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3222A - 잠수함 축전지 부스바 설치장치 - Google Patents

잠수함 축전지 부스바 설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3222A
KR20190073222A KR1020170174651A KR20170174651A KR20190073222A KR 20190073222 A KR20190073222 A KR 20190073222A KR 1020170174651 A KR1020170174651 A KR 1020170174651A KR 20170174651 A KR20170174651 A KR 20170174651A KR 20190073222 A KR20190073222 A KR 201900732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fixing
module
bolt
ratchet
fixing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4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형
홍성범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746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73222A/ko
Publication of KR201900732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32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1/00Portable power-driven screw or nut setting or loosening tools; Attachments for drilling apparatus serving the same purpose
    • B25B21/004Portable power-driven screw or nut setting or loosening tools; Attachments for drilling apparatus serving the same purpose of the ratchet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1/00Portable power-driven screw or nut setting or loosening tools; Attachments for drilling apparatus serving the same purpose
    • B25B21/002Portable power-driven screw or nut setting or loosening tools; Attachments for drilling apparatus serving the same purpose for special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panners, wrenches, screwdrivers
    • B25B23/0007Connections or joints between tool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7/0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B27/14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ssembling objects other than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8/00Underwater vessels, e.g. submarine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3G8/08Propulsion
    • H01M2/206
    • B63B2702/04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50/00Fuel cell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Specific features of fuel cell system
    • H01M2250/20Fuel cell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잠수함 축전지 부스바 설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잠수함 배터리룸 내부에 축전지간 직병렬 연결을 위한 부스바의 조립을 빠르고 쉽게 수행할 수 있는 잠수함 축전지 부스바 설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잠수함 배터리룸 내부의 축전지간 직병렬 연결을 위한 부스바 조립을 위한 장치로써, 상기 축전지에 구비되는 전극과 전극간을 연결하기 위해 부스바에 너트를 조이는 라쳇 보듈부; 상기 라쳇 모듈부에 결합되는 모듈 체결 프레임; 및 상기 모듈 체결 프레임에 결합되는 볼트 고정 모듈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잠수함 축전지 부스바 설치장치{Submarine storage battery bus bar installation device}
본 발명은 잠수함 축전지 부스바 설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잠수함 배터리룸 내부에 축전지간 직병렬 연결을 위한 부스바의 조립을 빠르고 쉽게 수행할 수 있는 잠수함 축전지 부스바 설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잠수함의 배터리룸에는 수백 개의 축전지가 설치되며, 추진기 등의 가동을 위한 필요 전력을 공급해주기 위해 축전지간 직렬 및 병렬연결 작업이 이루어진다. 이때, 축전지 간 '+'극과 '-'극에 대한 직병렬 연결은 축전지 상부에 돌출된 pole을 다양한 형태의 부스바로 연결하고 볼트와 너트, 와셔 등으로 체결한다.
