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4652B1 - 곡물 배출장치 - Google Patents

곡물 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4652B1
KR100694652B1 KR1020050022582A KR20050022582A KR100694652B1 KR 100694652 B1 KR100694652 B1 KR 100694652B1 KR 1020050022582 A KR1020050022582 A KR 1020050022582A KR 20050022582 A KR20050022582 A KR 20050022582A KR 100694652 B1 KR100694652 B1 KR 1006946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cylinder
grain
transfer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25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4384A (ko
Inventor
켄지 코노
히데노리 오카자키
Original Assignee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43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43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46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46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4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surface ducts; Ducts or covers therefor

Landscapes

  • Threshing Machine Elements (AREA)
  • Screw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곡물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곡립배출 오거에 의해 곡물을 배출할 때는, 이 곡립배출 오거 전체를 회동시키기 위하여, 중량이 무거워 회동조작이 곤란하거나, 곡립배출 오거의 곡립배출구로부터 곡물이 아래로 새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곡물을 이송하는 이송배출통(6)의 이송 종단부측에 배출구(14a)를 회동이 자유롭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배출장치를 제공한다.
곡물, 배출, 오거, Auger, 콤바인, 곡립

Description

곡물 배출장치{Auger Conveyor for Cereals}
도 1은, 배출통부와, 회동장치부의 확대 측단면도.
도 2는, 배출통부와, 회동장치부의 확대 정단면도.
도 3은, 조작장치부의 확대 평면도.
도 4는, 조작 장치의 일부의 확대 측단면도.
도 5는, 하니스(Harness) 설치부의 확대 측단면도.
도 6은, 하니스 설치부의 확대 정단면도.
도 7은, 모터용 커버(Cover)에 하니스 설치부의 확대 평면도.
도 8은, 이동용 이송통의 이송 종단부의 확대 측면도.
도 9는, 텐션(Tension) 장치부의 평면도.
도 10은, 이송 배출통 장치의 최대 단축시의 확대 측단면도.
도 11은, 이송 배출통 장치의 신장(伸張) 도중시의 확대 측단면도.
도 12는, 이송 배출통 장치의 최대 신장시의 확대 측단면도.
도 13은, 고정용 이송통과, 이동용 이송통의 확대 측단면도.
도 14는, 도 13의 A-A 단면도.
도 15는, 전방·중간·후방 이동이송나선의 확대 측면사시도.
도 16은, 중간 이동이송나선부의 확대 측면도.
도 17은, 중간 이동이송나선의 확대 측면사시도.
도 18은, 이송 배출통 장치의 승강 회동부의 확대 측면도.
도 19은, 이송 배출통 장치의 승강 회동부의 확대 평면도.
도 20은, 배출통의 스톱퍼(Stopper)부의 확대 작용 정면도.
도 21은, 막힘 센서의 와이어(Wire)의 배치 확대 측면도.
도 22는, 막힘 센서의 와이어의 배치 확대 정면도.
도 23은, 이송 배출통 장치의 작용 측면사시도.
도 24는, 배출통의 작용 정면도.
도 25는, 이송 배출통 장치의 수납시의 작용 측면도.
도 26은, 콤바인(Combine)의 좌측 전체 측면도.
도 27은,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하니스 커버의 후부(後部)의 확대 배면도.
도 28은,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회동용 모터의 하니스의 배치 확대 측면도.
도 29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회동용 모터의 하니스의 배치 확대 평면도.
도 30은,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배출통의 회동장치부의 확대 측단면도.
도 31은,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스톱퍼부의 확대 측단면도.
도 32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스톱퍼부의 확대 배면도.
도 33은,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접속판의 확대 평면사시도.
도 34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배출통부의 확대 측단면도.
도 35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배출통부의 확대 작용측 단면도.
도 36은,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조작 장치의 확대 배면사시도.
도 37은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배출통부의 작용 확대도.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 : 이송 배출통 장치(배출통)
14 : 배출통(이송 종단부측의 배출통)
14a : 곡립배출구(排穀口, 배출구)
14b : 회동용 모터(구동장치)
15d : 막힘 센서
본 발명은, 곡물(穀物)을 이송하여 배출하는 곡물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고, 예컨대, 콤바인(Combine)의 곡물(穀物)배출장치로서 이용할 수가 있다.
예컨대, 콤바인에 의한 곡물의 수확작업에 있어서, 탈곡후의 곡립은, 콤바인의 기계본체에 설치된 그레인 탱크(Grain Tank)내에 일시 저장된다.
이 그레인 탱크내에 저장한 곡립을 기계밖으로 배출하는 배출작업은, 아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행하여진다.
특히, 일본국 특개평 6-296431호 공보에 개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콤바인의 그레인 탱크내의 곡립을 배출할 때는, 이 곡립을, 그레인 탱크내에서 해당 그레인 탱크의 뒤쪽에 설치한 양곡통(揚穀筒)내로 이송하고, 이 양곡통으로부터 곡립배출 오거(Auger)로 이송하여 해당 곡립배출 오거 선단측의 곡립배출구로부터 배출시킨다. 이 곡립의 배출은, 트럭 등에 배치한 곡립저장탱크 등으로 직접 배출하거나, 또는, 대(大)곡립수용자루를 곡립배출 오거에 장착하여 배출한다.
곡립배출 오거에 의해 곡립을 배출할 때는, 이 곡립배출 오거 전체를 회동시키기 때문에, 중량이 무거워 회동조작이 곤란하거나, 이 곡립배출 오거의 곡립배출구로부터 곡립이 아래로 새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기술적 수단을 강구한 것이다.
즉,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에 있어서는, 이송통(13)의 선단부에 배출구(14a)를 구비한 배출통(14)을 좌우 회전이 자유롭게 취부하고, 상기 이송통(13)의 선단부에 고정측의 기어(17c)를 설치하며, 상기 배출통(14) 선단의 외측면에 구동장치(14b)를 일체로 취부하고, 상기 기어(17c)에 구동장치(14b)의 출력기어(17b)를 치합시키며, 상기 구동장치(14b)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배출통(14)을 상기 구동장치(14b)와 일체로 좌우 회동시키도록 하는 구성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배출장치로 한다.
예컨대, 콤바인에 의한 곡물의 수확작업에 의해 곡립저장탱크내에 저장한 곡립(곡물)은, 이 곡립저장탱크에 설치한 이송배출통의 이송 종단부측의 배출구(14a)로부터 기계 밖으로 배출된다. 이때, 이송 종단부측의 배출통(14)에 일체적으로 설치하는 구동장치(14b)를 구동시켜서 이 배출통(14)을 구동장치(14b)와 일체로 좌우 회동시킴으로써, 이 좌우 회동시킨 배출통(14)의 배출구(14a)로부터 곡물이 배출된다.
청구항 2 기재의 발명은, 고정용 이송통(8)과 이송통(13)으로 이루어진 이송배출통(6)을 신축이 자유롭게 구성하며, 상기 이송통(13)의 선단부에 배출구(14a)를 구비한 배출통(14)을 좌우 회동이 자유롭게 취부하고, 상기 이송통(13)의 선단부에 고정측의 기어(17c)를 설치하며, 상기 배출통(14) 선단의 외측면에 구동장치(14b)를 일체로 취부하고, 상기 기어(17c)에 구동장치(14b)의 출력기어(17b)를 치합시키며, 상기 구동장치(14b)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배출통(14)을 상기 구동장치(14b)와 일체로 좌우 회동시키도록 하는 구성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배출장치로 한다.
예컨대, 콤바인에 의한 곡물의 수확작업에 의해 곡립저장탱크내에 저장한 곡립(곡물)은, 이 곡립저장탱크에 설치한 이송배출통(6)의 이송 종단부측의 배출구(14a)로부터 기계밖으로 배출된다. 이때, 이송배출통(6)을 신축시킴과 동시에 이송 종단부측의 배출통(14)에 일체적으로 설치하는 구동장치(14b)를 구동시켜서 이 배출통(14)을 구동장치(14b)와 일체로 좌우 회동시켜, 이 신축 및 좌우 회동시킨 배출통(14)의 배출구(14a)로부터 곡물이 배출된다.
청구항 3 기재의 발명은, 이송통(13)의 선단부에 배출구(14a)를 구비한 배출통(14)을 좌우 회전이 자유롭게 취부하고, 상기 이송통(13)의 선단부에 고정측의 기어(17c)를 설치하며, 상기 배출통(14) 선단의 외측면에 구동장치(14b)를 일체로 취부하고, 상기 기어(17c)에 구동장치(14b)의 출력기어(17b)를 치합시키며, 상기 구동장치(14b)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배출통(14)을 상기 구동장치(14b)와 일체로 좌우 회동시키도록 구성하는 동시에, 상기 구동장치(14b)를 이송배출통(6)에 내장된 나선축(9)의 축심(D) 보다 아래쪽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배출장치로 한다.
예컨대, 콤바인에 의한 곡물의 수확작업에 의해 곡립저장탱크내에 저장한 곡립(곡물)은, 이 곡립저장탱크에 설치한 이송배출통(6)의 이송 종단부측의 배출구(14a)로부터 기계밖으로 배출된다. 이때, 이송 종단부측의 배출통(14)에 일체적으로 설치하는 구동장치(14b)를 구동시켜서 이 배출통(14)을 구동장치(14b)와 일체로 좌우 회동시킴으로써, 이 좌우 회동시킨 배출통(14)의 배출구(14a)로부터 곡물이 배출된다. 한편, 이 배출통(14)에 설치한 구동장치(14b)를, 이동나선축(9)의 축심(D)보다 아래쪽에 설치함으로써, 축심(D)보다 위쪽에 설치하는 구성에 비교하여, 배출통(14)을 컴팩트하게 할 수 있음과 함께, 경량화를 도모할 수가 있다.
청구항 4 기재의 발명은, 이송통(13)의 선단부에 배출구(14a)를 구비한 배출통(14)을 좌우 회전이 자유롭게 취부하고, 상기 이송통(13)의 선단부에 고정측의 기어(17c)를 설치하며, 상기 배출통(14) 선단의 외측면에 구동장치(14b)를 일체로 취부하고, 상기 기어(17c)에 구동장치(14b)의 출력기어(17b)를 치합시키며, 상기 구동장치(14b)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배출통(14)을 상기 구동장치(14b)와 일체로 좌우 회동시키도록 하여 구성하고, 상기 구동장치(14b)를 이송배출통(6)에 내장된 나선축(9)의 축심(D) 보다 아래쪽에 배치함과 동시에, 배출통(14)의 좌우 회전 각도를 검출하는 포텐쇼미터(15)를 상기 나선축(9)의 축심(D)보다도 상측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배출장치로 한다.
예컨대, 콤바인에 의한 곡물의 수확작업에 의해 곡립저장탱크내에 저장한 곡립(곡물)은, 이 곡립저장탱크에 설치한 이송배출통(6)의 이송 종단부측의 배출구(14a)로부터 기계밖으로 배출된다. 이때, 이송 종단부측의 배출통(14)에 일체적으로 설치하는 구동장치(14b)를 구동시켜서 이 배출통(14)을 구동장치(14b)와 일체로 좌우 회동시킴으로써, 이 좌우 회동시킨 배출통(14)의 배출구(14a)로부터 곡물이 배출된다.
