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1053A - 건축물의 바닥 시공구조 - Google Patents

건축물의 바닥 시공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1053A
KR20180001053A KR1020160079613A KR20160079613A KR20180001053A KR 20180001053 A KR20180001053 A KR 20180001053A KR 1020160079613 A KR1020160079613 A KR 1020160079613A KR 20160079613 A KR20160079613 A KR 20160079613A KR 20180001053 A KR20180001053 A KR 201800010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mesh
floor
building
elastic member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9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범석
Original Assignee
이범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범석 filed Critical 이범석
Priority to KR10201600796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1053A/ko
Publication of KR20180001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0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32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43Floor structures of extraordinary design; Features relating to the elastic stability; Floor structures specially designed for resting on columns only, e.g. mushroom fl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8Spacers of metal or substantially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20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of material other than metal or with only additional metal parts, e.g. concrete or plastics spacers with metal binding wi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1. 기술분야
본 발명은 건축물의 바닥 시공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무근 구조의 건축물의 바닥 시공시 콘크리트의 강성을 향상시키고, 콘크리트의 크랙을 방지하기 위해 바닥에 설치되는 와이어 메쉬의 설치작업시 와이어 메쉬가 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와이어 메쉬가 이동하여 특정 부위에서 와이어 메쉬 간의 간격이 벌어지거나 와이어 메쉬가 서로 겹쳐지는 부분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바닥의 전 영역에 걸쳐 콘크리트의 강도를 균일하게 확보할 수 있는 바닥 시공구조에 관한 것이다.
2. 구성 및 효과
본 발명은 건축물의 기초 바닥에 지지되도록 와이어 메쉬의 하부에 탄성(신축성)을 갖는 탄성부재가 설치된 바닥 시공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와이어 메쉬 설치작업시 작업자가 작업하는 과정에서 와이어 메쉬를 밟거나, 혹은 공사 자재가 낙하하는 경우에도 탄성부재를 통해 일정한 탄성을 제공하여 와이어 메쉬가 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바닥의 전 영역에 걸쳐 콘크리트의 강도를 균일하게 확보하는 동시에 콘크리트에 크랙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건축물의 바닥 시공구조{STRUCTURE FOR CONSTRUCTION FLOOR OF BUILDING}
본 발명은 건축물의 바닥 시공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무근 구조의 건축물의 바닥 시공시 콘크리트의 강성을 향상시키고, 콘크리트의 크랙을 방지하기 위해 바닥에 설치되는 와이어 메쉬의 설치작업시 와이어 메쉬가 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와이어 메쉬가 이동하여 특정 부위에서 와이어 메쉬 간의 간격이 벌어지거나 와이어 메쉬가 서로 겹쳐지는 부분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바닥의 전 영역에 걸쳐 콘크리트의 강도를 균일하게 확보할 수 있는 바닥 시공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근 구조의 건축물의 바닥을 시공할 때 바닥에 시공된 콘크리트의 강성을 향상시키고, 콘크리트의 크랙을 방지하기 위해 와이어 메쉬가 설치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건축물의 바닥 시공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건축물의 바닥 시공구조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와 같이, 와이어 메쉬(12)는 기초 바닥(10)에 밀착 설치되는 경우 후공정으로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강도를 향상시키는데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이에 따라 기초 바닥(10)에 벽돌 또는 각목 등과 같은 스페이서(11)를 설치한 후 스페이서(11) 위에 와이어 메쉬(12)를 설치하여 기초 바닥(10)으로부터 와이어 메쉬(12)를 일정 높이 이격시킨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바닥을 시공하여 왔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스페이서를 이용한 바닥 시공구조에서는 스페이서 위에 와이어 메쉬를 설치할 때 작업자가 와이어 메쉬를 밟고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작업자의 체중으로 인해 와이어 메쉬가 쉽게 휘어지거나, 심하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와이어 메쉬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와이어 메쉬가 이동되어 어떤 부분은 와이어 메쉬 간의 간격이 벌어지거나, 와이어 메쉬가 서로 겹쳐지는 부분이 발생되어 전 영역에 걸쳐 콘크리트의 강도를 균일하게 확보하는데 문제가 있었다.
