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1507B1 - 슬래브용 매립형 앵커 - Google Patents

슬래브용 매립형 앵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1507B1
KR102321507B1 KR1020210055879A KR20210055879A KR102321507B1 KR 102321507 B1 KR102321507 B1 KR 102321507B1 KR 1020210055879 A KR1020210055879 A KR 1020210055879A KR 20210055879 A KR20210055879 A KR 20210055879A KR 102321507 B1 KR102321507 B1 KR 1023215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anchor
cap
nut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58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추용대
송헌영
김명희
추혜진
Original Assignee
추용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용대 filed Critical 추용대
Priority to KR10202100558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15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15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15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5/00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 E04G15/04Cores for anchor holes or the like around anchors embedded in the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 E04B1/4114Elements with soc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이 건 발명은 슬래브용 매립형 앵커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이 건 발명은 거푸널의 상부에 앵커 하우징이 직립되게 구비되어지고, 상기 앵커 하우징의 상부에 앵커 너트의 하단이 소정 깊이로 끼워지게 구비되어지고, 상기 앵커 너트가 끼워지는 앵커 하우징의 상부에 하우징 캡이 결합되어지게 구비된 슬래브용 매립형 앵커에 있어서, 상기 앵커 하우징은 중공형태를 갖는 하우징 몸체의 하부에 외측으로 확장된 형태를 갖는 하우징 플랜지가 구비되어지고, 상기 하우징 플랜지에 일정 간격을 갖는 다수개의 고정홀이 구비되어짐으로서 상기 고정홀을 관통한 고정 피스에 의하여 상기 거푸널의 상부에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이 건 발명은 거푸널을 분리시킨 후 이어지는 천공 및 앵커작업 없이 배수관의 설치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슬래브용 매립형 앵커{IMBEDDED ANCHOR FOR SLAB}
이 건 발명은 슬래브용 매립형 앵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거푸집의 상부에 앵커 너트가 앵커 하우징 및 하우징 캡에 의하여 직립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여 타설되어지는 콘크리트에 매립되어지도록 함으로써, 거푸집을 분리시킨 후 이어지는 천공 및 앵커작업 없이 배관의 설치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의 하부에 설치되는 배수관의 경우에는 교량 설계단계에 계획되어 마지막 단계에 시공되므로 콘크리트 거푸집을 제거 후 크레인을 이용하여 교량 하부를 천공하고, 천공 후에 앵커를 삽입하여 배관 설치 작업이 진행된다.
배관 지지용 앵커볼트를 삽입하기 위해서는 교량의 하부에 천공작업이 선행되는 과정에서 고하중의 장비를 사용하여 상향 수직 천공 으로 변경에 따른 작업자의 피로도 증가와 상대적으로 넓게 천공되게 되는 작업 특성상 앵커의 지지력 감소에 따른 안전문제와 배근 철근과의 간섭이 발생하면 천공부위를 이동하여 재 천공을 하는 작업시간 증가 등 전체적으로 공사기간과 시공비 증가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건물의 천장과 같은 설치면에 상수관과 하수관 및 옥내 배관 등으로 사용되는 각종 파이프를 설치할 경우, 슬래브 인서트는 거푸집이나 알루미늄 거푸집에 적용되며, 이러한 인서트의 종래 기술로 등록특허공보 제 10-0697220호(2007 .03.13.)의 기술이 제안되었으나, 제안된 기술은 배관 파이프가 지지 고정되는 지지 브래킷에 외부 충격 및 진동이 가해지거나, 지지 브래킷 및 지지 브래킷에 결합되어 상,하수관 또는 옥내 배관 등의 파이프가 지지되는 반원밴드의 하중에 의해 천장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어 파이프가 지지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 10-0697220호(2007.03.13.)