한편, 나선축(9)의 축심(D)에 대하여, 구동장치(14b)를 아래쪽에, 포텐쇼미터(15)를 위쪽에 위치시켜서 설치함으로써, 배출통(14)을 컴팩트하게 할 수가 있다. 또한, 상하로 설치함으로써 배출통(14)의 회동이동시의 회동 밸런스를 양호하게 할 수 있다.
청구항 5 기재의 발명은, 이송통(13)의 선단부에 배출구(14a)를 구비한 배출통(14)을 좌우 회전이 자유롭게 취부하고, 상기 이송통(13)의 선단부에 고정측의 기어(17c)를 설치하며, 상기 배출통(14) 선단의 외측면에 구동장치(14b)를 일체로 취부하고, 상기 기어(17c)에 구동장치(14b)의 출력기어(17b)를 치합시키며, 상기 구동장치(14b)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배출통(14)을 상기 구동장치(14b)와 일체로 좌우 회동시키도록 구성하는 동시에, 상기 배출구(14a)에 곡물의 막힘을 검출하는 막힘 센서(15d)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배출장치로 한다.
예컨대, 콤바인에 의한 곡물의 수확작업에 의해 곡립저장탱크내에 저장한 곡립(곡물)은, 이 곡립저장탱크에 설치한 이송배출통(6)의 이송 종단부측의 배출구(14a)로부터 기계밖으로 배출된다. 이때, 이송 종단부측의 배출통(14)에 일체적으로 설치하는 구동장치(14b)를 구동시켜서 이 배출통(14)을 구동장치(14b)와 일체로 좌우 회동시킴으로써, 이 좌우 회동시킨 배출통(14)의 배출구(14a)로부터 곡물이 배출되고, 이 배출구(14a)에 있어서의 곡물의 막힘이 막힘 센서(15d)에 의해 검출된다.
청구항 6 기재의 발명은, 이송통(13)의 선단부에 배출구(14a)를 구비한 배출통(14)을 좌우 회전이 자유롭게 취부하고, 상기 이송통(13)의 선단부에 고정측의 기어(17c)를 설치하며, 상기 배출통(14) 선단의 외측면에 구동장치(14b)를 일체로 취부하고, 상기 기어(17c)에 구동장치(14b)의 출력기어(17b)를 치합시키며, 상기 구동장치(14b)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배출통(14)을 상기 구동장치(14b)와 일체로 좌우 회동시키도록 구성하는 동시에, 상기 고정용 이송통(8)과 이송통(13)으로 이루어진 이송배출통(6)을 수납상태측으로 작동시키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배출구(14a)가 상향하도록 배출통(14)이 회동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배출장치로 한다.
예컨대, 콤바인에 의한 곡물의 수확작업에 의해 곡립저장탱크내에 저장한 곡립(곡물)은, 이 곡립저장탱크에 설치한 이송배출통(6)의 이송 종단부측의 배출구(14a)로부터 기계밖으로 배출된다. 이때, 이송 종단부측의 배출통(14)에 일체적으로 설치하는 구동장치(14b)를 구동시켜서 이 배출통(14)을 구동장치(14b)와 일체로 좌우 회동시킴으로써, 이 좌우 회동시킨 배출통(14)의 배출구(14a)로부터 곡물이 배출된다. 그리고, 이송배출통(6)을 수납상태측으로 작동시키는 것에 근거하여, 배출구(14a)가 상향하도록 회동하게 되어 이 배출구(14a)로부터 곡물이 아래로 새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곡물 배출장치를 콤바인에 이용한 일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기초로 설명한다.
콤바인(1)의 주행차대(走行車台, 2)의 위쪽에는, 탈곡기(4), 및 곡립저장탱크(4c) 등을 배치함과 함께, 이 곡립저장탱크(4c)내의 분립물인 곡물을 이송 배출하는 세로이송통(5)의 상부에는, 이 곡물을 반송하는 반송장치인 이송배출통장치(이송배출통, 6)를 설치하고, 이 이송배출통장치(6)는 고정이송나선(7)을 축지지하여 내장한 고정용 이송통(8)과, 이 고정용 이송통(8)의 외주부에 삽입하여 길이방향으로 신축이동장치(9a)로 신장(伸張) 이동, 및 단축이동이 자유로운 이동용 이송통(13)과, 선단부에 원주방향으로 회동이 자유롭게 회동장치(17)로 회동시켜서, 곡물을 기계밖으로 배출하는 곡립배출구(14a)를 갖는 배출통(14)을 설치한 구성이다. 이들 이동용 이송통(이송통, 13)과, 배출통(14)에는, 축지지하여 내장한 신축이동이 자유로운 이동나선축(9)의 전후단부에 축지지한 전방·후방 이동이송나선(11, 10)과, 이 전방 ·후방 이동이송나선(11, 10)사이에서, 이동나선축(9)에 신축이 자유롭게 축지지한 복수개의 중간 이동이송나선(12)을 설치한 구성이다. 이들 이송배출통장치(6)의 고정용 이송통(8)과, 이동용 이송통(13)과, 배출통(14)과, 회동장치(17)와, 조작장치(21a) 등을 주로 도시하여 설명한다.
상기 콤바인(1)의 주행차대(2)의 아래쪽에는, 도 2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토양면을 주행하는 좌우 한쌍의 주행 크롤라(Crawler, 22a)를 설치한 주행장치(22)를 설치하고, 주행차대(2)의 위쪽에는 탈곡기(4)를 배치한 구성이다. 주행차대(2)의 전방부의 예취기(3)로써 서있는 곡물을 베어내어 후방 상부로 이송하고, 탈곡기(4)의 피드체인(Feed Chain, 4a)과 협지간(挾持杆, 4b)으로 인계되어, 협지이송되면서 탈곡된다. 탈곡이 끝난 상태에서 선별이 끝난 곡물(穀物)은, 곡립저장탱크(4c)내에 일시 저장된다.
상기 주행차대(2)의 전방부에는, 도 2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서있는 곡물을 분리하는 폭좁은 가이드부(19a), 및 각 분초체(分草體, 19b)와, 서있는 곡물을 끌어당겨 일으켜 세우는 각 인기장치(引起裝置, 19c)와, 끌어당겨 일으켜 세운 곡물을 퍼넣는 곡물소입(搔入)이송장치(20)의 각 소입장치(20a)와, 퍼넣어진 곡물을 베어내는 예인(刈刃)장치(19d)와, 베어진 곡물을 협지 이송하여, 탈곡기(4)의 피드체인(4a)과, 협지간(4b)으로 주고받기 하는 곡물소입이송장치(20)의 밑동·이삭 이송장치(20b, 20c) 등으로 되는 예취기(3)를 설치하고 있다. 그 예취기(3)는, 유압구동에 의한 신축 실린더(19e)에 의해 토양면에 대하여, 승강이 자유롭게 이동하는 구성이다.
상기 예취기(3)의 전방 하부로부터 후방 상부로 경사지는 지지간(支持杆, 23a)의 상단부에 설치하는 지지파이프간(杆, 23b)을, 주행차대(2)의 위쪽면에 설치한 지지장치(23c)로써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시키고, 신축 실린더(19e)의 작동에 의 해 상하로 회동하는 구성이다.
상기 곡립저장탱크(4c)측의 앞 부분에는, 도 2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콤바인(1)을 시동, 정지, 및 각 구성부의 조절 등의 조작을 하는 조작장치(21a)와 조종석(21b)을 설치하고, 이 조종석(21b)의 아래쪽에 엔진(21c)을 배치함과 함께, 후방부에는 곡립저장탱크(4c)를 설치한다.
상기 곡물소입이송장치(20)의 곡물이송경로 중에는, 베어져서 이송되는 곡물에 접촉작용함으로써, 탈곡기(4)에 곡물의 공급의 유무를 검출하는 곡물센서(3a)를 설치한다.
상기 주행차대(2) 전단부에 걸쳐놓은 주행용의 미션 케이스(Mission Case, 24)내의 전동기홈(24a)의 전동경로 중에는, 그 출력에 근거하여, 주행차속을 검출하는 차속센서(24b)를 설치한다.
상기 곡립저장탱크(4c)의 저부에는, 저장 곡물을 후방으로 이송하는 탱크이송나선(4d)를 전후방향으로 축지지하여 설치함과 함께, 후방으로 이송되는 곡물을 인계하여 방향을 변환하는 이음부 케이스(5b)를, 곡립저장탱크(4c)의 후방측판의 외측면에 장착한다. 이 이음부 케이스(5b)의 위쪽에는, 세로이송나선(5a)을 내장하여 축지지한 세로이송통(5)을 대략 수직자세에서 회동조작이 가능하게 설치하고, 곡립저장탱크(4c)내의 곡물을 인계하여 들어올려 이송하는 구성이다.
도 10∼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세로이송통(5)의 상단부에, 곡물을 기계밖으로 배출하는 이송배출통장치(6)를 설치한다.
상기 이송배출통장치(6)는, 고정이송나선(7)을 내장하여 축지지한 고정용 이 송통(8)과, 이 고정용 이송통(8)의 외주부에 삽입하여 신축이동이 자유로운 이동용 이송통(13)과, 선단부의 배출통(14)과, 이들 이동용 이송통(13)과 배출통(14)에 내장하여 신축이 자유로운 이동나선축(9)과, 해당 이동나선축(9)에 축지지한, 전방·후방·중간 이동이송나선(11, 10, 12)과 이동용 이송통(13)을 신장 및 단축시키는 신축이동장치(9a)와, 이동용 모터(9b)를 고정용 이송통(8)의 외주 상측부에 설치한 구성이다. 신축이동장치(9a)의 외측에는 외측 커버(9c)를 장착한다.
상기 콤바인(1)에 의한 수확작업시에는, 분립물인 곡물을 곡립저장탱크(4)내에 저장하고, 이 곡물을 기계밖으로 이송 배출하는 이송배출통장치(6)의 고정용 이송통(8)의 외주부에는, 도 10∼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용 이송통(13)을, 이동용 모터(9b)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 구동에 의해, 신장이동 및 단축이동이 자유롭게 삽입하여 설치한다.
상기 이송배출통장치(6)의 이동용 이송통(13)의 이송 종단부의 개구부(13a)에 설치한 배출통(14)은,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단부에 곡립배출구(14a)를 갖고, 이 배출통(14)의 전방 외측면에 설치한 회동장치(17)의 회동용 모터(14b)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 구동에 의해, 이동용 이송통(13)의 원주방향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동이 자유롭게 축지지하여 설치한다. 또한, 배출통(14)의 곡립배출구(14a)는, 바로 윗방향 또는 바로 아래 방향으로 회동함과 함께, 임의의 각도에서 정지가능한 구성이다.
상기 이송배출통장치(6)의 고정용 이송통(8)의 외주부에 이동용 이송통(13)을 삽입하여 길이방향으로 신장이동 또는 단축이동이 자유롭게 설치한다. 이 이동용 이송통(13)의 이송 종단부에는, 곡물을 기계밖으로 배출하는 곡립배출구(14a)를 갖는 배출통(14)을, 원주방향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동이동이 자유롭게 설치한다. 이에 의해, 곡물을 길이방향의 임의의 소정위치로 용이하게 배출할 수가 있다. 또한, 트럭 등의 짐받이로 배출할 때는, 배출통(14)의 곡립배출구(14a)를 회동시킴으로써, 트럭의 짐받이에 균등하게 곡물을 배출할 수가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장치(21a)의 표면판(21h)의 외측면에는, 이송배출통장치(6)와 배출통(14) 등을 조작하는 각종 레버(Lever)와 스위치(Switch) 등을 설치한다.