KR 10-1122530 B1, 2012. 02. 24. KR 10-0434588 B1, 2004. 05. 25. JP 10-2004-359523 A, 2004. 12. 09.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와이어 메쉬 설치작업시 와이어 메쉬가 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와이어 메쉬가 이동하여 특정 부위에서 와이어 메쉬 간의 간격이 벌어지거나 와이어 메쉬가 서로 겹쳐지는 부분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바닥의 전 영역에 걸쳐 콘크리트의 강도를 균일하게 확보할 수 있는 건축물의 바닥 시공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은 건축물의 기초 바닥에 이격 설치된 와이어 메쉬; 상기 와이어 메쉬의 하부에 용접, 밴딩 또는 결합부재를 통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와이어 메쉬를 상기 기초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이격시키는 탄성부재; 및 상기 와이어 메쉬의 상부에 타설 및 양생되어 상기 와이어 메쉬와 상기 탄성 부재가 내부에 매립되도록 상기 기초 바닥의 전면을 덮도록 형성된 콘크리트 구조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바닥 시공구조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와이어 메쉬에 결합되는 클립이고, 상기 탄성부재는 코일 스프링 또는 판 스프링 등을 포함하는 신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클립은 'C'자형 또는 'Y'자형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클립은 일측 단부에 외향 돌출되는 수형의 걸림턱이 형성되는 하측부재; 상기 하측부재의 타단부에 힌지를 통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상측부재; 타측이 상기 상측부재의 일단부에 결합되고 일단부가 상기 하측부재의 걸림턱과 착탈가능하게 결착되는 암형의 고리부; 및 상기 상측부재의 일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고리부를 회동시키는 누름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하측부재와 상기 고리부를 일연체로 연결하였을 때 하나의 타원형 링을 이루도록 하여 상기 와이어 메쉬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클립은 상측부재와 하측부재로 각각 분할 제작되고, 상기 상·하측부재의 양단부에 각각 암수의 걸림부가 형성되어 상기 상·하측부재의 걸림부들을 암수 결합하여 하나의 링을 갖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클립은 상호 직선으로 연결되는 이웃하게 배치된 와이어 메쉬의 강선이 일정 부분 겹치고, 겹치는 강선들의 겸침 부위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건축물의 기초 바닥에 지지되도록 와이어 메쉬의 하부에 탄성(신축성)을 갖는 탄성부재가 설치된 바닥 시공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와이어 메쉬 설치작업시 작업자가 작업하는 과정에서 와이어 메쉬를 밟거나, 혹은 공사 자재가 낙하하는 경우에도 탄성부재를 통해 일정한 탄성을 제공하여 와이어 메쉬가 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바닥의 전 영역에 걸쳐 콘크리트의 강도를 균일하게 확보하는 동시에 콘크리트에 크랙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건축물의 바닥 시공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건축물의 바닥 시공구조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바닥 시공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바닥 시공구조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라 탄성부재가 와이어 메쉬에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라 탄성부재가 결합부재를 통해 와이어 메쉬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라 탄성부재가 결합부재를 통해 와이어 메쉬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라 탄성부재가 결합부재를 통해 와이어 메쉬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라 탄성부재가 결합부재를 통해 와이어 메쉬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클립의 다른 사용예를 도시한 도면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클립의 다른 사용예를 도시한 도면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바닥 시공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바닥 시공구조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바닥 시공구조는 건축물의 기초 바닥(20)에 설치된 와이어 메쉬(22)와, 와이어 메쉬(22)의 하부에 용접 또는 밴딩 체결되거나, 혹은 결합부재를 통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와이어 메쉬(22)를 기초 바닥(20)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이격시키는 탄성부재(21)와, 와이어 메쉬(22)에 타설 및 양생되어 와이어 메쉬(22)와 탄성부재(21)에 매립되도록 기초 바닥(20)의 바닥면 전면을 덮도록 설치된 콘크리트 구조물(미도시)을 포함한다.