이 건 발명은 상,하수도관을 지지하기 위한 천공 및 앵커를 설치함에 있어서 기존 거푸집 해체 후 시행하던 앵커 설치작업을 하지않고 콘크리트 타설과 함께 설치된 매립형 앵커에 바로 상,하수도관 지지대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 건 발명은 거푸널(M)의 상부에 앵커 하우징(10)이 직립되게 구비되어지고, 상기 앵커 하우징(10)의 상부에 앵커 너트(20)의 하단이 소정 깊이로 끼워지게 구비되어지며, 상기 앵커 너트(20)가 끼워지는 앵커 하우징(10)의 하우징 몸체(110) 상부에 하우징 캡(30)이 결합되어지게 구비된 슬래브용 매립형 앵커(A)에 있어서, 상기 앵커 하우징(10)은 중공형태를 갖는 하우징 몸체(110)의 하부에 외측으로 확장된 형태를 갖는 하우징 플랜지(120)가 구비되어지고, 상기 하우징 플랜지(120)에 일정 간격을 갖는 다수개의 고정홀(121)이 구비되어 상기 고정홀(121)을 관통한 고정 피스(P)에 의하여 상기 앵커 하우징(10)이 상기 거푸널(M)의 상부에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앵커 하우징(10)의 하우징 플랜지(120)에 구비된 고정홀(121)은 상기 거푸집 널(M)을 분리할 때 상기 고정 피스(P)가 상기 앵거 하우징(10)으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하단부의 두께가 얇게 형성되는 단턱형태를 갖도록 구비되고, 상기 앵커 하우징(10)의 하우징 몸체(110)와 하우징 플랜지(120)가 만나는 부분에는 다수개의 보강 리브(130)가 일정 간격을 갖도록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 플랜지(120)의 가장자리 상부측에는 링형태를 갖는 링형 보강리브(122)가 상부로 돌출되어 일체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앵커 하우징(10)의 하우징 몸체(110)는 원통형태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6각형태를 갖는 앵커 너트 삽입홈(111)이 축방향으로 구비되어지며, 상기 앵커 너트 삽입홈(111)의 하부에는 볼트(BT)가 삽입되어지는 볼트 삽입홀(112)이 구비되어지되, 상기 볼트 삽입홀(112)의 하부에는 단턱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 하단부에 얇은 차단막(112-1)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 캡(30)은 링형태를 갖는 캡 몸체(310)의 상부에 캡 헤드(311)가 일체로 구비되어지되, 상기 캡 몸체(310)의 하부 내주면은 상기 앵커 하우징(10)의 하우징 몸체(110)가 삽입되어지도록 상기 하우징 몸체(110)의 외주면과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캡 몸체(310)의 상부 캡 헤드(311)에는 상기 앵커 너트(20)가 관통되어지도록 6각 형태의 관통홀(312)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앵커 너트(20)의 내주연부는 상기 볼트(BT)가 나사결합되도록 암나사부(210)가 구비되어지고, 외주연부는 6각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앵커 너트(20)의 하단이 상기 앵커 하우징(10)의 하우징 몸체(110)에 구비된 6각 형태의 앵커 너트 삽입홈(111)에 끼워지며, 상기 앵커 너트(20)의 상부가 상기 하우징 캡(30)의 캡 헤드(311) 상부에 형성된 6각 형태의 관통홀(312) 상부로 관통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앵커 너트(20)의 암나사부(210)는 상부 암나사부(211)와 하부 암나사부(212)로 구비되어지되, 상부 암나사부(211)와 하부 암나사부(212)가 만나는 부분에 나사레스부(213)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앵커 너트(20)는 내주연부는 상기 볼트(BT)가 나사결합되도록 암나사부(210)가 구비되어지고, 외주연부는 6각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앵커 너트(20)의 하단이 상기 앵커 하우징(10)의 하우징 몸체(110)에 구비된 6각 형태의 앵커 너트 삽입홈(111)에 끼워지고, 상기 앵커 너트(20)의 상부가 상기 하우징 캡(30)의 캡 헤드(311) 상부에 형성된 6각 형태의 관통홀(312) 상부로 관통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 캡(30)은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ethylene propylene rubber;EPDM)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이 건 발명은 거푸집의 상부에 앵커 너트가 앵커 하우징 및 하우징 캡에 의하여 직립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타설되어지는 콘크리트에 안정되게 매립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거푸집을 분리시킨 후 이어지는 천공 및 앵커작업 없이 배관의 설치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작업 공기를 줄여 전체적으로 시공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이를 통해 고하중 장비를 사용한 수직 천공 작업이 없음으로써, 작업자의 피로도 감소 및 콘크리트 천공에 따른 분진발생 방지, 구조물 손상 방지, 고소작업 최소화에 따른 산업재해 방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1은 이 건 발명에 따른 슬래브용 매립형 앵커가 거푸집의 상부에 하부가 얹혀져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2는 이 건 발명에 따른 슬래브용 매립형 앵커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3은 이 건 발명에 따른 슬래브용 매립형 앵커를 분리하여 도시한 저면 사시도.
