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8933Y1 - 지지용 앙카볼트 - Google Patents

지지용 앙카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8933Y1
KR200358933Y1 KR20-2004-0014343U KR20040014343U KR200358933Y1 KR 200358933 Y1 KR200358933 Y1 KR 200358933Y1 KR 20040014343 U KR20040014343 U KR 20040014343U KR 200358933 Y1 KR200358933 Y1 KR 2003589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chor bolt
threaded portion
bolt
fixture
anch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43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재덕
Original Assignee
유재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재덕 filed Critical 유재덕
Priority to KR20-2004-00143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893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89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893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5/00Screws that cut thread in the body into which they are screwed, e.g. wood screws
    • F16B25/0036Screws that cut thread in the body into which they are screwed, e.g. wood screws characterised by geometric details of the screw
    • F16B25/0042Screws that cut thread in the body into which they are screwed, e.g. wood screws characterised by geometric details of the screw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f the thread, the thread being a ridge wrapped around the shaft of the screw
    • F16B25/0057Screws that cut thread in the body into which they are screwed, e.g. wood screws characterised by geometric details of the screw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f the thread, the thread being a ridge wrapped around the shaft of the screw the screw having distinct axial zones, e.g. multiple axial thread sections with different pitch or thread cross-sections
    • F16B25/0063Screws that cut thread in the body into which they are screwed, e.g. wood screws characterised by geometric details of the screw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f the thread, the thread being a ridge wrapped around the shaft of the screw the screw having distinct axial zones, e.g. multiple axial thread sections with different pitch or thread cross-sections with a non-threaded portion on the shaft of the scre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3/00Features common to bolt and nut
    • F16B33/02Shape of thread; Special thread-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Geometr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부 외주연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토퍼홈을 더 형성하여 앙카볼트와 이 앙카볼트가 인입 체결되는 고정체간의 견고한 체결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설치되는 구조물의 견고한 지지가 가능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앙카볼트 상단의 타격부의 형상을 호형상으로 형성하여 미려한 외관은 물론, 타격부에 의해 상해를 입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한 지지용 앙카볼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인 지지용 앙카볼트는,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의 하단측에 형성된 외향플랜지와, 상기 외향플랜지의 하단측에 나사산부를 갖는 앙카볼트에 있어서, 상기 나사산부에는 이 나사산부의 외주연을 따라 내측으로 요입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토퍼요홈이 더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앙카볼트의 나사산부에는 테이퍼진 보조돌기부가 더 형성되며, 상기 머리부는, 상협하광의 테이퍼진 호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서, 앙카볼트의 나사산부에 스토퍼요홈이 더 요입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앙카볼트의 나사산부가 고정체의 내측에 나사체결되는 과정에서 깎여진 고정체의 잔여물이 상기 스토퍼요홈에 끼워짐에 따라, 상기 앙카볼트가 고정체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빠져나오거나 또는 상기 앙카볼트가 체결되는 반대방향으로 앙카볼트가 회전되어 고정체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이 미연에 방지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나사산부에 테이퍼진 보조돌기부가 더 형성되어 있음에따라, 상기 앙카볼트가 고정체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음에 따라 건축물 등에 설치되는 간판이나 난간 또는 배관 등의 견고한 설치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지지용 앙카볼트{ANCHOR BOLT FOR SUPPORT}
본 고안은 콘크리트 건축물 및 구축물 또는 교량 등에 각종 구조물을 설치할 때 사용되는 앙카볼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부 외주연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토퍼홈을 더 형성하여 앙카볼트와 이 앙카볼트가 인입 체결되는 고정체간의 견고한 체결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설치되는 구조물의 견고한 지지가 가능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앙카볼트 상단의 타격부의 형상을 호형상으로 형성하여 미려한 외관은 물론, 타격부에 의해 상해를 입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한 지지용 앙카볼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앙카볼트는, 콘크리트 건축물의 벽면에 대리석 벽재를 시공하거나 또는 각종 간판 등의 구조물을 부착하거나 또는 가스배관 등을 설치할 때 사용되거나 또는 교량이나 계단의 난간 등의 구조물을 설치할 때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앙카볼트는 대개의 경우, 상단 머리부와 이 머리부의 하단에 연장되어 형성되고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부로 구성되는 바, 이러한 앙카볼트를 이용하여 건축물에 상기 구조물을 설치하는 방법은, 구조물을 설치하고자 하는 벽면 등에 드릴을 이용하여 홈을 형성하고, 이 홈에 합성수지재질로 형성되고 내부에 상광하협진 인입홈을 갖는 고정체를 타격하는 방법 등에 의해 억지끼움하여 끼운 후, 상기 고정체의 인입홈에 앙카볼트의 볼트부를 인입한 다음, 이 앙카볼트의 머리부를 타격하거나 또는 상기 앙카볼트를 별도의 도구를 이용하여 돌려 체결함으로써, 건축물의 벽면에 체결된 앙카볼트에 의해 구조물이 건축물의 벽면 등에 견고하게 설치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앙카볼트를 이용하여 구축물을 설치하는 장치들이 다양하게 안출되고 있으며, 일예로, 등록실용신안 제155250호인 난간기둥 정착용 앵커장치가 안출된 바 있다.
