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3913Y1 - 에어컨 실외기용 터미널블록의 고정 브래킷 - Google Patents

에어컨 실외기용 터미널블록의 고정 브래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3913Y1
KR200483913Y1 KR2020150001730U KR20150001730U KR200483913Y1 KR 200483913 Y1 KR200483913 Y1 KR 200483913Y1 KR 2020150001730 U KR2020150001730 U KR 2020150001730U KR 20150001730 U KR20150001730 U KR 20150001730U KR 200483913 Y1 KR200483913 Y1 KR 2004839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lock
hole
fixing
outdoor unit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17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3326U (ko
Inventor
이진호
Original Assignee
비티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티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비티알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500017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3913Y1/ko
Publication of KR2016000332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332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39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391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6Clip-on terminal blocks for side-by-side rail- or strip-mounting
    • H01R9/2608Fastening means for mounting on support rail or stri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6Clip-on terminal blocks for side-by-side rail- or strip-mounting
    • H01R9/2616End clamping members

Landscapes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에어컨 실외기용 터미널블록 고정 브래킷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의 전원이나 신호선 등을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분기하기 위한 터미널블록이 실외기내의 설치 장소에서 대각선 방향을 향하도록 고정할 수 있어 에어컨 실외기에 터미널블록을 조립 및 해체하는 작업이 간편함은 물론 터미널블록 설치 작업을 위한 부속 제품의 코스트를 낮출 수 있어 매우 경제적이고 편리한 에어컨 실외기용 터미널블록 고정 브래킷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에어컨 실외기용 터미널블록 고정 브래킷은, 전면으로 배선용 고정볼트가 구비되는 에어컨 실외기용 터미널블록을 고정하기 위한 브래킷에 있어서, 상기 에어컨 실외기에 부착되는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의 일단부에서 수직하게 절곡된 측판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측판이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고정브래킷과; 상기 한 쌍의 고정브래킷 사이에 상기 터미널블록이 개재된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고정브래킷과 상기 터미널블록을 상호 고정하는 체결구를; 포함하되, 상기 터미널블록은, 양측의 측면 방향에 제1 결합공 및 제2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측판은, 상기 터미널블록의 전면이 상기 받침판과 소정의 설치경사각을 이루도록 배치된 상태에서의 상기 제1 결합공 및 제2 결합공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1 경사형성홀 및 제2 경사형성홀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구는, 상기 제1 경사형성홀과 상기 제1 결합공 및 상기 제2 경사형성홀과 상기 제2 결합공에 삽입 결합되며 상기 한 쌍의 고정브래킷과 상기 터미널블록을 상호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에어컨 실외기용 터미널블록의 고정 브래킷{FIXING BRACKET OF TERMINAL BLOCK FOR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본 고안은 에어컨 실외기용 터미널블록 고정 브래킷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의 전원이나 신호선 등을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분기하기 위한 터미널블록이 실외기내의 설치 장소에서 대각선 방향을 향하도록 고정할 수 있어 에어컨 실외기에 터미널블록을 조립 및 해체하는 작업이 간편함은 물론 터미널블록 설치 작업을 위한 부속 제품의 코스트를 낮출 수 있어 매우 경제적이고 편리한 에어컨 실외기용 터미널블록 고정 브래킷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컨은 실내에 시원한 공기를 공급하는 실내기와 상기 실내기에 공급되는 시원한 공기를 발생시키는 실외기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실외기는 실내기에 구성된 제어판의 조작에 의해 제어되며, 이와 같이 실외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나 실외기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전류는 실내기로부터 공급된다. 