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5838Y1 - 전동 스크린 - Google Patents

전동 스크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5838Y1
KR200345838Y1 KR20-2004-0000074U KR20040000074U KR200345838Y1 KR 200345838 Y1 KR200345838 Y1 KR 200345838Y1 KR 20040000074 U KR20040000074 U KR 20040000074U KR 200345838 Y1 KR200345838 Y1 KR 2003458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support
support member
ceiling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00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상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울리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울리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울리안
Priority to KR20-2004-00000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583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58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583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9/42Parts or details of roller blinds, e.g. suspension devices, blind box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03B21/58Projection screens collapsible, e.g. foldable; of variable are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verhead Projectors And Projection Scree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동 스크린에 관한 것이며, 그 목적은 건물의 천정부에 위치되어 타부재와의 간섭 없이 간편히 설치 조립을 가능토록 각도조절이 가능한 고정구를 구비하며, 동시에 탈부착이 용이한 전동스크린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은 내부로 스크린이 권취된 롤러바를 수납하여 실내의 천정에 매입되어 설치되는 전동스크린에 있어서;
내부로부터 권취된 스크린을 인출하도록 인출공을 하면으로 형성하되, 상부측 길이방향으로 걸림턱을 구비한 레일을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레일상에 삽입된 지지용볼트에 의해 원하는 지점에 고정 설치되며, 상·하단부가 절곡된 'ㄷ'자 형상을 이루되, 상측부에는 일정구간 절개되어 개구부를 갖는 지지공을 형성한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상측에 형성된 지지공과 결합하는 바형상의 설치 각도조절이 가능한 행거를 구비하여 천정의 벽체에 고정설치 구성되는 것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전동 스크린 { electric screen }
본 고안은 전동 스크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천정부에 삽입되는 구조로 설치하되, 상기 천정부에 기 설치된 타부재와의 간섭 없이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각도조절기능을 갖는 고정구를 구비하는 전동스크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영상문화 및 멀티미디어 교육의 보급에 따라 OHP, 프로젝션, 화상기 등의 영상기구를 빈번히 사용함에 따라 전동스크린의 사용빈도가 증가되고 있다.
통상 상기의 전동스크린은 면과 같은 천연수지 혹은 합성수지로 된 막구조의 스크린이 케이스에 설치된 회전봉에 권취되어 상기 회전봉의 일측에 구성된 모터에 외부의 힘이 가해짐에 따라 상기 스크린이 회전봉에서 풀림 또는 권취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모터와 회전봉과 스크린을 내부로 삽입장착하는 케이스는 그 일측으로 상기 스크린을 인출가능토록 인출공이 구비되어 구성 설치된다.
또한, 상기의 전동스크린은 대개 천정부에 삽입설치되는 삽입형 스크린장치와, 천정부나 벽체에 일측면이 고정 설치되는 노출형스크린 또는 거취대를 구비하여 이동이 가능토록 한 이동식스크린이 있다.
하지만, 상기 이동식스크린의 경우는 이동성의 편리성이 있어 초기 많이 보급되었지만, 설치에 따른 불편함과 함께 요즘은 회의실 및 강의실 등과 같은 경우는 스크린의 사용 및 그 설치의 필요성이 의무화 되어가고 있는 실정이며, 또한 상기 노출형 스크린의 경우는 설치되는 특성 상 외부로 스크린이 노출되어 고정됨에 따라 실내의 미관을 저해하는 요인이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특히, 본 고안이 적용되는 상기 삽입형 스크린장치의 경우는 상기 인출공을 갖는 면을 아래쪽으로 하여 그 상면을 천정부에 매입하는 형태를 취하되, 상기 케이스의 상부측이 고정부재와 연결바로 고정설치되는 구성을 하게 된다.
하지만, 통상 천정부는 그 건물의 시공상의 형태와 인테리어에 따른 타부재 및 전선이나 다양한 배관이 복잡하게 설치되어 있는 관계로 대개 실내의 앞측 천정부와 같이 한정되는 장소에 설치되어야 하는 상기 스크린의 고정 설치 시 다소 애로사항이 생기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되는 것으로, 그 목적은 건물의 천정부에 위치되는 타부재와의 간섭없이 간편히 설치 조립을 가능토록 용이한 탈부착과 설치 각도조절이 가능한 고정구를 구비하는 전동스크린을 제공함에 있다.
