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7039212A1 - 천장거푸집 시공용 데크플레이트 - Google Patents

천장거푸집 시공용 데크플레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7039212A1
WO2017039212A1 PCT/KR2016/009335 KR2016009335W WO2017039212A1 WO 2017039212 A1 WO2017039212 A1 WO 2017039212A1 KR 2016009335 W KR2016009335 W KR 2016009335W WO 2017039212 A1 WO2017039212 A1 WO 2017039212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deck plate
plate
ceiling
deck
reinforc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6/00933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구연진
Original Assignee
구연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50124962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590444B1/ko
Application filed by 구연진 filed Critical 구연진
Publication of WO2017039212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703921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32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 E04B5/36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 E04B5/38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 E04B5/40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with metal form-slab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1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with additional peculiarities such as surface shaping, insulating or heating, permeability to water or air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ilding material for forming the formwork during the ceiling construction of the build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ck plate used in the construction of the ceiling formwork.
  • the building is based on various structures such as pillars, beams, ceilings, and stairs.
  • pillars of buildings it is usually formed by forming formwork and pouring concrete, and beams for connecting the tops of the pillars and columns, respectively.
  • formwork was formed and concrete was poured.
  • the construction of the ceiling uses a large number of deck plate-type formwork panels that can support the weight of the concrete itself generated during the process of curing the concrete and concrete that is installed between the beam and the beam.
  • the deck plate-shaped formwork panel has a deck plate 100 having an iron plate shape as shown in FIG. 1, and the spacer 200 is 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deck plate 100 with a fastener 300 such as a piece. Coupled to, the structure is configured by coupling the truss girder 400 on top of the spacer 200.
  • the structure (formal panel) is hypothesized to be placed between the beam and the bar is subjected to the process of casting and curing of the concrete bar, the deck plate 100 constituting the structure (formal panel) sag by the load of the concrete In order to prevent bending or lifting, the bottom portion 110 and the reinforcing portion 120 protruding upwards may be formed repeatedly.
  • the deck plate 100 is removed (deformed) after the concrete 500 is placed and cured as shown in FIG. 1B, and the ceiling after the deformed form is the bottom of the deck plate 100.
  • the curved lines are repeatedly formed on the ceiling, so that the aesthetics are not good, and there is a problem in the subsequent work such as paint or paint.
  • the present invention when constructing the deck plate for ceiling formwork, sufficiently prevent the deflection, warpage and lifting phenomenon with respect to the weight due to the concrete pouring, while the ceiling plate is formed flat when demolding after curing, so that the aesthetics good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eck plate for ceiling formwork, which can be conveniently and neatly handled during finishing work such as painting or papering.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ck plate that effectively prevents the outflow of poured concrete and prevents warping in constructing a deck plate for ceiling formwork.
  •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ck plate for ceiling formwork construction consisting of a bottom portion repetitively arranged as a component of the formwork panel (2) for constructing the ceiling and the plate portion located at both ends, the flat form To form the iron plate of the reinforcement 12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left and right by multi-stage bending forming, and the upper surface for the entire number of the bottom 11 divided by the reinforcement 12 is flat.
  • the overlapping groove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deck plate 10 adjacent to one side of the plate portion 16 is integrally extended from the outermost bottom portion 11 to one side of the deck plate 10.
  • the support portion 18 When coupled to the (16a) constitutes the bottom extension portion 17 which is caught on the lower portion of the spacer 20, the overlapping groove portion 16a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adjacent deck plate 10 when arranging the formwork panel 2 to the left and right Put on the bottom of the Composed of the support portion 18 to serve as a support and the gap blocking of the floor extension 17, the support portion 18 extends inclined downward from the end of the bottom extension 17 of the deck plate 10 When one side is coupled to the overlapping groove portion 16a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adjacent deck plate 10, the inclined connection portion 18a that acts as a spring, and the horizontal extension portion 18b extending horizontally from the inclined connection portion 18a It is characterized by the configuration.
  •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making the ceiling flat when demolding the deck plate after curing, while sufficiently preventing sagging, bending, and lifting due to the weight caused by concrete placing.
  • FIG. 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ormwork panel using a conventional deck plate
  • FIG. 2 is a configuration of the ceiling panel formwork panel using a deck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bottom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 FIG. 4 is a front configuration diagram of a deck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process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process of demolding the deck plate after concrete pouring and curing using the ceiling panel form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front view of the deck plate is changed in the configuration of the plate por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figuration when combined,
  • FIG. 7 is a view illustrating an enlarged configuration diagram and a coupling process of FIG. 6;
  • FIG. 9 to 10 are views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deck pl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 the ceiling formwork panel 2 is coupled to the spacer 20 to the upper portion of the deck plate 10 through the fastener 30, the spacer 20 Combining the truss girder 40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ormwork panel (2).
  • the spacer 20 is fixedly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deck plate 10, and the truss girder 40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pacer 20 to form a ceiling panel formwork 2.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will be omitted.
  • Deck plat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o be arranged to the left and right reinforcing portion 12 protruding downward based on the bottom portion (11).
  • the reinforcement portion 12 is to replace the reinforcement portion (120 of FIG. 1) of the form protruding upward from the conventional deck plate to give structural stability when placing concrete, and bottom portion 11 is formed to be arranged left and right It makes the top surface flat with respect to the whole.
  • the reinforcement part 12 is formed by bending the plate-shaped square iron plate in multiple layers below.
  • the reinforcement part 12 is formed by primary bending forming on the left and right portions of the steel plate on the basis of the part where the reinforcement part 12 is to be formed to form two layers of preliminary reinforcement parts 13. Thereafter, the preliminary reinforcement part 13 is second-bent forming to form a reinforcement part 12 that is constitutively composed of four layers.
