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2644B1 - 양베어링릴의 릴 본체 - Google Patents

양베어링릴의 릴 본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2644B1
KR100692644B1 KR1020000058511A KR20000058511A KR100692644B1 KR 100692644 B1 KR100692644 B1 KR 100692644B1 KR 1020000058511 A KR1020000058511 A KR 1020000058511A KR 20000058511 A KR20000058511 A KR 20000058511A KR 100692644 B1 KR100692644 B1 KR 1006926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ol
side cover
side plate
reel unit
r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85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67291A (ko
Inventor
히라야마히로카즈
사토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8442399A external-priority patent/JP384000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33060899A external-priority patent/JP384001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33060999A external-priority patent/JP4233189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0100672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72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26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26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92Frame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2Brake devices for reels
    • A01K89/033Brake devices for reels with a rotary drum, i.e. for reels with a rotating spoo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92Frame details
    • A01K89/01928Frame details with line or water shiel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양베어링릴의 릴 본체를 제공한다.
핸들이 일측면에 배치되고 내부에 스풀이 배치된 양베어링릴의 릴 본체로서,상기 스풀이 통과할 수 있는 원형의 제1개구가 마련된 제1측판과, 상기 제1측판과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제2측판을 갖는 프레임과, 상기 제1개구를 노출시키도록 상기 제1측판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스풀의 회전축 일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스풀지지부와, 상기 스풀지지부를 착탈조작하기 위해 상기 제1측판 또는 상기 스풀지지부에 설치된 착탈조작부와, 상기 제1개구가 형성된 상기 제1측판의 바깥쪽을 상기 스풀지지부 및 상기 착탈조작부를 포함하여 덮는 개폐가능한 제1측커버와, 상기 제2측판의 바깥쪽을 덮고 또 상기 핸들의 회전축이 지지되는 제2측커버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양베어링릴의 릴 본체{Reel main body of double bearing reel}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를 채용한 양베어링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Ⅲ-Ⅲ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단면부분도이고,
도 5는 개방자세시의 우측면도이고,
도 6은 실시형태 2의 도 3에 해당하는 도면이고,
도 7은 실시형태 3의 도 4에 해당하는 도면이고,
도 8은 실시형태 4의 도 5에 해당하는 도면이고,
도 9는 실시형태 4의 도 4에 해당하는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5를 채용한 양베어링릴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그 좌측면도이고,
도 12는 그 평면단면도이고,
도 13은 그 저면도이고,
도 14는 릴 본체의 사시도이고,
도 15는 제1측커버를 열었을 때의 우측면도이고,
도 16은 양베어링릴의 횡단면도이고,
도 17은 양베어링릴의 종단면도이고,
도 18은 제1측커버의 내측면을 본 정면도이고,
도 19는 도 12의 단면부분도이고,
도 20은 제2측커버를 열었을 때의 측면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 301 릴 본체
4, 304 낚시대 장착다리부
5, 305 프레임
6, 106, 206, 306 제1측커버
7, 307 제2측커버
8, 108, 208, 308 제1측판
8a, 308a 개구
8b, 308b 암나사부
9, 309 제2측판
10a, 10b, 310a, 310b 연결부재
12, 312 스풀
13, 113, 213, 313 스풀지지부
14a, 314a 수나사부
16, 316 조작볼록부
16a, 316a 개구
34, 75, 134, 334 요동축
40, 340 착탈너트
35, 94, 335 코일스프링
45 걸림원판
45a O링
78 돌기부
80b 조작손잡이
85, 385 걸림부재
342 실링부재
342a 오목부
342b 통부
본 발명은 릴 본체, 특히 핸들이 일측면에 배치되고 내부에 스풀이 배치된 양베어링릴의 릴 본체에 관한 것이다.
양베어링릴은, 낚시대에 장착되는 릴 본체와, 릴 본체 내부에 배치된 스풀과, 릴 본체의 한쪽에 장착된 핸들과, 핸들의 회전을 스풀에 전달하는 회전전달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릴 본체는, 좌우 한쌍의 측판과 양 측판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갖는 릴 프레임과, 양 측판의 바깥쪽을 덮는 한쌍의 측커버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종류의 양베어링릴에 있어서, 릴 본체의 핸들장착측과 반대측의 한쪽 측판에 스풀이 통과할 수 있는 원형의 개구를 형성하고 스풀을 핸들장착측과 반대측의 측면에서 착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이 종래부터 알려져 있다. 종래의 양베어링릴의 한쪽 측커버는 스풀을 착탈하기 위해 한쪽 측판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원형의 개구에는 스풀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스풀지지부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스풀지지부는 측커버와 일체로 착탈될 수 있도록 한쪽 측커버에 연결되어 있으며 스풀지지부 또는 측커버를 측판에 대하여 착탈하면 측커버 및 스풀지지부가 측판으로부터 일체로 착탈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스풀지지부를 착탈조작하기 위한 착탈조작부는 한쪽 또는 다른쪽 측커버로부터 노출되어 외부에서 조작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스풀지지부 및 측커버가 일체로 벗겨지면 개구를 통과시켜 스풀을 장착 및 분해할 수 있다. 또한 스풀제동용 원심제동기구 등의 제동기구가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동기구의 제동력을 조정할 수 있다.
한쪽 측커버에 착탈조작부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착탈조작부는 예를 들면 접을 수 있는 조작부재와, 조작부재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걸림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걸림부재는 다른쪽 측판에 형성된 스풀통과용 개구 주위에 걸어멈춤된다.
착탈조작부가 다른쪽(핸들장착측) 측커버로부터 노출되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착탈조작부는 예를 들면 양 측판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머리부가 다른쪽 측커버로부터 노출되는 복수개의 나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나아가 이러한 종류의 양베어링릴에 있어서, 측판이나 측커버가 금속제이고 측면에서 보아 대략 원형인 환형(丸形)의 양베어링릴이 종래부터 알려져 있다. 이러한 종류의 금속제의 환형의 양베어링릴에서는 핸들장착측의 다른쪽 측커버와 측판 사이에는 핸들의 회전을 스풀에 전달하는 회전전달기구나 핸들과 스풀을 연결·차단하는 클러치기구 등이 배치되어 있다. 한쪽 측커버와 측판 사이에는 스풀의 낚시줄 방출방향의 회전을 제동하는 원심력이나 자력을 이용한 제동기구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금속제의 환형 양베어링릴에는, 의장성의 향상이나 경량화를 꾀하기 위해 외주면을 절삭가공하거나 측커버에 내주면을 관통하는 관통공을 형성한다.
상기 종래의 구성에 있어서, 착탈조작부가 한쪽 측커버에 외부로 노출되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조작부재가 돌출되기 쉬우므로 낚시할 때 릴 본체와 낚시대를 함께 쥐면 손바닥에 조작부재가 접촉되는 경우가 있다. 손바닥에 조작부재가 접촉되면 손바닥에 위화감을 느낄 수 있다. 또한 착탈조작부의 구조에 따라서 실수로 착탈조작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나아가 한쪽 측커버에 착탈조작부를 설치하면 특히 측면에서 보아 원형인 금속제의 환형 릴의 경우에는 디자인적으로도 세련된 인상을 줄 수 없어 고급스러운 느낌의 외관을 얻기 힘들다.
또한 착탈조작부가 다른쪽 측커버에 외부로 노출되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복수개의 나사를 빼야 하기 때문에 착탈조작이 번거롭다.
한편 상기 종래의 환형 양베어링릴에는, 릴 본체의 측커버에 관통공을 형성하면 관통공으로부터 모래나 먼지 등의 이물질이나 수분이 릴 내부에 침입하기 쉽 다. 이러한 이물이나 수분이 내부에 침입하면 측커버 내부에 배치된 각종 기구에 그것들이 달라붙어 스풀의 회전성능 열화나 제동성능 열화 등이 발생하기 쉽다. 특히 다른쪽(핸들장착측과 반대측) 측판에 스풀을 착탈하기 위한 개구를 설치한 구성의 양베어링릴에서는 이물질이나 수분이 개구를 통해 스풀쪽으로 침입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릴 본체를 쥐었을 때 위화감이 생기지 않도록 하고 또한 실수로 착탈조작하지 않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고급스러운 외관으로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과제는, 한쪽 측커버를 쉽게 개폐할 수 있으며 또한 릴 본체를 쥐었을 때 손바닥에 닿지 않고 측커버를 개폐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과제는, 의장성의 향상이나 경량화를 꾀하기 위해 측커버에 관통공을 형성했다 해도 내부로 이물질이나 수분이 침입하는 것을 막는 데 있다.
발명 1에 관한 양베어링릴의 릴 본체는, 핸들이 일측면에 배치되고 내부에 스풀이 배치된 양베어링릴의 릴 본체로서, 프레임과 스풀지지부와 착탈조작부와 제1측커버와 제2측커버를 구비하고 있다. 프레임은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스풀이 통과할 수 있는 원형의 제1개구가 한쪽에 설치된 한쌍의 측판을 갖는다. 스풀지지부는 제1개구를 노출시키도록 한쪽 측판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스풀의 회전축 일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착탈조작부는 스풀지지부를 착탈조작하기 위해 한 쪽 측판 또는 스풀지지부에 설치된 것이다. 제1측커버는 제1개구가 형성된 한쪽 측판의 바깥쪽을 스풀지지부 및 착탈조작부를 포함하여 덮는 개폐가능한 커버이다. 제2측커버는 다른쪽 측판의 바깥쪽을 덮고 또 핸들의 회전축이 지지되는 커버이다.
이 양베어링릴의 릴 본체에서는 스풀을 착탈할 때에는 제1측커버를 한쪽 측판에서 벗기고 내부에 배치된 착탈조작부를 조작하여 스풀지지부를 한쪽 측판에서 벗긴다. 그러면 제1개구가 외부로 노출되어 스풀을 해체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스풀을 제동하는 원심제동기구가 스풀측부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스풀지지부를 벗김으로써 원심제동기구의 제동력을 조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착탈조작부가 스풀지지부와 함께 제1측커버에 의해 덮혀 있기 때문에 낚시대를 잡을 때 등 릴 본체를 쥐더라도 착탈조작부를 실수로 조작하거나 착탈조작부가 접촉하여 위화감이 생기는 일은 없다. 나아가 착탈조작부가 제1측커버에 감추어져 외부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제1측커버 의장의 자유도가 높아져 고급스러운 외관을 쉽게 얻을 수 있다.
발명 2에 관한 양베어링릴의 릴 본체는, 발명 1에 기재된 릴 본체에 있어서, 양 측커버 및 측판은 회전축방향에서 본 외형이 원형 또는 대략 원형이다. 이 경우에는 환형 양베어링릴의 릴 본체로부터 착탈조작부를 감출 수 있기 때문에 고급스러운 외관을 쉽게 얻을 수 있다.
발명 3에 관한 양베어링릴의 릴 본체는, 발명 2에 기재된 릴 본체에 있어서, 양 측커버 및 프레임은 금속제이다. 이 경우에는 외관이 금속의 질감으로 표현되기 때문에 고급스러움을 더 연출할 수 있다.
발명 4에 관한 양베어링릴의 릴 본체는, 발명 1에 기재된 릴 본체에 있어서, 제1개구에는 암걸림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스풀지지부는 회동에 의해 암걸림부에 결합·이탈되는 수걸림부를 갖는다. 이 경우에는 스풀지지부를 일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양 걸림부가 결합되어 스풀지지부가 개구부분에서 한쪽 측판에 장착된다. 또한 반대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이탈하여 스풀지지부가 측판에서 벗겨진다. 여기에서는 회동조작에 의해 스풀지지부를 측판에 대해 간단히 착탈할 수 있다.
발명 5에 관한 양베어링릴의 릴 본체는, 발명 4에 기재된 릴 본체에 있어서 암걸림부는 암나사이고 수걸림부는 수나사이다. 이 경우에는 스풀지지부의 착탈구조를 암수나사에 의해 간단한 가공으로 실현할 수 있다.
발명 6에 관한 양베어링릴의 릴 본체는, 발명 4 또는 발명 5에 기재된 릴 본체에 있어서, 착탈조작부는 스풀지지부의 바깥면에 설치된 회동조작용 조작볼록부를 갖는다. 이 경우에는 돌출된 조작볼록부를 잡고 간단히 스풀지지부를 회동시킬 수 있다.
발명 7에 관한 양베어링릴의 릴 본체는, 발명 6에 기재된 릴 본체에 있어서, 스풀지지부는 조작볼록부와 수걸림부 사이에 스풀의 측부를 향할 수 있는 제2개구를 갖는다. 이 경우에는 제2개구에서 스풀측부를 향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원심제동기구를 스풀측부에 설치한 경우에는 원심제동기구의 제동력의 조정을 스풀지지부를 벗기지 않고 간단히 조정할 수 있다. 더구나 스풀지지부가 측판에 장착된 채로 있기 때문에 제동력을 조정할 때 등에 스풀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발명 8에 관한 양베어링릴의 릴 본체는, 발명 6에 기재된 릴 본체에 있어서, 제1측커버의 한쪽 측판에 대향하는 안쪽면에는 스풀지지부가 삽입 불량시에 조작볼록부에 접촉하는 돌출부가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삽입 불량으로 조작볼록부가 비정상적인 회동위치에 있으면 측커버에 마련된 돌출부가 조작볼록부에 접촉하여 측커버를 측판에 정상적으로 장착할 수 없게 된다. 이 때문에 스풀지지부를 확실히 측판에 장착할 수 있다.
