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1969B1 - 일체형 플랜지부를 갖는 사각덕트 - Google Patents

일체형 플랜지부를 갖는 사각덕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1969B1
KR101481969B1 KR20130036374A KR20130036374A KR101481969B1 KR 101481969 B1 KR101481969 B1 KR 101481969B1 KR 20130036374 A KR20130036374 A KR 20130036374A KR 20130036374 A KR20130036374 A KR 20130036374A KR 101481969 B1 KR101481969 B1 KR 1014819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flange
flange portion
present
pie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36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0518A (ko
Inventor
윤정옥
Original Assignee
윤정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정옥 filed Critical 윤정옥
Priority to KR201300363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1969B1/ko
Publication of KR20140120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05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19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19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09Duct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connecting means, e.g. flanges

Abstract

본 발명은 공조 설비에 적용되는 덕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덕트 몸체의 단부를 제살접기 방식으로 절곡 형성하여 플랜지부를 형성함으로써, 플랜지부 형성에 따른 작업상의 편리함과, 덕트의 경량화 등 덕트 제작원가의 현격한 감소 및 이에 따른 덕트 단가의 하락을 가져오게 하며, 또한, 별도의 플랜지부 이음매가 없어 기밀성의 향상과 이종간의 접합에 따른 부식의 방지를 가져오는 등 덕트 내구성의 현격한 향상을 가져오게 하는 일체형 플랜지부를 갖는 사각덕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일체형 플랜지부를 갖는 사각덕트{Square duct hsving integral flange}
본 발명은 공조 설비에 적용되는 덕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덕트 몸체와 플랜지부가 일체화된 구조를 가지게 함으로써, 덕트 제작상의 편리함과 경량화에 따른 제작 원가의 절감을 가져오게 하며, 특히, 플랜지부의 이음부가 없어 덕트 시공시 기밀성이 한층 향상되게 하기 위한 일체형 플랜지부를 갖는 사각덕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덕트라 함은, 공기가 흐르는 통로(풍도)를 이르는 것으로, 건축물에는 실내 환기 및 냉, 난방 등을 고르게 제공하기 위해 공조 설비가 시공되고 있으며, 이러한 공조 설비의 기초는 덕트가 되는 것이다.
즉, 실내 환기 및 냉, 난방을 고르게 제공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덕트를 연결 시공함으로 공기의 통로를 이루게 되는 것이며, 이때 사용되는 덕트는 통상적으로 사각 관체 형태를 이룰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연결 시공되는 사각덕트는, 먼저, C-CLIP를 이용하여 연결되는 덕트의 외둘레를 중복되게 감싸 체결하는 클립 체결 연결방식이 적용되는데, 이러한 클립 체결방식은 장기간 덕트를 사용시 내부 압력 등에 의한 흔들림이나 충격 발생시 클립의 이탈이 발생하였으며, 이에, 누기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에, 근자에 들어서는 몸체의 단부에 플랜지부가 형성되어 그 플랜지부의 사이에 기밀을 위해 가스켓 등을 두고 볼팅 결합함으로 그 연결 시공하는 플랜지 연결방식이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이러한 종래 일반적인 플랜지 방식 덕트를 살펴보면, 도 1의 도시와 같이 관체 형태의 몸체(10)의 단부 둘레에는 다수의 체결공(21)을 갖는 연결용 플랜지부(20)가 수평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플랜지부(20)는, 덕트의 외형과 동일한 형상의 '사각링' 형태를 이루는 것인데, 이러한 링 형태의 플랜지부(20)는 'ㄱ"형 앵글형태 또는 판체 형태를 이룬다.
이에, 상기와 같이 구성된 플랜지부(20)는, 몸체(10)의 상단 및 하단면과 동일면을 이루면서 외둘레를 감싸는 한편, 리벳이나 용접에 의해 연결 구성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덕트는, 별도의 플랜지부를 접합 제작하여야 하는 것인바, 이에 따른 덕트 제작상의 난해함과, 추가 자재 투입에 따른 중량의 증가를 가져와 덕트 제작원가 상승과 이에 따른 덕트 가격의 상승을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접합부의 틈새 발생에 따른 덕트 사용시 이음매에서 누기가 발생하였으며, 장기간 사용시 이종간의 부식이 발생하는 등 그 내구성이 현격히 떨어지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덕트 몸체의 단부를 제살접기 방식으로 절곡 형성하여 플랜지부를 형성함으로써, 플랜지부 형성에 따른 작업상의 편리함과, 덕트의 경량화 등 덕트 제작원가의 현격한 감소 및 이에 따른 덕트 단가의 하락을 가져오게 하기 위한 일체형 플랜지부를 갖는 사각덕트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별도의 플랜지부 이음매가 없어 기밀성의 향상과 이종간의 접합에 따른 부식의 방지를 가져오는 등 덕트 내구성의 현격한 향상을 가져오게 하기 위한 일체형 플랜지부를 갖는 사각덕트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금속재 사각 관체 형태의 몸체 단부에 다수의 볼트공이 천공 형성된 4개의 플랜지편이 형성되고 그 플랜지편의 단부에는 보강편가 절곡 형성된 플랜지부가 형성된 사각덕트에 있어서,
