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2802Y1 - 재활용이 가능한 앵카볼트 - Google Patents

재활용이 가능한 앵카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2802Y1
KR200462802Y1 KR2020110000672U KR20110000672U KR200462802Y1 KR 200462802 Y1 KR200462802 Y1 KR 200462802Y1 KR 2020110000672 U KR2020110000672 U KR 2020110000672U KR 20110000672 U KR20110000672 U KR 20110000672U KR 200462802 Y1 KR200462802 Y1 KR 2004628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bolt head
concrete
bolt body
fast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06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2622U (ko
Inventor
이태하
Original Assignee
이태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태하 filed Critical 이태하
Priority to KR20201100006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2802Y1/ko
Publication of KR2012000262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262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28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280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3/00Specially shaped nuts or heads of bolts or screws for rotations by a tool
    • F16B23/0007Specially shaped nuts or heads of bolts or screws for rotations by a tool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recess or the protrusion engaging the too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재활용이 가능한 앵카볼트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콘크리트 벽면에 가공된 구멍에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외주연에 스크류가 형성된 볼트몸체와, 상기 볼트몸체의 상단에 돌출 형성되는 볼트헤드부와, 상기 볼트몸체와 볼트헤드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와셔와, 피체결물을 체결하기 위해 상기 볼트헤드부에 체결되는 연결너트로 구성되는 앵카볼트에 있어서,
상기 볼트헤드부는 연결너트를 체결하기 위해 형성되는 나사산부와, 상기 나사산부의 상단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너트를 나사산부에 체결시 간섭됨을 방지함과 더불어 콘크리트에 고정된 볼트몸체의 탈착을 위해 형성되는 상기 나사산부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갖는 풀림볼트머리; 및 타격하여 볼트몸체를 콘크리트 구멍에 삽입시 풀림볼트머리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풀림볼트머리의 상단에 돌출형성되는 타격돌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재활용이 가능한 앵카볼트{A ANCHOR BOLT FOR RECYCLABLE}
본 고안은 앵카볼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벽면 또는 바닥면에 삽입 고정된 앵카볼트를 손상 없이 탈착이 가능하게 구성하여 앵카볼트의 삽입위치를 바꾸거나 다른 장소에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한 재활용이 가능한 앵카볼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앵카볼트(Anchor Bolt)는 건축물의 콘크리트나 바닥 또는 천정 또는 벽면 등에 프레임, 철골 및 브라켓 등과 같은 피체결물을 고정시킬 때 사용되는 것이다
종래의 앵카볼트는 통상 콘크리트 벽면에 가공된 구멍에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외주연에 스크류가 형성된 볼트몸체와, 상기 볼트몸체의 상단에 돌출 형성되는 나사산부가 형성된 볼트헤드부와, 상기 볼트몸체와 볼트헤드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와셔와, 피체결물을 체결하기 위해 상기 볼트헤드부의 나사산부에 체결되는 연결너트로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되는 앵카볼트는 통상 공구를 이용하여 볼트헤드부를 타격하여 콘크리트에 가공된 구멍에 삽입 고정한다.
이 때 앵카볼트의 볼트몸체는 스크류에 의해 회전하면서 콘크리트에 가공된 구멍에 견고히 밀착되어 앵카볼트가 빠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앵카볼트는 볼트헤드부를 타격할 시 끝부분이 공구에 의해 형상이 변형되어 연결너트를 삽입 체결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앵카볼트는 한번 시공하면 절대로 빠지지 않아, 삽입 위치를 잘못 잡으면 콘크리트에 노출된 부분을 톱으로 잘라내고 다른 앵카볼트로 재시공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 앵카볼트를 콘크리트에서 탈착시킨다 하더라도 앵카볼트를 공구로 잡는 과정에서 과도한 힘이 들어가 앵카볼트의 볼트헤드부가 손상되어 재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과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콘크리트 벽면 또는 바닥면에 삽입 고정된 앵카볼트를 손상 없이 탈착이 가능하게 구성하여 앵카볼트의 삽입위치를 바꾸거나 다른 장소에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한 재활용이 가능한 앵카볼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더 나아가 본 고안의 목적은, 콘크리트 벽면 또는 바닥면에 삽입 고정된 앵카볼트를 손상 없이 탈착이 가능하도록 볼트헤드부에 풀림머리볼트를 마련한 구조의 재활용이 가능한 앵카볼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제 1고안은, 재활용이 가능한 앵카볼트에 관한 것으로, 콘크리트 벽면에 가공된 구멍에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외주연에 스크류가 형성된 볼트몸체와, 상기 볼트몸체의 상단에 돌출 형성되는 볼트헤드부와, 상기 볼트몸체와 볼트헤드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와셔와, 피체결물을 체결하기 위해 상기 볼트헤드부에 체결되는 연결너트로 구성되는 앵카볼트에 있어서,