발명 9에 관한 양베어링릴의 릴 본체는, 발명 1에 기재된 릴 본체에 있어서, 제1측커버는 스풀의 회전축과 평행한 제1축에 축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또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한쪽 측판에 장착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제1측커버가 스풀의 회전축과 평행한 축주위로 요동하기 때문에 착탈시에 회전축 방향의 스페이스가 별로 필요없어 제1측커버를 컴팩트하게 착탈할 수 있다.
발명 10에 관한 양베어링릴의 릴 본체는, 발명 9에 기재된 릴 본체에 있어서, 제1측커버를 측판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바이어스시키는 제1바이어스부재를 더 구비한다. 이 경우에는 측판과 제1측커버의 걸어맞춤이 해제되면 제1측커버가 측판에서 이격되기 때문에 자중(自重)에 의해 제1측커버가 자동으로 요동하여 스풀지지부가 노출된다.
발명 11에 관한 양베어링릴의 릴 본체는, 발명 9 또는 발명 10에 기재된 릴 본체에 있어서, 스풀지지부는 제1측커버의 안쪽에서 제1축에 축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또한 축방향 이동 가능하게 한쪽 측판에 장착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스풀지지부도 제1측커버와 같이 요동하기 때문에 스풀지지부도 착탈시에 회전축 방향의 스페이스가 별로 필요없어 제1측커버를 컴팩트하게 착탈할 수 있다. 또한 요동축을 제1측커버와 공용하고 있기 때문에 요동구조도 간소해진다.
발명 12에 관한 양베어링릴의 릴 본체는, 발명 11에 기재된 릴 본체에 있어서, 스풀지지부를 측판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바이어스시키는 제2바이어스부재를 더 구비한다. 이 경우에는 측판과 스풀지지부의 걸어맞춤이 해제되면 스풀지지부가 측판에서 이격되기 때문에 자중에 의해 스풀지지부가 자동으로 요동하여 제1개구에서 스풀측부가 노출된다.
발명 13에 관한 양베어링릴의 릴 본체는, 발명 9에 기재된 릴 본체에 있어서, 제1측커버는 상기 제1축을 따라 배치되고 또한 측판에 회동 가능하게 또한 축방향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요동축의 선단에 고정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제1측커버가 요동축의 선단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요동축을 소정의 축방향위치에 위치결정 고정함으로써 제1측커버를 측판에 간단히 고정할 수 있다.
발명 14에 관한 양베어링릴의 릴 본체는, 발명 13에 기재된 릴 본체에 있어서, 제2측커버에 회전 가능하게 또한 착탈 불가능하게 장착되고, 요동축의 타단에 나사결합되는 나사부재를 더 구비한다. 이 경우에는 제2측커버에 설치된 나사부재를 요동축에 나사결합시킴으로써 제1측커버를 핸들측으로 잡아당겨 측판에 고정할 수 있다.
발명 15에 관한 양베어링릴의 릴 본체는, 발명 13에 기재된 릴 본체에 있어서, 제2측커버에 요동축의 직경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요동축의 타단을 걸어멈춤하는 걸림부재를 더 구비한다. 이 경우에는 걸림부재를 직경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요동축을 걸어멈춤할 수 있기 때문에 제1측커버의 착탈조작이 용 이해진다.
발명 16에 관한 양베어링릴의 릴 본체는, 발명 1에 기재된 릴 본체에 있어서, 제1측커버는 스풀의 회전축과 교차되는 제2축에 평행한 축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제1측커버가 회전축과 교차되는 제2축에 평행한 축주위로 요동하기 때문에 회전축 방향의 스페이스는 커지지만 제2축방향의 스페이스는 커지지 않는다.
발명 17에 관한 양베어링릴의 릴 본체는, 발명 9에 기재된 릴 본체에 있어서, 요동하여 열린 제1측커버를 열린 상태로 유지하는 유지수단을 더 구비한다. 이 경우에는 열린 상태로 제1측커버가 유지되기 때문에 스풀의 교환이나 원심제동기구의 조정이 용이하다.
발명 18에 관한 양베어링릴의 릴 본체는, 낚시대에 장착되며 핸들이 일측면에 배치되고 내부에 스풀이 배치된 양베어링릴의 릴 본체로서, 프레임과 제1측커버와 제2측커버와 낚시대 장착부와 개폐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프레임은 스풀이 사이에 배치되는 제1 및 제2측판과, 양 측판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갖고 있다. 제1측커버는 제1측판의 바깥쪽을 덮고 또한 제1측판에 개폐 가능하게 장착된 것이다. 제2측커버는 제2측판의 바깥쪽을 덮고 또한 핸들이 장착된 것이다. 낚시대 장착부는 양 측판 사이에서 낚시대에 장착된다. 개폐기구는 한쪽 측커버로부터 노출되게 마련된 하나의 조작부를 가지며 다른쪽 측커버를 개폐하기 위한 기구이다.
이 양베어링릴의 릴 본체에서는 제2측커버(핸들장착측)으로부터 노출되게 마련된 하나의 조작부를 조작하는 것만으로 제1측커버를 개폐조작할 수 있다. 이 때 문에 개폐조작이 용이하다. 더구나 조작부가 낚시중에 릴을 쥘 때 손바닥에 닿기 어려운 핸들장착측의 제2측커버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조작부가 돌출되어 있어도 릴을 쥘 때 손바닥에 조작부가 닿지 않는다.
발명 19에 관한 양베어링릴의 릴 본체는, 발명 18에 기재된 릴 본체에 있어서, 양 측커버 및 양 측판 중 적어도 한쪽은 회전축방향에서 본 외형이 원형 또는 대략 원형이다. 이 경우에는 환형 양베어링릴의 제1측커버에 조작부를 설치하지 않았기 때문에 제2측커버로 고급스러운 외관을 쉽게 얻을 수 있다.
발명 20에 관한 양베어링릴의 릴 본체는, 발명 19에 기재된 릴 본체에 있어서, 양 측커버 및 프레임은 금속제이다. 이 경우에는 외관이 금속의 질감으로 표현되기 때문에 고급스러움을 더 연출할 수 있다.
발명 21에 관한 양베어링릴의 릴 본체는, 발명 18에 기재된 릴 본체에 있어서, 제1측커버는 스풀의 회전축과 평행한 제1축에 축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또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제1측판에 장착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제1측커버가 스풀의 회전축과 평행한 축주위로 요동하기 때문에 착탈시에 회전축 방향의 스페이스가 별로 필요없어 다른쪽 측커버를 컴팩트하게 착탈할 수 있다.
발명 22에 관한 양베어링릴의 릴 본체는, 발명 21에 기재된 릴 본체에 있어서, 제1측커버를 제1측판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바이어스시키는 제1바이어스부재를 더 구비한다. 이 경우에는 제1측판에서 제1측커버가 벗겨지면 제1측커버가 제1측판에서 이격되기 때문에 자중에 의해 제1측커버가 자동적으로 요동하여 열린다.
발명 23에 관한 양베어링릴의 릴 본체는, 발명 21에 기재된 릴 본체에 있어 서, 제1측커버는 상기 제1축을 따라 배치되고 또한 제1측판에 회동 가능하게 또한 축방향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요동축의 선단에 고정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제1측커버가 요동축의 선단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요동축을 소정의 축방향 위치에서 위치결정 고정함으로써 제1측커버를 다른쪽 측판에 간단히 고정할 수 있다.
발명 24에 관한 양베어링릴의 릴 본체는, 발명 23에 기재된 릴 본체에 있어서, 조작부는 제2측커버에 회전 가능하게 또한 착탈 불가능하게 장착되고, 요동축의 타단에 나사결합되는 나사부재이다. 이 경우에는 제2측커버에 설치된 나사부재를 요동축에 나사결합시킴으로써 제1측커버를 핸들측으로 잡아당겨 제1측판에 고정할 수 있다.
발명 25에 관한 양베어링릴의 릴 본체는, 발명 23에 기재된 릴 본체에 있어서, 조작부는 제2측커버에 요동축의 직경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요동축의 타단을 걸어멈춤하는 걸림부재이다. 이 경우에는 걸림부재를 직경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요동축을 걸어멈춤할 수 있기 때문에 제1측커버의 착탈조작이 용이해진다.
발명 26에 관한 양베어링릴의 릴 본체는, 발명 18에 기재된 릴 본체에 있어서, 제1측커버는 스풀의 회전축과 교차되는 제2축에 평행한 축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제1측커버가 회전축과 교차되는 제2축에 평행한 축주위로 요동하기 때문에 회전축 방향의 스페이스는 커지지만 제2축방향의 스페이스는 커지지 않는다.
발명 27에 관한 양베어링릴의 릴 본체는, 발명 21에 기재된 릴 본체에 있어 서, 요동하여 열린 제1측커버를 열린 상태로 유지하는 유지수단을 더 구비한다. 이 경우에는 열린 상태로 제1측커버가 유지되기 때문에 스풀의 교환 등이 용이하다.
발명 28에 관한 양베어링릴의 릴 본체는, 낚시대에 장착되며 핸들이 일측면에 배치되고 내부에 스풀이 배치된 양베어링릴의 릴 본체로서, 프레임과 제1측 및 제2측커버와 실링부재와 낚시대 장착부를 구비하고 있다. 프레임은 스풀이 사이에 배치되는 제1 및 제2측판과, 양 측판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갖고 있다. 제1측 및 제2측커버는 양 측판의 바깥쪽을 덮고 또한 적어도 한쪽에 내외면을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것이다. 실링부재는 양 측커버 중 관통공이 형성된 측커버의 내면에 복수의 관통공을 막도록 배치된 부재이다. 낚시대 장착부는, 양 측판 사이에서 낚시대에 장착되는 것이다.
이 양베어링릴의 릴 본체에는, 의장성의 향상이나 경량화를 꾀하기 위해 제1 및 제2측커버 중 적어도 한쪽에 내외면을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공이 형성된 측커버의 내면에는 복수의 관통공을 막도록 실링부재가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측커버에 의장성의 향상이나 경량화를 꾀하기 위해 관통공을 형성해도 내부로의 이물질이나 수분의 침입을 막을 수 있다.
발명 29에 관한 양베어링릴의 릴 본체는, 발명 28에 기재된 릴 본체에 있어서, 제2측커버에는 핸들이 장착되고, 관통공은 핸들이 장착되어 있지 않은 제2측커버에만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핸들측에 비해 배치되어 있는 기구가 적은 핸들장착측과 반대측의 제1측커버에만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령 이물질이나 수분이 침입하더라도 침입에 의한 손상을 최소한으로 막을 수 있다.
발명 30에 관한 양베어링릴의 릴 본체는, 발명 28에 기재된 릴 본체에 있어서, 실링부재는 관통공이 형성된 측커버의 내면의 대략 전면(全面)에 장착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실링부재가 측커버의 대략 전면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다수의 관통공을 형성하더라도 실링구조가 간소해진다.
발명 31에 관한 양베어링릴의 릴 본체는, 발명 30에 기재된 릴 본체에 있어서, 실링부재는 측커버에 체결되는 체결부를 갖고 있다. 이 경우에는 측커버가 체결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나사에 의해 측커버에 실링부재를 착탈 가능하게 또한 강고히 장착할 수 있다.
발명 32에 관한 양베어링릴의 릴 본체는, 발명 31에 기재된 릴 본체에 있어서, 제1측판에는 스풀이 통과할 수 있는 원형의 개구가 설치되고 개구를 노출시키도록 제1측판에 회동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스풀의 회전축의 일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스풀지지부를 더 구비하고, 실링부재의 체결부는 스풀지지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어 돌출부분으로 스풀지지부의 회전을 멈춘다. 이 경우에는 개구를 노출시키도록 제1측판에 회동에 의해 착탈 가능한 스풀지지부의 회동이 실링부재의 체결부에 의해 저지되기 때문에 제1측커버를 장착하면 스풀지지부가 측판에 대해 쉽게 느슨해지지 않는다.
발명 33에 관한 양베어링릴의 릴 본체는, 발명 31에 기재된 릴 본체에 있어서, 실링부재는 제1측커버에 걸어멈춤되는 걸림부를 체결부에서 이격된 위치에 가지고 있다. 이 경우에는 걸림부로 걸어멈춤한 후 체결부에서 체결함으로써 한 군데의 체결만으로 실링부재를 제1측커버에 강고히 장착할 수 있다.
발명 34에 관한 양베어링릴의 릴 본체는, 발명 18 내지 발명 3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릴 본체에 있어서, 실링부재는 합성 수지제이다. 이 경우에는 사출성형 등 가공방법을 이용함으로써 측커버의 내면형상에 따른 형으로 하기 쉬우며 또한 합성수지의 탄성을 이용하여 양자의 간극을 적게 하여 내부로의 이물질이나 수분의 침입을 더 막을 수 있다.
발명 35에 관한 양베어링릴의 릴 본체는, 발명 34에 기재된 릴 본체에 있어서, 실링부재는 투광성(透光性)을 가지고 있다. 이 경우에는 관통공 부분이 빛을 통과시키기 때문에 실링부재의 존재를 숨기기 쉬워져 실링부재를 측커버 내부에 배치하더라도 의장성의 저하를 막을 수 있다.
〔실시형태 1〕
도 1∼도 3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를 채용한 양베어링릴은 베이트캐스트용의 환형 양베어링릴이다. 이 릴은, 릴 본체(1)와 릴 본체(1) 옆쪽에 배치된 스풀회전용 핸들(2)과, 핸들(2)의 릴 본체(1)측에 배치된 드래그 조정용 스타드래그(3)를 구비하고 있다. 핸들(2)은, 판형의 아암부(2a)와, 아암부(2a)의 양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손잡이(2b)를 갖는 더블핸들형이다.