상기 엔진(21c)의 회전동력을, 곡립이송배출경로에 회전구동 동력의 입력을 「입(入)」 - 「절(切)」조작하여, 곡물의 배출을 시작할 때에 조작하는 배출스위치(25a)를 설치하고, 이 배출스위치(25a)의 「온(ON)」 - 「오프(OFF)」에 의해, 램프(25b)가 점등, 점멸, 소등하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이송배출통장치(6)(표시용 마크(Mark)는 오거로 표시하고 있다.)를 상승, 하강, 좌선회, 우선회시킬 때에 조작하는 조작스위치 레버(26e)와, 배출통(14)의 좌회동, 우회동, 및 이송배출통장치(6)의 이동용 이송통(13)의 신장과 단축의 조작을 할 때에 조작하는 회동스위치 레버(26f)를 설치한다.
더욱이, 상기 이송배출통장치(6)의 이동용 이송통(13)의 신장위치(돌출위치)을 설정하는 다이얼 방식의 위치를 세트 다이얼(Set Dial, 26b)과, 이송배출통장치(6)를 자동으로 선회, 신장(돌출), 단축(수납)을 행하게 할 때에 개별적으로 조작하는 자동신축 스위치(25d)와, 이송배출통장치(6)를 긴급정지시킬 때에 조작하는 긴급정지스위치(25e) 등을 설치한다.
상기 이동용 이송통(13)을, 길이방향으로 신장이동 또는 단축이동시킬 때의 조작과, 이 이동용 이송통(13)의 이송 종단부에 설치한 배출통(14)을 원주방향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동시킬 때의 조작은, 도 3 및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장치(21a)의 표면판(21h)으로부터 돌출시켜서 설치한 한개의 회동스위치 레버(26f)의 조작에 의해, 이들 양쪽이 시동 제어되는 구성이다.
상기 회동스위치 레버(26f)의 조작에 의해, 「온」 - 「오프」방식의 스위치(도시하지 않음)가 「온」되고, 이 「온」이 조작장치(21a)에 내장한 제어장치(21f)에 입력되고, 이 입력에 근거하여, 이 제어장치(21f)에 의해, 이동용 모터(9b) 및 회동용 모터(14b)가 시동 제어되고, 이동용 이송통(13) 및 배출통(14) 등이 작동 제어되는 구성이다.
곡물을 기계밖으로 이송 배출하는 이송배출통장치(6)의 이동용 이송통(13)의 길이방향으로의 신장이동 조작 또는 단축이동 조작과, 배출통(14)의 원주방향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 조작은, 한개의 회동스위치 레버(26f)의 조작으로 행함으로써, 조작이 간단하여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가 있다. 또한, 비용저감을 도모할 수가 있다.
상기 조작스위치 레버(26e)와 회동스위치 레버(26f)는, 도 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장치(21a)의 표면판(21h)으로부터 돌출시켜서, 전후방향으로 대략 45도의 각도에서, 전후방향으로 소정 간격(h)을 두고 설치한다.
이에 의해, 조작스위치 레버(26e)와, 회동스위치 레버(26f)는, 어느 한쪽을 조작하여도, 다른쪽측에 작업자의 손이 접촉할 일이 없고, 이 때문에 조작이 용이하다. 또한, 조작장치(21a)의 표면판(21h)을 컴팩트(Compact)하게 할 수가 있다.
상기 조작장치(21a)의 표면판(21h)에는, 곡물을 기계밖으로 이송 배출하는 배출작업을 시작할 때에 조작하는 「온」 - 「오프」스위치 방식의 배출스위치(25a)를, 도 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설치함과 함께, 곡물의 배출작업을 정지할 때에는, 이 배출스위치(25a), 또는 긴급정지스위치(25e) 어느 한쪽을, 「오프」조작함으로써, 곡물의 배출작업을 정지할 수 있는 구성이다.
곡물의 배출작업을 정지시킬 때에는, 배출스위치(25a)나 긴급정지스위치(25e)의 어느 한쪽을 「오프」조작하는 구성으로 하고, 통상 사용하는 배출스위치(25a)와, 긴급시에 조작하기 쉬운 긴급정지스위치(25e)의 2계통으로 하는 것에 의해,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가 있다.
상기 엔진(21c)의 회전동력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엔진 풀리(Pully, 21d)와, 탱크이송나선(4d)에 축지지한 탱크 풀리(4e)에, 벨트(21e)를 걸어놓아서 전동하도록 구성한다. 이 벨트(21e)에는 텐션장치(26c)를 텐션모터(26a)의 모터 축(26d)에 축지지하여 설치한다.
상기 배출스위치(25a)의 「온」조작에 의해, 텐션장치(26c)가, 텐션모터(26a)로 회동되어서 「입(入)」상태로 되고, 벨트(21c)가 돌출상태로 작동하고, 엔진(21c)의 회전 동력이 탱크이송나선(4d)에 입력되고, 이 탱크이송나선(4d), 이송배출통장치(6)의 각 나선(5a, 7), 및 이동나선축(9) 등의 곡물을 기계밖으로 배출하는 배출 경로의 부품이 회전구동되는 구성이다. 또한, 배출스위치(25a)의 「오프」조작에 의해, 엔진(21c)의 회전구동은, 입력되지 않게 된다.
상기 이송배출통장치(6)의 고정용 이송통(8)은, 도 13, 및 도 1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방지지 메탈(Metal, 27)과, 세로이송통(5)의 상단부에 설치한 인계 메탈(5c)로 장착하여 설치한다. 이 고정용 이송통(8)에 내장하는 고정이송나선(7)은, 고정 나선축(7a)의 외주부에 고정 나선 플레이트(7b)를 고착하여 설치한 구성이다. 고정 나선축(7a)의 내경부는 둥근 구멍(丸孔)에 형성함과 함께, 이송 종단부의 내경부에는, 둥근 구멍보다 작은 직경으로 후술하는 이동나선축(9)이 삽입되어 접동(摺動)이동하는 내경부에 육각구멍을 형성한 보조축(7c)을 축지지하여 설치한 구성이다. 고정용 이송통(8)의 외주부에는, 상세하게 후술하는 롤러장치(28)의 롤러(28b)의 측면부를 수용하고, 이 롤러(28b)을 직선상으로 이동시키고, 이동용 이송통(13)을 직선상으로 이동하기 위해 소정 간격으로, 각 레일(8a)을 설치한다.
상기 고정용 이송통(8)의 이송 종단부에는,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지지 메탈(27)의 외주의 외부 보스(Boss, 27a)부를, 고정용 이송통(8)의 외주부로부터 돌출시켜서 고착하여 설치함과 함께, 후방지지 메탈(27)의 내경부에는, 보조축(7c)을 축지지하여 설치한다. 고정이송나선(7)의 고정 나선축(7a)의 이송 종단부의 내경부는, 보조축(7c)의 이송 시단(始端)의 외경부에 축지지함과 함께, 이송 시단부의 외경부는, 인계 메탈(5c)의 내측부에 설치한 지지 메탈(5d)로써 축지지한다. '7d' 는 지지 부쉬(Bush)이고, 이동나선축(9)을 축지지한 구성이다.
상기 이동용 이송통(13)은,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용 이송통(8)의 외주부로부터 돌출한 후방지지 메탈(27)의 외주의 외부 보스(27a)부와, 고정용 이송통(8)의 외주부에 설치한 외부 메탈(27b)의 외주부로 이동이 자유로운 상태로 수축이 자유롭게 끼워맞춘 구성이다. 이동용 이송통(13) 전단부에는, 곡물을 기계밖으로 배출하는 곡립배출구(14a)를 하부측에 설치한 배출통(14)을, 원주방향으로 회동이 자유롭게 축지지한다.
상기 이동용 이송통(13)과, 배출통(14)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나선축(9)을, 후방지지 메탈(27)과 배출통(14)에 설치한 전방지지 메탈(16)에 의해, 내장하여 축지지한다.
상기 이동나선축(9)의 이송 시단부와 이송 종단부에는, 도 10∼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 이동이송나선(10)과 전방 이동이송나선(11)을 축지지하고, 볼트 등에 의해 고정하여 설치한다.
상기 후방 이동이송나선(10)은, 도 10∼도 12 및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 고정보스(10a)에 지지판(10b)을 고착하고, 이 지지판(10b)과 후방 고정보스(10a)에, 이동 나선 플레이트(Plate, 10c)를 고착하여 설치한다. 또한, 지지판(10b)에는 결합부(10d)를 설치하고, 이 결합부(10d)와 인접한 중간 이동이송나선(12)의 이동 나선 플레이트(12c)에 설치한 한쪽측의 결합부(12d)를 결합시킨다. 후방 고정보스(10a)의 내경부는, 보조축(7c)의 이송 종단부의 외경부에 삽입하고, 볼트 등에 의해 장착한다.
상기 전방 이동이송나선(11)은, 도 10∼도 13 및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 고정보스(11a)에 지지판(11b)을 고착하여 설치하고, 이 지지판(11b)과 전방 고정보스(11a)에, 이동 나선 플레이트(11c)를 고착하여 설치한다. 또한, 지지판(11b)에는 결합부(11d)를 설치하고, 이 결합부(11d)와 인접한 중간 이동이송나선(12)의 이동 나선 플레이트(12c)에 설치한 한쪽측의 결합부(12d)를 결합시킨다. 전방 고정보스(11a)의 내경부는, 이동나선축(9)의 이송 종단부에 육각의 외경부에 삽입하고, 볼트 등에 의해 장착한다.
상기 중간 이동이송나선(12)은, 도 10∼도 12 및 도 15∼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간 이동 보스(12a)와 직경이 큰 보스(12b)와 양단부에 결합부(12d)를 갖는 이동 나선 플레이트(12c)를, 일체로 수지재 등으로 성형한다.
상기 중간 이동이송나선(12)은,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용 이송통(13)의 이동나선축(9)의 전후 양단부에 장착한 전방·후방 이동이송나선(11, 10)사이에, 복수개의 중간 이동이송나선(12)을 이동나선축(9)에 신축이동이 자유롭게 축지지하여 설치한다. 인접하는 각 중간 이동이송나선(12)이 최대 신장(最伸張) 상태로 되면, 각 이동 나선 플레이트(12c)에 설치한 각 결합부(12d)가 서로 결합상태로 되는 구성이고, 소정 길이이상은 신장하지 않는 구성이다.
상기 이동용 이송통(13)과 배출통(14)의 신축이동은, 이동용 모터(9b)의 정역회전의 시동조작에 의해, 신축이동하는 구성이다. 이 신축이동에 따라, 이동나선축(9)과 각 중간 이동이송나선(12)이 동시에 신축이동하는 구성이다.
