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8504Y1 - 인서트를 겸한 건축물의 슬라브 두께 조정구 - Google Patents

인서트를 겸한 건축물의 슬라브 두께 조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8504Y1
KR0138504Y1 KR2019950026290U KR19950026290U KR0138504Y1 KR 0138504 Y1 KR0138504 Y1 KR 0138504Y1 KR 2019950026290 U KR2019950026290 U KR 2019950026290U KR 19950026290 U KR19950026290 U KR 19950026290U KR 0138504 Y1 KR0138504 Y1 KR 01385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rt
insert body
building
concrete
tension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262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3877U (ko
Inventor
장명수
Original Assignee
장명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명수 filed Critical 장명수
Priority to KR20199500262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8504Y1/ko
Publication of KR97001387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387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85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850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02Conveying or working-up concrete or similar masses able to be heaped or cast
    • E04G21/10Devices for levelling, e.g. templates or 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인서트를 겸한 건축물의 슬라브 두께 조정구에 관한 것으로, 이는 핀(4)에 의해 거푸집 패널(1)에 일체적으로 고정되는 인서트구(10)와, 이 인서트구(10)가 수용되도록 상,하측 내면에 탭나사(12a),(13a)를 갖는 통형 지지구(12),(13)가 형성되며 외주 중앙에 육각볼트 머리(11)가 형성되는 인서트체(20)와, 상기 인서트체(20)의 상측 설치, 입설되는 텐션바(30)로 구성되어 상기 텐션바(30)를 기준으로 콘크리트량을 결정하여 그 두께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으며, 그 평면 또한 수곳에 설치된 텐션바들과의 비교에 의해 평활면을 얻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공이 편리하고 건축물마다 그 천정 슬라브의 두께가 텐션바에 의해 기 설정되어 있으므로 콘크리트량의 임의적 축소에 따른 부실 건축물의 시공을 극력 억제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인서트를 겸한 건축물의 슬라브 두께 조정구
제1도는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설치 상태를 보인 조립 구성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작용 상태 설명도로서,
(a)는 본 고안의 조정구를 기준으로 거푸집내에 콘크리트를 일정두께로 타설한 상태의 일부 단면도.
(b)는 콘크리트가 타설, 양생된 천정면으로부터 거푸집 패널을 제거한 상태의 일부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있어서 일서트 몸체의 다른 실시 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다른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제6도는 제5도의 사용 상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거푸집 패널 4 : 핀
10 : 고정구 11 : 육각볼트 머리
12,13 : 원통형 지지구 12a,13a : 탭나사
20 : 인서트 몸체 21,22 : 상,하측 원통체
30 : 텐션 바 31 : 텐션 와이어
본 고안은 인서트를 겸한 건축물의 슬라브 두께 조정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건축물의 시공시 각층의 천정면에 지지되는 거푸집에 다수의 인서트 몸체 및 이 인서트 몸체에 설치되어 상측으로 텐션을 갖는 텐션바가 입설되어 이를 기준으로 콘크리트 타설시의 그 두께 및 타설면의 평활면이 일정하게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을 시공함에 있어, 특히 천정면의 슬라브층을 형성하기 위해 거푸집이 설치되며 이 거푸집은 천정면을 지지하기 위한 거푸집 패널이 다수의 지지기둥에 의해 그 저면에 설치되어 바닥에 지지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천정면의 슬라브층을 얻기 위한 거푸집을 형성하고 있다.