릴 본체(1)는 예컨대 알루미늄합금이나 마그네슘합금 등의 금속제 부재로서, 프레임(5)과, 프레임(5) 양측에 장착된 제1측커버(6) 및 제2측커버(7)를 가지고 있다. 릴 본체(1)의 내부에는 줄감기용 스풀(12)이 스풀축(20)(도 2)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또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제1측커버(6) 및 제2측커버(7)는 스풀 축 방향에서 보아 원형 또는 대략 원형이다.
프레임(5) 내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풀(12)과, 손에 쥘 경우 엄지손가락이 닿는 클러치레버(17)와, 스풀(12) 내에 균일하게 낚싯줄을 감기 위한 레벨와인드기구(18)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5)과 제2측커버(7) 사이에는 핸들(2)로부터의 회전력을 스풀(12) 및 레벨와인드기구(18)에 전하기 위한 기어기구(19)와, 클러치기구(21)와, 클러치레버(17)의 조작에 따라 클러치기구(21)의 걸림 및 이탈을 제어하기 위한 걸림/이탈제어기구(22)와, 스풀(12)을 제동하는 드래그기구(23)와, 스풀(12) 회전시의 저항력을 조정하기 위한 캐스팅제어기구(24)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5)과 제1측커버(6) 사이에는 캐스팅시의 백래시를 막기 위한 원심브레이크기구(25)가 배치되어 있다.
프레임(5)은,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 제1측판(8) 및 제2측판(9)과, 이들 양 측판(8),(9)을 일체로 연결하는 상하 연결부(10),(11)를 가지고 있다. 제1측판(8) 및 제2측판(9)도 스풀축 방향에서 보아 원형 또는 대략 원형으로서 내부에 공간을 갖는 바닥이 있는 편평한 통형 부재이다. 좌측(핸들(2)장착측과 반대측)의 제1측판(8)의 중심부보다 약간 윗쪽에는 스풀(12)을 착탈하기 위한 원형의 개구(8a)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8a)의 내주면에는 암나사부(8b)가 형성되어 있다. 오른쪽의 제2측판(9)에는 핸들축(30)을 지지하기 위한 통형상의 보스부(7a)와 스풀축(20)을 지지하기 위한 통형상의 보스부(7b)가 간격을 두고 또한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코킹고정되어 있다. 위쪽의 연결부(10)는 양 측판(8),(9)의 외형과 동일면에 배치되어 있고 아래쪽의 연결부(11)는 앞뒤로 한쌍 마련되어 있으며 외형보다 안쪽에 배치되어 있다. 아래쪽의 연결부(11)에는 릴을 낚시대에 장착하기 위한 앞뒤로 긴,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제 장착다리부(4)가 리벳 고정되어 있다.
제1측판(8)의 개구(8a)에는 스풀축(20)의 일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스풀지지부(13)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스풀지지부(13)는 도 1∼도 3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구(8a)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링부(14)와, 링부(14)의 내주측에 링부(14)와 동심으로 배치된 바닥이 있는 통형상의 베어링부(15)와, 링부(14)와 베어링부(15)를 연결함과 동시에 스풀지지부(13)를 회동조작하기 위한 조작볼록부(16)를 갖고 있다. 이들 각 부는 일체 성형된 합성수지 또는 금속제의 부재이다.
링부(14)의 외주면에는 개구(8a)에 형성된 암나사부(8b)에 나사결합되는 수나사부(14a)가 형성되어 있다. 링부(14)의 내주면에는 원심브레이크기구(25)의 브레이크라이너(68)가 고정되어 있다.
베어링부(15)의 내주면에는 스풀축(20)의 일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26b)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바닥에는 캐스팅제어기구(24)의 마찰플레이트(51)가 장착되어 있다.
조작볼록부(16)는 링부(14)와 베어링부(15)를 연결하도록 직경을 따라 배치되어 있으며 축방향 바깥쪽을 향해 볼록하게 만곡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 결과 조작볼록부(16)의 양측에 개구(16a)가 형성된다. 이 개구(16a)에서 스풀(12)의 측부를 향할 수 있음과 동시에 거기에 손가락끝을 넣을 수 있다.
제1측커버(6)는, 도 3∼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풀(12)의 착탈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제1측판(8)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프레임(5)에 대하여 개폐 가능하다. 제1측커버(6)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폐쇄자세에서 도 1 및 도 5에 도시한 개방자세로 요동 가능하다. 제1측커버(6)는 제1측판(8)의 바깥쪽을 덮는 원판형의 커버본체(33)와, 커버본체(33)를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요동축(34)과, 커버본체(33)를 제1측판(8)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바이어스시키는 코일스프링(35)을 갖고 있다. 커버본체(33)는 제1측판을 덮도록 바깥쪽으로 약간 볼록하게 만곡된 금속제의 부재로서, 의장성의 향상을 꾀하기 위해 외주부에 다수의 둥근구멍이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마련되어 있다. 커버본체(33)의 외주측의 내면에는 요동축(34)을 고정시키기 위한 나사공(33a)이 형성되어 있다.
요동축(34)의 선단에는 나사공(33a)에 나사결합되는 나사부(34a)가 형성되어 있으며 나사부(34a)에 인접하여 큰 직경의 공구결합부(34b)가 형성되어 있다. 나사부(34a)는 커버본체(33)에 나사결합되고 이로써 요동축(34)이 커버본체(33)에 고정되어 있다.
요동축(34)의 외주측에는 제1측판(8)을 관통하여 파이프부재(36)가 동심으로 배치되어 있다. 요동축(34)의 선단은 파이프부재(36)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기단(基端)측은 제2측판(9)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또한 제2측커버(7)에서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파이프부재(36)는 요동축(34)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함과 동시에 축방향 이동 불가능하게 지지한다. 파이프부재(36)의 선단에는 큰 직경부(36a)가 형성되어 있으며 큰 직경부(36a) 내에 요동속도를 규제하기 위한 O링(37)이 장 착되어 있다.
큰 직경부(36a)와 제1측판(8) 사이에는 코일스프링(35)이 압축상태로 장착되어 있다. 파이프부재(36)의 큰 직경부(36a)를 제외한 부분의 외주면에는 평행한 모따기부(36b)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1측판(8)에는 모따기부(36b)를 축방향 이동 가능하게 또한 회전 불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작은 구멍(38a)을 갖는 지지부재(38)가 나사 고정되어 있다. 파이프부재(36)의 기단에는 요동축(34)의 축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원판(39)이 리테이닝링(39a)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 규제원판(39)과 공구결합부(34b)로 파이프부재(36)를 클램핑으로써 요동축(34)은 파이프부재(36)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이 규제원판(39)이 제1측판(8)에 접촉함으로써 제1측커버(6)가 열릴 때의 축방향 위치가 결정된다. 이에 따라 제1측커버(6)는 제1측판(8)에 요동 가능하게 또한 축방향으로 소정거리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제1측판(8)에 대하여 탈락하지 않고 개폐 가능하게 되어 있다.
요동축(34)의 기단부에는 나사부(34c)가 형성되어 있으며 나사부(34c)는 착탈너트(40)에 나사결합되어 있다. 착탈너트(40)는 제2측커버(7)에 회전 가능하게 또한 축방향 이동 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 착탈너트(4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착탈너트(40)에서 나사부(34c)를 이격시키면, 요동축(34)은 코일스프링(35)에 바이어스되어 도 4의 왼쪽으로 이동한다. 그러면 커버본체(33)도 왼쪽으로 이동하여 제1측커버(6)가 열린다. 제1측커버(6)가 열리면 자중에 의해 요동한다. 이 때의 요동속도는 O링(37)에 의해 느린 속도로 규제된다.
스풀(12)은 양측부에 접시모양의 플랜지부(12a)를 가지고 있으며 양 플랜지 부(12a) 사이에 통형상의 줄감기 몸체부(12b)를 가지고 있다. 또한 스풀(12)은 줄감기 몸체부(12b)의 내주측 축방향의 실질적으로 중앙부에 일체로 형성된 통형상의 보스부(12c)를 가지고 있으며 보스부(12c)를 관통하는 스풀축(20)에 예컨대 세레이션 결합에 의해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이 고정방법은 세레이션 결합에 한정되지 않고 키결합이나 스플라인결합 등 여러가지 결합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스풀축(20)은 제2측판(9)을 관통하여 제2측커버(7)의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 연장된 일단은 제2측커버(7)에 장착된 보스부(7b)에 베어링(26a)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스풀축(20)의 타단은 상술한 바와 같이 베어링(26b)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스풀축(20)의 큰 직경 부분(20a)의 오른쪽단은 제2측판(9)의 관통부 부분에 배치되어 있으며 거기에는 클러치기구(21)를 구성하는 걸어맞춤핀(20b)이 고정되어 있다. 걸어맞춤핀(20b)은 직경을 따라 큰 직경 부분(20a)을 관통하고 있으며 그 양단이 직경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기어기구(19)는 핸들축(30)과, 핸들축(30)에 고정된 메인기어(31)와, 메인기어(31)에 맞물리는 통형상의 피니언기어(32)를 갖고 있다. 피니언기어(32)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측판(9)의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연장되고 중심에 스풀축(20)이 관통하는 통형부재로서 스풀축(20)에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한 피니언기어(32)의 도 3의 왼쪽단부는, 베어링(27)에 의해 제2측판(9)에 회전 가능하게 또한 축방향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피니언기어(32)의 타단측에는 걸어맞춤핀(20b)에 맞물리는 맞물림홈(32a)이 형성되어 있다. 이 맞물림홈(32a)과 걸어맞춤핀(20b)에 의해 클러치기구(21)가 구성된다.
클러치레버(17)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측판(8) 및 제2측판(9) 사이의 뒷부분에서 스풀(12)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클러치레버(17)는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한다.
캐스팅제어기구(24)는, 스풀축(20)의 양단을 클램핑하도록 배치된 복수의 마찰 플레이트(51)와, 마찰 플레이트(51)에 의한 스풀축(20)의 클램핑력을 조절하기 위한 제동갭(52)을 갖고 있다. 좌측의 마찰 플레이트(51)는 스풀지지부(13) 내에 장착되어 있다.
원심브레이크기구(25)는 도 3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풀(12)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스풀축(20)에 고정된 회전부재(66)와, 회전부재(66)에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직경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통형상의 슬라이딩부재(67)와, 링부(14)의 내주면에 고정되고 슬라이딩부재(67)에 접촉 가능한 브레이크라이너(68)를 갖고 있다. 회전부재(66)는 베어링부(15)의 외주측에 배치되는 원판부(66a)를 갖고 있으며 원판부(66a)에는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예컨대 6개의 오목부(66b)가 형성되어 있다. 각 오목부(66b)에는 대향하는 2쌍의 걸림돌기(70a),(70b)가 직경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걸림돌기(70a)는 외주부에 서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슬라이딩부재(67)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돌기이다. 걸림돌기(70b)는 걸림돌기(70a)보다 내주측에 형성되며 슬라이딩부재(67)가 브레이크라이너(68)에 접촉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돌기이다. 또한 오목부(66b)의 저면에는 직경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축(69)이 방사상으로 배 치되어 있다. 이 가이드축(69)에 슬라이딩부재(67)가 이동 가능하게 안내된다.
슬라이딩부재(67)는 통형상의 부재로서 그 내주측의 단부에 다른 부분보다 큰 직경으로 걸림돌기(70a),(70b)에 걸리는 턱부(67a)를 갖고 있다. 슬라이딩부재(67)는 스풀(12)이 회전하면 원심력에 의해 브레이크라이너(68)에 접촉하여 스풀(12)을 제동한다. 이 때 턱부(67a)가 걸림돌기(70b)를 타고넘어 그보다 내주측에 배치되면 원심력이 작용하더라도 턱부(67a)가 걸림돌기(70b)에 접촉하여 브레이크라이너(68)에 접촉할 수 없다. 이 슬라이딩부재(67)의 직경방향 위치를 절환함으로써 원심브레이크기구(25)의 제동력을 조정할 수 있다.
다음에 스풀(12)의 착탈조작에 대해 설명한다.
백래시 등에 의해 낚싯줄이 스풀(12)에 얽히는 등으로 인하여 스풀(12)을 릴 본체(1)에서 해체할 때에는 제1측커버(6)를 열어 제1측판(8)의 개구(8a)를 개방한다.
제1측커버(6)를 열기 위해서는 우선 착탈너트(40)를 반시계방향으로 돌려 착탈너트(40)에서 요동축(34)을 뺀다. 요동축(34)이 착탈너트(40)로부터 빠지면 코일스프링(35)의 바이어스력에 의해 요동축(34)이 도 4의 왼쪽으로 이동하고 제1측커버(6)도 왼쪽으로 이동한다. 그러면 제1측커버(6)는 자중에 의해 요동축(34) 주위로 요동하고 제1측커버(6)가 개방자세로 열린다. 제1측커버가 열린 상태를 도 1 및 도 5에 도시한다. 제1측커버(6)가 열리면 스풀지지부(13)가 노출된다. 이 상태에서 개구(16a)로부터 손가락을 넣어 원심브레이크기구(25)의 슬라이딩부재(67)의 스풀직경방향의 위치를 절환하면 제동력을 조정할 수 있다. 즉 걸림돌기(70b)보다 내주 측에 배치하면 그 슬라이딩부재(67)가 브레이크라이너(68)에 접촉할 수 없게 되어 제동력이 그만큼 약해진다.