도 1 은 본 고안에 의한 천장 매입형 전동스크린의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전동스크린의 분리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의해 본체와 결합되는 지지부재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4 는 본체에 고정결합된 지지부재를 도시한 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매입형 전동스크린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각도조절수단을 갖는 행거의 사시도
도 7 은 다른 각도조절수단을 갖는 행거에 의한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스크린 (15) : 롤러바
(17) : 모터 (19) : 볼트공
(20) : 인출공 (50) : 고정편
(60) : 측면판 (100) : 본체
(105) : 레일 (106) : 걸림턱
(115) : 지지용볼트 (117) : 너트
(120) : 지지부재 (125) : 지지공
(127) : 개구부 (130),(130') : 행거
(135) : 지지볼 (137) : 목
(138) : 힌지 (141) : 상부체
(143) : 하부체 (145) : 나사부
(146) : 너트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고안은 내부로 스크린이 권취된 롤러바를 수납하여 실내의 천정에 매입되어 설치되는 전동스크린에 있어서;
내부로부터 권취된 스크린을 인출하도록 인출공을 하면으로 형성하되, 상부측 길이방향으로 걸림턱을 구비한 레일을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레일상에 삽입된 지지용볼트에 의해 원하는 지점에 고정 설치되며, 상·하단부가 절곡된 'ㄷ'자 형상을 이루되, 상측부에는 일정구간 절개되어 개구부를 갖는 지지공을 형성한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상측에 형성된 개구부로 입출되게 일정구간에 목을 갖는 바형상을 하되, 상기 지지부재의 지지공에 끼워져 지지토록 단부가 볼형상을 이루는 각도조절수단을 구비하는 행거를 이용하여 천정의 벽체에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도조절수단을 구비하는 행거는 일측이 상기 지지부재의 지지공에 끼워져 나사조임에 의해 고정 체결되는 바형상의 하부체와, 상기 하부체와 힌지결합되어 타측이 천정부에 고정 설치되는 바형상의 상부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도면과 연계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에 의한 매입형 전동스크린의 사시도를, 도 2 는 매입형 전동스크린의 분리사시도를,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본체와 결합되는 지지부재의 결합상태를 보인 분리사시도를, 도 4 는 본체와 고정결합된 지지부재를 보인 단면도를,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전동스크린의 설치상태도를 도시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전동 스크린은 천정에 설치되며 내부로 스크린(11)을 구비토록 길이 방향으로 통형상을 한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양측면과 결합되는 측면판(60)과, 상기 본체(100)의 상측에 결합되는 지지부재(120)와, 상기 지지부재(120)와 결합되어 천정에 고정 설치되는 행거(13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삽입되는 스크린(11)과, 상기 스크린(11)이 권취되는 봉형상의 롤러바(15)와, 상기 롤러바(15)의 일측에 설치되어 롤러바(15)를 정역회전시키는 모터(17)와, 상기 스크린(11)/바(15)/모터(17)를 본체(100)에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롤러바(15)의 양측으로 고정편(50)을 구성하여 본체(100)와 고정편(50)을 볼트 체결하여 고정 설치하고 있다.
상기 본체(100)는 천정부로 매입시 그 외측으로 노출되는 하면에 인출공(20)을 길이방향으로 형성하고, 상기 하면의 테두리는 외측으로 일정구간이 절곡 형상된다.
또한 상기 본체(100)의 상측부는 상기 지지부재(120)를 슬라이딩 운동되게 또는 고정 설치하기 위해 레일(105)을 길이방향으로 형상하되, 상기 레일(105)은 일정깊이를 갖는 홈을 이루며, 양측으로 마주보게 돌출된 걸림턱(106)을 길이방향으로 형성한다.
상기 지지부재(120)는 금속재의 판형상을 하되, 그 상·하부으로의 측부가 절곡되어 'ㄷ'자 형상을 이루며, 상기 절곡된 하부면으로 볼트공이 형성되며, 상기 절곡된 상부면에는 지지공(125)을 형성하되, 상기 지지공(125)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 개구부(127)를 형성하여 상기 지지공(125)이 외측과 이어지도록 구성한다.