이는 그 등록공고된 등록공보에 기재된 청구범위 및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난간기둥용 앵커장치의 구성으로서, 중심축선상에는 상단에서 하단으로 테이퍼지게 개통된 중공부를 가지며 하단 일부는 분할홈을 구비하여 작은 구경의 매입구에 삽입되는 봉형의 합성수지재 고정부재(1)와, 상기 고정부재의 상단에 고정형의 일체로 구비되어 난간기둥의 하단을 지지하는 정착부재(2)와, 상기 고정부재 및 정착부재와는 별도의 단품으로 상기 고정부재의 상방에서 고정부재의 중공부에 타격으로 압입되어 고정부재가 외방으로 벌어지면서 매입구의 내벽에 밀착되도록 리드각이 큰 수줄나사가 형성된 나사부(3a)가 하단으로 형성되고 상단은 제지플랜지(3b)와 타격부(3c)로 형성된 압박부재(3)를 한 세트로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소형공구에 의해 적은 공수로 용이하게 설치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난간기둥의 정착력을 극대화시켜 난간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난간기둥 정착용 앵커장치는, 작업의 용이성과 함께 난간기둥의 정착력을 극대화 할 수 있도록 하고는 있으나, 상기 압박부재(3) 즉, 앙카볼트가 그 하단에 형성된 나사부(3a)에 의해 상기 봉형의 합성수지재로 형성된 고정부재(1)에 인입되어 체결될 때, 상기 나사부(3a)의 나사산이 형성된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고정부재(1)와 나사체결되는 바, 상기 앙카볼트가 체결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인의적으로 돌리거나 또는 기타의 요인에 의해 타의적으로 돌려질 경우, 쉽게 앙카볼트와 고정부재간의 이탈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됨으로써 설치된 부착물이 흔들거리거나 또는 심할 경우, 낙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고정부재(1)의 내측에 나사체결되는 앙카볼트가 쉽게 이탈됨이 가능함에 따라 설치된 부착물의 힘의 균형이 이루어지지 않아 한쪽 방향으로 부착물이 기울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으며, 더욱이 계단이나 베란다의 위험성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난간의 경우, 심할 경우, 난간이 분리되어 발생되는 추락사고 등의 위험이 도사리고 있는 실정이다.
