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3232B1 -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카트리지 및 프로세스카트리지 - Google Patents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카트리지 및 프로세스카트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3232B1
KR100693232B1 KR1020040071053A KR20040071053A KR100693232B1 KR 100693232 B1 KR100693232 B1 KR 100693232B1 KR 1020040071053 A KR1020040071053 A KR 1020040071053A KR 20040071053 A KR20040071053 A KR 20040071053A KR 100693232 B1 KR100693232 B1 KR 1006932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al contact
cartridge
main body
developing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1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87710A (ko
Inventor
요꼬이아끼요시
가와구찌히데시
다나까노리아끼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87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77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32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32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03G21/1867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process cartridge to the apparatus, electrical connectors, power supply
    • G03G21/1871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process cartridge to the apparatus, electrical connectors, power supply associated with a positioning func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03G21/1842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guiding and mounting the process cartridge, positioning, alignment, locks
    • G03G21/185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guiding and mounting the process cartridge, positioning, alignment, locks the process cartridge being mounted parallel to the axis of the photosensitive memb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03G21/1842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guiding and mounting the process cartridge, positioning, alignment, locks
    • G03G21/1853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guiding and mounting the process cartridge, positioning, alignment, locks the process cartridge being mounted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the photosensitive memb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03G21/1867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process cartridge to the apparatus, electrical connectors, power suppl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5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 G03G2221/166Electrical connectors

Abstract

카트리지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장치 본체에 장착된 때 카트리지의 전력 공급될 부재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카트리지의 카트리지 전기 접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본체 전기 접점을 구비하고 본체 전기 접점은 장치 본체에 대하여 이동 가능한 본체 전기 접점 부재와, 본체 전기 접점을 노출시키기 위한 노출부를 갖고 본체 전기 접점 부재를 덮고, 노출부가 본체 전기 접점 부재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도록 본체 전기 접점 부재에 부착되는 전기 접점 커버 부재를 포함하고, 카트리지 전기 접점 및 본체 전기 접점이 노출부에서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장치 본체에 카트리지를 장착하는 동작에 연동식으로 전기 접점 커버 부재가 본체 전기 접점 부재에 대하여 이동되는, 카트리지가 탈거가능하게 장착가능하고 기록 매체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본체 전기 접점 부재, 카트리지 전기 접점 부재, 전기 접점 커버 부재, 노출부, 화상 형성 장치

Description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카트리지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CARTRIDGE AND PROCESS CARTRIDGE}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단면도.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카트리지 장착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카트리지 장착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전기 접점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 전기 접점과 카트리지 전기 접점 사이의 접속의 모드를 도시하는 도면.
도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전기 접점 커버 부재 와 본체 전기 접점 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11a 및 도1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전기 접점 커버 부재 및 본체 전기 접점 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전기 접점 커버 부재의 가동 구조를 도시하기 위한 도면.
도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동작을 도시하기 위한 장치 본체의 내부의 측면도.
도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동작을 도시하기 위한 장치 본체의 내부의 측면도.
도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엔진 제어기 회로 기판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장치 본체
B : 카트리지
151, 153, 154 : 접점 커버 부재
151a : 절결부
151a1 : 노출부
151b1, 151b2 : 가이드부
161 : 본체 접점 부재
161a : 본체 접점
161A : U자 형상부
161B : 직선부
161C : 가동부
161d : 경사부
161e : 상부
161h : 팁 단부
161f : 구속부
본 발명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카트리지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공정을 이용하여 기록 매체(기록 용지 또는 OHP 시트 등)에 화상을 형성하는 장치이다. 이는 예를 들면 전자 사진 복사기, 전자 사진 프린터 등을 포함한다.
카트리지는 대전 유닛, 현상 유닛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가리킨다. 대전 유닛은 전자 사진 감광 부재를 대전하기 위한 대전 부재를 갖고,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탈거가능하게 장착가능하다. 또한, 현상 유닛은 전자 사진 감광 부재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부재를 갖고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탈거가능하게 장착가능하다. 또한,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탈거가능하게 장착가능하게 만들어진 카트리지로 일체식으로 형성된 전자 사진 감광 부재와 프로세스 수단으로서 대전 부재 및 현상 부재 중 적어도 하나를 가리킨다.
종래기술
프로세스 카트리지형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이하, "장치 본체"라 함)에 대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장착 및 탈착은 서비스요원에 의존하지 않고 사용자에 의해 행해질 수 있다. 그래서, 화상 형성 장치의 조작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었다.
이러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갖는 전자 사진 감광 부재를 대전하기 위한 대전 부재 또는 전자 사진 감광 부재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부재 등에 전압을 인가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갖는 정전 용량 검출형의 현상제량 검출 수단 등에 그리고 이로부터 전압 및 검출 신호(출력 전압)의 주고받음이 때때로 수행된다.
그래서,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 본체에 장착될 때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장치 본체 사이에 전기 접속을 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카트리지 전기 접점은 지금까지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프레임 부재에 제공되어왔다. 한편, 장치 본체에는, 카트리지 전기 접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본체 전기 접점이 제공된다. 그에 의해서,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 본체에 장착될 때, 카트리지 전기 접점과 본체 전기 접점은 서로 접속된다. 그에 의해서, 전압 및 신호가 장치 본체와 프로세스 카트리지 사이에서 주고 받는다.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교환 동안 또는 기록 매체의 걸림(jam)이 발생한 때, 조작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탈착 및 장착하는 동작을 행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 본체로부터 분리된 때, 본체 전기 접점 부재는 장치 본체에 노출되게 된다. 그래서, 조작자는 우연히 접점 부재에 접촉할 수도 있다. 그에 의해서, 그의 손의 기름기 등이 접점 부재에 부착할 수도 있고, 이는 전기적인 접속의 신뢰도가 손상되게 할 수 한다.
이러한 접점 부재를 보호하기 위하여 장치 본체에 제공된 보호판이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탈착 및 장착의 동작과 연동하여 이동되어 접점 창을 개폐하는 구성이 제안되어있다(일본특허공개 평7-77921호).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 기술의 추가 발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카트리지 전기 접점과 본체 전기 접점 사이의 전기 접속의 신뢰도가 개선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및 카트리지 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오염물이 본체 전기 접점에 부착되기 어려운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카트리지를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장착하는 동작과 연동하여 전기 접점 커버 부재가 본체 전기 접점 부재에 대하여 이동되어, 카트리지 전기 접점 및 본체 전기 접점이 전기적으로 서로 접속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및 카트리지 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행해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후속 상세한 설명을 고려할 때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제1 실시예
{1.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일반적인 구조 및 동작}
먼저 도1을 참조하여 프로세스 카트리지(이하 "카트리지")(B)가 탈거가능하게 장착가능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이하 "화상 형성 장치")의 일반적인 구조 및 동작을 설명한다. 도1은 화상 형성 장치(100)의 일반적인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화상 형성 장치(100)의 예로서 취해진 레이저빔 프린터가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화상 형성 장치(100)는 장치 본체(A)에 서로간의 통신을 위하여 접속된 퍼스널 컴퓨터(또는 스캐너 장치 등)로부터 이에 전달된 화상 정보 신호에 따라 전자 사진 화상 형성 공정을 이용함에 의해서 기록 매체(예를 들면, 기록 용지, OHP 시트 또는 직물) 상에 화상을 형성한다.
화상 형성 장치(100)는 드럼형 전자 사진 감광 부재(이하, "감광 드럼")(107)을 갖는다. 화상 형성이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회전하고 있는 감광 드럼(107)의 표면이 대전 부재인 대전 롤러(108)에 의해 먼저 균일하게 대전된다. 그런 후, 화상 정보에 대응하는 레이저빔이 레이저 다이오드, 다각형 미러, 렌즈 및 반사 미러(모두 도시 생략)를 갖춘 광학 수단(101)으로부터 감광 드럼(107)으로 인가된다. 그것에 의해서, 화상 정보에 대응하는 정전 잠상이 감광 드럼(107) 상에 형성된다. 현상제가 그런 후 현상 부재인 현상 롤러(110)에 의해서 이 정전 잠상에 공급된다. 그 결과, 현상제 화상이 감광 드럼(107) 상에 형성된다.
한편, 감광 드럼(107) 상의 현상제 화상의 형성과 동기식으로, 카세트(103a) 내에 적재된 기록 매체(102)는 공급 롤러(103b) 및 반송 롤러의 쌍(103c, 103d, 103e)에 의해 반송된다. 기록 매체(102)는 상부 전사 가이드(103i) 및 하부 전사 가이드(103j)를 따라서 화살표 Z에 의해 지시된 반송 방향으로 전사 위치로 더 공급된다. 상부 전사 가이드(103i) 및 하부 전사 가이드(103j)는 함께 기록 매체(102)의 반송 방향을 안내하기 위한 반송 가이드를 구성한다. 전사 위치에서, 전사 수단인 전사 롤러(104)는 감광 드럼(107)과 대향 관계로 배치된다. 전사 롤러(104)로 전압이 인가되어, 감광 드럼(107) 상의 현상제 화상이 기록 매체(102) 상으로 전사된다.
현상제 화상이 전사된 기록 매체(102)는 안티(ante)-정착 가이드(103f)를 통해 정착 수단(105)으로 반송된다. 정착 수단(105)에는 구동 롤러(105c)와 히터(105a)를 내포한 정착 롤러(105b)가 제공된다. 이는 통과하는 기록 매체(102)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기록 매체(102) 상에 현상제 화상을 정착시킨다. 그 후에, 기록 매체(102)는 롤러의 쌍(103g, 103h)에 의해서 반송되어, 트레이(106) 상으로 배출된다.
이송 롤러(103b), 롤러의 쌍(103c, 103d, 103e), 상부 전사 가이드(103i), 하부 전사 가이드(103j), 안티-정착 가이드(103f), 롤러의 쌍(103g, 103h) 등은 함께 기록 매체(102)를 반송하기 위한 반송 수단(103)을 구성한다.
{2. 카트리지}
카트리지(B)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2를 또한 참조한다. 도2는 카트리지(B)의 단면도이다.
