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7111B1 - 숙취해소용 차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숙취해소용 차 및 그 제조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7111B1
KR100697111B1 KR1020060012326A KR20060012326A KR100697111B1 KR 100697111 B1 KR100697111 B1 KR 100697111B1 KR 1020060012326 A KR1020060012326 A KR 1020060012326A KR 20060012326 A KR20060012326 A KR 20060012326A KR 100697111 B1 KR100697111 B1 KR 1006971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weight
root
iii
hang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23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17559A (ko
Inventor
임순홍
전명하
Original Assignee
피엔에프생명과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엔에프생명과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피엔에프생명과학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123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7111B1/ko
Publication of KR200600175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75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7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71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34Tea substitutes, e.g. matè; Extracts or infusion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163Liquid or semi-liquid tea extract preparations, e.g. gels, liquid extracts in solid capsu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18Extraction of water soluble tea constitu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22Drying or concentrating tea extra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원료인 산삼 배양근 추출액과 부원료인 곶감과 갈화, 갈근, 오미자, 생강의 혼합물로부터 추출한 추출액을 혼합하여 제조함으로써, 숙취해소의 효과가 탁월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용 차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주원료인 산삼 배양근의 추출 농축액과 부원료인 곶감과 갈화, 갈근, 오미자, 생강의 혼합물로부터 추출한 추출액을 혼합하여 제조함으로써, 체내에 혈중에 용해된 에틸알코올과 아세트알데히드의 농도를 저감시켜 숙취해소의 효과가 탁월하고, 간 기능 향상의 효과가 있으며, 또한 부원료인 곶감과 갈화, 갈근, 오미자, 생강의 혼합물을 적절히 배합하여 추출한 추출액을 가당, 농축, 숙성의 단계를 거쳐 가공함으로써, 상기 각 성분들의 기능 향상과 함께 현대인들의 다양한 기호성을 충족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 장점이다.
숙취해소용 차, 산삼 배양근, 추출액, 곶감, 갈화, 갈근, 오미자, 생강, 가당

Description

숙취해소용 차 및 그 제조방법{Tea for curing of hangover and Method for manufacture of the same}
본 발명은 숙취해소용 차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원료인 산삼 배양근 추출액과 여기에 부원료인 곶감과 갈화, 갈근, 오미자, 생강의 혼합물로부터 추출한 추출액을 혼합하여 제조함으로써, 숙취효과가 뛰어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용 차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우리나라는 급속한 산업발전과 함께 국민들의 술 소비량이 급격하게 늘고 있으며, 과음한 사람들이 음주 다음날 숙취로 인한 고통을 받는 사례가 빈발하고 있다. 숙취현상은 과음에 의한 것으로 체내에 섭취한 알코올이 간에서 미처 소화하지 못하고 남은 술 찌꺼기인 아세트알데히드의 부작용에 의한 것이다. 이러한 숙취의 원인은 크게 세 가지로 첫째, 알코올의 작용으로 인해 술을 마시면 소변이나 땀, 기타 분비물로 많은 수분을 소비하기 때문에 몸의 수분 부족으로 인해 몸이 나른해지고, 둘째, 수분과 함께 미네랄 등이 몸 밖으로 빠져 나가 체내의 전해 질 부족으로 무기력한 증상이 나타나며, 셋째, 아세트알데히드의 부작용으로 나타나는 속이 메스꺼운 현상 등이 나타난다.
이러한 숙취 현상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일차적으로 알코올의 체내 흡수 자체를 감소시킴으로서 간의 알코올 분해 작용의 부담을 감소시켜주며, 이차적으로 흡수된 알코올의 체내 분해 및 대사 작용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하여야 그 효과를 나타낼 수 있지만 그동안 숙취해소용으로 다양하게 개발된 건강식품들의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효과를 갖지 못하는 식품들이 많았다.
특히 최근에 와서 산삼 배양근은 그 성분 및 효능이 많이 인식 되어가고 있다. 산삼은 동의보감에서 "신초"라 불리울 만큼 희귀한 식물로서 인삼, 홍삼보다도 높은 함량의 진센노사이드(Rb1 , Rb2 , Rc , Re , Rf , Rg1 , Rg2 , Rg3 등)를 함유 하고 있으며,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를 이용하여 정량분석을 하면, 산삼이 인삼에 비해 밝혀지지 않은 특이 피크들이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산삼 배양근의 조사포닌 함량은 산삼이나 재배삼의 조사포닌 함량이 4∼6중량%인데 반하여 6∼8중량%로 대단히 높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산삼 배양근에 함유되어 있는 조사포닌은 현대인들에게 많이 발생하는 스트레스종의 일종인 활성산소를 제거할 수 있는 전자공여능(EDA)이 재배삼에 비해 월등히 높은 것으로 이미 알려져 있으며, 활성산소에 의해 손상된 세포를 복원 및 해독작용을 하는 각종 항산화효소의 활성이 재배삼보다 산삼 배양근이 훨씬 높다. 이와 같은 산삼 배양근은 원래 산 삼조직에서 배양된 것이며 천종산삼과 그 성분 및 DNA 배열이 같다 그리고 산삼과 산삼 배양근의 배수성검정에서 DNA함량과 핵수가 일치하고 있는데 이는 산삼 배양근이 다년간 배양을 해도 변이의 발생이 이루어지지 않고 산삼과 유전적으로 동일하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이다. 산삼 배양근의 염색체수를 산삼의 염색체수와 동일한 2n=48개이다.