상기 볼트헤드부는, 연결너트를 체결하기 위해 형성되는 나사산부와, 상기 나사산부의 상단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너트를 나사산부에 체결시 간섭됨을 방지함과 더불어 콘크리트에 고정된 볼트몸체의 탈착을 위해 형성되는 상기 나사산부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갖는 풀림볼트머리 및 타격하여 볼트몸체를 콘크리트 구멍에 삽입시 풀림볼트머리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풀림볼트머리의 상단에 돌출형성되는 타격돌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고안은, 재활용이 가능한 앵카볼트에 관한 것으로, 콘크리트 벽면에 가공된 구멍에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외주연에 스크류가 형성된 볼트몸체와, 상기 볼트몸체의 상단에 돌출 형성되는 볼트헤드부와, 상기 볼트몸체와 볼트헤드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와셔와, 피체결물을 체결하기 위해 상기 볼트헤드부에 체결되는 연결너트로 구성되는 앵카볼트에 있어서,
상기 볼트헤드부는, 연결너트를 체결하기 위해 형성되는 나사산부와, 타격하여 볼트몸체를 콘크리트 구멍에 삽입시 나사산부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나사산부의 상단에 돌출형성되는 타격돌기부 및 콘크리트에 고정된 볼트몸체의 탈착을 위해 상기 나사산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풀림볼트머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3고안은, 콘크리트 벽면에 가공된 구멍에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외주연에 스크류가 형성된 볼트몸체와, 상기 볼트몸체의 상단에 돌출 형성되는 볼트헤드부와, 상기 볼트몸체와 볼트헤드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와셔와, 피체결물을 체결하기 위해 상기 볼트헤드부에 체결되는 연결너트로 구성되는 앵카볼트에 있어서,
상기 볼트헤드부는, 연결너트를 체결하기 위해 형성되는 나사산부; 및 타격하여 볼트몸체를 콘크리트 구멍에 삽입시 나사산부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나사산부의 상단에 돌출형성되는 타격돌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와셔는, 콘크리트에 고정된 볼트몸체의 탈착을 위해 외주연에 풀림볼트머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4고안은, 제 2고안에서, 상기 풀림볼트머리는 나사산부의 직경 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5고안은, 제 2고안에서, 상기 풀림볼트머리는 나사산부의 직경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6고안은, 제 3고안에서, 상기 와셔의 풀림볼트머리는 접촉면적을 증대시키기 위해 상향으로 연장된 돌출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7고안은, 제 1고안 내지 제 6고안 중 선택되는 어느 한 고안에서, 상기 스크류는 볼트몸체의 하부에 형성되되, 상기 볼트몸체 전체 길이 대비 1/2 길이 이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재활용이 가능한 앵카볼트에 따르면, 콘크리트 벽면 또는 바닥면에 삽입 고정된 앵카볼트를 손상 없이 탈착이 가능하여 앵카볼트의 삽입위치를 바꾸거나 다른 장소에 재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재활용이 가능한 앵카볼트의 사시도,
도 2는 제 1실시예에 따른 재활용이 가능한 앵카볼트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구성도,
도 3은 제 1실시예에 따른 재활용이 가능한 앵카볼트의 풀림볼트머리에 공구를 결합시킨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재활용이 가능한 앵카볼트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재활용이 가능한 앵카볼트의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재활용이 가능한 앵카볼트의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재활용이 가능한 앵카볼트의 사시도,
도 8은 제 5실시예에 따른 재활용이 가능한 앵카볼트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구성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재활용이 가능한 앵카볼트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재활용이 가능한 앵카볼트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콘크리트 벽면 또는 바닥면에 삽입 고정된 앵카볼트를 손상 없이 탈착이 가능하게 구성하여 앵카볼트의 삽입위치를 바꾸거나 다른 장소에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한 재활용이 가능한 앵카볼트(100)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재활용이 가능한 앵카볼트(100)는 크게 4부분으로 구성되는데, 이는 콘크리트 벽면에 가공된 구멍에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외주연에 스크류(11)가 형성된 볼트몸체(10)와, 상기 볼트몸체(10)의 상단에 돌출 형성되는 볼트헤드부(20)와, 상기 볼트몸체(10)와 볼트헤드부(20)의 사이에 형성되는 와셔(30)와, 피체결물(200)을 체결하기 위해 상기 볼트헤드부(20)에 체결되는 연결너트(40)로 구성된다.
