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6448B1 - 전방위 각도 조절이 가능한 엘보우의 조립구조 - Google Patents

전방위 각도 조절이 가능한 엘보우의 조립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6448B1
KR101376448B1 KR1020120056621A KR20120056621A KR101376448B1 KR 101376448 B1 KR101376448 B1 KR 101376448B1 KR 1020120056621 A KR1020120056621 A KR 1020120056621A KR 20120056621 A KR20120056621 A KR 20120056621A KR 101376448 B1 KR101376448 B1 KR 1013764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bow
inlet
connection
hole
connection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66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3406A (ko
Inventor
장기운
Original Assignee
장기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기운 filed Critical 장기운
Priority to KR10201200566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6448B1/ko
Publication of KR201301334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34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6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64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08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allowing adjustment or movement only about the axis of one pipe
    • F16L27/0804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allowing adjustment or movement only about the axis of one pipe the fluid passing axially from one joint element to ano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2Branch units, e.g. made in one piece, welded, riveted
    • F16L41/021T- or cross-pie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2Branch units, e.g. made in one piece, welded, riveted
    • F16L41/023Y- pie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3/00Bends; Siph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설치 용도 내지 각종 장소에 국한되지 않고 굽어진 개소에 대해 보다 광범위한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전방위 각도 조절이 가능한 엘보우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 '+'형, 'ㅜ'형, 'Y'형, 'L'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구비되어 내측 공간이 중공으로 형성되는 바디(10);와, 바디로부터 사방에 대해 독립된 개소로 각각 연장 형성되고 중공의 바디와 내부가 연통되는 접속홀(20);과, 곡면상의 경로가 형성되도록 좌우 대칭형 부채꼴 형상으로 구비되고, 접속홀의 각 단부에서 순차적으로 이웃되게 고정 결속시켜 접속홀로부터 연장되는 영역의 해당 곡률 범위를 가변되게 하는 수개의 연결부재(30);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30)는 금속 또는 비철금속으로 이루어지되, 연결부재의 일측에는 접속홀(20) 내부 또는 이웃하는 연결부재 내부에 진입 개재될 수 있도록 나선형의 요철 형상으로 구비된 인입돌부(35)를 연장 형성하고, 연결부재의 타측 및 접속홀 내부에는 이웃하는 연결부재의 인입돌부 상에 치합되면서 자유 회전에 따라 위치 조절이 되는 고정편(37,21)을 하나 이상 돌출 형성하여 일직선상에 배열되게 함으로써, 수개의 연결부재가 각 인입돌부 및 고정편의 상호 구속에 의해 서로 긴밀하게 결속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방위 각도 조절이 가능한 엘보우의 조립구조{Assembly Structure of Elbow}
본 발명은 배관 공사 등을 행할 시 굽어진 개소에 설치 사용되는 조립형 엘보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기성품으로 제공되고 있는 기존의 엘보우 구조를 적극 개선하여 설치 여건이 상이한 각종 장소에서 최적의 형태로 간편하게 재조립하여 사용 가능함에 따라 시공의 용이성과 활용가치의 극대화를 도모하는 것은 물론, 이러한 조립 구조는 좌우 대칭형 부채꼴 형상으로 이루어진 수개의 연결부재를 서로 연결 형성하는 것으로 구현되므로, 서로 긴밀하게 연결 형성되는 연결부재로 하여금 자유 곡선 형태로의 전환이 손쉽게 가능해져 보다 다양한 만곡 각도에 적용될 수 있으며, 특히 수개의 연결부재 상호 간에 결합력이 극대화될 수 있는 구조를 채택하여 설치 용도 내지 각종 장소에 국한되지 않고 굽어진 개소에 대해 보다 광범위한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전방위 각도 조절이 가능한 엘보우의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엘보우라 함은 서로 어떤 각도를 이룬 관의 접속에 사용하는 이음부재를 통칭하고, 보통 45°엘보우 혹은 90°엘보우로 일컬어지는 기성품 엘보우를 굽어진 개소에 설치 사용하고 있다.
상기에서 기성품으로 제공되고 있는 통상의 엘보우는 'L'형, 'T'형, '+'형 등 그 형태가 다양하고, 배관 라인 등이 만곡되는 영역에 설치되어 각기 다른 방향으로 배관되는 해당 파이프를 나사 방식으로 조립하여 고정 결속되게 한다.
