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4392B1 - 롯드바 지지대 - Google Patents

롯드바 지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4392B1
KR101534392B1 KR1020130077834A KR20130077834A KR101534392B1 KR 101534392 B1 KR101534392 B1 KR 101534392B1 KR 1020130077834 A KR1020130077834 A KR 1020130077834A KR 20130077834 A KR20130077834 A KR 20130077834A KR 101534392 B1 KR101534392 B1 KR 1015343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bar
door
hole
rod
guid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7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7129A (ko
Inventor
권오숙
Original Assignee
권오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오숙 filed Critical 권오숙
Priority to KR10201300778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4392B1/ko
Publication of KR20140127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71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43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43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8Hinged covers or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05B85/12Inner door 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롯드바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서, 배전반용 도어(1)의 배면에 도어 핸들(2)과 연결 설치된 회전판(3)상에 상하방향으로 일단이 연결 설치되어 도어 틀(1-1)의 상부측과 하부측 걸림공(1a)에 삽입 및 해제되는 롯드바(4)를 관통 지지하는 롯드바 지지대(10)에 있어서,
상기 롯드바 지지대(10)는, 도어(1)의 배면에 용접 부착되며, 일측에 수나사(12a)가 형성된 고정구(12)와, 상기 고정구(12)의 수나사(12a)에 체결되도록 내부에 인서트 너트(13)가 매입되며, 외부 양측에는 마찰돌기(14a)가 다수개 형성된 결합돌부(14b) 및 결합돌부 외측에 장공(14c)이 관통 형성된 나사조절구(14)와, 상기 나사조절구(14)의 결합돌부(14b)에 결합되도록 일측으로부터 결합홈(16a)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롯드바(4)를 관통 안내하는 가이드공(15)이 구비되고, 외부 양측에 체결고정공(16b)이 구비된 전후조절캡(16)과, 상기 전후조절캡(16)의 체결고정공(16b)에 관통되어 너트(17)로 체결되어 나사조절구(14)의 장공(14c)으로부터 전후조절캡(16)을 고정하는 체결볼트(18)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바, 배전반 도어용 잠금장치를 구성하는 롯드바 지지대는 도어 핸들을 통한 도어를 잠금위치로 롯드바를 회전판으로부터 상방향과 하방향으로 작동시켜 도어를 개폐되도록 함에 있어, 단면적이 원형이거나 혹은 직사각형의 바(bar)형태로 된 롯드바의 형상에 관계없이 롯드바 지지대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 나사조절구로부터 전후조절캡의 높이를 조정하여 도어의 개폐작동에 따른 롯드바 지지대로부터 롯드바의 직진 작동을 원활하게 하여 도어의 개폐에 무리한 힘을 가하지 않고 손쉽게 개방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롯드바 지지대{Rods bar stopper}
본 발명은 롯드바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분전반, 배전반 등과 같은 도어에 설치된 도어 핸들의 회전으로서 도어 틀 측으로 각각 작동하도록 된 롯드바를 롯드바 지지대에 용이하게 설치하여 롯드바 직진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환형 또는 사각형의 단면적을 갖는 롯드바 중 어느 하나의 롯드바 적용설치가 용이하도록 한 롯드바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배전반 등과 같은 함체에는 여닫이 형식의 도어를 개폐하기 위해 도어 핸들이 설치되어 도어를 개폐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도어 핸들은 배전반의 크기에 따라 버튼식 타입과 회전식 타입이 적용 설치되며, 옥외에 설치되는 비교적 큰 배전반 같은 경우는 대부분 회전식 타입의 도어 핸들이 적용된다.
상기 도어 핸들 측에는 별도의 시건장치가 적용되며, 도어 핸들의 회전을 통상 90도 범위에서 동작시키며, 도어 핸들은 함체측 도어 틀 부분에 설치된 롯드바(Rods bar)를 작동시켜 도어를 개방하는 타입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는 첨부된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1)측에 도어 핸들(2)이 설치된 회전축으로부터 설치되는 회전판(3) 및 회전판의 상하측에 연결 설치되어 회전판(3)의 회전에 따라 상하 각각 작동되는 롯드바(4)가 마련된다.