제1측커버(6)를 열면 스풀지지부(13)를 조작볼록부(16)를 손가락으로 잡고 반시계방향으로 돌린다. 그러자 스풀지지부(13)가 제1측판(8)에서 빠져 개구(8a)가 외부로 노출된다. 이 상태에서 스풀축(20)을 잡고 끌어내면 스풀(12)을 분리할 수 있다.
스풀(12)을 꺼내고 다시 스풀(12)을 장착하면 제1측커버(6)를 닫는다. 이 때에는 커버본체(33)를 폐쇄자세측으로 손으로 요동시키고 또 제1측판(8) 쪽으로 압압한다. 이 상태에서 착탈너트(40)를 시계방향으로 돌리면 착탈너트(40)에 요동축(34)의 선단이 삽입되고 제1측커버(6)가 제1측판(8)에 장착되어 폐쇄자세가 된다.
〔실시형태 2〕
상기 실시형태 1에서는, 제1측커버(6)를 스풀축과 평행한 요동축(34) 주위로 요동시켰는데, 스풀축(20)과 교차되는 축에 평행한 축주위로 요동시켜도 상관없다.
도 6에 있어서, 실시형태 2에서는, 제1측커버(106)는 제1측판(108)의 외주부에 요동축(75)에 의해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요동축(75)은 제1측판(108)의 외주부에 스풀축(20)과 직교하는 축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제1측커버(106)는 도 6에 실선으로 도시한 폐쇄자세와 2점쇄선으로 도시한 폐쇄자세 사이에서 요동 가능하다. 또한 제1측커버(106)는 요동축(75)의 외주측에 배치된 코일스프링(77)에 의해 개방자세측으로 바이어스되어 있다. 제1측커버(106) 의 요동부분과 대향하는 외주측의 안쪽면에는 나사공(76)이 형성되어 있다. 나사공(76)에는 착탈축(80)의 선단이 나사결합되어 있다.
제1측커버(106)의 안쪽면에는 안쪽으로 돌출된 돌기부(78)가 마련되어 있다. 이 돌기부(78)는 커버본체(133)와 일체 또는 별개로 마련되어 있다. 돌기부(78)는 스풀지지부(13)가 제1측판(108)에 나사결합되고 조작볼록부(16)가 소정의 회동위치에 배치되었을 때 조작볼록부(16)에 접촉하지 않고 삽입 불량으로 소정의 회동위치에서 어긋나 조작볼록부(16)가 배치되었을 때 접촉하도록 소정 위치보다 삽입 방향 상류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돌기부(78)를 마련하면, 스풀지지부(13)가 확실히 제1측판(108)에 삽입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제1측커버(106)를 폐쇄자세로 할 수 없게 된다. 이 때문에 제조시나 장착시에 부주의에 의한 스풀지지부(13)의 장착실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나사가 이완되어도 조작볼록부(16)가 돌기부(78)에 접촉한 시점에서 더 이상 스풀지지부(13)가 돌지 않게 되고 느슨함도 방지된다. 더구나 소정 위치보다 삽입 방향 상류측에 배치하였기 때문에 나사의 마모에 의해 소정 위치가 삽입 방향 하류측(보통은 소정 위치의 시계방향)으로 어긋나더라도 조작볼록부(16)가 돌기부(78)에 접촉하지 않는다.
착탈축(80)은 양 측판(108),(109)에 회전 가능하게 또한 소정거리 축방향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기단이 제2측커버(7)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착탈축의 선단에는 나사공(76)에 나사결합되는 수나사부(80a)가 형성되어 있으며 기단에는 회동조작을 하기 위한 조작손잡이(80b)가 장착되어 있다. 이 조작손잡이(80b)를 돌림으로써 제1측커버(106)를 폐쇄자세에서 개방자세로 열 수 있다.
여기에서는 폐쇄자세 상태에서 조작손잡이(80b)를 반시계방향으로 돌리면 착탈축(80)에서 제1측커버(6)가 벗겨지고 코일스프링(77)의 바이어스력에 의해 제1측커버(106)가 개방자세측으로 요동한다. 또한 열린 상태에서 닫을 때에는 제1측커버(106)를 손으로 폐쇄자세측으로 요동시켜 조작손잡이(80b)를 시계방향으로 돌리면 착탈축(80)이 제1측커버(106)의 나사공(76)에 나사결합되어 폐쇄자세로 유지된다.
〔실시형태 3〕
실시형태 1에서는 요동축(34)의 기단을 나사로 유지했는데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요동축(34)의 기단을 슬라이딩하는 걸림부재(85)에 의해 유지해도 상관없다. 또한 개방자세일 때 그 요동위치를 강제로 유지시켜도 좋다.
도 7에 있어서 요동축(34)의 기단에는 걸림원판(45)이 요동축(34)에 대해 편심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걸림원판(45)의 외주면에는 개방자세로 제1측커버(6)를 유지하기 위한 O링(45a)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제2측커버(7)의 내주면에는 O링(45a)이 접촉하는 접촉부(7d)가 형성되어 있다. 걸림원판(45)은 제1측커버(6)가 폐쇄자세에 있을 때 가장 접촉부(7d)에서 이격된 상태로 요동축(34)에 장착되어 있다. 제1측커버(6)가 폐쇄자세에서 개방자세로 요동하면 요동축(34)과 함께 걸림원판(45)도 축방향 왼쪽으로 이동하여 도 7에 2점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회동하고 O링(45a)이 접촉부(7d)에 접촉하여 개방자세로 유지된다. 이로써 개방자세일 때의 요동위치가 강제로 유지되어 제1측커버(6)가 잘 흔들리지 않게 된다. 또한 걸림원판(45)을 요동축(34)에 동심으로 배치하고 외주부의 일부를 절결하여 D자형으로 형성하고 그 외주의 절결한 부분을 닫힌 상태일 때 접촉부(7d)에 대향시켜도 상관없다.
걸림부재(85)는, 제2측커버(7)의 측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 슬라이딩부(85a)와, 슬라이딩부(85a)에 고정된 걸림편(85b)을 갖고 있다. 슬라이딩부(85a)는, 예를 들면 직경방향으로 형성된 장공(7c)에 안내되어 직경방향 이동 가능하다. 또한 미도시된 유지기구에 의해 슬라이딩부(85a)는, 도 7에 실선으로 도시한 걸림해제위치와 2점쇄선으로 도시한 걸림위치 사이에서 유지된다. 걸림편(85b)은 탄성을 갖는 금속제의 판형부재로서 기단은 요동축(34)을 따라 배치되며 선단은 요동축을 향해 절곡되고 또한 걸림원판(45)을 향해 산처럼 볼록하게 절곡되어 있다. 이 산처럼 절곡된 선단은 요동축(34)을 넘을 수 있도록 2개로 나뉘어 있으며 산처럼 볼록한 부분(85c)이 걸림원판(45)의 도 7의 왼쪽면에 접촉한다. 이 때 걸림편(85b)은 탄성에 의해 휘어 걸림원판(45)을 통해 요동축(34)을 도 7의 오른쪽으로 바이어스시키고 요동축(34)을 폐쇄자세로 유지한다.
또 걸림의 형태는 걸림편에 한정되지 않으며 요동축(34)을 폐쇄자세로 유지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라도 상관없다.
〔실시형태 4〕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측커버(206)에 더해 스풀지지부(113)도 제1측판(208)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해도 좋다. 또 실시형태 4에서는 양자를 같은 요동축(134) 주위로 요동시키고 있지만 별도의 요동축으로 요동시켜도 상관없다. 또한 제1측커버(206)를 실시형태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풀축(20)과 직교하는 축 에 평행한 축주위로 요동시켜도 상관없다.
도 8 및 도 9에 있어서, 스풀지지부(113)는 요동 프레임(90)에 회동 가능하게 또한 축방향 이동 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요동 프레임(90)는 대소 2개의 원을 연결한 대략 빗방울 모양의 판형부재로서, 큰 원 부분에 스풀지지부(113)를 장착하기 위한 원형의 개구(90a)가 형성되어 있다. 스풀지지부(113)의 링부(114)의 외주면에는 단차부(114b)가 형성되어 있으며 단차부(114b)에 인접하여 리테이닝링(92)이 장착되어 있다. 이 단차부(114b)에 개구(90a)가 끼워져 스풀지지부(113)가 요동프레임(9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단차부(114b)에 인접하게 리테이닝링(92)이 장착되어 있다. 이 리테이닝링(92)에 의해 개구(90)에서의 스풀지지부(113)의 축방향 이동이 규제된다. 작은 원 부분에는 요동축(134)이 관통한 보스부(90b)가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부분에 보스부(90b)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요동프레임(90)이 요동축(134)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요동축(134)의 선단에는, 실시형태 1과 같이 나사공(133a)에 나사결합되는 나사부(134a)가 형성되어 있으며 나사부(134a)에 인접하여 큰 직경의 공구결합부(134b)가 형성되어 있다. 나사부(134a)는 커버본체(133)에 나사결합되어 있다. 보스부(90b)와 공구결합부(134b) 사이에는 요동축(134)의 외주측에 코일스프링(135)이 압축상태로 장착되어 있다. 이 코일스프링(135)은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제1측커버(206)를 바깥쪽으로 바이어스시키기 위한 부재이다.
보스부(90b)에 인접하여 요동축(134)의 외주측에는 제1측판(208)을 관통하여 파이프부재(136)가 동심으로 배치되어 있다. 요동축(134)의 선단은 파이프부재(136)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기단측은 측판(9)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제2측커버(7)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파이프부재(136)는 요동축(134)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함과 동시에 축방향 이동 불가능하게 지지한다. 파이프부재(136)의 선단에는 큰 직경부(136a)가 형성되어 있으며 큰 직경부(136a) 내에 요동속도를 규제하기 위한 O링(137)이 장착되어 있다.
큰 직경부(136a)와 제1측판(208) 사이에는 코일스프링(94)이 압축상태로 장착되어 있다. 이 코일스프링(94)은 요동 프레임(90)을 축방향 바깥쪽으로 바이어스시키기 위한 부재이다. 파이프부재(136)의 큰 직경부(136a)를 제외한 부분의 외주면에는 평행한 모따기부(136b)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1측판(208)에는 모따기부(136b)를 축방향 이동 가능하게 또한 회전 불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작은 구멍(138a)을 갖는 지지부재(138)가 나사 고정되어 있다. 파이프부재(136)의 기단에는 간극을 두고 요동축(134)의 축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원판(139)이 리테이닝링(139a)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파이프부재(136)의 기단과 규제원판(139) 사이의 간극 만큼 제1측커버(206)가 축방향으로 이동한다. 제1측커버(206)의 이동후에 규제원판(139)과 공구결합부(134b)로 파이프부재(136)를 클램핑함으로써 요동축(134)은 파이프부재(136)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이 규제원판(139)이 측판(820)에 접촉함으로써 제1측커버(206)가 열릴 때의 축방향 위치가 결정된다. 이에 따라 제1측커버(206)는 제1측판(208)에 요동 가능하게 또한 축방향으로 소정거리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제1측판(208)에 대하여 탈락하지 않고 개폐 가능하게 되어 있다.
요동축(134)의 기단부에는 나사부(134c)가 형성되어 있으며 나사부(134c)는 착탈너트(40)에 나사결합되어 있다. 착탈너트(40)는 제2측커버(7)에 회전 가능하게 또한 축방향 이동 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 착탈너트(4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착탈너트(40)에서 나사부(134c)를 이격시키면, 요동축(134)은 코일스프링(135)에 바이어스되어 도 9의 왼쪽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규제원판(139)이 파이프부재(136)에 접촉하면 파이프부재(136)는 요동 프레임(90)에 접촉해 있어 왼쪽으로는 이동할 수 없기 때문에 요동축(134)은 정지된다. 그러면 커버본체(133)도 왼쪽으로 이동하여 제1측커버(206)가 열린다. 제1측커버(206)가 열리면 자중에 의해 요동한다. 이 때의 요동속도는 O링(137)에 의해 느린 속도로 규제된다. 이 상태에서는 제1측커버(206)만 열린다.
계속해서 스풀지지부(113)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스풀지지부(113)를 제1측판(208)에서 뺀다. 그러자 빠진 시점에서 코일스프링(94)에 의해 바이어스되어 규제원판(139)이 제1측판(208)에 접촉할 때까지 왼쪽으로 이동한다. 이 상태에서 보스부(90b)가 제1측판(208) 바깥쪽으로 이동하여 자중에 의해 요동한다.
여기에서는 1개의 요동축(134)으로 2개의 부재를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지지부분의 구성이 간소해진다. 또한 스풀지지부(113)가 제1측판(208)으로부터 분리되지 않기 때문에 스풀지지부(113)를 분실할 우려가 없다.
〔실시형태 5〕
도 10∼도 12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 5를 채용한 양베어링릴은 베이트캐스트용의 환형 양베어링릴이다. 이 릴은, 릴 본체(301)와 릴 본체(301) 옆에 배치된 스풀회전용 핸들(302)과, 핸들(302)의 릴 본체(1)측에 배치된 드래그 조정용 스타드래그(3)를 구비하고 있다.
[핸들의 구성]
핸들(302)은, 판형의 아암부(302a)와, 아암부(302a)의 양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손잡이(302b)를 갖는 더블핸들형이다. 아암부(302a)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들축(330)의 선단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너트(328)에 의해 핸들축(330)에 체결되어 있다. 핸들축(330)의 선단은 다른 부분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그 외주면에 수나사부(330a)와 평행한 모따기부(330b)가 형성되어 있다. 너트(328)는 수나사부(330a)에 나사결합되어 아암부(302a)를 핸들축(330)에 체결하고 있다.