이와 같은 부스바 연결 작업은 부스바 가조립과 볼트류 체결 작업으로 이루어진다. 즉, 작업자들이 부스바와 볼트, 너트, 와셔, 스프링 와셔를 휴대하고 다니면서 각 축전지 간 연결 형태에 맞게 가 체결 작업을 수행한다. 이 후, 다른 작업자들이 절연 테이프로 절연 처리된 스패너를 이용하여 pole 양단의 볼트와 너트를 교차하여 조이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하지만, 비좁은 작업 환경 특성 상 제대로 된 작업 자세를 취하기 어렵고 볼트가 풀리지 않도록 긴밀하게 체결해야 하기 때문에 힘이 많이 들어간다. 또한, 짧은 작업 공기로 인해 척당 약 2,000여개의 볼트류 체결에 대한 반복 작업을 빠르게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근골격계 질환 발생 빈도가 매우 높다. 더욱이, 축전지 전극 간의 간격이 좁고 축전지가 충전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자 실수 혹은 절연 미비 스패너 등으로 인해 비 연결 전극간 접촉이 되면 감전사고 및 폭발 위험이 크기 때문에 작업자들이 위와 같은 작업을 기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그 목적은 잠수함 배터리룸 내부에 축전지간 직병렬 연결을 위한 부스바의 조립을 빠르고 쉽게 수행할 수 있는 잠수함 축전지 부스바 설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잠수함 배터리룸 내부의 축전지간 직병렬 연결을 위한 부스바 조립을 위한 장치로써, 상기 축전지에 구비되는 전극과 전극간을 연결하기 위해 부스바에 너트를 조이는 라쳇 보듈부; 상기 라쳇 모듈부에 결합되는 모듈 체결 프레임; 및 상기 모듈 체결 프레임에 결합되는 볼트 고정 모듈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라쳇 모듈부는, 에어 라쳇; 및 상기 에어 라쳇의 에어를 통해 너트를 조이는 렌치 소켓;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렌치 소켓의 그 이면에는 커버 브라켓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볼트 고정 모듈부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구비되는 볼트 고정 브라켓;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볼트 고정 모듈부는, 상기 볼트 고정 브라켓 상에 관통결합되는 가이드 샤프트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샤프트 상에는 텐션 스프링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텐션 스프링과 프레임의 내측에는 텐션 브라켓; 및 상기 텐션 브라켓의 길이를 조절하여 볼트 고정 브라켓의 위치를 조절하는 조절 노브;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볼트 고정 브라켓과 가이드 샤프트 사이에는 가이드 부쉬가 더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잠수함 축전지 부스바 설치장치에 의하면, 작업자가 좁은 공간에서 스패너를 이용하여 볼트 및 너트를 조이는 힘들고 반복적인 작업을 수행할 필요없이 간편하고 빠르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어 부스바 설치 작업의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근골격계 질환 발생 가능성을 제거할 수 있게 되어 작업 환경을 크게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잠수함 축전지 부스바 설치장치는 부스바의 볼트 및 너트 체결 위치와 관계없이 체결 작업이 가능하며, 잠수함 사양 별 축전지 사양 변경에 따른 볼트 및 너트의 체결 위치 및 폭이 달라져도 텐션 조절 노브에 의한 볼트 고정 브라켓 조절을 통해 신속하고 간단하게 설치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부스바의 형상이 다른 경우에도 간섭없이 설치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잠수함 배터리룸 내부의 축전지 간을 부스바를 통해 직병렬로 연결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잠수함 축전지 부스바 설치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잠수함 축전지 부스바 설치장치를 통해 전극에 부스바를 직렬로 결속하기 전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잠수함 축전지 부스바 설치장치가 너트와 결속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배면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 및 5에서 볼트 고정 모듈부가 볼트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동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 잠수함 축전지 부스바 설치장치를 통해 전극에 부스바를 병렬로 결속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구체적인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본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의 잠수함 축전지 부스바 설치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잠수함 배터리룸 내부의 축전지 간을 부스바를 통해 직병렬로 연결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잠수함 축전지 부스바 설치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 잠수함 축전지 부스바 설치장치는, 비좁은 환경에서도 스패너나 렌치 등과 같은 공구 없이 작업자가 힘들이지 않고 간단하고 빠르게 볼트 및 너트를 조임으로써 부스바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한 장치(100)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축전지(160)에 구비되는 전극(161)과 전극(161)간을 연결하기 위해 부스바(162)에 너트(164)를 조이는 라쳇 보듈부(110)가 구비된다. 상기 라쳇 모듈부(110)는, 에어 라쳇(113) 및 상기 에어 라쳇(113)의 에어를 통해 너트(164)를 조이는 렌치 소켓(112)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에어 라쳇(113)에는 작업 시 에어를 공급하기 위한 에어 공급호스(미도시)가 연결된다. 또한, 렌치 소켓(112)의 그 이면에는 커버 브라켓(111)이 더 구비되며, 이는 작업 대상 전극이나 부스바 주변의 다른 전극 및 부스바 접촉 시, 축전지 폭발 및 작업자 감전 가능성을 배제하기 위해 절연 물질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라쳇 모듈부(110)에 결합되는 모듈 체결 프레임(120)이 구비된다. 상기 모듈 체결 프레임(120)의 일단부는 에어 라쳇(113)이 외측면을 감싸도록 구성되고, 타단은 후술할 볼트 고정 모듈부(130)와 연결된다.