그리고 곶감은 포도당, 과당 등과 같은 다량의 당분을 함유하고 있고, 과당은 혈액 속의 알코올 분해 속도를 빠르게 해주고 술로 인해 부족해진 영양분과 에너지를 혈액에 보충해주는 역할도 한다. 또한 마니톨과 펙틴도 다량 함유하고 있고, 비타민C, 비타민 K, B1, B2, 그리고 카탈라아제, 폴리페놀옥시다아제, 아밀라아제와 같은 다양한 효소를 함유하고 있어 숙취해소에 효과가 있는 식품이다.
그러나 현재 국내에서 시판되고 있는 숙취해소 음료로는 구루메를 주로 이용한 음료나 또는 아스파라긴산을 이용한 음료 식물성원료를 이용한 제품 중에서 오리나무, 헛개나무 등을 이용한 숙취해소 음료 등이 있지만 아직까지 산삼 및 곶감을 주원료로 하는 숙취해소용 차는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산삼 배양근과 곶감의 추출 농축액을 주성분으로 한 숙취해소용 차를 개발하여 상기와 같은 숙취해소의 효과를 갖는 식품을 개발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주원료인 산삼 배양근의 추출 농축액과 부원료인 곶감과 갈화, 갈근, 오미자, 생강의 혼합물로부터 추출한 추출액을 혼합하여 제조함으로써, 숙취해소의 효과가 탁월하며, 간 기능 향상의 효과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용 차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부원료인 곶감과 갈화, 갈근, 오미자, 생강의 혼합물을 적절히 배합하여 추출한 추출액을 가당, 농축, 숙성의 단계를 거쳐 가공함으로써, 상기 각 성분들의 기능 향상과 함께 현대인들의 다양한 기호성을 충족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용 차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주원료인 산삼 배양근 추출액과 부원료인 곶감과 갈화, 갈근, 오미자, 생강의 혼합물로부터 추출한 추출액을 혼합하여 제조함으로써, 숙취해소의 효과가 탁월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용 차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숙취해소용 차의 배합비 구성은 다음과 같다.
주원료인 건조된 산삼 배양근 추출액 5~15중량%와,
부원료인 곶감 및 갈화, 갈근, 오미자, 생강의 혼합물 추출액 85~95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원료인 건조된 산삼 배양근은 활성산소에 의해 손상된 세포를 복원 및 해독하는 각종 항산화효소의 활성이 우수하여 숙취해소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산삼 배양근으로부터 추출한 추출액은 그 부피를 최대한 감소시키기 위하여 조사포닌의 함량을 120㎎/g까지 농축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숙취해소용 차는 주원료인 산삼 배양근 추출액 5~15중량%와 부원료 혼합물의 추출액 85~95중량%를 혼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산삼 배양근 추출액의 함량이 5중량% 미만이 되거나 또는 부원료 혼합물의 추출액 함량이 95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산삼 배양근 추출액의 함량이 적어짐에 따라 조사포닌의 함량 부족으로 인해 체내에서 항산화효소의 활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그리고 산삼 배양근 추출액의 함량이 15중량%를 초과하거나 또는 부원료 혼합물의 추출액 함량이 85중량% 미만이 될 경우에는 산삼 배양근 추출액의 함량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원료 혼합액의 추출액 함량이 부족하게 되므로 다량 함유된 조사포닌에 의해 체내 항산화효소의 활성이 향상될 수는 있지만 상대적으로 혼합된 부원료의 각 성분들의 기능이 저하될 우려가 있으며, 그리고 산삼 배양근의 추출액이 다량 혼합됨에 따라 제조원가의 상승으로 인해 경제적인 부담이 가중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될 우려 가 있다.
상기 부원료의 혼합물은 곶감 25~35중량부, 갈화 18~30중량부, 갈근 18~30중량부, 오미자 5~15중량부, 생강 24~30중량부의비율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부원료의 혼합물은 반드시 상기의 혼합비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소비자의 요구나 제조자의 필요에 따라 상기 성분들의 기능이 특별히 저해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는 상기의 배합비율이 적절히 조정되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곶감은 포도당, 과당 등과 같은 다량의 당분을 함유하고 있고, 곶감에 함유되어 있는 다량의 포도당과 과당이 혈액 속의 알코올 분해 속도를 빠르게 해주고, 술로 인해 부족해진 영양분과 에너지를 혈액에 보충해주는 역할도 한다. 