상기 롯드바(4)는 그 단면이 환봉이거나, 사각 또는 직사각형으로 된 바(bar) 형태이며, 상기 회전판에서 연결된 롯드바의 타측은 도어 틀(1-1)에 형성한 걸림공(1a)에 삽입되거나 해제되는 타입으로서 도어(1)의 개폐가 이루어진다.
비교적 도어의 전장이 큰 대형 배전반인 경우, 상기 롯드바의 길이 또한 길어지게 되는데, 이는 상기 회전판으로부터 상방향 및 하방향으로 각각 직진 작동되는 롯드바의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점의 원인은, 롯드바의 휨 변형에 의해서 작동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도어의 개폐동작이 매끄럽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단점을 보안하고자 롯드바를 관통 지지하는 롯드바 지지대(10)를 별도로 도어의 배면측에 마련하여 롯드바의 직진 동작을 안내하도록 한 바 있다.
상기 롯드바 지지대(10)에 관통되는 롯드바(4)는 도어(1)측에 부착 설치된 롯드바 지지대로부터 상하 안내되는 동작이 회전판(3) 및 회전판과 연결되어 회전판을 90도 이내에서 회전시키는 도어 핸들(2)의 작동이 원활하지 못하는 사례가 발생하는바, 이는 도어의 배면측에 부착된 롯드바 지지대에 대해 관통되게 설치하는 과정이 쉽지 않고, 설치된 롯드바 또한 롯드바 지지대에 마찰이 심한 정도로 작동되기 때문이다.
상기 롯드바 지지대는 일측에 롯드바를 관통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공이 형성된 것으로서, 가이드공에는 롯드바의 슬라이딩 동작이 원활하도록 구리스를 도포하여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으나, 근본적으로 회전판으로부터 연결된 롯드바의 직선운동은 롯드바 지지대의 가이드공의 위치와 정확히 일치하지 못하는 이유에서 롯드바의 슬라이딩 작동시 매끄럽게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며, 이는 상대적으로 도어 핸들을 무리하게 작동시키기 때문에 도어 핸들에 손상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롯드바 지지대에 관통되는 롯드바가 원활하게 작동할 수 있는 위치에서 설치가 가능하고, 환형 또는 사각형의 단면적으로 갖는 어느 하나의 롯드바를 적용 설할 수 있도록 함이 절실히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제반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분전반, 배전반 등과 같은 도어에 설치된 도어 핸들의 회전으로서 도어 틀 측으로 각각 작동하도록 된 롯드바를 롯드바 지지대에 용이하게 설치하여 롯드바 직진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환형 또는 사각형의 단면적을 갖는 롯드바 중 어느 하나의 롯드바 적용설치가 용이하도록 한 롯드바 지지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배전반용 도어의 배면에 도어 핸들과 연결 설치된 회전판상에 상하방향으로 일단이 연결 설치되어 도어 틀의 상부측과 하부측 걸림공에 삽입 및 해제되는 롯드바를 관통 지지하는 롯드바 지지대에 있어서,
상기 롯드바 지지대는, 도어의 배면에 용접 부착되며, 일측에 수나사가 형성된 고정구와, 상기 고정구의 수나사에 체결되도록 내부에 인서트 너트가 매입되며, 외부 양측에는 마찰돌기가 다수개 형성된 결합돌부 및 결합돌부 외측에 장공이 관통 형성된 나사조절구와, 상기 나사조절구의 결합돌부에 결합되도록 일측으로부터 결합홈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롯드바를 관통 안내하는 가이드공이 구비되고, 외부 양측에 체결고정공이 구비된 전후조절캡과, 상기 전후조절캡의 체결고정공에 관통되어 너트로 체결되어 나사조절구의 장공으로부터 전후조절캡을 고정하는 체결볼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전후조절캡의 가이드공은 단면이 환봉형으로 된 롯드바를 관통하기 위한 제1가이드공 및 제1가이드공으로부터 단면이 직사각형으로 된 롯드바를 관통하기 위한 제2가이드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나사조절구 및 전후조절캡은 합성수지 계열의 플라스틱소재로 사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롯드바 지지대는 도어 핸들을 통한 도어를 잠금위치로 롯드바를 회전판으로부터 상방향과 하방향으로 작동시켜 도어를 개폐되도록 함에 있어, 단면적이 원형이거나 혹은 직사각형의 바(bar)형태로 된 롯드바의 형상에 관계없이 롯드바 지지대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 나사조절구로부터 전후조절캡의 높이를 조정하여 도어의 개폐작동에 따른 롯드바 지지대로부터 롯드바의 직진 작동을 원활하게 하여 도어의 개폐에 무리한 힘을 가하지 않고 손쉽게 개방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대형 분, 배전반의 도어 배면에 설치된 개폐구조를 보여주는 도어의 배면도,