상기와 같이 실내기로부터 실외기로의 제어신호나 구동전류의 전달은 전선에 의해 이루어지며, 신호 및 전기를 공급하는 전선을 연결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터미널블록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상기 터미널블록에는 다수개의 판형상의 터미널이 격벽에 의해 절연된 상태로 설치되어 터미널의 일측에는 안정화회로에 연결된 전선이 연결되고 타측에는 실내기로부터 인출된 전선이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는 종래의 에어컨 실외기용 터미널블록을 고정하기 위한 브래킷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이를 참조하면, 종래와 같은 브래킷은 상기 터미널블록(100)의 후단이 측면 방향으로 끼워지도록 걸림부(111)가 형성되고,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도록 다수의 볼트체결홀(112)이 형성된 딘레일(110)과, 상기 딘레일(110) 상에 연결된 상기 터미널블록(100)을 고정하기 위해 상기 딘레일(110)의 양측에서 끼움되어 상기 터미널블록(100) 양측을 지지하는 고정부재(120)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120)는 상기 딘레일(110)로부터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체결볼트(121)가 결합된다
종래와 같이 딘레일 구조에는 필요에 따라 여러 형태의 고정구를 사용하거나 개발하여 터미널블록을 고정하였는데, 이러한 딘레일을 통한 고정은 한번 고정하면 그 해체가 쉽지 않고 또한 임의적으로 위치 이동하여 고정하기가 까다로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터미널블록(100)을 실외기내에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딘레일(110)과 상기 고정부재(120) 각각에 고정나사를 체결하여 고정한 상태에서 터미널블록(100)을 배선하여야 하기 때문에 조립시간이 많이 소모되고, 많은 고정부재가 사용되어야 하므로 제품의 코스트를 상승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따라서, 보다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작업을 위한 결합 구조를 갖는 고정 브래킷이 요구되고 있었던 실정이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1202호(2010.11.26 등록) "딘레일상에의 전기전자 부품 장착구조"와 같은 기술에서는 상기와 같이 딘레일상에 전기전자 부품을 끼운 후, 양측에 연결관을 갖춘 연결구를 장착하여 고정하고, 딘레일의 플랜지를 좌우에서 감싸고 상기 연결관을 수용할 수 있는 결합구를 끼워 넣을 수 있게 구성하여 상기 결합구와 상기 연결관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체결나사의 체결을 통해 딘레일상에 전기전자 부품을 장착하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은 상술한 바와 같이 여러 개의 부품을 구비하여 번거러운 방법으로 조립하여야 하기 때문에, 부품 원가상승으로 인한 소모 비용이 늘어나게 되고, 설치 장소의 바닥면이나 측벽에 수직한 방향으로만 설치가 가능하기 때문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컨 실외기의 일측 내부로 협소하게 자리하고 있는 장소에서 터미널블록의 배선 작업시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사용하여 볼트를 체결하는 작업 등이 까다롭게 되는 등 에어컨의 신규 설치 또는 보수작업시 작업효율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의 실외기의 일측 내부에서 설치면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터미널블록을 설치 방향과 관계없이 경사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 조립할 수 있어 현장에서 에어컨의 설치 및 보수를 위한 작업시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최소한의 간편한 구성으로 터미널블록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어 에어컨 실외기용 터미널블록 설치 작업을 위한 부속 제품의 코스트를 대폭 낮출 수 있어 작업성 및 경제성이 매우 뛰어난 에어컨 실외기용 터미널블록 고정 브래킷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에어컨 실외기용 터미널블록 고정 브래킷은 전면으로 배선용 고정볼트가 구비되는 에어컨 실외기용 터미널블록을 고정하기 위한 브래킷에 있어서, 상기 에어컨 실외기에 부착되는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의 일단부에서 수직하게 절곡된 측판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측판이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고정브래킷과; 상기 한 쌍의 고정브래킷 사이에 상기 터미널블록이 개재된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고정브래킷과 상기 터미널블록을 상호 고정하는 체결구를; 포함하되, 상기 터미널블록은, 양측의 측면 방향에 제1 결합공 및 제2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측판은, 상기 터미널블록의 전면이 상기 받침판과 소정의 설치경사각을 이루도록 배치된 상태에서의 상기 제1 결합공 및 제2 결합공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1 경사형성홀 및 제2 경사형성홀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구는, 상기 제1 경사형성홀과 상기 제1 결합공 및 상기 제2 경사형성홀과 상기 제2 결합공에 삽입 결합되며 상기 