암부(302a)의 핸들축(330) 장착부분에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은 구멍(302c)이 형성되어 있으며 작은 구멍(302c)이 모따기부(330b)에 걸어맞춤됨으로써 아암부(302a)는 핸들축(330)에 회전 불가능하게 걸어멈춤된다. 이 작은 원형공(302c) 주위에는 큰 직경부와 큰 직경부에서 이격된 작은 직경부와 양 부를 연결하는 포락선(包絡線)으로 구성된 대략 빗방울 모양의 수납 오목부(302d)가 형성되어 있다.
너트(328)는, 아암부(302a)의 수납 오목부(302d)에 장착된 리테이너(329)에 의해 회전 방지되어 있다. 너트(328)는 소정 길이로 육각형으로 형성된 너트부(328a)와, 너트부(328a)보다 작은 직경으로 서서히 축소되는 대략 원추사다리꼴의 자루부(328b)를 갖는 육각자루너트이다. 너트부(328a)의 축방향 길이(소정 길이)는 리테이너(329) 두께의 0.8∼1.3배의 범위이다. 이러한 범위로 너트부(328a)의 축방향 길이가 설정되면 너트부(328a)가 리테이너(329)의 외면으로부터 거의 돌출되지 않아 그 부분이 손에 닿거나 낚싯줄에 접촉할 가능성이 적어진다. 자루부(328b)는 선단이 미끄럽게 둥글게 되어 낚싯줄이 잘 걸리지 않는 구조이다.
리테이너(329)는, 큰 직경부와 큰 직경부에서 이격된 작은 직경부와 양 부를 연결하는 포락선으로 구성된 수납 오목부(302d)의 가장자리부를 따른 외형을 갖는 대략 빗방울 모양의 스테인리스강 등의 금속제 판형부재로서 그 판두께는 수납 오목부(302d)의 깊이와 거의 동일하다. 그 결과 리테이너(329)는 아암부(302a)의 바깥면과 대략 같은 면에 장착되어 있다. 리테이너(329)의 큰 직경부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너트부(328a)의 외주 각부(角部)를 걸어멈춤할 수 있는 12개의 각부에 별모양의 결합공(329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작은 직경부에 해당하는 부분에는 탈락방지 및 회전 방지용 머리부와 나사부를 갖는 작은 나사(329b)가 장착되고, 작은 나사(329b)에 의해 리테이너(329)는 아암부(302a)에 고정되어 있다. 이 리테이너(329)의 작은 나사 장착부분에는 원형의 장착 오목부(329c)가 형성되어 있으며 작은 나사(329b)의 머리부가 아암부(302a)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리테이너(329) 및 작은 나사(329b)가 아암부(302a)로부터 돌출되지 않기 때문에 낚싯줄이 그것에 걸리거나 조여들어가기 어려워진다.
〔릴 본체의 구성〕
릴 본체(301)는 예컨대 알루미늄합금이나 마그네슘합금 등의 금속제 부재로 서, 프레임(305)과, 프레임(305) 양측에 장착된 제1측커버(306) 및 제2측커버(307)를 가지고 있다. 릴 본체(301)의 내부에는 줄감기용 스풀(312)이 스풀축(320)(도 12)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또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제1측커버(306)는 스풀축 방향에서 보아 원형이고, 제2측커버(307)는 2개의 교차되는 외주원으로 구성된 표주박형이다.
프레임(305) 내에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풀(312)과, 손에 쥘 경우 엄지손가락이 닿는 클러치레버(317)와, 스풀(312) 내에 균일하게 낚싯줄을 감기 위한 레벨와인드기구(318)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305)과 제2측커버(307) 사이에는 핸들(302)로부터의 회전력을 스풀(312) 및 레벨와인드기구(318)에 전하기 위한 기어기구(319)와, 클러치기구(321)와, 클러치레버(317)의 조작에 따라 클러치기구(321)를 제어하기 위한 클러치제어기구(322)와, 스풀(312)을 제동하는 드래그기구(323)와, 스풀(312) 회전시의 저항력을 조정하기 위한 캐스팅제어기구(324)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305)과 제1측커버(306) 사이에는 캐스팅시의 백래시를 막기 위한 원심브레이크기구(325)가 배치되어 있다.
[프레임의 구성]
프레임(305)은, 도 12 및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 제1측판(308) 및 제2측판(309)과, 이들 양 측판(308),(309)을 일체로 연결하는 상하 연결부(310a),(311b)를 가지고 있다. 제1측판(308) 및 제2측판(309) 중 핸들(302) 장착측의 도 3 오른쪽의 제2측판(309)과 제2측커버(307)로, 제1원통부(311a)와 제1원통부(311a)와 대략 같은 직경의 제2원 통부(311b)가 구성된다. 제1원통부(311a)는 내부에 원주형의 제1공간을 갖고 있으며 제2원통부(311b)는 제1원통부(311a)의 외주원과 교차되도록 앞쪽 아래로 편심되어 외주원이 배치되며 또한 제1원통부(311a)의 스풀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내부에 제1공간과 연통되는 제2공간을 갖고 있다. 또한 제1원통부(311a)와 제2원통부(311b)는 외주면의 일부가 스풀축 방향으로 중첩되어 있다.
또한 도 12의 왼쪽 핸들장착측과 반대편의 제1측판(308)은, 스풀축 방향에서 보아 원형의 내부에 공간을 갖는 편평한 바닥이 있는 통형상의 부재이다. 제1측판(308)의 중심부보다 약간 윗쪽에는 스풀(312)을 착탈하기 위한 원형의 개구(308a)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308a)의 내주면에는 암나사부(308b)가 형성되어 있다. 암나사부(308b)에는 스풀(312)의 회전축인 스풀축(320)의 좌단을 지지하는 스풀지지부(313)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스풀지지부(313)는 도 10, 도 12 및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구(308a)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링부(314)와, 링부(314)의 내주측에 링부(314)와 동심으로 배치된 바닥이 있는 통형상의 베어링부(315)와, 링부(314)와 베어링부(315)를 연결함과 동시에 스풀지지부(313)를 회동조작하기 위한 조작볼록부(316)를 갖고 있다. 이들 각 부는 일체 성형된 합성수지 또는 금속제의 부재이다.
링부(314)의 외주면에는 개구(308a)에 형성된 암나사부(308b)에 나사결합되는 수나사부(314a)가 형성되어 있다. 링부(314)의 내주면에는 원심브레이크기구(325)의 브레이크라이너(368)가 고정되어 있다.
베어링부(315)의 내주면에는 스풀축(320)의 일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326b)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바닥에는 캐스팅제어기구(324)의 마찰플레이트(351)가 장착되어 있다.
조작볼록부(316)는 링부(314)와 베어링부(315)를 연결하도록 직경을 따라 배치되어 있으며 축방향 바깥쪽을 향해 볼록하게 만곡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 결과 조작볼록부(316)의 양측에 개구(316a)가 형성된다. 이 개구(316a)로부터 스풀(312)의 측부를 향할 수 있음과 동시에 거기에 손가락끝을 넣을 수 있다.
오른쪽의 제2측판(309)은,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판(308)과 동일한 직경의 편평한 바닥이 있는 통형상의 장착부(309a)와, 장착부(309a)의 앞쪽 대각선 하방 가장자리부에 장착부(309a)의 외주원과 교차되는 외주원이 되도록 편심되어 형성된 돌출부(309b)를 갖고 있다. 돌출부(309b)는 초생달 모양으로 원호로 형성되어 있다. 장착부(309a)의 바닥에는 후술하는 피니언기어(332)가 지지되는 보스부(309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보스부(309c)의 양측에는 제2측커버(307)를 위치결정하기 위한 2개의 위치 결정핀(309d),(309e)이 설치되어 있다. 위치결정핀(309d),(309e)의 선단은 작은 직경의 머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머리부가 제2측커버(307)에 형성된 위치결정공(307e)에 삽입됨으로써 제2측판(309)과 제2측커버(307)가 위치결정된다.
나아가 보스부(309c)의 앞쪽 대각선 하방에는, 핸들축(330)의 기단을 지지하는 보스부(309f)가 형성되어 있다. 보스부(309f)는, 장착부(309a)의 외주원과 돌출부(309b)의 외주원이 중첩되는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보스부(309c)와 위치결정핀(309e) 사이에는 클러치제어기구(322)의 클러치 플레이트(355)를 안내하는 안 내부(309g)가 부채형으로 약간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장착부(309a) 앞쪽 가장자리부에서 돌출부(309b)의 바닥부에 걸쳐 레벨와인드기구(325)의 기어부재(363a)(도 20)를 배치하기 위한 내외주를 관통하는 절결부(39i)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절결부(39i)를 막기 위해 기어부재(363a)의 바깥가장자리를 따른 원호형으로 만곡된 커버부재(341)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돌출부(309b)에는 앞쪽 대각선 하방으로 치우친 부분에서 초생달 부분의 바깥가장자리를 따라 원호형으로 만곡된 가장자리부(309h)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가장자리부(309h)는 돌출부(309b)에 있어서 2개의 외주원이 교차되는 위치까지 형성되어 있다.
위쪽의 연결부(310a)는 측판(308),(309)의 외형과 동일면에 배치되어 있고 아래쪽의 연결부(310b)는 앞뒤로 한쌍 설치되어 있으며 외형보다 안쪽에 배치되어 있다. 아래쪽의 연결부(310b)에는 도 13 및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릴을 낚시대에 장착하기 위한 앞뒤로 긴, 예를 들면 알루미늄합금 등의 금속제 낚시대 장착다리부(304)가 리벳 고정되어 있다. 낚시대 장착다리부(304)의 이면에는 원형 오목부로 이루어진 미끄럼 방지부(304a)가 양 단부를 중심으로 다수 형성되어 있다. 이 원형 오목부로 이루어진 미끄럼 방지부(304a)는 프레스가공에 의해 설치되어 있으며 가공경화작용에 의해 낚시대 장착다리부(304) 자체의 구부림 강성을 향상시키기도 한다.
[제1측커버의 구성]
제1측커버(306)는, 도 15, 도 17,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풀(312)의 착탈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제1측판(308)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프레임(305)에 대하여 개폐 가능하다. 제1측커버(306)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 폐쇄자세로부터 도 10 및 도 15에 도시한 개방자세로 요동 가능하다. 제1측커버(306)는 제1측판(308)의 바깥쪽을 덮는 원판형의 커버본체(333)와, 커버본체(333)를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요동축(334)과, 커버본체(333)를 제1측판(308)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바이어스시키는 코일스프링(335)을 갖고 있다.
커버본체(333)는 제1측판(308)을 덮도록 바깥쪽으로 약간 볼록하게 만곡된 금속제의 부재로서, 의장성의 향상 및 경량화를 꾀하기 위해 외주부에 직경이 다른 다수의 둥근구멍(333b)이 둘레방향 및 직경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마련되어 있다. 커버본체(333)의 외주측 내면에는 요동축(334)을 고정시키기 위한 나사공(333a)이 형성되어 있다. 나사공(333a) 주위에는 바깥 가장자리부에서 중심측으로 돌출된 보스부(333c)가 형성되어 있고 보스부(333c)의 바닥과의 경계부분에는 대략 둘레방향을 따라 직선적으로 절결되어진 걸림부(333d)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커버본체(333)의 중심에서 약간 치우친 내면에는 안쪽으로 돌출된 장착부(333e)(도 12)가 형성되어 있다. 장착부(333e)는, 커버본체(333)가 제1측판(308)에 장착되었을 때 스풀지지부(313)의 조작볼록부(316)에 근접한 위치에 스풀지지부(313)에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어 스풀지지부(313)가 이완 방향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커버본체(333)의 내면측에는 둥근구멍(333b)으로부터 내부로의 이물질이나 액체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실링부재(342)가 장착되어 있다. 실링부재(342)는, 예를 들면 ABS수지(아크릴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등의 합성수지제이며 또한 내부 가 보이도록 투광성을 갖고 있다. 실링부재(342)는,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본체(333)의 만곡에 맞춘 형상으로 바깥쪽으로 볼록하게 만곡되어 있으며 커버본체(333)의 가장자리부 안쪽을 따른 외경을 갖고 있다. 실링부재(342)의 보스부(333c)를 따른 부분에는 걸림부(333d)에 걸리는 오목부(342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내면에는 장착부(333e)를 덮는 통부(342b)를 갖고 있다. 이 통부(342b)를 관통하여 나사(342c)가 장착부(333e)에 나사결합되어 있으며 오목부(342a)와 통부(342b)에 의해 실링부재(342)는 제1측커버(306)의 이면에 고정되어 있다. 즉, 실링부재(342)를 제1측커버(306)에 장착할 때에는 오목부(342a)를 걸림부(333d)에 끼워넣은 후 통부(342b)를 장착부(333e)에 씌운다. 그리고 나사(342c)를 장착부(333e)에 나사결합하여 실링부재(342)를 제1측커버(306)의 내면에 고정시킨다.
요동축(334)의 선단에는,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나사공(333a)에 삽입되는 나사부(334a)가 형성되어 있으며 나사부(334a)에 인접하여 큰 직경의 공구결합부(334b)가 형성되어 있다. 나사부(334a)는 커버본체(333)에 삽입되고 이로써 요동축(334)이 커버본체(333)에 고정되어 있다.