카트리지(B)는 감광 드럼(107)을 갖는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B)가 장치 본체(A)에 장착된 때, 감광 드럼(107)은 장치 본체(A)로부터 구동력을 수용하여 그에 의해서 회전된다.
대전 부재인 대전 롤러(108)는 감광 드럼(107)의 외주연면과 대향 관계로 제공된다. 대전 롤러(108)는 장치 본체(A)로부터 이에 인가된 전압(대전 바이어스)을 갖는다. 그런 후 대전 롤러(108)는 감광 드럼(107)을 대전한다. 대전 롤러(108)는 감광 드럼(107)과 접촉식으로 제공된다. 대전 롤러(108)는 감광 드럼(107)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동된다. 카트리지(B)가 장치 본체(A)에 장착된 때, 대전 롤러(108)는 본체 전기 접점으로서 대전 출력 전기 접점(144a)(도6 참조) 및 카트리지 전기 접점인 대전 입력 전기 접점(대전 바이어스 접점)(141a, 도8 참조)를 통해 장치 본체(A)로부터 전압을 수용한다. 대전 출력 전기 접점(144a)은 장치 본체(A)가 갖는 전기 접점이다. 또한, 대전 입력 전기 접점(대전 바이어스 접점)(141a)은 카트리지(B)가 갖는 전기 접점이다. 감광 드럼(107)은 이 전압에 의해서 대전된다.
또한, 카트리지(B)는 현상 부재인 현상 롤러(110)를 갖는다. 현상 롤러(110)는 현상제(t)를 감광 드럼(107)의 현상 영역에 공급한다. 현상 롤러(110)는 현상제(t)를 이용하여 감광 드럼(107)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한다. 현상 롤러(110)는 그 내부에 자석 롤러(고정 자석)(111)를 내장한다.
현상제량 조절 부재인 현상 블레이드(112)는 현상 롤러(110)의 주연면과 인접 관계로 제공된다. 현상 블레이드(112)는 현상 롤러(110)의 주연면에 부착하는 현상제(t)의 양을 조절한다. 더욱이, 현상 블레이드(112)는 현상제(t)에 마찰 전하를 부여한다.
현상제 용기(114)에 담긴 현상제(t)는 교반 부재(115, 116)의 회전에 의해서 현상 챔버(113a) 내부로 운반된다. 한편, 전압(현상 바이어스)이 인가된 현상 롤러(110)는 회전되고 있다. 현상 블레이드(112)에 의해 마찰 전하가 부여된 현상제(t)의 층이 현상 롤러(110)의 표면 상에 형성된다. 현상 롤러(110)의 표면 상에 형성된 현상제(t)는 정전 잠상에 대응하여 감광 드럼(107)으로 이동한다. 그에 의해서, 정전 잠상이 현상된다.
카트리지(B)가 장치 본체(A)에 장착된 때, 현상 롤러(110)는 본체 전기 접점인 현상 출력 전기 접점(161a) 및 카트리지 전기 접점인 현상 입력 전기 접점(현상 바이어스 접점)(160a)(도8 참조)을 통해 장치 본체(A)로부터 전압을 수용한다. 현상 롤러(110)는 이 전압에 의해서 동작을 하여 정전 잠상을 현상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는 카트리지(B)에는 현상제(t)의 소모에 따른 이의 잔류량을 검출할 수 있는 현상제량 검출 수단으로서 제1 검출 전극(190) 및 제2 검출 전 극(191)이 제공된다. 제1 검출 전극(190) 및 제2 검출 전극(191)은 현상제와 접촉하는 위치에 제공된다. 더욱이, 제1 검출 전극(190) 및 제2 검출 전극(191)은 현상제(t)가 감소됨에 따라 현상제와 이의 접촉 면적이 변동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검출 전극(190) 및 제2 검출 전극(191)은 현상 롤러(110)와 대향되도록 현상 롤러(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이 상태에서, 제1 검출 전극(190) 및 제2 검출 전극(191) 중 하나로 전압이 가해진다. 이렇게 함으로써, 2개의 전극(190, 191) 사이에서 정전 용량이 유도된다. 이 때 출력 전압은 장치 본체(A)에 의해서 측정된다. 그에 의해서 현상제량이 검출된다.
카트리지(B)에는 카트리지 전기 접점으로서 제1 카트리지 잔류량 검출 접점(188a) 및 제2 카트리지 잔류량 검출 접점(189a)이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카트리지 잔류량 검출 접점(188a)은 제1 검출 전극(190)에 접속된다. 또한 제2 카트리지 잔류량 검출 접점(189a)은 제2 검출 전극(191)에 접속된다.
감광 드럼(107)에 형성된 현상제 화상은 전사 롤러(104)에 의해서 기록 매체(102)로 전사된다. 세척 부재인 탄성 세척 블레이드(117a)는 감광 드럼(107)의 외주연면과 대향 관계로 배치된다. 세척 블레이드(117a)의 팁 단부는 감광 드럼(107)에 대항하여 인접한다. 현상제 화상이 기록 매체(102)로 전사된 후, 세척 블레이드(117a)는 감광 드럼(107) 상에 잔류하는 현상제(t)를 제거한다. 세척 블레이드(117a)에 의해 감광 드럼(107)의 표면으로부터 제거된 현상제(t)는 제거된 현상제 저장조(117b) 내에 수납된다.
카트리지(B)는 서로 일체식으로 제조된 현상 유닛(119) 및 드럼 유닛(120)에 의해서 구성된다. 현상 유닛(119)은 카트리지 프레임 부재(B1)의 일부분인 현상 프레임 부재(113)을 갖는다. 현상 유닛(119)은 또한 현상 롤러(110), 현상 블레이드(112), 현상 챔버(113a), 현상제 용기(114), 교반 부재(115, 116), 제1 검출 전극(190), 제2 검출 전극(191) 등을 갖는다. 또한, 드럼 유닛(120)은 카트리지 프레임 부재(B1)의 일부분인 드럼 프레임 부재(118)를 갖는다. 드럼 유닛(120)은 또한 감광 드럼(107), 세척 블레이드(117a), 제거된 현상제 저장조(117b) 및 대전 롤러(108)를 갖는다.
또한, 현상 유닛(119) 및 드럼 유닛(120)은 핀(도시 생략)에 의해서 서로 피봇식으로 결합된다. 현상 롤러(110)는 2개의 유닛(119, 120) 사이에 제공된 탄성 부재(도시 생략)에 의해서 감광 드럼(107)에 대하여 가압된다.
{3. 카트리지의 장착 및 탈착}
장치 본체(A)에 대한 카트리지(B)의 장착 및 탈착이 설명될 것이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 가이드 부재인 제1 우측 카트리지 가이드(140R1) 및 제2 우측 카트리지 가이드(140R2)가 드럼 유닛(120)의 길이방향으로 일단부[카트리지(B)가 장착되는 방향(X)으로 보았을 때 우측 단부](120R) 상에 제공된다. 제1 우측 카트리지 가이드(140R1)는 감광 드럼(107)의 일 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드럼 베어링(138)의 일부분이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 가이드 부재로서 제1 좌측 카트리지 가이드(140L1) 및 제2 좌측 카트리지 가이드(140L2)가 드럼 유닛(120)의 길이방향 타단부[카트리지(B)가 장착되는 방향(X)으로 보았을 때 좌측 단부] 상에 제공된다. 제1 좌측 카트리지 가이드(140L1)는 감광 드럼(107)의 타단부를 지지하기 위하여 드럼 샤프트(139)의 타단부 상에 제공된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B)가 장치 본체(A)에 장착될 때, 장치 본체(A) 상에 제공된 도어(109)는 조작자에 의해서 개방된다. 본 실시예에서, 카트리지(B)가 장착되는 방향(X)에 대한 도어(109)의 이 측이 상향으로 개방된다. 카트리지(B)는 그런 후 장치 본체(A)에 제공된 카트리지 장착 수단(130)에 대하여 탈거가능하게 장착된다.
도6 및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카트리지 장착 수단(130)은 카트리지(B)가 장착되는 방향(X)에서 보았을 때 장치 본체(A)의 우측 반부에 제1 우측 본체 가이드(130R1) 및 제2 우측 본체 가이드(130R2)를 갖는다. 또한, 카트리지 장착 수단(130)은 카트리지(B)가 장착되는 방향(X)으로 보았을 때 장치 본체(A)의 좌측 반부에 제1 좌측 본체 가이드(130L1) 및 제2 좌측 본체 가이드(130L2)를 갖는다. 카트리지(B)가 장치 본체(A)에 장착될 때, 제1 우측 카트리지 가이드(140R1) 및 제2 우측 카트리지 가이드(140R2)(도3)는 제1 우측 본체 가이드(130R1) 및 제2 우측 본체 가이드(130R2)에 각각 평행하게 된다. 또한, 제1 좌측 카트리지 가이드(140L1) 및 제2 좌측 카트리지 가이드(140L2)(도4)는 제1 좌측 본체 가이드(130L1) 및 제2 좌측 본체 가이드(130L2)와 각각 평행하게 된다. 그런 후 카트리지(B)가 카트리지 장착부(130a) 내부로 삽입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우측 본체 가이드(130R1), 제2 우측 본체 가이드(130R2), 제1 좌측 본체 가이드(130L1), 제2 좌측 본체 가이드(130L2)는 미리 정해 진 두께의 내측 플레이트(프레임 부재)(132)에 형성된다. 내측 플레이트(132)는 장치 본체(A)의 측면 플레이트(145)의 내측에 고정된다. 내측 플레이트(132)는 미리 정해진 형상으로 절결된다. 측면 플레이트(145)에 대해 높이 차이를 형성하는 상단부면은 제1 우측 본체 가이드(130R1), 제2 우측 본체 가이드(130R2), 제1 좌측 본체 가이드(130L1) 및 제2 좌측 본체 가이드(130L2)를 형성한다. 장치 본체(A) 내부로 카트리지(B)를 안내하는 본체 가이드로서 홈(131L)은 제1 좌측 본체 가이드(130L1) 및 이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대향하는 내측 플레이트(132)의 하단부면(132a) 사이에 형성된다. 이 홈(131L)은 장치 본체(A) 내부로 카트리지(B)를 안내하는 본체 가이드로써 역할을 한다. 마찬가지로 홈(130R)은 제1 우측 본체 가이드(130R1)와 이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대향하는 내측 플레이트(B)의 하단부면(132a) 사이에 형성된다. 이 홈(130R)은 또한 본체 가이드로서 역할을 한다.