한 쌍의 고정브래킷과 상기 터미널블록을 상호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에어컨 실외기용 터미널블록 고정 브래킷은, 상기 측판은, 상기 설치경사각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2 경사형성홀이 상기 제1 경사형성홀을 회전 중심으로 동일 반경상에 복수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에어컨 실외기용 터미널블록 고정 브래킷은, 상기 복수개의 제2 경사형성홀은 상호 연결되며, 호형의 장홀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에어컨 실외기용 터미널블록 고정 브래킷은, 상기 고정브래킷은, 상기 받침판과 수직면을 이루도록 전방으로 돌출된 손잡이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고안에 따른 에어컨 실외기용 터미널블록 고정 브래킷은 종래의 실외기 내부 설치면에 수직하게 설치되어야만 되는 터미널블록을 설치 방향과 관계없이 경사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 조립할 수 있어 현장에서 에어컨의 설치 및 보수를 위한 작업시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에어컨 실외기용 터미널블록 고정 브래킷은 조립에 필요한 부품을 최소화하여 최소한의 간편한 구성으로 터미널블록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어 에어컨 실외기용 터미널블록 설치 작업을 위한 제품의 코스트를 대폭 낮출 수 있어 작업성 및 경제성이 매우 뛰어난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컨 실외기용 터미널블록 고정 브래킷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컨 실외기용 터미널블록 고정 브래킷의 문제점을 보이기 위한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컨 실외기용 터미널블록 고정 브래킷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컨 실외기용 터미널블록 고정 브래킷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컨 실외기용 터미널블록 고정 브래킷이 결합된 상태에서의 터미널블록 배선 작업 예를 도시한 측면상태도.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에어컨 실외기용 터미널블록 고정 브래킷(이하에서는 "터미널블록 고정 브래킷"이라 한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컨 실외기용 터미널블록 고정 브래킷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컨 실외기용 터미널블록 고정 브래킷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컨 실외기용 터미널블록 고정 브래킷이 결합된 상태에서의 터미널블록 배선 작업 예를 도시한 측면상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미널블록 고정 브래킷은, 전면으로 배선용 고정볼트(10a)가 구비되는 에어컨 실외기용 터미널블록(10)을 고정하기 위한 브래킷에 있어서, 상기 에어컨 실외기에 부착되는 받침판(21a,22a)과, 상기 받침판(21a,22a)의 일단부에서 수직하게 절곡된 측판(21b,22b)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측판(21b,22b)이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고정브래킷(21,22)과, 상기 한 쌍의 고정브래킷(21,22) 사이에 상기 터미널블록(10)이 개재된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고정브래킷(21,22)과 상기 터미널블록(10)을 상호 고정하는 체결구(23)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한 쌍의 고정브래킷(21,22)은 서로 대칭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받침판(21a,22a)과 상기 측판(21b,22b)이 "ㄱ"자 형으로 꺽이게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받침판(21a,22a)은 대략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에어컨 실외기의 일측에 커버를 통해 개폐 가능한 내부공간의 적정 설치면에 별도의 체결부재를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이에 상기 받침판(21a,22a)에는 상기 체결부재가 삽입되어 체결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볼트체결홀(211a,221a)이 형성된다.
상기 측판(21b,22b)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받침판(21a,22a)의 일측 가장자리변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꺽이게 형성된다. 이는 상기 한 쌍의 고정브래킷(21,22)이 각각의 상기 측판(21b,22b)끼리 서로 대향되게 설치되도록 하기 위함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터미널블록(10)의 양측에서 상기 한 쌍의 고정브래킷(21,22) 각각의 상기 측판(21b,22b)이 밀착된 상태에서 결합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터미널블록(10)은 양측이 서로 평행한 접촉면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양측 각각에는 상기 측판(21b,22b)과의 결합을 위한 제1 결합공(11) 및 제2 결합공(12)이 형성된다.
상기 제1 결합공(11) 및 상기 제2 결합공(12)은 상기 터미널블록(10)의 후단부에 측면 방향을 향하여 관통된 홀 형상을 이루되, 상기 제1 결합공(11) 및 상기 제2 결합공(12)은 상호 일정한 높이로 상하 이격되게 상기 터미널블록(10)의 후단부 상부와 하부 각각에서 상하로 일직선상의 위치에 형성된다.