탄성부재(21)는 도 3과 같이, 일례로 탄성 스프링, 즉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이는 일례로서, 판 스프링 등과 같이 신축 가능한 부재는 모두 포함할 수 다. 이러한 탄성부재(21)는 와이어 메쉬(22)의 하부에 복수 개가 일정 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장의 와이어 메쉬(22)가 1.8m×1.8m(가로×세로)의 크기를 갖도록 제작된 경우, 탄성부재(21)는 와이어 메쉬(22)의 중앙부와 각 모서리에 각각 한 개씩 총 5개가 설치될 수 있다. 하지만, 이 또한 일례로서, 와이어 메쉬(22)의 크기 및 강성에 따라 탄성부재(21)의 설치 위치 및 개수는 증감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라 탄성부재가 와이어 메쉬에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와 같이, 탄성부재(21)는 와이어 메쉬(22)를 구성하는 가로 강선과 세로 강선 중 어느 하나의 강선 또는 이들이 교차하는 부위에 용접 체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바닥 시공구조는 기초 바닥(20)에 지지되도록 와이어 메쉬(22)의 하부에 탄성을 갖는 탄성부재(21)를 설치함으로써 와이어 메쉬(22) 설치작업시 작업자가 작업하는 과정에서 와이어 메쉬(22)를 밟거나, 혹은 공사 자재가 낙하하는 경우에도 일정한 탄성을 제공함으로써 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바닥의 전 영역에 걸쳐 콘크리트의 강도를 균일하게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탄성부재(21)가 와이어 메쉬(22)에 다양한 결합부재들을 통해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데, 그 다양한 예들이 도 6 내지 9에 도시되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라 탄성부재가 결합부재를 통해 와이어 메쉬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로서, (a)는 탄성 부재와 결합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b)는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과 같이, 탄성부재(21)는 결합부재, 예를 들면, 클립(23)의 하부에 용접 또는 볼트(나사) 체결될 수 있다. 클립(23)은 일례로 'C'자형(혹은 'Y'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측으로 개구된 개구부를 통해 와이어 메쉬(22)의 강선에 끼워져 결합된다. 이때, 클립(23)은 와이어 메쉬(22)의 강선에 간편하게 끼워지도록 일정한 탄성을 갖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종단부의 내측에는 와이어 메쉬(22)의 강선에 결합된 상태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걸림돌기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결합부재의 일례로 클립(23)을 설명하였으나, 이 또한 일례로서, 탄성부재(21)는 용접 또는 밴딩 등과 같은 결합부재를 통해 와이어 메쉬(22)에 고정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라 탄성부재가 결합부재를 통해 와이어 메쉬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로서, (a)는 탄성부재와 결합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b)는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과 같이, 탄성부재(21)는 결합부재들 중 하나인 클립(33)의 하부에 일체로 용접 체결되는 것이 아니라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클립(33)의 하부에는 결합돌기(331)가 구비되어 있고, 이와 대응하여 탄성부재(21)의 상부에는 결합돌기(331)가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홈(341)이 형성된 결합판(34)이 구비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라 탄성부재가 결합부재를 통해 와이어 메쉬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로서, (a)는 탄성부재와 결합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b)는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과 같이, 탄성부재(21)는 클립(43)의 하부에 용접 체결되거나,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클립(43)은 일측 단부에 외향 돌출되는 수형의 걸림턱(432a)이 형성되는 하측부재(432)와, 하측부재(432)의 타단부에 힌지(433)를 통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상측부재(431)와, 타측이 상측부재(431)의 일단부에 결합되고 일단부가 하측부재(432)의 걸림턱(432a)과 착탈가능하게 결착되는 암형의 고리부(435)와, 상측부재(431)의 일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고리부(435)를 회동시키는 누름부(434)를 포함하여 상·하측부재(431, 432)와 고리부(435)를 일연체로 연결하였을 때 하나의 타원형 링을 이루도록 하여 와이어 메쉬(22)의 강선에 결합된다.