또, 상기 거푸집 패널에는 양생된 슬라브에 조명기구나 전기배선 또는 천정 내장재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설치구가 형성되도록 다수의 고정구가 상기 거푸집 패널에 고정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천정면의 슬라브층을 얻기 위한 거푸집이 설치되면 콘크리트를 적정 두께로 타설하여 양생하게 되며, 일정시간이 경과된 후 천정면에 타설된 콘크리트가 양생되면 상기 천정면을 지지하고 있는 거푸집 패널을 떼내어 천정을 형성하고 이때 상기 거푸집 패널에는 고정구가 일체로 해체되므로 천정의 슬라브에는 다수의 설치구가 형성되며, 이러한 방식으로 각층의 천정면에 슬라브층을 형성하고 이 슬라브의 수곳에는 설치구가 형성되게 하여 조명기구나 전기배선 또는 천정 내장재의 설치가 용이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천정 슬라브층 형성 구조는 단순히 거푸집 패널에 고정구를 설치하여 이에 의해 양생된 슬라브에 각종 기기 또는 장치의 설치를 위한 설치구가 형성되도록 한 구성에 국한될 뿐 상기 천정면의 슬라브층을 형성함에 있어, 그 두께를 어느정도로 할 것인지에 대한 기준이 없어 작업자의 정함에 의해 임의 두께로 타설함으로써 각 층별로 그 두께가 일정하지 않으며, 그에 따라 천정면의 평면이 고르게 유지되지 못하고 일측은 높고 타측은 반대로 낮게 되는 등 그 평면이 불규칙하게 되어 불량한 시공을 초래하게 되며, 더 나아가서 공사비의 절감을 위해 시공자가 임의로 콘크리트 타설량을 축소함으로써 부실 건축물이 시공되는 결과가 발생되는 등의 제문제가 있어 왔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거푸집 패널상에 설치되는 고정구를 수용하는 인서트 몸체와 이 인서트 몸체에 설치되어 상측으로 입설되는 텐션바를 구비하여 이를 기준으로 콘크리트 타설시의 그 두께가 일정하게 유지되게 하며 평활면을 얻을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조명기구 또는 천정 내장재의 설치를 위한 설치구가 동시에 형성되도록 한 인서트를 겸한 건축물의 슬라브 두께 조정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핀에 의해 거푸집 패널을 일체적으로 고정되는 고정구와, 이 고정구가 수용되도록 상,하측내면에 탭나사를 갖는 원통형 지지구가 형성되며 외주중앙에 육각볼트 머리가 형성되는 인서트 몸체와, 상기 인서트 몸체의 상측에 입설되는 텐션바로 구성하여서 된 것과, 상기 텐션바는 인서트 몸체의 상측내면 탭나사에 끼워지는 하측의 원통체로부터 상측에 노출되어 콘크리트의 타설 두께를 정하는 또다른 원통체를 텐션력을 갖는 텐션 와이어로 연결하여서 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각부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로서, 천정면에 형성되는 슬라브층의 지지를 위해 거푸집 패널(1)에 설치하기 위해 지지판(2)상에 접설되며 내면에 고정구멍(3)이 형성되는 고정구(10)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구(10)의 고정구멍(3)을 통해 상기 거푸집 패널(1)에 고정되는 핀(4)을 끼우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고정구(10)를 수용하는 동시에 상측에 텐션바(30)를 삽입, 입설하기 위해 인서트 몸체(20)가 구비되어 있는데, 이 인서트 몸체(20)는 둘레 중앙에 육각 볼트 머리(11)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를 중심으로 상,하측에 원통형 지지구(12),(13)가 형성되어 있고, 이 원통형 지지구(12),(13) 내면에는 탭나사(12a),(13a)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인서트 몸체(20)에는 텐션바(30)가 상측으로 입설되며, 이 텐션바(30)는 상,하측에 원통체(21),(22)가 구비되며, 이들 원통체(21),(22)의 중앙에 텐션력을 갖는 텐션 와이어(31)가 삽입, 연결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조립, 설치 상태를 설명하면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조정구는 거푸집 패널(1)의 수곳에 다수로 설치되며, 상기 거푸집 패널(1)의 상면에 고정구(10)가 고정핀(4)에 의해 고정 설치되며, 상기 고정구(10)는 인서트 몸체(20)의 하측 원통형 지지구(13) 내부에 삽입된다. 또, 상기 인서트 몸체(20)의 상측 원통형 지지구(12) 내에는 텐션바(30)의 하측 원통체(22)가 삽입, 설치되어 상측의 원통체(21)가 노출된 상태로 입설되도록 조립, 설치된다.
이때, 원통형 지지구(12)내에 삽입시키는 하측 원통체(22)는 원통형 지지구(12) 내부가 탭나사(12a)로 되어 있기 때문에 하측 원통체(22)가 원통형 지지구(12)의 탭나사(12a) 내부에 삽입되는 깊이 정도를 작업자가 인식하면서 그 높이를 정하고, 거푸집 패널(1)의 다른 위치에 설치되는 하측 원통체(22)의 높이도 같은 방법으로 정하여 거푸집 패널(1)의 수곳에 위치하는 상측 원통체(21)의 높이를 거의 동일하게 위치시키게 한다.
상기에 있어 인서트 몸체(20)는 금속제로 되어 있다.
미설명부호 40은 콘크리트이다.
한편, 제4도는 인서트 몸체(20)가 합성수지제로 형성할때를 보인 본 고안의 인서트 몸체(20)에 대한 다른 실시예로서, 인서트 몸체(20)내의 육각 재치홈부에 너트(20A)를 끼워 사용할 수 있다.
