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8777Y1 - 발코니 창틀 고정용 브래키트 - Google Patents

발코니 창틀 고정용 브래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8777Y1
KR200428777Y1 KR2020060019542U KR20060019542U KR200428777Y1 KR 200428777 Y1 KR200428777 Y1 KR 200428777Y1 KR 2020060019542 U KR2020060019542 U KR 2020060019542U KR 20060019542 U KR20060019542 U KR 20060019542U KR 200428777 Y1 KR200428777 Y1 KR 2004287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fixing member
fixing
balcony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95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 기 김
Original Assignee
한 기 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 기 김 filed Critical 한 기 김
Priority to KR20200600195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877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87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877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56Fastening frames to the border of openings or to similar contiguous frames
    • E06B1/60Fastening frames to the border of openings or to similar contiguous frames by mechanical means, e.g. anchoring means
    • E06B1/6046Clamping means acting perpendicular to the wall opening; Fastening frames by tightening or drawing them against a surface parallel to the op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oor And Window Frames Mounted To Open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발코니 창틀 고정용 브래키트에 관한 것으로서 창틀의 저벽구조에 제한을 받지 않으며 창틀의 위치를 수직,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가면서 손쉽고, 정확하며 견고하게 설치해 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발코니의 방수턱에 박혀있는 앵커볼트와의 결합위치를 수직방향쪽에서 선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수직부(14)와 나사구멍(24)을 가진 수직돌기(26)를 가진 수평부(16)로 이루어진 고정부재(10)와, 창틀의 저벽부분과 체결수단(30)으로 결합되며, 상기 고정부재(10)의 수평부(16)에 이동 가능하게 끼워 맞춤되는 안내턱(28), (28')을 가지며, 상기 고정부재(10)와 끼워맞춤된 상태에서 조절나사봉(27)을 어느 한쪽으로 회전시켜주는 것에 의해서 고정부재(10)상에서 수평방향으로의 이동거리가 조절되는 가동부재(12)로 되어 있는 발코니 창틀 고정 브래키트임.
발코니, 창틀, 브래키트, 고정부재, 가동부재, 조절나사봉.

