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4522B1 - 곡물탱크 승강 및 곡물 배출장치 - Google Patents

곡물탱크 승강 및 곡물 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4522B1
KR102084522B1 KR1020190138303A KR20190138303A KR102084522B1 KR 102084522 B1 KR102084522 B1 KR 102084522B1 KR 1020190138303 A KR1020190138303 A KR 1020190138303A KR 20190138303 A KR20190138303 A KR 20190138303A KR 102084522 B1 KR102084522 B1 KR 1020845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in
discharge
tank
grain tank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8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함영철
Original Assignee
함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함영철 filed Critical 함영철
Priority to KR10201901383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45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45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45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60Grain tank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208Tanks for grain or chaf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27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es
    • A01D41/1275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es for the level of grain in grain tank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44Grain cleaners; Grain separato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hreshing Machine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콤바인용 곡물탱크 승강 제어 및 곡물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콤바인의 탈곡선별부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이송배출부의 배출단부에 마주하여 곡물탱크의 상면 일측에 형성된 곡물투입부를 위치시켜 탈곡선별부를 통해 탈곡 선별된 곡물을 이송배출부를 경유하여 곡물탱크로 이송 및 저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곡물탱크를 승강 제어함은 물론 곡물탱크 측 저장된 곡물을 외부 배출하기 위한 곡물탱크 승강 및 곡물 배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곡물탱크를 승강 제어하기 위한 곡물탱크 승강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곡물탱크 승강유닛은 콤바인 상부에 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좌우 양측에 일정 간격으로 직립하게 설치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의 내부에 밀착되는 롤러를 양측면에 설치하고 상부에는 곡물탱크를 고정하여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곡물탱크와 함께 승강하는 승강체와,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좌우 양측에 설치하여 승강체를 상하로 승강시키는 승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승강수단은 베이스프레임의 좌우 양측에 유압실린더를 직립 설치하되, 유압실린더의 하단부를 베이스프레임의 상부에 고정 배치한 브래킷 측에 회동 가능하게 핀 결합하고, 유압실린더 측 로드의 끝단부 양측으로 체인스프로킷을 설치하여 각 체인스프로킷에 견인체인을 연결하되 견인체인의 일단부는 가이드레일 간을 연결하는 연결프레임에 고정하고 타단부는 승강체에 고정하여 유압실린더 측 로드의 스트로크에 따라 견인체인에 고정된 승강체가 승강하도록 구성하며; 상기 곡물탱크 상에 장착되어 구비되고, 자동 개폐를 통해 곡물탱크에 저장된 곡물을 정확하게 외부 배출할 수 있도록 한 곡물배출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곡물탱크 승강 및 곡물 배출장치{APPARATUS FOR DISCHARGING GRAIN AND LIFTING CONTROL OF GRAIN TANK}
본 발명은 콤바인용 곡물탱크 승강 및 곡물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콤바인을 사용하여 곡물을 수확한 후 이를 임시 저장하는 곡물탱크에 대해 승강을 제어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고정형이 아닌 높낮이 조절형으로 구비하여 원하는 높이에서 곡물탱크로부터 곡물을 외부 배출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통해 곡물탱크로부터 곡물을 배출하여 톤백 등의 대형 포대에 바로 담아 적재 및 보관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곡물운반용 화물자동차의 적재함 높이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곡물 배출작업을 수행하여 미곡종합처리장(RPC)이나 저온저장고의 저장시설로 운반 이송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작업성을 개선 및 작업자 피로도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한 곡물탱크 승강 및 곡물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콤바인은 농토를 주행하면서 벼, 보리, 밀, 콩 등의 곡물을 수확과 동시에 탈곡 및 선별한 후 선별된 곡물을 그대로 곡물탱크에 저장하거나 또는 수확과 동시에 포대 등에 넣어서 포장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한 곡물 수확용 기계장치이다.
이러한 콤바인은 쓰러진 곡물을 일으켜 세워서 왕복날로 베는 예취부, 곡류를 벨트나 체인에 의해서 탈곡선별부로 운반하는 수송장치, 자동탈곡기의 구실을 하는 탈곡선별부, 탈곡 선별된 곡물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콤바인의 몸체를 이동시키는 주행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종래 콤바인 사용시에는 곡물을 수확한 후 탈곡하고 선별한 곡물을 즉시 포대에 옮겨 담는 경우가 많았으며, 이때에는 곡물이 담긴 포대를 콤바인에 계속 싣고 다닐 수 없기 때문에 곡물을 수확하는 과정에서 곡물이 담겨 포장된 포대는 농토 여기저기에 내려놓은 후, 곡물 수확 작업이 완료된 후에 별도로 포대를 수집하여 운반하는 등 번거로움과 불편함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콤바인을 사용하여 곡물을 수확한 후 탈곡하고 선별한 곡물을 콤바인에 구비된 곡물저장탱크에 이송시켜 저장하였다가 곡물저장탱크가 다 채워지면 콤바인을 별도의 장소로 이동한 후 곡물저장탱크에 저장된 곡물을 배출하여 포대에 옮겨 담거나 별도의 저장시설에 옮겨 저장하고 있다.