상기 이동용 이송통(13)의 이송 시단부의 외주부에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롤러장치(28)를 설치한다. 이 롤러장치(28)의 롤러지지구(28a)를 이동용 이송통(13)의 이송 시단부에 장착함과 함께, 이 롤러지지구(28a)의 단면형 상 コ자 형상부에는, 롤러 핀(28c)에서 롤러(28b)를 회전이 자유롭게 축지지하여 설치하고, 이 각 롤러(28b)의 외주부가 고정용 이송통(8)의 외주부에 접촉하여, 회전하면서 이동용 이송통(13)을 신장이동 안내 또는 단축이동 안내하는 구성이다.
상기 이송배출통장치(6)의 고정용 이송통(7)과 이동용 이송통(13)과 배출통(14)의 상하 회동은, 도 18 및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로이송통(5)의 상단부에 설치한 인계 메탈(5c)을 좌우로 2분할한 구성으로 하여, 한쪽측을 상하 회동이 자유롭게 접속하여 구성한다. 다른쪽측의 고정부에는, 상하 모터(29)로 상하 회전 구동하는 회동구(29a)와 고정용 이송통(8)에 설치한 설치구(30)의 설치판(30a)을 접속구(29b)로 접속함과 함께, 설치구(30)에 설치한 각 상부 설치판(31a)과 세로이송통(5)에 설치한 각 하부 설치판(31b)과의 사이에 가스 댐퍼(Gas Damper, 31)를 설치한다.
상기 상하 모터(29)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 구동에 의해, 회동구(29a)가 회동 되어서, 접속구(29b) 및 설치구(30) 등을 통하여 고정용 이송통(8)과 이동용 이송통(13)과 배출통(14) 등이, 상승이동 또는 하강이동 제어되는 구성이다. 이들 상승 또는 하강이동 제어에 따라, 각 가스 댐퍼(31)도 상승 또는 하강이동 제어되는 구성이며, 이 각 가스 댐퍼(31)는 보조용으로서 사용한다.
상기 세로이송통(5)의 선회 구성은,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세로이송통(5)에 선회 모터(32)를 설치함과 함께, 이 선회 모터(32)의 아래쪽에는 선회구(32a)를 설치하고, 선회 모터(32)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 구동에 의해, 선회구(32a)가 좌회전 구동 또는 우회전 구동되어, 세로이송통(5)이, 이음부 케이스(5b)의 상 측부에서 좌선회 또는 우선회하고, 고정용 이송통(8)과 이동용 이송통(13)과 배출통(14) 등이, 좌선회 또는 우선회하는 구성이다.
상기 이송배출통장치(6)의 이동용 이송통(13)의 이송 종단부측에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크기의 개구부(13a)를 설치함과 함께, 개구부(13a) 앞쪽의 이송 종단부에는, 원형으로 통형상의 외측 뚜껑(13b)의 설치용의 플랜지부를 외측으로 향하여 고착하여, 곡물의 잔류를 방지한다. 이밖에 뚜껑(13b)에는, 각 지지판(16a)을 볼트 및 너트 등으로 장착하여 설치하고, 이 안쪽의 지지판(16a)에는, 복수개의 쿠션체(16b)를 통하여, 전방지지 메탈(16)을 볼트 및 너트 등에 의해 장착한다. 이 전방지지 메탈(16)로써 이동나선축(9)의 이송 종단부를 회전이 자유롭게 축지지한 구성이다.
상기 이송배출통장치(6)의 이동용 이송통(13)의 이송 종단부에 배출통(14)을 회동이 자유롭게 설치함으로써, 다음에 수확하는 밭으로 이동시, 또는 노상 주행시에는, 배출통(14)의 곡립배출구(배출구, 14a)를 윗쪽으로 회동이동시킴으로써, 이송배출통장치(6)의 이동용 이송통(13)내에 남아 있는 곡물은, 윗쪽으로 회동이동된 배출통(14)의 천정부(B)에 저장되어서, 기계밖으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성이다. 이에 의해, 곡물의 손실 발생을 방지할 수가 있다.
상기 배출통(14)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양측을 일체로 형성한 좌우측판(14d)의 전후 양측에, 전방·후방측판(14e, 14f)를 고착하여 설치하고, 대략 상자형상으로 형성한 구성이다. 좌우측판(14d)의 상부의 천정부(B)는, 원형상(반원형상)으로 형성하고, 이 천정부(B)와, 곡립배출구(14a)가 형성되는 하 단부(C)의 사이는, 대략 수직하게 형성하고, 좌우방향의 폭과 상하 방향의 폭을 같은 폭으로 하여 설치한 구성이다. 좌우측판(14d)및 전방·후방측판(14e, 14f)의 하단부(C)위치에, 곡립배출구(14a)를 설치한다. 배출통(14)의 하단부에는, 탄성재의 고무재 또는 수지재 등으로 되는 4면의 각 비산방지판(14h)을, 볼트 및 너트 등으로 장착하고, 하단부(C)위치에는 곡립배출구(14a)를 설치한다. 비산방지판(14h)을 고무판 또는 수지재로 형성함으로써, 수납시에 다른 부분에 접촉하였을 때라도, 변형을 방지할 수가 있다.
상기 배출통(14)의 후방측판(14f)의 구멍부와, 이동용 이송통(13)의 외주부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무재 또는 수지재 등으로 되는 후방 지지구(8b, 씰(Seal))을 설치한다. 이동용 이송통(13) 전단부의 외측 뚜껑(13b)에는, 지지축(16c)을 고착하여 설치하고, 이 지지축(16c)으로써 외측 회전 지지파이프(16e)를 축지지하고, 이 외측 회전 지지파이프(16e)의 외주부에 축지지한 축받이구(베어링, 16f)와, 후방 지지구(8b)에 의해, 배출통(14)을 회동이동이 자유롭게 축지지한다. 또한, 축받이구(16f)는, 메탈(16m)에 내장한다. 이 메탈(16m)의 전후방향 중앙부를, 배출통(14)의 전방측판(14e)부에 위치시켜서 설치한다. 후방 지지구(8b)는, 후방측판(14f)의 구멍부 및 이동용 이송통(13)의 외주부의 어느쪽에도 접착하지 않는다. 메탈(16m) 및 축받이구(16f)는, 함께 C형 방지 링 등에 의해, 빠짐을 방지한다.
상기 이송배출통장치(6)의 선단부에 설치한 배출통(14) 앞쪽에는, 이 배출통(14)을 회동시키는 회동장치(17)를,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치한다. 이 회동장치(17)의 회동용 모터(14b)는, 이송배출통장치(6)의 외형 형상부내에서, 배출통(14)의 전방측판(14e)의 앞쪽에 고착한 보강판(17a)에 볼트 및 너트 등에 의해 장착한다. 회동용 모터(14b)에는, 모터기어(17b)를 축지지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배출통(14)을 회동시키는 회동장치(17)의 회동지점부(16d)는, 이중구조로 형성한다. 이동용 이송통(13)의 외측 뚜껑(13b)의 내측면에는, 지지축(16c)을 고착한다. 또한, 이 외측 뚜껑(13b)의 내측에 설치한 전방지지 메탈(16)을 지지하는 지지판(16a)에는, 지지축(16c)의 헤드(Head)부를 삽입하는 삽입용 구멍을 설치한다. 이 지지축(16c)의 외주부에는, 외측 회전 지지파이프(16e)를 삽입하여 축지지한다. 회동지점부(16d)는, 지지축(16c)과 외측 회전 지지파이프(16e)에 의해, 이중구조로 형성한다.
배출통(14)을 회동시키는 회동장치(17)의 회동지점부(16d)를, 지지축(16c)과 외측 회전 지지파이프(16e)에 의해, 이중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이 배출통(14)의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다. 또한, 배출통(14)의 회동이동이 원활하다.
상기 회동장치(17)의 회동지점부(16d)의 지지축(16c)에서 축지지하는 외측 회전 지지파이프(16e)는, 배출통(14)의 전방측판(14e)의 중앙부에 위치시켜서 설치한 축받이구(16f)로써 축지지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동지점부(16d)는, 축받이구(16f)와 외측 회전 지지파이프(16e)의 선단부에 설치한 전방 회동기어(17f)부의 2곳에서 지지한다.
상기 회동지점부(16d)는, 축받이구(16f)와, 외측 회전 지지파이프(16e)의 전방 회동기어(17f)부의 전후 2곳에서 축지지함으로써, 이중구조로 된다. 이에 의 해, 지지축(16c)의 강도 증대를 도모할 수가 있다.
상기 외측 회전 지지파이프(16e)의 외주부는, 엽전형 또는 사각형상으로 형성하고, 이 외주부에 후방 회동기어(17c)를 설치하고, 이 후방 회동기어(17c)와 회동용 모터(14b)의 모터기어(17b)를 맞물리게 한다. 후방 회동기어(17c)의 전후 양측에는, 마찰방식의 브레이크판(17d)을 각각 축지지하여 설치하고, 이 각 브레이크판(17d)의 전후 양측에, 브레이크 누름판(17h)을 각각 축지지하여 설치한다. 앞쪽의 브레이크 누름판(17h)의 앞쪽에는, 복수개의 접시 용수철(17e)을 축지지하여 설치한다. 이 접시 용수철(17e)의 앞쪽에는, 전방 회동기어(17f)를 축지지하여 설치한다. 이 전방 회동기어 (17f)의 앞쪽에는, 이중으로 너트(16j)를 나사결합하여, 브레이크판(17d)의 브레이크 압력을 조절할 수 있음과 함께, 빠짐을 방지하게 한 구성이다. 또한, 지지축(16c)의 전단부에는, 너트(16h)를 나사결합하여, 빠짐을 방지한다. 외측 회전 지지파이프(16e)에 축지지한 각 부품(17c, 17d, 17e, 17f, 17h) 등은, 이 외측 회전 지지파이프(16e)와 동시에 회전하지만, 독립하여 회전구동되지 않는 구성이다.
상기 외측 회전 지지파이프(16e)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찰방식의 브레이크판(17d)을 축지지하고, 회동지점부(16d)의 외측 회전 지지파이프(16e)를 축받이구로써 축지지한다.
상기 외측 회전 지지파이프(16e)에는, 마찰방식의 브레이크판(17d)을 축지지하고, 외측 회전 지지파이프(16e)는, 축받이구(16f)로 축지지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불량을 해소할 수가 있다. 즉, 이 축받이구(16f)로 변경하여, 부쉬 등을 사용 하면, 그리스(Grease)를 도포할 필요가 있고, 기온이 상승하면, 그리스가 녹아서 브레이크판(17d)부로 흘러 브레이크가 잘 듣지 않게 되는 일이 있었으나, 이러한 불량을 해소할 수가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배출통(14)의 전방측판(14e)의 상부에 지지 메탈(18a)을 장착하고, 이 지지 메탈(18a)의 지지축(18b)에는, 외형 형상이 부채형상의 기어(18c)를 회전이 자유롭게 축지지하고, 이 기어(18c)와, 전방 회동기어(17f)를 맞물리게 한 구성이다. 회동용 모터(14b)의 정역회전 구동에 의해, 모터기어(17b), 후방 회동기어(17c), 전방 회동기어(17f), 및 기어(18c) 등이 정역회전 구동하고, 이들 각종 기어(17b, 17c, 17f, 18c) 등의 정역회전 구동에 의해, 배출통(14)이 좌측 또는 우회동하여, 곡립배출구(14a)가 상향으로 이동한 후에 정지하는 구성이다. 또한, 회동용 모터(14b)의 정역회전 구동에 의해, 배출통(14)은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가고, 곡립배출구(14a)는 원래의 하향위치로 되돌아간 후에, 정지하는 구성이다. 또한, 임의의 각도에 있어서도 정지가능한 구성이다.