제1 우측 카트리지 가이드(140R1)는 그런 후 제1 우측 본체 가이드(130R1)의 위치설정부(130R1a)로 끼워진다. 게다가, 제2 우측 카트리지 가이드(140R2)는 제2 우측 본체 가이드(130R2)의 위치설정부(130R2a)에 대항하여 인접한다. 또한, 제1 좌측 카트리지 가이드(140L1)는 제1 좌측 본체 가이드(130L1)의 제1 위치설정부(130L1a)에 끼워진다. 게다가, 제2 좌측 카트리지 가이드(140L2)는 제2 좌측 본체 가이드(130L2)의 위치설정부(130L2a)에 대항하여 인접한다. 이와 같이, 카트리지(B)는 장치 본체(A) 상에 위치설정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B)는 장착 수단(130)에 의해서 카트리지 장착부(130a) 상에 탈거가능하게 장착된다. 카트리지(B)는 카트리지 장착부(130) 상에 장착됨에 의해서 화상 형성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카트리지 장착부(130a)는 카트리지 장착 수단(130)에 의해서 장치 본체(A)에 대하여 위치설정된 카트리지(B)에 의해 점유되는 공간이다. 또한, 카트리지(B)에 의해 점유된 공간이 카트리지(B)의 장착 동안 카트리지 장착부(130a)로 이동하는 루트는 카트리지(B)의 입구 루트이다.
여기서, 카트리지(B)로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력 전달부인 커플링(134)이 장치 본체(A)에 제공된다. 카트리지(B)가 장착될 때, 장치 본체(A)에 제공된 커플링(134)은 후퇴된다. 따라서, 커플링(134)은 카트리지(B)의 장착을 방해하지 않는다. 또한, 장치 본체(A)로부터 구동력을 수용하기 위한 구동력 수용부로서 카트리지(B)의 커플링(107a)(도3)이 카트리지(B)에 제공된다. 부수적으로, 카트리지 도어(109)가 폐쇄될 때, 카트리지(B)의 커플링(107a) 및 장치 본체(A)측의 커플링(134)은 서로 연결된다. 그런 후 카트리지(B)는 감광 드럼(107)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장치 본체(A)로부터 수용한다.
{4. 장치 본체 및 카트리지의 전기 접점}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B)는 카트리지 전기 접점 부재로서 대전 입력 전기 접점 부재(141) 및 현상 입력 전기 접점 부재(160)를 갖는다. 이들 전기 접점 부재는 대전 롤러(108) 및 현상 롤러(110)에 장치 본체(A)로부터의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것이다. 카트리지(B)는 또한 카트리지 전기 접점 부재로서 제1 카트리지 잔류량 검출 접점 부재(188) 및 제2 카트리지 잔류량 검출 접점 부재(189)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대전 입력 전기 접점 부재(141) 및 현상 입력 전기 접점 부재(160)는 각각 금속 박판으로 구성된다. 한편, 제1 카트리지 잔류량 검출 접점 부재(188) 및 제2 카트리지 잔류량 검출 부재(189)는 각각 금속 막대기로 구성된다.
게다가, 대전 입력 전기 접점 부재(141)는 드럼 유닛(120)의 좌측 단부(120L) 상에 제공된다. 또한, 대전 입력 전기 접점 부재(141)는 카트리지(B)가 장치 본체(A)에 장착된 상태에서 드럼 프레임 부재(118)의 아래 및 측면으로부터 노출되도록 제공된다. 이 대전 입력 전기 접점 부재(141)의 부분인 노출된 측부는 카트리지 전기 접점인 대전 입력 접점(141a)이다. 대전 입력 접점(141a)은 드럼 프레임 부재측(118a)보다 더 카트리지(B) 내부에 제공된다.
또한, 현상 입력 전기 접점 부재(160), 제1 카트리지 잔류량 검출 접점 부재(188) 및 제2 카트리지 잔류량 검출 접점 부재(189)는 현상 유닛(190)의 좌측 단부(190L) 상에 제공된다. 게다가, 현상 입력 전기 접점 부재(160), 제1 카트리지 잔류량 검출 접점 부재(188) 및 제2 카트리지 잔류량 검출 접점 부재(189)는 카트리지(B)가 장치 본체(A)에 장착된 상태에서 현상 프레임 부재(113) 아래로부터 노출되도록 제공된다.
현상 입력 전기 접점 부재(160)는 예각으로 금속 박판을 만곡시킴에 의해서 가공된다. 카트리지 전기 접점인 현상 입력 전기 접점(160a)은 이의 만곡부의 외측 팁 단부 상에서 구성된다. 또한, 제1 카트리지 잔류량 검출 접점(188a) 및 제2 카트리지 잔류량 검출 접점(189a)은 제1 카트리지 잔류량 검출 접점 부재(188) 및 제2 카트리지 잔류량 검출 접점 부재(189)의 개별 부분으로서 아래로 노출된다. 제1 카트리지 잔류량 검출 접점(188a) 및 제2 카트리지 잔류량 검출 점점(189a)은 카트리지(B)의 길이 방향[감광 드럼(107)의 축방향]을 따라서 제공된다. 현상 입력 전기 접점(160a), 제1 카트리지 잔류량 검출 접점(188a) 및 제2 카트리지 잔류량 검출 접점(189a)은 현상 유닛측(119a)보다 더 카트리지(B) 내부에 제공된다.
대전 입력 전기 접점(141a), 현상 입력 전기 접점(160a), 제1 카트리지 잔류량 검출 접점(188a) 및 제2 카트리지 잔류량 검출 접점(189a)은 이 순서대로 카트리지(B)가 장착되는 방향에 대하여 하류로부터 상류로 제공된다. 또한, 제1 카트리지 잔류량 검출 접점(188a), 제2 카트리지 잔류량 검출 접점(189a) 및 현상 입력 전기 접점(160a)은 이 순서대로 현상 유닛측(119a)으로부터 카트리지(B)의 내부로 제공된다.
대전 입력 전기 접점(141a), 현상 입력 전기 접점(160a), 제1 카트리지 잔류량 검출 접점(188a) 및 제2 카트리지 잔류량 검출 접점(189a)은 카트리지(B) 내부에서 대전 롤러(108), 현상 롤러(110), 제1 검출 전극(190) 및 제2 검출 전극(191)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한편,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 본체(A)에는, 대전 전압 및 현상 전압을 각각 인가하기 위한 본체 전기 접점 부재로서 대전 출력 전기 접점 부재(144) 및 현상 출력 전기 접점 부재(161)가 제공된다. 카트리지(B)가 장착된 때, 대전 출력 전기 접점 부재(144) 및 현상 출력 전기 접점 부재(161)는 대전 입력 전기 접점(141a) 및 현상 입력 전기 접점(160a)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장치 본체(A)에는, 본체 전기 접점 부재로서 제1 본체 잔류량 검출 접점 부재(163) 및 제2 본체 잔류량 검출 접점 부재(164)가 제공된다.
카트리지(B)가 장착된 때, 제1 본체 잔류량 검출 접점 부재(163) 및 제2 본체 잔류량 검출 접점 부재(164)는 카트리지 잔류량 검출 접점(188a, 189a)에 각각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에 의해서, 장치 본체(A)는 제1 검출 전극(190) 및 제2 검출 전극(191) 중 하나에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또한, 장치 본체(A)는 제1 검출 전극(190) 및 제2 검출 전극(191) 중 다른 하나로부터 현상제량 검출 전압을 수용할 수 있다.
본체 전기 접점으로서 대전 출력 전기 접점(144a), 현상 출력 전기 접점(161a), 제1 본체 잔류량 검출 접점(163a) 및 제2 본체 잔류량 검출 접점(164a)은 본체 전기 접점 부재(144, 161, 163, 164)의 개별 부분으로서 제공된다. 이들 본체 전기 접점(144a, 161a, 163a 및 164a)은 이 순서대로 카트리지(B)가 장착되는 방향(X)으로 하류부터 상류로 제공된다. 또한, 제1 본체 잔류량 검출 접점(163a), 제2 본체 잔류량 검출 접점(164a) 및 현상 출력 전기 접점(161a)은 이 순서대로 내측 플레이트(132)로부터 카트리지 장착부(130a)의 내부로 제공된다.
카트리지(B)가 전술된 카트리지 장착 수단(130)을 따라 화살표(X)의 방향으로 삽입되어 장치 본체(A)로 장착된 때, 본체 전기 접점(144a, 161a, 163a, 164a)은 카트리지 전기 접점(141a, 160a, 188a, 189a)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에 의해서, 대전 바이어스는 대전 출력 전기 접점(144a) 및 대전 입력 전기 접점(141a)을 통해서 인가된다. 또한, 현상 바이어스는 현상 출력 전기 접점(161a) 및 현상 입력 전기 접점(160a)을 통해 인가된다. 또한, 현상제 잔류량 검출은 제1 본체 잔류량 검출 접점(163a), 제2 본체 잔류량 검출 접점(164a), 제1 카트리지 잔류량 검출 접점(188a) 및 제2 카트리지 잔류량 검출 접점(189a)을 통해서 행해질 수 있다. 그런 후,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작동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현상 출력 전기 접점(161), 제1 본체 잔류량 검출 접점(163) 및 제2 본체 잔류량 검출 접점(164)은 전기 접점 커버 부재(151, 153, 154)에 각각 덮힌 상태로 카트리지 장착부(130a)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전기 접점 커버 부재(151, 153, 154)가 현상 출력 접점(161), 제1 본체 잔류량 검출 접점(163) 및 제2 본체 잔류량 검출 접점(164)을 위하여 각각 제공되는 경우가 설명될 것이다. 본 실시예의 구성에서, 현상 출력 전기 접점(161a), 제1 본체 잔류량 검출 접점(163a) 및 제2 본체 잔류량 검출 접점(164a)은 카트리지(B)의 장착 방향에 대하여 상류측에 위치된다. 한편, 대전 출력 전기 접점(144a)은 전술된 장착 방향에 대하여 하류측에 위치한다. 따라서, 걸림 처리(기록 매체가 장치 본체 내에 걸려있을 때 걸린 기록 매체를 빼냄) 등의 동안, 조작자의 손은 현상 출력 전기 접점(161a), 제1 본체 잔류량 검출 접점(163a) 및 제2 본체 잔류량 검출 접점(164a)에 접근하기 쉽다. 따라서, 전기 접점 커버 부재(151, 153, 154)가 현상 출력 접점(161), 제1 본체 잔류량 검출 접점(163) 및 제2 본체 잔류량 검출 접점(164)을 위해 각각 제공된다. 물론, 유사한 구성이 대전 출력 전기 접점 부재(144)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9를 참조하여, 더 설명된다. 도9는 본체 전기 접점(161a, 163a, 164a)으 로의 카트리지 전기 접점(160a, 188a, 189a)의 접속의 모드를 일반적으로 도시한다. 카트리지(B)가 장치 본체(A)에 장착될 때, 개별 카트리지 전기 접점(160a, 188a, 189a)은 도9에 일점 쇄선으로 지시된 것과 같이 이동한다. 그런 후, 카트리지 전기 접점(160a, 188a, 189a)은 본체 전기 접점(161a, 163a, 164a)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9는 카트리지(B)와, 카트리지(B)가 장착되는 방향에서 본 우측으로부터 관찰된 장치 본체(A) 내에 제공된 현상 출력 전기 접점 부재(161), 제1 잔류량 검출 접점 부재(163) 및 제2 잔류량 검출 접점 부재(164)의 도면이다.
