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9765Y1 - 다축 회전이 가능한 안테나 설치용 브래킷 - Google Patents

다축 회전이 가능한 안테나 설치용 브래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9765Y1
KR200469765Y1 KR2020120002162U KR20120002162U KR200469765Y1 KR 200469765 Y1 KR200469765 Y1 KR 200469765Y1 KR 2020120002162 U KR2020120002162 U KR 2020120002162U KR 20120002162 U KR20120002162 U KR 20120002162U KR 200469765 Y1 KR200469765 Y1 KR 2004697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member
axis
axis rotating
hol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21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5647U (ko
Inventor
한영호
Original Assignee
보성홀딩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성홀딩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보성홀딩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200021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9765Y1/ko
Publication of KR2013000564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564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97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976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125Means for positio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08Means for collapsing antennas or parts thereof
    • H01Q1/084Pivotable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1207Supports; Mounting means for fastening a rigid aerial element

Landscapes

  • Support Of A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브래킷에 관한 것이며, 그 목적은 벽면 혹은 천장에 설치되는 안테나의 방향성을 자유롭게 회전시켜 원하는 위치를 향할 수 있도록 하는 다축 회전이 가능한 안테나 설치용 브래킷을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은 판 형상으로 형성된 제1플레이트의 중앙에서 반 원통체의 제1내면과 제1외면을 갖도록 X축 회동부재가 돌출 형성되는 제1고정부와; 판 형상으로 형성된 제2플레이트의 중앙에서 반 원통체의 제2내면과 제2외면을 갖도록 Y축 회동부재가 돌출 형성되는 제2고정부와; 일측에 상기 X축 회동부재의 제1외면의 일부와 밀착되게 호형의 제3내면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평활한 제3회전면이 형성되는 제1회전부재와; 일측에 상기 Y축 회동부재의 제2외면의 일부와 밀착되게 호형의 제4내면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평활한 제4회전면이 형성되는 제2회전부재로 이루어진 Z축 회전부재; 및 상기 X축 회동부재, Y축 회동부재 및 Z축 회전부재를 관통하여 연결시키는 연결유닛으로 구성된 다축 회전이 가능한 안테나 설치용 브래킷에 관한 것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다축 회전이 가능한 안테나 설치용 브래킷{Bracket for antenna}
본 고안은 중계 안테나 설치용 브래킷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구조물에 대한 장착 대상물의 회전 및 기울기를 자유롭게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는 중계 안테나 설치용 브래킷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브래킷(Bracket)은 구조물에 장착하고자 하는 대상물을 결합하기 위하여 구조물과 장착 대상물을 서로 연결하여 고정하는 장치를 말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구조물(1)을 실내의 벽면 혹은 천정 구조물에 해당하고, 상기 장착 대상물(2)은 안테나(이하 '안테나'라고 칭함)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장착 대상물(2)인 안테나는 일반 가정집이나 사무실 등 실내에서 인터넷, 전화 등 전기전자기기를 무선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기지국에 해당될 수 있고, 최근에는 최근 모바일 기기의 활용을 향상시키고자 일반 가정집이나 사무실 등의 실내에는 인터넷 회선에 무선 랜 공유기를 연결시킨 펨토셀(Famtocell)과 같은 지향성 안테나에 해당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일련의 안테나(특히 지향성 안테나)들은 실내의 벽면 혹은 천장 한쪽에 설치되어 외부 전선 혹은 인터넷 회선과 연결 구성되어져 있다.
도 2는 종래 안테나 설치용 브래킷의 구성을 보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래 안테나 설치용 브래킷은, 구조물과 결합되는 제1고정부(1)와, 장착 대상물(안테나)이 결합되는 제2고정부(3) 및 상기 제1고정부(1)와 제2고정부(3)를 연결하는 연결부(2)를 포함하고 있다.
즉, 제1고정부(1)와 연결부(2)는 X축을 중심으로 상대 회전(a)할 수 있게 구성되고, 제2고정부(3)와 연결부(2)는 Y축을 중심으로 상대 회전(b)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제1고정부(1)가 고정되는 실내 벽면 혹은 천장으로부터 제2고정부(3)에 고정되는 대상물(안테나)의 설치 각도를 조정하여 세팅할 수 있어, 안테나의 사용 효율을 높일 수 있게 하고 있다.