Description

발코니 창틀 고정용 브래키트{A fixing bracket for window frame of the balcony}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브래키트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브래키트의 사용상태를 예시한 도 1의 A-A선 단면도.
본 고안은 건물에서 발코니의 전방에 있는 방수턱 위에 창틀을 고정시켜주는데 사용되는 발코니 창틀 고정용 브래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코니 창틀은 무게가 무거우며, 크기가 큰 것이고, 발코니에 설치함에 있어서 창문이 원활하게 여닫히도록 해주기 위해서는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으로의 위치를 조절시켜 가면서 설치하는데 많은 주의를 요한다.
그러나 종래의 것은 창틀의 위치를 수직, 수평방향으로 조절하면서 설치하기가 어려웠었다.
즉, 종래의 것은 창틀의 제조원마다 창틀의 저벽쪽 구조가 상이한 까닭에 창틀과의 결합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없었고, 단순히 방수턱에 있는 앵커볼트로만 결합된 상태를 유지시켜주는 것이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창틀의 저벽구조에 제한을 받지 않으며 창틀을 수직,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가면서 손쉽고, 정확하며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는 발코니 창틀 고정용 브래키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을 이하 예시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도 1 및 도 2에 예시한 바와 같이 발코니의 방수턱(a)에 박혀있는 앵커볼트(b)와 결합되는 고정부재(10)와, 창틀(c)과 결합되며 상기 고정부재(10)와 대응하며 고정부재(10)와 결합되는 가동부재(12)로 이루어져 있다.
고정부재(10)는 직각으로 절곡된 수직부(14)와 수평부(16)를 가진 것으로, 수직부(14)에는 앵커볼트(b)의 나선부(d)가 관통하는 여러개의 슬로트(18)가 형성되어 있어 고정부재(10)의 위치를 수직방향으로 이동시켜가면서 너트(20)로 고정시켜줄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중간에는 가로방향으로 요홈(22)이 형성되어 있어 방수턱(a)의 높이에 맞추어서 쉽게 끊어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수평부(16)에는 나사구멍(24)을 가진 수직돌기(26)가 형성되어서 나중에 설명되는 가동부재(12)에 회전할 수 있도록 끼워진 조절나사봉(27)을 어느 한쪽으로 회전시켜주는 것에 의하여 상기 수평부(16) 위에서 수평방향으로의 이동거리를 조절시켜 줄 수 있도록 되어있다.
가동부재(12)는 상기 고정부재(10)의 수평부(16)에 수평방향 쪽으로 이동가능하게 끼워 맞춤시켜 줄 수 있도록 해주는 안내턱(28), (28')이 형성되어 있다.
가동부재(12)에는 창틀(c)의 저벽부분(e)과 나사 또는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30)이 끼워지는 조립안내구멍(32)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가동부재(12)의 일측에는 아래로 절곡된 돌기(34)가 형성되어 있고, 이 돌기(34)에는 개구부(36)를 가진 구멍(3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멍(38)에는 상기 조절나사봉(27)의 나선부(40)와 헤드(42)사이에 있는 굵기가 가늘은 목부분(44)이 회전가능하게 끼워져 있다. 즉, 구멍(38)쪽 개구부(36)를 좁혀주는 것에 의해서 목부분(44)이 이탈되지 않는 것이어서 상기 돌기(34)는 스냅링 기능을 발휘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브래키트는 도 1과 도 2에 예시한 바와 같이 창틀(c)의 저벽부분(e)의 구조나 형태 그리고 방수턱(a)의 높이나 앵커볼트(b)의 위치에 알맞게 고정부재(10)의 고정위치를 여러개의 슬로트(18)를 선택적으로 사용하고, 또 선택한 슬로트(18)상에서 폭넓게 조절하면서 시공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창틀(c)의 저벽부분(e)과 먼저 결합되는 가동부재(12)에 있는 조립안내구멍(32)들을 통해서는 나사 또는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30)이 끼워져서 창틀(c)과의 결합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시켜 주게 된다.
또 고정부재(10)에서 수직돌기(26)에 있는 나사구멍(24)에는 상기 가동부재(12)에 있는 돌기(34)의 구멍(38)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진 조절나사봉(27)의 나선부(40)와 나선결합되는 것이어서 조절나사봉(27)을 어느 한쪽으로 회전시켜주는 것에 의해서 상기 가동부재(12)와 체결수단(30)으로 결합된 창틀(c)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줄 수 있게 된다. 즉, 가동부재(12)는 고정부재(10)와 끼워맞춤된 상태에 서 상기 조절나사봉(27)에 의해서 수평방향으로 이동거리가 조절된다.
본 고안에 있어서 가동부재(12)의 수평방향쪽 이동거리를 보다 더 확장시켜 주려면 도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부재(10)의 수직부(14)와 수평부(16)가 만나는 부위에는 가동부재(12)에 있는 안내턱(28), (28')이 통과할 수 있어 가동부재(12)의 이동을 허용하는 요입부(17), (17')를 형성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은 창틀의 저벽구조에 제한을 받지 않으며, 고정부재(10)와 끼워맞춤된 가동부재(12)를 조절나사봉(27)으로 수평방향으로 이동거리를 조절해줄 수 있는 것이어서 창틀을 최적 위치로 이동시켜가면서 보다 손쉽고, 정확하며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이 있다.