상기 배출통(14)의 회동위치를 검출하는 포텐쇼미터(Potentiometer, 15)에 축지지한 기어(18c)와 맞물리는 전방 회동기어(17f)와, 회동용 모터(14b)의 모터기어(17b), 이 모터기어(17b)에 맞물리는 후방 회동기어(17c)는, 회동장치(17)의 외측 회전 지지파이프(16e)에 축지지하여 설치한다.
상기 이송배출통장치(6)의 이동용 이송통(13)의 이송 종단에, 곡물을 기계밖으로 배출하는 배출통(14)을 회동이 자유롭게 설치하고, 이 배출통(14)의 전방측판(14e)과 보강판(17a)에, 볼트 및 너트 등에 의해, 배출통(14)을 회동시키는 회동장치(17)의 회동용 모터(구동장치, 14b)를 장착하여 설치한다. 이 회동용 모터(14b)는,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송배출통장치(6)의 이동용 이송통(13)과, 배출통(14)에 회전이 자유롭게 축지지하여 내장하고, 곡물을 이송 배출하는 이동나선축(9)의 축심(D)보다 아래쪽에 설치한다.
상기 이송배출통장치(6)의 이동용 이송통(13)의 이송 종단부에는, 곡물을 기계밖으로 배출하는 회동장치(17)의 회동용 모터(14b)에 의해 회동이 자유로운 곡립배출구(14a)를 갖는 배출통(14)을 설치하고, 이 배출통(14)에 설치한 회동용 모터(14b)를, 이동나선축(9)의 축심(D)보다 아래쪽에 설치함으로써, 축심(D)보다 위쪽에 설치하는 구성에 비교하여, 배출통(14)을 컴팩트하게 할 수 있음과 함께, 경량화를 도모할 수가 있다.
상기 배출통(14)의 한쪽측인 전방측판(14e)의 외측면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동용 모터(14b)를 볼트 및 너트 등에 의해 장착하여 설치함과 함께, 다른쪽측인 후방측판(14f)의 외측면에는, 배출통(14)내에서의 곡물의 막힘을 검출하는 「온-오프」스위치 방식의 막힘 센서(15d)를 볼트 및 너트 등에 의해 장착하여 설치한다.
상기 막힘 센서(15d)가 배출통(14)내에 곡물이 막히고, 이 곡물의 막힘에 의해 눌려서 「온」이 되면, 이 「온」이 조작장치(21)에 설치한 제어장치(21f)에 입력되는 구성이다. 이 입력에 근거하여, 엔진(21c)의 엔진풀리(21d)와 탱크풀리(4e)에 걸쳐놓은 벨트(21e)를 「입(入)」 하는 텐션장치(26c)가 텐션모터(26a)로 「입(入)」되어, 곡물이 배출된다. 또한, 「절(切)」에 의해, 곡물의 이송 배출 경로가 정지하는 구성이다.
상기 배출통(14)의 한쪽측인 전방측판(14e)의 외측면에, 이 배출통(14)을 회동시키는 회동장치(17)의 회동용 모터(14b)를 설치함과 함께, 다른쪽측인 후방측판(14f)의 외측면에, 배출통(14)내에서의 곡물의 막힘을 검출하는 막힘 센서(15d)를 설치함으로써, 회동용 모터(14b)와 이동용 이송통(13)의 전단부가 접촉하는 일이 없다. 또한, 다른쪽측의 후방측판(14f)의 외측면에 막힘 센서(15d)를 설치함으로써, 배출통(14)의 회동이동시의 회동 밸런스가 양호하게 된다. 더욱이, 막힘 센서(15d)를 곡물이송의 뒤쪽에 설치함으로써, 이동용 이송통(13)으로부터 배출통(14)내로 곡물을 배출하였 때에, 막힘 센서(15d)에의 곡물의 접촉의 감소를 도모할 수가 있다.
또한, 회동용 모터(14b)를, 상기 이동나선축(9)의 축심(D)에 대하여 아래쪽에 설치하고, 또한, 포텐쇼미터(15)를 축심(D)에 대하여 위쪽에 설치하고, 회동용 모터(14b)와 포텐쇼미터(15)를 상하의 대향 위치에 위치시켜서 설치한다.
이동나선축(9)의 축심(D)에 대하여, 회동용 모터(14b)를 아래쪽에, 포텐쇼미터(15)를 위쪽에 위치시켜서 설치함으로써, 배출통(14)을 컴팩트하게 할 수가 있다. 또한, 상하로 설치함으로써 배출통(14)의 회동이동시의 회동 밸런스가 양호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배출통(14)에 설치한 회동용 모터(14b)와 포텐쇼미터(15)를, 이동나선축(9)의 축심(D)에 대하여 상하의 대향 위치에 위치시켜서 설치함과 함께, 회동용 모터(14b)와 막힘 센서(15d)를, 배출통(14)의 곡립배출구(14a)에 대하여 전 후의 대향 위치에 위치시켜서 설치한다.
이에 의해, 이 배출통(14)을 컴팩트하게 형성할 수가 있다. 또한, 배출통(14)의 전후방향 및 상하 방향의 밸런스가 양호하게 된다. 더욱이, 회동이동시의 회동 밸런스를 양호하게 할 수가 있다.
또한, 회동용 모터(14b)의 모터기어(17b)와 배출통(14)의 회동위치를 검출하는 포텐쇼미터(15)의 기어(18c)에 맞물려서 회전구동하는 후방 회동기어(17c)와 전방 회동기어(17f)의 양쪽을, 회동장치(17)의 외측 회전 지지파이프(16e)에 축지지하여 설치함으로써, 카운터 기어 등을 갖지 않음으로써, 백 래시(Back Lash)가 적어지게 되고, 이에 의해 오차가 작아지게 되며, 포텐쇼미터(15)의 검출 정밀도가 향상한다. 이에 따라, 검출에 의한 제어의 정밀도도 향상한다.
또한, 배출통(14)부를 회동시키는 회동용 모터(14b)를, 이송배출통장치(6)의 선단부에 있어서 해당 이송배출통장치(6)선단부의 외형 형상부내에 설치함으로써, 이 이송배출통장치(6)보다 회동용 모터(14b)가 윗쪽으로 향하여 돌출하여 있지 않음으로써, 예컨대 콤바인(1)의 전체 높이가 높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밭을 이동할 때, 및 노상주행시에는, 배출통(14)을 윗쪽으로 회동시킴으로써, 이 배출통(14)의 곡립배출구(14a)부에 있어서, 이송배출통장치(6)내에 남아 있는 나머지 곡물은, 배출통(14)의 천정부(B)에 저장되어, 기계밖으로 아래로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곡물의 손실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곡립배출구(14a)를 갖는 배출통(14)은, 회동용 모터(14b)를 설치하여 회동시키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곡립이송배출통장치(6) 전체를 회동 이동시키는 구성에 비교하여, 소마력(小馬力)의 회전용 모터(14b)로 좋고, 또한, 회동구성이 간단한 구성이다.
또한, 상기 배출통(14)은,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동용 이송통(13)의 외경(D)보다, 배출통(14)의 좌우측판(14d)의 하단부의 곡립배출구(14a)부의 좌우 방향의 전폭(L3), 또는 배출통(14)의 내경(D1)을 소정치수 크게 형성한다.
이와같이, 상기 이송배출통장치(6)의 이동용 이송통(13)의 외경(D)보다 배출통(14)의 곡립배출구(14a)부의 좌우 방향의 전폭(L3)을 소정치수 크게하여 설치함으로써, 배출구에서의 배출효율을 상승시킬 수가 있다. 또한, 이 곡립배출구(14a)에서의 곡물의 막힘을 방지할 수가 있다.
상기 이송배출통장치(6)의 고정용 이송통(8)과, 이 고정용 이송통(8)에 삽입하여 지지된 이동용 이송통(13)은,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주방향으로는 회동하지 않는 구성이다. 또한, 이 이동용 이송통(13)의 이송 종단부측에 설치한, 배출통(14)은, 원주방향으로 회동이동하는 구성이다. 이 배출통(14)과 동시에 모터용 커버(14c) 및 하니스 커버(15b)도 원주방향으로 회동하는 구성이다.
이와같이, 상기 배출통(14)만을, 회동용 모터(14b)의 회전에 의해 원주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이 회동용 모터(14b)를 소마력으로 할 수가 있다. 또한, 배출통(14)의 분해 조립이 용이하다.
상기 배출통(14)의 회동이동 위치를 검출하는 포텐쇼미터(15)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동장치(17)의 외측 회전 지지파이프(16e)에 축지지한 후 회동기어(17c)의 상부의 공간부(A)에 설치한 구성이다. 최상부 위치 또는 최하부 위치를 검출하여, 정확하게 이들의 위치에서 정지시키는 구성이며, 더욱이, 배출통(14)의 소정위치에서 정지 제어하는 구성이다.
상기 포텐쇼미터(15)는, 회동장치(17)의 외측 회전 지지파이프(16e)에 축지지한 후 회동기어(17c)의 상부의 공간부(A)에 설치함으로써, 구성이 간단하여 컴팩트하게 할 수가 있다.
상기 포텐쇼미터(15)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동장치(17) 상
부의 지지 메탈(18a)의 앞쪽에 설치하고, 지지축(18a)의 회전수를 검출시킨다.
또한, 상기 포텐쇼미터(15)는, 회동장치(17)의 상부의 지지 메탈(18a)에 설치함으로써, 기어(18c)의 자중(自重)이 영향을 미치지 않음으로써, 정확하게 회동위치를 검출할 수가 있다.
상기 배출통(14)의 전방측판(14e)에 설치한 회동장치(17) 및 회동용 모터(14b) 등을 덮는 모터용 커버(14c)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출통(14)의 전방측판(14e)에 착탈이 자유롭게 설치한다.
상기 모터용 커버(14c)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측부를 개구한 상자형상으로 형성하고, 전측면의 내측부와 회동용 모터(14b)는, 소정 틈새(최소한)를 형성하여 대략 수직형상으로 형성하고, 전후방향의 전폭(L1)을 좁은 폭으로 형성한다. 더욱이, 모터용 커버(14c)에는, 전방 외측으로 산(山)형상으로 돌출시킨 돌출부(14m)를 설치하고, 이 돌출부(14m)의 내측면과, 지지축(16c)의 선단부에 나사결합한 너트(16h)는, 소정 틈새(최소한)를 갖는다. 이 모터용 커버(14c) 는, 배출통(14)과 동시에 회동한다.