이를 통해, 예를 들어 실내 안테나는 실내의 벽면 혹은 천장에 미리 설치되어 있는 전기배선, 조명, 공조기 등의 간섭이 되지 않도록 하고, 실내미관을 저해하지 않는 위치에 한정되어서 설치되어야 하는데, 도 1에서와 같이 이렇게 부득이하게 실내의 한쪽 코너부에 안테나가 설치되는 경우라 하더라도 제1고정부(1)와 연결부(2) 및 제2고정부(3)로 결합된 브래킷의 각도를 조정하여 제2고정부(3)에 결합된 안테나의 보다 효율적인 세팅 위치를 자유롭게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종래 안테나 설치용 브래킷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종래 안테나 설치용 브래킷은 장착 대상물(안테나)에 대한 완전 자유로운 방향 세팅에 한계가 있다. 즉, 제1고정부(1)와 제2고정부(3)는 연결부(2)를 중심으로 (a)방향과 (b)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기울기를 부여할 수 있으나, 예를 들어, 제1고정부(1)와 제2고정부(3)는 Z축(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되진 않는 구조를 이루기 때문에 안테나의 위치를 역전시키거나 회전시키고자 할 시에는 구조물에 결합된 제1고정부(1)를 다시 분리하여 재차 고정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둘째, 종래 안테나 설치용 브래킷은 실내 벽면 혹은 천장 구조물에 대한 설치뿐만 아니라 안테나에 대한 설치조립이 용이하지 않다. 대개 안테나 설치용 브래킷은 먼저 벽면 혹은 천장 구조물에 고정피스를 이용하여 제1고정부(1)를 먼저 고정 결합시키고, 이후 다른 고정피스를 이용하여 안테나를 제2고정부(3)에 고정시키게 되는데, 구조물과 안테나 사이의 간격이 협소하여 안테나와 제2고정부(3)에 대한 고정 조립이 용이하지 못하다.
한편, 종래에는 제2고정부(3)에 안테나를 고정피스로 체결하지 않고 클립, 클램프와 같은 탈 부착이 용이한 체결수단을 이용하는 경우가 있으나, 이러한 경우에는 누구나 쉽게 제2고정부(3)로부터 안테나를 분리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안테나의 도난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실내 벽면 혹은 천장 구조물에 결합되는 제1고정부와 대상물이 결합되는 제2고정부가 연결부를 통하여 서로 직교하는 X축과 Y축에 대하여 회전이 가능한 구조를 만족하는 것은 물론, Z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대상물의 위치를 보다 폭넓고 세밀하게 세팅할 수 있는 안테나 설치용 브래킷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브래킷에 대한 대상물의 결합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나아가 특정 도구에 의해서만 브래킷의 분리를 제한함으로써, 타인에 의하여 대상물 혹은 브래킷의 분리가 쉽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도난 방지의 기능을 포함할 수 있는 안테나 설치용 브래킷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판 형상으로 형성된 제1플레이트의 중앙에서 반 원통체의 제1내면과 제1외면을 갖도록 X축 회동부재가 돌출 형성되는 제1고정부와,
판 형상으로 형성된 제2플레이트의 중앙에서 반 원통체의 제2내면과 제2외면을 갖도록 Y축 회동부재가 돌출 형성되는 제2고정부와,
일측에 상기 X축 회동부재의 제1외면의 일부와 밀착되게 호형의 제3내면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평활한 제3회전면이 형성되는 제1회전부재와; 일측에 상기 Y축 회동부재의 제2외면의 일부와 밀착되게 호형의 제4내면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평활한 제4회전면이 형성되는 제2회전부재로 이루어진 Z축 회전부재; 및
상기 X축 회동부재, Y축 회동부재 및 Z축 회전부재를 관통하여 연결시키는 연결유닛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X축 회동부재의 반 원통체 형상의 제1내면에 일측이 밀착되어 안착되는 제1지지블록과; 상기 Y축 회동부재의 반 원통체 형상의 제2내면에 일측이 밀착되어 안착되는 제2지지블록과; 상기 제1지지블록과, X축 회동부재, Z축 회전부재, Y축 회동부재 및 제2지지블록을 순차적으로 관통한 선단이 너트와 결합되는 연결볼트; 및 상기 연결볼트와 제1지지블록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X축 회동부재의 제1외면과 제1회전부재의 제3내면, 상기 제1회전부재의 제3회전면과 제2회전부재의 제4회전면, 상기 제2회전부재의 제4내면과 Y축 회동부재의 제2외면에는, 서로 대응하는 널링부가 가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에는, 구조물 혹은 대상물과 체결되는 고정볼트 관통용 체결구멍을 형성하되; 상기 체결구멍은, 고정볼트의 머리부가 관통하는 제1구멍과, 상기 제1구멍에서 수평 연장되어 고정볼트의 머리부가 걸리는 제2구멍을 포함하여 형성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구멍을 사이에 두고 제1구멍의 반대쪽에는 체결구멍과 수직하는 보조 체결구멍을 포함하여 형성하고; 상기 보조 체결구멍에 체결되는 보조 고정볼트의 선단이 상기 제2구멍에 걸림 지지된 고정볼트의 머리부를 가압하도록 구성한 것일 수도 있다.