또한 곶감은 비타민C, 비타민 K, B1, B2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비타민과 카탈라아제, 폴리페놀옥시다아제, 아밀라아제와 같은 다양한 효소를 함유하고 있고, 그리고 곶감에 함유된 타닌 성분은 알코올 흡수를 지연시키고 위를 보호하며, 카탈라아제나 베루옥실이 알코올 대사를 촉진 시켜주기 때문에 숙취해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상기에서 곶감의 배합량은 25~35중량부가 바람직하며, 곶감의 혼합량이 25중량부 미만이 될 경우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곶감의 기능이 저하될 우려 가 있고, 곶감의 혼합량이 35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부원료 혼합물 중 다른 성분들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적어지므로 다른 성분들의 기능이 저하되어 숙취로 인한 피로가 회복되지 않거나 또는 한기 등이 계속적으로 지속되어 숙취해소의 효과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갈화(칡꽃)는 술독을 풀고 갈증을 멈추는 역할을 하며, 갈근(칡뿌리)은 술독을 풀고 혈압을 낮추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갈화와 갈근의 혼합량은 각각 18~30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갈화와 갈근의 혼합량이 각각 18중량부 미만이 될 경우에는 술독을 풀고 갈증을 멈추거나 또는 혈압을 낮추는 기능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그리고 갈화와 갈근의 혼합량이 각각 35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다른 부원료인 성분들이 적어지게 되므로 다른 성분들의 기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오미자는 사과산과 주석산이 많이 들어 있어 신맛이 강하며, 피곤할 때 복용하면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숙취로 인한 피로를 회복시켜주며, 사람의 머리를 맑게 해주어 정신 집중도를 높여주는 역할을 한다. 오미자의 혼합량은 5~15중량부가 바람직하며, 오미자의 혼합량이 5중량부 미만이 될 경우에는 숙취로 인한 피로의 회복이 느려질 우려가 있고, 15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부원료인 다른 성분들의 함량이 줄어들어 다른 성분들의 기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생강은 체내의 혈액순환을 돕고, 몸을 따뜻하게 하여 숙취로 인한 한기의 발생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며, 생강의 배합량은 24~30중량부가 바람직하다. 생강의 혼합량이 24중량부 미만이 될 경우에는 체내의 혈액순환이 원활하지 못해 몸의 한기가 지속될 우려가 있고, 30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숙취해소용 차의 맛과 향이 너무 매우 맛이 날 우려가 있고, 또한 생강의 함량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원료인 다른 성분들의 함량이 줄어들게되어 다른 성분들의 기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숙취해소용 차의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ⅰ) 주원료인 건조된 산삼 배양근을 3∼70% 에틸알코올로 65~85℃에서 18시간 추출하여 조사포닌을 추출하는 단계;
ⅱ) 별도로 부원료인 곶감 및 갈화, 갈근, 오미자, 생강의 혼합물을 65℃에서 3시간 동안 가열한 후 97℃에서 6시간 동안 추출하는 단계;
ⅲ) 상기에서 제조한 추출액에 꿀을 첨가하는 단계;
ⅳ) 상기에서 제조한 가당 추출액을 55℃에서 진공도 -640mHg로 농축시키는 단계;
ⅴ) 상기에서 농축한 추출액을 4℃의 온도로 냉암소에서 10일~15일 동안 숙성시켜 안정화 및 균질화시키는 단계;
ⅵ) ⅰ)단계에서 추출한 상기 산삼 배양근 추출농축액과 상기 ⅴ)단계에서 숙성시킨 부원료 추출액을 혼합시키는 단계;
ⅶ) 상기에서 혼합시킨 혼합 추출액을 50℃에서 7500rpm으로 원심분리시킨 후 0.2㎛ 필터에서 여과시키는 단계;
ⅷ) 상기에서 여과시킨 혼합 추출액을 순간살균기를 이용하여130±2℃에서 2초간 살균시키는 단계;
ⅸ) 살균시킨 내용물을 95℃에서 용기에 충진하는 단계;
ⅹ) 혼합 추출액이 충진된 용기를 다시 고압살균기를 이용하여 121±2℃에서 15분간 살균 후 2분내 35℃로 냉각시키는 단계;
을 거쳐 제조되어진다.
상기 ⅰ)단계에서 건조된 산삼 배양근으로부터 사포닌 추출액을 추출하는 공정은 다음과 같이 3단계를 거쳐 추출되어진다.
a) 1차 추출은 건조된 산삼 배양근 10~15중량%를 65℃에서 70% 에틸알코올85~90중량%를 이용하여 6시간 동안 추출한 후 추출물을 회수하고;
b) 상기 a)단계에서 추출물을 회수하고 남은 잔유물 10~15중량%를 75℃에서 50% 에틸알코올 85~90중량%를 이용하여 6시간 동안 추출한 후 재차 추출물을 회수하며;
c) 그리고 상기 b)단계에서 추출물을 회수하고 남은 잔유물 10~15중량%를다시 85℃에서 3% 에틸알코올 85~90중량%를 이용하여 6시간 동안 추출한 후 추출물을 회수한다.
상기에서와 같은 방법에 의해 a) 내지 c)단계의 3단계 과정을 거쳐 각각 추출한 산삼 배양근 조사포닌 추출액을 합한 후 에틸알코올 용매의 회수 및 농축을 반복 시행하여 조사포닌의 함량이 120㎎/g인 산삼 배양근의 조사포닌 농축액을 얻는다.
그리고 산삼 배양근의 농축의 방법은 필링필름 증발관(Falling Film Evaporator) 낙하유막 공법의 농축과 자연순환식 증발관(Natural Circulation Evaporator)공법을 병행하여 실시하는 방법으로, 필링필름 증발관(Falling Film Evaporator)에서 내부온도 50℃, 진공도 -685mHg에서 고형분 브릭스(brix) 55로 농축시킨 농축물을 다시 자연순환식 증발관(Natural Circulation Evaporator)에서 내부온도 55℃, 진공도 -640mHg에서 고형분 브릭스(brix) 70으로 농축시킨다.
상기 ⅱ)단계에서는 부원료인 곶감과 갈화, 갈근, 오미자, 생강을 적절한 비율로 혼합한 후 물을 용매로 하여 65℃상에서 3시간 동안 가열 후 97℃에서 6시간에 걸쳐 추출액을 얻는다. 이때 상기 부원료의 혼합물과 물의 비율은 10~15중량% 대 85~90중량%가 바람직하며, 상기 비율의 범위 내에서 추출시킬 때 부원료 혼합물의 성분이 물에 충분히 추출되어질 수 있다.