하지만, 곡물 포대는 대부분이 소형으로서, 포대에 옮겨 담는 작업을 작업자가 다수 회 수행하여야 하므로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작업자가 수확한 곡물을 톤백 등의 대형 포대로 옮기는 경우에도 소형의 작은 포대로 받아 옮기는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므로 이 역시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될뿐더러 작업자의 피로도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콤바인에 있어서는 탈곡하고 선별한 곡물을 콤바인에 구비된 곡물저장탱크 측으로 이동 처리할 시 곡물의 이동 안전성이 떨어지고 외부 유출이 발생되므로 곡물이 손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콤바인은 곡물을 수확한 후 탈곡하고 선별하여 곡물저장탱크에 저장하였다가 저장된 곡물을 배출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자동 개폐장치인 곡물배출유닛이 장착되어 구비되는데, 작업자가 콤바인의 운전석 또는 곡물저장탱크 일측에 설치된 작동레버를 이용해 개방함으로써 곡물저장탱크에 저장된 곡물을 곡물배출구를 통해 배출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 곡물배출유닛 측 곡물배출구에 대해 작동레버를 이용하여 개폐할 시 작업자가 오조작하게 되면 곡물저장탱크에 저장된 곡물이 작업장 바닥이나 원치않는 지점으로 쏟아지는 문제점이 있어 수확한 곡물을 버리게 되므로 개선이 요구되는 실정에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9465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3870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46127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소 및 이를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콤바인을 사용하여 곡물을 수확한 후 이를 임시 저장하는 곡물탱크에 대해 승강을 제어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고정형이 아닌 높낮이 조절형으로 구비하여 원하는 높이에서 곡물탱크로부터 곡물을 외부 배출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통해 곡물탱크로부터 곡물을 배출하여 톤백 등의 대형 포대에 바로 담아 적재 및 보관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곡물운반용 화물자동차의 적재함 높이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곡물 배출작업을 수행하여 미곡종합처리장(RPC)이나 저온저장고의 저장시설로 운반 이송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작업성을 개선 및 작업자의 피로도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한 곡물탱크 승강 및 곡물 배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곡물탱크에서 톤백 등의 대형 포대로 곡물을 배출할 시 곡물탱크 상에 장착된 곡물배출유닛의 자동 개폐에 따른 오조작 등을 방지하여 곡물의 외부 배출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곡물탱크 승강 및 곡물 배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콤바인 측 이송배출부의 배출단부 측에 곡물안내유닛을 구비하는 구성을 갖게 함으로써 곡물탱크의 내부로 인입되는 곡물의 이동 안전성(낙차로 인한 곡물의 깨짐 방지 등)을 구현 및 외부 유출을 막아 곡물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곡물탱크 승강 및 곡물 배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곡물탱크 승강 및 곡물 배출장치는, 콤바인의 탈곡선별부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이송배출부의 배출단부에 마주하여 곡물탱크의 상면 일측에 형성된 곡물투입부를 위치시켜 탈곡선별부를 통해 탈곡 선별된 곡물을 이송배출부를 경유하여 곡물탱크로 이송 및 저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곡물탱크를 승강 제어함은 물론 곡물탱크 측 저장된 곡물을 외부 배출하기 위한 곡물탱크 승강 및 곡물 배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곡물탱크를 승강 제어하기 위한 곡물탱크 승강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곡물탱크 승강유닛은 콤바인 상부에 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좌우 양측에 일정 간격으로 직립하게 설치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의 내부에 밀착되는 롤러를 양측면에 설치하고 상부에는 곡물탱크를 고정하여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곡물탱크와 함께 승강하는 승강체와,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좌우 양측에 설치하여 승강체를 상하로 승강시키는 승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승강수단은 베이스프레임의 좌우 양측에 유압실린더를 직립 설치하되, 유압실린더의 하단부를 베이스프레임의 상부에 고정 배치한 브래킷 측에 회동 가능하게 핀 결합하고, 유압실린더 측 로드의 끝단부 양측으로 체인스프로킷을 설치하여 각 체인스프로킷에 견인체인을 연결하되 견인체인의 일단부는 가이드레일 간을 연결하는 연결프레임에 고정하고 타단부는 승강체에 고정하여 유압실린더 측 로드의 승강 이동에 따라 견인체인에 고정된 승강체가 승강하도록 구성하며; 상기 곡물탱크 상에 장착되어 구비되고, 자동 개폐를 통해 곡물탱크에 저장된 곡물을 정확하게 외부 배출할 수 있도록 한 곡물배출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곡물배출유닛은, 상기 곡물탱크에 형성된 곡물배출구에 승강 가능 설치되어 곡물배출구를 개폐하는 개폐문과, 상기 곡물배출구의 하부에 회전 가능케 설치되어 곡물배출구에서 배출되는 곡물을 안내하는 배출슈트와, 액추에이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판캠의 회전에 의해 상기 개폐문을 개폐하고 상기 배출슈트의 회전이 연동하여 순차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일단부가 개폐문의 측면에서 돌출 형성된 연결축에 연결되고 타단부에 제1롤러를 설치한 