이는 인서트 몸체(20)가 금속일 경우에는 탭나사를 형성할 수 있으나 합성수지재인 경우 나사부가 미약하므로, 상술의 구성과 같이 하면, 너트(20A)가 나사부 역할을 하게 되어 견고하게 인서트 몸체(20)에 다른 기구들을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5도는 제1도 내지 제3도에 보인 일반 구조물용 거푸집 패널이 아닌 철골 구조물용 고정 패널에 사용하기 위한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제6도는 그 사용 상태를 보인 단면도로서, 지지판(2A) 상,하부에 원통형 지지구(3A)(3B)를 형성하고, 하방의 원통형 지지구(3B)에 절결부(3B')를 형성하되, 그 외주면에 걸림환테(3B) 형성하여 고정구(10A)를 구성한 다음, 상기 고정구(10A)의 상방 원통형 지지구(3A)내에 인서트 몸체(20)의 하방 원통형 지지구(13)를 끼우고, 하방 원통형 지지구(3B)를 철골 구조물용 고정패널(100)에 뚫은 구멍(100A)에 끼운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도록 하는 것으로, 종래 철골 구조물용 고정패널(100) 하방에 인서트를 용접하여 사용하는 것보다 훨씬 더 작업이 수월하고, 견고하게 된다.
상기에 있어, 원통형 지지구(3B)에는 절결구(3B')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고정패널(100)에 뚫은 구멍(100A)에 원통형 지지구(3B)를 삽입하면, 상기 절결부(3B')에 의해 원통형 지지구(3B)가 오므라들고, 완전 삽입되면 펴져서 걸림환테(3B)가 상기 구멍(100A) 저부에 걸리게 되어 견고하게 설치되게 된다.
상기에 있어 인서트 몸체(20)에는 텐션바(30)가 설치된다.
이하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는 본 고안의 작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로서, 거푸집 패널(1) 상에 다수로 설치되는 고정구(10)를 수용한 인서트 몸체(20)가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인서트 몸체(20)의 상측에 그 하측 원통체(22)가 삽입되고, 상측 원통체(21)는 노출된 상태로 텐션바(30)의 텐션 와이어(31) 상단에 위치되게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건축물의 천정면에 슬라브층을 형성하기 위해 콘크리트(40)를 타설하게 되는데, 이때 콘크리트(40)의 타설 두께의 결정은 상기 인서트 몸체(20)에 입설된 텐션바(30)의 상측 원통체(21) 높이까지로 정한 타설 기준에 의해 그 두께를 결정할 수 있는 것이며, 이와 같이 콘크리트(40)의 타설 두께가 상기 텐션바(30)의 상측 원통체(21) 높이로 이미 결정되어 있으므로 작업자는 이를 기준으로 수곳에 설치된 또다른 텐션바(30)의 원통체(21)들과 서로 비교하며 그 높이(두께)를 일정하게 타설할 수 있으며, 타설후 그 평면 또한 각각의 텐션바(30)를 기준으로 고르게 평활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텐션바(30)는 인서트 몸체(20)에 하측 원통체(22)가 삽입, 설치된 상태에서 상측 원통체(21)가 텐션 와이어(31)에 의해 지지 입설되어 있으므로 콘크리트 타설시 겔 상태인 콘크리트물에 의해 상기 텐션바(30)의 상측 원통체(21)는 어느 일측으로 유동되어 절단됨을 방지하는 동시에 텐션 와이어(31)에 휨이 발생되어도 텐션력에 의해 항상 그 위치로 복귀하려는 특성에 의해 제 위치에 입설되므로 이를 기준으로 콘크리트(40)의 타설 두께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며, 상기 텐션바(30)의 텐션 와이어(31) 길이는 건축물의 평수나 층수 등의 규모에 따라 요구되는 슬라브층의 두께를 고려하여 그 길이를 결정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다른예로서, 본 고안의 인서트 몸체(20)는 천정면 이외의 측벽 또는 보에 설치되는 거푸집 패널(1)상에 수평으로 설치하여 파이프와 파이프를 연결시켜 주는 연결 소켓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데, 이는 인서트 몸체(20)의 상,하부에 탭나사(12a)(13a)가 형성되었기 때문에 가능하다.