상기에서 부원료인 곶감과 갈화, 갈근, 오미자, 생강의 혼합비는 다음과 같다.
부원료 혼합물의 혼합비는 곶감 25~35중량부, 갈화 18~30중량부, 갈근 18~30중량부, 오미자 5~15중량부, 생강 24~30중량부의 비율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ⅲ)단계에서는 부원료로부터 추출한 추출액에 장내 유산균의 활동을 돕기 위해 꿀을 첨가한다. 이때 부원료 추출액에 첨가하는 꿀의 첨가량은 부원료 추출액 100중량부에 대하여 8~10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당의 첨가량이 8중량부 미만이 될 경우에는 부원료 추출물에 첨가하는 당의 첨가량이 적어 장내 유산균의 활동이 저하할 우려가 있고, 10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당의 증가된 첨가량에 비례하여 장내 유산균의 활동이 반드시 비례하여 왕성해진다고는 할 수 없다.
상기 ⅳ)단계에서는 ⅲ)단계에서 제조한 가당 추출액을 농축시키는 단계로 서, 상기 ⅰ)단계와 마찬가지로 필링필름 증발관(Falling Film Evaporator) 낙하유막 공법의 농축과 자연순환식 증발관(Natural Circulation Evaporator)공법을 병행하여 실시하는 방법을 채택한다.
상기 ⅲ) 및 ⅳ)단계에서와 같이 부원료 추출물에 꿀을 가한 후 농축시킴으로써, 부원료 추출물에 함유되어 있는 휘발성 물질을 회수하여 부원료 추출물에 함유되어 있는 각 성분들의 기능성을 향상시키고, 기호성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상기 ⅴ)단계에서는 ⅳ)단계에서 농축한 추출액을 냉암소에서 숙성시켜 안정화 및 균질화시키는 단계로서, 4℃의 온도에서 추출물의 용적이 최소의 체적을 갖으며 추출물의 밀도가 가장 높은 상태가 되므로 추출물의 당과의 결합으로 인해 추출물 맛의 균질 촉감의 균질로 인하여 기호성이 매우 높아지기 때문에 4℃의 온도에서 10일~15일 동안 숙성시킨다. 숙성기간이 10일 미만이 될 경우에는 농축한 추출액이 충분히 숙성되지 아니하여 균질화되지 않을 우려가 있고, 숙성기간이 15일을 초과할 경우에는 과숙성되어 도리어 추출물이 발효되어 기호성이 떨어질 우려가 있다.
상기 ⅵ)단계에서는 산삼 배양근 추출액과 부원료 숙성 추출액을 혼합시키는 단계로서, 이때 주원료인 산삼 배양근 추출액의 함량은 5~15중량%, 부원료 혼합 물의 추출액 함량은 85~95중량%가 바람직하다.
상기 ⅶ)단계에서는 혼합 추출액을 50±2℃에서 7500rpm으로 원심분리시킨 후 그 상등액을 0.2㎛ 필터로 미세 단백질까지 여과시킨다. 이때 상기의 온도보다 높은 조건에서 원심분리 시키면 추출물과 추출물에 함유된 내용물과의 비중 차이가 적어 원심력에 의한 여과가 불량해질 우려가 있고, 상기의 온도보다 낮은 온도에서 원심분리 시킬 경우에는 원심 분리를 위한 냉각 비용이 증대되어 경제성이 떨어질 우려가 있다.
상기 ⅷ)단계에서는 혼합 추출액을 용기에 충전하기 전에 주입전 내용물의 안정성을 위하여 순간살균기를 이용하여 130±2℃에서 2 초간 살균을 한다.
그리고 상기 ⅸ)단계에서는 순간 살균한 혼합 추출액을 95℃에서 용기에 충진을 하며 내용물 표면의 산화 방지를 위하여 상단 스페이스에 내용물 충진시 질소를 주입한다.
다시 ⅹ)단계에서 혼합 추출액이 충전된 밀봉 용기를 고압살균 121±2℃에서 15분간 살균후 2분내 35℃로 냉각시켜 호열 세균까지 사멸시킨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숙취해소용 차의 제조
건조된 산삼 배양근 추출액과 부원료인 곶감 및 갈화, 갈근, 오미자, 생강의 혼합물 추출액을 다음 [표 1]의 내용과 같이 배합하였다.
(중량%)
추출액 성분 실시예
1 2
산삼 배양근 추출액1) 5 15
부원료 혼합액 추출액2) 95 85
삭제
삭제
주 1) 조사포닌 함량이 120㎎/g임.
2) 곶감 30중량부, 갈화 20중량부, 갈근 20중량부, 오미자 5중량부, 생강 25중량부의 혼합물을 부원료 혼합물 15중량%와 물 85중량%를 혼합하여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추출한 액임.
2. 혈중 알코올 분해 및 혈중 아세트알데히드의 분해 실험
가. 시험계
1) 종 및 계통 랫드 ; Sprague-Dawley(NTacSam:SD)
2) 구입처 ; ㈜샘타코 BIO KOREA
3) 성별 및 투여 동물수 ; 수컷 16마리
4) 투여시 주령 및 체중범위 ; 8주령, 218.01~243. 66g
나. 시료 및 알코올 투여
1) 투여경로 및 투여횟수 : 경구로 1회 투여하였다.