다른 예로서, 등록실용신안 제297166호인 앵커볼트 구조가 안출된 바 있다. 이는 그 등록공고된 공보의 청구범위에 의해 알 수 있듯이, 선단부에는 수나사부가 길게 형성되고, 끝단부에는 원추형 확장부가 형성된 볼트체와, 상기 볼트체의 외주를 감싸도록 조립되는 원통형의 커버체로 구성된 앵커볼트에 있어서, 상기 볼트체의 외주연에 복수개의 안착홈을 형성하고, 상기 안착홈에 확개부의 일면을 안착시켜 이 확개부의 타면에 돌출된 요철부가 외각을 향하도록 하며, 상기 커버체의 외주연상에 상기 확개부의 요철부에 걸리면서 커버체의 진입시 확개부의 외향돌출을 안내하는 안내돌부를 내향 돌출형성하며, 상기 커버체의외주연상에는 안내돌부들이 내향 돌출됨에 따른 배출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볼트체의 외주연에 복수개의 안착홈을 요입 형성하고, 앵커볼트 장착시 커버체 외측으로 돌출되는 요철부를 구비한 확개부를 상기 안착홈에 삽입하며, 커버체에는 앵커볼트 장착시 상기 확개부를 커버체 밖으로 밀어내는 안내돌부를 형성하므로서, 앵커볼트 장착시 확개부의 요철부가 커버체 외부로 돌출되면서 대상물에 박혀 앵커볼트가 견고하게 장착되도록 하여 콘크리트 건축물 및 구축물 또는 교량 등에 각종 구조물을 설치하고자 할 때 볼트체의 수나사부에 체결너트를 나사조임하는 과정에서 볼트체는 물론이고 커버체가 겉도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고, 이에 의해 피부착물을 보다 강력하게 고정 설치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앵커볼트 구조는, 상기 볼트체의 외주연에 형성된 안착홈에 안착되고 외향측으로 일정각도 기울어진 확개부가 커버체의 내측에 앵커볼트가 끼워질 때, 상기 커버체의 배출홀에 끼워짐으로써, 앵커볼트와 커버체 간의 견고한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여 건축물 등에 설치되는 부착물의 겨고한 지지가 가능하도록 하고는 있으나, 상기 확개부가 앵커볼트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지 않음에 따라, 확개부와 앵커볼트간의 이탈현상이 자주 발생되고, 더욱이 상기 확개부가 안착되기 위한 안착홈을 앵커볼트에 형성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공정을 추가적으로 해야 하는 생산성의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앙카볼트가 지닌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나사산부가 형성된 앙카볼트의 외주연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토퍼요홈을 더 형성하여 앙카볼트와 고정체와의 나사체결시 앙카볼트에 형성된 나사산부에 의해 파여진 상기 고정체의 내측 잔여물이 상기 스토퍼요홈에 잔류되도록 하여앙카볼트와 고정체와의 견고한 지지가 가능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상기 앙카볼트의 상단 머리부의 형상을 상협하광진 형상으로 형성하여 돌출된 머리부에 의해 상해를 입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지지용 앙카볼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앙카볼트의 외주연에 형성된 나사산부에 테이퍼진 보조돌기부를 더 형성하여 앙카볼트와 이 앙카볼트가 인입되어 체결되는 고정체와의 체결이 더욱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등록실용신안 제155250호인 난간기둥 정착용 앵커장치의 구성요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인 지지용 앙카볼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인 지지용 앙카볼트가 고정체에 체결되는 것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고안인 지지용 앙카볼트가 건축물에 매립된 고정체에 체결되는 것을 나타낸 구성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Ⅴ-Ⅴ선 절단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인 지지용 앙카볼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일부생략 확대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앙카볼트 11 : 머리부
12 : 외향플랜지 13 : 나사산부
14 : 스토퍼요홈 15 : 보조돌기부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해 본 고안인 지지용 앙카볼트는,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의 하단측에 형성된 외향플랜지와, 상기 외향플랜지의 하단측에 나사산부를 갖는 앙카볼트에 있어서, 상기 나사산부에는 이 나사산부의 외주연을 따라 내측으로 요입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토퍼요홈이 더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앙카볼트의 나사산부에는 테이퍼진 보조돌기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머리부는, 상협하광의 테이퍼진 호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특징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인 지지용 앙카볼트는, 앙카볼트의 나사산부에 스토퍼요홈이 더 요입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앙카볼트의 나사산부가 고정체의 내측에 나사체결되는 과정에서 깎여진 고정체의 잔여물이 상기 스토퍼요홈에 끼워짐에 따라, 상기 앙카볼트가 고정체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빠져나오거나또는 상기 앙카볼트가 체결되는 반대방향으로 앙카볼트가 회전되어 고정체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이 미연에 방지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나사산부에 테이퍼진 보조돌기부가 더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앙카볼트가 고정체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음에 따라 건축물 등에 설치되는 간판이나 난간 또는 배관 등의 견고한 설치가 가능하다.