카트리지(B)는 전술된 카트리지 장착 수단(130)을 따라 화살표(X)의 방향으로 삽입되어 장치 본체(A) 상에 장착된다. 그런 후, 카트리지 전기 접점 부재(166, 188, 189)는 적당한 스프링 압력으로 본체 전기 접점 부재(161, 163, 164)와 접촉한다.
{5. 전기 접점 커버 부재의 구조}
도10, 도11a 및 도11b를 참조하여, 현상 출력 전기 접점 부재(161), 제1 본체 잔류량 검출 부재(163) 및 제2 잔류량 검출 접점 부재(164)에 각각 부착된 전기 접점 커버 부재(이하, "접점 커버")(151, 153, 154)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현상 출력 전기 접점 부재(161), 제1 본체 잔류량 검출 접점 부재(163) 및 제2 본체 잔류량 검출 접점 부재(164)는 동일한 구성이다. 또한, 이들 개별 전기 접점들에 부착된 접점 커버(151, 153, 154)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이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대표예로서 현상 출력 전기 접점 부재(이하, 본 실시예에서 "본체 접점 부재")(161) 및 그에 부착된 접점 커버(151)에 대해 설명될 것이다.
도10은 서로 분리되어 있는 본체 접점 부재(161) 및 접점 커버(151)를 도시한다. 도11a는 카트리지(B)가 장착되는 방향으로부터 본, 접점 커버(151)가 이에 부착되어 있는 본체 접점 부재(161)의 우측면을 도시한다. 도11b는 카트리지가 장착되는 방향으로 본 접점 커버(151)가 부착된 본체 접점 부재(161)의 좌측면을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서, 본체 접점 부재(161)는 탄성 부재인 토션 코일 스프링에 의해 형성된다. 본체 접점 부재(161)는 장치 본체(A)의 내측 플레이트(프레임 부재)(132)에 제공된 샤프트(132b) 상에 장착된다. 본체 접점 부재(161)의 하나의 아암부는 실질적으로 U자 형상으로 만곡된 U자 형상부(U-shaped portion)(161A)를 형성한다. 본체 접점 부재(토션 코일 스프링)(161)의 다른 아암 부분(기부)(161b)은 장치 본체(A)의 내부에서 전기 회로(도시 생략)에 접속된다.
본체 전기 접점인 현상 출력 전기 접점(이하, 본 실시예에서, "본체 접점")(161a)이 U자 형상부(161A)의 기부(161b)의 직선부(161B) 상에 제공된다. 전술된 구성에 의해서, 본체 전기 접점인 본체 접점(161a)은 장치 본체(A)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된다.
본체 접점(161a)은 카트리지(B)가 장치 본체(A)에 장착된 상태에서 카트리지(B)에 제공된 현상 입력 전기 접점(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줄여서 "카트리지 접점")(160a)과 접촉하여 이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카트리지 접점(160a)은 현상 입력 전기 접점 부재(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줄여서 "카트리지 접점 부재")(160)의 접점이다.
접점 커버(151)는 본체 접점 부재(161)의 U자 형상부(161A)를 덮도록 본체 접점 부재(161)에 부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접점 커버(151)는 실질적으로 U자 형상부(161A)의 전체를 덮는다.
즉,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점 커버(151)는 화살표(S)의 방향으로 본체 접점 부재(161) 상에 놓인다. 그에 의해서, 접점 커버(151)는 본체 접점 부재(161)에 부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 접점 부재(161)의 스냅 피트(snap-fit) 형상 때문에, 접점 커버(151)는 본체 접점 부재(161)로부터 미끄러져 빠지지 않는다. 게다가, 접점 커버(151)는 본체 접점 부재(161)에 대하여 화살표(T)(도11a)의 방향으로의 이동에 대해 지지된다. 여기서, 장치 본체(A)에 대한 본체 접점(161a)의 이동의 방향은 V 방향이다. 이 V 방향은 화살표(T)의 방향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각이다. 접점 커버(151)의 재료는 누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비도전성 재료일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가동부(161C)는 본체 접점(161)의 U자 형상부(161A)의 단부(161g)측에 구성된다. 가동 부분(161C) 상에는, 직선부(161B)로부터 단부(161g)를 향해 넓게 이격되어 분리된 경사부(161d)가 구성된다. 직선부(161B)로부터 가장 넓게 이격되어 분리된 경사부(161d)의 그 부분이 상부(161e)이다. 구속부(161f)가 상부(161e)로부터 직선부(161B)를 향해 제공된다. 구속부(161f)는 상부(161e)로부터 직선부(161B)까지에 실질적으로 직각이다. 단부(161g)는 직선부(161B)에 이 구속부(161f)로부터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한편, 도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점 커버(151)에는 본체 접점 부재(161)로의 부착의 방향(S)에 대하여 직교 방향으로 본체 접점 부재(161)의 상부(161e)와 직선부(161B) 사이의 간격보다 좁은 개구부(151c)가 제공된다. 이 개구부(151c)의 폭은 본체 접점 부재(토션 코일 스프링)의 라인 직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본체 접점 부재(161)는 U자 형상부(161A)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도10에 일점 쇄선에 의해 지시된 바와 같이 휘어진다. 그 상태에서, 본체 접점 부재(161)는 접점 커버(151)의 개구부(151c) 내부로 삽입된다. 경사부(161d)의 상부(161e)가 개구부(151c)를 제거할 때, 가동부(161C)는 U자 형상부(161A)의 회복 탄성력에 의해서 이의 원래의 형상으로 회복된다.
본체 접점 부재(161)의 팁 단부(161h)에 대한 범핑을 위한 범핑부(151g)가 접점 커버(151) 내부에 제공된다. 여기서, 본체 접점 부재(161)로의 부착의 방향(S)으로 범핑부(151g)로부터 개구부(151c)의 에지부(151f)까지의 폭(W1)은 동일 방향으로의 팁 단부(161h)로부터 구속부(161f)까지의 폭(W2)보다 크다. 따라서, 접점 커버(151)가 본체 접점 부재(161f)에 부착된 상태에서 접점 커버(151)는 본체 접점 부재(161)에 대해 이동가능하다. 또한, 이 상태에서 구속부(161f)는 에지부(151f)에 대항하여 인접한다. 따라서, 접점 커버(151)가 본체 접점 부재(161)로부터 우연히 미끄러져 빠지지 일은 일어나지 않는다.
또한, 규제부(151d)는 접점 커버(151) 내부에 제공된다. 규제부(151d)는 U자 형상부(161A)의 직선부(161B)의 위치를 규제한다. 이 규제부(151d)는 직선부(161B)를 접점 커버(151)의 내측에 평행하게 한다. 그런 후, 직선부(161B)의 일부분은 절결부(151a)에 노출된다. 접점 커버(151)가 본체 접점 부재에 부착될 경우, U자 형상부(161A)의 팁 단부(161h)는 이 구속부(151d)를 제거한다.
더욱이, 측면 정지부(151e)는 접점 커버(151)가 사이드웨이(sideways)를 손상시키지 않도록 제공된다. 측면 정지부(151e)는 본체 접점 부재(161)의 U자 형상부(161A)에 의해서 형성된 평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제공된다. 이 측면 정지부(151e)는 접점 커버(151)의 내측면에 대하여 본체 접점 부재(161)를 유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접점 커버(151)에는 절결부(개구부)(151a)가 제공된다. 접점 커버(151)의 내부와 연통하는 이 절결부(151a)의 하단부는 노출부(151a1)이다. 이 노출부(151a1)는 본체 접점(161a)을 접점 커버(151)의 외부로 노출시킨다. 그에 의해서, 노출부(151a1)는 카트리지 접점(160a)과 본체 접점(161a) 사이의 접속을 허용한다. 절결부(151a)는 카트리지 접점(160a)과 본체 접점(161a)이 서로 접촉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즉, 절결부(151a)는 카트리지 접점 부재(160)의 크기에 대응한다. 카트리지(B)가 장치 본체(A)에 장착된 때, 카트리지 접점 부재(160)의 적어도 일부분은 이 절결부(151a) 내부로 들어간다. 그런 후, 노출부(151a1)에서 카트리지 접점(160a)은 본체 접점 부재(161)의 접점부(본체 접점)(161a)와 접촉한다.