본 고안은 제1고정부와 제2고정부가 X축 회동부재와 Y축 회동부재를 이용하여 X축과 Y축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회동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Z축 회전부재를 이용하여 Z축 무한 회전구조를 확보함으로써, 제1고정부와 제2고정부의 자유롭고 폭넓은 위치 세팅 효과를 가지며, 구조물 혹은 대상물에 대한 조립도 매우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지향성 안테나와 같은 대상물의 경우 브래킷이 실내 코너부에 설치되는 경우라 하더라도, 3축 방향의 자유로운 회전으로부터 원하는 방향으로 정확히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송수신 품질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제1고정부와 제2고정부에 구비된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실내 코너공간과 구조물과 대상물 사이의 협소한 공간에서도 브래킷의 설치를 매우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불순한 의도를 가지는 타인에 의해서 대상물 및 브래킷이 쉽게 분리되기 어려운 구조를 만족함으로써 도난사고도 크게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실내 벽면에 설치된 안테나를 예를 보인 도면.
도 2는 종래 브래킷의 구성을 보이는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브래킷의 구성을 보이기 위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브래킷의 구성을 보이기 위한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브래킷의 구성을 보이기 이한 결합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브래킷의 구성을 보이기 위한 분리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브래킷의 체결수단을 보이기 위한 분리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에 의한 브래킷의 체결수단을 보이기 위한 장착 사시도.
위에 기재된 또는 기재되지 않은 본 고안의 특징과 효과들은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한 본 고안의 실시 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히 한다.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의한 브래킷(10)은, 제1고정부(20), 제2고정부(30), Z축 회전부재(40), 연결유닛(50)을 포함한다.
제1고정부(20)는 제1플레이트(21)와, X축 회동부재(22)를 포함한다.
상기 제1플레이트(21)는 실내의 벽면 혹은 천장 구조물에 밀착되는 되는 부재로써,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구조물에 체결되는 고정볼트(7: 도 7참조)가 관통하는 다수개의 체결구멍(210)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1플레이트(21)에는, 구조물에 대한 고정 조립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타인에 의하여 쉽게 분리가 이루어지지 못하게 하는 체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하고 있다.
즉,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체결구멍(210)은 고정볼트(7)의 머리부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제1구멍(230a)과, 상기 제1구멍(230a)으로부터 수평 연장되어 고정볼트(7)의 머리부가 걸리는 제2구멍(230b)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1구멍(230a)을 사이에 두고 제2구멍(230b)의 반대쪽에는 체결구멍(210)과 수직하게 형성된 보조 체결구멍(250)을 포함하여 구성하고 있다.