이하, 본 고안인 지지용 앙카볼트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고안인 지지용 앙카볼트는 종래 앙카볼트에 형성된 나사산부의 구성 및 머리부의 형상을 달리한 것으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종래 기술사상과 동일한 기술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명칭을 그대로 적용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인 지지용 앙카볼트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인 지지용 앙카볼트가 고정체에 체결되는 것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고안인 지지용 앙카볼트가 건축물에 매립된 고정체에 체결되는 것을 나타낸 구성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지지용 앙카볼트(10)는, 머리부(11)와 상기 머리부(11)의 하단측에 형성된 외향플랜지(12)와, 상기 외향플랜지(12)의 하단측에 나사산부(13)로 구성된다.
상기 나사산부(13)에는, 이 나사산부(13)의 외주연을 따라 내측으로 요입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토퍼요홈(14)이 더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요홈(14)은, 앙카볼트(10)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먼저 앙카볼트(10)의 나사산부(13)를 형성하고, 다시 금형(미도시)에 넣어 상기 앙카볼트(10)의 나사산부(13)를 밀어줌으로써 형성된다.
따라서, 앙카볼트(10)를 형성한 이후 한번의 작업공정을 더 거치어 상기 스토퍼요홈(14)을 형성하는 것으로, 작업성이 크게 저하되지는 않는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지지용 앙카볼트(10)는, 건축물에 난간이나 배관 또는 벽면에 간판 등을 설치하고자 할 때 사용되는 것으로, 먼저 벽면(W)에 고정체(20)를 매립하고, 이 고정체(20)의 상단으로부터 통공되어 중공된 내부를 갖고 상광하협으로 테이퍼진 체결홈(21)에 상기 앙카볼트(10)의 나사산부(14)의 하단측을 끼운 다음, 별도의 타격도구를 이용하여 상기 앙카볼트(10)의 머리부(11)를 타격함으로써, 앙카볼트(10)의 나사산부(13)가 상기 고정체의 체결홈(21)내에 체결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앙카볼트(10)의 머리부(11)를 타격함에 따라 상기 고정체(20)의 체결홈(21)에 체결되는 앙카볼트(10)의 나사산부(13)에 의해 상기 체결홈(21)의 내측면이 나사산부(13)를 따라 골이 형성되는 바, 이 형성된 골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상기 체결홈(21)의 내측면 잔여분이 상기 나사산부(13)의 외주연을 따라 적어도 하나이상으로 요입형성된 스토퍼요홈(14)에 끼워져 채워짐으로써, 상기 고정체(20)에 체결된 앙카볼트(10)는 이 고정체(20)의 체결홈(21)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더욱이, 상기 앙카볼트(10)의 나사산부(13)에 형성된 스토퍼요홈(14)에 상기체결홈(21)의 깎여나간 잔여물이 채워짐으로써, 앙카볼트(10)가 고정체(20)에 체결되는 반대방향 즉, 상기 앙카볼트(10)에 형성된 나사산부(13)의 형성된 모양과 반대방향으로 앙카볼트(10)를 돌리더라도 쉽게 앙카볼트(10)가 고정체(20)로부터 빠져나옴이 방지될 수 있어, 건축물에 설치되는 난간이나 배관 또는 간판 등의 설치가 더욱 견고해진다.
도 6은 본 고안인 지지용 앙카볼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일부생략 확대도로서, 상기 앙카볼트(10)의 나사산부(13)에 테이퍼진 보조돌기부(15)가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더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나사산부(13)에 테이퍼진 보조돌기부(15)가 더 형성될 경우, 앙카볼트(10)와 이 앙카볼트(10)가 체결되는 고정체(20)와의 견고한 체결이 더욱 가능해진다.