이와 같이, 클립(43)은 상·하측부재(431, 432)가 힌지(433)를 통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와이어 메쉬(22)의 강선의 굵기와 무관하게 간편하게 강선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결합될 수 있고, 또한 고리부(435)와 누름부(434)를 통해 강선의 굵기와 무관하게 비교적 강한 악력으로 강선에 결합됨으로써 콘크리트 타설시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클립(43)이 와이어 메쉬(22)로부터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라 탄성부재가 결합부재를 통해 와이어 메쉬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로서, (a)는 탄성 부재와 결합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b)는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와 같이, 탄성부재(21)가 하부에 결합되는 클립(53)은 상·하측부재(531, 532)로 분할 제작되고, 상·하측부재(531, 532)의 양단부에 각각 암수의 걸림부(531a, 532a)가 형성되어 상·하측 부재(531, 532)의 걸림부(531a, 532a)들을 암수 결합하여 하나의 타원형 링을 이루도록 하여 와이어 메쉬(22)의 강선에 결합된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클립의 다른 사용예를 도시한 도면들로서, (a)는 탄성부재와 결합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b)는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클립(43)은 도 8과 같이, 와이어 메쉬(22)의 강선 한 개에 결합될 수도 있고, 또한 도 10과 같이, 이웃하게 배치된 와이어 메쉬(22)의 강선 중 상호 직선으로 배치된 2개의 강선을 일정 부분 겹친 상태에서 그 강선들의 겹침 부위를 상·하측부재(431, 432) 사이에 형성되는 수용부에 게재하고, 고리부(435)와 누름부(434)를 이용하여 이들을 서로 결속하여 2개의 강선을 서로 연결할 수도 있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클립의 다른 사용예를 도시한 도면들로서, (a)는 탄성부재와 결합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b)는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클립(53)은 도 11과 같이, 이웃하게 배치된 와이어 메쉬(22)의 강선 중 상호 직선으로 배치된 2개의 강선을 일정 부분 겹친 상태에서 그 강선들의 겹침 부위를 상·하측부재(531, 532) 사이에 형성되는 수용부에 게재하고, 걸림부(531a, 532a)들을 서로 결속하여 2개의 강선을 서로 결속하여 연결할 수도 있다.
도 10 및 도 11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클립(43, 53)은 이웃하게 배치된 와이어 메쉬(22)의 강선 중 상호 직선으로 배치된 2개의 강선을 일정 부분 겹친 상태에서 그 강선들의 겹침 부위를 서로 결속하는 방식으로 결합됨에 따라 콘크리트 타설시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와이어 메쉬(22)가 이동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이처럼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20 : 기초 바닥
11 : 스페이서
12, 22 : 와이어 메쉬
21 : 탄성부재
23, 33, 43, 53 : 클립(결합부재)

Claims (6)

  1. 건축물의 기초 바닥에 이격 설치된 와이어 메쉬;
    상기 와이어 메쉬의 하부에 용접, 밴딩 또는 결합부재를 통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와이어 메쉬를 상기 기초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이격시키는 탄성부재; 및
    상기 와이어 메쉬의 상부에 타설 및 양생되어 상기 와이어 메쉬와 상기 탄성 부재가 내부에 매립되도록 상기 기초 바닥의 전면을 덮도록 형성된 콘크리트 구조물;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바닥 시공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와이어 메쉬에 결합되는 클립이고, 상기 탄성부재는 코일 스프링 또는 판 스프링 등을 포함하는 신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바닥 시공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은 'C'자형 또는 'Y'자형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바닥 시공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은,
    일측 단부에 외향 돌출되는 수형의 걸림턱이 형성되는 하측부재;
    상기 하측부재의 타단부에 힌지를 통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상측부재;
    타측이 상기 상측부재의 일단부에 결합되고 일단부가 상기 하측부재의 걸림턱과 착탈가능하게 결착되는 암형의 고리부; 및
    상기 상측부재의 일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고리부를 회동시키는 누름부; 를 포함하고,
    상기 상·하측부재와 상기 고리부를 일연체로 연결하였을 때 하나의 타원형 링을 이루도록 하여 상기 와이어 메쉬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바닥 시공구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은 상측부재와 하측부재로 각각 분할 제작되고, 상기 상·하측부재의 양단부에 각각 암수의 걸림부가 형성되어 상기 상·하측부재의 걸림부들을 암수 결합하여 하나의 링을 갖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바닥 시공구조.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은 상호 직선으로 연결되는 이웃하게 배치된 와이어 메쉬의 강선이 일정 부분 겹치고, 겹치는 강선들의 겸침 부위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바닥 시공구조.

