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8117B1 - 안테나용 브라켓 장치 - Google Patents

안테나용 브라켓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8117B1
KR100688117B1 KR1020070000568A KR20070000568A KR100688117B1 KR 100688117 B1 KR100688117 B1 KR 100688117B1 KR 1020070000568 A KR1020070000568 A KR 1020070000568A KR 20070000568 A KR20070000568 A KR 20070000568A KR 100688117 B1 KR100688117 B1 KR 1006881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antenna
rotation
coupled
piv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0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승모
임태욱
이찬희
이상현
Original Assignee
(주)뮤트로닉스
(주)더팀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뮤트로닉스, (주)더팀즈 filed Critical (주)뮤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700005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81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8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81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3/00Hand knives with fixed blades
    • B26B3/04Hand knives with fixed blades for performing several incisions simultaneously; Multiple-blade knive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5/00Processing fish ; Curing of fish; Stunning of fish by electric current; Investigating fish by optical means
    • A22C25/18Cutting fish into portions
    • A22C25/185Hand tools for cutting fis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3/00Hand knives with fixed blades
    • B26B3/03Hand knives with fixed blades specially adapted for cutting-off slices one by on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테나용 브라켓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중앙에 개구가 형성되고 일면에 안테나가 취부되며 타면에 제 1 회동방향을 따라 하방 만곡진 제 1 회동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제 1 브라켓, 중앙에 개구가 형성되고 일면에 상기 제 1 회동방향과 수직인 제 2 회동방향을 따라 상방 만곡진 제 2 회동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타면이 설치면에 고정되는 제 2 브라켓, 중앙에 개구가 형성되고 일면에 상기 제 1 회동돌기에 대응되는 형상이 형성되며 타면에 상기 제 2 회동돌기에 대응되는 형상이 형성되어 상기 제 1 회동돌기와 제 2 회동돌기의 사이에 밀착결합되는 지지판, 상기 제 1 브라켓과 제 2 브라켓 간에 탄력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제 1 브라켓과 제 2 브라켓의 회동을 제어하는 회동제어 어셈블리 및 상기 회동제어 어셈블리의 측면에 관통 결합되고 상기 회동 제어 어셈블리의 이동 유격을 제어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브라켓을 잠금 또는 잠금해제하는 잠금핀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안테나, 브라켓, 회전, 회동, 잠금.

Description

안테나용 브라켓 장치{a Bracket device for an antenna}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용 브라켓 장치의 좌/우 방향 회동을 도시한 제 1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용 브라켓 장치의 전/후 방향 회동을 도시한 제 2사시도,
도 3은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4 내지 도 6는 도 1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용 브라켓 장치의 작동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제 1 브라켓 11: 제 1 회동돌기
20: 제 2 브라켓 21: 제 2 회동돌기
30: 지지판 41: 제 1 회전축
41a : 제 1 몸통부 41b : 제 1 날개부
41c : 결합부 42: 제 2 회전축
42a: 제 2 몸통부 42b : 제 2 날개부
42c : 관통공 42d : 단턱부
43: 승강핀 43a: 헤드부
43b: 관통공 43c: 상하돌기부
46: 잠금핀 46a: 와셔부재
46b: 철부 46c: 요부
51, 53, 55 : 제 1 ~ 3 탄성부재
100: 안테나용 브라켓 장치 200: 안테나
본 발명은 전/후/좌/우로 회동각도를 조절하여 안테나의 복사빔 방향을 원하는 각도로 위치시킨 후 간단한 조작만으로 안테나를 고정시켜 외부의 진동이나 충격에 대해 안테나가 더 이상 움직이지 않고 안전하게 회동각도를 유지시킬 수 있는 구조의 안테나용 브라켓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안테나는 전파를 송수신하기 위한 장치로서 지향특성에 따라 특정한 방향에 높은 수신 감도를 보이는 지향성 안테나와 수신 감도가 방향과 관련이 없는 무지향성 안테나로 구분할 수 있다.
