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0444B1 - 천장거푸집 시공용 데크플레이트 간의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천장거푸집 시공용 데크플레이트 간의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0444B1
KR101590444B1 KR1020150124962A KR20150124962A KR101590444B1 KR 101590444 B1 KR101590444 B1 KR 101590444B1 KR 1020150124962 A KR1020150124962 A KR 1020150124962A KR 20150124962 A KR20150124962 A KR 20150124962A KR 101590444 B1 KR101590444 B1 KR 1015904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deck plate
extending
ceiling
d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4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연진
Original Assignee
(주)윈하이텍
구연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윈하이텍, 구연진 filed Critical (주)윈하이텍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04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0444B1/ko
Priority to PCT/KR2016/009335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703921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32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 E04B5/36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 E04B5/38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 E04B5/40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with metal form-slab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365Stop-end shutte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장거푸집 시공용 데크플레이트를 구성함에 있어서,
평판 형태의 철판을 다단 벤딩처리로 하방으로 돌출되는 보강부(12)를 좌우로 배열되게 형성하고, 상기 보강부(12)에 의해 구획되는 다 수개의 바닥부(11) 전체에 대한 상부면이 평탄하도록 하여 콘크리트 타설시 구조적 안정성을 부여하고 양생 후 데크플레이트를 탈형하였을 때 천장이 평탄하게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천장거푸집 시공용 데크플레이트 간의 결합구조{COMBINATION STRUCTURE BETWEEN DECK PLATE FOR CEILING MOLD}
본 발명은 건물의 천장 시공시 거푸집을 형성하기 위한 건축자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천장거푸집 시공시에 사용되는 데크플레이트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은 기둥과, 보, 천장, 계단 등의 다양한 구조물을 바탕으로 이루어지는바, 건축물의 기둥인 경우에는 통상 거푸집을 형성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형성하였으며, 기둥과 기둥의 상단을 각각 연결하기 위한 보 및 천장의 경우에도 거푸집을 형성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였다.
일반적으로 천장의 시공은 보와 보 사이에 가설되어 그 위에 타설되어지는 콘크리트 및 콘크리트가 양생되어지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콘크리트 자체의 무게를 지지할 수 있는 데크플레이트 형태의 거푸패널을 많이 사용한다.
상기 데크플레이트 형태의 거푸패널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판 형상의 데크플레이트(100)를 구비하고, 데크플레이트(100)의 상부에 스페이서(200)를 피스 등과 같은 체결구(300)로 고정결합하고, 스페이서(200)의 상부에 트러스거더(400)를 결합하여 구성되는 구조체이다.
상기 구조체(거푸패널)는 보와 보 사이에 얹혀지도록 가설되고 그 상부에 콘크리트의 타설 및 양생과정을 거치게 되는바, 구조체(거푸패널)를 구성하는 데크플레이트(100)는 콘크리트의 하중에 의해 처짐이나 휨 또는 들뜸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바닥부(110)와 상방으로 돌출되는 형태의 보강부(120)를 반복적으로 형성한 형태를 갖는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하여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500) 타설 및 양생 후에는 데크플레이트(100)를 제거(탈형)하는데, 탈형 후의 천장의 형태가 데크플레이트(100)의 바닥부(110)와 보강부(120)의 형상에 준하여 형성됨에 따라 천장에 굴곡선들이 반복적으로 형성되어 미감이 좋지 않고 페이트 칠이나 도배 등의 후속작업시에도 어려움이 따르는 문제가 있다.