도4a는 이 건 발명에 따른 슬래브용 매립형 앵커가 거푸집의 상부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4b는 이 건 발명에 따른 슬래브용 매립형 앵커가 거푸집의 상부에 하부가 얹혀져 결합된 상태에서 콘크리트가 타설 및 양생된 후 거푸집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이 건 발명의 따른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이 건 발명에 따른 슬래브용 매립형 앵커가 거푸집의 상부에 하부가 얹혀져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2는 이 건 발명에 따른 슬래브용 매립형 앵커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3은 이 건 발명에 따른 슬래브용 매립형 앵커를 분리하여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고, 도4a는 이 건 발명에 따른 슬래브용 매립형 앵커가 거푸집의 상부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4b는 이 건 발명에 따른 슬래브용 매립형 앵커가 거푸집의 상부에 하부가 얹혀져 결합된 상태에서 콘크리트가 타설 및 양생된 후 거푸집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 건 발명에 따른 슬래브용 매립형 앵커(A)는 타설되어지는 콘크리트에 안정되게 매립되도록 하는 가운데 천공 및 앵커작업 없이 배수관의 설치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도1 내지 도4a 및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 하우징(10), 앵커 너트(20) 및 하우징 캡(30)으로 구비된다.
상기 앵커 하우징(10)은 거푸집(M)의 상부에 직립되게 구비됨으로써, 그 상부로 구비된 앵커 너트(20)가 콘크리트속의 내부를 향하여 일정 깊이로 매립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상기 앵커 하우징(10)은 PVC를 이용한 사출성형으로 구비된 것으로, 볼트(BT)가 관통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안으로 중공형태를 갖는 하우징 몸체(110)가 거푸집(M)에 대하여 직각 즉, 직립된 형태를 갖도록 구비된다.
상기 하우징 몸체(110)는 내부에 축방향을 갖는 다각형태의 앵커 너트 삽입홈(111)이 구비되어 외주연부가 동일한 다각형태를 갖는 앵커 너트(20)가 축방향으로 용이하게 삽입되는 가운데 볼트(BT)를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유동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상기 앵커 너트 삽입홈(111)의 하부에는 볼트 삽입홀(112)이 단턱형태를 갖도록 구비되어 볼트(BT)가 하우징 몸체(110)의 하부에서 상부를 향하여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게 구비된다.