상기 이웃하는 플랜지편의 사이에는 볼트공을 갖는 코너 플레이트를 용접 연결하여 이웃하는 플랜지편과 동일면을 이루면서 연결되게 구성함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삭제
삭제
이상과 같이 본 발명 일체형 플랜지부를 갖는 덕트는, 플랜지부가 몸체의 단부로부터 일체로 절곡 형성되어 있어, 덕트 제작상의 편리함과 덕트의 경량화를 가져오며, 특히, 제작원가의 감소에 따른 덕트 단가의 하락을 가져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몸체와 플랜지부 이음매가 없어 기밀성이 현격히 향상됨과 동시에 부식이 방지되어 덕트 내구성이 현격히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플랜지부를 갖는 사각덕트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 일체형 플랜지부를 갖는 사각덕트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일체형 플랜지부를 갖는 사각덕트를 나타낸 결합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일체형 플랜지부를 갖는 사각덕트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일체형 플랜지부를 갖는 사각덕트의 사용상태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 일체형 플랜지부를 갖는 사각덕트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이고, 도 3은 본 발명 일체형 플랜지부를 갖는 사각덕트를 나타낸 결합 사시도 이며, 도 4는 본 발명 일체형 플랜지부를 갖는 사각덕트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 일체형 플랜지부를 갖는 사각덕트(1)는, 덕트 몸체(100)와, 그 몸체(100)의 단부에 플랜지부(200)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몸체(100)는, 아연철판이나 스테인레스, 알미늄 등의 금속재로 구성되며, 그 내부가 상,하로 관통된 사각 관체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플랜지부(200)는, 상기 몸체(100)의 일측 또는 양측 단부로부터 연장되게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그 몸체(100)로부터 외측을 향하게 직각 절곡 형성되게 구성된다.
즉, 플랜지부(200)는, 몸체(100)의 단부 모서리를 수직 방향으로 소정 절개하여 4 분할된 플랜지편(210)(210')을 구성하며, 그 분할된 플랜지편(210)(210')은 몸체(100)의 외측으로 직각 절곡하여 구성한다.
그리고, 각각의 플랜지편(210)(210')에는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볼트공(211)(211')이 천공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절곡 형성된 각각의 플랜지편(210)(210') 사이에는 코너 플레이트(220)가 용접 연결되는 것으로, 그 코너 플레이트(220)에 의해 각각의 플랜지편(210)(210')은 일체를 이룰 수 있는 것이며, 그 코너 플레이트(220)에는 볼트공(212)이 천공 형성된다.
즉, 상기와 같이 코너 플레이트(220)를 이웃하는 플랜지편(210)(210')의 사이에두고 용접 연결함으로써, 코너 플레이트(220)과 플랜지편(210)(210')과의 단차 없이 동일면을 이루게 연결된다.
한편, 상기 각각의 플랜지편(210)(210')의 폭방향 단부를 더 절곡 형성하여 보강편(212)을 더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 그 보강편(212)의 절곡 방향으로는 몸체(100)를 연속 연결시 플랜지부(200)의 면접부 반대 방향으로 직각 절곡 형성하면 되는 것이며, 이에, 각각의 플랜지편(210)(210')은 단면상 'ㄴ' 형태를 이루게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 일체형 플랜지부를 갖는 사각덕트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일체형 플랜지부를 갖는 사각덕트(1)는, 몸체(100)와 플랜지부(200)가 이음 구조를 가지는 것이 아니고 제살접기 방식으로 일체 형성된 구조를 가짐으로 이음매로부터 발생 되는 누기가 방지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 일체형 플랜지부를 갖는 사각덕트의 사용상태도로서,
도 5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 사각덕트(1)를 연결 시공시에는, 먼저, 통상의 덕트 연결 시공과 같이 이웃하여 연결되는 몸체(100)의 플랜지부(200) 사이에는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가스켓(300)이 내재된다.
이후, 이웃하는 몸체(100)는 볼트(B) 및 너트(N)를 이용하여 체결하면 되는 것으로, 이는, 각각의 플랜지부(200)에 형성된 볼트공(211)(211')을 통해 볼트(B)를 삽입 및 너트(N)를 체결함으로 긴밀한 결속력을 가지며 연결 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각각의 플랜지편(210)(210')에 형성된 보강편(212)는 각각의 플랜지편(210)(210')의 강도 보강 기능을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연결된 이웃하는 몸체(100)는, 별도의 C-CLIP을 통해 한번 더 체결할 수 있는 것인데, 이는 C-CLIP이 각각의 플랜지부(200)의 플랜지편(210)(210')에서 절곡 형성된 보강편(212)에 걸림 지지되게 함으로 가능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 일체형 플랜지부를 갖는 사각덕트는, 덕트를 연결 시공하기 위해 형성되는 플랜지부가 몸체로부터 제살접기 방식으로 절곡 형성된 일체형 구조를 가짐으로 플랜지부 이음에 따른 이음매가 없어 누기의 발생이 없으며, 일체화된 구조로 제작되어 그 제작상의 편리함 및 경량화를 추구할 수 있으며, 특히 자재의 절감으로 덕트 제작에 따른 원가의 절감을 가져올 수 있는 것이다.
100 : 몸체 200 : 플랜지부
210,210' : 플랜지편 211,211' : 볼트공
212 : 보강편 220 : 코너 플레이트