또한, 접점 커버(151)에는 카트리지(B)가 갖는 인접부[본 실시예에서, 카트리지 접점 부재(160)]에 대항하여 인접하는 수용부로서 제1 가이드부(151b1) 및 제2 가이드부(151b2)가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가이드부(151b1) 및 제2 가이드부(151b2)는 절결부(151a)의 내측벽에 제공된다. 다시 말해, 제1 가이드부(151b1) 및 제2 가이드부(151b2)는 노출부(151a1)의 단부 상에 제공된다. 장치 본 체(A) 상에 카트리지(B)를 장착하는 장착 동작에 연동하여, 카트리지(B)의 인접부가 먼저 제1 가이드부(151b1) 및 제2 가이드부(151b2)에 대해 인접한다. 다음, 제1 가이드부(151b1) 및 제2 가이드부(151b2)는 카트리지(B)의 인접부에 의해서 가압되어서, 접점 커버(151)가 본체 접점 부재(161)에 대해서 이동된다. 따라서, 노출부(151a1)는 또한 본체 접점 부재(161)에 대해 이동된다. 그런 후, 노출부(151a1)에서 카트리지 접점(160a) 및 본체 접점(161a)은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즉, 장치 본체(A)에 대한 카트리지(B)의 접속에 연동하여, 카트리지 접점(160a) 및 본체 접점(161a)은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장치 본체(A)에 장착된 카트리지(B)에 대해 더 설명하면, 절결부(151a)는 카트리지(B)의 장착 동안 카트리지(B)가 들어오는 방향으로 대면하도록 제공된다. 게다가, 절결부(151a)는 노출부(151a1)에서 본체 접점 부재(161)의 직선부(161B)가 노출될 수도 있도록 제공된다. 절결부(151a1)는 바람직하게는 손가락의 팁 단부보다 작다. 게다가, 절결부(151a)는 그 내부로 들어오는 카트리지 접점 부재(160)의 그 부분보다 큰 형상이다.
제1 가이드부(151b1) 및 제2 가이드부(151b2)는 절결부(151a)의 내측면이다. 또한, 제1 가이드부(151b1) 및 제2 가이드부(151b2)는 접점 커버(151)의 이동의 방향(S)을 따라 서로 대향된다. 또한, 이동의 방향(S)으로의 제1 가이드부(151b1)와 제2 가이드부(151b2) 사이의 간격은 노출부(151a1)를 향해서 더 좁아진다. 즉, 본 실시예에서, 카트리지(B)의 장착 방향(X)으로부터 보았을 때 제1 가이드부(151b1) 및 제2 가이드부(151b2)는 노출부(151a1)에 연속하는 개구부의 내측면[즉, 접점 커버(151)의 내부에서 본체 접점 부재(161)의 직선부(161B)]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카트리지 접점(160a)은 본체 접점(161a)으로 매끄럽게 안내된다. 더욱이, 개구부의 폭은 노출부(151a1)[즉, 접점 커버(151)의 내부에서 본체 접점 부재(161)의 직선부(161B)]를 향해서 좁아진다. 본 실시예에서, 접점 커버(151)의 이동의 방향[장치 본체(A)에 대한 접점 커버(151)의 이동 방향]은 카트리지(B)의 장착 방향(X)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이다.
비록 이에 구속되지는 않지만, 본체 전기 접점 부재(161)에 대한 접점 커버(151)의 이동 방향(T)으로 절결부(151a)의 상단부의 폭[제1 가이드부(151b1)와 제2가이드부(151b2) 사이의 최대 간격(W3)]은 4 내지 8 ㎜이다. 또한, 동일 방향으로 절결부의 하단부의 폭[노출부(151a1)의 폭(W4)]은 2 내지 4 ㎜이다. 또한, 절결부(151a)의 상단부로부터 하단부까지[노출부(151a1)]의 높이(H1)는 2 내지 3 ㎜이다.
본 실시예에서, 도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전기 접점 부재(161)는 접점 커버(151)의 일 측으로부터 노출된다. 또한, 그러나 장치 본체(A)의 내측 플레이트(132)는 접점 부재(161)의 이 측에 위치된다. 따라서, 본체 전기 접점 부재(161)는 실질적으로 기밀식으로 밀봉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뿐만 아니라, 접점 커버(151)의 이 측면은 장치 본체(A)의 접점 커버(151)의 배치의 모드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실질적으로 기밀식으로 밀봉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점 커버(151)의 다른측은 실질적으로 기밀식으로 밀봉된다.
따라서, 조작자가 걸림 처리 또는 카트리지의 장착 또는 탈착 동안에 장치 본체(A)의 각각의 접점 부재에 접근하는 경우에도, 조작자의 손가락이 본체 접점 부재(161)의 본체 접점(161a)을 접촉하기는 어렵다. 게다가, 절결부(151a)의 크기는 손가락의 팁 단부보다 작고 카트리지 접점(160a)보다 크다. 따라서, 조작자의 손가락이 카트리지 접점 부재(160)의 접점부(본체 접점)(161a)를 접촉하는 것은 실질적으로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이물질(예를 들면, 조작자의 손에 부착된 현상제 또는 그리스, 또는 사람의 땀 또는 기름기)이 장치 본체(A)의 전기 접점에 부착하는 것은 어렵다. 따라서, 전기 접점의 전기적인 오작동이 일어나는 것은 어렵다. 그 결과 카트리지(B)의 전기 접점과 장치 본체(A)의 전기 접점 사이에서 전기 접속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전기 접점을 접촉하는 조작자의 손에 의해 유발되는 전기 접점의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어렵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12 내지 도14를 참조하여, 장치 본체(A) 상으로의 카트리지(B)의 장착 동안 접점 커버(151)의 이동을 더 설명한다. 도12는 장치 본체(A)로의 카트리지(B)의 장착 동안에 카트리지 접점 부재(160)의 이동 궤적과 접점 커버(151) 및 본체 접점 부재(161)의 이동 궤적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12에서, 카트리지 접점 부재(160)는 원형 측면으로 일반적으로 도시된다. 또한, 도13은 장치 본체(A) 상으로의 카트리지(B)의 장착 과정에서 장치 본체(A)의 내부의 측면도이다. 또한, 도14는 카트리지(B)가 장치 본체(A) 상에 장착된 상태에서 장치 본체(A)의 내부의 측면도이다.
장치 본체(A) 상으로의 카트리지(B)의 장착 동안 카트리지(B)는 조작자의 장착 동작에 의해서 전술된 카트리지 장착 수단(130)을 따라 화살표(X)의 방향으로 이동된다(도13).
도12에서 일점 쇄선으로 지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 접점 부재(160)는 절결부(151a)의 입구에 제공된 제1 가이드부(151b1)에 충돌한다. 도12에서 이것이 제1 가이드부(151b1)에 충돌하는 동안, 이는 동일한 경우 제2 가이드부(151b2)에 충돌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카트리지 접점 부재(160)는 수용부인 가이드부(151b1, 151b2)에 인접한다. 카트리지(B)의 장착 동작에 연동하여, 가이드부(151b1, 151b2)는 접점 커버(151)를 이동시키기 위한 카트리지 인접부로서 기능을 한다.
그런 후, 카트리지(B)는 더욱 삽입된다. 그에 의해서, 도2에서 일점 쇄선으로 지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 접점 부재(160)는 접점 커버(151)를 이동시킨다. 즉, 제1 가이드부(151b1) 및 제2 가이드부(151b2)는 노출부(151a1)를 향해서 전방으로 얇아진다. 따라서, 카트리지 접점 부재(160)의 이동에 따라서, 접점 커버(151)는 화살표(T1)에 의해 지시된 방향으로 이동된다. 도12에서 접점 커버(151)는 카트리지(B)의 장착 방향(X)에 대하여 전방 방향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본체 접점 부재(161)와 접점 커버(151)의 정렬은 대략적으로 행해진다.
카트리지(B)가 더욱 삽입됨에 의해서, 카트리지(B)의 장착 가이드 부재(140R1, 140R2, 140L1, 140L2)는 카트리지 장착 수단(130)에 대해 위치설정된다. 위치설정까지의 시간 동안, 카트리지 접점 부재(160)는 화살표(T2)에 의해 지시된 바와 같이 접점 커버(151)를 더욱 이동시킨다. 도12에서 실선으로 지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 접점 부재(160)는 그런 후 절결부(151a) 내부로 끼워진다. 그에 의 해서, 접점 커버(151)는 미리정해진 위치에 위치설정된다. 그 때, 접점 커버(151)의 노출부(151a1)로부터 노출된 부분인 본체 접점(151a)과 카트리지 접점 부재(160)의 접점부(카트리지 접점)(160a)는 서로 접촉한다. 그에 의해서, 화상 형성 장치(100)는 화상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도14). 전술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카트리지(B)가 장치 본체(A) 상에 장착될 때, 카트리지 접점 부재(160)는 접점 커버(151)에 인접한다. 그에 의해서 카트리지 접점 부재는 접점 커버(151)의 위치를 규제하기 위한 전기 접점 커버 부재 위치설정 수단으로서 기능을 갖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본체 접점 부재(161)는 토션 코일 스프링에 의해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이 토션 코일 스프링은 카트리지(B)의 장착 방향(X)으로 휘어지게 설계된다. 따라서, 카트리지(B)가 장치 본체(A) 상에 장착된 상태에서, 스프링은 화살표(U)의 방향으로 내려오게 된다(도12). 그에 의해서, 스프링은 압축되고 접점 부재는 미리 정해진 접촉 압력으로 서로 접촉한다.
또한, 카트리지(B)가 장치 본체(A)로부터 분리될 때, 전술된 것에 반대되는 동작이 수행된다.