2) 시료 및 알코올의 투여 ; 시험물질의 투여 용량은 낮은 농도에서는 에틸알코올 및 아세트알데히드의 농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으며 각 군당 효과를 보기가 어렵기 때문에 투여용량을 높여 실시예 1(G2) 및 실시예 2(G3)의 시료를 각각 1000mg/kg씩 투여한 것을 적용하였으며, 투여는 경구투여용 존데가 부착된 일회용 주사기를 이용하여 시료 및 부형제를 알코올 투여 30분 전에 위 내에 강제 경구 투여하였다.(투여 알코올의 농도는 20% 알코올임)
다. 군 구성
에틸알코올 투여액량4) (㎖/㎏) 마릿수 개체번호
G1 음성대조군1) 10 6 1M01-1M06
G2 시료 투여군2) 10 5 2M07-2M11
G3 시료 투여군3) 10 5 3M12-3M16
삭제
주 1) 에틸알코올만 투여한 군
삭제
2) 에틸알코올 및 실시예 1의 시료를 1000mg/kg 투여한 군
3) 에틸알코올 및 실시예 2의 시료를 1000mg/kg 투여한 군
4) 25% 에틸알코올
라. 평가항목
1) 에틸알코올 및 아세트알데히드농도 측정
삭제
가) 시료 투여 전(0 시간), 에틸알코올 투여 후 1, 3 및 5 시간이 되는 시점에 미정맥으로 부터 혈액을 채취하였다.(1.5 ㎖)
나) 4 ℃에서 3,000 rpm으로 10분간 원심분리시켜 혈청을 분리(Micro 17TR, Hanil Co. Ltd., Korea) 하였다.
다) 에틸알코올 및 아세트알데히드정량 키트(Megazyme Co. Ltd., USA)를 이용하여 혈중의 에틸알코올 및 아세트알데히드의 농도를 UV 스펙트로포토메타(Biospec-1601, SHIMADAZU Co. Ltd., Japan)의 340 nm 에서 측정하였다.
마. 자료의 통계처리
모든 시험결과는 평균치와 표준편차를 사용하여 나타냈으며, 각 군간의 비교는 아노바(ANOVA) 및 스튜턴츠(Student's) t-test를 사용하였다.
바. 실험 결과
1) 혈중 에틸알코올 농도
에틸알코올 농도는 아래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시험물질 투여 후 1 및 3시간 경과 후 최고값을 나타내었다. G1 음성대조군(0.120 g/ℓ)은 1시간째에 최고치를 나타냈으며 G2 투여군(0.0126 g/ℓ), G3 시료 투여군(0.141 g/ℓ)에서는 3시간째 최고치를 보였다. 또한 모든 시험물질 투여군에서는 5시간째 감소하였다. 그리고 5시간째에는 G1 음성대조군의 에틸알코올 농도(0.107 g/ℓ)에 비해 G2 및 G3 투여군의 에틸알코올 농도(G2 : 0.063 g/ℓ, G3 ; 0.044 g/ℓ)가 훨씬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단위 :g/ℓ)
Ani. 에틸알코올
ID 0 시간 1 시간 3 시간 5 시간
G1 1M01 0.005 0.140 0.113 0.121
1M02 0.007 0.146 0.115 0.098
1M03 0.003 0.155 0.115 0.122
1M04 0.007 0.134 0.124 0.101
1M05 0.007 0.134 0.120 0.096
1M06 0.008 0.009 0.112 0.103
Mean 0.006 0.120 0.117 0.107
N 6 6 6 6
G2 2M07 0.008 0.128 0.116 0.061
2M08 0.005 0.128 0.120 0.065
2M09 0.016 0.127 0.132 0.061
2M10 0.008 0.106 0.137 0.064
2M11 0.009 0.109 0.127 0.062
Mean 0.009 0.120 0.126 0.063
N 5 5 5 5
G3 3M12 0.009 0.092 0.136 0.047
3M13 0.010 0.105 0.133 0.060
3M14 0.016 0.132 0.148 0.047
3M15 0.017 0.146 0.140 0.151
M163 0.012 0.127 0.138 0.010
Mean 0.012 0.125 0.141 0.044
N 5 5 5 5
삭제
삭제
N : 랫드의 수
2) 혈중 아세트알데히드농도
숙취의 주된 원인이 되는 혈중 아세트알데히드가 최고치에 도달한 시간은 아래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1 및 3시간으로 에틸알코올과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G1 음성대조군(0.015 g/ℓ)과 G2 시료투여군(0.013 g/ℓ), G3(0.014 g/ℓ)은 각각 1 및 3시간에 최고치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5시간째에는 G1 음성대조군의 아세트알데히드 농도(0.007 g/ℓ)에 비해 G2 및 G3 투여군의 아세트알데히드 농도(G2 : 0.005 g/ℓ, G3 ; 0.004 g/ℓ)가 훨씬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단위 : g/ℓ)
Ani. 아세트알데히드
ID 0 hr 1 hr 3 hr 5 hr
G1 1M01 0.009 0.014 0.017 0.013
1M02 0.010 0.015 0.006 0.000