연결판과, 상기 제1롤러를 안내하는 제1가이드장공 및 상기 배출슈트의 측면에 설치하는 제2롤러를 안내하는 제2가이드장공을 측면에 형성하고 상기 배출슈트의 측면에 설치하는 제3롤러를 안내하는 가이드경로를 전면에 형성한 고정판과, 상기 제1롤러를 안내하는 제3가이드장공 및 상기 제2롤러를 안내하는 제4가이드장공을 형성하여 고정판의 외측에 회전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 판캠과, 상기 고정판의 일측에 설치되고 피스톤로드를 판캠의 회전축에 연결하여 피스톤로드의 스트로크에 의해 판캠이 회전하게 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하여 상기 판캠의 회전에 의해 개폐문의 개폐와 배출슈트의 회전이 연동하여 순차적으로 이루어지게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이송배출부의 배출단부에 연결 설치하여 이송배출부로부터 곡물투입부를 통해 곡물탱크의 내부로 인입되는 곡물의 이동 안전성을 증대 및 손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곡물안내유닛을 더 포함하되, 상기 곡물안내유닛은, 상기 이송배출부의 배출단부 하면에 직접 체결 고정하거나 또는 상기 이송배출부의 배출단부 하면에 체결 고정한 이격브래킷에 장착되는 공기주입구; 상기 공기주입구의 단부에 일측단부가 연결 고정되고, 이송배출부를 통해 배출되는 곡물을 곡물투입부를 경유하여 곡물탱크의 내부로 유도하는 것으로서, 곡물의 이동 안전성을 위해 호형 구조의 몸체로 구비하되 선단부에 코일 형태로 감아 말아 코일형 판스프링부를 형성시킨 곡물안내슈트; 상기 공기주입구에 연결되는 공기압발생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곡물안내슈트는 연질소재로 구비 및 내부가 빈 중공으로 형성되어 공기주입구를 통해 공기압이 인입되면 코일형 판스프링부가 전방(前方)으로 펼쳐져 직선형으로 배치되면서 이송배출부에서 배출되는 곡물을 곡물탱크의 내부로 안내하고 공기압이 해제되면 코일형 판스프링부가 코일 형태로 원상복귀되게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콤바인 측 이송배출부에서 곡물탱크로 탈곡 선별된 곡물을 배출시키는 신호와 연계하여 공기압발생장치로부터 공기주입구를 통해 곡물안내슈트로 공기압을 주입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곡물안내슈트 측 코일형 판스프링부에는 끝단부 하면에 접촉센서를 부착하는 구성을 갖게 함으로써 곡물안내슈트를 통해 곡물탱크의 내부로 곡물을 이동 안내하여 저장시 곡물탱크 내에 쌓여 적재되는 곡물과 접촉되는 경우 신호 발생을 통해 공기압을 해제하여 코일형 판스프링부를 코일 형태로 원상복귀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곡물안내슈트는, 상기 곡물탱크 승강유닛을 구동하여 곡물이 저장된 곡물탱크를 상승시키는 경우 상승되는 곡물탱크에 의해 상측 방향으로 밀려 올라가면서 공기주입구에 연결되는 직선부가 이송배출부의 배출구를 커버하도록 배치되게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콤바인 측 이송배출부(60)의 배출단부 측에 곡물안내유닛(600)을 연결 장착함으로써 이송배출부(60)로부터 곡물탱크(50)로 저장하기 위해 이동되는 곡물의 이동 안전성(이송 낙차로 인한 곡물의 깨짐 방지 등)을 구현할 수 있으면서 곡물의 외부 유출을 막아 손실을 방지하는 유용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고, 곡물탱크 승강유닛(500)을 곡물탱크(50)에 연결 구비함으로써 곡물탱크(50)에 임시 저장한 곡물을 톤백 등의 대형 포대로 담기 위해 배출시 곡물탱크(50)의 승강을 제어하여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므로 원하는 높이에서 곡물탱크(50)로부터 곡물을 배출하여 톤백 등에 옮길 수 있어 종래 고정형에 비해 작업성을 개선 및 작업자의 피로도를 해소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며, 곡물탱크(50) 상에 곡물배출유닛(1)을 장착하여 구비함으로써 곡물탱크(50)로부터 곡물을 배출하여 톤백 등의 포대로 옮길 시 곡물의 배출작업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물탱크 승강 및 곡물 배출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물탱크 승강 및 곡물 배출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물탱크 승강 및 곡물 배출장치에 있어 곡물배출유닛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물탱크 승강 및 곡물 배출장치에 있어 곡물안내유닛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첨부도면의 도 1 내지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곡물탱크 승강 및 곡물 배출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들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물탱크 승강 및 곡물 배출장치는 도 1 내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콤바인 상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콤바인의 탈곡선별부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이송배출부(60)의 배출단부에 마주하여 곡물탱크(50)의 상면 일측에 형성된 곡물투입부(501)를 위치시켜 콤바인 측 탈곡선별부를 통해 탈곡 선별된 곡물을 이송배출부(60)를 경유하여 곡물탱크(50)로 이송 및 저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곡물탱크(50)를 승강 제어함은 물론 곡물탱크(50)의 내부에 저장된 곡물을 외부 배출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를 위해, 콤바인 상에서 탈곡 선별된 곡물이 저장되는 곡물탱크(50)를 승강 제어하여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곡물탱크 승강유닛(500)과, 상기 곡물탱크 승강유닛(500)에 의해 승강 제어되어 높낮이 조절된 상태에서 곡물탱크(50)의 내부에 저장된 곡물을 외부로 정확하게 배출하여 톤백 등에 담기 위한 곡물배출유닛(1)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송배출부(60)의 배출단부에 연결 설치하여 이송배출부(60)로부터 곡물투입부(501)를 통해 곡물탱크(50)의 내부로 인입되는 곡물의 이동 안전성을 증대 및 외부로 유출되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곡물안내유닛(600)을 더 포함하는 구성을 갖게 할 수 있다.