상기 모터용 커버(14c)는, 배출통(14)의 전방측판(14e)의 앞쪽에 설치한 회동장치(17) 및 회동용 모터(14b) 등을 덮는 상태로 설치하고, 이 모터용 커버(14c)의 후측부는 개구한 상자형상으로 형성하고, 전방측판은 대략 수직형상으로 형성하고, 전후방향의 전폭(L1)을 좁은 폭으로 형성한다. 지지축(16c)의 전단부에 나사결합한 너트(16h)부를, 전방 외측으로 산형상으로 돌출시킨 돌출부(14m)에 삽입되게 함으로써, 이 모터용 커버(14c)를 컴팩트하게 할 수가 있다. 또한, 배출 곡물을 수용하는 대(大)곡립수용자루를, 배출통(14)에 용이하게 착탈시킬 수가 있다.
모터용 커버(14c)와의 좌우 방향의 상부 전폭(L2)과, 하부 전폭(L3)은, 도 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같은 폭으로 형성함과 함께, 이동용 이송통(13)의 외경(D)보다 소정 폭 넓게 형성하여 설치한다.
이에 의해, 이들 배출통(14)과 모터용 커버(14c)가 컴팩트하게 된다. 또한, 배출 곡물을 수용하는 대곡립수용자루의 착탈이 용이하게 된다.
상기 배출통(14)의 위쪽면과 모터용 커버(14c)의 위쪽면부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출통(14)의 앞쪽에 설치한 회동용 모터(14b)와 조작장치(21a)를 접속하는 하니스(15a)를 덮는 하니스 커버(15b)를 착탈이 자유롭게 설치한다.
상기 하니스 커버(15b)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방향으로 소정 폭으로, 또한, 상하방향으로 소정 높이로 대략 コ자 형상으로 형성한다. 이 하니스 커버(15b)는, 배출통(14)의 위쪽면에 대략 へ자 형상의 설치판(14n)을 고착(固着) 하여 설치한 구성이며, 이 설치판(14n)의 좌우 양쪽 외측면에 중합시켜서, 볼트 및 너트 등에 의해 장착한다. 또한, 이 하니스 커버(15b)의 전단부는, 후방 상부로부터 전방하부로 소정 각도(θ)로 경사지는 경사면(15c)을 형성한다.
상기 배출통(14)의 위쪽면부와 모터용 커버(14c)의 위쪽면부에는, 배출통(14)을 회동시키는 회동용 모터(14b)의 하니스(15a)를 덮는 하니스 커버(15b)를 설치하고, 또한, 전단부에는, 전방 하부로 경사지는 소정각도(θ)의 경사면(15c)을 설치함으로써, 배출 곡물을 수용하는 대곡립수용자루를, 배출통(14)부에의 착탈이 용이하다.
상기 모터용 커버(14c)의 천정부에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방형상의 개구구멍(14j)을 설치한다. 회동용 모터(14b)에 설치한 하니스(15a)는, 모터용 커버(14c)의 천정부의 개구구멍(14j)을 경유하고, 이 하니스 커버(15b)내를 통과하여, 조작장치(21a)에 접속한다. 또한, 회동용 모터(14b)로부터 전방 커플러(Coupler, 34a)의 사이는 통상의 하니스(15a)이며, 후방 커플러(34b)로부터 하니스 커버(14c)의 후단부까지의 사이의 하니스(15a)는, 스프링형상으로 형성하여 신축하는 구성으로 하여 배출통(14)의 회동에 대하여, 하니스(15a)는 스프링형상부로 신축시키는 구성이다. 이 하니스(15a)는, 하니스 커버(15b)의 뒤쪽에서, 이동용 이송통(13)의 외주 상측면부에 클램프(34c)에 의해 장착한다.
이에 의해, 상기 하니스(15a)를 통과시키는 개구구멍(14j)을 설치하여도, 하니스 커버(14c)로 덮어지는 것에 의해, 외관형상의 저하를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하니스(15a)의 일부를 스프링형상으로 함으로써, 배출통(14)을 회동시켜도, 이 하니스(15a)가, 스프링형상부로 신축함으로써, 회동이동시에 문제의 발생을 방지할 수가 있다.
상기 회동용 모터(14b)의 하니스(15a)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텐쇼미터(15)를 설치하는 지지 메탈(18a)의 좌우 양측의 설치부의 한쪽측을 통하여 하니스 커버(15b)내에 삽입하여 설치한다. 또한, 지지 메탈(18a)은, 이동용 이송통(13)의 외측 뚜껑(13b)에 설치한 지지축(16c)의 중심보다 상부에 설치한다.
이에 의해, 상기 회동용 모터(14b)의 하니스(15a)는, 배출통(14)의 회동이동의 축심보다 상부에 설치할 수가 있다.
상기 전방 회동기어(17f)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시 용수철(17e) 앞쪽에 축지지하여 설치하고, 회동장치(17)의 회동지점부(16d)의 전후방향의 전폭을 좁게한 구성이다.
이에 의해, 상기 모터용 커버(14c)의 전후방향의 전폭을 좁게 형성할 수가 있고, 이 때문에, 배출통(14)과 모터용 커버(14c)의 양쪽의 전폭이 좁아져서, 곡물을 수용하는 대곡립수용자루의 교환이 용이하게 된다.
상기 모터용 커버(14c)와 하니스 커버(15b)를 제거하고, 지지축(16c)의 전방 외측단부에 나사결합한 너트(16h)를 제거함으로써, 배출통(14)과 회동장치(17)의 회동지점부(16d) 등으로 되는 배출통(14)의 부분조립품으로서 분리가능하다.
이에 의해, 분해 공수의 저감을 도모할 수가 있다. 또한, 각 기어(17b, 17c, 17f, 18c)는 맞물리는 상태에서 분해됨으로써, 포텐쇼미터(15)와, 각 기어(17b, 17c, 17f, 18c)와의 관계위치가 변하는 일이 없다.
회동용 모터(14b)와 포텐쇼미터(15)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출통(14)의 한쪽측인 전방측판(14e)의 외측면에 볼트 및 너트 등에 의해 장착하여 설치함과 함께, 이 앞쪽에는, 착탈이 자유롭게 모터용 커버(14c)를 볼트 및 너트 등에 의해 배출통(14)에 장착한다.
상기 회동용 모터(14b) 및 포텐쇼미터(15)의 설치조정을 행할 때에는, 모터용 커버(14c)를 제거한 후에, 이들 회동용 모터(14b)와 포텐쇼미터(15)의 설치용의 볼트 및 너트를 풀어서, 설치위치의 조정을 행하는 구성이다.
이에 의해, 상기 회동용 모터(14b)와 포텐쇼미터(15)는, 같은 설치면인 배출통(14)의 전방측판(14e)의 외측면에 설치함과 함께, 이들의 회동용 모터(14b)와, 포텐쇼미터(15)의 외측에 설치한 모터용 커버(14c)를 제거함으로써, 양쪽의 설치 위치를 용이하게 할 수가 있다.
상기 배출통(14)의 앞측면의 외측에 설치한 모터용 커버(14c)의 저면부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 상부로부터 후방하부로 향하여 아래로 경사진 상태로 형성하여 설치한다.
이에 의해, 배출통(14)의 곡립배출구(14a)로부터 기계밖으로 배출되는 곡물을 곡립수용자루로 수용할 때에, 이 곡립수용자루를 배출통(14)에의 장착 및 분리를 행할 때에, 곡립수용자루의 테두리가 모터용 커버(14c)에 걸리는 일이 없고, 부드럽게 곡립수용자루의 교환을 행할 수가 있다.
상기 배출통(14)의 상측부에 설치한 하니스 커버(15b)의 후단부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용 커버(14c) 및 하니스 커버(15b) 등내에 회동용 모터(14b)로부터 발생한 열기가 가득차는 것을 방지하여, 열을 방출하기 위하여 개구부(15e)를 형성한다.
이에 의해, 회동용 모터(14b)의 냉각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가 있다.
상기 이송배출통장치(6)의 이동용 이송통(13)에 설치한 외측 뚜껑(13b)의 외측면부에는,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튜브 스톱퍼(Tube Stopper, 35a)를 설치함과 함께, 배출통(14)의 전방측판(14f)의 내측면에는, 좌·우 스톱퍼(35b, 35c)를, 회동용 모터(14b)의 상부 좌우 양측의 설치부 근방에 설치한다. 이들 좌·우 스톱퍼(35b, 35c)가 튜브 스톱퍼(35a)에 접촉하는 구성이다. 이 접촉에 의해, 배출통(14)의 회동이동시의 오버 런(Over Run)을 방지하고, 포텐쇼미터(15)의 지지축(18b)에 축지지한 기어(18c)와, 외측 회동 지지파이프(16e)에 축지지한 전방 회동기어(17f)와의 맞물림의 해제를 방지한다.
이에 의해, 상기 포텐쇼미터(15)에 불량이 발생하였을 때라도, 배출통(14)의 회동이동의 오버 런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기어(17f)와, 기어(18c)의 맞물림의 해제를 방지한다.
상기 배출통(14)의 후방측판(14f)에 설치한 막힘 센서(15d)의 하니스(15f)는, 도 21 및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출통(14)의 횡측면을 따라 윗쪽으로 향하고, 더욱이, 이동용 이송통(13)의 외경 상측면에 배치하고, 적정 위치를 클램프(34c)로 고정하여 지지시킨다. 또한, 이 막힘 센서(15d)에는, 센서 커버를 설치하지 않는 구성이다.
이에 의해, 곡립수용자루를 교환할 때에, 상기 막힘 센서(15d)의 하니스 (15f)에 곡립수용자루가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이 하니스(15f)를 가로방향으로 평행형상으로부터 상하의 세로방향으로 배치함으로써, 이 하니스(15f)의 무리한 굽힘이 없게 되어, 파손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센서 커버를 폐지하고, 컴팩트하게 할 수가 있다.
상기 축받이구(16f)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동조심(自動調心)방식의 축받이구(베어링, 16f)를 사용한 구성이다.
이와같이, 자동조심방식의 축받이구(16f)를 사용함으로써, 지지축(16c) 또는 외측 회동 지지파이프(16e)가 다소 기울어진 때라도, 배출통(14)을 부드럽게 회동시킬 수가 있어, 회동용 모터(14b)에 걸리는 과부하를 방지할 수가 있다.
상기 이송배출통장치(6)의 고정용 이송통(8)에는, 도 10∼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이동용 이송통(13)을 삽입하여 설치한다.도 2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밭에서 수로(水路)를 경유하고, 농도(農道)상의 트럭의 짐받이 콤바인(1)의 곡립저장탱크(4c)내에 저장한 저장곡물을 배출할 때에는, 도 3에 도시하는 조작장치(21a)에 설치한 조작스위치 레버(26e)와, 자동신축 스위치(25d)와, 위치 세트 다이얼(26b)을 조작하고, 트럭의 짐받이의 위쪽의 소정 위치에 이동용 이송통(13)의 전단부에 설치한 배출통(14)을 위치시킨다. 또한, 그 후에, 회동스위치 레버(26f)를 조작하고, 배출통(14)의 곡립배출구(14a)를 바로 아래로 회동시킨다. 더욱이, 그 후에 배출스위치(25)를 조작하여, 배출작업을 시작하는 구성이다.
배출작업이 종료하면, 상기 배출통(14)의 곡립배출구(14a)를, 도 23에서 도 시하는 바와 같이, 회동스위치 레버(26f)를 조작하여 상향으로 회동시키는 구성이다.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배출통(14)의 곡립배출구(14a)로부터 트럭의 짐받이에 곡물을 균등하게 배출시킬 때에는, 도 3에서 도시하는 회동스위치 레버(26f)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조작하고, 배출통(14)의 곡립배출구(14a)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동시켜서, 균등하게 곡물을 트럭의 짐받이에 배출시킨다.