1M03 0.002 0.015 0.013 0.012
1M04 0.012 0.015 0.010 0.003
1M05 0.014 0.017 0.014 0.002
1M06 0.015 0.016 0.001 0.011
Mean 0.011 0.015 0.010 0.007
N 6 6 6 6
G2 2M07 0.011 0.012 0.014 0.007
2M08 0.008 0.015 0.015 0.004
2M09 0.014 0.015 0.011 0.003
2M10 0.011 0.002 0.014 0.006
2M11 0.011 0.015 0.010 0.005
Mean 0.011 0.012 0.013 0.005
N 5 5 5 5
G3 3M12 0.010 0.009 0.014 0.003
3M13 0.010 0.014 0.015 0.005
3M14 0.011 0.014 0.014 0.004
3M15 0.011 0.009 0.015 0.005
3M16 0.009 0.015 0.014 0.003
Mean 0.011 0.013 0.014 0.004
N 5 5 5 5
삭제
삭제
N : 랫드의 수
상기에서 수컷 랫드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및 2의 시료에 대 한 숙취해소에 대한 효능을 검증하기 위하여 에틸알코올 대사과정에서 생성되어 숙취의 원인이 되는 에틸알코올 및 아세트알데히드의 농도를 측정하여 확인한 결과 실시예 1 및 2의 시료는 에틸알코올 투여 30분 전에 투여하였으며 시료 투여 전(0 시간), 에틸알코올 투여 후 1, 3 및 5시간에 채혈하여 얻은 혈청을 이용하여 혈중 에틸알코올 및 아세트알데히드의 농도를 UV 스펙트로포토메타의 340 nm에서 측정하였다. 모든 시험군은 에틸알코올 투여에 의해 혈중 에틸알코올 및 아세트알데히드의 농도가 높아진 것으로 보아 체내에 에틸알코올의 흡수가 된 것으로 판단이 되었다. 또한 G1 음성대조군에서 혈중 에틸알코올 및 아세트알데히드의 농도는 에틸알코올 투여 1시간 경과 후에 최고치를 보였으며 G2, G3 시료 투여군에서는 3시간 경과 후 가장 높은 농도에 도달하였다. 5시간 경과 후 모든 군에서 혈중 에틸알코올 및 아세트알데히드는 감소하였으며, 특히 본 실시예 1 및 2의 시료를 투여한 G2, G3 시료 투여군이 G1 음성대조군에 비해 에틸알코올 및 아세트알데히드의 농도 감소 폭이 큰 것으로 나타나 에틸알코올에 의한 독성 경감 및 숙취해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3. 숙취해소용 차의 간기능 검사
본 실험은 장기 알코올 투여 시험으로 보다 충분한 에틸알코올 중독을 유발시키기 위하여 시험 개시 후 7주-까지는 알코올성 간 손상 지표(Fujii)을 활용하여 주정만을 투여하고, 그 후 3주간은 실시예 1의 시료를 음용시켜 간기능치 측정 하였다.
가. 실험 방법
실험개시일 당일 266±18g(약 7주령)된 실험용 흰쥐(S.D rat)를 27수 공시하여 아래 [표 5]의 내용과 같이 에틸알코올 투여 양성대조군(A군), 에틸알코올 비투여 음성 대조군(B군), 실시예 1의 시료 투여군(C군)의 3처리 군으로 하여 3수 3반복으로 처리군당 9수씩 배치하였다.
처리군 처리내용 에틸알코올 숙취제거음료
7주 3주
A 에틸알코올 투여 양성대조군1) × ×
B 에틸알코올 비투여 음성대조군 × × ×
C 실시예 1의 시료 투여군1) ×
삭제
주 1) 5㎖(25중량%)에틸알코올/체중(㎏) 투여.
처음 7 주간은 알코올성 간 손상 지표를 활용하여 25중량% 에틸알코올을 매일 경구 투여하였고, 나머지 3주간은 25중량% 에틸알코올과 실시예 1의 시료를 동시에 투여하였다. 실험 종료 전일 밤부터 다음날 아침까지 12시간 절식fasting)시킨 다음 흰쥐를 도살하였다.
나 분석방법
- GOT 와 GPT : 라이트만-프란켈(Reitman-Frankel)법
- γ-GTP : 오를로프스키(Orlowski)법
- 빌리루빈 : 에블린-말로이(Evelyn-Malloy)법
- LDH : 디아포라제(Diaphorase) 효소법
다. 간기능 검사
장기간 에틸알코올 투여가 간기능에 미치는 영향은 [표 6]의 내용과 같다. 빌리루빈, ALT, GOT, -GTP 함량은 처리군간 통계적인 유의차가 있었다(p〈0.05). 빌리루빈 함량은 대조군(B)이 3.54㎖/㎗ 로 가장 높았고 C군이 1.21㎖/㎗ 로 가장 낮았다. ALP 활성은 에틸알코올 투여군(A)이 17.7 K-A unit로 가장 높았고, C군이 11.9 K-A unit로 가장 낮았다. GOT 활성 역시 A군이 77.4 IU/ℓ로 가장 높았고 C군이 60.7 IU/ℓ로 가장 낮았다 GPT 활성은 처리군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C군이 다른 처리군보다 다소 낮았다. 지방간(fatty liver) 수치로서 알코올성 간질환 측정에 쓰이는 γ-GPT 함량은 A군이 122.6mU/㎖, C군이 115.5mU/㎖의 순이었고, 한편 혈중 젖산탈수소(LDH) 의 활성은 처리군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B군이 398.0μ/ℓ로 가장 높았고, C군이 339.7μ/ℓ로 가장 낮았다.