요동축(334)의 외주측에는 측판(308)을 관통하여 파이프부재(336)가 동심으로 배치되어 있다. 요동축(334)의 선단은 파이프부재(336)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기단측은 제2측판(309)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또한 제2측커버(307)에서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파이프부재(336)는 요동축(334)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함과 동시에 축방향 이동 불가능하게 지지한다. 파이프부재(336)의 선단에는 큰 직경 부(336a)가 형성되어 있으며 큰 직경부(336a) 내에 요동속도를 규제하기 위한 O링(337)이 장착되어 있다.
큰 직경부(336a)와 제1측판(308) 사이에는 요동축(334)의 외주측에 코일스프링(335)이 압축상태로 장착되어 있다. 파이프부재(336)의 큰 직경부(336a)를 제외한 부분의 외주면에는 평행한 모따기부(336b)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1측판(308)에는 모따기부(336b)를 축방향 이동 가능하게 또한 회전 불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작은 구멍(338a)을 갖는 지지부재(338)가 나사 고정되어 있다. 파이프부재(336)의 기단에는 요동축(334)의 축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원판(339)이 리테이닝링(339a)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 규제원판(339)과 공구결합부(334b)로 파이프부재(336)를 클램핑함으로써 요동축(334)은 파이프부재(336)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이 규제원판(339)이 제1측판(308)에 접함으로써 제1측커버(306)가 열릴 때의 축방향 위치가 결정된다. 이에 따라 제1측커버(306)는 제1측판(308)에 요동 가능하게 또한 축방향으로 소정거리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제1측판(308)에 대하여 탈락하지 않고 개폐 가능하게 되어 있다.
요동축(334)의 기단부에는 나사부(334c)가 형성되어 있으며 나사부(334c)는 제1측커버(306)를 개폐조작하기 위한 조작부재인 착탈너트(340)에 나사결합되어 있다. 착탈너트(340)는 제2측커버(307)에 회전 가능하게 또한 축방향 이동 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 착탈너트(34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착탈너트(340)에서 나사부(334c)를 이격시키면, 요동축(334)은 코일스프링(335)에 바이어스되어 도 13의 왼쪽으로 이동한다. 그러면 커버본체(333)도 왼쪽으로 이동하여 제1측커버(306)가 열린다. 제1측커버(306)가 열리면 자중에 의해 요동한다. 이 때의 요동속도는 O링(337)에 의해 느린 속도로 규제된다.
[제2측커버의 구성]
제2측커버(307)는, 도 11∼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측판(309)과 동일한 2개의 외주원이 교차되는 편심된 원형의 측면을 갖고 있다. 제2측커버(307)는, 예를 들면 3개의 나사에 의해 제2측판(309)에 고정되어 있다. 제2측커버(307)는 제2측판(309)의 돌출부(309b)를 따른 형상으로 동일한 직경의 편평한 바닥이 있는 통형상의 장착부(307c)와, 장착부(307c)의 뒤쪽 대각선 상방의 가장자리부에 편심된 원호로 제2측판(309)의 장착부(309a)에 대향하여 초생달 모양으로 형성된 돌출부(307d)를 갖고 있다. 장착부(307c)의 바닥부에는 핸들축(330)을 지지하기 위한 통형상의 보스부(307a)와, 스풀축(320)을 지지하기 위한 통형상의 보스부(307b)가 간격을 두고 또한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고정되어 있다. 보스부(307a)는, 제2측판(309)에 형성된 보스부(309f)와, 또 보스부(307b)는 보스부(309c)와 각각 동일축심상에 배치된다. 보스부(309c)의 앞쪽에는 제2측커버(307)를 위치결정하기 위한 위치결정공(307e)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보스부(307a) 뒤쪽에는 제1측커버(306)를 개폐조작하기 위한 착탈너트(340)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손잡이공(307g)이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307d)에는, 뒤쪽 대각선 상방으로 치우친 부분에서부터 초생달 부분의 바깥가장자리를 따라 원호형으로 만곡된 가장자리부(307h)가 형성되어 있으며, 가장자리부(307h)는 제2측판(309)의 장착부(309a)와 동심으로 배치되고 또한 돌출 부(309b)의 가장자리부(309h)와 표주박 모양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2개의 원통부(311a),(311b)의 외주면(가장자리부(309h),(307h))이 스풀축 방향으로 중첩되는 구성이 실현되어 있다. 이 가장자리부(309h),(307h)는 원호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용이하게 절삭가공할 수 있다.
돌출부(307d)의 보스부(307b)를 사이에 두고 위치결정공(307e)과 반대쪽 위치에는 위치결정공(307f)이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측판(309)에 설치된 위치결정핀(309d),(309e)의 머리부가 위치결정공(307e),(307f)에 삽입됨으로써 제2측판(309)과 제2측커버(307)가 위치결정되고 각 보스부(309c),(307b),(309f), (307a)가 각각 중심맞추기되어 동일축심상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릴 본체(301)에서는 제2측판(309)과 제2측커버(307)로 내부에 각각 원주형의 공간을 가지고 2개의 외주원이 교차되도록 편심된 2개의 원통부(311a),(311b)가 형성된다. 이 때문에 그 중 바깥쪽으로 돌출된 제2원통부(311b)로 돌출부를 구성함으로써, 돌출부를 마련하여 회전효율을 향상시키더라도 외주면의 절삭가공이 용이해진다. 이 때문에 돌출부를 갖는 양베어링릴의 릴 본체에 있어서 외관의 의장성 및 장식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스풀의 구성]
스풀(312)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측부에 접시모양의 플랜지부(312a)를 가지고 있으며 양 플랜지부(312a) 사이에 통형상의 줄감기 몸체부(312b)를 가지고 있다. 또한 스풀(312)은 줄감기몸체부(312b)의 내주측의 축방향의 실질적으로 중앙부에 일체로 형성된 통형상의 보스부(312c)를 가지고 있으며 보 스부(312c)를 관통하는 스풀축(320)에 예컨대 세레이션 결합에 의해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이 고정방법은 세레이션 결합에 한정되지 않고 키결합이나 스플라인결합 등 여러가지 결합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스풀축(320)은 제2측판(309)을 관통하여 제2측커버(307)의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 연장된 일단은 제2측커버(307)에 장착된 보스부(307b)에 베어링(326a)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스풀축(320)의 타단은 상술한 바와 같이 베어링(326b)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스풀축(320)의 큰 직경 부분(320a)의 오른쪽단은 제2측판(309)의 관통부 부분에 배치되어 있으며 거기에는 클러치기구(321)를 구성하는 걸어맞춤핀(320b)이 고정되어 있다. 걸어맞춤핀(320b)은 직경을 따라 큰 직경 부분(320a)을 관통하고 있으며 그 양단이 직경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기타 구성]
클러치레버(317)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측판(308) 및 제2측판(309) 사이의 뒷부분에서 스풀(312) 뒷쪽에 배치되어 있다. 클러치레버(317)는 측판(308),(309) 사이에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한다. 클러치레버(317)의 핸들장착측에는 걸어맞춤축(317a)이 제2측판(309)을 관통하여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걸어맞춤축(317a)은 클러치제어기구(322)에 걸어맞춤되어 있다.
레벨와인드기구(318)는, 도 12 및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풀(312)의 전방에서 양 측판(308),(309) 사이에 배치되며, 외주면과 교차되는 나선형홈(346a)이 형성된 나사축(346)과, 나사축(346)에 의해 스풀축 방향으로 왕복이동하는 낚싯줄 안내부(347)를 갖고 있다. 나사축(346)은 양단이 측판(308),(309)에 장착된 축지지부(348),(349)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나사축(346)의 도 12의 왼쪽단은 E형 리테이닝링(350)에 의해 빠짐 방지되어 있다. 나사축(346)의 도 12 오른쪽단에는 기어부재(363a)가 장착되어 있으며 기어부재(363a)는 핸들축(330)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된 기어부재(363b)에 맞물려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나사축(346)은 핸들축(330)의 낚싯줄 권취방향의 회전으로 연동하여 회전한다.
낚싯줄 안내부(347)는,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나사축(346) 주위에 배치되어 일부가 축방향의 전길이에 걸쳐 절결된 파이프부재(353)와, 나사축의 윗쪽에 배치된 가이드축(354)에 의해 스풀축(320)방향으로 안내되어 있다. 낚싯줄 안내부(347)에는 나선형 홈(346a)에 걸어맞춤되는 걸림부재(347a)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나사축(346)의 회전에 의해 스풀축 방향으로 왕복이동한다. 낚싯줄 안내부(347)의 상부에는 낚싯줄이 통과하는, 예를 들면 SiC 등의 경질세라믹제의 타원형 가이드링(347b)이 장착되어 있다.
파이프부재(353)는 양단이 축지지부(348),(349)에 걸어멈춤되어 있다. 가이드축(354)은 측판(308),(309)에 고정되어 있으며 가이드축(354)의 제2측판(309)측의 단부는 제2측커버(307)쪽으로 더 돌출되어 있다.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지지부(349)는 대략 빗방울 모양이고 큰 직경부에서 나사축(346)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작은 직경부를 가이드축(354)이 관통하여 축지지부(349)의 회전을 방지하고 있다.
기어기구(319)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들축(330)과, 핸들축(330)에 고정된 메인기어(331)와, 메인기어(331)에 맞물리는 통형상의 피니언기어(332)를 갖고 있다. 핸들축(330)은 보스부(309f) 및 보스부(307a)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로울러형의 일방향 클러치(386) 및 갈고리식 일방향 클러치(387)에 의해 낚싯줄 방출방향의 회전(역회전)이 금지되어 있다.
일방향 클러치(387)는 보스부(307a)와 핸들축(330) 사이에 장착되어 있다. 일방향 클러치(387)는,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기어(331)와 기어부재(363b) 사이에서 핸들축(330)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된 래칫기어(388)와, 위치결정핀(309d)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 래칫갈고리(389)를 갖고 있다. 래칫기어(388)의 외주부에는 대략 평행사변형 모양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래칫톱니(388a)가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으며 래칫갈고리(389)가 래칫톱니(388a)에 맞물림으로써 핸들축(330)의 낚시줄 방출방향의 회전이 금지된다. 래칫갈고리(389)는 래칫기어(388)를 양측에서 클램핑하는 제어편(389a)을 선단부에 갖고 있다. 제어편(389a)은 낚시줄 권취방향의 회전시에 래칫갈고리(389)를 래칫기어(388)에 접근시키고 낚시줄 방출방향의 회전시에 이격시킨다. 이 이격시에 래칫갈고리(389)가 너무 이격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래칫갈고리(389)는 이격시에 가이드축(354)에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메인기어(331)는 핸들축(33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핸들축(330)과 드래그기구(323)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피니언기어(332)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측판(309)의 바깥쪽에서부터 안쪽으로 연장되며, 중심에 스풀축(320)이 관통하는 통형부재로서, 스풀축(320) 에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한 피니언기어(332)의 도 12 왼쪽단측은 베어링(327)에 의해 측판(309)에 회전 가능하게 또한 축방향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피니언기어(332)의 도 12 왼쪽단부에는 걸어맞춤핀(320b)에 맞물리는 맞물림홈(332a)이 형성되어 있다. 이 맞물림홈(332a)과 걸어맞춤핀(320b)에 의해 클러치기구(321)가 구성된다. 또한 중간부에는 잘록한 부분(332b)이, 오른쪽 단부에는 메인기어(331)에 맞물리는 기어부(332c)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클러치제어기구(322)는,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어맞춤축(317a)에 걸어맞춤되는 클러치 플레이트(355)와, 클러치 플레이트(355)에 걸어맞춤되어 스풀축(320)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클러치 캠(56)과, 클러치 캠(56)에 의해 스풀축(20)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클러치요크(357)를 갖고 있다. 또한 클러치 제어기구(322)는, 스풀(312)의 낚시줄 권취방향의 회전에 연동하여 클러치기구(321)를 클러치온시키는 클러치 복귀림기구(358)를 갖고 있다.
클러치 플레이트(355)는 부채 모양으로 형성된 판형부재로서, 제2측판(309)에 형성된 안내부(309g)에 의해 회전방향으로 안내되어 있다. 또한 클러치 플레이트(355)는 위치결정핀(309e)에 형성된 턱부(309j)에 의해 안내부(309g)와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들뜸이 방지되어 있다. 클러치 플레이트(355)의 일단은 클러치레버(317)의 아래쪽으로의 이동에 연동하여 도 20의 반시계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클러치레버(317)의 걸어맞춤축(317a)의 하단에 접촉하는 위치로 연장되어 있다. 클러치 플레이트(355)의 타단은 클러치 캠(356)에 결려 있으며 클러치 플레이트(355)와 클러치 캠(356)은 연동하여 스풀축(320) 주위로 회동한다.
클러치 캠(356)은 대략 링 모양의 판부재로서 보스부(309c)에 스풀축(320) 주위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클러치 캠(356)의 바깥면 스풀축(320)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위치에는 한쌍의 경사진 캠돌기(356a),(356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클러치 캠(356)의 외주부에는 클러치 플레이트(355)에 걸어맞춤되는 걸어맞춤핀(356b)이 형성되어 있다. 나아가 클러치 캠(356)의 외주부에는 클러치 복귀기구(358)를 구성하는 복귀 갈고리(359)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356c)가 형성되어 있다.
