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5100Y1 - 창틀 고정용 브래키트 - Google Patents

창틀 고정용 브래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5100Y1
KR200425100Y1 KR2020060014835U KR20060014835U KR200425100Y1 KR 200425100 Y1 KR200425100 Y1 KR 200425100Y1 KR 2020060014835 U KR2020060014835 U KR 2020060014835U KR 20060014835 U KR20060014835 U KR 20060014835U KR 200425100 Y1 KR200425100 Y1 KR 2004251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horizontal portion
hole
assembly
slo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48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 기 김
Original Assignee
한 기 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 기 김 filed Critical 한 기 김
Priority to KR20200600148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510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51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510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56Fastening frames to the border of openings or to similar contiguous frames
    • E06B1/60Fastening frames to the border of openings or to similar contiguous frames by mechanical means, e.g. anchoring means
    • E06B1/6046Clamping means acting perpendicular to the wall opening; Fastening frames by tightening or drawing them against a surface parallel to the op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oor And Window Frames Mounted To Open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물에서 발코니 창틀과 같은 창틀을 고정시켜주는데 사용되는 창틀 고정용 브래키트에 관한 것으로서 창틀의 저벽구조에 제한을 받지 않으며 창틀의 위치를 수직,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가면서 손쉽고, 정확하며 견고하게 설치해 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건물의 벽에 있는 앵커볼트와 대응하는 여러개의 슬로트(18)를 가진 수직부(14)와, 볼트(38)가 끼워지는 슬로트로 된 조립안내구멍(24)과 나사구멍으로된 예비조립구멍(26)과 안내레일(28),(28')을 가진 수평부(16)가 직각으로 절곡된 고정부재(10)와;
상기 수평부(16)의 안내레일(28),(28')과 대응하는 슬라이드(34),(34'), 수평부(16)의 조립안내구멍(24)과 대응하는 나사구멍으로 된 여러개의 조립구멍(36), 창틀의 저벽부분에 고정되는 체결수단(40)이 끼워지는 조립안내구멍(42), 수평부(16)의 예비조립안내구멍(26)과 대응하여 나사(39)가 끼워지는 슬로트(44)를 가진 가동부재(12)로 되어 있는 창틀 고정용 브래키트임.
창틀, 브래키트, 고정부재, 가동부재, 안내레일, 슬라이드.