KR1020160079613A 2016-06-24 2016-06-24 건축물의 바닥 시공구조 KR201800010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9613A KR20180001053A (ko) 2016-06-24 2016-06-24 건축물의 바닥 시공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9613A KR20180001053A (ko) 2016-06-24 2016-06-24 건축물의 바닥 시공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053A true KR20180001053A (ko) 2018-01-04

Family

ID=60998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9613A KR20180001053A (ko) 2016-06-24 2016-06-24 건축물의 바닥 시공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105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12262A (zh) * 2018-05-16 2018-10-02 五冶集团上海有限公司 一种砼块及制作和使用方法
KR20220068745A (ko) 2020-11-19 2022-05-26 조대영 그래핀 목 온열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12262A (zh) * 2018-05-16 2018-10-02 五冶集团上海有限公司 一种砼块及制作和使用方法
KR20220068745A (ko) 2020-11-19 2022-05-26 조대영 그래핀 목 온열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4531B1 (ko) 파이프 지지부재
KR101553345B1 (ko) 더블 월 피씨들의 접합 시공방법 및 이에 의한 접합구조
KR101544153B1 (ko) 건축물의 외벽 고정 시스템
US20150016870A1 (en) Anti-Spalling Edging
KR102174773B1 (ko) 횡좌굴 방지 클립부재를 구비한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파형 플레이트의 합성데크 및 그 제작방법
KR101029102B1 (ko) 데크플레이트 연결구조
JP2011153446A (ja) アーチ鉄筋の組立方法およびアーチ鉄筋構造
KR101590444B1 (ko) 천장거푸집 시공용 데크플레이트 간의 결합구조
KR101511504B1 (ko) 연결부 휨 강화 기능을 갖는 탈형 데크 플레이트
KR101650145B1 (ko) 마감패널 고정구 및 이를 구비한 마감장치
KR20180001053A (ko) 건축물의 바닥 시공구조
KR101233699B1 (ko) 티바와 천장패널의 결합구조
KR20170013011A (ko) 더블 월 피씨들의 접합 시공방법 및 이에 의한 접합구조
KR101298271B1 (ko) 금속 패널 지붕의 연결 구조 및 금속 패널 지붕의 시공방법
CN211007585U (zh) 一种电梯井道防护装置
US10851821B2 (en) Panel splice connector for linear panels
JP6978212B2 (ja) デッキプレート
KR101549841B1 (ko) 선박용 배관부재의 가설 보호커버
JP7149578B2 (ja) 固定具
JP5691050B2 (ja) クラック誘発目地材
KR101263484B1 (ko) 구조물 지지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결합클립
KR200450017Y1 (ko) 메쉬트레이 고정장치
KR101609616B1 (ko) 중공슬래브 형성을 위한 철골 수평 조립체
CN209244334U (zh) 一种泳池地板安装结构
JP5885566B2 (ja) 樋門カラー構造体及び該構造体を使用する函体目地部の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1150;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0308

Effective date: 20180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