이를 위해, 상기 하우징 몸체(110)에 구비된 앵커 너트 삽입홈(111)은 다각형태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볼트 삽입홈(112)은 원통형태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건 발명에서 상기 앵커 너트 삽입홈(111)의 하부에는 볼트 삽입홀(112)이 단턱형태를 갖도록 구비되어 볼트(BT)가 하우징 몸체(110)의 하부에서 상부를 향하여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으나, 이러한 형태 이외에 상기 볼트 삽입홀(112)에 미도시한 접착 테이프를 붙여 볼트 삽입홀(112)이 막혀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콘크리트가 타설되어지는 과정에서 콘크리트액이 볼트 삽입홀(112)를 통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볼트(BT)를 삽입하는 과정에서 삽입이 안되거나, 간섭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 건 발명에서 상기 볼트 삽입홀(112)이 관통된 상태에서 콘크리트액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안으로 접착 테이프를 붙여 사용하였으나, 이러한 형태 이외에 사출성형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볼트 삽입홀(112)이 위치된 부분에 도3의 하부와 도4a 및 도4b에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얇은 차단막(112-1)의 형태를 갖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접착 테이프와 동일하게 차단막(112-1)에 의하여 내부로 콘크리트액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거푸집 널(M)을 분리시킨 상태에 차단막(112-1)이 희미하게 보여지게 되고, 차단막에 볼트(BT)를 찔러 넣음으로써, 상기 차단막(112-1)이 찢겨지면서 볼트(BT)가 삽입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하우징 몸체(110)의 하부에 외측으로 확장된 형태를 갖는 하우징 플랜지(120)가 구비되어 거푸집 널(M)에 고정 피스(P)에 의하여 안정된 형태로 결합 내지는 고정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하우징 플랜지(120)에는 일정 간격을 갖는 다수개의 고정홀(121)이 구비되어 상기 고정홀(121)을 관통한 고정 피스(P)에 의하여 상기 거푸집(M)의 상부에 결합되는 가운데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경화된 후 거푸집 널(M)을 분리시키는 과정에서 도4b의 하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피스(P)에 의하여 거푸집(M)에 고정된 부분이 절취되면서 분리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를 위해, 상기 고정홀(121)은 두께가 매우 얇은 단턱형태를 갖도록 구비됨으로써, 고정 피스(P)에 의하여 고정된 부분을 중심으로 고정 피스(P)의 테두리 부분이 용이하게 절취되면서 분리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앵커 하우징(10)의 하우징 몸체(110)와 하우징 플랜지(120)가 만나는 부분에 다수의 보강 리브(130)가 일정 간격을 갖도록 구비됨으로써, 앵커 하우징(10)이 거푸집 널(M)에 대하여 직립된 형태를 갖도록 하는 가운데 외부로부터 인위적인 하중이나 충격이 가해질 경우, 절단 또는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하우징 플랜지(120)의 가장자리 상부측에는 링형태를 갖는 링형 보강리브(122)가 상부로 돌출되어 일체로 구비됨에 따라 상기 하우징 플랜지(120)의 가장자리측의 균일도 내지는 높은 강도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앵커 너트(20)는 볼트(BT)의 상부가 앵커 하우징(10)의 하우징 몸체(110)를 관통하여 나사 결합되도록 하여 안정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상기 앵커 하우징(10)의 상부에 앵커 너트(20)의 하단이 소정 깊이로 끼워지게 구비된다.
이를 위해, 상기 앵커 너트(20)는 내주연부에 볼트(BT)와 동일한 직경과 피치를 갖는 암나사부(210)가 구비되어 있고, 외주연부가 다각형태를 갖도록 구비되어 볼트(BT)가 나사 결합되어지는 과정에서 볼트(BT)가 용이하게 나사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나사결합시 볼트(BT)와 같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한편, 상기 암나사부(210)는 상부 암나사부(211)와 하부 암나사부(212)로 구비되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때, 상부 암나사부(211)와 하부 암나사부(212)가 만나는 부분에 나사레스부(213)가 구비됨에 따라 콘크리트속으로 매립되는 매립 볼트(BT')의 하부가 일정 깊이 이상으로 결합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하부 암나사부(212)에 