한편, 배관이 꺾이는 굴곡 영역에 엘보우 배관을 설치할 경우 그 시공이 용이하지 않아 작업자의 피로를 가중시킬 뿐 아니라, 이로 인해 시공 작업 시간이 상당히 지체되어 공기가 길어지게 되고, 서로 긴밀한 결속이 이루어지지 않아 누수 등의 크고 작은 문제점이 유발되고 있는 실정에 있다.
특히, 종래의 기성품 엘보우는 지정된 각도(45°, 90°)를 벗어난 굴곡 영역에 설비할 경우 불가피하게 이에 적합한 각도와 모양의 엘보우를 별도 제작하여야만 하므로, 설비시 필요로 하는 해당 각도와 모양이 구현될 수 있도록 제작업체에 재차 주문을 하여 공급받고 있는 실정에 있다.
이러한 점은 파이프 배치의 다양성을 추구하는 배관설비에 있어서 상당히 제한적일 수밖에 없는 바, 필요시마다 주문 생산을 해야함에 따라 배관설비 시공작업에 차질이 생기게 되고, 공기를 단축시켜 효율성을 추구하여야 하는 설비의 특성상 불가피하게 부수적인 손실을 초래하게 되는 한편, 상황에 따라 다양한 각도로 이루어진 엘보우를 사출 성형함에 따른 비용 손실을 극복할 수 없는 등 치명적인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이에, 종래와 같이 정해진 각도 범위 내에서만 설치 사용되던 기존 기성품에서 탈피하여 작업자가 현장에서 직접 원하는 형태와 각도로 자유로이 조립할 수 있는 조립형 엘보우를 제공하기에 이르렀다.
특히, 근래에 와서는 통상의 엘보우가 초래하던 기밀성의 약화라는 원초적인 폐단을 해소할 수 있는 조립구조 방안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보다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부채꼴 형상으로 구비된 수개의 연결부재를 바디의 접속홀로부터 순차 연속되게 상호 결속시켜 전방위에 대해 자유 곡선 타입으로 다양한 만곡 경로를 구축할 수 있도록 하면서 연결부재 상호 간에 기밀성이 극대화될 수 있는 조립구조를 제공하는 것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이다.
상기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엘보우 조립구조를 구성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엘보우 조립구조는 '+'형, 'ㅜ'형, 'Y'형, 'L'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구비되어 내측 공간이 중공으로 형성되는 바디(10);와, 바디로부터 사방에 대해 독립된 개소로 각각 연장 형성되고 중공의 바디와 내부가 연통되는 접속홀(20);과, 곡면상의 경로가 형성되도록 좌우 대칭형 부채꼴 형상으로 구비되고, 접속홀의 각 단부에서 순차적으로 이웃되게 고정 결속시켜 접속홀로부터 연장되는 영역의 해당 곡률 범위를 가변되게 하는 수개의 연결부재(30);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30)는 금속 또는 비철금속으로 이루어지되, 연결부재의 일측에는 접속홀(20) 내부 또는 이웃하는 연결부재 내부에 진입 개재될 수 있도록 나선형의 요철 형상으로 구비된 인입돌부(35)를 연장 형성하고, 연결부재의 타측 및 접속홀 내부에는 이웃하는 연결부재의 인입돌부 상에 치합되면서 자유 회전에 따라 위치 조절이 되는 고정편(37,21)을 하나 이상 돌출 형성하여 일직선상에 배열되게 함으로써, 수개의 연결부재가 각 인입돌부 및 고정편의 상호 구속에 의해 서로 긴밀하게 결속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인입돌부(35)에는 고정편을 직선 타입으로 진입되게 하기 위한 인입홀(36)이 더 구비되는 것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인입돌부(35) 상에는 반호 형상의 단면을 갖으면서 나선형으로 연장 형성되는 조임부재(40)가 연속되게 권취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한편, 상기 연결부재와 연결부재가 서로 중첩되는 해당 단부에 탄성 재질의 오링을 삽입 개재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조임부재(40)는 인입돌부(35)를 포함한 인입홀(36)의 내측 저면에 밀착 수용되어 해당 고정편이 인입홀로의 진입시 간섭되지 않게 하면서 인입돌부로의 측방향 위치 이동시 마찰력을 제공함에 따라 연결부재 상호 간에 긴밀한 결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수개의 연결부재를 상호 긴밀하게 고정 조립하는 방식을 통해 작업자가 원하는 곡률 각도를 구현할 수 있음에 따라 지정된 각도(45°, 90°)를 벗어난 굴곡 영역에 설비할 경우에도 별도의 엘보우를 제작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 물론, 작업자가 의도하는 전방위에 대해 다양한 곡률 각도를 갖는 엘보우를 현장에서 즉시 제작하여 제공할 수 있게 되므로, 종래 엘보우가 내포하던 제한적인 활용성을 적극 개선함과 아울러 공기가 길어지는 폐단으로부터 해소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나선형으로 이루어진 인입돌부와 이러한 인입돌부에 끼움 구속되는 고정편의 상호 결합으로 연결부재의 조립시 보다 신속하고 용이한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연결부재 상호 간에는 더욱 긴밀한 결속력이 유지될 수 있으며, 더불어 인입돌부에 나선형으로 권취되는 반호 형상의 조임부재가 부가 채용되므로 기밀성이 극대화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엘보우 결합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엘보우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엘보우의 조립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조임부재가 채용될 수 있음을 도시한 구성도.