클러치 요크(357)는 클러치 캠(356)의 축방향 바깥쪽으로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클러치 요크(357)는 제2측판(309)과 제2측커버(307) 사이에 스풀축(320)을 사이에 두고 설치된 2개의 가이드축(360)에 의해 안내되어 스풀축(320)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또한 제2측커버(307)와 클러치 요크(357) 사이에서 가이드축(360)의 외주측에 압축상태로 배치된 코일스프링(361; 도 12)에 의해 축방향 안쪽으로 바이어스되어 있다. 클러치 요크(357)에는 피니언기어(332)의 잘록한 부분(332b)에 걸어맞춤되는 반원호형의 걸어맞춤부(357a)가 형성되어 있다. 클러치 요크(357)의 클러치 캠(356)과 대향하는 측면에는 캠돌기(356a),(356a)로 올라가는 경사면(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으며 클러치 캠(356)이 도 20의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캠돌기(356a),(356a)에 경사면이 올라가면 클러치 요크(357)는 도 12의 오른쪽 클러치오프 위치로 이동하고, 경사면이 캠돌기(356a),(356a)에서 내려오면 코일스프링(361)에 의해 바이어스되어 클러치온 위치로 되돌아간다. 이 클러치 요크(357)의 이동에 연동하여 피니언기어(332)가 스풀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클러치기구(321)가 클러치오프 상태와 클러치온 상태로 절환된다.
클러치 복귀기구(358)는 클러치 캠(56)의 연결부(356c)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복귀 갈고리(359)와, 복귀 갈고리(359)를 바이어스시키는 토글스프링(362)을 갖고 있다. 복귀 갈고리(359)는 클러치 캠(357)의 회동에 의해 제2측판(309)에 안내되어 래칫기어(388)의 래칫톱니(388a)에 접촉하는 위치와 거기에서 이격된 위치로 이동한다. 토글스프링(362)은 복귀 갈고리(359)를 2개의 위치에서 유지한다.
이 클러치 복귀기구(358)에서는, 클러치 레버(317)의 압압조작에 의해 클러치기구(321)가 클러치오프 상태가 되면 제2측판(309)으로 안내되어 래칫톱니(388a)에 접촉하는 위치로 전진한다. 이 상태에서 핸들(302)의 조작에 의해 핸들축(330)이 낚시줄 권취방향으로 회전하면, 래칫톱니(388a)에 의해 압압되어 이격되는 위치로 이동하고 클러치 캠(356)을 도 20의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클러치기구(321)를 클러치온 상태로 되돌린다.
캐스팅 제어기구(324)는, 스풀축(320)의 양단을 클램핑하도록 배치된 복수의 마찰 플레이트(351)와, 마찰 플레이트(351)에 의한 스풀축(320)의 클램핑력을 조절하기 위한 제동갭(352)을 갖고 있다. 좌측의 마찰 플레이트(351)는 스풀 지지부(313) 내에 장착되어 있다.
원심브레이크기구(325)는, 도 12 및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풀(312)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스풀축(320)에 고정된 회전부재(366)와, 회전부재(366)에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직경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통형상의 슬라이딩부재(367)와, 링부(314)의 내주면에 고정되어 슬라이딩부재(367)에 접촉 가능 한 브레이크라이너(368)를 갖고 있다. 회전부재(366)는 베어링부(315)의 외주측에 배치되는 원판부(366a)를 갖고 있으며 원판부(366a)에는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예를 들면 6개의 오목부(366b)가 형성되어 있다. 각 오목부(366b)에는 대향하는 2쌍의 걸림돌기(370a),(370b)가 직경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걸림돌기(370a)는, 외주부로 서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슬라이딩부재(367)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돌기이다. 걸림돌기(370b)는 걸림돌기(370a)보다 내주측에 형성되어 슬라이딩부재(367)가 브레이크라이너(368)에 접촉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돌기이다. 또한 오목부(366b)의 저면에는 직경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축(369)이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 가이드축(369)에 슬라이딩부재(367)가 이동 가능하게 안내된다.
슬라이딩부재(367)는 통형상의 부재로서 그 내주측 단부에 다른 부분보다 큰직경으로 걸림돌기(370a),(370b)에 걸리는 턱부(367a)를 갖고 있다. 슬라이딩부재(367)는 스풀(312)이 회전하면 원심력에 의해 브레이크라이너(368)에 접촉하여 스풀(312)을 제동한다. 이 때, 턱부(367a)가 걸림돌기(370b)를 타고넘어 그보다 내주측에 배치되면 원심력이 작용하더라도 턱부(367a)가 걸림돌기(370b)에 접촉하여 브레이크라이너(368)에 접촉할 수 없다. 이 슬라이딩부재(367)의 직경방향 위치를 절환함으로써 원심브레이크기구(325)의 제동력을 조정할 수 있다.
〔스풀의 착탈 조작〕
백래시 등에 의해 낚싯줄이 스풀(312)에 얽히는 등으로 인하여 스풀(312)을 릴 본체(301)에서 해체할 때에는 제1측커버(306)를 열어 제1측판(308)의 개구(308a)를 개방한다.
제1측커버(306)를 열기 위해서는 우선 착탈너트(340)를 반시계방향으로 돌려 착탈너트(340)에서 요동축(334)을 뺀다. 요동축(334)이 착탈너트(340)에서 빠지면 코일스프링(335)의 바이어스력에 의해 요동축(334)이 도 13의 왼쪽으로 이동하고 제1측커버(306)도 왼쪽으로 이동한다. 그러면 제1측커버(306)는 자중에 의해 요동축(334) 주위로 요동하여 제1측커버(306)가 개방자세로 열린다. 제1측커버(306)가 열린 상태를 도 10 및 도 14에 도시한다. 제1측커버(306)가 열리면 스풀지지부(313)가 노출된다. 이 상태에서 개구(316a)에서 손가락을 넣어 원심브레이크기구(325)의 슬라이딩부재(367)의 스풀직경 방향 위치를 절환시키면 제동력의 조정이 가능하다. 즉 걸림돌기(370b)보다 내주측에 배치하면 그 슬라이딩부재(367)가 브레이크라이너(368)에 접촉할 수 없게 되어 제동력이 그만큼 약해진다.
제1측커버(306)를 열면 스풀지지부(313)를 조작볼록부(316)를 손가락으로 잡고 반시계방향으로 돌린다. 그러면 스풀지지부(313)가 제1측판(308)에서 빠져 개구(308a)가 외부로 노출된다. 이 상태에서 스풀축(320)을 잡고 끌어내면 스풀(312)을 해체할 수 있다.
스풀(312)을 장착할 때에는 스풀(312)을 릴 본체(301) 내에 장착한 후 스풀지지부(313)를 제1측판(308)에 장착하고 제1측커버(306)를 닫는다. 이 때에는 커버본체(333)를 폐쇄자세측으로 손으로 요동시키고 또한 제1측판(308)쪽으로 압압한다. 이 상태에서 착탈너트(340)를 시계방향으로 돌리면 착탈너트(340)에 요동축(334)의 선단이 삽입되고 제1측커버(306)가 제1측판(308)에 장착되어 폐쇄자세가 된다.
〔낚시할 때 릴의 조작 및 동작〕
캐스팅할 때에는 클러치레버(317)를 아래쪽으로 압압한다. 그러면 클러치 플레이트(355)가 도 20의 반시계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때 클러치 플레이트(355)는 위치결정핀(39e)에 의해 들뜸이 방지된 상태로 안내부(309g) 내를 이동한다. 클러치 플레이트(355)가 이동하면 그에 연동하여 클러치 캠(356)이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클러치 요크(357)가 도 12 바깥쪽의 클러치오프 위치로 이동한다. 그 결과 클러치기구(321)를 구성하는 피니언기어(332)가 축방향 바깥쪽으로 이동하여 클러치오프 상태가 된다. 이 클러치오프 상태에서는 스풀(312)이 자유회전상태가 되어 캐스팅을 하면 낚시바늘뭉치의 무게에 의해 낚싯줄이 스풀(312)로부터 힘차게 방출된다.
낚시바늘뭉치가 물에 들어가면 핸들(302)을 낚시줄 권취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래칫기어(388)가 낚시줄 권취방향(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래칫갈고리(389)가 제어편(389a)의 작용에 의해 래칫기어(388)의 바깥쪽으로 위치결정핀(309d)을 중심으로 요동하여 가이드축(354)에 접촉한다. 그 결과 낚싯줄을 권취할 때 래칫갈고리(389)가 래칫기어(388)에 접촉하지 않게 되어 낚싯줄을 권취할 때 양자의 접촉에 의한 잡음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래칫기어(388)가 낚시줄 권취방향으로 회전하면 래칫톱니(388a)가 복귀 갈고리(359)의 선단에 접촉하여 복귀 갈고리(359)를 뒷쪽으로 압압한다. 그러면 복귀 갈고리(359)는 토글스프링(362)의 사점(死点)을 넘어 후퇴하고 토글스프링(362)에 의해 이격위치측에 바이어스된다. 이 이동에 연동하여 클러치 캠(356)이 도 20의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클러치 요크(357)가 코일스프링(361)의 바이어스력에 의해 클러치온 위치로 이동하여 클러치기구(321)가 클러치온 상태가 된다. 이 때문에 핸들(302)의 회전이 스풀(312)에 전달되어 스풀(312)이 낚시줄 권취방향으로 회전한다.
핸들축(330)이 낚시줄 권취방향으로 회전하면 그 회전이 기어부재(363a),(363b)를 통해 나사축(346)에 전달되어 나사축(346)이 회전한다. 나사축(346)이 회전하면 낚싯줄 안내부(347)가 스풀축 방향으로 왕복이동하여 낚싯줄이 스풀(312)에 균일하게 권취된다.
〔다른 실시형태〕
(a)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환형 양베어링릴을 예로서 설명하였는데, 원형이 아닌 양베어링릴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b)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스풀지지부에 개구를 형성하였는데, 개구를 형성하지 않아도 상관없다.
(c)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스풀지지부를 나사로 측판에 장착하였는데, 손쉽게 착탈할 수 있는 구조라면 베이어닛(bayonet) 구조 등 다른 걸림구조에 의해 제1측판에 장착해도 상관없다.
(d)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착탈조작부로서의 조작볼록부를 스풀지지부에 마련하였는데, 스풀지지부의 걸림구조에 따라서는 제1측판측에 착탈조작부를 마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측판에 진출방향으로 바이어스된 갈고리부재를 설치하여 이 갈고리부재로 스풀지지부를 개구부분에서 걸어멈춤하도록 구성하고, 갈고리부재를 제1측판 쪽에 마련한 착탈조작부에 의해 후퇴방향으로 이동시켜 스풀지지부를 뺄 수 있게 해도 좋다.
(e)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조작볼록부가 장착되었을 때 상하(수직)로 배치되어 있는데, 실시형태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앞뒤(수평)로 배치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이 경우에는 베어링부에 앞뒤방향의 힘이 작용하였을 때의 강도가 높아진다. 또한 상하좌우로 십자 모양으로 배치해도 상관없다.
(f) 상기 실시형태 2에서는 돌기부를 마련하여 스풀지지부의 이완 방지와 장착 실수의 방지를 꾀하였는데, 이완 방지의 기능을 효율적으로 발휘하기 위해 탄성체제의 돌기부를 조작볼록부에 접촉 가능하게 제1측커버의 내면에 설치해도 상관없다. 이 경우 폐쇄자세에서 조작볼록부에 항상 접촉하도록 구성하면, 장착 실수의 방지는 꾀할 수 없지만, 돌기부에 의해 항상 이완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조작볼록부의 회전위치를 고려하지 않고 나사를 가공할 수 있다.
(g)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스풀지지부를 제1측커버와 별도로 조작할 수 있게 구성했지만, 스풀지지부를 제1측커버(6)에 장착해도 상관없다. 이 경우 스풀지지부를 제1측커버에 고정시켜도 좋고 또 회전 가능하게 장착해도 상관없다.
(h) 상기 실시형태 5에서는 실링부재의 재질로서 비교적 경질인 ABS수지를 예시하였는데, 실링부재의 재질은 ABS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투광성이 있는 실리콘고무 등의 합성수지탄성체여도 좋고 또 투광성이 없는 합성수지여도 상관없다. 나아가 경량화를 꾀할 수 있는 것이라면 합성수지 이외의 것이어도 상관없다.
(i) 상기 실시형태 5에서는 실링부재를 나사에 의한 체결과 보스부에서의 걸 림에 의해 제1측커버에 고정하였는데, 실링부재의 고정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실링부재를 제1측커버에 접착 등의 적합한 고착수단으로 고착시켜도 상관없다. 또한 인서트성형 등의 수단에 의해 제1측커버와 일체로 형성해도 상관없다.
(j) 상기 실시형태 5에서는 실링부재에 의해 둥근구멍을 일괄적으로 실링하였는데, 둥근구멍을 개별 또는 그룹별로 실링해도 상관없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착탈조작부가 스풀지지부와 함께 제1측커버에 의해 덮혀 있기 때문에 낚시할 때 릴 본체를 쥐는 동작을 하더라도 착탈조작부를 실수로 조작하거나 착탈조작부가 닿아 위화감이 발생하는 일은 없다. 나아가 착탈조작부가 제1측커버에 가려져 외부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제1측커버의 의장의 자유도가 높아져 고급스러운 외관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다른 발명에 따르면, 한쪽(핸들장착측) 측커버로부터 노출되게 마련된 하나의 조작부를 조작하는 것만으로 다른쪽 측커버를 개폐조작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개폐조작이 용이하다. 더구나 조작부가 낚시중 릴을 쥘 때 손바닥에 닿기 어려운 핸들장착측의 측커버에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조작부가 돌출되어 있어도 릴을 쥘 때 손바닥에 조작부가 닿지 않는다.
다른 발명에 따르면, 관통공이 형성된 측커버의 내면에는 복수의 관통공을 막도록 실링부재가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측커버에 의장성의 향상이나 경량화를 꾀하기 위해 관통공을 형성하더라도 내부로의 이물질이나 수분의 침입을 막을 수 있다.