도 2의 본 발명인 도어용 롯드바 롯드바 지지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롯드바 지지대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롯드바 지지대를 도어에 고정한 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5는 도 4에서 롯드바 지지대를 이용한 롯드바의 위치조절상태를 예시한 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롯드바 지지대에 일 예의 롯드바가 관통된 상태를 보여주는 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 2 및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배전반용 도어(1)의 배면에 도어 핸들(2)과 연결 설치된 회전판(3)상에 상하방향으로 일단이 연결 설치되어 도어 틀(1-1)의 상부측과 하부측 걸림공(1a)에 삽입 및 해제되는 롯드바(4)를 관통 지지하는 롯드바 지지대(10)에 있어서,
상기 롯드바 지지대(10)는,
도어(1)의 배면에 용접 부착되며, 일측에 수나사(12a)가 형성된 고정구(12)와, 상기 고정구(12)의 수나사(12a)에 체결되도록 내부에 인서트 너트(13)가 매입되며, 외부 양측에는 마찰돌기(14a)가 다수개 형성된 결합돌부(14b) 및 결합돌부 외측에 장공(14c)이 관통 형성된 나사조절구(14)와, 상기 나사조절구(14)의 결합돌부(14b)에 결합되도록 일측으로부터 결합홈(16a)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롯드바(4)를 관통 안내하는 가이드공(15)이 구비되고, 외부 양측에 체결고정공(16b)이 구비된 전후조절캡(16)과, 상기 전후조절캡(16)의 체결고정공(16b)에 관통되어 너트(17)로 체결되어 나사조절구(14)의 장공(14c)으로부터 전후조절캡(16)을 고정하는 체결볼트(18)로 구성된다.
상기 나사조절구(14)의 마찰돌기(14a)는 삼각형 돌기로서 연속되며, 이는 전후 조절캡(16)의 결합홈(16a) 내에 삽입시 타이트하게 결합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전후조절캡(16)의 가이드공(15)은 단면이 환봉형으로 된 롯드바(4)를 관통하기 위한 제1가이드공(15a) 및 제1가이드공(15a)으로부터 단면이 직사각형으로 된 롯드바(4)를 관통하기 위한 제2가이드공(15b)이 형성된다.
즉, 회전판(3)으로부터 설치되는 롯드바(4)의 단면 형상에 따라 상기 전후조절캡(16)의 가이드공(15)을 원형, 혹은 직사각형의 단면을 갖는 롯드바(4) 중 어느 하나를 관통 지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상기 나사조절구(14) 및 전후조절캡(16)은 합성수지 계열의 플라스틱소재로 사출 성형된다. 이는 대부분 금속으로 된 롯드바(4)와의 마찰을 최소한 줄이고 소음을 줄이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롯드바 지지대의 설치 및 그 사용상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배전반을 이루는 도어(1)의 배면으로부터 상하방향으로 설치되어 롯드바(4)를 지지하는 롯드바 지지대(10)를 부착한다.
상기 롯드바 지지대(10)의 부착은, 롯드바 지지대를 구성하는 고정구(12)를 각각 도어의 배면 상하 측에 용접 설치한다.
상기 고정구(12)는 롯드바(4)가 상하 직선 운동하는 지점에 용접되는 것으로서, 수나사(12a)에 나사조절구(14)를 체결 결합한다.
상기 나사조절구(14)는 결합공(14a) 내에 인서트 너트(13)가 매입되게 성형 제작된 것으로서, 상기 인서트 너트(13)부분을 체결하여 줌으로써, 첨부된 도 5의 (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구(12)로부터 나사조절구(14)를 연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나사조절구(14)가 연결 설치된 상태에서 결합돌부(14b)에는 전후조절캡(16)의 결합홈(16a)를 일치시켜 결합하되, 여기서 결합되는 정도는 회전판(3)으로부터 연결 설치되는 롯드바(4)가 관통되는 높이를 감안하여 결합한다(도면 5의 (b) 참조).