이상의 구성으로 인하여, 예를 들어 고정볼트(7)를 미리 구조물(1)에 체결하여 두고, 이후 제1구멍(230a)을 통하여 고정볼트(7)의 머리부를 관통하여서 제1플레이트(21)를 구조물(1)에 밀착 위치시킨다. 이후 고정볼트(7)의 머리부가 제2구멍(230b)에서 걸림 지지될 수 있게 제1플레이트(21)를 수평방향으로 살짝 밀어 줌으로써 구조물(1)에 제1플레이트(21)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후, 보조 체결구멍(250)을 통하여 보조 고정볼트(8: 육각머리 볼트 등) 체결하여 관통한 선단이 고정볼트(7)의 머리부를 가압하게 됨으로써 고정볼트(7)가 제2구멍(230b)에서 제1구멍(230a)으로 이동하여 풀어지지 않게 된다. 그리고 구조물(1)에 대한 제1플레이트(21)의 분리를 위해서는 육각머리 볼트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보조 고정볼트(8)를 분리하여야만 제1플레이트(21)를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 제1플레이트(21)에는 견고한 결합상태를 만족하기 위하여, 다수개의 고정볼트(7)와 이에 대응하여 다수개의 체결구멍(210)이 형성되는 것이 보편적이나, 상기 보조 고정볼트(8)와 이에 대응하는 보조 체결구멍(250)은 상기 하나의 체결구멍(210)에 한해서 한 부분에만 설치되어도 전술한 동일한 작용효과를 구현할 수 있게 되며, 하나의 보조 고정볼트(8)만의 설치로 인하여 조립시간을 단축하도록 함이 좋다.
도 7 및 도 8에서 미 설명된 표기번호 '70'과 '70a'는 고정볼트(7)의 구성을 보이는 것으로, 볼트본체(70)와, 이 볼트본체(70)로부터 브래킷을 보호하기 위해 볼트본체(70)의 머리부에 결합되는 캡부재(70a)이다.
계속해서, X축 회동부재(22)는 제1플레이트(21)에 대한 X축 방향으로의 회전을 가능하도록 하는 부재로써, 제1플레이트(21)의 중앙부에서 반 원통체의 형상을 유지하도록 일체로 돌출 형성된다. 결국 X축 회동부재(22)는 반 원통체 형상의 제1내면(221)과 제1외면(223)을 구비하게 된다.
또한, X축 회동부재(22)의 제1외면(223)에는 회전방향으로 균등한 간격을 유지하며 톱니모양의 널링부가 가공되어 있다. 이는 후술되는 Z축 회전부재(40)와 결합되어 위치 조정된 상태를 보다 견고히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X축 회동부재(22)의 중앙부에는 장공(225)이 형성되어 있다. 이는 X축 회동부재(22)의 회전에 따라 후술되는 연결유닛(50)의 상대적인 이동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구성이다.
제2고정부(30)는 제2플레이트(31)와, Y축 회동부재(32)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2고정부(30)는 기본적으로 전술한 제1고정부(20)와 대칭구조를 이루며 동일한 구성을 이루어지고 있다.
즉, 제2플레이트(31) 역시 전술한 제1고정부(20)의 제1플레이트(21)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제1플레이트(21)가 실내 벽면 혹은 천장과 같은 구조물(1)에 결합되고 제2플레이트(31)는 대상물(안테나)이 결합된다.
이처럼 전술한 제1플레이트(21)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효과와 관련하여 제2플레이트(31)의 중복설명은 생략하며,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와 같이 제1플레이트(21)와 제2플레이트(31)를 동일하게 구성함으로써,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브래킷 설치 시, 작업자는 구조물(1)과 결합되는 부분과 대상물(2)과 결합되는 부분을 특별히 구별하여 조립할 필요 없어 조립 공정의 용이함이 제공될 수 있다.
계속해서, Y축 회동부재(32) 역시 제2플레이트(31)에 대한 Y축 방향으로의 회전을 가능하도록 하는 부재로써, 제2플레이트(31)의 중앙부에서 마주하는 제1플레이트(21)를 향해 반 원통체의 형상을 유지하도록 일체로 돌출 형성된다. 결국 Y축 회동부재(32)는 반 원통체 형상의 제2내면(321)과 제2외면(323)을 구비하게 된다.
또한, Y축 회동부재(32)의 제2외면(323)에도 회전방향으로 균등한 간격을 유지하며 톱니모양의 널링부가 가공되어 있으며, 중앙부에는 장공(325)이 형성되어 있다.
결국, Y축 회동부재(32) 역시 전술한 X축 회동부재(22)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성 및 작용효과를 가지되, 다만 부여된 명칭에서 알 수 있듯이 제1플레이트(21)의 X축 회동부재(22)와 직교되어 구성된다는 것에 차이를 가진다.