국내 등록특허 제10-1503809호“트러스거더 고정용 스페이서 및 이를 이용한 데크플레이트와 트러스거더 간의 결합구조”
따라서 본 발명은 천장거푸집 시공용 데크플레이트를 구성함에 있어서, 콘크리트 타설로 인한 무게에 대하여 처짐이나 휨 및 들뜸현상을 충분히 방지하면서도 양생 후 데크플레이트를 탈형하였을 때 천장이 평탄하게 형성되게 하여 미감을 좋게 하고 페인트 칠이나 도배 등의 마감 작업시에도 편리하고 깔끔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천장거푸집 시공용 데크플레이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데크플레이트를 좌우로 연결 배열할 때 이웃하는 데크플레이트 단부 간에 서로 겹쳐지는 부분이라 할 수 있는 판개부 부분에 대하여 결합이 용이하면서도 결합 후 어떠한 힘을 가하지 않은 자연상태에서도 결합된 상태가 밀착유지 되게 하여 타설되는 콘크리트액의 유출을 방지되게 하면서도 탈형시 판개부 부분까지도 천장이 평탄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천장거푸집 시공용 데크플레이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천장을 시공하기 위한 거푸패널(2)의 구성요소로서 반복배열되는 바닥부와 보강부 및 양단부에 위치하는 판개부로 구성되는 천장거푸집 시공용 데크플레이트에 있어서,
평판 형태의 철판을 다단 벤딩포밍으로 하방으로 돌출되는 보강부(12)를 좌우로 배열되게 형성하고, 상기 보강부(12)에 의해 구획되는 다 수개의 바닥부(11) 전체에 대한 상부면이 평탄하도록 하여 콘크리트 타설시 하중에 대한 구조적 안정성을 부여하고 양생 후 데크플레이트를 탈형하였을 때 천장이 평탄하게 형성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판개부(16)를 구성함에 있어서 일측 판개부(16)에는 최 외곽의 바닥부(11)로부터 일체로 연장되는 바닥연장부(17)를 구성하고,
거푸패널(2)을 좌우로 배열시 이웃하는 데크플레이트(10a)의 타측에 형성된 겹침홈부(16a)의 바닥면에 얹혀져 바닥연장부(17)의 지지 및 틈새 막음 역할을 하는 지지부(18)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바닥부를 기준으로 하방으로 돌출형성되는 보강부를 좌우로 배열되게 형성하여 바닥부 전체에 대한 상부면이 평탄하게 형성됨으로써 콘크리트 타설시 구조적 안정성을 부여됨과 아울러 양생 후 데크플레이트를 탈형하였을 때 천장이 평탄하게 형성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측 판개부에 대하여 바닥부로부터 연장되는 바닥연장부 및 바닥연장부의 하부에 연장형성는 지지부를 구성함으로써 데크플레이트를 좌우로 연결 배열할 때 바닥연장부 및 지지부가 구성된 일측 판개부 부분을 이웃하는 데크플레이트의 겹쳐지는 부분에 형성된 겹침홈부에 안착식으로 결합된 후 구속력이 가해지도록 하여 결합이 용이하면서도 힘의 해제시에도 결합된 상태가 밀착유지 되어 타설되는 콘크리트액의 유출을 방지되며, 아울러 콘크리트 양생 후 데크플레이트 탈형시 판개부 부분까지도 천장이 평탄하게 형성되어 천장 전체에 대하여 평탄하도록 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구조체(거푸패널)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천장시공용 거푸패널 구성도,
도 3은 도 2의 저부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크플레이트의 정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장시공용 거푸패널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 후 데크플레이트를 탈형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과정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판개부의 구성이 변경된 데크플레이트의 정면 구성도 및 결합시 구성도,
도 7은 도 6의 요부 확대 구성도 및 결합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7의 데크플레이트의 결합과정 및 결합 후 힘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판개부가 밀착 유지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도,
도 9는 데크플레이트 간의 결합이 완료된 상태에서 견고함을 보여주는 예시 사진도,
도 10은 데크플레이트의 판개부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와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천장시공용 거푸패널(2)은 데크플레이트(10)의 상부에 스페이서(20)를 체결구(30)를 통하여 결합하고, 스페이서(20)의 상부에 트러스거더(40)를 결합하여 거푸패널(2)를 구성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데크플레이트(10)의 상부에 스페이서(20)를 고정결합하고, 스페이서(20)의 상부에 트러스거더(40)를 결합함으로써 천장시공용 거푸패널(2)을 구성하는 공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고, 본 발명에서는 거푸패널(2)을 구성하는 데크플레이트(10)의 특징적인 구성과 이를 이용한 천장시공용 거푸패널(2)의 시공시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크플레이트(10)는 바닥부(11)를 기준으로 하방으로 돌출되는 보강부(12)를 좌우로 배열되게 형성한다.
상기 보강부(12)는 종래의 데크플레이트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형태의 보강부(도 1의 120)를 대신하여 콘크리트 타설시 구조적 안정성을 부여하게 되며, 아울러 좌우로 배열 형성되는 바닥부(11) 전체에 대하여 상부면이 평탄하도록 해준다.