  • the reinforcing part 12 formed by the bending forming work over two times is to be four times the thickness of the initial steel plate to structurally reinforce the supporting force against the load of the concrete.
  • the hollow part 15 is formed inside the reinforcement part 12 as a result of the secondary bending forming.
  • the second bending forming molding may ignore the formation of the hollow part 15 and form a reinforcement part 12 consisting of only four layers.
  • the reinforcement part 12 takes a tubular shape (pipe shape) to more stably withstand the load of concrete.
  • the hollow part 15 allows the reinforcing part 12 to take the form of a pipe, which has a higher bearing capacity for a load than a rod-shaped pipe.
  • the hollow part 15 may be applied with force from the side (left or right) of the reinforcement part 12 during construction as well as the load from the upper part due to the pouring of concrete. Since the hollow portion 15 is form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reinforcement 12 is not easily bent or bent.
  • the height h of the reinforcement 12 is about 8 to 20 times the thickness of the steel sheet. If the height h of the reinforcing part 12 is formed below the lower limit given above, the durability against the concrete load may be weakened, and the bending height may be difficult due to the low height.
  • the deck plate 10 is arranged so as to overlap the plate 16 of the left and right ends when arranged left and right so that the poured concrete liquid does not flow down.
  • the plate 16 is also referred to as a connecting bar bar plate 16 is generally formed by overlapping grooves (16a) when the overlap between the overlap grooves (16a) when connecting the adjacent deck plate 10 is made more robust It is possible to more effectively prevent the pouring of the poured concrete liquid.
  • the groove filling rod 50 may be coupled to the overlap groove 16a positioned at the upper side of the overlap groove 16a formed in the plate 16 between the deck plates 10 overlapping each other. .
  • the groove filling rod 50 is also coupled to the right overlapping groove portion 16a of the plate 10.
  • the groove filling rod 50 fills the groove of the overlapping groove 16a of the deck plate 10 so as to match the heigh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11.
  • the deck plate 10 of the formwork panel 2 connected to the left and right constitutes a plane with respect to the whole from the overlap groove portion 16a on one side to the bottom portion 11 and the overlap groove portion 16a on the other side. .
  • the aesthetics of the ceiling are good, and it can be easily and neatly handled even during finishing work such as painting or wallpapering.
  • the home filling rod 50 is cumbersome and needs to be transported to the work site at the time of installation of the formwork panel 2 at the top of the deck groove 10 at the site, and does not use special fixing means. It may be displaced during concrete pouring.
  • the present invention to improve the configuration of the plate portion 16 of the deck plate 10 to solve various problems of the home filling rod 50, after the concrete pouring and curing without using the home filling rod 50 Even if the deck plate 10 is demoulded, the entire ceiling can be flat.
  • the deck plate 10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ead of forming the overlapping grooves 16a on both sides in forming the plate portion 16, the other side without forming the overlapping grooves 16a on one side It consists of.
  •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ront configuration diagram and a configuration diagram at the time of coupling the deck plate 10a in which the configuration of the plate 16 is changed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 one of the open end portion 16 (right side in the drawing) of the open end portion 16 of the deck plate (10a) from the bottom portion 11 located on the outermost (right side) from the bottom portion 11 Configure the floor extension 17 extending to the outside the same as the height of.
  • the lower part of the extending portion 17 is configured to extend the support portion 18 integrally, the support portion 18 overlap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neighboring deck plate 10a when the formwork panel 2 is arranged left and right It is mounted on the top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groove portion 16a to be seated and coupled to support the bottom extension 17 positioned at the top to prevent sag and act as a gap blocking so that the poured concrete does not flow down.
  • the end portion of the bottom extension 17 in the plate 16 of the above configuration is the spacer 20 assembled to the adjacent deck plate 10a as shown in Figs. 6 and 7 (b) and (c). It is caught in the lower portion of the bottom 11 to maintain the flatness.
  • the support portion 18 supporting the bottom extension portion 17 preferably extends the inclined connection portion 18a extending downwardly from the end of the bottom extension portion 17 as shown in FIGS. 6 and 7. And a horizontal extension portion 18b extending horizontally from the inclined connection portion 18a.
  • the inclined connection portion 18a of the support portion 18 serves as a spring (elastic) bar 7 (a) shows the coupling state between the deck plate 10a when the spacer 20 is not assembled.
  • the bottom extension part 17 is pushed upward by the elasticity of the inclined connection part 18a, so that the floor extension part 17a is higher than the bottom part 11 of the neighboring deck plate 10a so as not to be horizontally maintained.
  • the ceiling is flat even to the plate part 16 when demolding the deck plate after curing the concrete, thereby providing a flat construction for the entire ceiling. Is done.
  • FIG. 8 is a view illustrating another shape of the plate 16 forming the deck plate 10a and shows that the bottom extension 17 is the same but may be implemented differently in the configuration of the support 18.
  • the reinforcing bracket 60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11 of the deck plate 10. It can be configured to be combined.
  • the reinforcement bracket 60 is preferably a 'c'-shaped orthogonal coupling with the reinforcement 12, and has a meaning to reinforce the structural strength.
  • the formwork panel 2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beam 4 as shown in Figure 9, so that the deck plate 10 constituting the truss girder deck panel 2 can be stably placed and fixed
  • the flat pad 60 can be used as a medium.
  • the flat pad 60 is positioned above the beam 4 and is disposed between the reinforcement 12 of the deck plate 10 in order to seat the deck plate 10 on the beam 4.