상기 전후조절캡(16)의 외측에 마련된 체결고정공(16b)에는 체결볼트(18)를 관통하되, 이는 나사조절구(14)의 결합돌부(14b)에 형성된 장공(14c)을 관통하여 상기 체결고정공(16b)의 반대측을 관통한 상태에서 준비된 너트(17)로 체결볼트(18)의 나사부분을 체결하여 상기 전후조절캡(16)을 연결한다.
이때 상기 결합돌부(14b)의 양측에 형성된 다수개의 마찰돌기(14a)는 상기 결합홈으로부터 타이트하게 삽입되며, 후술하는 체결볼트(18)에 대한 너트(17)의 체결이 느슨하게 풀림 상태이다.
즉, 상기 롯드바(4)는 전후조절캡(16)의 가이드공(15)을 통해 관통 설치가 이루어지며, 이때 롯드바(4)의 단면에 맞게 설치되도록 한다.
상기 가이드공(15)은 롯드바(4)의 단면 형상에 따라 원형의 제1가이드공(15a), 혹은 직사각형의 제2가이드공(15b) 중 맞는 형상을 선택하여 관통시켜 준다.
도 5의 (c)는 원형의 제1가이드공(15a)에 원형의 단면적을 갖는 롯드바(4)가 관통된 상태이다.
한편, 도 6은 직사각형의 제2가이드공(15b)에 직사각형의 단면적을 갖는 롯드바(4)가 관통되는 형태로 설치할 수 있음을 보여준 것이다.
상기 전후조절캡(16)은 나사조절구(14)와 함께 합성수지 소재로 성형제작되어 있어, 사용상에 따른 손상시에도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상기 전후조절캡(16)의 가이드공(15)을 통해 배전반을 이루는 도어 틀(1-1)의 걸림공(1a)으로부터 도어를 잠금, 해제시키는 롯드바(4)의 작동(도 1 참조)시 마찰력을 최소화하고, 소음을 줄여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통상 도어 핸들(2)을 이용한 90도 이내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판(3)의 회전으로서 상방향과 하방향으로 각각 작동되는 롯드바(4)는 가이드공(15)으로부터 최소한의 마찰정도만을 가지도 슬라이딩이 이루어지는 상태로서 작동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롯드바 지지대(10)는 도어(1)에 단순히 고정 설치되어 롯드바(4)를 안내하는 기존의 방식에 비해 롯드바의 작동범위를 감안한 높이 세팅을 간단하게 해결할 수 있음은 물론, 롯드바의 형상에 맞추어 관통 지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지보수는 물론, 롯드바의 호환설치에도 유리한 이점을 가진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배전반에서 실시된 도어에 한정되지 않고 각종 분전반, 제어반, 조작반 등등에 실시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1: 도어 1-1: 도어 틀
2: 도어 핸들 3: 회전판
4: 롯드바 10: 롯드바 지지대
12: 고정구 12a: 수나사
13: 인서트 너트 14: 나사조절구
14a: 마찰돌기 14b: 결합돌부
14c: 장공 15: 가이드공
15a: 제1가이드공 15b: 제2가이드공
16: 전후조절캡 16a: 결합홈
16b: 체결고정공 17: 너트
18: 체결볼트

Claims (3)

  1. 배전반용 도어(1)의 배면에 도어 핸들(2)과 연결 설치된 회전판(3)상에 상하방향으로 일단이 연결 설치되어 도어 틀(1-1)의 상부측과 하부측 걸림공(1a)에 삽입 및 해제되는 롯드바(4)를 관통 지지하는 롯드바 지지대(10)에 있어서,
    상기 롯드바 지지대(10)는,
    도어(1)의 배면에 용접 부착되며, 일측에 수나사(12a)가 형성된 고정구(12)와,
    상기 고정구(12)의 수나사(12a)에 체결되도록 내부에 인서트 너트(13)가 매입되며, 외부 양측에는 마찰돌기(14a)가 다수개 형성된 결합돌부(14b) 및 결합돌부 외측에 장공(14c)이 관통 형성된 나사조절구(14)와,
    상기 나사조절구(14)의 결합돌부(14b)에 결합되도록 일측으로부터 결합홈(16a)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롯드바(4)를 관통 안내하는 가이드공(15)이 구비되고, 외부 양측에 체결고정공(16b)이 구비된 전후조절캡(16)과,
    상기 전후조절캡(16)의 체결고정공(16b)에 관통되어 너트(17)로 체결되어 나사조절구(14)의 장공(14c)으로부터 전후조절캡(16)을 고정하는 체결볼트(18)로 구성되고,
    상기 나사조절구(14) 및 전후조절캡(16)은 합성수지 계열의 플라스틱소재로 사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롯드바 지지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조절캡(16)의 가이드공(15)은 단면이 환봉형으로 된 롯드바(4)를 관통하기 위한 제1가이드공(15a) 및 제1가이드공(15a)으로부터 단면이 직사각형으로 된 롯드바(4)를 관통하기 위한 제2가이드공(15b)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롯드바 지지대.