처리군 (n=9) Bilirubin (㎖/dl) ALD1) (K-A unit*) GOT2) GPT3) γ-GTP4) (mU/㎖) LDH5) (μ/L)
(IU/L)
A 1.42±1.02 17.7±2.01 77.4±16.6 37.4±9.9 122.6±54.7 175.3±62.0
B 3.54±2.01 13.8±4.83 68.8±7.3 34.6±7.3 77.0±34.4 398.0±57.4
C 1.21±0.63 11.9±2.59 60.7±10.1 31.8±5.5 115.5±41.7 339.7±76.5
삭제
주 1) ALP : Alkaline phosphase(* K-A unit : King-Armstrong Unit)
2) GOT : 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
3) GPT : Glutamic pyruvic transaminase
4) γ-GTP : γ-Glutamyl transpeptidase
5) LDH ; Lactate dehydrogenase
상기 Table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빌리루빈, ALP, GOT 및 γ-GPT과 같은 간기능치는 처리군간 유의차가 있었다(p〈0.05). 빌리루빈 함량은 C군이 1.21㎎/㎗로 가장 낮았다. ALP 활성은 A군이 17.7 K-A unit로 가장 높았고 C군이 11.9 K-A unit로 가장 낮았다. GOT 함량 역시 A군이 77.4 IU/ℓ로 가장 높았고 C군이 60.7 IU/ℓ로 가장 낮았다. 지방간 (fatty liver) 수치인 γ-GTP 함량은 A군, C군, B군 순으로 높았다.
상기의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주원료인 산삼 배양근의 추출 농축액과 부원료인 곶감과 갈화, 갈근, 오미자, 생강의 혼합물로부터 추출한 추출액을 혼합하여 제조함으로써, 체내에 혈중에 용해된 에틸알코올과 아세트알데히드의 농도를 저감시켜 숙취해소의 효과가 탁월하고, 간 기능 향상의 효과가 있으며, 또한 부원료인 곶감과 갈화, 갈근, 오미자, 생강의 혼합물을 적절히 배합하여 추출한 추출액을 가당, 농축, 숙성의 단계를 거쳐 가공함으로써, 상기 각 성분들의 기능 향상과 함께 현대인들의 다양한 기호성을 충족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 장점이다.

Claims (7)

  1. 주원료로서, 건조된 산삼 배양근으로부터 조사포닌의 함량을 120㎎/g까지 농축시킨 추출액 5~15중량%와,
    부원료로서, 곶감 25~35중량부, 갈화 18~30중량부, 갈근 18~30중량부, 오미자 5~15중량부, 생강 24~30중량부를 혼합시킨 혼합물의 추출액 85~95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용 차.
  2. ⅰ) 주원료인 건조된 산삼 배양근을 3∼70% 에틸알코올로 65~85℃에서 18시간 추출하여 조사포닌을 추출하는 단계;
    ⅱ) 별도로 부원료인 곶감 및 갈화, 갈근, 오미자, 생강의 혼합물을 65℃에서 3시간 동안 가열한 후 97℃에서 6시간 동안 추출하는 단계;
    ⅲ) 상기에서 제조한 추출액에 꿀을 첨가하는 단계;
    ⅳ) 상기에서 제조한 가당 추출액을 55℃에서 진공도 -640mHg로 농축시키는 단계;
    ⅴ) 상기에서 농축한 추출액을 4℃의 온도로 냉암소에서 10일~15일 동안 숙성시켜 안정화 및 균질화시키는 단계;
    ⅵ) ⅰ)단계에서 추출한 상기 산삼 배양근 추출농축액과 상기 ⅴ)단계에서 숙성시킨 부원료 추출액을 혼합시키는 단계;
    ⅶ) 상기에서 혼합시킨 혼합 추출액을 50℃에서 7500rpm으로 원심분리시킨 후 0.2㎛ 필터에서 여과시키는 단계;
    ⅷ) 상기에서 여과시킨 혼합 추출액을 순간살균기를 이용하여130±2℃에서 2초간 살균시키는 단계;
    ⅸ) 살균시킨 내용물을 95℃에서 용기에 충진하는 단계;
    ⅹ) 혼합 추출액이 충진된 용기를 다시 고압살균기를 이용하여 121±2℃에서 15분간 살균 후 2분내 35℃로 냉각시키는 단계;
    을 거쳐 제조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용 차의 제조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ⅰ)단계에서 산삼 배양근의 추출은 3단계 과정을 거쳐 추출하며,
    a) 1차 추출은 건조된 산삼 배양근 10~15중량%를 65℃에서 70% 에틸알코올85~90중량%를 이용하여 6시간 동안 추출한 후 추출물을 회수하고;
    b) 상기 a)단계에서 추출물을 회수하고 남은 잔유물 10~15중량%를 75℃에서 50% 에틸알코올 85~90중량%를 이용하여 6시간 동안 추출한 후 재차 추출물을 회수하며,
    c) 그리고 상기 b)단계에서 추출물을 회수하고 남은 잔유물 10~15중량%를다시 85℃에서 3% 에틸알코올 85~90중량%를 이용하여 6시간 동안 추출한 후 추출물을 회수;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용 차의 제조방법.
  4. 제 2항 또는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ⅰ)단계에서 산삼 배양근의 추출액은 조사포닌의 함량을 120㎎/g까지 농축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용 차의 제조방법.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ⅱ)단계에서 부원료의 혼합물은 곶감 25~35중량부, 갈화 18~30중량부, 갈근 18~30중량부, 오미자 5~15중량부, 생강 24~30중량부를 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용 차의 제조방법.