  • the empty spac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bottom 11 is filled.
  • the bottom portions 11 are kept flat (horizontal) without sagging to the bottom, which is to effectively prevent the concrete solution to be poured out later.
  • the deck plate for generating the above effect without using the flat pad 60 and to prevent the deck plate from easily bent Explain in view of the productivity, etc. by using the flat pad 60, the deck plate for generating the above effect without using the flat pad 60 and to prevent the deck plate from easily bent Explain.
  • the deck plate 10 forms end treatment portions 14 at both ends of the bottom portion 11, and the end treatment portion 14 is the bottom portion 11. By reinforcing the elastic strength of the lower bend to prevent sagging.
  • the end processing portion 14 forms a downwardly inclined portion 14b which is inclined downward from the end of the bottom portion 11 to the inner side of the predetermined length, that is, the bending start portion 14a, and the outer side in the downwardly inclined portion 14b.
  • the beam contact surface portion 14c extending horizontally to the end is formed.
  • the outer end of the downward inclined portion 14b extends downward so as to correspond to the height of the lower end of the reinforcement portion 12, which is the downward slope of the inclined portion 14b.
  • the beam contact surface portion 14c extending horizontally from the lower end portion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eam 4 so that the beam contact surface 14c comes into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beam 4.
  • the downward inclined portion 14b is formed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surface of the bottom portion 11, thereby increasing the resistance to bending in the left and right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eck plate 10, even if lifting the entire formwork panel 2 deck Plate 10 is not bent sag to facilitate the arrangement work at the construction site of the formwork panel 2 including the deck plate 10 during the operation.
  • the end processing part 14 of the said structure can be formed by press molding by press.
  • the ceiling when demolding the deck plate after curing while sufficiently preventing sagging, bending and lifting phenomenon with respect to the weight due to concrete placing This makes it flat.
  •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to form the formwork according to the ceiling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장거푸집 시공용 데크플레이트를 구성함에 있어서, 평판 형태의 철판을 다단 벤딩포밍으로 하방으로 돌출되는 보강부(12)를 좌우로 배열되게 형성하고, 상기 보강부(12)에 의해 구획되는 다 수개의 바닥부(11) 전체에 대한 상부면이 평탄하도록 하고, 양단 판개부(16) 중 일측 판개부(16)에는 최 외곽의 바닥부(11)로부터 일체로 연장되는 바닥연장부(17)를 구성하고, 거푸패널(2)을 좌우로 배열시 이웃하는 데크플레이트(10)의 타측에 형성된 겹침홈부(16a)의 바닥면에 얹혀져 안착되게 결합되어 바닥연장부(17)의 지지 및 틈새 막음 역할을 하는 지지부(18)로 구성하며, 바닥부(11)의 양 단부에는 단부처리부(14)를 형성하여 콘크리트 타설시 하중에 대한 구조적 안정성을 부여하고 양생 후 데크플레이트를 탈형하였을 때 천장이 평탄하게 형성되도록 하며, 타설된 콘크리트의 유출을 효과적으로 막고, 휨이 방지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규칙 제26조에 의한 보정 31.08.2016] 천장거푸집 시공용 데크플레이트
본 발명은 건물의 천장 시공시 거푸집을 형성하기 위한 건축자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천장거푸집 시공시에 사용되는 데크플레이트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은 기둥과, 보, 천장, 계단 등의 다양한 구조물을 바탕으로 이루어지는바, 건축물의 기둥인 경우에는 통상 거푸집을 형성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형성하였으며, 기둥과 기둥의 상단을 각각 연결하기 위한 보 및 천장의 경우에도 거푸집을 형성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였다.
일반적으로 천장의 시공은 보와 보 사이에 가설되어 그 위에 타설되어지는 콘크리트 및 콘크리트가 양생되어지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콘크리트 자체의 무게를 지지할 수 있는 데크플레이트 형태의 거푸패널을 많이 사용한다.
상기 데크플레이트 형태의 거푸패널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판 형상의 데크플레이트(100)를 구비하고, 데크플레이트(100)의 상부에 스페이서(200)를 피스 등과 같은 체결구(300)로 고정결합하고, 스페이서(200)의 상부에 트러스거더(400)를 결합하여 구성되는 구조체이다.