본 발명은 기성품으로 제공되고 있는 기존의 엘보우 구조를 적극 개선하여 설치 여건이 상이한 각종 장소에서 최적의 형태로 간편하게 재조립하여 사용 가능함에 따라 시공의 용이성과 활용가치의 극대화를 도모하는 것은 물론, 이러한 조립 구조는 좌우 대칭형 부채꼴 형상으로 이루어진 수개의 연결부재를 서로 연결 형성하는 것으로 구현되므로, 서로 긴밀하게 연결 형성되는 연결부재로 하여금 자유 곡선 형태로의 전환이 손쉽게 가능해져 보다 다양한 만곡 각도에 적용될 수 있는바, 설치 용도 내지 각종 장소에 국한되지 않고 굽어진 개소에 대해 보다 광범위한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전방위 각도 조절이 가능한 엘보우에 관련된 것임을 주지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이로 인한 작용, 효과에 대해 일괄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엘보우 결합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엘보우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엘보우(100)는 크게 바디(10);와, 접속홀(20);과, 연결부재(30);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재질은 비철금속을 포함한 금속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세하게는, '+'형, 'ㅜ'형, 'Y'형, 'L'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구비되어 내측 공간이 중공으로 형성되는 바디(10);와, 바디로부터 사방에 대해 독립된 개소로 각각 연장 형성되고 중공의 바디와 내부가 연통되는 접속홀(20);과, 접속홀의 각 단부에서 순차적으로 이웃되게 고정 결속시켜 접속홀로부터 연장되는 영역의 해당 곡률 범위를 가변되게 하는 수개의 연결부재(30);를 포함하여 하나의 엘보우를 구성한다.
상기 바디(10)는 통상의 것과 유사 내지 동일한 형태로 구비되어 중공으로 형성된 내측 공간으로 하여금 유체 등이 이동될 수 있도록 한 구성요소로, 전술한 바와 같이 그 형태는 설치 장소, 용도에 따라 다양하다.
상기 접속홀(20)은 바디 내부로 집결되거나 바디를 통해 유입된 유체를 일정 공간으로 흐를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하여 바디 외주연 상에 하나 이상 다수 구비될 수 있으며, 특히 각각의 접속홀에는 본 발명의 요부인 연결부재(30)가 수개 배열되어 접속홀을 기점으로 연결부재 상호 간에 서로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바디(10)의 단부 내측 공간에는 일정 깊이의 홈을 내설하여 후술할 연결부재(30)의 인입돌부(35)가 내입 가능하게 하되, 특히 이러한 홈에는 소정의 고정편(37,21)을 등간격이 되도록 나란하게 돌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편(37,21)은 연결부재의 인입돌부(35)와 중첩되어 서로 견고한 고정상태를 도모하기 위한 것으로, 이와 관련하여서는 하기에서 상세하게 기술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엘보우의 조립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조임부재가 채용될 수 있음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연결부재(30)는 부채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경사면으로 이루어져 양쪽 측부에 해당하는 일측면 및 타측면과, 일측면과 타측면을 경유하면서 곡면상의 경로가 되는 상단곡률 및 하단곡률로 이루어지고, 상단곡률은 하단곡률에 비해 확장 형성된 부채꼴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형상으로 구비되는 연결부재(30)를 다수 개 순차 상호 결속시켜 꺾임 정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바, 일측면과 타측면의 면 접촉시 해당 하단곡률의 배열 위치를 가변시켜 하단곡률이 위치된 지점을 기점으로 만곡되게 함으로써, 하단곡률의 배열 위치에 따라 원하는 방향으로 자유 만곡이 이루어져 사방에 대해 굽어진 형상으로 연장 설치될 수 있게 한다. 