  3. 삭제
KR1020130077834A 2013-07-03 2013-07-03 롯드바 지지대 KR1015343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7834A KR101534392B1 (ko) 2013-07-03 2013-07-03 롯드바 지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7834A KR101534392B1 (ko) 2013-07-03 2013-07-03 롯드바 지지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3164 Division 2013-04-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7129A KR20140127129A (ko) 2014-11-03
KR101534392B1 true KR101534392B1 (ko) 2015-07-09

Family

ID=52451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7834A KR101534392B1 (ko) 2013-07-03 2013-07-03 롯드바 지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439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7773B1 (ko) * 2015-06-08 2021-12-10 한국전력공사 안전 클램프
KR101656262B1 (ko) 2015-06-26 2016-09-09 코리아알프스(주) 도어록 장치
KR102150899B1 (ko) * 2020-05-11 2020-09-02 주식회사 주왕산업 진동감지기능 및 진동감쇠기능이 구비된 수배전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52917A (ja) * 2000-11-09 2002-05-24 Nitto Electric Works Ltd 鎖錠用ロッドの支持装置
KR20020052783A (ko) * 2000-12-26 2002-07-04 박종섭 이동통신 시스템용 캐비넷의 도어 고정장치
KR200414961Y1 (ko) * 2006-02-03 2006-05-02 금성제어기 주식회사 배전반의 도어록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52917A (ja) * 2000-11-09 2002-05-24 Nitto Electric Works Ltd 鎖錠用ロッドの支持装置
KR20020052783A (ko) * 2000-12-26 2002-07-04 박종섭 이동통신 시스템용 캐비넷의 도어 고정장치
KR200414961Y1 (ko) * 2006-02-03 2006-05-02 금성제어기 주식회사 배전반의 도어록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7129A (ko) 2014-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99474A (ko) 슬라이딩 창호용 레일스토퍼
KR101534392B1 (ko) 롯드바 지지대
US9624713B2 (en) Connection system for meeting rail of window
KR101730775B1 (ko) 슬라이드 도어용 도어 높이 조절장치
KR20170067781A (ko) 슬라이딩 도어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장치 및 캐비닛 가구
CN203584228U (zh) 简易门组件
US20170362857A1 (en) Casement/leaf arrangement having a casement/leaf of a window or a door, and method for frontal installation of a fitting part in casement/leaf
JP6456845B2 (ja) ガイドレールを介して誘導方向に家具部品を誘導するための走行部、および家具用建具
KR200424732Y1 (ko) 발코니 창틀 고정용 브래키트
JP2011157693A (ja) プーリアッセンブリ
KR20160128054A (ko) 문틀 조립구조
US1238042A (en) Door-holder.
KR200465279Y1 (ko) 샤워 부스용 도어 어셈블리
US9662667B2 (en) Fastening system for installation shower heads
KR200428777Y1 (ko) 발코니 창틀 고정용 브래키트
KR200428811Y1 (ko) 창틀 고정용 브래키트
KR200489158Y1 (ko) 창틀용 지지대
JP5427098B2 (ja) レール装置
KR200345838Y1 (ko) 전동 스크린
JP2009068208A (ja) レール取付構造
KR200428810Y1 (ko) 창틀 고정용 브래키트
TWM447917U (zh) 鋁門窗紗窗防落滑動組件構造
CA2988915A1 (en) Illuminator system with adjustable frame
JP4919066B2 (ja) 網戸落下防止装置
KR20200000441U (ko) 배선용 차단기의 케이스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