앞에서, 카트리지(B)가 장치 본체(A)로 장착될 때, 카트리지 접점 부재(160)는 제1 가이드부(151b1)에 인접한다. 그 때, 접점 커버(151)가 카트리지(B)의 장착 방향(X)에 대하여 전방 방향(T1, T2)으로 이동한다는 것이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는 제한적이지 않다. 일부 경우에서, 역으로 카트리지(B)가 장착된 때 본체 접점 부재(161)에 대하여 접점 커버(151)의 위치 등에 대응하여 카트리지 접점 부재(160)가 제2 가이드부(151b2)에 인접한다. 더욱이, 접점 커버(151)가 카트리지 (B)의 장착 방향(X)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카트리지(B)가 장치 본체(A)에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접점 커버(151)는 중력에 의해서 아래로 하강된다. 더욱이, 접점 부재의 팁 단부(151h)가 범핑부(151g)에 인접한다. 그런 후 카트리지(B)가 장치 본체(A)에 장착된 때, 접점 커버(151)는 카트리지(B)의 장착 방향(X)에 대하여 전방 방향으로 이동된다. 또한, 전술된 바와 같이, 접점 커버(151)는 본체 접점 부재(161)에 대하여 화살표(T)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더욱이, 본체 접점(161a)은 장치 본체(A)에 대하여 화살표(V)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화살표(V)의 방향은 화살표(T)의 방향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직각이다. 따라서, 노출부(151a1)는 화살표(V)의 방향 및 이에 직각인 화살표(T)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따라서, 노출부(151a1)의 이동의 자유도는 저렴한 구성으로 확보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체 접점(161a)과 카트리지 접점(160a) 사이의 전기 접속의 신뢰도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다른 본체 전기 접점, 즉 제1 본체 잔류량 검출 접점 부재(163) 및 제2 본체 잔류량 검출 접점 부재(164)에 대하여, 접점 커버(153, 154) 및 본체 접점 부재(163, 164)의 구성 및 동작은 현상 출력 접점 부재(151) 및 이의 접점 커버(151)의 것과 유사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접점 커버(151, 153, 154)가 현상 출력 접점(161), 제1 본체 잔류량 검출 접점(163) 및 제2 본체 잔류량 검출 접점(164) 각각에 대하여 특히 제공된 경우가 설명되었다. 그러나, 물론 동일한 구성이 대전 출력 전기 접점 부재(144)의 배치 모드 등과 대응되게 대전 출력 전기 접점 부재(144)에 적용될 수 있고, 그에 의해서 장치 본체(A)의 전기 접점과 카트리지(B)의 전기 접점 사이의 전기 접속의 신뢰성이 더욱 개선될 수 있다.
{6. 회로 기판(EC)[전기 회로(E)]}
여기서, 대전 바이어스 회로(E1)는 네가티브(negative, 부) DC 전압 및 AC 전압을 생성한다. 그런 후, 서로 중첩된 상술된 전압들을 포함하는 전압이 대전 롤러(108)에 인가된다. 대전 롤러(108)는 이 전압을 수용하여 감광 드럼(107)을 대전한다. 대전 바이어스 회로(E1)는 구동 롤러(105c)를 통해 정착 롤러(105c)에도 네가티브 DC 전압을 인가한다.
또한, 현상 바이어스 회로(E2)는 네가티브 DC 전압 및 AC 전압을 생성한다. 그런 후, 서로 중첩된 전술된 전압들을 포함하는 전압이 현상 롤러(110) 및 제2 검출 전극(191)에 인가된다. 현상 롤러(110)는 이 전압을 수용하고 현상제에 의해서 정전 잠상을 현상한다.
또한, 전사 바이어스 회로(E3)는 포지티브(positive, 정) 또는 네가티브(negative) DC 전압을 생성한다. 그런 후, 이는 전사 롤러(104)에 포지티브 또는 네가티브 DC 전압을 인가한다.
더욱이, 제1 검출 전극(190)은 현상제 잔류량 검출 회로(E4)의 검출 회로에 접속되고, 전압이 제2 검출 전극(191) 및 현상 롤러(110)에 인가된 때 출력 전압(현상제량 검출 전압)은 이에 입력된다. 또한, 기준 전압 생성 회로는 현상 바이어스 회로(E2)로부터 인가된 전류를 사용함에 의해서 현상제의 잔류량을 검출하는 기준 전압을 생성한다. 그런 후, 검출 회로는 현상제의 잔류량의 검출된 값으로서 기준 전압과 현상제량 검출 전압 사이의 차이를 CPU로 출력한다. 이렇게 검출된 현상제의 잔류량의 정보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A) 상에 제공된 표시부(도시 생략) 등에 의해서 사용자에게 보고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전압원(S)으로부터의 전압은 대전 바이어스 회로(E1)를 통해 대전 롤러(108)로 공급된다. 또한, 전압원(S)으로부터의 전압은 대전 바이어스 회로(E1)를 통해 정착 롤러(105b) 및 구동 롤러(105c)에 공급된다. 더욱이, 전압원(S)으로부터의 전압은 현상 바이어스 회로(E2)를 통해서 현상 롤러(110) 및 제2 검출 전극(191)으로 공급된다. 또한, 전압원(S)으로부터의 전압은 전사 대전 바이어스 회로(E3)를 통해서 전사 롤러(104)로 공급된다.
이들 회로(E1, E2, E3)는 회로 기판(EC) 상에 제공된 CPU(200)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제어되는 그들의 ON 및 OFF를 갖는다. 장치 본체(A) 상에 장착된 회로 기판(EC)이 도15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이 회로 기판(EC)은 카트리지 장착부(130a) 아래에 장착된다. 회로 기판(EC)은 CPU(200) 및 전기 회로(E)(전원 회로)를 갖는다.
또한, 전압원(S)은 회로 기판(EC) 즉, 전기 회로(E)에 접속된다. 전기 회로(E)는 대전 바이어스 회로(E1), 현상 바이어스 회로(E2), 전사 대전 바이어스 회로(E3) 및 현상제 잔류량 검출 회로(E4)를 포함한다.
대전 바이어스 회로(E1)는 네거티브 DC 전압 및 AC 전압을 생성한다. 이는 서로 중첩된 전술된 전압을 포함하는 전압을 대전 롤러(108)에 인가한다. 대전 롤러(108)는 이 전압을 수용하고 감광 드럼(107)을 대전한다. 대전 바이어스 회로 (E1)는 또한 네가티브 DC 전압을 구동 롤러(105c)를 통해서 정착 롤러(105b)에 공급한다.
또한, 현상 바이어스 회로(E2)는 네가티브 DC 전압 및 AC 전압을 생성한다. 이는 서로 중첩된 전술된 전압을 포함하는 전압을 현상 롤러(110) 및 제2 검출 전극에 인가한다. 현상 롤러(110)는 이 전압을 수용하고 현상제로 정전 잠상을 현상한다.
또한, 전사 바이어스 회로(E3)는 포지티브 또는 네가티브 DC 전압을 생성한다. 이는 전사 롤러(104)에 포지티브 또는 네가티브 DC 전압을 인가한다. 게다가, 제1 검출 전극(190)이 현상제 잔류량 검출 회로(E4)의 검출 회로에 접속되고, 제2 검출 전극(191) 및 현상 롤러(110)에 전압이 인가된 때 출력 전압(현상제량 검출 전압)이 입력된다. 또한, 기준 전압 생성 회로는 현상 바이어스 회로(E2)로부터 인가된 전류를 사용하여 현상제의 잔류량을 검출하는 기준 전압을 발생한다. 그런 후, 검출 회로는 현상제의 잔류량의 검출된 값으로서 기준 전압과 현상제량 검출 전압 사이의 차이를 CPU로 출력한다. 이렇게 검출된 현상제의 잔류량의 정보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A) 내에 제공된 표시부(도시 생략) 등에 의해 사용자에게 보고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전압원(S)으로부터의 전압은 대전 바이어스 회로(E1)를 통해서 대전 롤러(108)로 공급된다. 또한, 전압원(S)으로부터의 전압은 대전 바이어스 회로(E1)를 통해서 정착 롤러(105b) 및 구동 롤러(105c)에 공급된다. 더욱이, 전압원(S)으로부터의 전압은 현상 바이어스 회로(E2)를 통해서 현상 롤러(110) 및 제2 검출 전극(191)으로 공급된다. 또한, 전압원(S)으로부터의 전압은 전사 대전 바이어스 회로(E3)를 통해서 전사 롤러(104)로 공급된다.
이들 회로는 회로 기판(EC) 상에 제공된 CPU(200)로부터의 지시에 의해 제어되는 그들의 ON 및 OFF를 갖는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다음의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1) 접점 커버(151, 153, 154)는 카트리지가 갖는 카트리지 접점(160a, 188a, 189a)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본체 접점(161a, 163a, 164a)이 제공된 본체 접점 부재(161, 163, 164)에 대해 이동 관계로 장착되고, 이들 접점 커버(151, 153, 154)는 카트리지(B)의 장착 동작과 연동하여 이동하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카트리지(B)가 장치 본체(A)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조작자가 그의 손을 삽입하여 카트리지(B)의 장착, 유지 보수 또는 걸림 처리 등을 행할 때와 같이 장치 본체(A) 내부로 이물질이 들어오는 경우에도, 장치 본체 접점 부재(161, 163, 164)는 접점 커버에 의해서 보호되고, 따라서 조작자는 접점 커버에 의해 보호되는 본체 접점 부재(161, 163, 164)를 용이하게 접촉할 수 없고, 따라서 조작자는 본체 접점(161a, 163a, 164a)에 용이하게 접촉할 수 없다. 따라서, 이물질(조작자의 손에 부착된 현상제 또는 그리스, 또는 사람의 땀 또는 기름기)이 장치 본체(A)의 전기 접점에 부착되어 오작동을 유발하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카트리지(B)가 장치 본체(A)에 장착될 때, 접점 커버(151, 153, 154)는 카트리지(B)의 장착 동작에 연동하여 이동한다. 그에 의해서, 본체 접점(161a, 163a, 164a) 및 카트리지 접점(160a, 188a, 189a)은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결과적 으로, 조작자는 어떠한 특별한 조작없이 본체 접점(161a, 163a, 164a) 및 카트리지 접점(160a, 188a, 189a)을 서로 아주 간단하게 접속시킬 수 있다.
따라서, 장치 본체(A)에 제공된 전기 접점과 카트리지(B)에 제공된 전기 접점 사이의 전기 접속의 신뢰도가 향상될 수 있다.
(2) 접점 커버(151, 153, 154)에는 접촉의 상태를 달성할 수 있는 절결부(151a)가 제공된다. 따라서, 접촉부(151a)가 완전하게 덮혀있는 형상과 비교할 때, 접점 커버(151, 153, 154)의 이동량은 작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접점 커버(151, 153, 154)에 의해 점유되는 공간이 최소화될 수 있다. 그 결과, 화상 형성 장치(100)는 소형화될 수 있다.