상기 곡물탱크 승강유닛(500)은 콤바인 상에 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510)과, 상기 베이스프레임(510)의 좌우 양측에 일정 간격으로 직립하게 설치하는 가이드레일(520)과, 상기 가이드레일(520)의 내부에 밀착되는 롤러(502)를 양측면에 설치하고 상부에는 곡물탱크(50)를 고정하여 상기 가이드레일(520)을 따라 곡물탱크(50)와 함께 승강하는 승강체(530)와, 상기 베이스프레임(510)의 좌우 양측에 설치하여 승강체(530)를 상하로 승강시키는 승강수단(540)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프레임(510)은 콤바인의 일측 상부에 설치하되, 콤바인에 구성되는 탈곡선별부 일측에 근접하도록 설치하며, 상기 베이스프레임(510)의 상부에는 상기 가이드레일(520)을 따라서 승강하는 승강체(530)의 최저 높이를 제한하도록 승강체(530)를 거치하는 거치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레일(520)은 상기 베이스프레임(510)의 좌우 양측에 일정 간격으로 직립하게 설치하되, 일측에 각 한 쌍씩 모두 4개의 가이드레일(520)을 설치하고, 직립 설치된 가이드레일(520) 간의 간격을 정확하고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직립 설치된 가이드레일(520)의 하부와 상부에는 다수의 연결프레임(522)을 이용하여 가이드레일(520)을 서로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승강체(530)는 상기 가이드레일(520)을 따라서 승강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레일(520)에 밀착하는 롤러(502)를 양측면에 설치하되, 승강체(30)가 승강하는 과정에서 흔들림을 방지하고 안정적인 승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나의 가이드레일(520) 내부에 적어도 2개 의상의 롤러(502)가 밀착되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승강체(530)의 상부에는 곡물탱크(50)를 고정한다.
상기 승강수단(540)은 베이스프레임(510)의 좌우 양측에 유압실린더(541)를 직립 설치하되, 유압실린더(541)의 하단부를 베이스프레임(510)의 상부에 고정 배치한 브래킷 측에 회동 가능하게 핀 결합하고, 유압실린더(541) 측 로드(541a)의 끝단부 양측으로 체인스프로킷(542)을 설치하여 각 체인스프로킷(542)에 견인체인(543)을 연결하되, 상기 견인체인(543)의 일단부는 가이드레일(520) 간을 연결하는 연결프레임(522)에 고정하고 타단부는 승강체(530)에 고정하여 유압실린더(541) 측 로드(541a)의 승강 이동에 따라 견인체인(543)에 고정된 승강체(530)가 승강하도록 구성한다.
즉, 상기 유압실린더(541)를 포함하는 승강수단(540)의 구동을 통해 승강체(530)를 움직임으로써 이에 고정된 곡물탱크(50)를 승강 제어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곡물탱크(50)를 원하는 높이로 간단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곡물탱크(50)에 저장된 곡물을 원하는 높이에서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곡물배출유닛(1)은 곡물탱크(50)의 하부에 형성된 곡물배출구에 승강 가능 설치되어 곡물배출구를 개폐하는 개폐문(10)과, 상기 곡물배출구의 하부에 회전 가능케 설치되어 곡물배출구에서 배출되는 곡물을 안내하는 배출슈트(20)와, 액추에이터(304)에 의하여 회전하는 판캠(303)의 회전에 의해 상기 개폐문(10)을 개폐하고 상기 배출슈트(20)의 회전이 연동하여 순차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구동부(30)를 포함한다.
상기 개폐문(10)은 저면이 호퍼형으로 형성된 콤바인용 곡물탱크(50)의 하단부 정면에 형성된 곡물배출구를 개폐하기 위하여 곡물배출구의 양측면에 설치된 가이드(402)를 따라서 승강하도록 설치한다.
상기 개폐문(10)의 승강에 의한 개폐를 위하여 개폐문(10)에는 양측으로 돌출된 연결축(101)을 형성하고, 상기 연결축(101)의 양단부를 구동부(30)의 연결판(301)과 연결하여 연결판(301)의 작동에 의하여 개폐문(10)의 승강이 이루어지게 한다.
상기 배출슈트(20)는 곡물탱크(50) 측 곡물배출구에서 배출되는 곡물을 안내 및 회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제1슈트(20a)와 제2슈트(20b)로 분할 구성하고, 연결축(101)으로 상기 제1슈트(20a)와 제2슈트(20b)를 연결하여 제1슈트(20a)와 제2슈트(20b)가 절첩 가능하게 구성한다.