지향성 안테나는 안테나의 복사빔 방향을 원하는 방향으로 조절하기 위해 브라켓 상에 상/하/좌/우 회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실외용 안테나는 태풍이나 순간적인 돌풍 또는 폭설 등에 의해 장착된 안테나의 방향이 틀어질 수 있으므로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강하게 조립하는 방식의 장착 브라켓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나 이러한 경우 안테나의 각도 조절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한편, 중계기 안테나의 경우 실내의 상측 벽면이나 지하의 천장 구조물에 장착되는데 일반적으로 협소한 공간에서 안테나 설치 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작업성이 저하되고 전/후 또는 좌/우로 임의의 방향으로 재설치하기 위해서는 각 관절을 고정하는 구조가 가려져서 전용 공구를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후/좌/우로 회동각도를 조절하여 안테나의 복사빔 방향을 원하는 각도로 위치시킨 후 간단한 조작만으로 이를 고정시켜 외부의 진동이나 충격에 대해 안테나가 더 이상 움직이지 않고 안전하게 회동각도를 유지시킬 수 있는 구조의 안테나용 브라켓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중앙에 개구가 형성되고 일면에 안테나가 취부되며 타면에 제 1 회동방향을 따라 하방 만곡진 제 1 회동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제 1 브라켓, 중앙에 개구가 형성되고 일면에 상기 제 1 회동방향과 수직인 제 2 회동방향을 따라 상방 만곡진 제 2 회동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타면이 설치면에 고정되는 제 2 브라켓, 중앙에 개구가 형성되고 일면에 상기 제 1 회동돌기에 대응되는 형상이 형성되며 타면에 상기 제 2 회동돌기에 대응되는 형상이 형성되어 상기 제 1 회동돌기와 제 2 회동돌기의 사이에 밀착결합되는 지지판, 상기 제 1 브라켓과 제 2 브라켓 간에 탄력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제 1 브라켓과 제 2 브라켓의 회동을 제어하는 회동제어 어셈블리 및 상기 회동제어 어셈블리의 측면에 관통 결합되고 상기 회동 제어 어셈블리의 이동 유격을 제어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브라켓을 잠금 또는 잠금해제하는 잠금핀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용 브라켓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회동제어 어셈블리는 일단에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브라켓의 개구에 삽입되는 제 1 몸통부 및 상기 몸통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회동돌기에 걸림결합되는 제 1 날개부를 갖는 제 1 회전축,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일단에 단턱부가 형성된 제 2 몸통부 및 상기 몸통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회동돌기에 걸림결합되며 측방으로 관통공이 형성된 제 2 날개부를 갖는 제 2 회전축, 일단에 측방으로 관통공이 형성되고, 내주면 중앙부위에 상하로 돌출된 상하돌기부를 갖는 헤드부가 형성되고, 타단이 상기 제 2 회전축의 내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 1 회전축의 결합부와 결합되는 승강핀 및 상기 승강핀과 상기 제 2 회전축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단턱부에 의해 지지되는 제 1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잠금핀 어셈블리는 상기 승강핀의 상하돌기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철(凸)부가 형성되고 상기 철부의 양측으로 철부보다 직경이 작은 요(凹)부가 형성 되며, 일단이 상기 제 2 회전축 및 승강핀의 각 관통공을 관통하는 잠금핀, 상기 잠금핀의 일단에 결합되는 와셔부재, 상기 잠금핀과 제 2 회전축 사이에 개재되는 제 2 탄성부재 및 상기 와셔부재와 제 2 회전축 사이에 개재되는 제 3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용 브라켓 장치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용 브라켓 장치의 좌/우 방향 회동을 도시한 제 1사시도이고,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용 브라켓 장치의 전/후 방향 회동을 도시한 제 2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후/좌/우로 회동각도를 조절하여 안테나의 복사빔 방향을 원하는 각도로 위치시킨 후 간단한 조작만으로 이를 고정시켜 외부의 진동이나 충격에 대해 안테나가 더 이상 움직이지 않고 안전하게 회동각도를 유지시킬 수 있는 구조의 안테나용 브라켓 장치(100)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상기 브라켓 장치(100)는 크게 안테나(200)가 취부되는 제 1 브라켓(10)과, 벽면 등의 설치면에 고정되는 제 2 브라켓(20)과, 상기 제 1 브라켓(10)과 제 2 브라켓(20) 사이에 위치하여 제 1 브라켓(10)과 제 2 브라켓(20)의 회동을 안내하는 지지판(30)과, 제 1 브라켓(10)과 제 2 브라켓(20) 간에 탄력적으로 결합되어 제 1 브라켓(10)과 제 2 브라켓(20)의 회동을 제어하는 회동제어 어셈블리 및 회동 제어 어셈블리의 상하 이동 유격을 제어하여 제 1 및 제 2 브라켓(10, 20)을 잠금 또는 잠금해제하는 잠금핀 어셈블리로 구성된다.