즉, 제1 결합공(11) 및 상기 제2 결합공(12)은 상기 터미널블록(10)의 배선용 고정볼트(10a)가 구비되어 있는 전면이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에서 그 전면과 평행을 이루도록 상하로 수직한 방향의 일직선상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측판(21b,22b)은 상기 제1 결합공(11) 및 제2 결합공(12)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1 경사형성홀(212a,222a) 및 제2 경사형성홀(212b,222b)이 형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 경사형성홀(212a,222a)은 상기 제1 결합공(11)에 대응하도록 상기 측판(21b,22b)의 상부 일단에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2 경사형성홀(212b.222b)은 상기 제2 결합공(12)에 대응하도록 상기 측판(21b,22b)의 하부 일단에 관통 형성된다.
이에, 상기 체결구(23)는 상기 제1 경사형성홀(212a,222a)과 상기 제1 결합공(11)에 삽입 결합되고, 상기 제2 경사형성홀(212b.222b)과 상기 제2 결합공(12)에 삽입 결합되도록 한 쌍으로 구성되는데,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한 쌍의 체결구(23)가 체결 작업이 편리한 리벳일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상기 체결구(23)는 굳이 리벳과 같은 종류에 국한되지는 않을 것이다.
따라서, 상기 터미널블록(10)은 양측의 후단부가 상기 한 쌍의 고정브래킷(21,22) 각각의 측판(21b,22b)에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체결구(23)에 의해 상기 한 쌍의 고정브래킷(21,22)과 상기 터미널블록(10)이 상호 고정된다.
이때, 상기 터미널블록(10)은 상기 제1 결합공(11) 및 제2 결합공(12)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의 일측으로 개구부(11a,12a)가 형성되어 상기 체결구(23)가 상기 상기 제1 경사형성홀(212a,222a) 및 상기 제2 경사형성홀(212b.222b)에 삽입 결합된 상태에서 외압에 의해 억지 끼움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미널블록 고정 브래킷은 상기 한 쌍의 고정브래킷(21,22)의 상기 측판(21b,22b)에 상기 설치경사각(α)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2 경사형성홀(212b.222b)이 상기 제1 경사형성홀(212a,222a)을 회전 중심으로 동일 반경상에 복수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경사형성홀(212a,222a) 및 상기 제2 경사형성홀(212b.222b)은 각각 상기 제1 결합공(11) 및 상기 제2 결합공(12)에 대응하도록 상기 터미널블록(10)의 전면이 수직한 상태에서 평행을 이루도록 수직한 방향의 동일선상에 위치된다.
다시 설명하자면, 상기 제1 경사형성홀(212a,222a) 및 상기 제2 경사형성홀(212b.222b)은 상기 고정브래킷(21,22)의 받침판(21a,22a)이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에서 상호 수직선상에 위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제2 경사형성홀(212b.222b)은 상기 제1 경사형성홀(212a,222a)을 회전 중심으로 동일 반경상에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체결구(23)가 수평하게 삽입된 상태로 고정할 수 있도록 일정한 15도, 25도, 35도 등의 일정 각도를 이루는 위치 각각에 원형의 홀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복수개의 제2 경사형성홀(212b.222b)은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복수개의 제2 경사형성홀(212b.222b)이 상기 제1 경사형성홀(212a,222a)을 중심으로 원호의 일부를 이루는 호형의 장홀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체결구(23)에 의해 후단부가 평행하게 결합된 상기 터미널블록(10)은 상기 제2 경사형성홀(212b.222b)에 수평하게 삽입 결합된 하나의 상기 체결구(23)가 상기 제1 경사형성홀(212a,222a)을 회전 중심으로 일정한 설치경사각(α)의 반경만큼 회전됨으로써 배선용 고정볼트(10a)가 구비되어 있는 상기 터미널블록(10)의 전면이 상기 고정브래킷(21,22)의 받침판(21a,22a)과 상대적으로 일정한 경사를 이루도록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다시 설명하자면, 상기 터미널블록(10)과 상기 한 쌍의 고정브래킷(21,22)이 상호 일정한 설치경사각(α)을 이루도록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미널블록 고정 브래킷은 상기 한 쌍의 고정브래킷(21,22)은 상기 받침판(21a,22a)과 수직면을 이루도록 전방으로 돌출된 손잡이부(211b,221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211b,221b)는 작업자가 상기 한 쌍의 고정브래킷(21,22)을 에어컨 실외기의 내부 설치면에 부착된 상태로 상기 