한편, 상기 모듈 체결 프레임(120)에 결합되는 볼트 고정 모듈부(130)가 구비된다. 상기 볼트 고정 모듈부(130)는 크게 프레임(131) 및 상기 프레임(130)의 내측에 구비되는 볼트 고정 브라켓(132)으로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130)은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내측으로 볼트 고정 브라켓(132)이 관통되도록 결합된다. 또한, 볼트 고정 브라켓(132)은 스패너 형상으로 형성되어 볼트를 삽입한 상태에서 고정하게 된다.
한편, 볼트 고정 모듈부(130)는, 상기 볼트 고정 브라켓(132) 상에 관통결합되는 가이드 샤프트(134)가 더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 샤프트(134) 상에는 텐션 스프링(135)이 결합된다. 게다가 텐션 스프링(135)과 프레임(131)의 내측에는 텐션 브라켓(136) 및 상기 텐션 브라켓(136)의 길이를 조절하여 볼트 고정 브라켓(132)의 위치를 조절하는 조절 노브(137)가 구비된다. 게다가 상기 볼트 고정 브라켓(132)과 가이드 샤프트(134) 사이에는 가이드 부쉬(133)가 더 개재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잠수함 축전지 부스바 설치장치의 사용상태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도 3은 본 발명 잠수함 축전지 부스바 설치장치를 통해 전극에 부스바를 직렬로 결속하기 전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잠수함 축전지 부스바 설치장치가 너트와 결속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배면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 및 5에서 볼트 고정 모듈부가 볼트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동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 잠수함 축전지 부스바 설치장치는 작업자가 우선 전극(161)과 전극을 부스바(62)로 연결하게 되면, 볼트(163)와 너트(164)를 가결합하게 된다. 이후 본 발명 잠수함 축전지 부스바 설치장치(100)를 통하여 볼트(163)와 너트(164)를 완전히 고정하게 되며, 최초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는 부스바 설치 장치(100)를 소정각도 비스듬한 각도로 설정하게 된다.
이후,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치 소켓(112)을 너트(164)에 삽입하고, 텐션 조절 노브(137)를 회전하면서 볼트 고정 브라켓(132)을 볼트(163) 머리에 삽입시키게 된다. 이때 텐션 스프링(135)이 볼트 고정 브라켓(132)을 탄성으로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볼트 고정 브라켓(132)이 움직이지 않고 원하는 위치에 고정된다.
이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 고정 브라켓(132)을 수직으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에어 라쳇(113)을 가동시켜 너트(164)를 조이게 되면 너트(164)가 볼트(163)에 체결되어 부스바(162) 간을 연결하면서 고정하게 된다.
즉, 볼트 고정 모듈부(130)는 모듈 체결 프레임(120)에 의해 라쳇 모듈부(110)과 연결되어 라쳇 모듈부에 의한 너트(5) 체결 시 볼트(4)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해 주기 위한 모듈로, 스패너 형상의 볼트 고정 브라켓(132)이 텐션 스프링(135)이 구비된 가이드 샤프트(134)에 연결되어 있어 수직 및 좌/우 폭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볼트(163)의 회전 상태 및 잠수함 사양 별 축전지(160) 사양 변경에 따른 볼트 및 너트의 체결 위치와 폭이 달라져도 볼트 고정 브라켓(132) 가변을 통해 신속하고 간단하게 설치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볼트 고정 브라켓(132)은 상하/좌우 조절이 용이하도록 볼트 고정 브라켓에 길이 방향으로 가공된 홈에 가이드 부쉬(133)가 연결되고 가이드 부쉬는 가이드 샤프트(134)에 연결되며, 텐션 조절 노브(137)에 의해 텐션 브라켓(136)이 이동하면서 스프링(135)을 가압함으로써 볼트 고정 브라켓(132)의 좌우 방향 위치를 간단하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로 인해, 부스바의 사양 변화로 인한 폭 방향 두께 변화 시에도 간단하고 신속하게 대응이 가능하다. 또한, 볼트 고정 브라켓(132)의 좌/우 측면부에 모두 스프링(135)이 구비되어 있어 서로간의 반력으로 볼트 고정 브라켓(132)이 텐션 조절 노브(137)에 의해 조절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어 볼트로부터 이탈 및 이동 시 흔들림을 최소화할 수 있다.