상기 제1슈트(20a)의 양측에는 상기 구동부(30)에 의해 안내되는 제1롤러(301a)를 설치하고, 제2슈트(20b)의 양측에는 상기 구동부(30)에 의해 안내되는 제2롤러(201)를 설치한다.
상기 구동부(30)는 액추에이터(304)에 의하여 회전하는 판캠(303)의 회전에 의해 상기 개폐문(10)의 개폐와, 상기 배출슈트(20)의 회전이 연동하여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개폐문(10)과 상기 판캠(303)을 연결하는 연결판(301)과, 상기 배출슈트(20)의 회전 경로를 제공하는 고정판(302)과, 상기 개폐문(10)의 승강 개폐와 상기 배출슈트(20)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판캠(303)과, 상기 판캠(303)을 회전시키는 액추에이터(304)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판(301)은 일단부를 상기 개폐문(10)의 측면에서 돌출 형성된 연결축(101)에 연결하고, 타단부에는 판캠(303)에 의해 안내되는 제1롤러(301a)를 설치하여 판캠(303)의 회전력을 상기 연결축(101)의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상기 개폐문(10)을 승강시켜 개폐토록 한다.
상기 고정판(302)은 곡물탱크(50)의 하단부 양측면에 설치하고, 상기 제1롤러(301a) 안내하는 제1가이드장공(302a)을 형성하여 상기 판캠(303)의 회전에 의해 안내되는 제1롤러(301a)의 이동경로를 제공토록 한다.
상기 배출슈트(20)의 측면에 설치하는 제2롤러(201)를 안내하는 제2가이드장공(302b)을 측면에 형성하여 판캠(303)의 회전에 의해 안내되는 상기 제2롤러(201)의 이동경로를 제공함으로써 판캠(303)의 회전에 의한 상기 배출슈트의 회전이 가능토록 한다.
상기 배출슈트(20)의 측면에 설치하는 제3롤러(202)를 안내하는 안내경로(302c)를 전면(前面)에 형성하여 배출슈트의 회전에 따른 제1슈트(20a)와 제2슈트(20b)의 절첩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고정판(302) 내측에는 제2롤러(201)에 의해 이동하는 제1슈트(20a)를 지지하는 지지롤러(305)를 설치한다.
상기 판캠(303)은 상기 제1롤러(301a)를 안내하는 제3가이드장공(303a)과, 상기 제2롤러(201)를 안내하는 제4가이드장공(303b)을 형성하여 상기 고정판(302)의 외측에 회전축(303c)으로 회전 가능케 설치한다.
상기 제1롤러(301a)를 안내하는 상기 제3가이드장공(303a)은 판캠(303)의 회전에 의해 상기 연결판(301)의 일단부에 연결된 연결축(101)의 승강이 이루어지면서 개폐문(10)의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호형으로 된 슈트회전구간(303a-1)의 일단부에 직선형으로 된 개폐문닫힘구간(303a-2)을 내향으로 연결하여 형성한다.
상기 제2롤러(201)를 안내하는 제4가이드장공(303b)은 판캠(303)의 회전에 의해 배출슈트(20)의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호형으로 된 개폐문열림구간(303b-1)의 일단부에 직선형으로 된 슈트회전구간(303b-2)을 외향으로 연결하여 형성한다.
상기 액추에이터(304)는 일단부에 회동 가능케 설치된 브라켓(303b)에서 돌출 형성된 고정볼트(304c)를 상기 고정판(302) 일측에 체결너트로 체결하여 고정하고, 타단부에 설치된 피스톤로드(304a)의 단부를 상기 판캠(303)의 회전축(303c)에 연결하여 피스톤로드(304a)의 구동에 의해 상기 판캠(303)이 회전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고정판(302)의 일측에 설치되는 브래킷(303b)의 위치 조절을 통해서 상기 피스톤로드(304a)의 구동 거리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 판캠(303)의 회전에 의해 개폐문(10)의 개폐와 배출슈트(20)의 회전이 연동하여 순차적으로 이루어지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곡물안내유닛(600)은, 통상적으로 이송배출부(60)에서 곡물탱크(50)로 곡물이 낙하를 통해 이송될 때, 그 높이로 인한 낙차에 의해 충격이 발생하여 곡물, 특히 콩류의 깨짐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것을 방지 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이송배출부(60)의 배출단부 하면에 직접 체결 고정하는 공기주입구(610)와, 상기 공기주입구(610)의 단부에 일측단부가 연결 고정되고 이송배출부(60)를 통해 배출되는 곡물을 곡물투입부(501)를 경유하여 곡물탱크(50)의 내부로 인입되게 유도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곡물안내유닛(600)은 곡물의 이동 안전성을 위해 호형 구조의 몸체로 구비하되 선단부에 코일 형태로 감아 말아 코일형 판스프링부(621)를 형성시킨 곡물안내슈트(620)와, 상기 공기주입구(610)에 연결되어 곡물안내슈트(620)로 공기압을 공급하여 코일형 판스프링부(621)가 펼쳐지게 하는 공기압발생장치(6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코일형 판스프링부(621)는 직선부(621-1) 및 이에 연장된 코일부(621-2)로 구성되어 곡물안내슈트(620) 내에 공기가 빠져 코일형 판스프링부(621)가 말려 감기더라도 코일부(621-2)까지만 말리도록 한다.