한편 상기 본체(100)의 상측부에 형성된 레일(105)에 상기 지지부재(120)를 결합할 시에는 상기 레일(105)의 내부로 지지용볼트(115)의 머리부가 삽입되고 상측으로 밀착된 지지부재(120)에 형성된 볼트공을 관통하여 상기 지지용볼트(115)의 나사부가 돌출토록 구성하여, 상기 지지용볼트(115)에 나사조임되는 너트(117)를 외측으로 구성하게 된다.
상기 지지부재(120)의 상부측에 형성된 지지공(125)에 결합되는 행거(130)는 길이방향으로 바형상을 하되, 그 일측은 볼형상되어 상기 지지부재(120)에 형성된 지지공(125)의 내측부에 걸려져 지지토록 지지볼(135)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볼(135)의 상측으로 일정구간 떨어진 위치에 타구간보다 작은 두께를 형성토록 목(137)을 형상하고 있어 상기 목(137)으로 인해 상기 지지부재(120)의 지지공(125)에 연장되어 형성된 개구부(127)를 통해 입출이 가능토록 구성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다른 각도조절수단을 구비하는 행거를 보인 도 6 과, 전동스크린에 설치된 사용상태를 보인 도 7 에서와 같이,
상기 다른 실시예에 의해 지지부재(120)의 상부측에 형성된 지지공(125)에 결합되는 행거(130')는 길이방향으로 바 형상을 하되, 일측이 천정에 고정 설치되게 나사부(145)를 형성한 상부체(1141)와, 상기 상부체(141)의 타측과 힌지(138)결합된 하부체(143)를 구성하며, 상기 하부체(143)의 타측은 상기 지지부재(120)의 지지공(125)에 고정토록 나사부(145)를 형성하여 너트(146)조임에 의해 고정토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은 상기 전동 스크린을 설치하게 되는 실내의 천장측의 설치환경에 따라 본체(100)의 상측에 형성된 레일(105)상의 임의의 위치에 지지부재(120)를 고정설치 가능토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120)를 천정부에 고정시키기 위한 지지볼(135)을 갖는행거(130)에 의해 수직방향으로의 고정 및 일정각도로의 기울어진 상태에서의 고정체결이 가능토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120)에 형성된 개구부(127)로의 입·출되도록 상기 행거(130)에 형성된 목(137)에 의해, 대체로 마감처리된 실내의 천장부로부터 상기 전동스크린장치를 쉽게 설치 및 분리가 가능토록 하고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인 상·하부체(141,143)가 힌지(138)결합된 행거(130')에 의해 전동스크린의 고정 설치 시 천정부와 수직방향으로의 고정 및 일정각도로의 기울어진 상태에서의 고정체결이 가능토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120)의 지지공(125)에 결합되는 상·하부체(141,143)가 힌지(138)결합된 행거(130')의 일측은 나사부(145)가 너트(146)의 조임 및 풀림에 의해 상기 지지공(125)에 고정 및 탈거가 가능토록 하고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본체의 상측에 형성된 레일에 의해 임의의 위치에 고정가능한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를 천정부에 고정시키는 각도조절수단을구비하는 행거를 구성하여 상기 전동스크린이 설치되는 실내천장부에 설치된 타부재와의 간섭을 피해 원하는 위치에 쉽게 설치가능토록 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보수나 교환 등이 필요할 시 대개 마감처리 되어지는 실내의 천장부로부터 상기 전동스크린을 쉽게 분리가 가능토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내부로 스크린이 권취된 롤러바를 수납하여 실내의 천정에 매입되어 설치되는 전동스크린에 있어서;
    내부로부터 권취된 스크린(11)을 인출하도록 인출공(20)을 하면으로 형성하되, 상부측 길이방향으로 걸림턱(106)을 구비한 레일(105)을 갖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레일(105)에 끼워진 지지용볼트(115)에 의해 원하는 지점에 고정 설치되며, 상·하단부가 절곡된 'ㄷ'자 형상을 이루되, 상측부에는 일정구간 절개되어 개구부(127)를 구비하는 지지공(125)을 형성한 지지부재(120)와,
    상기 지지부재(120)의 상측에 형성된 개구부(127)로 입출되게 일정구간에 목(137)을 갖는 바형상을 하되, 상기 지지부재(120)의 지지공(125)에 끼워진 채 지지토록 단부가 볼형상을 이루어 설치각도조절이 가능토록 한 행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스크린.