상기 나사산부(13)에 형성된 보조돌기부(15)는 나사산부(13)의 형성방향측으로 테이퍼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앙카볼트(10)가 고정체(20)의 체결홈(21)에 체결되는 것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
또한, 본 고안인 지지용 앙카볼트(10)는 상기 머리부(11)의 형상의 상협하광의 테이퍼진 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예컨대 실내의 주방 이나 또는 외벽면에 등에 가스배관을 설치하고자 할 때, 이 가스배관을 지지하는 브라켓을 벽면에 고정하기 위해 앙카볼트가 사용되는 바, 이 때 앙카볼트의 머리부가 테이퍼진 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외부로 돌출된 앙카볼트의 머리부를 디디고 도둑과 같은 범죄자가 가정으로 침투하는 것 등의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외에도 본 고안인 지지용 앙카볼트는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한, 변형되는 실시예들은 모두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어 해석되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지지용 앙카볼트에 의하면, 앙카볼트의 나사산부에 스토퍼요홈이 더 요입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앙카볼트의 나사산부가 고정체의 내측에 나사체결되는 과정에서 깎여진 고정체의 잔여물이 상기 스토퍼요홈에 끼워짐에 따라, 상기 앙카볼트가 고정체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빠져나오거나 또는 상기 앙카볼트가 체결되는 반대방향으로 앙카볼트가 회전되어 고정체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이 미연에 방지되는 효과가 기대된다.
또한, 상기 나사산부에 테이퍼진 보조돌기부가 더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앙카볼트가 고정체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음에 따라 건축물 등에 설치되는 간판이나 난간 또는 배관 등을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

Claims (3)

  1.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의 하단측에 형성된 외향플랜지와, 상기 외향플랜지의 하단측에 나사산부를 갖는 앙카볼트에 있어서,
    상기 나사산부에는 이 나사산부의 외주연을 따라 내측으로 요입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토퍼요홈이 더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용 앙카볼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앙카볼트의 나사산부에는 테이퍼진 보조돌기부가 적어도 하나이상으로 더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용 앙카볼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는, 상협하광의 테이퍼진 호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용 앙카볼트.
KR20-2004-0014343U 2004-05-24 2004-05-24 지지용 앙카볼트 KR2003589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4343U KR200358933Y1 (ko) 2004-05-24 2004-05-24 지지용 앙카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4343U KR200358933Y1 (ko) 2004-05-24 2004-05-24 지지용 앙카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8933Y1 true KR200358933Y1 (ko) 2004-08-11

Family

ID=49435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4343U KR200358933Y1 (ko) 2004-05-24 2004-05-24 지지용 앙카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893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2802Y1 (ko) 2010-10-07 2012-09-28 이태하 재활용이 가능한 앵카볼트
KR101598339B1 (ko) * 2014-09-05 2016-02-29 구연진 데크플레이트 결합용 체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2802Y1 (ko) 2010-10-07 2012-09-28 이태하 재활용이 가능한 앵카볼트
KR101598339B1 (ko) * 2014-09-05 2016-02-29 구연진 데크플레이트 결합용 체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26490C (en) Threaded connector for pole, machinery and structural elements
US9033637B2 (en) Threaded connector for pole, machinery and structural elements
KR20210009227A (ko) 매입형 앵커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358933Y1 (ko) 지지용 앙카볼트
KR200493538Y1 (ko) 계단 난간대의 결속구조
KR100955424B1 (ko) 앵커 지주
JP2008075396A (ja) インサート
KR200437763Y1 (ko) 거푸집의 배관 슬리브 고정구
KR102393584B1 (ko) 보강지지대가 구비된 외벽 고정용 앵커
KR20090036835A (ko) 셋트 앵커볼트
KR200358130Y1 (ko) 앙카볼트용 고정체
KR102321507B1 (ko) 슬래브용 매립형 앵커
JP2008075388A (ja) 手摺り支柱の取付構造
KR200436104Y1 (ko) 거푸집의 인서트 고정구
KR200352435Y1 (ko) 거푸집 매립형 세파타이
KR200358617Y1 (ko) 건축외장용 석재 고정구
KR20090096964A (ko) 파이프 관통 슬리브용 거푸집 분리장치
KR200297166Y1 (ko) 앵커볼트 구조
KR101359792B1 (ko) 매립형 와셔부재 및 이를 이용한 부재고정기구와 부재고정구조
KR200260465Y1 (ko) 기둥
KR20080087455A (ko) 안전망 지지프레임의 설치구조
KR200337016Y1 (ko) 갱폼측 폼타이
JP2558212B2 (ja) ステーアンカーを内装した物品固定用支柱
KR20090099383A (ko) 관통슬리브용 고정구
KR20110010941U (ko) 거푸집의 슬리브 고정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1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