Z축 회전부재(40)는, 상기 제1고정부(20)와 제2고정부(30)를 서로 연결하는 부재로써, 부여된 명칭에서 알 수 있듯이 제1고정부(20)와 제2고정부(30)가 서로 상대적으로 Z축 회전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결국 Z축 회전부재(40)에 의한 구성 및 작용효과에 있어 도 1에 도시된 종래 브래킷과 크게 구별되는 점이라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Z축 회전부재(40)는 제1회전부재(41)와 제2회전부재(42)를 포함한다.
상기 제1회전부재(41)는, 제1고정부(20)의 X축 회동부재(22)와 결합되는 것으로, 기본적으로 원판형의 부재로 구성되며, 일측에는 상기 X축 회동부재(22)의 제1외면(223)의 일부와 밀착되게 호형의 제3내면(411)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평활한 제3회전면(413)이 형성된다. 여기서, 일측 제3내면(411)에는 상기 X축 회동부재(22)의 제1외면(223)에 가공된 널링부와 대응하게 회전방향(X축 중심)으로 균등한 간격을 유지하며 톱니모양의 널링부가 가공되어 있으며, 마찬가지 타측 제3회전면(413)에도 회전방향(Z축 중심)으로 균등한 간격을 유지하며 톱니모양의 널링부가 가공되어 있다.
상기 제2회전부재(42)는, 제2고정부(30)의 Y축 회동부재(32)와 결합되는 것으로, 기본적으로 원판형의 부재로 구성되며, 일측에는 상기 Y축 회동부재(32)의 제2외면(323)의 일부와 밀착되게 호형의 제4내면(421)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평활한 제4회전면(423)이 형성된다. 여기서, 일측 제4내면(421)에는 상기 Y축 회동부재(32)의 제2외면(323)에 가공된 널링부와 대응하게 회전방향(X축 중심)으로 균등한 간격을 유지하며 톱니모양의 널링부가 가공되어 있으며, 마찬가지 타측 제4회전면(423)에도 회전방향(Z축 중심)으로 균등한 간격을 유지하며 톱니모양의 널링부가 가공되어 있다.
결국, 제1회전부재(41)와 제2회전부재(42)를 마주하는 제3회전면(413)과 제4회전면(423)이 밀착된 상태에서 서로 대칭하여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제1회전부재(41)와 제2회전부재(42)는 중앙부에는 후술되는 연결유닛(50)이 관통하는 축공(415)(425)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연결유닛(50)은, 제1고정부(20)의 X축 회동부재(22)와, 제2고정부(30)의 Y축 회동부재(32) 및 Z축 회전부재(40)를 연결하는 부재로써, 제1지지블록(51), 제2지지블록(52), 연결볼트(53) 및 탄성부재(54)를 포함한다.
상기 제1지지블록(51)은, 상기 X축 회동부재(22)의 반 원통체 형상의 제1내면(221)에 일측이 밀착되게 안착 결합되며, 상기 연결볼트(53)가 관통하는 축공(515)이 형성되고, 상기 축공(515)의 내부에는 탄성부재(54)가 지지되는 단턱(5150)이 형성된다.
상기 제2지지블록(52)은, 상기 Y축 회동부재(32)의 반 원통체 형상의 제2내면(321)에 일측이 밀착되어 안착 결합되며, 상기 연결볼트(53)가 결합되는 축공(525)이 형성되고, 상기 축공(525)의 타측에는 연결볼트(53)와 결합되게 너트(527)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볼트(53)는, 상기 제1지지블록(51)의 축공(515)을 관통하여 상기 제2지지블록(52)의 축공(525)를 관통한 선단이 너트(527)와 나사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연결볼트(53)는, 제1지지블록(51), X축 회동부재(22), 제1회전부재(41), 제2회전부재(42), Y축 회동부재(32), 제2지지블록(52)을 순차적으로 관통한 선단이 너트(527)과 나사 결합됨으로써, 본 고안에 의한 각 요소를 연결시키게 된다.
상기 탄성부재(54)는, 연결볼트(53)의 머리부와 제1지지블록(51)의 단턱(5150)사이에 개재되어 구성된다.