길이가 짧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는 하부 암나사부(212)이 길이가 짧아질 경우, 상기 하부 암나사부(212)에 결합되는 볼트(BT)의 결합부분이 짧아지게 됨에 따라 체결력이 낮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하우징 캡(30)은 앵커 너트(20)가 끼워지는 앵커 하우징(10)의 상부에 결합되어 타설되는 콘크리트액의 일부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이어지는 볼트(BT)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하우징 캡(30)은 앵커 너트(20)와 앵커 하우징(10) 사이로 콘크리트 액이 흘러 들어가 하부의 볼트 삽입홀(112)이 막히는 걸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상기 하우징 캡(30)은 링형태를 갖는 캡 몸체(310)의 상부에 다각형태의 관통홀(312)이 구비된 캡 헤드(311)가 일체로 구비되어 있고, 이러한 상기 하우징 캡(30)은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ethylene propylene rubber;EPDM)로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상기 하우징 캡(30)은 실리콘 또는 고무로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10:앵커 하우징 20:앵커 너트
30:하우징 캡 110:하우징 몸체
111:앵커 너트 삽입홈 112:볼트 삽입홀
120:하우징 플랜지 121:고정홀
130:보강 리브 210:암나사부
211:상부 암나사부 212:하부 암나사부
213:나사레스부 310:캡 몸체
311:캡 헤드 312:관통홀

Claims (7)

  1. 거푸널(M)의 상부에 앵커 하우징(10)이 직립되게 구비되어지고, 상기 앵커 하우징(10)의 상부에 앵커 너트(20)의 하단이 소정 깊이로 끼워지게 구비되어지며, 상기 앵커 너트(20)가 끼워지는 앵커 하우징(10)의 하우징 몸체(110) 상부에 하우징 캡(30)이 결합되어지게 구비된 슬래브용 매립형 앵커(A)에 있어서,
    상기 앵커 하우징(10)은 중공형태를 갖는 하우징 몸체(110)의 하부에 외측으로 확장된 형태를 갖는 하우징 플랜지(120)가 구비되어지고, 상기 하우징 플랜지(120)에 일정 간격을 갖는 다수개의 고정홀(121)이 구비되어 상기 고정홀(121)을 관통한 고정 피스(P)에 의하여 상기 앵커 하우징(10)이 상기 거푸널(M)의 상부에 결합되어지되, 상기 앵커 하우징(10)의 하우징 플랜지(120)에 구비된 고정홀(121)은 상기 거푸집 널(M)을 분리할 때 상기 고정 피스(P)가 상기 앵거 하우징(10)으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하단부의 두께가 얇게 형성되는 단턱형태를 갖도록 구비되고, 상기 앵커 하우징(10)의 하우징 몸체(110)와 하우징 플랜지(120)가 만나는 부분에는 다수개의 보강 리브(130)가 일정 간격을 갖도록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 플랜지(120)의 가장자리 상부측에는 링형태를 갖는 링형 보강리브(122)가 상부로 돌출되어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앵커 하우징(10)의 하우징 몸체(110)는 원통형태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6각형태를 갖는 앵커 너트 삽입홈(111)이 축방향으로 구비되어지며, 상기 앵커 너트 삽입홈(111)의 하부에는 볼트(BT)가 삽입되어지는 볼트 삽입홀(112)이 구비되어지되, 상기 볼트 삽입홀(112)의 하부에는 단턱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 하단부에 얇은 차단막(112-1)이 구비되어지고, 상기 하우징 캡(30)은 링형태를 갖는 캡 몸체(310)의 상부에 캡 헤드(311)가 일체로 구비되어지되, 상기 캡 몸체(310)의 하부 내주면은 상기 앵커 하우징(10)의 하우징 몸체(110)가 삽입되어지도록 상기 하우징 몸체(110)의 외주면과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캡 몸체(310)의 상부 캡 헤드(311)에는 상기 앵커 너트(20)가 관통되어지도록 6각 형태의 관통홀(312)이 구비되며, 상기 앵커 너트(20)의 내주연부는 상기 볼트(BT)가 나사결합되도록 암나사부(210)가 구비되어지고, 외주연부는 6각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앵커 너트(20)의 하단이 상기 앵커 하우징(10)의 하우징 몸체(110)에 구비된 6각 형태의 앵커 너트 삽입홈(111)에 끼워지며, 상기 앵커 너트(20)의 상부가 상기 하우징 캡(30)의 캡 헤드(311) 상부에 형성된 6각 형태의 관통홀(312) 상부로 관통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용 매립형 앵커.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 너트(20)의 암나사부(210)는 상부 암나사부(211)와 하부 암나사부(212)로 구비되어지되, 상부 암나사부(211)와 하부 암나사부(212)가 만나는 부분에 나사레스부(213)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용 매립형 앵커.