제 1 브라켓(10)은 일면에 안테나(200)가 고정되고, 타면에 좌/우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제 1 회동돌기(11)가 좌/우 방향을 따라 만곡되게 돌출 형성된다. 제 1 회동돌기(11)는 회동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표면에 기어 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제 2 브라켓(20)은 일단이 벽면에 고정되고, 타단은 제 1 브라켓(10)의 제 1 회동돌기(11)와 교차되게 제 2 회동돌기(21)가 상/하 방향을 따라 만곡되게 돌출 형성되어 있다. 제 2 브라켓(20) 역시 제 2 회동돌기(21)의 표면에 기어 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판(30)은 제 1 브라켓(10)과 제 2 브라켓(20)의 각 회동돌기(11,21)가 상/하면에 밀착되는 구조로서, 상부면에 제 1 회동돌기(11)의 기어 또는 나사산과 맞물릴 수 있도록 좌/우방향으로 기어 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면에는 제 2 회동돌기(21)의 기어 또는 나사산과 맞물릴 수 있도록 전/후 방향으로 기어 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회동제어 어셈블리는 지지판(30)을 중심에 두고 상기 제 1 브라켓(10)과, 제 2 브라켓(20)을 탄력적으로 결합시켜 제 1 브라켓(10)의 전/후/좌/우 방향회동을 제어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회동제어 어셈블리는 제 1 회전축(41), 제 2 회전축(42), 승강핀(43) 및 제 1 탄성부재(5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 회전축(41)은 일단에 결합부(41c)가 형성되고 제 1 브라켓(10)의 개구에 삽입되는 제 1 몸통부(41a) 및 제 1 몸통부(41a)와 일체로 형성되며 제 1 회동돌기(11)에 걸림결합되는 제 1 날개부(41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2 회전축(42)은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일단에 단턱부(42d)가 형성된 제 2 몸통부(42a) 및 제 2 몸통부(42a)와 일체로 형성되고 제 2 회동돌기(21)에 걸림결합되며 측방으로 관통공(42c)이 형성된 제 2 날개부(42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승강핀(43)은 일단에 측방으로 관통공(43b)이 형성되고, 내주면 중앙부위에 상하로 돌출된 상하돌기부(43c)를 갖는 헤드부(43a)가 형성되고, 타단이 제 2 회전축(42)의 내부를 관통하여 제 1 회전축(41)의 결합부(41c)와 결합된다.
제 1 탄성부재(51)는 승강핀(43)과 제 2 회전축(42) 사이에 개재되고, 상단이 제 2 회전축(42)의 단턱부(42d)에 의해 지지되므로 승강핀(43)에 하방 탄성력을 제공한다.
잠금핀 어셈블리는 승강핀(43)의 상하돌기부(43c)에 대응되는 위치에 철(凸)부(46b)가 형성되고 상기 철부(46b)의 양측으로 철부(46b)보다 직경이 작은 요(凹)부(46c)가 형성되며, 일단이 제 2 회전축(42) 및 승강핀(43)의 각 관통공(42c, 43b)을 관통하는 잠금핀(46)과 잠금핀(46)의 일단에 결합되어 잠금핀(46)의 이탈을 방지하는 와셔부재(46a)로 구성되며, 잠금핀(46)과 제 2 회전축(42)의 사이 및 와셔부재(46a)와 제 2 회전축(42)의 사이에는 제 2 및 제 3 탄성부재(53, 55)가 개재된다.
이하에서는 도 4 ~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용 브라켓 장치의 작동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잠금핀(46)의 철부(43c)가 승강핀(43)의 상하돌기부(43c)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하돌기부(43c)에 밀착되므로 승강핀(43)은 잠금핀(46)에 걸려 승강하지 못하고 고정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브라켓(10)의 제 1회동부(11)의 기어와 지지판(30)의 기어가 맞물린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제 1브라켓(10)은 지지판(30)에 고정된다.