  6. 삭제
  7. 삭제
KR1020060012326A 2006-02-09 2006-02-09 숙취해소용 차 및 그 제조방법 KR1006971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2326A KR100697111B1 (ko) 2006-02-09 2006-02-09 숙취해소용 차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2326A KR100697111B1 (ko) 2006-02-09 2006-02-09 숙취해소용 차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7559A KR20060017559A (ko) 2006-02-23
KR100697111B1 true KR100697111B1 (ko) 2007-03-21

Family

ID=37125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2326A KR100697111B1 (ko) 2006-02-09 2006-02-09 숙취해소용 차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711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6379B1 (ko) 2008-12-29 2012-03-23 손목헌 벌꿀과 생강을 주원료로 하는 벌꿀생강차용 과립의 제조방법
CN103109959A (zh) * 2013-01-31 2013-05-22 安徽霍山县药王谷林农科技有限公司 一种石斛醒酒茶及其制备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3227B1 (ko) * 2009-07-17 2010-06-16 극동에치팜 주식회사 약용식물 추출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 예방 또는 해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12970852A (zh) * 2021-03-30 2021-06-18 安徽省金天柱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油茶解酒饮品及其制备工艺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9936A (ko) * 2001-05-21 2001-07-25 신언창 숙취해소용 음료 및 그 제조 방법
KR20030039287A (ko) * 2001-11-12 2003-05-17 윤병재 숙취해소용 티백차 제품
KR20040021862A (ko) * 2002-09-05 2004-03-11 정해봉 산양 산삼 생수삼 엑기스 제조방법 및 산양 산삼 엑기스동결 건조 분말을 포함하는 건강식품
KR20040034326A (ko) * 2003-03-03 2004-04-28 (주)바이오피아 산삼 배양근 추출물을 함유한 건강식품 및 그 제조방법
KR20040035612A (ko) * 2004-02-23 2004-04-29 (주)바이오피아 산삼배양근을 이용한 숙성산삼주와 제조방법
KR20060062692A (ko) * 2004-12-06 2006-06-12 주식회사 씨비엔바이오텍 사포닌 함량이 높은 산삼배양근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그용도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9936A (ko) * 2001-05-21 2001-07-25 신언창 숙취해소용 음료 및 그 제조 방법
KR20030039287A (ko) * 2001-11-12 2003-05-17 윤병재 숙취해소용 티백차 제품
KR20040021862A (ko) * 2002-09-05 2004-03-11 정해봉 산양 산삼 생수삼 엑기스 제조방법 및 산양 산삼 엑기스동결 건조 분말을 포함하는 건강식품
KR20040034326A (ko) * 2003-03-03 2004-04-28 (주)바이오피아 산삼 배양근 추출물을 함유한 건강식품 및 그 제조방법
KR20040035612A (ko) * 2004-02-23 2004-04-29 (주)바이오피아 산삼배양근을 이용한 숙성산삼주와 제조방법
KR20060062692A (ko) * 2004-12-06 2006-06-12 주식회사 씨비엔바이오텍 사포닌 함량이 높은 산삼배양근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그용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6379B1 (ko) 2008-12-29 2012-03-23 손목헌 벌꿀과 생강을 주원료로 하는 벌꿀생강차용 과립의 제조방법
CN103109959A (zh) * 2013-01-31 2013-05-22 安徽霍山县药王谷林农科技有限公司 一种石斛醒酒茶及其制备方法
CN103109959B (zh) * 2013-01-31 2014-04-09 安徽霍山县药王谷林农科技有限公司 一种石斛醒酒茶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7559A (ko) 2006-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1094B1 (ko) 숙취해소 또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CN107586656A (zh) 一种刺梨全果酒及其制备方法
CN114404545A (zh) 一种解酒护肝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0697111B1 (ko) 숙취해소용 차 및 그 제조방법
KR101670649B1 (ko) 한약재 발효 추출물을 함유한 혼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3462133A (zh) 一种果糖刺梨汁饮料及其生产方法
CN104560576B (zh) 玛卡养生酒及其制备方法
CN110200179A (zh) 一种抗氧化、提高免疫力的诺丽果汁及其制备方法
EP1713346B1 (en) Natural tea having effect of liver function recovery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KR20100102012A (ko) 기능성 오이 음료의 제조방법 및 기능성 오이 음료 조성물
CN107557254B (zh) 一种荔枝玫瑰酒和制备方法及补益气血与抗氧化应用
KR102127411B1 (ko) 복합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기능 보호 및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0969460B1 (ko) 산겨릅나무를 주재료로 한 숙취해소용 음료의 제조방법
KR20150028664A (ko) 숙취해소용 식품 조성물
CN111066994A (zh) 一种解酒护肝功能饮料及其制备方法
KR100617500B1 (ko) 생약 재료로부터 한방음료 농축물을 제조하는 방법
WO2017119574A1 (ko) 탱자 추출액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09255B1 (ko) 감을 이용한 스파클링 와인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368747B1 (ko) 숙취 해소용 음료 조성물
KR20110088794A (ko) 오미자 청의 제조방법
KR102428520B1 (ko) 홍삼농축액, 당귀추출물, 클로렐라 및 소엽추출물을 이용한 리큐르주의 제조방법
KR20070041069A (ko) 프로폴리스 과즙 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 발효 음료의 제조방법
CN109717437A (zh) 一种解酒复合蜂蜜膏及其制备方法
KR100616122B1 (ko) 간기능활성 및 항고지혈증 조성물
KR20140100336A (ko) 헛개나무 목질부로부터 분리된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