상기 이송배출통장치(6)를, 수납위치로 조작할 때에는, 자동신축 스위치(25d)의 수납측을 조작함으로써, 자동수납됨과 함께, 배출통(14)의 곡립배출구(14a)가 윗쪽으로 자동회동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자동신축 스위치(25d)의 수납측을 조작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이송배출통장치(6)가 자동적으로 수납측으로 이동하는 구성이다. 먼저, 상기 배출통(14)이 위로 향하여 회동한다. 그리고, 이송배출통장치(6)가 소정 위치까지 상승하고나서 수납위치로 향하여 선회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에 의해, 곡립배출구(14a)로부터의 곡물 흘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배출스위치(25a)를 입(入)상태로 하여 곡립저장탱크(4c)내의 곡물을 기계밖으로 배출하는 도중에 있어서는, 배출통(14)이 소정 각도보다 낮은 범위내에서만 좌우 회동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에 의해, 곡립배출구(14a) 부근에 있어서의 곡물의 막힘 상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배출스위치(25a)를 입(入)상태로 하면, 배출통(14)의 곡립배출구(14a)가 아래쪽을 향하고 나서, 텐션장치(26c, 도 9)가 작동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에 의해, 곡물의 막힘 상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이동용 이송통(13)의 외주 위쪽부에 설치한 하니스 커버(15b)의 후단부의 내측면에는,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치판(36)을 설치하고, 이 설치판(36)에, 고무재 및 수지재로 되는 방지판(36a)을, 볼트 및 너트 등에 의해 장착한다.
또한, 이 방지판(36a)의 하단부에서, 대략 중앙부에는, 회동용 모터(14b)의 하니스(15a)를 통과시키는 하니스용 구멍(36b)을 설치한다.
이에 의해, 이 하니스 커버(15b)를 경유하여 모터용 커버(14c)내에 먼지, 흙탕물, 빗물 등의 진입을 방지할 수가 있고, 이 때문에, 회동용 모터(14b) 및 브레이크판(17d) 등에 이들의 부착을 방지할 수가 있고, 이 회동용 모터(14b)의 불량발생을 방지할 수가 있어 브레이크 힘의 저하를 방지할 수가 있다.
도 28 및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동용 모터(14b)의 하니스(15a)는, 하니스 커버(15b)의 후단부보다도 소정 거리(B)를 넓힌 위치를, 클램프(34c)로 이동용 이송통(13)의 외주부에 장착함과 함께, 소정 거리(B) 사이에서 하니스(15a)를 느슨하게 하고, 이동용 이송통(13)을 따르게 장착하여, 배출통(14)의 회동이동을 부드럽게 한다.
이에 의해, 장애물에 하니스(15a)가 걸리는 일이 없고, 더욱이, 배출통(14)을 회동 이동시켜도 문제가 되는 일이 없어, 부드럽게 회동할 수가 있다.
상기 하니스 커버(15b)의 외측면에 있어서, 배출통(14)의 전후방향 대략 중심위치에는, 도 28 및 도 29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작업등(도시하지 않음)에 연동하여 점등하는 파일럿 램프(Pilot Lamp, 37)를 장착한다.
이에 의해, 소정 위치에 배출통(14)을 이동시킬 수가 있고, 이에 의해, 확실하게 곡물을 소정 위치로 배출할 수가 있다.
상기 배출통(14)의 내측면에는,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동장치(17)의 회동용 모터(14b)를 설치함과 함께, 이동용 이송통(13)의 이송 종단부의 외측 뚜껑(13b)에 회동장치(17)를 설치하고, 배출통(14)을 회동이 자유롭게 설치한다. 더욱이, 배출통(14)의 전방 외측면에는, 너트(16h) 등을 커버하는 모터용 커버(14c)를 설치한다.
이에 의해, 모터용 커버(14c)를 소형화할 수가 있다. 또한, 외관형상의 향상을 도모할 수가 있다.
상기 배출통(14)을 소정 위치에서 회동이동을 정지시키기 위해, 도 31∼도 3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용 이송통(13)의 외측 뚜껑(13b)의 외측면에 스톱퍼(38)를 설치함과 함께, 배출통(14)의 전방측판(14e)의 내측면에는, 좌·우 스톱퍼(38a, 38b)를 설치하고, 이들 좌·우 스톱퍼(38a, 38b)를 접속하는 원형상의 접속판(38c)을 설치한다. 스톱퍼(38)에 좌·우 스톱퍼(38a, 38b)가 접촉함으로써, 배출통(14)의 좌회동 및 우회동이 규제되어, 소정 위치이외의 위치에서는, 회동이 정지되지 않는 구성이다. 또한, 접속판(38c)에 의해, 소정 위치이외에서는, 배출통(14)이 달라붙을 수 없는 구성이다.
상기 하니스 커버(15b) 상부 외측면의 좌우방향 중심위치에서, 배출통(14)의 전후방향 대략 중심위치에는, 도 31 및 도 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윗쪽으로 돌출하는 돌출부(39)를 설치한다.
이에 의해, 배출통(14)을 소정 위치로 확실하게 이동시킬 수가 있다. 이에 의해, 곡물을 소정 위치로 배출할 수가 있다.
상기 하니스 커버(15b)의 전단부의 경사면 내측에는, 도 31 및 도 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치 결정판(39a)을 설치하고, 이 위치 결정판(39a)을, 모터용 커버(14c)의 천정부에 설치한 삽입구멍(39b)에 삽입하고, 하니스 커버(15b)의 앞부분의 위치결정을 행한다.
이에 의해, 상기 하니스 커버(15b)의 설치, 분리가 용이하다. 상기 이송배출통장치(6)에서 곡립저장탱크(4c)내의 저장곡물의 배출작업이 종료하고, 조작장치(21a)의 자동신축 스위치(25d)의 「수납」을 「온」조작하여, 이송배출통장치(6)의 이동용 이송통(13)을 수납상태로 조작한다. 그러면, 이 이동용 이송통(13)의 이송 종단부에 설치한 배출통(14)의 곡립배출구(14a)가 바로 위로 제어장치(21f)에 의해 회동이동 제어된 후에, 이동용 이송통(13)이 수납위치에 제어장치(21f)에 의해 단축 제어된다.
이에 의해, 상기 자동신축 스위치(25d)의 「수납」을 「온」하는 조작에 의해, 배출통(14)의 곡립배출구(14a)를 바로 위로 회동조작한 후에, 이동용 이송통(13)이 수납상태의 단축상태로 작동제어됨으로써, 이 배출통(14)이 운반차에 접촉하는 일이 없고, 또한, 곡물의 흘림도 방지할 수가 있다.
상기 이송배출통장치(6)의 이동용 이송통(13)의 선단부에는, 도 34 및 도 35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 죠인트(Ball Joint)방식의 곡립배출구(40a)를 갖는 배출통(40)을 설치하고, 이 배출통(40)의 곡립배출구(40a)를 전후 및 좌우로 회동시킬 수가 있는 구성이다.
이에 의해, 상기 배출통(40)을 볼 죠인트방식으로 함으로써, 곡립배출구(40a)를 좌우 및 전후의 바람직한 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다.
종래에는 배출통(14)부가 소정 각도에서 윗쪽으로 위치하기 위해, 전방의 선단부를 높은 곳 위치로 하여 후방 기부(基部)를 낮은 곳 위치로 하여, 소정 각도로 경사시켜서 설치한 구성이었지만, 이를 이 배출통(14)부가 회동이동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후방향에 대략 수평상태로 지지시키기 위해 오거지지장치(33)의 받침 주기둥(33a)의 전체 높이를 낮게 하고, 이 받침 주기둥(33a)의 상단부에 수용 가이드(33b)를 설치하고, 이 수용 가이드(33b)에서 대략 수평상태로 지지시킨 구성이다. 또한, 이들 고정용 이송통(8)과 이동용 이송통(13)의 지상 높이를 낮게 함으로써, 콤바인(1)의 수납공간을 낮게 할 수가 있는 구성이다.
상기 곡립이송배출통장치(6)의 고정용 이송통(8) 및 이동용 이송통(13)은, 최하단위치를 대략 수평상태로 하강 제어됨으로써, 조작이 간단하다. 또한, 콤바인(1)의 수납공간을 낮게 할 수가 있는 구성이다.
상기 오거지지장치(33)는,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방향에 받침 주기둥(33a)을, 종래와 같이 조절방식이 아니라 고정방식으로 하여 배출통(14)의 곡립배출구(14a)를 수확작업시에는 윗쪽으로 회동시킬 수 있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지상면에서 배출통(14)의 최하면까지의 높이는, 종래의 배출통과 같은 지상 높이를 얻을 수가 있다.
상기 조작장치(21a)의 다른 구성에 대하여, 도 36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이 조작장치(21a)의 표면판(21h)의 외측면에는, 이송배출통장치(6)의 곡립배출구(14a)를, 바로 위 또는 바로 아래로 자동회동시킬 때에 조작하는 「온」 - 「오프」스위치 방식의 자동회동스위치(50)와, 수동으로 임의의 각도로 회동시킬 때에 조작하는 로타리 스위치 방식의 수동회동스위치(51)와, 고정용 이송통(8)과 이동용 이송통(13)과 배출통(14) 등을 소정 위치로 상하회동 및 좌우선회시킬 때에 조작하는 조작레버(52)와, 엔진(21c)의 회전동력을, 곡립저장탱크(4c)의 탱크이송나선(4d)과 세로이송통(5)의 세로이송나선(5a)과 이송배출통장치(6)의 고정용 이송통(8)의 고정이송나선(7)과 이동용 이송통(13)의 이동나선축(9)등에 전달할 때에 「입(入)」- 「절(切)」조작하는 배출 클러치레버(53)와, 이 배출 클러치레버(53)의 「입(入)」 - 「절(切)」을 검출하는 「온」 - 「오프」스위치 방식의 검출스위치(54)와, 긴급정지스위치(55)와, 이동용 이송통(13)을 자동으로 최대 신장 또는 최대 단축 상태로 할 때에 조작하는 자동신축스위치(56)와, 이 이동용 이송통(13)을 임의의 위치로 신장 또는 단축시킬 때에 조작하는 수동신축스위치(57) 등을 설치한 구성이다.
다음에, 도 37에 대하여 설명한다.
곡물을 기계밖으로 배출하는 상기 배출통(14)의 곡립배출구(14a)의 회동위치를, 포텐쇼미터(15)로 검출하는 구성에 있어서, 곡물배출작업중에, 배출통(14)의 곡립배출구(14a) 위치가 회동용 모터(14b)이외의 외력에 의해 회동되어, 이 회동위치가 포텐쇼미터(15)로 검출되어서 이 검출결과가 제어장치(21f)에 입력된다.
그리고, 이 검출된 회동위치가, 설정한 소정각도(θ1)인 대략 50도이상으로 된 때에는, 배출 클러치레버(53)의 배출작업중의 「입(入)」을, 제어장치(21f)에 의해 정지상태로 하는 「절(切)」로 자동적으로 변경하고, 이송배출통장치(6)를 정지제어하여, 곡물을 기계밖으로 배출하는 배출작업을 정지하는 구성이다.