상기 구조체(거푸패널)는 보와 보 사이에 얹혀지도록 가설되고 그 상부에 콘크리트의 타설 및 양생과정을 거치게 되는바, 구조체(거푸패널)를 구성하는 데크플레이트(100)는 콘크리트의 하중에 의해 처짐이나 휨 또는 들뜸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바닥부(110)와 상방으로 돌출되는 형태의 보강부(120)를 반복적으로 형성한 형태를 갖는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하여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500) 타설 및 양생 후에는 데크플레이트(100)를 제거(탈형)하는데, 탈형 후의 천장의 형태가 데크플레이트(100)의 바닥부(110)와 보강부(120)의 형상에 준하여 형성됨에 따라 천장에 굴곡선들이 반복적으로 형성되어 미감이 좋지 않고 페이트 칠이나 도배 등의 후속작업시에도 어려움이 따르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천장거푸집 시공용 데크플레이트를 구성함에 있어서, 콘크리트 타설로 인한 무게에 대하여 처짐이나 휨 및 들뜸현상을 충분히 방지하면서도 양생 후 데크플레이트를 탈형하였을 때 천장이 평탄하게 형성되게 하여 미감을 좋게 하고 페인트 칠이나 도배 등의 마감 작업시에도 편리하고 깔끔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천장거푸집 시공용 데크플레이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천장거푸집 시공용 데크플레이트를 구성함에 있어서, 타설된 콘크리트의 유출을 효과적으로 막고, 휨이 방지되는 데크플레이트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상기의 목적에 따른 본 발명은 천장을 시공하기 위한 거푸패널(2)의 구성요소로서 반복배열되는 바닥부와 보강부 및 양단부에 위치하는 판개부로 구성되는 천장거푸집 시공용 데크플레이트에 있어서, 평판 형태의 철판을 다단 벤딩포밍으로 하방으로 돌출되는 보강부(12)를 좌우로 배열되게 형성하고, 상기 보강부(12)에 의해 구획되는 다 수개의 바닥부(11) 전체에 대한 상부면이 평탄하도록 하고, 양단 판개부(16) 중 일측 판개부(16)에는 최 외곽의 바닥부(11)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데크플레이트(10)의 일측이 이웃하는 데크플레이트(10)의 타측에 형성된 겹침홈부(16a)에 결합시 스페이서(20)의 하부에 걸림되는 바닥연장부(17)를 구성하고, 거푸패널(2)을 좌우로 배열시 이웃하는 데크플레이트(10)의 타측에 형성된 겹침홈부(16a)의 바닥면에 얹혀져 안착되게 결합되어 바닥연장부(17)의 지지 및 틈새 막음 역할을 하는 지지부(18)로 구성하되, 상기 지지부(18)는 바닥연장부(17)의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데크플레이트(10)의 일측이 이웃하는 데크플레이트(10)의 타측에 형성된 겹침홈부(16a)에 결합시 스프링역할을 하는 경사연결부(18a)와, 상기 경사연결부(18a)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는 수평연장부(18b)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 타설로 인한 무게에 대하여 처짐이나 휨 및 들뜸현상을 충분히 방지하면서도 양생 후 데크플레이트를 탈형하였을 때 천장이 평탄하게 형성되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바닥부의 양 단부에 단부처리부를 형성함으로써 보강부 간에 형성되는 공간을 통한 타설된 콘크리트의 유출을 효과적으로 막고, 데크플레이트의 휨을 방지하여 현장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거푸패널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천장시공용 거푸패널 구성도,
도 3은 도 2의 저부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크플레이트의 정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장시공용 거푸패널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 후 데크플레이트를 탈형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과정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판개부의 구성이 변경된 데크플레이트의 정면 구성도 및 결합시 구성도,
도 7은 도 6의 요부 확대 구성도 및 결합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데크플레이트의 판개부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데크플레이트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11은 도 10의 A-A선 단면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와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천장시공용 거푸패널(2)은 데크플레이트(10)의 상부에 스페이서(20)를 체결구(30)를 통하여 결합하고, 스페이서(20)의 상부에 트러스거더(40)를 결합하여 거푸패널(2)를 구성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데크플레이트(10)의 상부에 스페이서(20)를 고정결합하고, 스페이서(20)의 상부에 트러스거더(40)를 결합함으로써 천장시공용 거푸패널(2)을 구성하는 공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는 거푸패널(2)을 구성하는 데크플레이트(10)의 특징적인 구성과 이를 이용한 천장시공용 거푸패널(2)의 시공시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크플레이트(10)는 바닥부(11)를 기준으로 하방으로 돌출되는 보강부(12)를 좌우로 배열되게 형성한다.
상기 보강부(12)는 종래의 데크플레이트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형태의 보강부(도 1의 120)를 대신하여 콘크리트 타설시 구조적 안정성을 부여하게 되며, 아울러 좌우로 배열 형성되는 바닥부(11) 전체에 대하여 상부면이 평탄하도록 해준다.
도 4를 참고하면 보강부(12)는 평판 형태의 사각 철판을 하방으로 다 수겹으로 벤딩처리 함으로써 형성된다.
상기 보강부(12)는 보강부(12)가 형성될 부분을 기준으로 좌우의 일정 부분의 철판에 대하여 1차 벤딩포밍성형하여 두 겹의 예비 보강부(13)를 형성한다. 그 후 상기 예비 보강부(13)를 다시 2차 벤딩포밍성형하여 천체적으로 4겹으로 구성되는 보강부(12)를 형성한다.
2차에 걸친 벤딩포밍작업으로 형성되는 보강부(12)는 최초 철판 두께의 4배가 되는 것으로서 콘크리트의 하중에 대하여 구조적으로 지지력을 보강하게 된다.
2차 벤딩포밍시 예비 보강부(13)의 단부(13a)가 바닥부(11)의 하부면에 맞닿도록 성형하는 것이 콘크리트 타설시 구조적 견고함을 유지하는데 있어서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에의 실시 예에서는 2차 벤딩포밍성형 결과 보강부(12)의 내부에는 중공부(15)가 형성되도록 한다.
여기서 2차 벤딩포밍성형시 상기 중공부(15)의 형성을 무시하고 단순히 4겹으로만 이루어진 보강부(12)를 형성할 수도 있다.
그러나 중공부(15)를 형성함에 따라 보강부(12)가 관형태(파이프 형태)를 취함으로써 콘크리트의 하중에 대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견딜 수 있도록 한다. 참고로 중공부(15)는 보강부(12)를 파이프형태를 취하게 하는바 이는 속이 꽉찬 봉형태의 파이프에 비하여 하중에 대한 지지력이 높다.
상기와 같이 중공부(15)는 콘트리트의 타설에 의한 상부로부터의 하중은 물론 시공시에 보강부(12)의 측면(좌측 또는 우측)에서 힘이 가해질 수 있는데 이때도 보강부(12)는 관형태의 중공부(15)가 형성되어 있어 보강부(12)가 쉽게 꺾여 주저앉거나 휘어지지 않는 장점이 있다.