결국, 이러한 연결유닛(50)은 연결볼트(53)의 나사 조임에 따라, 상기 제1지지블록(51)과 제2지지블록(52)을 서로 마주하게 압박하고 있게 됨으로써, 본 고안에 의하여 회전이 이루어지는 부분 즉, X축 회동부재(22)의 제1외면(223)과 제1회전부재(41)의 제3내면(411), 제1회전부재(41)의 제3회전면(413)과 제2회전부재(42)의 제4회전면(423), 제2회전부재(42)의 제4내면(421)과 Y축 회동부재(32)의 제2외면(323)에 마찰력을 생성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안테나 설치용 브래킷의 설치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의한 브래킷(10)은 실내 벽면 혹은 천장 구조물(1)에 결합되는 제1고정부(20)와, 대상물(2)에 결합되는 제2고정부(30)의 구성이 기본적으로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브래킷(10)을 구조물(1)에 먼저 설치하거나 혹은 대상물(2)에 브래킷(10)을 먼저 조립하는 등 작업자의 편의에 따라 선택적인 작업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렇게 브래킷(10)의 제1고정부(20) 혹은 제2고정부(30)를 이용하여 구조물(1) 혹은 대상물(2)에 브래킷(10)을 설치할 경우, 구조물 혹은 대상물에 미리 고정볼트(7)를 설치하여 두고, 체결구멍(210)(310)의 제1구멍(230a)을 통해 브래킷(10)을 밀착시키고, 이후 수평으로 밀어 제2구멍(230b)에 고정볼트(7)가 안착되는 것으로 인해 브래킷(10)의 1차적인 조립이 매우 용이하게 완료된다. 이는 종래와 같이 브래킷(10)을 구조물 혹은 대상물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고정볼트(7)를 무리하게 체결할 필요가 없어 무리한 조립으로 인하여 체결구멍(210)(310)의 주위가 손상되는 것도 예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고정볼트(7)가 체결구멍(210)(310)의 제2구멍(230b)에 안착된 상태에서 보조 체결구멍(250)을 통하여 보조 고정볼트(8)를 조립하여, 고정볼트(7)가 제2구멍(230b)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구조물 혹은 대상물에 대한 브래킷(10)의 견고한 고정을 유지하게 된다. 예컨대 상기 보조 고정볼트(8)를 육각머리 볼트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대응하는 육각렌치를 이용해서만 보조 고정볼트(8)의 분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불량한 의도를 가지는 타인이 대상물(안테나) 혹은 브래킷을 쉽게 분리할 수 없게 된다.
상기와 동일한 방법을 브래킷(10)의 다른 쪽을 구조물 혹은 대상물에 결합하게 된다. 이때, 고정볼트(7)가 체결되는 Z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보조 고정볼트(8)를 체결하기 때문에, 제1고정부(20)와 제2고정부(30)의 사이공간이 매우 협소함에도 불구하고, 매우 편리하고 간단히 브래킷(10)의 설치를 완료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서로 대칭 구조를 이루고 있는 제1고정부(20)와 제2고정부(30)로 인하여 간섭이 발생한다 하더라도 본 고안에 의한 Z축 회전부재(40)를 이용하여 제1고정부(20)와 제2고정부(30)를 회전시켜 '+'자형을 유지한 상태에서 구조물 혹은 대상물의 조립을 완료할 수 있게 때문에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브래킷(10)을 이용한 구조물에 대한 대상물의 설치가 완료되면, 사용자는 X축 회동부재(22)와 제1회전부재(41)에 의한 X축 회동, 제1회전부재(41)와 제2회전부재(42)에 의한 Z축 회전, 제2회전부재(42)와 Y축 회동부재(32)에 의한 Y축 회동을 구현하며, 대상물이 향하는 위치를 자유롭게 세팅하게 된다.