  2. 내부로 스크린이 권취된 롤러바를 수납하여 실내의 천정에 매입되어 설치되는 전동스크린에 있어서;
    내부로부터 권취된 스크린을 인출하도록 인출공(20)을 하면으로 형성하되, 상부측 길이방향으로 걸림턱(106)을 구비한 레일(105)을 갖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레일(105)에 끼워진 지지용볼트(115)에 의해 원하는 지점에 고정 설치되며, 상·하단부가 절곡된 'ㄷ'자 형상을 이루되, 상측부에는 일정구간 절개되어 개구부(127)를 구비하는 지지공(125)을 형성한 지지부재(120)와,
    상기 지지부재(120)의 지지공(125)에 끼워져 나사조임에 의해 고정 체결되는 바형상의 하부체(143)와, 상기 하부체(143)와 힌지(138)결합되어 타측이 천정부에 고정 설치되는 바형상의 상부체(141)로 구성되어 설치각도조절이 가능토록 한 행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스크린.
KR20-2004-0000074U 2004-01-03 2004-01-03 전동 스크린 KR2003458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0074U KR200345838Y1 (ko) 2004-01-03 2004-01-03 전동 스크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0074U KR200345838Y1 (ko) 2004-01-03 2004-01-03 전동 스크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0167A Division KR100443311B1 (ko) 2004-01-03 2004-01-03 전동 스크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5838Y1 true KR200345838Y1 (ko) 2004-03-25

Family

ID=49344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0074U KR200345838Y1 (ko) 2004-01-03 2004-01-03 전동 스크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5838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7654B1 (ko) 2006-06-22 2007-11-19 주식회사 몬도시스템즈 프로젝터용 롤스크린의 지지행거
KR100816724B1 (ko) * 2007-02-01 2008-03-27 김희남 전동스크린장치용 박스프레임
KR102296231B1 (ko) * 2020-04-06 2021-08-30 우미란 커튼 박스
KR102309469B1 (ko) 2020-12-22 2021-10-07 주식회사 닷밀 옥외형 전동스크린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7654B1 (ko) 2006-06-22 2007-11-19 주식회사 몬도시스템즈 프로젝터용 롤스크린의 지지행거
KR100816724B1 (ko) * 2007-02-01 2008-03-27 김희남 전동스크린장치용 박스프레임
KR102296231B1 (ko) * 2020-04-06 2021-08-30 우미란 커튼 박스
KR102309469B1 (ko) 2020-12-22 2021-10-07 주식회사 닷밀 옥외형 전동스크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51435B1 (en) Rod assembly with reversible locking device
US9033163B2 (en) Curved shower rod assembly having flexible mounting base
US7322552B1 (en) Curtain rod support
US20130341474A1 (en) Gripper window rod
US20120261371A1 (en) Window rods
US20090101609A1 (en) Curtain rod assembly
EP1933072B1 (en) Pipe clip
EP1655418A2 (en) Device for wall-mounting a sanitary fixture installation structure
CA2531464C (en) Assembly for vertically positioning a lamp-shade
KR200345838Y1 (ko) 전동 스크린
CA2392977A1 (en) Curtain rod support system
KR200437142Y1 (ko) 유동 가능한 볼 힌지구조를 갖는 천정용 현수등
JP6321721B2 (ja) 機器を取付ける取付装置及び取付装置の取付け方法
US10098508B1 (en) Resettable breakaway shower rod system
KR101879276B1 (ko) 고정수단
KR100443311B1 (ko) 전동 스크린
KR100844217B1 (ko) 문 개폐 고정장치
JP2012082658A (ja) 壁つなぎ取付金具
US20110072578A1 (en) Rod Structure for Shower Curtain
WO2012072988A2 (en) Mounting for a shower curtain rod
JP2010106434A (ja) 吊り戸装置
JP4546985B2 (ja) 間接照明器具および浴室ユニット
EP1640526A3 (en) Device for fixing awnings and the like
KR100697971B1 (ko) 조립식 매립형 슬라이드 스크린
KR101867585B1 (ko) 벽 코너 설치용 안테나 설치브래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