상기 보강부(12)의 높이(h)는 철판 두께의 8∼20배 내외로 한다. 만약 보강부(12)의 높이(h)를 상기 제시된 하한치 이하로 형성하면 콘크리트 하중에 대한 내구성이 약해질 수 있고 낮은 높이로 인하여 벤딩처리에도 어려움이 뒤따르게 된다.
반대로 상한치 이상으로 하게 되면 재료비의 상승과 시공의 어려움이 뒤따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데크플레이트(10)는 좌우로 배열될 때 좌우 양단의 판개부(16)가 서로 겹쳐지도록 배열하여 타설된 콘크리트 액이 밑으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판개부(16)는 연결부라고도 일컬어지는바 판개부(16)는 일반적으로 겹침홈부(16a)를 형성하여 이웃하는 데크플레이트(10) 연결시 겹침홈부(16a) 간의 겹침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보다 견고하면서 타설된 콘크리트 액의 흘러내림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되도록 한다.
즉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보와 보 사이 거푸패널(2)을 좌우로 연결 설치시 거푸패널(2)을 구성하는 데크플레이트(10)의 양단 겹침홈부(16a)를 통하여 이웃하는 거푸패널(2)의 데크플레이트(10) 간과의 겹침홈부(16a)를 서로 겹침되게 결합하여 거푸패널(2) 좌우 간을 견고하게 연결고정 되게할 수 있다.
그러나 이때 데크플레이트(10)의 양단 판개부(16)에 형성된 겹침홈부(16a)에 의하여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후 데크플레이트 탈형시 이 부분의 천장 형태가 겹침홈부(16a)의 형상에 준하여 형성됨에 따라 미감이 좋지 않고 페이트 칠이나 도배 등에 어려움이 뒤따르게 된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이웃하여 겹침되는 데크플레이트(10) 간의 판개부(16)에 형성된 겹침홈부(16a) 중 상부에 위치하는 겹침홈부(16a)에는 홈메움용 쫄대(50)를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연결설치되는 거푸패널(2) 중 최좌측에 설치되는 거푸패널(2)을 구성하는 데크플레이트(10)의 좌측 겹침홈부(16a)와 최우측에 설치되는 거푸패널(2)을 구성하는 데크플레이트(10)의 우측 겹침홈부(16a)에도 홈메움용 쫄대(50)를 결합한다.
상기 홈메움용 쫄대(50)는 데크플레이트(10)의 겹침홈부(16a) 홈을 채워줌으로써 바닥부(11)의 상부면의 높이와 일치되게 해준다.
이는 좌우로 연결 설치되는 거푸패널(2)의 데크플레이트(10)는 일측의 겹침홈부(16a)로부터 시작하여 바닥부(11) 및 타측의 겹침홈부(16a)까지 전체에 대하여 평면을 구성하게 된다.
따라서, 도 5를 참고하면, 거푸패널(2) 상부에 콘크리트(70)를 타설하더라도 보강부(12)로 인하여 무게에 대하여 처짐이나 휨 및 들뜸현상이 방지되면서도, 콘크리트 양생 후 데크플레이트(10)를 탈형하였을 때 천장이 평탄하게 형성된다
그에 따라 천장의 미감이 좋으며, 페인트 칠이나 도배 등의 마감 작업시에도 쉽고 깔끔하게 처리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홈메움용 쫄대(50)는 현장에서 거푸패널(2) 설치시에 데크플레이트(10)의 겹침홈부(16a) 상부에 일일이 위치시켜야 하므로 번거롭고 작업현장까지 운반해야 하며 특별한 고정 수단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콘크리트 타설시에 위치이동이 될 수도 있다.
또한, 별도로 생산을 해야 하는 구성요소로서 전체적인 건축비를 높이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홈메움용 쫄대(50)의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데크플레이트(10)의 판개부(16) 구성을 개선하여 홈메움용 쫄대(50)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 후 데크플레이트(10)를 탈형하더라도 천장 전체가 평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데크플레이트(10)를 좌우로 연결 배열할 때 이웃하는 데크플레이트(10) 단부 간에 서로 겹쳐지는 판개부(16)에 대하여 결합이 용이하면서도 결합 후 어떠한 힘을 가하지 않은 자연상태에서도 결합된 상태가 밀착유지 되게 하여 타설되는 콘크리트액의 유출을 방지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데크플레이트(10a)는 판개부(16)를 구성함에 있어서 양측에 겹침홈부(16a)를 형성하는 대신에 일측에는 겹침홈부(16a)를 형성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성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판개부(16)의 구성이 변경된 데크플레이트(10a)의 정면 구성도 및 결합시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데크플레이트(10a)의 양단 판개부(16) 중 일측 판개부(16)(도면상으로는 우측)에는 최 외곽(우측)에 위치하는 바닥부(11)로부터 상기 바닥부(11)의 높이와 동일하게 외곽으로 연장되는 바닥연장부(17)를 구성한다.
그리고 바닥연장부(17)의 하부에는 지지부(18)를 일체로 연장되게 구성하는바, 지지부(18)는 거푸패널(2)을 좌우로 배열시 이웃하는 데크플레이트(10a)의 타측에 형성된 겹침홈부(16a)의 바닥면 상부에 얹혀져 안착되게 결합되어 상부에 위치하는 바닥연장부(17)를 지지하여 처짐을 방지함과 동시에 틈새 막음 역할을 하여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흘러내리지 않도록 한다.