즉, 도 3에서처럼 각 연결부재의 하단곡률을 서로 이웃되게 배열할 경우 이웃되는 하단곡률의 방향으로 휘어져 엘보우의 전체 형상이 일정 각도로 만곡된 형상이 된다. 이는, 연결부재에 구비된 각 하단곡률의 배치 위치에 따라 엘보우의 만곡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음을 의미하고,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하진 않았으나 예컨대, 각 하단곡률의 결속 위치를 상방으로 하면 엘보우의 절곡 영역 또한 상방에 대해 휘어지게 되고, 각 하단곡률의 결속 위치를 측방으로 할 경우에는 동일하게 측 방향에 대해 휘어지는 형태의 엘보우가 구성되는바, 어느 한 방향에 대해 제한되지 않고 전방위에 대해 광범위한 절곡 범위를 구현할 수 있게 하였다. 더욱이, 이때 휘어지는 곡률 각도 또한 다양하게 가변하여 적용할 수 있으므로 설치 여건이 곤란한 장소에서도 별도의 엘보우 제작 여부에 관계없이 본 발명의 연결부재(30)로 하여금 손쉽게 시공할 수 있음은 물론, 나아가 보다 다양한 시공환경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음에 따라 그 효율가치가 극대화된다.
특히, 본 발명의 연결부재 일측에는 접속홀(20) 내부 또는 이웃하는 연결부재 내부에 진입 개재될 수 있도록 나선형의 요철 형상으로 구비된 인입돌부(35)를 연장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인입돌부(35)의 형성은 각각의 연결부재와 연결부재 또는 연결부재와 접속홀의 견고한 결속을 위하여 구비되고, 인입돌부(35) 외면에 고무 재질의 조임부재(40)를 더 채용하여 기밀성이 강화될 수 있게 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의 타측 및 접속홀 내부에는 이웃하는 연결부재의 인입돌부 상에 치합되면서 자유 회전에 따라 위치 조절이 되는 고정편(37,21)을 하나 이상 돌출 형성하여 일직선상에 배열되게 함으로써, 수개의 연결부재가 각 인입돌부 및 고정편의 상호 구속에 의해 서로 긴밀하게 결속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첨부도면에 도시하진 않았으나 상기 연결부재와 연결부재가 서로 중첩되는 해당 단부 영역에 탄성 재질의 오링을 삽입 개재하여 기밀성이 더욱 극대화되게 도모할 수 있음은 물론, 본 발명의 인입돌부(35)에는 고정편(37,21)을 직선 타입으로 진입되게 하기 위한 인입홀(36)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2 및 4에 도시한 것처럼, 상기 인입돌부(35) 상에는 반호 형상의 단면을 갖으면서 나선형으로 연장 형성되는 조임부재(40)가 연속되게 권취 수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조임부재(40)는 인입돌부(35)를 포함한 인입홀(36)의 내측 저면에 밀착 수용되어 해당 고정편이 인입홀로의 진입시 간섭되지 않게 하면서 인입돌부로의 측방향 위치 이동시 마찰력을 제공함에 따라 연결부재 상호 간에 긴밀한 결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조임부재가 고정편에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소정의 접착부재를 조임부재 저면에 도포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조임부재(40)는 인입돌부 및 인입홀의 내측 저면 상에 견고하게 밀착된 상태가 되어 인입홀로 진입되는 고정편의 위치 가변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게 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임부재(40)는 인입돌부(35)로 진입되는 고정편(37,21)의 단부와 소폭 중첩될 수 있으면서 해당 고정편을 가압할 수 있는 정도의 높이를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로써 상기 고정편에는 측 방향으로 유동되는 과정에서 하방에 위치된 조임부재로 하여금 상당한 마찰력이 제공되므로, 일정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나선형의 인입돌부 상에 유동없이 견고하게 제자리 배치될 수 있다.
이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엘보우 조립구조를 구체적인 실시 예에 기초하여 그 작용 및 효과의 면에서 살펴보기로 한다. 관련 도면은 도 1 내지 4이다.