  7. 삭제
KR1020210055879A 2021-04-29 2021-04-29 슬래브용 매립형 앵커 KR1023215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5879A KR102321507B1 (ko) 2021-04-29 2021-04-29 슬래브용 매립형 앵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5879A KR102321507B1 (ko) 2021-04-29 2021-04-29 슬래브용 매립형 앵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1507B1 true KR102321507B1 (ko) 2021-11-03

Family

ID=78505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5879A KR102321507B1 (ko) 2021-04-29 2021-04-29 슬래브용 매립형 앵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15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2141B1 (ko) * 2022-02-15 2023-02-23 세명정밀 주식회사 폼세이버 커플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8504Y1 (ko) * 1995-09-27 1999-04-01 장명수 인서트를 겸한 건축물의 슬라브 두께 조정구
KR200415836Y1 (ko) * 2006-02-14 2006-05-10 조정권 데크 플레이트용 인서트 구조
KR100697220B1 (ko) 2006-05-19 2007-03-20 김태식 배관용 파이프 행거
KR20110037651A (ko) * 2009-10-07 2011-04-13 이남광 행거 고정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8504Y1 (ko) * 1995-09-27 1999-04-01 장명수 인서트를 겸한 건축물의 슬라브 두께 조정구
KR200415836Y1 (ko) * 2006-02-14 2006-05-10 조정권 데크 플레이트용 인서트 구조
KR100697220B1 (ko) 2006-05-19 2007-03-20 김태식 배관용 파이프 행거
KR20110037651A (ko) * 2009-10-07 2011-04-13 이남광 행거 고정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2141B1 (ko) * 2022-02-15 2023-02-23 세명정밀 주식회사 폼세이버 커플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6625B1 (ko) 매입형 앵커
KR102321507B1 (ko) 슬래브용 매립형 앵커
KR20210009227A (ko) 매입형 앵커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502600B1 (ko) 스트롱 앵커
KR200471167Y1 (ko) 관통슬리브 시공을 위한 클램프 구조체
JP2019060110A (ja) 手すり支柱の取付構造及びその取付方法
KR200249941Y1 (ko) 지하옹벽 구축용 거푸집 고정장치
KR102175671B1 (ko) 콘크리트 구조물 매립용 앙카 볼트 보호 커버
KR200408589Y1 (ko) 휀스용 포스트의 기초구조
WO1999061716A1 (en) Method and anchoring device for providing an anchor point in a concrete structure
KR20140029675A (ko) 일체형 앵커캡을 갖는 어스앵커 구조체
JP2019019604A (ja) 仕上げ材付き成形板
KR200142434Y1 (ko) 건축용 앵글의 고정설치구조
KR100898012B1 (ko) 안전망 설치용 앵커
KR101977762B1 (ko) 콘크리트 타설시에 앵커를 형성하기 위한 앵커 형성 장치 및 이의 시공 방법
JP2007132072A (ja) 浮上がり防止用マンホール
KR100465935B1 (ko) 지하 옹벽 구축용 거푸집 타이볼트
KR200183468Y1 (ko) 건축용 앵글의 고정설치구조
KR200378357Y1 (ko) 제거형 소일 네일의 구조
CN210086634U (zh) 一种预制外墙板
KR102547473B1 (ko) 콘크리트 구조물 매립용 앙카 볼트 설치 및 커버 장치
KR20080109133A (ko) 창호벽용 앵커의 시공방법 및 그 구조
JP6045418B2 (ja) 排水スリーブ設置用治具
CN215594928U (zh) 一种建筑模板组件
KR20190007137A (ko) 선매립형 앵커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