지금까지 상기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동상태는 전극과 부스바가 직렬로 연결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전극과 부스바가 직렬로 연결될 경우는 도 7의 실시예와 같다. 도 9는 본 발명 잠수함 축전지 부스바 설치장치를 통해 전극에 부스바를 병렬로 결속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상기한 도 1 내지 도 6의 실시예와 모든 구성이 동일하며 다만, 잠수함 사양 별 축전지 사양 변경에 따라 볼트 및 너트의 체결 위치 및 폭이 달라지므로 볼트 고정부(130) 가변을 통해 신속하고 간단하게 설치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7과 같이 부스바(162)의 형상이 다른 경우에도 간섭 없이 설치가 가능한 것이다.
이처럼 본 가이드 장치(100)를 이용하여 부스바(162) 설치를 위한 볼트(163) 및 너트(164)를 체결하는 방식은 라쳇 모듈부(110)의 렌치 소켓(112)을 너트(164) 회전 방향에 맞게 장치를 돌려서 맞춰 너트(164)에 끼우게 된다. 볼트 고정 브라켓(132)을 볼트(163)에 맞추기 위해 가이드 장치를 돌려 볼트 고정 브라켓(132)을 볼트 회전 방향에 맞추고, 볼트 고정 브라켓을 내리게 되면 볼트에 볼트 고정 브라켓이 끼워지게 된다. 이후, 텐션 조절 노브(137)를 이용하여 볼트 고정 브라켓(132)을 볼트에 맞게 좌/우로 조절하고 라쳇 모듈부(110)을 구동시키면 별다른 힘이 필요 없이 간단하고 빠르게 볼트 및 너트 체결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잠수함 축전지 부스바 설치장치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장치본체 110 : 라쳇 모듈부
111 : 커버 브라켓 112 : 렌치 소켓
113 : 에어 라쳇 120 : 모듈 체결 프레임
130 : 볼트 고정 모듈부 131 : 프레임
132 : 볼트 고정 브라켓 133 : 가이드 부쉬
134 : 가이드 샤프트 135 : 텐션 스프링
136 : 텐션 브라켓 137 : 텐션 조절 노브
160 : 축전지 161 : 전극
162 : 부스바 163 : 볼트
164 : 너트

Claims (8)

  1. 잠수함 배터리룸 내부의 축전지(160)간 직병렬 연결을 위한 부스바(162) 조립을 위한 장치(100)로써,
    상기 축전지(160)에 구비되는 전극(161)과 전극(161)간을 연결하기 위해 부스바(162)에 너트(164)를 조이는 라쳇 보듈부(110);
    상기 라쳇 모듈부(110)에 결합되는 모듈 체결 프레임(120); 및
    상기 모듈 체결 프레임(120)에 결합되는 볼트 고정 모듈부(130);를 포함하는 잠수함 축전지 부스바 설치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라쳇 모듈부(110)는,
    에어 라쳇(113); 및
    상기 에어 라쳇(113)의 에어를 통해 너트(164)를 조이는 렌치 소켓(112);을 포함하는 잠수함 축전지 부스바 설치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치 소켓(112)의 그 이면에는 커버 브라켓(111)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축전지 부스바 설치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 고정 모듈부(130)는,
    프레임(131); 및
    상기 프레임(130)의 내측에 구비되는 볼트 고정 브라켓(132);을 포함하는 잠수함 축전지 부스바 설치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 고정 모듈부(130)는,
    상기 볼트 고정 브라켓(132) 상에 관통결합되는 가이드 샤프트(134)를 더 포함하는 잠수함 축전지 부스바 설치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샤프트(134) 상에는 텐션 스프링(135)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축전지 부스바 설치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 스프링(135)과 프레임(131)의 내측에는 텐션 브라켓(136); 및
    상기 텐션 브라켓(136)의 길이를 조절하여 볼트 고정 브라켓(132)의 위치를 조절하는 조절 노브(137);를 더 포함하는 잠수함 축전지 부스바 설치장치.