이로써, 곡물안내슈트(620)는 직선부(621-1)를 통한 일정길이 코일부(621-2)와의 거리를 형성하여 이송배출부(60)와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공기주입구(610)는 상기 이송배출부(60)의 배출단부 하면에 체결 고정한 이격브래킷(601)에 장착하여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설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직선부(621-1)가 하기할 배출부를 커버하는 작동이 실현될 수 있다.
상기 곡물안내슈트(620)는 연질소재로 구비 및 내부가 빈 중공으로 형성되어 공기주입구(610)를 통해 공기압이 인입되면 코일형 판스프링부(621)가 전방(前方)으로 펼쳐져 곡물탱크(50) 측 내부로 삽입 배치되고, 이를 통해 곡물을 곡물탱크(50)로 인입 처리한다.
이때, 상기 곡물안내슈트(620)에서는 코일형 판스프링부(621)가 공기압의 주입에 의해 펼쳐짐에 따라 직선형으로 배치되면서 이송배출부(60)에서 배출되는 탈곡 선별된 곡물을 곡물탱크(50)의 내부로 안내하고, 공기압이 해제되면 코일형 판스프링부(621)가 다시 감겨지면서 코일 형태로 원상복귀한다.
상기 곡물안내유닛(600)은 상기 콤바인 측 이송배출부(60)에서 곡물탱크(50)로 탈곡 선별된 곡물을 배출시키는 신호와 연계하여 공기압발생장치(630)로부터 공기주입구(610)를 통해 곡물안내슈트(620)로 공기압을 주입하도록 구성한다.
여기에서, 상기 곡물안내유닛(600)은 공기주입구(610)를 통한 공기압 주입에 따라 코일형 판스프링부(621)가 감아 말아진 상태에 펼쳐지면서 곡물을 안내하게 되는데, 이송배출부(60)로부터 배출되어 이동되는 곡물이 일부는 코일형 판스프링부(621)에 부딪혀 완충된 후 바로 곡물탱크(50)로 저장될 수 있으며 나머지 일부는 코일형 판스프링부(621)에 부딪힌 후 직선부에서 완충되어 곡물탱크(50)로 저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작용은 공기주입구(610)를 통한 공기압 해제시에도 이송배출부(60) 측 마지막 배출되는 곡물을 곡물탱크(50)로 안내시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곡물안내슈트(620) 끝단부 하면에 접촉센서(640)를 부착하는 구성을 갖게 함으로써 곡물안내슈트(620)를 통해 곡물탱크(50)의 내부로 곡물을 이동 안내하여 저장시 곡물탱크(50) 내에 쌓여 적재되는 곡물과 접촉되는 경우 신호 발생을 통해 공기압을 해제하여 코일형 판스프링부(621)를 코일 형태로 원상복귀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어서, 도 9를 참조하면, 곡물안내슈트(620)에 공기가 빠져 코일부에 의해 말린상태에서 곡물은 직선부를 타고, 코일부에서 1차 완충된 후 곡곡물탱크(50)에 적층된 곡물에 낙하하게되므로 낙하에 따른 곡물의 손상이 현저히 줄어들게 된다.
상기 곡물안내슈트(620)는 이송배출부(60)를 통한 곡물 저장작업을 완료한 후 곡물탱크(50)에 저장된 곡물을 외부로 배출하여 톤백 등의 포대에 담기 위해 상기 곡물탱크 승강유닛(500)을 구동하여 곡물이 저장된 곡물탱크(50)를 상승시키는 경우, 도 10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상승되는 곡물탱크(50)에 의해 상측 방향으로 밀려 올라가면서 공기주입구(610)에 연결되는 곡물안내슈트(620) 측 직선부(621-1)가 이송배출부(60)의 배출구를 커버하면서 코일부(621-2)가 이송배출부(60)와 곡물탱크(50)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공기압발생장치(630)는 컴프레셔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곡물탱크 승강 및 곡물 배출장치를 통해서는 콤바인 측 이송배출부(60)의 배출단부 측에 곡물안내유닛(600)을 연결 장착함으로써 이송배출부(60)로부터 곡물탱크(50)로 저장하기 위해 이동되는 곡물의 이동 안전성을 구현할 수 있으면서 곡물의 외부 유출을 막아 손실을 방지하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고, 곡물탱크 승강유닛(500)을 곡물탱크(50)에 연결 구비함으로써 곡물탱크(50)에 임시 저장한 곡물을 톤백 등의 대형 포대로 담기 위해 배출시 곡물탱크(50)의 승강을 제어하여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므로 원하는 높이에서 곡물탱크(50)로부터 곡물을 배출하여 톤백 등에 옮길 수 있어 종래 고정형에 비해 작업성을 개선 및 작업자의 피로도를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으며, 곡물탱크(50) 상에 곡물배출유닛(1)을 장착하여 구비함으로써 곡물탱크(50)로부터 곡물을 배출하여 톤백 등의 포대로 옮길 시 곡물의 배출작업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이러한 실시예에 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청구범위 내에서 이 기술분야의 당해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과 변형 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할 것이며,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 곡물배출유닛 10: 개폐문
20: 배출슈트 30: 구동부
50: 곡물탱크 60: 이송배출부
500: 곡물탱크 승강유닛 510: 베이스프레임
520: 가이드레일 530: 승강체
540: 승강수단 600: 곡물안내유닛

Claims (6)