(3) 또한, 카트리지 접점 부재(160, 188, 189)는 카트리지 인접부로서 접점 커버(151)의 가이드부(151b1, 151b2)에 대항하여 인접하게 된다. 그에 의해서, 접점 커버(151)는 이동된다. 따라서, 접점 커버(151, 153, 154)의 이동을 위한 어떠한 특별한 부품을 부가하지 않고 접점 커버(151, 153, 154)를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카트리지 접점 부재(160, 188, 189)는 절결부(151a) 내부로 끼워지기 때문에 그에 의해서 접점 커버(151, 153, 154)의 위치설정을 행한다. 그에 의해서, 접점 커버(151, 153, 154)의 위치설정을 위한 어떠한 특별한 부품도 추가하지 않고 고도로 정확하게 카트리지(B)의 접점을 접점 커버와 정렬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고품질의 접점 보호 기구가 낮은 비용으로 실현될 수 있다.
또한, 접점 커버(151, 153, 154) 상에 제공된 절결부(151a)[노출부(151a)에 연속되는 개구부]의 내측면은 가이드부(151b1, 151b2)(수용부)로서 형성된다. 그에 의해서, 장치 본체(A) 상에 카트리지(B)를 장착하는 동작에서, 전기 접점 커버 부재(151, 153, 154)의 이동, 전기 접점들의 접속 및 접점 커버(151, 153, 154)의 위치설정은 연속으로 행해질 수 있다. 따라서, 기구는 간단하고 신뢰성이 높다.
(4) 장치 본체(A)에 대한 접점 커버의 이동의 방향[방향(T1, T2)]은 카트리지(B)의 장착 방향(X 방향)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이다. 따라서, 카트리지(B)의 부품의 불균일성 또는 장착 동안의 이의 백래쉬 때문에 카트리지 접점 부재(160, 188, 189)의 위치가 변동하는 경우에서도 대처하는 것이 가능하다. 카트리지(B)의 전기 접점에 접점 커버(151, 153, 154)를 아주 정확하게 정렬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고품질의 접점 보호 기구가 실현될 수 있다.
(5) 장치 본체(A)가 복수의 접점 부재를 갖는 경우, 접점 커버가 개별적으로 배치되는 구조를 채택함에 의해서, 복수의 접점 부재가 단일 접점 커버에 의해서 덮히는 경우와 비교할 때, 접점 커버(151, 153, 154) 그 자체를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동시에, 화상 형성 장치(100)의 소형화가 또한 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구성을 채택함에 의해서, 각각의 접점 부재의 배치의 자유도가 높고 접점 부재의 위치 편차에 개별적으로 대처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화상 형성 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하고 고품질의 접점 보호 기구가 실현될 수 있다.
(6) 본 실시예에서, 개별적으로 전력 공급을 받는 부재(대전 부재, 현상 부재 및 현상제량 검출 부재)는 카트리지로서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내부에서 개별 카트리지 전기 접점(160a, 188a, 189a)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7) 본 실시예에서, 전자 사진 감광 부재 및 프로세스 수단을 서로 일체식으 로 갖는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이용하여 설명이 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또한 전자 사진 감광 부재를 대전하기 위한 대전 부재를 갖고 전자 사진 감광 부재를 갖지 않는 대전 유닛에도 적용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은 또한 전자 사진 감광 부재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부재를 갖고 전자 사진 감광 부재를 갖지 않는 현상 유닛에도 적용 가능하다. 여기서, 전자 사진 감광 부재는 장치 본체에 장착 가능하다. 또는 이는 장치 본체에 장착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갖는 전기 접점과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제공된 전기 접점 사이의 전기적인 접속의 신뢰도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오염물이 본체 전기 접점에 부착하는 것이 어렵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본체 상에 카트리지를 장착하는 동작에 연동하여 전기 접점 커버 부재는 본체 전기 접점 부재에 대하여 이동될 수 있어, 이에 의해서 카트리지 전기 접점과 본체 전기 접점은 함께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및 카트리지 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구조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설명된 세부에 의해 구속되지 않고 이 출원은 후속의 청구범위의 범위 또는 개선의 목적 내에 있는 이러한 변경 또는 수정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Claims (24)

  1. 카트리지가 탈거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고 기록 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이며,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장치 본체에 장착된 때 상기 카트리지의 전력 공급받을 부재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카트리지의 카트리지 전기 접점에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본체 전기 접점을 구비하고 상기 본체 전기 접점은 상기 장치 본체에 대하여 이동 가능한 본체 전기 접점 부재와,
    상기 본체 전기 접점을 노출시키기 위한 노출부를 갖고 상기 본체 전기 접점 부재를 덮고, 상기 노출부가 상기 본체 전기 접점 부재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 전기 접점 부재에 부착되는 전기 접점 커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카트리지 전기 접점과 상기 본체 전기 접점이 상기 노출부에서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상기 장치 본체에 상기 카트리지를 장착하는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전기 접점 커버 부재는 상기 본체 전기 접점 부재에 대하여 이동되며, 상기 전기 접점 커버 부재는 수용부를 구비하며,
    상기 카트리지 전기 접점이 제공된 카트리지 전기 접점 부재는 상기 장치 본체 상에 상기 카트리지를 장착시키는 작동과 작동식으로 연계하여 상기 수용부와 맞닿아서 상기 전기 접점 커버 부재를 이동시키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노출부의 단부에 제공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전기 접점 부재는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장착될 때 상기 전기 접점 커버 부재의 위치를 규제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접점 커버 부재가 상기 본체 전기 접점 부재에 대하여 이동되는 이동 방향은 상기 본체 전기 접점이 상기 장치 본체에 대하여 이동되는 이동 방향에 대략 직각인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접점 커버 부재의 이동 방향은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장착되는 방향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인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접점 커버 부재는 개구부를 갖고, 상기 본체 전기 접점 부재는 실질적으로 U자 형상으로 형성된 U자 형상부를 갖고, 상기 U자 형상부는 U자 형상부가 상기 개구부 내부로 삽입된 후 상기 개구부로부터 미끄러져 빠지지 않도록 상기 개구부 내에 상기 U자 형상부를 구속하는 구속부를 갖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전기 접점 부재는 탄성 부재이고, 상기 U자 형상부는 상기 본체 전기 접점 부재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휘어져서 상기 개구부 내부로 삽입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공급받을 부재는 전자 사진 감광 부재를 대전하기 위한 대전 부재이고, 상기 카트리지 전기 접점은 상기 본체 전기 접점으로부터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부재를 대전하기 위한 전압을 수용하거나, 또는
    상기 전력 공급받을 부재는 전자 사진 감광 부재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부재이고, 상기 카트리지 전기 접점은 상기 본체 전기 접점으로부터 상기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전압을 수용하거나, 또는
    상기 전력 공급받을 부재는 현상제 수납부 내에 수납된 현상제량을 검출하기 위한 현상제량 검출 부재이고, 상기 카트리지 전기 접점은 상기 본체 전기 접점으로부터 상기 현상제량을 검출하기 위한 전압을 수용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는 전자 사진 감광 부재를 대전하기 위한 대전 부재를 갖는 대전 유닛이거나, 또는 전자 사진 감광 부재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부재를 갖는 현상 유닛이거나, 또는 상기 대전 부재, 상기 현상 부재 및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부재를 갖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인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10. 전자 사진 감광 부재 및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부재에서 작용하는 프로세스 수단을 갖는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탈거가능하게 장착가능하고 기록 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이며,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장치 본체에 장착된 때 상기 프로세스 수단으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카트리지 전기 접점에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본체 전기 접점을 구비하고 상기 본체 전기 접점이 상기 장치 본체에 대하여 이동 가능한 본체 전기 접점 부재와,
    상기 본체 전기 접점을 노출시키기 위한 노출부를 갖고 상기 본체 전기 접점 부재를 덮고, 상기 노출된 부분이 상기 본체 전기 접점 부재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 전기 접점 부재에 부착되는 전기 접점 커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카트리지 전기 접점 및 상기 본체 전기 접점이 상기 노출부에서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상기 장치 본체에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장착하는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전기 접점 커버 부재가 상기 본체 전기 접점 부재에 대하여 이동되며, 상기 전기 접점 커버 부재는 수용부를 구비하며,
    상기 카트리지 전기 접점이 제공된 카트리지 전기 접점 부재는 상기 장치 본체 상에 상기 카트리지를 장착시키는 작동과 작동식으로 연계하여 상기 수용부와 맞닿아서 상기 전기 접점 커버 부재를 이동시키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 수단은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부재를 대전하기 위한 대전 부재이고, 상기 카트리지 전기 접점은 상기 본체 전기 접점으로부터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부재를 대전하기 위한 전압을 수용하거나, 또는
    상기 프로세스 수단은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부재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 하기 위한 현상 부재이고, 상기 카트리지 전기 접점은 상기 본체 전기 접점으로부터 상기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전압을 수용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12. 기록 매체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장치 본체에 탈거가능하게 장착가능한 카트리지로서, 상기 장치 본체는 상기 장치 본체에 대하여 이동 가능한 본체 전기 접점을 갖는 본체 전기 접점 부재와, 상기 본체 전기 접점을 노출시키기 위한 노출부를 갖고 상기 본체 전기 접점 부재를 덮고, 상기 노출부가 상기 본체 전기 접점 부재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 전기 접점 부재에 부착된 전기 접점 커버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카트리지는
    전력 공급받을 부재와,
    상기 전력 공급받을 부재에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하고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장치 본체에 장착된 때 상기 전력 공급받을 부재에 공급될 전압을 수용하도록 상기 본체 전기 접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카트리지 전기 접점과,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장치 본체에 장착된 때 상기 전기 접점 커버 부재의 수용부에 인접하여 상기 전기 접점 커버 부재를 이동시키는 인접부를 포함하고,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장치 본체에 장착된 때 상기 카트리지 전기 접점과 상기 본체 전기 접점이 상기 노출부에서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상기 인접부가 상기 수용부에 인접하여 상기 본체 전기 접점 부재에 대하여 상기 전기 접점 커버 부재를 이동시키고,
    상기 카트리지 전기 접점이 제공된 카트리지 전기 접점 부재가 상기 인접부를 가지는 카트리지.