  8.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 고정 브라켓(132)과 가이드 샤프트(134) 사이에는 가이드 부쉬(133)가 더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축전지 부스바 설치장치.
KR1020170174651A 2017-12-18 2017-12-18 잠수함 축전지 부스바 설치장치 KR201900732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4651A KR20190073222A (ko) 2017-12-18 2017-12-18 잠수함 축전지 부스바 설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4651A KR20190073222A (ko) 2017-12-18 2017-12-18 잠수함 축전지 부스바 설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3222A true KR20190073222A (ko) 2019-06-26

Family

ID=67104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4651A KR20190073222A (ko) 2017-12-18 2017-12-18 잠수함 축전지 부스바 설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7322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60007A (zh) * 2020-09-01 2020-12-11 武汉昊诚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电池防水圈安装机
KR20210123855A (ko) 2020-04-06 2021-10-14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배터리 탑재 장치
CN114434388A (zh) * 2020-11-06 2022-05-06 株式会社日立制作所 螺栓紧固装置及螺栓紧固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3855A (ko) 2020-04-06 2021-10-14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배터리 탑재 장치
CN112060007A (zh) * 2020-09-01 2020-12-11 武汉昊诚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电池防水圈安装机
CN112060007B (zh) * 2020-09-01 2022-05-20 武汉昊诚锂电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电池防水圈安装机
CN114434388A (zh) * 2020-11-06 2022-05-06 株式会社日立制作所 螺栓紧固装置及螺栓紧固方法
CN114434388B (zh) * 2020-11-06 2023-09-15 株式会社日立制作所 螺栓紧固装置及螺栓紧固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99683A1 (en) Bracket for Connection of a Junction Box to Photovoltaic Panels
KR20190073222A (ko) 잠수함 축전지 부스바 설치장치
WO2015111447A1 (ja) スイッチング装置
KR101188637B1 (ko) 배터리 포스트에 대한 회전 및 교차 홀딩력이 개선된 포스트 터미널
JP2013157122A (ja) 電線接続構造及び電線接続方法
CN107791846B (zh) 张紧装置及具有该张紧装置的供电系统
KR200469765Y1 (ko) 다축 회전이 가능한 안테나 설치용 브래킷
US20180281595A1 (en) High-voltage device
JP2003257516A (ja) ブスバー及びそれを用いた電源装置
KR20190054205A (ko) 잠수함 축전지 부스바 설치장치
JP2017047758A (ja) クランプ構造
JP2598901Y2 (ja) 建設機械のハーネス固定装置
KR100986436B1 (ko) 배터리 터미널 클립 고정장치
JPH07298465A (ja) 電線の固定方法
KR102214517B1 (ko) 태양광 모듈 고정용 클램프
CN107791888B (zh) 供电电路及具有该供电电路的供电系统
EP1145383A2 (en) Electrical conductivity connectors
JPH0347826Y2 (ko)
JP2004103365A (ja) ケーブルコネクタ構造
JPH0884415A (ja) 弛度調整金具
KR20020096306A (ko) 차량용 배터리 케이블 연결구조
KR200483913Y1 (ko) 에어컨 실외기용 터미널블록의 고정 브래킷
CN104426019A (zh) 用于模制外壳断路器的角度可调节后柱
US2005016195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holding together first and second objects
JP2553981Y2 (ja) 電気機器収納用箱体における補助パネル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