  1. 콤바인의 탈곡선별부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이송배출부의 배출단부에 마주하여 곡물탱크의 상면 일측에 형성된 곡물투입부를 위치시켜 탈곡선별부를 통해 탈곡 선별된 곡물을 이송배출부를 경유하여 곡물탱크로 이송 및 저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곡물탱크를 승강 제어함은 물론 곡물탱크 측 저장된 곡물을 외부 배출하기 위한 곡물탱크 승강 및 곡물 배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곡물탱크를 승강 제어하기 위한 곡물탱크 승강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곡물탱크 승강유닛은 콤바인 상부에 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좌우 양측에 일정 간격으로 직립하게 설치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의 내부에 밀착되는 롤러를 양측면에 설치하고 상부에는 곡물탱크를 고정하여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곡물탱크와 함께 승강하는 승강체와,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좌우 양측에 설치하여 승강체를 상하로 승강시키는 승강수단; 및,
    상기 곡물탱크 상에 장착되어 구비되고, 자동 개폐를 통해 곡물탱크에 저장된 곡물을 정확하게 외부 배출할 수 있도록 한 곡물배출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승강수단은, 베이스프레임의 좌우 양측에 유압실린더를 직립 설치하되, 유압실린더의 하단부를 베이스프레임의 상부에 고정 배치한 브래킷 측에 회동 가능하게 핀 결합하고, 유압실린더 측 로드의 끝단부 양측으로 체인스프로킷을 설치하여 각 체인스프로킷에 견인체인을 연결하되 견인체인의 일단부는 가이드레일 간을 연결하는 연결프레임에 고정하고 타단부는 승강체에 고정하여 유압실린더 측 로드의 승강 이동에 따라 견인체인에 고정된 승강체가 승강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곡물배출유닛은, 상기 곡물탱크에 형성된 곡물배출구에 승강 가능 설치되어 곡물배출구를 개폐하는 개폐문과, 상기 곡물배출구의 하부에 회전 가능케 설치되어 곡물배출구에서 배출되는 곡물을 안내하는 배출슈트와, 액추에이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판캠의 회전에 의해 상기 개폐문을 개폐하고 상기 배출슈트의 회전이 연동하여 순차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일단부가 개폐문의 측면에서 돌출 형성된 연결축에 연결되고 타단부에 제1롤러를 설치한 연결판과, 상기 제1롤러를 안내하는 제1가이드장공 및 상기 배출슈트의 측면에 설치하는 제2롤러를 안내하는 제2가이드장공을 측면에 형성하고 상기 배출슈트의 측면에 설치하는 제3롤러를 안내하는 가이드경로를 전면에 형성한 고정판과, 상기 제1롤러를 안내하는 제3가이드장공 및 상기 제2롤러를 안내하는 제4가이드장공을 형성하여 고정판의 외측에 회전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 판캠과, 상기 고정판의 일측에 설치되고 피스톤로드를 판캠의 회전축에 연결하여 피스톤로드의 스트로크에 의해 판캠이 회전하게 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하여 상기 판캠의 회전에 의해 개폐문의 개폐와 배출슈트의 회전이 연동하여 순차적으로 이루어지게 구성하고,
    상기 이송배출부의 배출단부에 연결 설치하여 이송배출부로부터 곡물투입부를 통해 곡물탱크의 내부로 인입되는 곡물의 이동 안전성 증대 및 손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곡물안내유닛을 더 포함하되,
    상기 곡물안내유닛은,
    상기 이송배출부의 배출단부 하면에 직접 체결 고정하거나 또는 상기 이송배출부의 배출단부 하면에 체결 고정한 이격브래킷에 장착되는 공기주입구;
    상기 공기주입구의 단부에 일측단부가 연결 고정되고, 이송배출부를 통해 배출되는 곡물을 곡물투입부를 경유하여 곡물탱크의 내부로 유도하는 것으로서, 곡물의 이동 안전성을 위해 호형 구조의 몸체로 구비하되 선단부에 코일 형태로 감아 말아 코일형 판스프링부를 형성시킨 곡물안내슈트;
    상기 공기주입구에 연결되는 공기압발생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탱크 승강 및 곡물 배출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곡물안내슈트는 연질소재로 구비 및 내부가 빈 중공으로 형성되어 공기주입구를 통해 공기압이 인입되면 코일형 판스프링부가 전방(前方)으로 펼쳐져 직선형으로 배치되면서 이송배출부에서 배출되는 곡물을 곡물탱크의 내부로 안내하고 공기압이 해제되면 코일형 판스프링부가 코일 형태로 원상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탱크 승강 및 곡물 배출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콤바인 측 이송배출부에서 곡물탱크로 탈곡 선별된 곡물을 배출시키는 신호와 연계하여 공기압발생장치로부터 공기주입구를 통해 곡물안내슈트로 공기압을 주입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탱크 승강 및 곡물 배출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곡물안내슈트 끝단부 하면에 접촉센서를 부착하는 구성을 갖게 함으로써 곡물안내슈트를 통해 곡물탱크의 내부로 곡물을 이동 안내하여 저장시 곡물탱크 내에 쌓여 적재되는 곡물과 접촉되는 경우 신호 발생을 통해 공기압을 해제하여 코일형 판스프링부를 코일 형태로 원상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탱크 승강 및 곡물 배출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곡물안내슈트는,
    상기 곡물탱크 승강유닛을 구동하여 곡물이 저장된 곡물탱크를 상승시키는 경우 상승되는 곡물탱크에 의해 상측 방향으로 밀려 올라가면서 공기주입구에 연결되는 직선부가 이송배출부의 배출구를 커버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탱크 승강 및 곡물 배출장치.