바디(10)의 각 접속홀(20) 단부에 수개의 연결부재(30)를 위치시킨 다음, 연결부재의 일측을 접속홀(20) 단부에 기밀하게 면 접촉시키고, 접속홀 단부와 면 접촉된 연결부재의 타측에는 이웃하는 타 연결부재의 일측면이 기밀하게 면 접촉되게 하며, 상기 타 연결부재의 타측은 재차 이웃하는 또 다른 연결부재의 일측과 면 접촉되게 하는 것을 반복 실시한다. 이로써, 바디(10)의 접속홀(20)로부터 다수의 연결부재(30)가 연계 설치되는바, 이때 기밀성의 강화를 위하여 각 연결부재의 인입돌부는 나선형으로 구축하고, 이러한 나선형의 인입돌부에 구속되는 고정편을 대응되게 마련하여 각 연결부재의 상호 결합을 유도하게 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바디(10)의 각 접속홀(20) 단부에 수개의 연결부재(30)를 위치시킨 다음, 연결부재의 일측을 접속홀(20) 단부에 기밀하게 면 접촉시켜 연결부재 일측면 상에서 연장 형성된 인입돌부(35)가 접속홀 내부로 끼워지게 하는데, 이때 등간격 돌출 배치된 고정편(37,21)은 인입돌부의 인입홀(36)을 통해 직선형으로 진입되고, 원하는 지점까지 진입이 완료되면 그 위치에서 해당 연결부재(30)의 일 방향 회전운동에 따라 상기 고정편이 나선형의 인입돌부에 끼워져 구속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나선형의 인입돌부에 권취 수용될 수 있도록 조임부재(40)를 접착부재로 부가 고정하였는바, 고정편이 끼워지는 인입돌부 상에 도 4와 같은 형태로 상기 조임부재가 고정 위치됨으로써 각 고정편으로 하여금 일정 마찰력을 부여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실시 예를 통해 구현되는 본 발명의 엘보우 조립구조는 수개의 연결부재(30)를 상호 긴밀하게 고정 조립하는 방식을 통해 작업자가 원하는 곡률 각도를 구현할 수 있음에 따라 지정된 각도(45°, 90°)를 벗어난 굴곡 영역에 설비할 경우에도 별도의 엘보우를 제작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 물론, 작업자가 의도하는 전방위에 대해 다양한 곡률 각도를 갖는 엘보우를 현장에서 즉시 제작하여 제공할 수 있게 되므로, 종래 엘보우가 내포하던 제한적인 활용성을 적극 개선함과 아울러 공기가 길어지는 폐단으로부터 해소되는 효과가 있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의 인입돌부 및 고정편에 의한 상호 결속으로 해당 연결부재의 조립시 보다 신속하고 용이한 시공이 이루어지는 것은 물론, 기밀성 또한 극대화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바디 20: 접속홀
21: 고정편 30: 연결부재
35: 인입돌부 36: 인입홀
37: 고정편 40: 조임부재
100: 엘보우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형, 'ㅜ'형, 'Y'형, 'L'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구비되어 내측 공간이 중공으로 형성되는 바디(10);와, 바디로부터 사방에 대해 독립된 개소로 각각 연장 형성되고 중공의 바디와 내부가 연통되는 접속홀(20);과, 곡면상의 경로가 형성되도록 좌우 대칭형 부채꼴 형상으로 구비되고, 접속홀의 각 단부에서 순차적으로 이웃되게 고정 결속시켜 접속홀로부터 연장되는 영역의 해당 곡률 범위를 가변되게 하는 수개의 연결부재(30);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부재(30)는 금속 또는 비철금속으로 이루어지고, 연결부재의 일측에는 접속홀(20) 내부 또는 이웃하는 연결부재 내부에 진입 개재될 수 있도록 나선형의 요철 형상으로 구비된 인입돌부(35)를 연장 형성하고, 연결부재의 타측 및 접속홀 내부에는 이웃하는 연결부재의 인입돌부 상에 치합되면서 자유 회전에 따라 위치 조절이 되는 고정편(37,21)을 하나 이상 돌출 형성하여 일직선상에 배열되게 하는 엘보우의 조립구조에 있어서,
    상기 인입돌부(35) 상에는 반호 형상의 단면을 갖으면서 나선형으로 연장 형성되는 조임부재(40)가 연속되게 권취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전방위 각도조절이 가능한 엘보우의 조립구조.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부재(40)는 인입돌부(35)를 포함한 인입홀(36)의 내측 저면에 밀착 수용되어 해당 고정편이 인입홀로의 진입시 간섭되지 않게 하면서 인입돌부로의 측방향 위치 이동시 마찰력을 제공함에 따라 연결부재 상호 간에 긴밀한 결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위 각도조절이 가능한 엘보우의 조립구조.