상기 구성의 판개부(16)에서 바닥연장부(17)의 단부는 도 6 및 도 7의 (b)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웃하는 데크플레이트(10a)에 조립된 스페이서(20)의 하부에 걸림되어 바닥부(11)를 기준으로 평탄이 유지된다.
이는 콘크리트 타설시에 천정의 평탄을 위해 기존의 겹침홈부(16a)에 홈메움용 쫄대(50)를 결합해야 했던 번거로움을 대신하게 된다.
바닥연장부(17)부를 지지하는 지지부(18)는 바람직하게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연장부(17)의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연결부(18a)를 연장형성하고, 경사연결부(18a)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는 수평연장부(18b)로 구성한다.
지지부(18)의 경사연결부(18a)는 스프링(탄성) 역할을 하게 되는바 도 7의 (a)는 스페이서(20) 미조립시 데크플레이트(10a) 간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이때는 경사연결부(18a)의 탄성에 의해 바닥연장부(17)가 상부로 밀려나 이웃하는 데크플레이트(10a)의 바닥부(11)보다 높아 서로 간에 수평유지가 안된다.
그러나, 도 7의 (b)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크플레이트(10a) 상에 스페이서(20)가 조립된 상태에서는 바닥연장부(17)의 단부가 스페이서(20)의 하부에 걸림되므로 거푸패널(2) 연결 배열시 경사연결부(18a)는 바닥연장부(17)와 수평연장부(18b) 간의 반발력을 일으키게 하여 틈새를 보다 세밀하게 막게 된다. 이는 타설 되는 콘크리트의 흘러내림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하게 된다.
특히, 도 7의 (b)와 같이 결합시에는 데크플레이트(10)의 양측 중 바닥연장부(17) 및 지지부(18)가 형성된 일측 판개부(16) 부분을 이웃하는 데크플레이트(10)의 타측 겹침홈부(16a)에 위치시키되 상기 일측 판개부(16)가 하부로 향하도록 경사을 유지하게 위치시킨다.
그 후 데크플레이트(10)를 이웃하는 데크플레이트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도록 하면서 손에 의해 상부로 들려 올려진 타측 부분을 천천히 하부로 내리게 되면 데크플레이트(10)는 점차적으로 수평을 유지해 나가게 되며 이 과정에서 바닥연장부(17)의 단부는 자연스레 스페이서(20)의 하부에 걸림이 된다.
그 후 데크플레이트(10)의 타측 부분을 잡고 있던 손을 완전히 놓기만 하면 (b)와 같이 자연적으로 판개부(16)의 결합이 완료되는바 아무런 힘을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수평연장부(18b)의 반발력으로 밀착된 상태가 그대로 유지된다. 이는 결합의 견고함의 유지는 물론 타설되는 콘크리트액의 유출을 보다 효과적으로 막아주게 된다.
또한, 바닥연장부(17)는 바닥부(11)의 높이와 동일하게 연장형성됨에 따라 콘크리트 양생 후 데크플레이트 탈형시 판개부(16) 부분까지도 천장이 평탄하게 형성되어 천장 전체에 대하여 평탄한 시공이 이루어진다.
도 8은 데크플레이트(10a)를 구성하는 판개부(16)의 다른 형상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바닥연장부(17)의 구성은 동일하지만 지지부(18)의 구성에서 다르게 실시 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한편, 데크플레이트(10a)의 타측 판개부(16)에는 일반적으로 형성하는 겹침홈부(16a)를 그대로 형성하되 일측 판개부(16)에 형성된 바닥연장부(17) 및 지지부(18)의 갯 수에 준하여 하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을 참고하면, 데크플레이트(10)의 상부에 체결구(30)를 통하여 스페이서(20)를 결합함에 있어서, 데크플레이트(10)의 바닥부(11) 하부면에는 보강브라켓(60)이 결합되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보강브라켓(60)은 ‘ㄷ’자형으로서 보강부(12)와 직교되게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구조적 강도를 보강하는데 의미가 있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거푸패널의 구성을 보여준다.
본 발명의 거푸패널(2)은 도 9에서와 같이 보(4)의 상부에 위치되는바, 상기 트러스거더형 데크패널(2)을 구성하는 데크플레이트(10)가 안정적으로 놓여져 고정될 수 있도록 평탄패드(60)를 매개체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평탄패드(60)는 보(4)의 상부에 위치되며 데크플레이트(10)를 보(4) 상부에 안착되도록 함에 있어서 데크플레이트(10)의 보강부(12) 사이에 존재하는 빈공간 즉 바닥부(11)의 하부에 형성되는 빈공간이 메워지도록 한다.
이러한 작용에 의해 바닥부(11)들은 하부로 처지지 않고 평탄(수평)이 유지되도록 하며, 이는 차후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액이 유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게 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평탄패드(60)를 사용함에 따른 생산성 등을 고려하여 볼 때 평탄패드(60)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상기 효과를 발생시킴과 아울러 데크플레이트가 쉽게 휘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데크플레이트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0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데크플레이트(10)는 바닥부(11)의 양 단부에 단부처리부(14)를 형성하는바 상기 단부처리부(14)는 바닥부(11)의 탄성강도를 보강하여 하부로 휘어져 처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바닥부(11)의 양 단부 즉, 보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보강부(12) 간에 형성되는 공간 부분을 폐쇄하여 타설된 콘크리트액이 유출되는 현상을 해결한다.