여기서 볼트헤드부(20)는 3부분으로 구성되는데, 나사산부(21)와, 풀림볼트머리(22)와, 타격돌기부(23)로 구성된다.
상기 나사산부(21)는 피체결물(200)을 고정하기 위해 연결너트(40)가 체결될 수 있도록 볼트헤드부(20)의 외주연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풀림볼트머리(22)는 콘크리트(300)에 고정된 볼트몸체(10)의 탈착을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나사산부(21)의 상단에 형성된다.
이 때 상기 풀림볼트머리(22)는 상기 연결너트(40)를 나사산부(21)에 체결시 간섭을 피하도록 상기 나사산부(21)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갖는 구조이다.
이러한 풀림볼트머리(22)는 콘크리트(300)에 고정된 볼트몸체(10)를 회전시키기 위한 공구가 결합되도록 육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외에 필요에 따라서는 4각이나 5각 또는 8각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타격돌기부(23)는 망치와 같은 공구로 타격하여 볼트몸체(10)를 콘크리트(300) 구멍에 삽입시 풀림볼트머리(22)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풀림볼트머리(22)의 상단에 돌출형성되는 구조이다.
여기서 타격돌기부(23)의 직경은 풀림볼트머리(22) 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구성된다. 이는 망치와 같은 공구로 타격시 형상이 변형될 때 타격돌기부(23)의 직경이 풀림볼트머리(22)의 직경보다 커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여 공구가 풀림볼트머리(22)에 삽입되지 않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는 제 1실시예에 따른 재활용이 가능한 앵카볼트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구성도이고, 도 3은 제 1실시예에 따른 재활용이 가능한 앵카볼트의 풀림볼트머리에 공구를 결합시킨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활용이 가능한 앵카볼트(100)를 시공할 경우, 먼저 드릴로 콘크리트(300)에 구멍을 형성한 후, 상기 앵카볼트(100)를 구멍에 올려놓는다.
그리고 망치로 타격돌기부(23)를 타격하여 상기 앵카볼트(100)를 구멍에 삽입 고정한다.
이 후 와셔(30)의 상부로 피체결물(200)을 삽입시키고, 연결너트(40)를 나사산부(21)에 체결하여 피체결물(200)을 고정시킨다.
한편 콘크리트(300) 벽면 또는 바닥면 또는 천정에 삽입 고정된 앵카볼트(100)의 삽입위치를 바꾸거나 다른 장소에 재활용할 경우 콘크리트(300)에 고정된 앵카볼트(100)를 탈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앵카볼트(100)에 고정된 연결너트(40)와 피체결물(200)을 탈착한 후, 도 3과 같이, 렌치(500)를 풀림볼트머리(22)에 결합시킨 다음, 볼트몸체(10)에 형성된 스크류(11)의 나선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앵카볼트(100)를 콘크리트(300) 구멍에서 탈착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재활용이 가능한 앵카볼트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재활용이 가능한 앵카볼트의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실시예의 상기 볼트헤드부(20)는 연결너트(40)를 체결하기 위해 형성되는 나사산부(21)와, 타격하여 볼트몸체(10)를 콘크리트(300) 구멍에 삽입시 나사산부(21)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나사산부(21)의 상단에 돌출형성되는 타격돌기부(23) 및 콘크리트(300)에 고정된 볼트몸체(10)의 탈착을 위해 상기 나사산부(21)의 하부에 형성되는 풀림볼트머리(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타격돌기부(23) 직경 역시 상기 나사산부(21)의 직경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으로 구성하여 망치와 같은 공구로 타격시 형상이 변형될 때 타격돌기부(23)의 직경이 나사산부(21)의 직경 보다 커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여 연결너트(40)가 나사산부(21)에 삽입되지 않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풀림볼트머리(22)는 나사산부(21)의 하부에 형성되되, 상기 나사산부(21)의 직경 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는 렌치(500)를 볼트헤드부(20)에 삽입할 때 렌치(500)와 풀림볼트머리(22)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풀림볼트머리(22)의 직경이 나사산부(21)의 직경 보다 커서 풀림볼트머리(22)에 상대적으로 많은 힘을 가할 수 있어 앵카볼트(100)를 콘크리트(300) 구멍에서 쉽게 탈착할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된다.