Description

창틀 고정용 브래키트{A fixing bracket for window fram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브래키트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브래키트의 조립된 상태를 예시한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브래키트의 조립된 상태를 예시한 도 1의 B-B선 단면도.
본 고안은 건물에서 발코니의 창틀과 같은 창틀을 고정시켜주는데 사용되는 창틀 고정용 브래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코니 창틀과 같은 창틀은 무게가 무거우며, 크기가 큰 것이고, 건물에 설치함에 있어서 창문이 원활하게 여닫히도록 해주기 위해서는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으로의 위치를 조절시켜 가면서 설치하는데 많은 주의를 요한다.
그러나 종래의 것은 창틀의 위치를 수직, 수평방향으로 조절하면서 설치하기가 어려웠었다.
즉, 종래의 것은 창틀의 제조원마다 창틀의 저벽쪽 구조가 상이한 까닭에 창 틀과의 결합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없었고, 단순히 방수턱에 있는 앵커볼트로만 결합된 상태를 유지시켜주는 것이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창틀의 저벽구조에 제한을 받지 않으며 건물과 창틀의 구조에 알맞게 창틀을 수직,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가면서 손쉽고, 정확하여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는 창틀 고정용 브래키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을 이하 예시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도 1 내지 도 3에 예시한 바와 같이 발코니의 방수턱과 같은 건물의 벽(a)에 박혀있는 앵커볼트(b)에 고정되는 고정부재(10)와, 창틀(c)의 저벽부분에 고정되며 상기 고정부재(10) 상에서 수평방향으로 위치조절이 가능하고 고정부재(10)와 결합되는 가동부재(12)로 이루어져 있다.
고정부재(10)는 직각으로 절곡된 수직부(14)와 수평부(16)를 가진 것으로서 수직부(14)에는 앵커볼트(b)의 나선부(d)가 관통하는 여러개의 슬로트(18)가 세로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어 고정부재(10)의 위치를 수직방향으로 이동시켜 가면서 너트(20)로 그 위치를 고정시켜 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수직부(14)에 있는 슬로트(18)들 사이에는 가로방향으로 요홈(22)이 형성되어 있어 앵커볼트(b)의 위치나 벽(a)의 상태에 맞추어서 쉽게 끊어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수평부(16)의 중앙에는 슬로트로 된 조립안내구멍(24)이 형성되어 있고, 이 조립안내구멍(24)의 양측에는 나사구멍으로 된 예비조립구멍(26)이 형성되어서 나중에 설명되는 가동부재(12)를 상기 수평부(16) 위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가면서 결합시켜 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수평부(16)의 양측에는 수평부(16)의 양측가장자리를 상부로 절곡시켜서 형성된 안내레일(28),(28')이 구비되어 있어서 상기 가동부재(12)를 상기 수평부(16)의 앞쪽이나 뒷쪽 중 어느쪽에서도 쉽게 끼워넣으면서 수평방향으로 크게 이동시켜 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수직부(14)와 수평부(16)가 만나며 상기 조립안내구멍(24)과 동일직선상에는 상기 수평부(16)와 동일 수평면을 갖는 날개(3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날개(30)에는 나중에 설명되는 가동부재(12)와의 조립안내구멍(32)이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에서 날개(30)는 수직부(14)의 일부를 따내어 수평방향으로 세워 만들어진 것이다.
가동부재(12)의 양측에는 상기 고정부재(10)의 수평부(16)에 있는 안내레일(28),(28')에 이동가능하게 끼워맞춤되며 하향절곡된 슬라이드(34),(34')가 형성되어 있다.
가동부재(12)의 슬라이드(34)와 슬라이드(34') 사이에는 상기 고정부재(10)의 수평부(16)에 있는 조립안내구멍(24) 및 날개(30)에 있는 조립안내구멍(32)과 대응하는 나사구멍으로 된 조립구멍(36)들이 형성되어서 볼트(38)로 고정시켜 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조립구멍(36)들의 양측에는 창틀(c)의 저벽부분(e)에 고정되는 나사 또는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40)이 끼워지는 조립안내구멍(42)들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조립안내구멍(42)들 사이에는 상기 고정부재(10)의 수평부(16)에 있는 예비조립구멍(26)과 대응하는 슬로트(44)들이 형성되어 있어서 고정부재(10)와 가동부재(12)를 볼트(38)로 완전하게 고정하기 전에 나사(39)를 사용하여서 이들의 결합위치를 수평방향쪽으로 사전에 조절하면서 예비조립해 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가동부재(12)의 앞, 뒷쪽에는 상부로 절곡된 날개(46)가 형성되어서 창틀(c)의 저벽부분(e)과 체결수단(40)으로 고정시켜줄때 상기 창틀(c)의 저벽부분(e)을 받쳐주는 간격유지구와 고정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시켜주는 지지구로 활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브래키트는 도 1 내지 도 3에 예시한 바와 같이 고정부재(10)가 앵커볼트(b)의 나선부(d)가 관통하는 여러개의 슬로트(18)를 가진 것이어서 앵커볼트(b)의 위치에 대응하는 곳에서 수직방향으로 이동시켜가면서 건물의 벽(a)에 너트(20)로 고정되는 것이고, 가동부재(12)는 체결수단(40)이 끼워지는 조립안내구멍(42)을 가진 것이어서 창틀(c)의 저벽부분(e)에 고정된다.
그리고 가동부재(12)와 고정부재(10)는 각각 슬로트(44)와 예비조립구멍(26)을 가진 것이어서 나사(39)를 조여주거나 풀어주면서 고정부재(10) 상에서의 가동부재(12)의 위치를 수평방향쪽으로 이동시켜서 창틀(c)의 저벽부분(e)에 고정된 가동부재(12)의 위치를 최적합한 곳에 셋팅시켜 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셋팅된 다음에는 고정부재(10)의 수평부(16)에 있는 조립안내구멍(24)과 날개(30)에 있는 조립안내구멍(32) 그리고 가동부재(12)에 있는 조립구멍(36)들을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볼트(38)로 고정부재(10)와 가동부재(12)를 견고하게 결합시켜 주게 된다.
본 고안은 창틀의 저벽구조에 제한을 받지 않으며, 창틀을 최적 위치로 이동시켜가면서 보다 손쉽고, 정확하며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이 있다.
특히, 고정부재(10)의 앞, 뒤 어느쪽에서도 가동부재(12)를 끼워맞춤 할 수 있도록 된 것이어서 창틀의 설치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3)