도 4를 참고하면 보강부(12)는 평판 형태의 사각 철판을 하방으로 다 수겹으로 벤딩처리 함으로써 형성된다.
상기 보강부(12)는 보강부(12)가 형성될 부분을 기준으로 좌우의 일정 부분의 철판에 대하여 1차 벤딩포밍성형하여 두 겹의 예비 보강부(13)를 형성한다. 그 후 상기 예비 보강부(13)를 다시 2차 벤딩포밍성형하여 천체적으로 4겹으로 구성되는 보강부(12)를 형성한다.
2차에 걸친 벤딩포밍작업으로 형성되는 보강부(12)는 최초 철판 두께의 4배가 되는 것으로서 콘크리트의 하중에 대하여 구조적으로 지지력을 보강하게 된다.
2차 벤딩포밍시 예비 보강부(13)의 단부(13a)가 바닥부(11)의 하부면에 맞닿도록 성형하는 것이 콘크리트 타설시 구조적 견고함을 유지하는데 있어서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에의 실시 예에서는 2차 벤딩포밍성형 결과 보강부(12)의 내부에는 중공부(15)가 형성되도록 한다.
여기서 2차 벤딩포밍성형시 상기 중공부(15)의 형성을 무시하고 단순히 4겹으로만 이루어진 보강부(12)를 형성할 수도 있다.
그러나 중공부(15)를 형성함에 따라 보강부(12)가 관형태(파이프 형태)를 취함으로써 콘크리트의 하중에 대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견딜 수 있도록 한다. 참고로 중공부(15)는 보강부(12)를 파이프형태를 취하게 하는바 이는 속이 꽉찬 봉형태의 파이프에 비하여 하중에 대한 지지력이 높다.
상기와 같이 중공부(15)는 콘트리트의 타설에 의한 상부로부터의 하중은 물론 시공시에 보강부(12)의 측면(좌측 또는 우측)에서 힘이 가해질 수 있는데 이때도 보강부(12)는 관형태의 중공부(15)가 형성되어 있어 보강부(12)가 쉽게 꺾여 주저앉거나 휘어지지 않는 장점이 있다.
상기 보강부(12)의 높이(h)는 철판 두께의 8∼20배 내외로 한다. 만약 보강부(12)의 높이(h)를 상기 제시된 하한치 이하로 형성하면 콘크리트 하중에 대한 내구성이 약해질 수 있고 낮은 높이로 인하여 벤딩처리에도 어려움이 뒤따르게 된다.
반대로 상한치 이상으로 하게 되면 재료비의 상승과 시공의 어려움이 뒤따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데크플레이트(10)는 좌우로 배열될 때 좌우 양단의 판개부(16)가 서로 겹쳐지도록 배열하여 타설된 콘크리트 액이 밑으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판개부(16)는 연결부라고도 일컬어지는바 판개부(16)는 일반적으로 겹침홈부(16a)를 형성하여 이웃하는 데크플레이트(10) 연결시 겹침홈부(16a) 간의 겹침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보다 견고하면서 타설된 콘크리트 액의 흘러내림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되도록 한다.
즉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보와 보 사이 거푸패널(2)을 좌우로 연결 설치시 거푸패널(2)을 구성하는 데크플레이트(10)의 양단 겹침홈부(16a)를 통하여 이웃하는 거푸패널(2)의 데크플레이트(10) 간과의 겹침홈부(16a)를 서로 겹침되게 결합하여 거푸패널(2) 좌우 간을 견고하게 연결고정 되게할 수 있다.
그러나 이때 데크플레이트(10)의 양단 판개부(16)에 형성된 겹침홈부(16a)에 의하여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후 데크플레이트 탈형시 이 부분의 천장 형태가 겹침홈부(16a)의 형상에 준하여 형성됨에 따라 미감이 좋지 않고 페이트 칠이나 도배 등에 어려움이 뒤따르게 된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이웃하여 겹침되는 데크플레이트(10) 간의 판개부(16)에 형성된 겹침홈부(16a) 중 상부에 위치하는 겹침홈부(16a)에는 홈메움용 쫄대(50)를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연결설치되는 거푸패널(2) 중 최좌측에 설치되는 거푸패널(2)을 구성하는 데크플레이트(10)의 좌측 겹침홈부(16a)와 최우측에 설치되는 거푸패널(2)을 구성하는 데크플레이트(10)의 우측 겹침홈부(16a)에도 홈메움용 쫄대(50)를 결합한다.