이에 의해, 배출통(14)의 곡립배출구(14a)부에 배출중의 곡물의 막힘을 방지할 수가 있다.
청구항 1에 기재한 발명에 있어서는, 이송 종단부측의 배출통(14)에 일체적으로 설치하는 구동장치(14b)를 구동시켜서 이 배출통(14)을 구동장치914b)와 일체로 좌우 회동시킴으로써, 곡물을 임의의 위치로 용이하게 배출할 수가 있고, 배출작업의 능률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청구항 2에 기재한 발명에 있어서는, 이송배출통(6)을 신축시킴과 동시에, 이송 종단부측의 배출통(14)에 일체로 설치된 구동장치(14b)를 구동시켜서 이 배출통(14)을 구동장치(14b)와 일체로 좌우 회동시킴으로써, 곡물을 임의의 위치로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어, 배출작업의 능률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청구항 3에 기재한 발명에 있어서는, 배출통(14)에 설치한 구동장치(14b)를, 이동나선축(9)의 축심(D)보다 아래쪽에 설치함으로써, 축심(D)보다 위쪽에 설치하는 구성에 비교하여, 배출통(14)을 컴팩트하게 할 수 있음과 함께, 경량화를 도모할 수가 있다.
청구항 4에 기재한 발명에 있어서는, 나선축(9)의 축심(D)에 대하여, 구동장치(14b)를 아래쪽에, 포텐쇼미터(15)를 위쪽에 위치시켜서 설치함으로써, 배출통(14)을 컴팩트하게 할 수가 있다. 또한, 상하로 설치함으로써 배출통(14)의 회동이동시의 회동 밸런스를 양호하게 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한 발명에 있어서는, 이송배출통(6)의 이송 종단부측의 배출통(14)에 일체적으로 설치하는 구동장치(14b)를 구동시켜서 이 배출통(14)을 구동장치(14b)와 일체로 좌우 회동시킴으로써, 곡물을 임의의 위치에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어, 배출작업의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함께, 배출구(14a)에 있어서의 곡물의 막힘을 막힘 센서(15d)에 의해 검출할 수가 있다.
청구항 6에 기재한 발명에 있어서는, 이송배출통(6)의 이송 종단부측의 배출통(14)에 일체적으로 설치하는 구동장치(14b)를 구동시켜서 배출구(14a)를 구동장치(14b)와 일체로 좌우회동시킴으로써 곡물을 임의의 위치로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어, 배출작업의 능률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한, 배출작업후에 이송배출통(6)을 수납상태측으로 작동시키는 것에 근거하여 이송 종단부측의 배출구(14a)가 자동적으로 상향 회동함으로써, 이 배출구(14a)로부터 곡물이 아래로 새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Claims (6)

  1. 이송통(13)의 선단부에 배출구(14a)를 구비한 배출통(14)을 좌우 회전이 자유롭게 취부하고, 상기 이송통(13)의 선단부에 고정측의 기어(17c)를 설치하며, 상기 배출통(14) 선단의 외측면에 구동장치(14b)를 일체로 취부하고, 상기 기어(17c)에 구동장치(14b)의 출력기어(17b)를 치합시키며, 상기 구동장치(14b)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배출통(14)을 상기 구동장치(14b)와 일체로 좌우 회동시키도록 하는 구성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배출장치.
  2. 고정용 이송통(8)과 이송통(13)으로 이루어진 이송배출통(6)을 신축이 자유롭게 구성함과 아울러, 상기 이송통(13)의 선단부에 배출구(14a)를 구비한 배출통(14)을 좌우 회동이 자유롭게 취부하고, 상기 이송통(13)의 선단부에 고정측의 기어(17c)를 설치하며, 상기 배출통(14) 선단의 외측면에 구동장치(14b)를 일체로 취부하고, 상기 기어(17c)에 구동장치(14b)의 출력기어(17b)를 치합시키며, 상기 구동장치(14b)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배출통(14)을 상기 구동장치(14b)와 일체로 좌우 회동시키도록 하는 구성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배출장치.
  3. 이송통(13)의 선단부에 배출구(14a)를 구비한 배출통(14)을 좌우 회전이 자유롭게 취부하고, 상기 이송통(13)의 선단부에 고정측의 기어(17c)를 설치하며, 상기 배출통(14) 선단의 외측면에 구동장치(14b)를 일체로 취부하고, 상기 기어(17c)에 구동장치(14b)의 출력기어(17b)를 치합시키며, 상기 구동장치(14b)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배출통(14)을 상기 구동장치(14b)와 일체로 좌우 회동시키도록 구성하는 동시에, 상기 구동장치(14b)를 이송배출통(6)에 내장된 나선축(9)의 축심(D) 보다 아래쪽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배출장치.
  4. 이송통(13)의 선단부에 배출구(14a)를 구비한 배출통(14)을 좌우 회전이 자유롭게 취부하고, 상기 이송통(13)의 선단부에 고정측의 기어(17c)를 설치하며, 상기 배출통(14) 선단의 외측면에 구동장치(14b)를 일체로 취부하고, 상기 기어(17c)에 구동장치(14b)의 출력기어(17b)를 치합시키며, 상기 구동장치(14b)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배출통(14)을 상기 구동장치(14b)와 일체로 좌우 회동시키도록 하여 구성하고, 상기 구동장치(14b)를 이송배출통(6)에 내장된 나선축(9)의 축심(D) 보다 아래쪽에 배치함과 동시에, 배출통(14)의 좌우 회전 각도를 검출하는 포텐쇼미터(15)를 상기 나선축(9)의 축심(D)보다도 상측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배출장치.
  5. 이송통(13)의 선단부에 배출구(14a)를 구비한 배출통(14)을 좌우 회전이 자유롭게 취부하고, 상기 이송통(13)의 선단부에 고정측의 기어(17c)를 설치하며, 상기 배출통(14) 선단의 외측면에 구동장치(14b)를 일체로 취부하고, 상기 기어(17c)에 구동장치(14b)의 출력기어(17b)를 치합시키며, 상기 구동장치(14b)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배출통(14)을 상기 구동장치(14b)와 일체로 좌우 회동시키도록 구성하는 동시에, 상기 배출구(14a)에 곡물의 막힘을 검출하는 막힘 센서(15d)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배출장치.
  6. 이송통(13)의 선단부에 배출구(14a)를 구비한 배출통(14)을 좌우 회전이 자유롭게 취부하고, 상기 이송통(13)의 선단부에 고정측의 기어(17c)를 설치하며, 상기 배출통(14) 선단의 외측면에 구동장치(14b)를 일체로 취부하고, 상기 기어(17c)에 구동장치(14b)의 출력기어(17b)를 치합시키며, 상기 구동장치(14b)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배출통(14)을 상기 구동장치(14b)와 일체로 좌우 회동시키도록 구성하는 동시에, 상기 고정용 이송통(8)과 이송통(13)으로 이루어진 이송배출통(6)을 수납상태측으로 작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상기 배출구(14a)가 상향하도록 배출통(14)이 회동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배출장치.
KR1020050022582A 2004-04-05 2005-03-18 곡물 배출장치 KR1006946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111261 2004-04-05
JP2004111261A JP4228147B2 (ja) 2004-04-05 2004-04-05 コンバインの穀粒排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4384A KR20060044384A (ko) 2006-05-16
KR100694652B1 true KR100694652B1 (ko) 2007-03-13

Family

ID=35066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2582A KR100694652B1 (ko) 2004-04-05 2005-03-18 곡물 배출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228147B2 (ko)
KR (1) KR100694652B1 (ko)
CN (1) CN1321558C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4522B1 (ko) 2019-11-01 2020-03-04 함영철 곡물탱크 승강 및 곡물 배출장치
KR102229930B1 (ko) 2019-12-19 2021-03-19 함영철 곡물안내유닛을 구비한 곡물탱크 승강 및 곡물 배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17457B (zh) * 2008-08-29 2016-01-27 株式会社久保田 联合收割机以及作业机的姿态控制装置
JP5139927B2 (ja) * 2008-08-29 2013-02-06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
JP6575564B2 (ja) * 2017-06-30 2019-09-18 井関農機株式会社 移植機
CN107750601B (zh) * 2017-11-30 2023-07-25 江苏沃得农业机械有限公司 收割机高位卸粮筒控制装置及控制方法
CN113839345B (zh) * 2021-09-10 2022-08-19 国网山东省电力公司滨州供电公司 一种电力线路临近植被诱导雷击放电防护装置及使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91768A (ja) * 1998-03-02 1998-07-28 Iseki & Co Ltd コンバインの穀物排出装置
US6012272A (en) * 1998-03-18 2000-01-11 Dillon; Ben N. Articulated combine
JP2000032836A (ja) * 1998-07-16 2000-02-02 Iseki & Co Ltd 伸縮式の穀粒搬出オ−ガ装置
JP3852220B2 (ja) * 1998-09-29 2006-11-29 井関農機株式会社 穀粒排出装置
JP2001069846A (ja) * 1999-09-01 2001-03-21 Iseki & Co Ltd コンバインの伸縮穀粒移送装置
JP2001128538A (ja) * 1999-11-10 2001-05-15 Iseki & Co Ltd 作業車の穀粒排出装置
JP2001178253A (ja) * 1999-12-21 2001-07-03 Iseki & Co Ltd 穀粒排出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4522B1 (ko) 2019-11-01 2020-03-04 함영철 곡물탱크 승강 및 곡물 배출장치
KR102229930B1 (ko) 2019-12-19 2021-03-19 함영철 곡물안내유닛을 구비한 곡물탱크 승강 및 곡물 배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679387A (zh) 2005-10-12
KR20060044384A (ko) 2006-05-16
JP2005287460A (ja) 2005-10-20
CN1321558C (zh) 2007-06-20
JP4228147B2 (ja) 2009-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4652B1 (ko) 곡물 배출장치
JP2019047776A5 (ko)
CN107409638B (zh) 联合收割机
CN101027962B (zh) 联合收割机
JP4367252B2 (ja) 粉粒体搬送装置
JP4144560B2 (ja) コンバイン
JP2007029004A (ja) 粉粒体搬送装置
JP4367171B2 (ja) コンバイン等の穀粒排出装置
JP4396469B2 (ja) 粉粒体排出装置
JP2007006781A (ja) 粉粒体搬送装置
JP4228148B2 (ja) 粉粒体排出装置
JP2005295811A (ja) コンバイン等の穀粒排出装置
JP2011092146A (ja) コンバイン
KR20170053651A (ko) 전간 투입형 콤바인의 탈곡 장치 및 콤바인
JP4599972B2 (ja) コンバインの穀粒排出装置
JP2005237220A5 (ko)
KR100680647B1 (ko) 콤바인
JP4367178B2 (ja) コンバイン
JP2006158334A (ja) 粉粒体搬送装置
JP2005295865A (ja) コンバイン等の穀粒排出装置
JP2007135513A (ja) 粉粒体搬送装置
JP2006094777A5 (ko)
JP2005117965A (ja) コンバイン等の穀粒排出装置
JP2005130801A (ja) コンバイン等の穀粒排出装置
JP2006230282A (ja) コンバインの操作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