그리고 지지판(30) 역시 하부면에 결합된 제 2브라켓(20)의 제 2회동부(21)의 기어와 맞물린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제 2브라켓(2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안테나(200)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핀(46)의 일측 또는 와셔부재(46a)를 누르면 되며, 도 5에서는 와셔부재(46a)를 누른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와셔부재(46a)가 눌러지면 제 3 탄성부재(55)가 압축되면서 잠금핀(46)이 우측으로 이동되어 잠금핀(46)의 요부(46c)가 상하돌기부(43c)의 사이에 위치하게 되고, 승강핀(43)은 요부(46c)의 직경과 철부(46b)의 직경 차이만큼 승강할 수 있는 유격이 마련된다.
따라서, 도 6과 같이, 제 1 브라켓(10)을 손으로 잡고 올리면 승강핀(43)은 상승하고, 이와 동시에 제 1 브라켓(10)의 제 1회동부(11)의 기어는 지지판(30)의 기어와 이탈되어 안테나를 회동시킬 수 있다.
이 후 제 1브라켓(10)을 손에서 이탈시키면 제 1 탄성부재(51)의 탄성력에 의해 승강핀(43)은 하강하게 되고, 제 1브라켓(10)의 제 1회동부(11)의 기어는 지지판(30)의 기어와 다시 맞물리게 되어 고정된다.
안테나(200)의 각도 조절이 완료된 후, 눌렀던 와셔부재(46a)를 놓으면 제 3 탄성부재(55)의 탄성력에 의해 잠금핀(46)의 정상 위치로 복귀하고, 잠금핀(46)의 철부(43c)가 승강핀(43)의 상하돌기부(43c)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하돌기부(43c)에 밀착되므로 승강핀(43)은 잠금핀(46)에 걸려 승강하지 못하고 고정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용 브라켓 장치에 따르면, 전/후/좌/우로 회동각도를 조절하여 안테나의 복사빔 방향을 원하는 각도로 위치시킨 후 간단한 조작만으로 이를 고정시켜 외부의 진동이나 충격에 대해 안테나가 더 이상 움직이지 않고 안전하게 회동각도를 유지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공간이 협소한 장소에 안테나를 설치한다 하더라도, 별도의 작업공구를 필요치 않고 원터치로 전/후/좌/후 방향으로 회동각도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안테나의 방향 재설정시 이를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3)

  1. 중앙에 개구가 형성되고 일면에 안테나가 취부되며 타면에 제 1 회동방향을 따라 하방 만곡진 제 1 회동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제 1 브라켓;
    중앙에 개구가 형성되고 일면에 상기 제 1 회동방향과 수직인 제 2 회동방향을 따라 상방 만곡진 제 2 회동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타면이 설치면에 고정되는 제 2 브라켓;
    중앙에 개구가 형성되고 일면에 상기 제 1 회동돌기에 대응되는 형상이 형성되며 타면에 상기 제 2 회동돌기에 대응되는 형상이 형성되어 상기 제 1 회동돌기와 제 2 회동돌기의 사이에 밀착결합되는 지지판;
    상기 제 1 브라켓과 제 2 브라켓 간에 탄력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제 1 브라켓과 제 2 브라켓의 회동을 제어하는 회동제어 어셈블리; 및
    상기 회동제어 어셈블리의 측면에 관통 결합되고 상기 회동 제어 어셈블리의 이동 유격을 제어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브라켓을 잠금 또는 잠금해제하는 잠금핀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용 브라켓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제어 어셈블리는
    일단에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브라켓의 개구에 삽입되는 제 1 몸통부 및 상기 몸통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회동돌기에 걸림결합되는 제 1 날개부를 갖는 제 1 회전축;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일단에 단턱부가 형성된 제 2 몸통부 및 상기 몸통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회동돌기에 걸림결합되며 측방으로 관통공이 형성된 제 2 날개부를 갖는 제 2 회전축;
    일단에 측방으로 관통공이 형성되고, 내주면 중앙부위에 상하로 돌출된 상하돌기부를 갖는 헤드부가 형성되고, 타단이 상기 제 2 회전축의 내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 1 회전축의 결합부와 결합되는 승강핀; 및
    상기 승강핀과 상기 제 2 회전축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단턱부에 의해 지지되는 제 1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용 브라켓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핀 어셈블리는
    상기 승강핀의 상하돌기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철(凸)부가 형성되고 상기 철부의 양측으로 철부보다 직경이 작은 요(凹)부가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제 2 회전축 및 승강핀의 각 관통공을 관통하는 잠금핀;
    상기 잠금핀의 일단에 결합되는 와셔부재;
    상기 잠금핀과 제 2 회전축 사이에 개재되는 제 2 탄성부재; 및
    상기 와셔부재와 제 2 회전축 사이에 개재되는 제 3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용 브라켓 장치.