  13. 삭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전기 접점 부재는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장착되어 있을 때 상기 전기 접점 커버 부재의 위치를 규제하는 카트리지.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전기 접점은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부재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상기 전력 공급받을 부재로서의 현상 부재에 인가될 현상 바이어스를 상기 본체 전기 접점으로부터 수용하기 위한 현상 바이어스 접점이거나, 또는
    상기 카트리지 전기 접점은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부재를 대전하기 위한 상기 전력 공급받을 부재로서의 대전 부재에 인가될 대전 바이어스를 상기 본체 전기 접점으로부터 수용하기 위한 대전 바이어스 접점이거나, 또는
    상기 카트리지 전기 접점은 상기 카트리지의 잔류량 검출 부재에 인가될 전압을 상기 본체 전기 접점으로부터 수용하고 상기 본체 전기 접점을 통해서 상기 현상제량 검출 부재로부터 상기 장치 본체로 검출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잔류량 검출 접점인 카트리지.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공급받을 부재는 전자 사진 감광 부재를 대전하기 위한 대전 부재이고, 상기 카트리지 전기 접점은 상기 본체 전기 접점으로부터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부재를 대전하기 위한 전압을 수용하거나, 또는
    상기 전력 공급받을 부재는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부재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부재이고, 상기 카트리지 전기 접점은 상기 본체 전기 접점으로부터 상기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전압을 수용하거나, 또는
    상기 전력 공급받을 부재는 현상제 수납부에 수납된 현상제량을 검출하기 위한 현상제량 검출 부재이고, 상기 카트리지 전기 접점은 상기 본체 전기 접점으로부터 상기 현상제량을 검출하기 위한 전압을 수용하는 카트리지.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는 전자 사진 감광 부재를 대전하기 위한 대전 부재를 갖는 대전 유닛 또는 전자 사진 감광 부재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부재를 갖는 현상 유닛인 카트리지.
  18. 삭제
  19. 기록 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장치 본체에 탈거가능하게 장착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이며,
    상기 장치 본체는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전자 사진 형성 장치의 장치 본체에 장착된 때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카트리지 전기 접점에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본체 전기 접점을 갖고 상기 본체 전기 접점이 상기 장치 본체에 대하여 이동 가능한 본체 전기 접점 부재와,
    상기 본체 전기 접점을 노출시키기 위한 노출부를 갖고 상기 본체 전기 접점 부재를 덮고, 상기 노출부가 상기 본체 전기 접점 부재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 전기 접점 부재에 부착된 전기 접점 커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카트리지 전기 접점과 상기 본체 전기 접점이 상기 노출부에서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상기 장치 본체에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장착하는 동작과 연동하여 상기 전기 접점 커버 부재가 상기 본체 전기 접점 부재에 대하여 이동되고,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전자 사진 감광 부재와,
    카트리지 전기 접점을 통해 상기 본체 전기 접점으로부터 전압을 수용하고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부재에 작용하는 프로세스 수단과,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장치 본체에 장착된 때 상기 전기 접점 커버 부재의 수용부에 인접하여 상기 전기 접점 커버 부재를 이동시키는 인접부를 포함하고,
    상기 카트리지 전기 접점이 제공된 카트리지 전기 접점 부재가 상기 인접부를 가지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 수단은 전자 사진 감광 부재를 대전하기 위한 대전 부재이고, 상기 카트리지 전기 접점은 상기 본체 전기 접점으로부터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부재를 대전하기 위한 전압을 수용하거나, 또는
    상기 프로세스 수단은 전자 사진 감광 부재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부재이고, 상기 카트리지 전기 접점은 상기 본체 전기 접점으로부터 상기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전압을 수용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21.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부로부터 상기 전기 접점 커버 부재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상기 본체 전기 접점 및 상기 카트리지 전기 접점은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2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부로부터 상기 전기 접점 커버 부재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상기 본체 전기 접점 및 상기 카트리지 전기 접점은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2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부로부터 상기 전기 접점 커버 부재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상기 본체 전기 접점 및 상기 카트리지 전기 접점은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카트리지.
  24.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부로부터 상기 전기 접점 커버 부재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상기 본체 전기 접점 및 상기 카트리지 전기 접점은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KR1020040071053A 2004-02-27 2004-09-07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카트리지 및 프로세스카트리지 KR1006932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055461 2004-02-27
JP2004055461 2004-02-27
JP2004166155A JP4035516B2 (ja) 2004-02-27 2004-06-03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JP-P-2004-00166155 2004-06-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7710A KR20050087710A (ko) 2005-08-31
KR100693232B1 true KR100693232B1 (ko) 2007-03-12

Family

ID=34889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1053A KR100693232B1 (ko) 2004-02-27 2004-09-07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카트리지 및 프로세스카트리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7209676B2 (ko)
EP (1) EP1596257B1 (ko)
JP (1) JP4035516B2 (ko)
KR (1) KR100693232B1 (ko)
CN (1) CN100442152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58875B2 (ja) * 2003-08-25 2006-12-20 村田機械株式会社 現像器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4387933B2 (ja) * 2003-12-09 2009-12-24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387932B2 (ja) 2003-12-09 2009-12-24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095589B2 (ja) * 2004-02-27 2008-06-04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US7522016B2 (en) * 2004-09-15 2009-04-21 Qualcomm, Incorporated Tunable surface acoustic wave resonators
US20070154232A1 (en) * 2006-01-04 2007-07-05 Lexmark International, Inc. Contacting removable printer cartridges
JP4577377B2 (ja) * 2008-02-26 2010-11-1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N201340516Y (zh) * 2008-11-19 2009-11-04 珠海天威飞马打印耗材有限公司 充电辊导电片和具有该导电片的显影剂盒
JP5743178B2 (ja) * 2009-10-13 2015-07-01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5136601B2 (ja) * 2010-06-24 2013-02-0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タンデム型ドラムユニット
JP5644391B2 (ja) * 2010-11-09 2014-12-2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電気接続構造、画像形成装置
CN202677065U (zh) * 2012-03-02 2013-01-16 珠海赛纳打印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显影盒
JP6136603B2 (ja) * 2013-06-07 2017-05-3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
US9367019B2 (en) * 2014-06-30 2016-06-14 Kyocera Document Solutions Inc. Electric wire memb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6365462B2 (ja) * 2015-08-17 2018-08-01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AU2016420865B2 (en) 2016-08-26 2020-07-02 Canon Kabushiki Kaisha Drum unit, cartridge,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upling member
JP6896562B2 (ja) * 2016-11-18 2021-06-30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77529A (en) 1988-11-25 1993-01-05 Xerox Corporation Machine with removable unit having two element electrical connection
JP3236124B2 (ja) * 1993-04-28 2001-12-10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トナーテープ取り付け方法
JPH06313996A (ja) * 1993-04-28 1994-11-08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組み立て方法及び現像装置
JP3285417B2 (ja) * 1993-04-28 2002-05-27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3285413B2 (ja) * 1993-04-28 2002-05-27 キヤノン株式会社 感光体ドラム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3320144B2 (ja) * 1993-04-28 2002-09-03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H0777921A (ja) 1993-09-09 1995-03-20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装着装置
JP3323696B2 (ja) * 1995-06-13 2002-09-09 キヤノン株式会社 アース部材及び電子写真感光体ドラム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H1083107A (ja) * 1996-09-09 1998-03-31 Minolta Co Ltd イメージングカートリッジ
JP2000066498A (ja) 1998-08-21 2000-03-03 Canon Inc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3530751B2 (ja) * 1998-10-09 2004-05-24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530752B2 (ja) * 1998-10-09 2004-05-24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現像装置、現像剤供給容器及び測定部品
JP3673658B2 (ja) * 1998-10-28 2005-07-20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6311026B1 (en) * 1998-11-13 2001-10-30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mounting of the process cartridge to main body of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rocess cartridge and developer cartridge including positioning portion
JP3745231B2 (ja) * 2000-01-13 2006-02-15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1290355A (ja) * 2000-04-06 2001-10-19 Canon Inc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6587650B2 (en) * 2000-07-28 2003-07-01 Canon Kabushiki Kaisha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process cartridge, and developing device having developer amount detector
US6697578B2 (en) * 2000-08-25 2004-02-24 Canon Kabushiki Kaisha Memory member, unit,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JP3697168B2 (ja) * 2001-03-09 2005-09-21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840063B2 (ja) * 2001-04-27 2006-11-01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03255804A (ja) * 2001-12-07 2003-09-10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再生産方法および現像装置の再生産方法
JP2003255806A (ja) * 2002-02-28 2003-09-10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4061595A (ja) 2002-07-25 2004-02-26 Canon Inc 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3625470B1 (ja) * 2003-09-30 2005-03-02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035516B2 (ja) 2008-01-23
EP1596257A1 (en) 2005-11-16
EP1596257B1 (en) 2017-11-08
JP2005275338A (ja) 2005-10-06
US7200347B2 (en) 2007-04-03
US7209676B2 (en) 2007-04-24
US20050191079A1 (en) 2005-09-01
CN100442152C (zh) 2008-12-10
KR20050087710A (ko) 2005-08-31
US20060188285A1 (en) 2006-08-24
CN1661484A (zh) 2005-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3232B1 (ko)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카트리지 및 프로세스카트리지
JP4886182B2 (ja) 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7567769B2 (en) Electrophotographic color image forming apparatus
US7239823B2 (e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process cartridge and discharge preventing mechanism
US8213828B2 (e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rocess cartridge mounted thereto having contacts electrically connecting with an electrical contact
US7162174B2 (en) Process cartridge having light guides and memory member,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to which such cartridge is mountable
US20150010320A1 (en) Cartridg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ain assembly of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4045857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20110123205A1 (en) Developing device,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8873992B2 (en)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3195726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4370532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9210629A (ja) タンデム型感光体ユニット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20240085851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4569646B2 (ja) 画像形成装置
US8781354B2 (en) Image-forming apparatus
JP2003195723A (ja) 画像形成装置
JP2012022333A (ja) 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6126661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ベルトユニット
JP2009075513A (ja) 画像形成装置
JP2005345940A (ja) 画像形成装置
JP2005258145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