Claims (2)

  1. 금속재 사각 관체 형태의 몸체(100) 단부에 다수의 볼트공(211)(211')이 천공 형성된 4개의 플랜지편(210)(210')이 형성되고 그 플랜지편의 단부에는 보강편(212)가 절곡 형성된 플랜지부(200)가 형성된 사각덕트에 있어서,
    상기 이웃하는 플랜지편(210)(210')의 사이에는 볼트공(211)을 갖는 코너 플레이트(220)를 용접 연결하여 이웃하는 플랜지편(210)(210')과 동일면을 이루면서 연결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플랜지부를 갖는 사각덕트.
  2. 삭제
KR20130036374A 2013-04-03 2013-04-03 일체형 플랜지부를 갖는 사각덕트 KR1014819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36374A KR101481969B1 (ko) 2013-04-03 2013-04-03 일체형 플랜지부를 갖는 사각덕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36374A KR101481969B1 (ko) 2013-04-03 2013-04-03 일체형 플랜지부를 갖는 사각덕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0518A KR20140120518A (ko) 2014-10-14
KR101481969B1 true KR101481969B1 (ko) 2015-01-14

Family

ID=51992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36374A KR101481969B1 (ko) 2013-04-03 2013-04-03 일체형 플랜지부를 갖는 사각덕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19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9612B1 (ko) 2023-10-16 2024-02-22 주식회사 유일공조 덕트 제조장치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9476A (ko) 2021-09-13 2023-03-21 주식회사 삼일프론테크 덕트 부재 및 덕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93953A (ja) * 1992-12-22 1994-07-15 Japan Le-Wa Kk 共板工法のコーナ金具の固定方法
KR100807439B1 (ko) * 2007-02-09 2008-02-25 이종문 덕트 배관의 체결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93953A (ja) * 1992-12-22 1994-07-15 Japan Le-Wa Kk 共板工法のコーナ金具の固定方法
KR100807439B1 (ko) * 2007-02-09 2008-02-25 이종문 덕트 배관의 체결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9612B1 (ko) 2023-10-16 2024-02-22 주식회사 유일공조 덕트 제조장치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0518A (ko) 2014-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90288B2 (ja) 管状部材用のフランジ継手
US9625175B2 (en) Curb adapter
US20160222650A1 (en) Bearing wall and wall surface member for bearing wall
KR101481969B1 (ko) 일체형 플랜지부를 갖는 사각덕트
JP2020084759A (ja) 組立式梁型枠
KR101508004B1 (ko) 구조물용 파이프 및 형강재 보강구조체
KR20160071409A (ko) 고정 칼라를 형성하는 방법 및 플랜지 조인트
JP3194436U (ja) ルーズフランジ式管継手
KR101376448B1 (ko) 전방위 각도 조절이 가능한 엘보우의 조립구조
CN218969809U (zh) 一种快速拼装式闭合箱涵结构
JP3155105U (ja) ダクトの構造
US10203057B2 (en) Bellows restraint
KR101691586B1 (ko) 비금속성 익스펜션 조인트장치
KR200248233Y1 (ko) 덕트의 플랜지
CN204236578U (zh) 发动机罩锁环安装总成
JP6628624B2 (ja) ダクト用フランジ構造とその製造方法
KR20110075788A (ko) 덕트용 클램프
CN216555756U (zh) 一种方便快速拆卸的金属软管
KR20200120362A (ko) 에어 덕트 코너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에어 덕트 조립방법
CN217500906U (zh) 一种可调节多块铝板平整度的万向法兰盘
JP6258068B2 (ja) 補強部材、配管用シール構造及び建屋
JP2022137309A (ja) 補強リブ付きダクト
CN204084955U (zh) 蒸发器及空调室内机
KR101424338B1 (ko) 전방위 각도 조절이 가능한 엘보우의 조립구조
CN219221578U (zh) 一种风管柔性密封连接套及风管连接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