상기 단부처리부(14)는 바닥부(11)의 단부로부터 일정 길이의 내측 즉 절곡시작부(14a)에서 외측 하방으로 경사지는 하향경사부(14b)를 형성하고, 하향경사부(14b)에서 외측단까지 수평으로 연장되는 보접촉면부(14c)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하향경사부(14b)를 형성함에 있어서 하향경사부(14b)의 외측단부가 보강부(12)의 하단부 높이에 준하도록 하향 연장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바, 이는 하향경사부(14b)의 하단부로부터 수평으로 연장형성되는 보접촉면부(14c)가 보(4)의 상부면에 얹혀져 안착될 때 보(4) 상부면에 밀착접촉되게 한다.
이러한 결과에 의하여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시된 평탄패드(60)를 매개체로 사용하지 않고서도 보강부(12) 간에 형성되는 공간 부분을 폐쇄함으로써 타설된 콘크리트의 유출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게 된다.
상기 하향경사부(14b)는 바닥부(11)의 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됨에 따라데크플레이트(10)의 좌우 길이 방향에 대하여 휨에 대한 저항성을 높여 줌으로써 거푸패널(2) 전체를 들어올리더라도 데크플레이트(10)가 휘어져 처지지 않게 되어 작업시 데크플레이트(10)를 포함하는 거푸패널(2)의 건설 현장에서 배열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상기 구성의 단부처리부(14)는 프레스에 의한 강압성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장거푸집 시공용 데크플레이트(10)를 구성함에 있어서, 콘크리트 타설로 인한 무게에 대하여 처짐이나 휨 및 들뜸현상을 충분히 방지하면서도 양생 후 데크플레이트를 탈형하였을 때 천장이 평탄하게 형성되게 해준다.
아울러 상기 제시된 평탄패드(60)를 매개체로 사용하지 않고서도 보강부(12) 간에 형성되는 공간을 통하여 유출될 수 있는 콘크리트액 타설액에 대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막고, 데크플레이트(10)의 휨을 방지하여 현장 작업을 보다 경제적이며 용이하게 시공해 줄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 및 그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본 발명은 천장시공에 따른 거푸집을 형성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Claims (4)

  1. 천장을 시공하기 위한 거푸패널(2)의 구성요소로서 반복배열되는 바닥부와 보강부 및 양단부에 위치하는 판개부로 구성되는 천장거푸집 시공용 데크플레이트에 있어서,
    평판 형태의 철판을 다단 벤딩포밍으로 하방으로 돌출되는 보강부(12)를 좌우로 배열되게 형성하고, 상기 보강부(12)에 의해 구획되는 다 수개의 바닥부(11) 전체에 대한 상부면이 평탄하도록 하고,
    양단 판개부(16) 중 일측 판개부(16)에는 최 외곽의 바닥부(11)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데크플레이트(10)의 일측이 이웃하는 데크플레이트(10)의 타측에 형성된 겹침홈부(16a)에 결합시 스페이서(20)의 하부에 걸림되는 바닥연장부(17)를 구성하고, 거푸패널(2)을 좌우로 배열시 이웃하는 데크플레이트(10)의 타측에 형성된 겹침홈부(16a)의 바닥면에 얹혀져 안착되게 결합되어 바닥연장부(17)의 지지 및 틈새 막음 역할을 하는 지지부(18)로 구성하되,
    상기 지지부(18)는 바닥연장부(17)의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데크플레이트(10)의 일측이 이웃하는 데크플레이트(10)의 타측에 형성된 겹침홈부(16a)에 결합시 스프링역할을 하는 경사연결부(18a)와, 상기 경사연결부(18a)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는 수평연장부(18b)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거푸집 시공용 데크플레이트.
  2. 천장을 시공하기 위한 거푸패널(2)의 구성요소로서 반복배열되는 바닥부와 보강부 및 양단부에 위치하는 판개부로 구성되는 천장거푸집 시공용 데크플레이트에 있어서,
    평판 형태의 철판을 다단 벤딩포밍으로 하방으로 돌출되는 보강부(12)를 좌우로 배열되게 형성하고, 상기 보강부(12)에 의해 구획되는 다 수개의 바닥부(11) 전체에 대한 상부면이 평탄하도록 하고,
    양단 판개부(16) 중 일측 판개부(16)에는 최 외곽의 바닥부(11)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데크플레이트(10)의 일측이 이웃하는 데크플레이트(10)의 타측에 형성된 겹침홈부(16a)에 결합시 스페이서(20)의 하부에 걸림되는 바닥연장부(17)를 구성하고, 거푸패널(2)을 좌우로 배열시 이웃하는 데크플레이트(10)의 타측에 형성된 겹침홈부(16a)의 바닥면에 얹혀져 안착되게 결합되어 바닥연장부(17)의 지지 및 틈새 막음 역할을 하는 지지부(18)로 구성하되,
    상기 지지부(18)는 바닥연장부(17)의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데크플레이트(10)의 일측이 이웃하는 데크플레이트(10)의 타측에 형성된 겹침홈부(16a)에 결합시 스프링역할을 하는 경사연결부(18a)와, 상기 경사연결부(18a)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는 수평연장부(18b)로 구성하며,
    바닥부(11)의 양 단부에는 단부처리부(14)를 형성하되, 상기 단부처리부(14)는 바닥부(11)의 절곡시작부(14a)에서 외측 하방으로 경사지며 보강부(12)의 하단부 높이에 준하도록 연장되는 하향경사부(14b)를 형성하고, 하향경사부(14b)에서 외측단까지 수평으로 연장되는 보접촉면부(14c)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거푸집 시공용 데크플레이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보강부(12)는 2차에 걸친 벤딩포밍으로 4겹으로 구성되게 하되 보강부(15)의 내부에는 중공부(15)를 형성함을 함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거푸집 시공용 데크플레이트.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플레이트(10)의 겹침홈부(12)에는 홈이 메워지게 하여 데크플레이트(10)의 상부면 전체가 평탄하도록 하는 홈메움용 쫄대(50)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거푸집 시공용 데크플레이트.