상기 홈메움용 쫄대(50)는 데크플레이트(10)의 겹침홈부(16a) 홈을 채워줌으로써 바닥부(11)의 상부면의 높이와 일치되게 해주며, 이는 좌우로 연결 설치되는 거푸패널(2)의 데크플레이트(10)는 일측의 겹침홈부(16a)로부터 시작하여 바닥부(11) 및 타측의 겹침홈부(16a)까지 전체에 대하여 평면을 구성하게 된다.
따라서 도 5를 참고하면, 거푸패널(2) 상부에 콘크리트(70)를 타설하더라도 보강부(12)로 인하여 무게에 대하여 처짐이나 휨 및 들뜸현상이 방지되면서도, 콘크리트 양생 후 데크플레이트(10)를 탈형하였을 때 천장이 평탄하게 형성되며, 그에 따라 천장의 미감이 좋으며, 페인트 칠이나 도배 등의 마감 작업시에도 쉽고 깔끔하게 처리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홈메움용 쫄대(50)는 현장에서 거푸패널(2) 설치시에 데크플레이트(10)의 겹침홈부(16a) 상부에 일일이 위치시켜야 하므로 번거롭고 작업현장까지 운반해야 하며 특별한 고정 수단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콘크리트 타설시에 위치이동이 될 수도 있다. 또한 별도로 생산을 해야 하는 구성요소로서 전체적인 건축비를 높이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홈메움용 쫄대(50)의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데크플레이트(10)의 판개부(16) 구성을 개선하여 홈메움용 쫄대(50)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 후 데크플레이트(10)를 탈형하더라도 천장 전체가 평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데크플레이트(10)를 좌우로 연결 배열할 때 이웃하는 데크플레이트(10) 단부 간에 서로 겹쳐지는 판개부(16)에 대하여 결합이 용이하면서도 결합 후 어떠한 힘을 가하지 않은 자연상태에서도 결합된 상태가 밀착유지 되게 하여 타설되는 콘크리트액의 유출을 방지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데크플레이트(10a)는 판개부(16)를 구성함에 있어서 양측에 겹침홈부(16a)를 형성하는 대신에 일측에는 겹침홈부(16a)를 형성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성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판개부(16)의 구성이 변경된 데크플레이트(10a)의 정면 구성도 및 결합시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데크플레이트(10a)의 양단 판개부(16) 중 일측 판개부(16)(도면상으로는 우측)에는 최 외곽(우측)에 위치하는 바닥부(11)로부터 상기 바닥부(11)의 높이와 동일하게 외곽으로 연장되는 바닥연장부(17)를 구성한다.
그리고 바닥연장부(17)의 하부에는 지지부(18)를 일체로 연장되게 구성하는바, 지지부(18)는 거푸패널(2)을 좌우로 배열시 이웃하는 데크플레이트(10a)의 타측에 형성된 겹침홈부(16a)의 바닥면 상부에 얹혀져 안착되게 결합되어 상부에 위치하는 바닥연장부(17)를 지지하여 처짐을 방지함과 동시에 틈새 막음 역할을 하여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흘러내리지 않도록 한다.
상기 구성의 판개부(16)에서 바닥연장부(17)의 단부는 도 6 및 도 7의 (b)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웃하는 데크플레이트(10a)에 조립된 스페이서(20)의 하부에 걸림되어 바닥부(11)를 기준으로 평탄이 유지되며 이는 콘크리트 타설시에 천정의 평탄을 위해 기존의 겹침홈부(16a)에 홈메움용 쫄대(50)를 결합해야 했던 번거로움을 대신하게 된다.
바닥연장부(17)부를 지지하는 지지부(18)는 바람직하게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연장부(17)의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연결부(18a)를 연장형성하고, 경사연결부(18a)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는 수평연장부(18b)로 구성한다.