Claims (35)

  1. 핸들이 일측면에 배치되고 내부에 스풀이 배치된 양베어링릴의 릴 본체로서,
    상기 스풀이 통과할 수 있는 원형의 제1개구가 마련된 제1측판과, 상기 제1측판과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제2측판을 갖는 프레임과,
    상기 제1개구를 노출시키도록 상기 제1측판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스풀의 회전축 일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스풀지지부와,
    상기 스풀지지부를 착탈조작하기 위해 상기 제1측판 또는 상기 스풀지지부에 설치된 착탈조작부와,
    상기 제1개구가 형성된 상기 제1측판의 바깥쪽을 상기 스풀지지부 및 상기 착탈조작부를 포함하여 덮는 개폐가능한 제1측커버와,
    상기 제2측판의 바깥쪽을 덮고 또 상기 핸들의 회전축이 지지되는 제2측커버를 구비한 양베어링릴의 릴 본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 측커버 및 상기 양 측판 중 적어도 한쪽은 상기 회전축 방향에서 본 외형이 원형인 양베어링릴의 릴 본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양 측커버 및 프레임은 금속제인 양베어링릴의 릴 본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개구에는 암걸림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스풀지지부는 회동에 의해 상기 암걸림부에 결합·이탈되는 수걸림부를 갖는 양베어링릴의 릴 본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암걸림부는 암나사이고, 상기 수걸림부는 수나사인 양베어링릴의 릴 본체.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조작부는, 상기 스풀지지부의 바깥면에 마련된 회동조작용 조작볼록부를 갖는 양베어링릴의 릴 본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지지부는 상기 조작볼록부와 상기 수걸림부 사이에 상기 스풀의 측부를 향할 수 있는 제2개구를 갖는 양베어링릴의 릴 본체.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커버의 상기 제1측판에 대향하는 면에는, 상기 스풀지지부의 삽입 불량시에 상기 조작볼록부에 접촉하는 돌출부가 마련되어 있는 양베어링릴의 릴 본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커버는, 상기 스풀의 회전축과 평행한 제1축에 축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또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제1측판에 장착되어 있는 양베어링릴의 릴 본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커버를 상기 제1측판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바이어스시키는 제1바이어스부재를 더 구비한 양베어링릴의 릴 본체.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지지부는, 상기 제1측커버의 안쪽에서 상기 제1축에 축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또한 축방향 이동 가능하게 상기 제1측판에 장착되어 있는 양베어링릴의 릴 본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지지부를 상기 제1측판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바이어스시키는 제2바이어스부재를 더 구비한 양베어링릴의 릴 본체.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커버는, 상기 제1축을 따라 배치되고 또한 상기 제1측판에 회동 가능하게 또한 축방향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요동축의 선단에 고정되어 있는 양베어링릴의 릴 본체.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측커버에 회전 가능하게 또한 착탈 불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요동축의 타단에 나사결합되는 나사부재를 더 구비한 양베어링릴의 릴 본체.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측커버에 상기 요동축의 직경방향으로 이동 가능 하게 장착되고 상기 요동축의 타단을 걸어멈춤하는 걸림부재를 더 구비한 양베어링릴의 릴 본체.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커버는, 상기 스풀의 회전축과 교차되는 제2축에 평행한 축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양베어링릴의 릴 본체.
  17.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요동하여 열린 제1측커버를 열린 상태로 유지하는 유지수단을 더 구비한 양베어링릴의 릴 본체.
  18. 낚시대에 장착되며 핸들이 일측면에 배치되고 내부에 스풀이 배치된 양베어링릴의 릴 본체로서,
    상기 스풀이 사이에 배치되는 제1 및 제2측판과, 상기 양 측판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갖는 프레임과,
    상기 제1측판의 바깥쪽을 덮고 또한 제1측판에 개폐 가능하게 장착된 제1측커버와,
    상기 제2측판의 바깥쪽을 덮고 또한 상기 핸들이 장착된 제2측커버와,
    상기 양 측판 사이에서 상기 낚시대에 장착되는 낚시대 장착부와,
    상기 제2측커버로부터 노출되어 설치된 하나의 조작부를 가지며 상기 제1측커버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기구를 구비한 양베어링릴의 릴 본체.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양 측커버 및 상기 양 측판 중 적어도 한쪽은 상기 회전축방향에서 본 외형이 원형인 양베어링릴의 릴 본체.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양 측커버 및 프레임은 금속제인 양베어링릴의 릴 본체.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커버는, 상기 스풀의 회전축과 평행한 제1축에 축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또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제1측판에 장착되어 있는 양베어링릴의 릴 본체.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커버를 상기 제1측판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바이어스시키는 제1바이어스부재를 더 구비한 양베어링릴의 릴 본체.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커버는, 상기 제1축을 따라 배치되고 또한 상기 제1측판에 회동 가능하게 그리고 축방향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요동축의 선단에 고정되어 있는 양베어링릴의 릴 본체.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제2측커버에 회전 가능하게 또한 착탈 불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요동축의 타단에 나사결합되는 나사부재인 양베어링릴의 릴 본체.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제2측커버에 상기 요동축의 직경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요동축의 타단을 걸어멈춤하는 걸림부재인 양베어링릴의 릴 본체.
  26.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커버는, 상기 스풀의 회전축과 교차되는 제2축에 평행한 축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양베어링릴의 릴 본체.
  27.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요동하여 열린 제1측커버를 열린 상태로 유지하는 유지수단을 더 구비한 양베어링릴의 릴 본체.
  28. 낚시대에 장착되며 핸들이 일측면에 배치되고 내부에 스풀이 배치된 양베어링릴의 릴 본체로서,
    상기 스풀이 사이에 배치되는 제1 및 제2측판과, 상기 양 측판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갖는 프레임과,
    상기 양 측판의 바깥쪽을 덮고 또한 적어도 한쪽에 내외면을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제1 및 제2측커버와,
    상기 양 측커버 중 상기 관통공이 형성된 측커버의 내면에 상기 복수의 관통공을 막도록 배치된 실링부재와,
    상기 양 측판 사이에서 상기 낚시대에 장착되는 낚시대장착부를 구비한 양베 어링릴의 릴 본체.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측커버에는 상기 핸들이 장착되고,
    상기 관통공은 상기 핸들이 장착되어 있지 않은 제1측커버에만 형성되어 있는 양베어링릴의 릴 본체.
  30. 삭제
  31.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측커버에 체결되는 체결부를 갖고 있는 양베어링릴의 릴 본체.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판에는, 상기 스풀이 통과할 수 있는 원형의 개구가 설치되며,
    상기 개구를 노출시키도록 상기 제1측판에 회동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스풀의 회전축의 일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스풀지지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실링부재의 체결부는, 상기 스풀지지부를 향해 돌출되게 형성되어 돌출부분으로 상기 스풀지지부의 회전을 멈추는 양베어링릴의 릴 본체.
  33.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제1측커버에 걸리는 걸림부를 상기 체결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갖고 있는 양베어링릴의 릴 본체.
  34. 제28항, 제29항, 제31항, 제32항 또는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합성수지제인 양베어링릴의 릴 본체.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투광성을 가지고 있는 양베어링릴의 릴 본체.
KR1020000058511A 1999-10-05 2000-10-05 양베어링릴의 릴 본체 KR1006926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284423 1999-10-05
JP28442399A JP3840007B2 (ja) 1999-10-05 1999-10-05 両軸受リールのリール本体
JP11-330609 1999-11-19
JP33060899A JP3840017B2 (ja) 1999-11-19 1999-11-19 両軸受リールのリール本体
JP33060999A JP4233189B2 (ja) 1999-11-19 1999-11-19 両軸受リールのリール本体
JP11-330608 1999-11-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7291A KR20010067291A (ko) 2001-07-12
KR100692644B1 true KR100692644B1 (ko) 2007-03-13

Family

ID=35134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8511A KR100692644B1 (ko) 1999-10-05 2000-10-05 양베어링릴의 릴 본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460793B1 (ko)
KR (1) KR100692644B1 (ko)
MY (1) MY118664A (ko)
TW (1) TW46771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G116585A1 (en) * 2004-04-13 2005-11-28 Shimabno Inc Reel unit for dual-bearing reel.
KR200426604Y1 (ko) * 2006-04-20 2006-09-19 주식회사 도요엔지니어링 낚시용 양 베어링형 릴의 사이드 커버 착탈장치
US7552886B2 (en) 2007-07-10 2009-06-30 W.C. Bradley/Zebco Holdings, Inc. Double drag, pre-set adjust and unitary end assembly for trolling reel
JP5350881B2 (ja) * 2009-05-15 2013-11-27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
US8573524B2 (en) 2010-04-02 2013-11-05 W.C. Bradley/Zebco Holdings, Inc. Skeletalized reel side plate
US9439409B2 (en) * 2010-09-03 2016-09-13 106941 Ab Ltd. Fishing reel housing with adjustable line retainer assembly
US9992984B2 (en) 2011-02-14 2018-06-12 Arribe Manufacturing, Llc Fishing reel
JP5878718B2 (ja) * 2011-09-27 2016-03-08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US9072284B2 (en) * 2012-06-05 2015-07-07 Doyo Engineering Co., Ltd. Fishing reel having quick-opening side cover
JP6026870B2 (ja) * 2012-11-29 2016-11-16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
KR101418029B1 (ko) * 2012-12-07 2014-07-09 주식회사 도요엔지니어링 사이드커버 분실 방지용 낚시용 릴
JP6166558B2 (ja) * 2013-03-13 2017-07-19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6198539B2 (ja) * 2013-09-13 2017-09-20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けリール
JP6198537B2 (ja) * 2013-09-13 2017-09-20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KR101781030B1 (ko) * 2015-03-16 2017-09-25 유한책임회사 도요엔지니어링 은폐형 라인스토퍼를 구비한 낚시릴
US9763434B2 (en) * 2015-05-28 2017-09-19 DQC International Corp., Inc. Fishing reel having openable side cover
KR101887510B1 (ko) * 2015-06-18 2018-08-10 주식회사 코커스 베이트 캐스팅 릴의 커버 착탈장치
KR101828392B1 (ko) * 2015-07-17 2018-02-12 유한책임회사 도요엔지니어링 데코트림 및 배수부를 구비한 낚시릴
JP6846156B2 (ja) * 2016-10-19 2021-03-24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6941558B2 (ja) * 2017-12-27 2021-09-29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7094169B2 (ja) * 2018-07-13 2022-07-01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KR102235633B1 (ko) * 2019-01-31 2021-04-05 주식회사 바낙스 텐션 조정노브 이탈방지구가 구비된 베이트 캐스트 릴
KR20230045846A (ko) * 2021-09-29 2023-04-05 유한책임회사 도요엔지니어링 프레임의 돌출부 가림 기능의 락 레버를 구비한 낚시 릴
US11974558B2 (en) * 2021-12-21 2024-05-07 Accurate Grinding and Mfg. Corp. Star drag fishing reel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48453A (ja) * 1997-03-11 1998-09-22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
JPH11243819A (ja) * 1998-02-27 1999-09-14 Shimano Inc 釣り用リール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72094Y2 (ja) * 1992-01-28 1998-05-20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2575446Y2 (ja) * 1992-02-18 1998-06-25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2572104Y2 (ja) * 1992-10-15 1998-05-20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H0937689A (ja) * 1995-08-02 1997-02-10 Daiwa Seiko Inc 両軸受型リール
KR0134420Y1 (ko) * 1996-06-11 1998-12-15 정종오 양베어링 릴의 커버 착탈장치
KR200174209Y1 (ko) * 1999-05-21 2000-03-15 주식회사신아스포츠 스풀 착탈 기구를 갖는 베이트 캐스팅 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48453A (ja) * 1997-03-11 1998-09-22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
JPH11243819A (ja) * 1998-02-27 1999-09-14 Shimano Inc 釣り用リ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467718B (en) 2001-12-11
US6460793B1 (en) 2002-10-08
KR20010067291A (ko) 2001-07-12
MY118664A (en) 2004-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2644B1 (ko) 양베어링릴의 릴 본체
KR101188291B1 (ko) 듀얼 베어링 릴의 릴 본체
EP2002716B1 (en) Reel unit for spinning reel
KR101254537B1 (ko) 낚시용 릴의 핸들 손잡이 및 핸들 조립체
KR101377480B1 (ko) 스피닝 릴의 스풀
KR101265999B1 (ko) 스피닝 릴의 드랙 기구
KR100687898B1 (ko) 양베어링 릴의 릴 본체
KR101408082B1 (ko) 스피닝 릴의 릴 본체
JP2001145442A5 (ko)
JP2001145446A (ja) 両軸受リールのハンドル取付構造
KR20020037263A (ko) 스피닝 릴의 로터
US20090152389A1 (en) Fishing line guiding mechanism of spinning reel
KR101694486B1 (ko) 스피닝 릴의 드래그 손잡이
KR20080057146A (ko) 스피닝 릴의 스풀
KR20040071628A (ko) 낚시용 릴의 핸들 장착 구조
KR102633701B1 (ko) 양 베어링 릴
JP3851731B2 (ja) 釣り用リールの部品着脱構造
KR20040038681A (ko) 스피닝 릴의 로터
JP3840017B2 (ja) 両軸受リールのリール本体
US6648258B2 (en) Spinning reel spool and spinning reel
JP4233189B2 (ja) 両軸受リールのリール本体
JP2006129864A (ja) 釣り用リールのハンドル把手及びハンドル組立体
JP2001145443A5 (ko)
JP4647838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
JP4512253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8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