PCT/KR2016/009335 2015-09-03 2016-08-23 천장거푸집 시공용 데크플레이트 WO2017039212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4962A KR101590444B1 (ko) 2015-04-13 2015-09-03 천장거푸집 시공용 데크플레이트 간의 결합구조
KR10-2015-0124962 2015-09-03
KR10-2015-0167694 2015-11-27
KR1020150167694A KR101648851B1 (ko) 2015-11-27 2015-11-27 천장거푸집 시공용 데크플레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39212A1 true WO2017039212A1 (ko) 2017-03-09

Family

ID=56873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6/009335 WO2017039212A1 (ko) 2015-09-03 2016-08-23 천장거푸집 시공용 데크플레이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48851B1 (ko)
WO (1) WO201703921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60725B2 (en) * 2018-01-29 2023-01-24 Inquik Ip Holdings Pty Ltd Formwork bra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0535B1 (ko) * 2016-11-22 2017-02-27 구연진 거푸집 시공용 데크플레이트
KR101752745B1 (ko) * 2017-01-06 2017-06-30 구연진 데크플레이트 배열시 연결부의 결속력과 씰링구조를 갖는 거푸집 시공용 데크플레이트
KR101758588B1 (ko) * 2017-02-15 2017-07-14 주식회사 상아뉴매틱 탈형 데크 플레이트 조립방법 및 이에 의해 조립된 탈형 데크 플레이트
CN107152122B (zh) * 2017-06-15 2019-11-12 中国五冶集团有限公司 预制叠合板、预制叠合板拼缝结构及拼缝挤注混凝土砂浆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72190A (ja) * 1992-03-26 1993-10-19 Fudo Technical:Kk 合成スラブ
KR940015123A (ko) * 1992-12-11 1994-07-20 이영천 건축물 바닥골조용 데크(Deck)
JPH07238621A (ja) * 1994-02-28 1995-09-12 Nippon Kokan Raito Steel Kk デッキプレート
KR200426483Y1 (ko) * 2006-06-07 2006-09-19 (주)파워데크 콘크리트 슬래브용 데크패널의 데크 플레이트
KR101460013B1 (ko) * 2014-06-23 2014-11-12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단부처리 탈형 데크 플레이트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2377B1 (ko) 2010-09-16 2012-11-16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트러스거더 일체형 데크플레이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72190A (ja) * 1992-03-26 1993-10-19 Fudo Technical:Kk 合成スラブ
KR940015123A (ko) * 1992-12-11 1994-07-20 이영천 건축물 바닥골조용 데크(Deck)
JPH07238621A (ja) * 1994-02-28 1995-09-12 Nippon Kokan Raito Steel Kk デッキプレート
KR200426483Y1 (ko) * 2006-06-07 2006-09-19 (주)파워데크 콘크리트 슬래브용 데크패널의 데크 플레이트
KR101460013B1 (ko) * 2014-06-23 2014-11-12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단부처리 탈형 데크 플레이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60725B2 (en) * 2018-01-29 2023-01-24 Inquik Ip Holdings Pty Ltd Formwork bra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8851B1 (ko) 2016-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039212A1 (ko) 천장거푸집 시공용 데크플레이트
CN106285051B (zh) 一种预制卫生间及其建造和安装方法
WO2016085187A1 (ko) 트러스거더 고정용 스페이서 및 이를 이용한 데크플레이트와 트러스거더 간의 결합구조
KR200481707Y1 (ko) 거푸집 겸용 외장벽판
KR20110032203A (ko) 슬라브 패널 및 그의 설치 시스템, 슬라브 패널의 조립 및 해체 방법
CN111663659B (zh) 错层同步施工方法
KR20190115655A (ko) 단열블록을 거푸집 대신 사용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제작틀 및 이의 설치방법
KR20170013011A (ko) 더블 월 피씨들의 접합 시공방법 및 이에 의한 접합구조
WO2016129800A1 (ko) 원터치 고정형 격자철선을 이용한 철근 일체형 합성구조
KR20180072267A (ko) 건축물용 조립식 거푸집 패널
KR20220037603A (ko) Pc모듈러 구조물간 접합구조를 갖는 분리형 pc모듈러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pc모듈러 구조물 간의 수직 접합구조, pc모듈러 구조물 간의 수평 접합구조
WO2016010255A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하고 시공이 용이한 데크 플레이트
KR100860064B1 (ko) 조립식 거푸집의 슬래브패널구조
KR101327784B1 (ko) 높이 조절용 데크 플레이트
CN208415492U (zh) T形板装配式框架体系
KR102700652B1 (ko) 일체형 바닥부가 형성된 역 u형 pc모듈러 구조물
WO2015026028A1 (ko) 주택시공용 콘크리트 구조체
CN213062942U (zh) 一种建筑施工用密肋梁模壳固定装置
CN201033943Y (zh) 整体式电梯井模板
CN205100543U (zh) 商业大厦新型建造系统
CN209891597U (zh) 高端梯梁支承处设滑动支座的现浇板式楼梯
CN203669175U (zh) 一种钢筋混凝土空心楼板
KR102620613B1 (ko) 엘리베이터 코어 시공을 위한 조립식 데크 시공 방법
CN103469952A (zh) 一种钢筋混凝土空心楼板及施工方法
CN115928935B (zh) 一种全预制镂空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684217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684217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