지지부(18)의 경사연결부(18a)는 스프링(탄성) 역할을 하게 되는바 도 7의 (a)는 스페이서(20) 미조립시 데크플레이트(10a) 간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이때는 경사연결부(18a)의 탄성에 의해 바닥연장부(17)가 상부로 밀려나 이웃하는 데크플레이트(10a)의 바닥부(11)보다 높아 서로 간에 수평유지가 안된다.
그러나 도 7의 (b)와 (c) 및 도 8의 사진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크플레이트(10a) 상에 스페이서(20)가 조립된 상태에서는 바닥연장부(17)의 단부가 스페이서(20)의 하부에 걸림되므로 거푸패널(2) 연결 배열시 경사연결부(18a)는 바닥연장부(17)와 수평연장부(18b) 간의 반발력을 일으키게 하여 틈새를 보다 세밀하게 막게 되며 이는 타설 되는 콘크리트의 흘러내림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하게 된다.
특히 도 8은 데크플레이트의 결합과정 및 결합 후 힘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상호 결합된 판개부(16)가 밀착 유지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도로서 (a)와 같이 결합시에는 데크플레이트(10)의 양측 중 바닥연장부(17) 및 지지부(18)가 형성된 일측 판개부(16) 부분을 이웃하는 데크플레이트(10)의 타측 겹침홈부(16a)에 위치시키되 상기 일측 판개부(16)가 하부로 향하도록 경사을 유지하게 위치시킨다.
그 후 데크플레이트(10)를 이웃하는 데크플레이트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도록 하면서 손에 의해 상부로 들려 올려진 타측 부분을 천천히 하부로 내리게 되면 데크플레이트(10)는 점차적으로 수평을 유지해 나가게 되며 이 과정에서 바닥연장부(17)의 단부는 자연스레 스페이서(20)의 하부에 걸림이 된다. 그 후 데크플레이트(10)의 타측 부분을 잡고 있던 손을 완전히 놓기만 하면 (b)와 같이 자연적으로 판개부(16)의 결합이 완료되는바 아무런 힘을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수평연장부(18b)의 반발력으로 밀착된 상태가 그대로 유지된다. 이는 결합의 견고함의 유지는 물론 타설되는 콘크리트액의 유출을 보다 효과적으로 막아주게 된다.
또한 바닥연장부(17)는 바닥부(11)의 높이와 동일하게 연장형성됨에 따라 콘크리트 양생 후 데크플레이트 탈형시 판개부(16) 부분까지도 천장이 평탄하게 형성되어 천장 전체에 대하여 평탄한 시공이 이루어진다.
참고로 도 9는 데크플레이트(10) 간의 결합이 완료된 상태에서 견고함을 현실적으로 보여주는 예시 사진도로서 이는 데크플레이트(10)의 일측 판개부(16)가 이웃하는 데크플레이트(10)의 겹침홈부(16a)의 바닥면 상부에 얹혀져 안착되면서 일측 판개부(16)를 구성하는 바닥연장부(17)의 단부는 스페이서(20)의 하부에 걸림되게 결합되고 지지부(18)는 이웃하는 데크플레이트(10)의 겹침홈부(16a) 내에 갖혀 구속력을 받게 됨으로써 가능한 것이다.
또한 그러한 구속력으로 인하여 좌우로 상호 결합된 데크플레이트(10) 서로 간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밀거나 당겨도 결합된 판개부(16)의 결합상태가 흐트러지지 않고 유지된다.
