
JP2010261266A (ja) 梁の接合構造
JP2010523429A5 (ko)
JP6000868B2 (ja) 長尺ボルト交差連結金具
CN104019353B (zh) 一种工业角铁
KR101484860B1 (ko) 비닐하우스용 골주 결속장치
JP2009024784A (ja) 棒材連結具
JP5722354B2 (ja) 処理槽内に保持された懸濁液に通気するデバイス
KR20150007567A (ko) 비닐하우스 골조 체결용 브라켓
JP2011038286A (ja) 折板屋根の力骨体取付用具及び折板屋根の力骨体取付構造
CN204284109U (zh) 一种十字形连接件及其柜子
CN202971491U (zh) 一种连接件及采用该连接件的冰箱
KR101616383B1 (ko) 케이블 트레이
KR101730538B1 (ko) 결합장치
JP3158438U (ja) コンクリート型枠用補強連結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