  1. 수직부(14)와 수평부(16)가 직각으로 절곡되어 있으며, 수직부(14)에는 건물의 벽(a)에 있는 앵커볼트(b)와 대응하는 여러개의 슬로트(18)가 세로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수평부(16)에는 볼트(38)가 끼워지는 슬로트로 된 조립안내구멍(24)과, 나사구멍으로 된 예비조립구멍(26)과, 안내레일(28),(28')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부제(10)와;
    상기 수평부(16)의 안내레일(28),(28')과 대응하는 슬라이드(34),(34')를 가지며, 상기 수평부(16)의 조립안내구멍(24)과 대응하는 나사구멍으로 된 여러개의 조립구멍(36)들과, 창틀(c)의 저벽부분(e)에 고정되는 나사 또는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40)이 끼워지는 조립안내구멍(42)들과, 상기 수평부(16)의 예비조립구멍(26)과 대응하여 나사(39)가 끼워지는 슬로트(44)들이 형성되어 있는 가동부재(12)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 고정용 브래키트.
  2. 제 1항에 있어서, 고정부재(10)의 수직부(14)에 있는 슬로트(18)들 사이에는 가로방향으로 요홈(22)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 고정용 브래키트.
  3. 제 1항에 있어서, 고정부재(10)의 수평부(16) 앞쪽에는 가동부재(12)와의 조립안내구멍(32)을 가진 날개(3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코니 창틀 고정용 브래키트.
KR2020060014835U 2006-06-02 2006-06-02 창틀 고정용 브래키트 KR2004251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4835U KR200425100Y1 (ko) 2006-06-02 2006-06-02 창틀 고정용 브래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4835U KR200425100Y1 (ko) 2006-06-02 2006-06-02 창틀 고정용 브래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5100Y1 true KR200425100Y1 (ko) 2006-08-29

Family

ID=41773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4835U KR200425100Y1 (ko) 2006-06-02 2006-06-02 창틀 고정용 브래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5100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0317B1 (ko) 2007-05-23 2007-11-28 한 기 김 창틀 고정용 브래키트
KR100919871B1 (ko) * 2009-06-09 2009-09-30 주식회사 동양정공 방폭창호용 충격흡수장치
KR200452500Y1 (ko) 2010-11-03 2011-03-02 이충원 창틀 고정용 브래킷
KR200461842Y1 (ko) * 2007-10-12 2012-08-08 (주)엘지하우시스 창호용 앵글
KR101315025B1 (ko) * 2012-02-28 2013-10-08 (주)동양윈텍 커튼월용 앵커장치
KR102136955B1 (ko) * 2019-12-19 2020-07-22 김상만 피스 조립형 창틀 고정용 브래킷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0317B1 (ko) 2007-05-23 2007-11-28 한 기 김 창틀 고정용 브래키트
KR200461842Y1 (ko) * 2007-10-12 2012-08-08 (주)엘지하우시스 창호용 앵글
KR100919871B1 (ko) * 2009-06-09 2009-09-30 주식회사 동양정공 방폭창호용 충격흡수장치
KR200452500Y1 (ko) 2010-11-03 2011-03-02 이충원 창틀 고정용 브래킷
KR101315025B1 (ko) * 2012-02-28 2013-10-08 (주)동양윈텍 커튼월용 앵커장치
KR102136955B1 (ko) * 2019-12-19 2020-07-22 김상만 피스 조립형 창틀 고정용 브래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25100Y1 (ko) 창틀 고정용 브래키트
CA2980094C (en) Flush or lap siding system
JP6756642B2 (ja) 改装サッシ
US10246886B2 (en) Adjustable shim and pre-hung door with the same
EP1957743B1 (en) Fastener for a sunshade
KR200424732Y1 (ko) 발코니 창틀 고정용 브래키트
EP2799653B1 (en) Automatic sliding door power drive assembly
KR20060118886A (ko) 브라켓을 이용한 건물 외벽의 패널 고정구조 및 고정방법
JP2007161451A (ja) 間隔調節装置
KR200428811Y1 (ko) 창틀 고정용 브래키트
US9955824B2 (en) Shower door leveler
KR200428810Y1 (ko) 창틀 고정용 브래키트
KR101072082B1 (ko) 창호 시공을 위한 앵글유닛
KR200443885Y1 (ko) 창틀 블라인드
KR101526758B1 (ko) 수평조절이 가능한 창틀
KR200428777Y1 (ko) 발코니 창틀 고정용 브래키트
JP4822805B2 (ja) ノンレール引戸の建て込み方法
JP4272639B2 (ja) 空気調和機の窓据付装置
KR100996101B1 (ko) 창틀 고정용 브래킷
JP5427098B2 (ja) レール装置
KR200180068Y1 (ko) 커텐봉 지지구
KR102285537B1 (ko) 시스템 선반
JP2017002595A (ja) デッキ高さ調整装置およびデッキ
JP4105396B2 (ja) 空気調和機の窓据付装置
JP7340993B2 (ja) シャッター軸受の取付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