만약 도 5의 제 3실시예와 같이 풀림볼트머리(22)의 직경이 나사산부(21)의 직경보다 작을 경우에는 스패너(600)를 결합시켜 풀림볼트머리(22)를 회전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재활용이 가능한 앵카볼트의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4실시예는 연결너트를 체결하기 위해 형성되는 나사산부(21) 및 타격하여 볼트몸체(10)를 콘크리트 구멍에 삽입시 나사산부(21)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나사산부(21)의 상단에 돌출형성되는 타격돌기부(23)로 이루어지는 볼트헤드부(20)와, 콘크리트에 고정된 볼트몸체(10)의 탈착을 위해 외주연에 불림볼트머리(22)가 형성되는 와셔(3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와셔(30)는 도 6의 (a)와 같이 외주연에 랜치 및 스패너와 같은 공구를 통해 힘을 강제 받을 수 있도록 6각면 형태의 불림볼트머리(22)가 형성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구성은 와셔(30)의 직경이 볼트몸체(10)에 비해 상대적으로 매우 큰 바, 풀림볼트머리(22)에 결합되는 공구를 통해 매우 큰 힘을 강제할 수 있어 보다 적은 힘으로 볼트몸체(10)를 콘크리트 구멍에서 보다 쉽게 탈착할 수 있는 구성이다.
상기에서 풀림볼트머리의 형태를 6각면으로 택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외에 필요에 따라서는 4각면이나 5각면 또는 8각면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6의 (b)와 같이, 상기 와셔(30)의 불림볼트머리(22)는 접촉면적을 증대시키기 위해 상향으로 연장된 돌출면(311)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공구를 불림볼트머리(22)에 삽입하여 힘을 강제할 시 공구가 불림볼트머리(22)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불림볼트머리(22)와 공구와의 재질 차이로 인해 불림볼트머리(22)의 각진 면이 뭉개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제 5실시예에 따른 재활용이 가능한 앵카볼트의 사시도이고, 도 8은 제 5실시예에 따른 재활용이 가능한 앵카볼트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구성도이다.
도 7 및 도 8과 같이, 제 5실시예는 단열재(400)가 시공된 콘크리트(300)에 앵카볼트(100)를 고정시킬 경우, 상기 앵카볼트(100)의 스크류(11)는 볼트몸체(10)의 하부에 형성되되, 상기 볼트몸체(10) 전체 길이 대비 1/2 길이 이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는 통상 앵카볼트(100)가 콘크리트(300)에 삽입되어 지지됨으로, 스크류(11)를 콘크리트에 삽입되는 길이만큼 형성함으로써, 단열재(400)가 시공된 콘크리트용 앵카볼트(100)로 한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스크류(11)를 볼트몸체(10) 전체 길이 대비 1/2 길이 이하로 형성하여 제조비를 절감할 수 있다.
비록 본 고안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의 범위는 본 고안의 진정한 범위내에 속하는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할 것이라고 여겨진다.
10: 볼트몸체 11: 스크류
20: 볼트헤드부 21: 나사산부 22: 풀림볼트머리
23: 타격돌기부
30: 와셔 31: 풀림볼트머리 311: 돌출면
40: 연결너트
100: 재활용이 가능한 앵카볼트
200: 피체결물 300: 콘크리트 400: 단열재
500: 렌치 600: 스패너

Claims (7)

  1. 콘크리트 벽면에 가공된 구멍에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외주연에 스크류가 형성된 볼트몸체와, 상기 볼트몸체의 상단에 돌출 형성되는 볼트헤드부와, 상기 볼트몸체와 볼트헤드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와셔와, 피체결물을 체결하기 위해 상기 볼트헤드부에 체결되는 연결너트로 구성되는 앵카볼트에 있어서,
    상기 볼트헤드부는,
    연결너트를 체결하기 위해 형성되는 나사산부;와,
    상기 나사산부의 상단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너트를 나사산부에 체결시 간섭됨을 방지함과 더불어 콘크리트에 고정된 볼트몸체의 탈착을 위해 형성되는 상기 나사산부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갖는 풀림볼트머리; 및
    타격하여 볼트몸체를 콘크리트 구멍에 삽입시 풀림볼트머리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풀림볼트머리의 상단에 돌출형성되는 타격돌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이 가능한 앵카볼트.
  2. 콘크리트 벽면에 가공된 구멍에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외주연에 스크류가 형성된 볼트몸체와, 상기 볼트몸체의 상단에 돌출 형성되는 볼트헤드부와, 상기 볼트몸체와 볼트헤드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와셔와, 피체결물을 체결하기 위해 상기 볼트헤드부에 체결되는 연결너트로 구성되는 앵카볼트에 있어서,
    상기 볼트헤드부는
    연결너트를 체결하기 위해 형성되는 나사산부;와,
    타격하여 볼트몸체를 콘크리트 구멍에 삽입시 나사산부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나사산부의 상단에 돌출형성되는 타격돌기부; 및
    콘크리트에 고정된 볼트몸체의 탈착을 위해 상기 나사산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풀림볼트머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이 가능한 앵카볼트.