KR1020070000568A 2007-01-03 2007-01-03 안테나용 브라켓 장치 KR1006881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0568A KR100688117B1 (ko) 2007-01-03 2007-01-03 안테나용 브라켓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0568A KR100688117B1 (ko) 2007-01-03 2007-01-03 안테나용 브라켓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8117B1 true KR100688117B1 (ko) 2007-03-02

Family

ID=38102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0568A KR100688117B1 (ko) 2007-01-03 2007-01-03 안테나용 브라켓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811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3201B1 (ko) 2008-05-07 2010-09-20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안테나 브라켓
KR200467127Y1 (ko) * 2008-09-30 2013-06-04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안테나 지지장치
KR200469765Y1 (ko) 2012-03-19 2013-11-07 보성홀딩스 주식회사 다축 회전이 가능한 안테나 설치용 브래킷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7549U (ko) * 1997-02-05 1998-10-15 김광호 위성방송용 안테나의 각도 조정장치
JPH11234012A (ja) 1998-02-12 1999-08-27 Nec Mobile Commun Ltd アンテナの回転部構造
KR20010005274A (ko) * 1999-06-30 2001-01-15 서평원 무선가입자용 안테나 고정장치
KR20060008585A (ko) * 2004-07-21 2006-01-27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야기안테나를 지지대에 고정하는 회전 가능한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7549U (ko) * 1997-02-05 1998-10-15 김광호 위성방송용 안테나의 각도 조정장치
JPH11234012A (ja) 1998-02-12 1999-08-27 Nec Mobile Commun Ltd アンテナの回転部構造
KR20010005274A (ko) * 1999-06-30 2001-01-15 서평원 무선가입자용 안테나 고정장치
KR20060008585A (ko) * 2004-07-21 2006-01-27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야기안테나를 지지대에 고정하는 회전 가능한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3201B1 (ko) 2008-05-07 2010-09-20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안테나 브라켓
KR200467127Y1 (ko) * 2008-09-30 2013-06-04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안테나 지지장치
KR200469765Y1 (ko) 2012-03-19 2013-11-07 보성홀딩스 주식회사 다축 회전이 가능한 안테나 설치용 브래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037758A1 (en) Antenna clamping device
CN212626011U (zh) 天线用夹紧装置
KR100688117B1 (ko) 안테나용 브라켓 장치
KR101968628B1 (ko) 피봇 힌지 장치
JP2017086866A (ja) 抽斗スライドレールキット、及び、取付デバイス
CN114008853A (zh) 天线用夹紧装置
KR101277664B1 (ko) 이동통신 안테나
JP5894391B2 (ja) ドアハンドル装置
JP4864924B2 (ja) 建具
KR101849987B1 (ko) 루버시스템의 작동장치
JP3148908U (ja) 機器吊り下げ装置
CN212626009U (zh) 天线用夹紧装置
KR200428777Y1 (ko) 발코니 창틀 고정용 브래키트
KR102255003B1 (ko) 여닫이문 귀환장치
KR20030056191A (ko) 천정점검구
US9217268B2 (en) Furniture hinge
JP7438780B2 (ja) 平面アンテナ付キャビネット
JP5841928B2 (ja) 戸車及び建具
KR200496569Y1 (ko) 휀스 무늬 장치용 절곡 장치
CN220895826U (zh) 射灯天线支架和射灯天线设备
CN217928178U (zh) 一种角度调节机构及车牌识别装置
JP3416873B2 (ja) シャッター
KR100489937B1 (ko) 암반용 앵커
JP7103590B2 (ja) ドアロック装置及びそのドアロック装置の車両ドアへの取付方法
KR102045148B1 (ko) 창호의 수평 수준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