KR1020120056621A 2012-05-29 2012-05-29 전방위 각도 조절이 가능한 엘보우의 조립구조 KR1013764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6621A KR101376448B1 (ko) 2012-05-29 2012-05-29 전방위 각도 조절이 가능한 엘보우의 조립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6621A KR101376448B1 (ko) 2012-05-29 2012-05-29 전방위 각도 조절이 가능한 엘보우의 조립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3406A KR20130133406A (ko) 2013-12-09
KR101376448B1 true KR101376448B1 (ko) 2014-03-19

Family

ID=49981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6621A KR101376448B1 (ko) 2012-05-29 2012-05-29 전방위 각도 조절이 가능한 엘보우의 조립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64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130883A1 (en) * 2014-06-26 2017-05-11 Arran (Aust) Pty Limited Modular pipe systems and components
EP4330583A1 (fr) * 2021-04-25 2024-03-06 Ribon, Benoit Dispositif de raccordement coude multi-angles
FR3122471B1 (fr) * 2021-04-25 2024-05-24 Benoit Ribon Dispositif de raccordement coudé multi-angles
CN114336440B (zh) * 2021-11-18 2024-03-19 南京润杰电控设备有限公司 一种高适应性多角度弯通桥架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6011Y1 (ko) * 1991-06-21 1993-09-13 이우동 관의 각도조절용 이음매
JPH1030770A (ja) * 1996-05-15 1998-02-03 Sekisui Chem Co Ltd 管継手
KR19990014342A (ko) * 1998-08-14 1999-02-25 이도연 배관이음용 커플링
KR20110008334U (ko) * 2010-02-19 2011-08-25 최육남 분기용 배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6011Y1 (ko) * 1991-06-21 1993-09-13 이우동 관의 각도조절용 이음매
JPH1030770A (ja) * 1996-05-15 1998-02-03 Sekisui Chem Co Ltd 管継手
KR19990014342A (ko) * 1998-08-14 1999-02-25 이도연 배관이음용 커플링
KR20110008334U (ko) * 2010-02-19 2011-08-25 최육남 분기용 배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3406A (ko) 2013-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28588B2 (en) Rebar coupler
KR101376448B1 (ko) 전방위 각도 조절이 가능한 엘보우의 조립구조
EP3221630B1 (en) Cladding tube for enveloping an underwater conduit
US20160047496A1 (en) Insulated Pipeline Support
KR20140045827A (ko) 전방위 각도 조절이 가능한 엘보우의 조립구조
US20160245437A1 (en) Method for forming fastening collar, and flange joint
KR101424338B1 (ko) 전방위 각도 조절이 가능한 엘보우의 조립구조
KR101376346B1 (ko) 전방위 각도 조절이 가능한 엘보우의 조립구조
KR101477860B1 (ko) 전방위 각도 조절이 가능한 엘보우의 조립구조
KR101376473B1 (ko) 전방위 각도 조절이 가능한 엘보우의 조립구조
KR101424337B1 (ko) 전방위 각도 조절이 가능한 엘보우의 조립구조
WO2010104984A1 (en) Conduit holder for use with a metal stud
KR101481969B1 (ko) 일체형 플랜지부를 갖는 사각덕트
KR101424339B1 (ko) 전방위 각도 조절이 가능한 엘보우의 조립구조
CN203442356U (zh) 一种保温型波纹金属软管
KR102098608B1 (ko) 진동 저감용 배관 지지장치
KR101504398B1 (ko) 가변형 관체의 조립구조
KR101424336B1 (ko) 각도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엘보우
KR20180001053A (ko) 건축물의 바닥 시공구조
JP4875424B2 (ja) 中継用ドレンキャップ
KR102326134B1 (ko) 흄관 연결 소켓
KR20100001737U (ko) 덕트 연결용 클램프
EP2418435A2 (en) A support member for a heater coil
KR20160002530U (ko) 배관 연결구조
JP6565450B2 (ja) 管継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