Claims (2)

  1. 수직부(14)와 수평부(16)가 직각으로 절곡되어 있으며, 수직부(14)에 여러개의 슬로트(18)가 형성되어 있고, 수평부(16)에는 나사구멍(24)을 가진 수직돌기(26)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부재(10)와;
    상기 고정부재(10)의 수평부(16)에 이동가능하게 끼워맞춤되는 안내턱(28), (28')을 가지며, 창틀(c)의 저벽부분(e)에 고정되는 나사 또는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30)이 끼워지는 조립안내구멍(32)들과, 상기 고정부재(10)의 수평부(16)에 있는 나사구멍(24)을 가진 수직돌기(26)와 대응하는 개구부(36)를 포함하는 구멍(38)을 가진 돌기(34)가 일측 아래쪽에 형성되어 있는 가동부재(12)와;
    상기 고정부재(10)의 나사구멍(24)과 나선결합되는 나선부(40)와, 상기 가동부재(12)의 구멍(38)에 끼워지는 목부분(44)과, 구멍(38)밖에 위치하는 헤드(42)를 가진 조절나사봉(27)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코니 창틀 고정용 브래키트.
  2. 제 1항에 있어서, 고정부재(10)의 수직부(14)와 수평부(16) 사이에는 가동부재(12)의 이동을 허용해주는 요입부(17), (17')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코니 창틀 고정용 브래키트.
KR2020060019542U 2006-07-20 2006-07-20 발코니 창틀 고정용 브래키트 KR2004287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9542U KR200428777Y1 (ko) 2006-07-20 2006-07-20 발코니 창틀 고정용 브래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9542U KR200428777Y1 (ko) 2006-07-20 2006-07-20 발코니 창틀 고정용 브래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8777Y1 true KR200428777Y1 (ko) 2006-10-16

Family

ID=41777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9542U KR200428777Y1 (ko) 2006-07-20 2006-07-20 발코니 창틀 고정용 브래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877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7716B1 (ko) 2008-02-05 2008-05-07 송재해 고정 브라켓
KR100841092B1 (ko) 2007-06-12 2008-06-25 한 기 김 창틀 고정용 브래키트
KR101053832B1 (ko) * 2010-07-07 2011-08-03 (주)원진화스닝 금속판 드로잉 가공을 이용한 창틀 고정용 브래킷의 제조방법 및 창틀 고정용 브래킷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1092B1 (ko) 2007-06-12 2008-06-25 한 기 김 창틀 고정용 브래키트
KR100827716B1 (ko) 2008-02-05 2008-05-07 송재해 고정 브라켓
KR101053832B1 (ko) * 2010-07-07 2011-08-03 (주)원진화스닝 금속판 드로잉 가공을 이용한 창틀 고정용 브래킷의 제조방법 및 창틀 고정용 브래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46489C2 (ru) Дверной блок
KR200424732Y1 (ko) 발코니 창틀 고정용 브래키트
KR200428777Y1 (ko) 발코니 창틀 고정용 브래키트
US20120260577A1 (en) Linear actuator particularly for sliding doors and for sliding door or window closure elements in general
TWI737699B (zh) 門把及將門把安裝至門之方法
KR100988019B1 (ko) 내/외장 패널 설치구조
KR200434477Y1 (ko) 창틀 고정용 브래키트
KR200428811Y1 (ko) 창틀 고정용 브래키트
KR200425100Y1 (ko) 창틀 고정용 브래키트
KR200428810Y1 (ko) 창틀 고정용 브래키트
KR200428790Y1 (ko) 발코니 창틀 고정용 브래키트
KR101534392B1 (ko) 롯드바 지지대
JP4994102B2 (ja) 開閉窓
KR200346760Y1 (ko) 창문의 열림각도 조절장치
KR200403059Y1 (ko) 커튼 레일용 슬라이더
JP2007321432A (ja) 引戸装置
JP6444132B2 (ja) サッシ枠取付構造
JP2006125111A (ja) 巾調整可能なドア
JP4750572B2 (ja) 埋め込み金具
KR200325016Y1 (ko) 도어 스톱퍼
KR20180029478A (ko) 유동 포스트가 구비된 도어락
JP6932825B2 (ja) 端部支持材
KR200358041Y1 (ko) 문짝설치용 힌지
KR20120005647U (ko) 자력을 이용한 도어 스톱퍼
JP2009133077A (ja) ド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