KR1020190138303A 2019-11-01 2019-11-01 곡물탱크 승강 및 곡물 배출장치 KR1020845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8303A KR102084522B1 (ko) 2019-11-01 2019-11-01 곡물탱크 승강 및 곡물 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8303A KR102084522B1 (ko) 2019-11-01 2019-11-01 곡물탱크 승강 및 곡물 배출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0345A Division KR102229930B1 (ko) 2019-12-19 2019-12-19 곡물안내유닛을 구비한 곡물탱크 승강 및 곡물 배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4522B1 true KR102084522B1 (ko) 2020-03-04

Family

ID=69783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8303A KR102084522B1 (ko) 2019-11-01 2019-11-01 곡물탱크 승강 및 곡물 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4522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8235U (ja) * 1992-05-06 1993-12-03 三菱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における籾タンク自動昇降装置
JP2004033098A (ja) * 2002-07-03 2004-02-05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コンバインにおける穀粒貯留量の表示装置
KR100694652B1 (ko) 2004-04-05 2007-03-13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곡물 배출장치
KR101238705B1 (ko) 2012-09-07 2013-03-04 강기중 곡물포장용 호퍼 개폐장치
KR101546127B1 (ko) 2013-07-04 2015-08-20 국제종합기계 주식회사 곡물배출장치
KR101586065B1 (ko) * 2015-05-27 2016-01-20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비접촉식 곡물유량 측정시스템
KR20160046971A (ko) * 2014-10-20 2016-05-02 오페주식회사 콤바인용 곡물저장탱크 승강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8235U (ja) * 1992-05-06 1993-12-03 三菱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における籾タンク自動昇降装置
JP2004033098A (ja) * 2002-07-03 2004-02-05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コンバインにおける穀粒貯留量の表示装置
KR100694652B1 (ko) 2004-04-05 2007-03-13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곡물 배출장치
KR101238705B1 (ko) 2012-09-07 2013-03-04 강기중 곡물포장용 호퍼 개폐장치
KR101546127B1 (ko) 2013-07-04 2015-08-20 국제종합기계 주식회사 곡물배출장치
KR20160046971A (ko) * 2014-10-20 2016-05-02 오페주식회사 콤바인용 곡물저장탱크 승강장치
KR101586065B1 (ko) * 2015-05-27 2016-01-20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비접촉식 곡물유량 측정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4522B1 (ko) 곡물탱크 승강 및 곡물 배출장치
KR102229930B1 (ko) 곡물안내유닛을 구비한 곡물탱크 승강 및 곡물 배출장치
US20110305549A1 (en) Self-unloading vehicle with hydraulic system
US2628729A (en) Dump body attachment for grain conveyers
KR20160046973A (ko) 콤바인용 곡물저장탱크 개폐장치
US5203153A (en) Lift apparatus for a ground vehicle
US1338369A (en) Shock-loader
WO2005037686A2 (en) Apparatus for stacking of vulnerable products in crates or containers
EP2394506A1 (en) Self-unloading vehicle with hydraulic system
JP3690036B2 (ja) コンバイン等の排穀オ−ガ
JP5054315B2 (ja) 根菜収穫機
JP3853110B2 (ja) 乗用型茶樹摘採機
JP3380866B2 (ja) 茶畝跨走型茶刈機における刈取茶の荷捌き装置
RU2788129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бора половы в мягкие контейнеры
JPS6028202Y2 (ja) コンバインにおける穀粒収納装置
JPS60156320A (ja) 豆類収穫機
JP7175460B2 (ja) 収穫機
JP2019076061A (ja) 脱穀装置
JP3757392B2 (ja) 茶畝跨走型茶刈機
JPH0129526B2 (ko)
JP2021101676A (ja) コンバイン
JP2000037133A (ja) 汎用コンバインのグレンタンク
US1534112A (en) Apparatus for cutting and stacking grain
JPS6013325Y2 (ja) コンバインの転倒防止装置
CN118176919A (zh) 青储饲料收割机料箱液压稳定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