이렇게 원하는 방향으로 위치가 세팅된 대상물은 탄성부재(54)를 포함한 연결유닛(50)과 함께, 상기 X축 회동부재(22)와 제1회전부재(41), 제1회전부재(41)와 제2회전부재(42), 제2회전부재(42)와 Y축 회동부재(32)의 밀착부분에 가공된 널링부에 의하여 견고한 세팅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 : 구조물 (2) : 대상물
(7) : 고정볼트 (8) : 보조 고정볼트
(10) : 브래킷 (20) : 제1고정부
(21) : 제1플레이트 (210) : 체결구멍
(22) : X축 회동부재 (221) : 제1내면
(223) : 제1외면 (230a) : 제1구멍
(230b) : 제2구멍 (250) : 보조 체결구멍
(30) : 제2고정부 (31) : 제2플레이트
(310) : 체결구멍 (32) : Y축 회동부재
(321) : 제2내면 (323) : 제2외면
(40) : Z축 회전부재 (41) : 제1회전부재
(411) : 제3내면 (413) : 제3회전면
(42) : 제2회전부재 (421) : 제4내면
(423) : 제4회전면 (50) : 연결유닛
(51) : 제1지지블록 (52) : 제2지지블록
(53) : 연결볼트 (54) : 탄성부재

Claims (5)

  1. 판 형상으로 형성된 제1플레이트(21)의 중앙에서 반 원통체의 제1내면(221)과 제1외면(223)을 갖도록 X축 회동부재(22)가 돌출 형성되는 제1고정부(20)와,
    판 형상으로 형성된 제2플레이트(31)의 중앙에서 반 원통체의 제2내면(321)과 제2외면(323)을 갖도록 Y축 회동부재(32)가 돌출 형성되는 제2고정부(30)와,
    일측에 상기 X축 회동부재(22)의 제1외면(223)의 일부와 밀착되게 호형의 제3내면(411)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평활한 제3회전면(413)이 형성되는 제1회전부재(41)와; 일측에 상기 Y축 회동부재(32)의 제2외면(323)의 일부와 밀착되게 호형의 제4내면(421)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평활한 제4회전면(423)이 형성되는 제2회전부재(42)로 이루어진 Z축 회전부재(40); 및
    상기 X축 회동부재(22), Y축 회동부재(32) 및 Z축 회전부재(40)를 관통하여 연결시키는 연결유닛(50);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유닛(50)은,
    상기 X축 회동부재(22)의 반 원통체 형상의 제1내면(221)에 일측이 밀착되어 안착되는 제1지지블록(51)과;
    상기 Y축 회동부재(32)의 반 원통체 형상의 제2내면(321)에 일측이 밀착되어 안착되는 제2지지블록(52)과;
    상기 제1지지블록(51)과, X축 회동부재(22), Z축 회전부재(40), Y축 회동부재(32) 및 제2지지블록(52)을 순차적으로 관통한 선단이 너트(527)와 결합되는 연결볼트(53); 및
    상기 연결볼트(53)와 제1지지블록(51)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재(54);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축 회전이 가능한 안테나 설치용 브래킷.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X축 회동부재(22)의 제1외면(223)과 제1회전부재(41)의 제3내면(411), 상기 제1회전부재(41)의 제3회전면(413)과 제2회전부재(42)의 제4회전면(423), 상기 제2회전부재(42)의 제4내면(421)과 Y축 회동부재(32)의 제2외면(323)에는, 서로 대응하는 널링부가 가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축 회전이 가능한 안테나 설치용 브래킷.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플레이트(21)와 제2플레이트(31)에는, 구조물 혹은 대상물과 체결되는 고정볼트 관통용 체결구멍(210)(310)을 형성하되,
    상기 체결구멍(210)(310)은, 고정볼트의 머리부가 관통하는 제1구멍(230a)과, 상기 제1구멍(230a)에서 수평 연장되어 고정볼트의 머리부가 걸리는 제2구멍(230b)을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축 회전이 가능한 안테나 설치용 브래킷.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구멍(230b)을 사이에 두고 제1구멍(230a)의 반대쪽에는 체결구멍(210)(310)과 수직하는 보조 체결구멍(250)을 포함하여 형성하고,
    상기 보조 체결구멍(250)에 체결되는 보조 고정볼트(8)의 선단이 상기 제2구멍(230b)에 걸림 지지된 고정볼트의 머리부를 가압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다축 회전이 가능한 안테나 설치용 브래킷.