  3. 콘크리트 벽면에 가공된 구멍에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외주연에 스크류가 형성된 볼트몸체와, 상기 볼트몸체의 상단에 돌출 형성되는 볼트헤드부와, 상기 볼트몸체와 볼트헤드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와셔와, 피체결물을 체결하기 위해 상기 볼트헤드부에 체결되는 연결너트로 구성되는 앵카볼트에 있어서,
    상기 볼트헤드부는,
    연결너트를 체결하기 위해 형성되는 나사산부; 및
    타격하여 볼트몸체를 콘크리트 구멍에 삽입시 나사산부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나사산부의 상단에 돌출형성되는 타격돌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와셔는,
    콘크리트에 고정된 볼트몸체의 탈착을 위해 외주연에 풀림볼트머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이 가능한 앵카볼트.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풀림볼트머리는 나사산부의 직경 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이 가능한 앵카볼트.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풀림볼트머리는 나사산부의 직경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이 가능한 앵카볼트.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와셔의 풀림볼트머리는 접촉면적을 증대시키기 위해 상향으로 연장된 돌출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이 가능한 앵카볼트.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는 볼트몸체의 하부에 형성되되, 상기 볼트몸체 전체 길이 대비 1/2 길이 이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이 가능한 앵카볼트.
KR2020110000672U 2010-10-07 2011-01-24 재활용이 가능한 앵카볼트 KR2004628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0672U KR200462802Y1 (ko) 2010-10-07 2011-01-24 재활용이 가능한 앵카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0316 2010-10-07
KR2020110000672U KR200462802Y1 (ko) 2010-10-07 2011-01-24 재활용이 가능한 앵카볼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2622U KR20120002622U (ko) 2012-04-17
KR200462802Y1 true KR200462802Y1 (ko) 2012-09-28

Family

ID=46606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0672U KR200462802Y1 (ko) 2010-10-07 2011-01-24 재활용이 가능한 앵카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280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28064A (zh) * 2019-04-18 2020-10-27 长沙理工大学 一种可回收的端承锚杆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80158A (ja) 1998-03-30 1999-10-12 Mizutani Kogyo Kk アンカーボルト、鉄筋等挿入部材の頭部構造
JP2002201716A (ja) 2000-10-02 2002-07-19 Ozawa Tokushu Giken:Kk 再使用できるコンクリートアンカー
KR200358933Y1 (ko) 2004-05-24 2004-08-11 유재덕 지지용 앙카볼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80158A (ja) 1998-03-30 1999-10-12 Mizutani Kogyo Kk アンカーボルト、鉄筋等挿入部材の頭部構造
JP2002201716A (ja) 2000-10-02 2002-07-19 Ozawa Tokushu Giken:Kk 再使用できるコンクリートアンカー
KR200358933Y1 (ko) 2004-05-24 2004-08-11 유재덕 지지용 앙카볼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2622U (ko) 2012-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10797U (ja) ボルトアンカー
EP3116687A1 (en) Concrete anchor driver tool
JP2009299885A (ja) 弛み防止ボルト
KR200462802Y1 (ko) 재활용이 가능한 앵카볼트
KR101502600B1 (ko) 스트롱 앵커
JP2010127415A (ja) スクリュー釘
JP2004019370A (ja) ねじ込み式アンカー
CN202811759U (zh) 一种限位螺栓
US9291189B2 (en) Drive spike
JP2008075396A (ja) インサート
KR101544516B1 (ko) 제거식 세트앙카볼트
KR102350066B1 (ko) 앵커볼트 타격용 비트
KR20080082395A (ko) 앵커 볼트
KR20130004077U (ko) 함마 렌치용 고정지그
KR100723261B1 (ko) 구조물 설치용 인서트
US20140064872A1 (en) Replaceable Anchor
JP2011102618A (ja) 土木建築用ボルト
KR200446223Y1 (ko) 앵커볼트
KR101825694B1 (ko) 볼트 풀림 방지장치
KR20190002896U (ko) 천장용 세트앵커
KR200286075Y1 (ko) 앵커볼트
KR101252254B1 (ko) 앵커 볼트
JP2011132777A (ja) 胴縁固定具及びその施工方法
CN214238021U (zh) 一种断裂螺栓取出套筒
JP2005113489A (ja) 建築用木ネ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