도 10은 데크플레이트(10a)를 구성하는 판개부(16)의 다른 형상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바닥연장부(17)의 구성은 동일하지만 지지부(18)의 구성에서 다르게 실시 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한편, 데크플레이트(10a)의 타측 판개부(16)에는 일반적으로 형성하는 겹침홈부(16a)를 그대로 형성하되 일측 판개부(16)에 형성된 바닥연장부(17) 및 지지부(18)의 갯 수에 준하여 하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을 참고하면, 데크플레이트(10)의 상부에 체결구(30)를 통하여 스페이서(20)를 결합함에 있어서, 데크플레이트(10)의 바닥부(11) 하부면에는 보강브라켓(60)이 결합되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보강브라켓(60)은 ‘ㄷ’자형으로서 보강부(12)와 직교되게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구조적 강도를 보강하는데 의미가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 및 그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본 발명은 천장시공에 따른 거푸집을 형성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2)--천장시공용 거푸패널
(10)--데크플레이트 (11)--바닥부
(12)--보강부 (13)--예비 보강부
(15)--중공부 (16)--판개부
(16a)--겹침홈부 (17)--바닥연장부
(18)--지지부 (18a)--경사연결부
(18b)--수평연장부
(20)--스페이서 (30)--체결구
(40)--트러스거더 (50)--홈메움용 쫄대
(70)--콘크리트

Claims (4)

  1. 천장을 시공하기 위한 거푸패널(2)의 구성요소로서 반복배열되는 바닥부와 보강부 및 양단부에 위치하는 판개부로 구성되는 천장거푸집 시공용 데크플레이트를 결합함에 있어서,
    평판 형태의 철판을 다단 벤딩포밍으로 하방으로 돌출되는 보강부(12)를 좌우로 배열되게 형성하고, 상기 보강부(12)에 의해 구획되는 다 수개의 바닥부(11) 전체에 대한 상부면이 평탄하도록 하여 콘크리트 타설시 하중에 대한 구조적 안정성을 부여하고,
    양단 판개부(16) 중 일측 판개부(16)에는 최 외곽의 바닥부(11)로부터 일체로 연장되는 바닥연장부(17)를 구성하고, 바닥연장부(17)의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바닥연장부(17)를 지지하여 처짐을 방지하는 지지부(18)를 구성하되 상기 지지부(18)는 바닥연장부(17)의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연결부(18a) 및 경사연결부(18)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는 수평연장부(18b)를 구성하여,
    거푸패널(2)을 좌우로 배열시 데크플레이트(10)의 상기 일측 판개부(16)가 이웃하는 데크플레이트(10)의 겹침홈부(16a)의 바닥면 상부에 얹혀져 안착결합되게 하되, 일측 판개부(16)를 구성하는 바닥연장부(17)의 단부는 스페이서(20)의 하부에 걸림되게 하고 지지부(18)는 이웃하는 데크플레이트(10)의 겹침홈부(16a) 내에 갖혀 구속력을 받도록 하여 결합 상태가 밀착유지 되어 타설되는 콘크리트액의 유출을 방지되게 하고, 콘크리트 양생 후 데크플레이트 탈형시 바닥부(11) 및 판개부(16) 부분 전체에 대하여 평탄한 시공이 이루어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거푸집 시공용 데크플레이트 간의 결합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보강부(12)는 2차에 걸친 벤딩포밍으로 4겹으로 구성되게 하되 보강부(15)의 내부에는 중공부(15)가 형성되게 구성됨을 함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거푸집 시공용 데크플레이트 간의 결합구조.
  3. 삭제
  4. 삭제
KR1020150124962A 2015-04-13 2015-09-03 천장거푸집 시공용 데크플레이트 간의 결합구조 KR1015904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6/009335 WO2017039212A1 (ko) 2015-09-03 2016-08-23 천장거푸집 시공용 데크플레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1880 2015-04-13
KR20150051880 2015-04-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0444B1 true KR101590444B1 (ko) 2016-02-02

Family

ID=55354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4962A KR101590444B1 (ko) 2015-04-13 2015-09-03 천장거푸집 시공용 데크플레이트 간의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0444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6273B1 (ko) 2016-04-21 2016-09-09 구연진 트러스거더형 데크패널 배열 설치시 인접부 간의 밀착결합유지용 결속구 및 이를 이용한 데크패널 간의 결합구조
KR101681916B1 (ko) * 2016-06-17 2016-12-02 구연진 트러스거더형 데크패널에서의 단열재 결합용 데크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단열재가 결합된 트러스거더형 데크패널의 결합방법
KR101710535B1 (ko) 2016-11-22 2017-02-27 구연진 거푸집 시공용 데크플레이트
KR101752745B1 (ko) 2017-01-06 2017-06-30 구연진 데크플레이트 배열시 연결부의 결속력과 씰링구조를 갖는 거푸집 시공용 데크플레이트