KR2020120002162U 2012-03-19 2012-03-19 다축 회전이 가능한 안테나 설치용 브래킷 KR2004697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2162U KR200469765Y1 (ko) 2012-03-19 2012-03-19 다축 회전이 가능한 안테나 설치용 브래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2162U KR200469765Y1 (ko) 2012-03-19 2012-03-19 다축 회전이 가능한 안테나 설치용 브래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647U KR20130005647U (ko) 2013-09-27
KR200469765Y1 true KR200469765Y1 (ko) 2013-11-07

Family

ID=50741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2162U KR200469765Y1 (ko) 2012-03-19 2012-03-19 다축 회전이 가능한 안테나 설치용 브래킷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9765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5883B1 (ko) 2016-01-19 2016-04-27 유큐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유무선통신기기 설치용 고정형 브라켓
KR20160139628A (ko) * 2015-05-28 2016-12-07 (주)하이게인안테나 복수의 축을 하나의 단속요소로 제어 가능한 안테나 클램프
KR102099976B1 (ko) 2019-08-10 2020-04-10 (주)텍트리 보안기기용 고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29587A1 (ko) * 2019-08-13 2021-02-18 삼성전자 주식회사 댁내 중계 장치와 이를 지지하는 지지 장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60209A (ja) * 1988-08-25 1990-02-28 Bridgestone Corp パラボラアンテナの取付装置
KR100688117B1 (ko) 2007-01-03 2007-03-02 (주)뮤트로닉스 안테나용 브라켓 장치
KR20090116362A (ko) * 2008-05-07 2009-11-11 주식회사 이엠따블유안테나 안테나 브라켓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60209A (ja) * 1988-08-25 1990-02-28 Bridgestone Corp パラボラアンテナの取付装置
KR100688117B1 (ko) 2007-01-03 2007-03-02 (주)뮤트로닉스 안테나용 브라켓 장치
KR20090116362A (ko) * 2008-05-07 2009-11-11 주식회사 이엠따블유안테나 안테나 브라켓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9628A (ko) * 2015-05-28 2016-12-07 (주)하이게인안테나 복수의 축을 하나의 단속요소로 제어 가능한 안테나 클램프
KR101689648B1 (ko) * 2015-05-28 2016-12-26 (주)하이게인안테나 복수의 축을 하나의 단속요소로 제어 가능한 안테나 클램프
KR101615883B1 (ko) 2016-01-19 2016-04-27 유큐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유무선통신기기 설치용 고정형 브라켓
KR102099976B1 (ko) 2019-08-10 2020-04-10 (주)텍트리 보안기기용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647U (ko) 2013-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9765Y1 (ko) 다축 회전이 가능한 안테나 설치용 브래킷
US7109418B2 (en) Adapter for mounting a faceplate of a first style on to an electrical outlet cavity of a second style
US6988698B2 (en) Appliance mounting apparatus
US20100012799A1 (en) Flat Panel Mounting System
US20090152426A1 (en) Adjustable Mounting Assembly for Ceiling Fixtures
US7210661B1 (en) Motor installation system
KR101615883B1 (ko) 유무선통신기기 설치용 고정형 브라켓
JP3226675U (ja) 調節式ケーブル固定支持具
KR102129186B1 (ko) 고정 장치, 고정 장치 키트 및 고정 장치 키트의 용도
US20180139863A1 (en) Rack system for supporting a computing device
KR20190073222A (ko) 잠수함 축전지 부스바 설치장치
US20050093764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curing an antenna
JP4216119B2 (ja) アンカーネジ棒用の装着金具
CN211744015U (zh) 一种上置式漏缆夹具
KR200164219Y1 (ko) 천정용 스피커 부착장치
CN217957255U (zh) 一种扬声器的安装装置及扬声器
KR101857259B1 (ko) 안테나 설치용 브래킷
US20120018603A1 (en) Temporary Attachment Device For a Mounting Assembly
JP4989678B2 (ja) カメラ取付具及び機器取付具
JP2006261012A (ja) アース端子の取付構造
KR20150000217U (ko) 와이어하네스용 가변지그
JP2020038561A (ja) 通信装置アセンブリ
CN219798387U (zh) 固定装置及卡口设备
JP3233919B2 (ja) ジャンパー線の間隔保持具
KR102239486B1 (ko) 건축용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