이와 같이 콘크리트 타설시 그 두께를 정하여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동시에 평활면을 형성한 후 양생과정을 거쳐 거푸집 패널(1)을 떼어내면 상기 거푸집 패널(1)과 일체로 해체되는 고정구(10)에 의해 천정 슬라브에는 다수의 설치구가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각종 조명기구나 전기 배선 또는 천정 내장재의 설치를 위한 설치구를 고정구에 의해 형성되도록 함은 물론 콘크리트 타설 두께의 결정을 인서트 몸체(20)에 설치되는 텐션바(30)를 기준으로 콘크리트량을 결정하여 그 두께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으며, 그 평면 또한 수곳에 설치된 텐션바들과의 비교에 의해 평활면을 얻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공이 편리하고 건축물마다 그 천정 슬라브의 두께가 텐션바에 의해 기설정되어 있으므로 콘크리트량의 임의적 축소에 따른 부실 건축물의 시공을 극력 억제시킬 수 있는 등의 특징적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3)

  1. 핀(4)에 의해 거푸집 패널(1)에 일체적으로 고정되는 고정구(10)와, 이 고정구(10)가 수용되도록 상,하측 내면에 탭나사(12a),(13a)를 갖는 원통형 지지구(12),(13)가 형성되며 그 중앙에 육각볼트 머리(11)가 형성되는 인서트 몸체(20)와, 상기 인서트 몸체(20)의 상측에 입설되는 텐션바(30)로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를 겸한 건축물의 슬라브 두께 조정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바(30)는 인서트 몸체(20)의 상측내면 탭나사(12a)에 끼워지는 하측의 원통체(22)로부터 상측에 노출되어 콘크리트의 타설 두께를 정하는 또다른 원통체(21)를 텐션력을 갖는 텐션 와이어(31)로 연결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를 겸한 건축물의 슬라브 두께 조정구.
  3. 제1항에 있어서, 지지판(2A) 상,하부에 원통형 지지구(3A)(3B)를 형성하고, 하방의 원통형 지지구(3B)에 절결부(3B')를 형성하되, 그 외주면에 걸림환테(3B)를 형성하여 고정구(10A)를 구성한 다음, 상기 고정구(10A)의 상방 원통형 지지구(3A)내에 인서트 몸체(20)의 하방 원통형 지지구(13)를 끼우고, 하방 원통형 지지구(13)를 철골 구조물용 고정패널(100)에 뚫은 구멍(100A)에 끼운 후 콘크리트를 타설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를 겸한 건축물의 슬라브 두께 조정구.
KR2019950026290U 1995-09-27 1995-09-27 인서트를 겸한 건축물의 슬라브 두께 조정구 KR01385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6290U KR0138504Y1 (ko) 1995-09-27 1995-09-27 인서트를 겸한 건축물의 슬라브 두께 조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6290U KR0138504Y1 (ko) 1995-09-27 1995-09-27 인서트를 겸한 건축물의 슬라브 두께 조정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3877U KR970013877U (ko) 1997-04-28
KR0138504Y1 true KR0138504Y1 (ko) 1999-04-01

Family

ID=19424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26290U KR0138504Y1 (ko) 1995-09-27 1995-09-27 인서트를 겸한 건축물의 슬라브 두께 조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850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1507B1 (ko) * 2021-04-29 2021-11-03 추용대 슬래브용 매립형 앵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1507B1 (ko) * 2021-04-29 2021-11-03 추용대 슬래브용 매립형 앵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3877U (ko) 1997-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9446B1 (ko) 건축용 슬리브 고정장치
US6397535B1 (en) Height-adjustable concrete mold supporting system and method for constructing concrete building
KR0138504Y1 (ko) 인서트를 겸한 건축물의 슬라브 두께 조정구
KR100771962B1 (ko)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US3156450A (en) Adjustable anchor for railing supports
KR200410786Y1 (ko)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KR200389550Y1 (ko)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KR0112463Y1 (ko) 천정 판넬 고정구
JPH08246469A (ja) アンカボルト取付金具
JP3837052B2 (ja) パッキング材及び床下換気構造の構築方法
KR100373628B1 (ko) 고정바를 이용한 천정판넬의 시공구조
KR200260689Y1 (ko) 거푸집 패널의 수평 고정장치
JP2561852Y2 (ja) アンカーボルトのセット用治具
JP3600972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の吊り金具
KR200215935Y1 (ko) 거푸집 설치용 프레임 셋팅장치
JP2532354Y2 (ja) アンカーボルト位置決め治具
KR950008947Y1 (ko) 천정 판재 조립구
KR950002427Y1 (ko) 기초프레임 레벨조정장치
JPH0640763Y2 (ja) Oaルーム用床パネルの支脚
JP3339676B2 (ja) コンクリート型枠用吊持金具
JPS623483Y2 (ko)
JPH0725389Y2 (ja) マンホール用型枠
JPH083594Y2 (ja) 勾配部コンクリート打設用レベル出し受金具
JPS6247183Y2 (ko)
JP4684491B2 (ja) 床パネルの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0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