KR102034138B1 (ko) * 2018-11-29 2019-10-18 임환빈 보 거푸집 및 보 거푸집 시공방법
KR20200044405A (ko) 2018-10-19 2020-04-29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가변 착탈식 데크플레이트
KR102338253B1 (ko) 2020-07-31 2021-12-15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단 거동을 개선한 데크 플레이트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공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6483Y1 (ko) * 2006-06-07 2006-09-19 (주)파워데크 콘크리트 슬래브용 데크패널의 데크 플레이트
KR101452940B1 (ko) 2014-06-23 2014-10-23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들뜸방지 탈형 데크 플레이트
KR101503809B1 (ko) 2014-11-28 2015-03-18 구연진 트러스거더 고정용 스페이서 및 이를 이용한 데크플레이트와 트러스거더 간의 결합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6483Y1 (ko) * 2006-06-07 2006-09-19 (주)파워데크 콘크리트 슬래브용 데크패널의 데크 플레이트
KR101452940B1 (ko) 2014-06-23 2014-10-23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들뜸방지 탈형 데크 플레이트
KR101503809B1 (ko) 2014-11-28 2015-03-18 구연진 트러스거더 고정용 스페이서 및 이를 이용한 데크플레이트와 트러스거더 간의 결합구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6273B1 (ko) 2016-04-21 2016-09-09 구연진 트러스거더형 데크패널 배열 설치시 인접부 간의 밀착결합유지용 결속구 및 이를 이용한 데크패널 간의 결합구조
KR101681916B1 (ko) * 2016-06-17 2016-12-02 구연진 트러스거더형 데크패널에서의 단열재 결합용 데크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단열재가 결합된 트러스거더형 데크패널의 결합방법
KR101710535B1 (ko) 2016-11-22 2017-02-27 구연진 거푸집 시공용 데크플레이트
KR101752745B1 (ko) 2017-01-06 2017-06-30 구연진 데크플레이트 배열시 연결부의 결속력과 씰링구조를 갖는 거푸집 시공용 데크플레이트
KR20200044405A (ko) 2018-10-19 2020-04-29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가변 착탈식 데크플레이트
KR102034138B1 (ko) * 2018-11-29 2019-10-18 임환빈 보 거푸집 및 보 거푸집 시공방법
KR102338253B1 (ko) 2020-07-31 2021-12-15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단 거동을 개선한 데크 플레이트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0444B1 (ko) 천장거푸집 시공용 데크플레이트 간의 결합구조
KR101552176B1 (ko) 분리형 거푸집이 선조립된 기둥구조체
US20130283721A1 (en) Steel frame structure using u-shaped composite beam
KR101208207B1 (ko) 유자형 합성보를 이용한 층고절감형 철골골조
RU2548627C2 (ru) Стальная каркас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u-образной составной балки
JP2019526004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型枠、床システム、および建築方法
JP2010203139A (ja) 合成梁、建築物、及び合成梁の施工方法
KR101648851B1 (ko) 천장거푸집 시공용 데크플레이트
KR101456391B1 (ko) 층고절감형 유공 강재 보 및 이를 이용한 합성 바닥 구조
KR20190115655A (ko) 단열블록을 거푸집 대신 사용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제작틀 및 이의 설치방법
WO2016043386A1 (ko) 합성 트러스 탈형보용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합성 트러스 탈형보
KR101228642B1 (ko) 일체성 향상을 위해 가장자리 단차 접합부를 갖는 중공슬래브
KR102080594B1 (ko) 커플거더
KR20050054407A (ko) ㄱ형강 콘크리트구조
KR100949785B1 (ko) 피씨 보 제작용 몰드
KR20090093524A (ko) 무거푸집 기둥과 iTECH 합성보의 접합부 연결구조 및그 시공방법
KR20080099753A (ko) 층고절감형 강-콘크리트 합성보-슬래브용 성형강판 조립 보
KR101407816B1 (ko) 트러스근 일체형 비대칭 에이치형강 합성보를 이용한 구조 시스템
CN212613049U (zh) 一种装配式箱型房屋楼盖结构
KR101747002B1 (ko) 철근 콘크리트 기둥과 합성보를 이용한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20190018786A (ko) 개량형 멍에트러스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벽체거푸집 구조
GB2118989A (en) Dry-laid floors
JP3484113B2 (ja) 網型枠、型枠構造及び型枠設置方法
JP2003049409A (ja) アーチリブの架設方法
KR101577704B1 (ko) 모서리 보강부재가 구비된 개량형 콘크리트 충전 기둥 및 이의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