볼트체결홀(211a,221a)을 체결하고자 하는 경우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현장에서 작업자의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고안에 따른 터미널블록 고정 브래킷은 실외기의 일측 내부에서 협소한 공간에 설치되는 터미널블록을 편의에 따라 경사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 조립 및 설치할할 수 있어 현장에서 드라이버(S)와 같은 공구를 이용한 조립 및 해체 작업시 에어컨의 설치 및 보수에 따른 작업효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작용효과가 발생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터미널블록 고정 브래킷은 종래와 같이 많은 고정부재를 조립할 필요없이 결합 부품을 최소화하여 간편한 구성으로 터미널블록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어 에어컨 실외기용 터미널블록 설치 작업을 위한 제품의 코스트를 대폭 낮출 수 있어 작업성 및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작용효과 또한 발생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에어컨 실외기용 터미널블록 고정 브래킷은 본 고안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터미널블록 10a 배선용 고정볼트
11 제1 결합공 12 제2 결합공
21,22 고정브래킷 21a,22a 받침판
21b,22b 측판 211a,221a 볼트체결홀
211b,221b 손잡이 212a,222a 제1 경사형성홀
212b,222b 제2 경사형성홀 23 체결구

Claims (4)

  1. 전면으로 배선용 고정볼트가 구비되는 에어컨 실외기용 터미널블록을 고정하기 위한 브래킷에 있어서,
    상기 에어컨 실외기에 부착되는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의 일단부에서 수직하게 절곡된 측판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측판이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고정브래킷과; 상기 한 쌍의 고정브래킷 사이에 상기 터미널블록이 개재된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고정브래킷과 상기 터미널블록을 상호 고정하는 체결구를; 포함하되,
    상기 터미널블록은, 양측의 측면 방향에 제1 결합공 및 제2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측판은, 상기 터미널블록의 전면이 상기 받침판과 소정의 설치경사각을 이루도록 배치된 상태에서의 상기 제1 결합공 및 제2 결합공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1 경사형성홀 및 제2 경사형성홀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구는, 상기 제1 경사형성홀과 상기 제1 결합공 및 상기 제2 경사형성홀과 상기 제2 결합공에 삽입 결합되며 상기 한 쌍의 고정브래킷과 상기 터미널블록을 상호 고정하고,
    상기 측판은, 상기 설치경사각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2 경사형성홀이 상기 제1 경사형성홀을 회전 중심으로 동일 반경상에 복수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실외기용 터미널블록 고정 브래킷.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제2 경사형성홀은 상호 연결되며, 호형의 장홀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실외기용 터미널블록 고정 브래킷.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래킷은, 상기 받침판과 수직면을 이루도록 전방으로 돌출된 손잡이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실외기용 터미널블록 고정 브래킷.
KR2020150001730U 2015-03-19 2015-03-19 에어컨 실외기용 터미널블록의 고정 브래킷 KR2004839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1730U KR200483913Y1 (ko) 2015-03-19 2015-03-19 에어컨 실외기용 터미널블록의 고정 브래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1730U KR200483913Y1 (ko) 2015-03-19 2015-03-19 에어컨 실외기용 터미널블록의 고정 브래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326U KR20160003326U (ko) 2016-09-28
KR200483913Y1 true KR200483913Y1 (ko) 2017-07-07

Family

ID=57048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1730U KR200483913Y1 (ko) 2015-03-19 2015-03-19 에어컨 실외기용 터미널블록의 고정 브래킷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3913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2351Y1 (ko) * 2003-07-28 2003-11-07 대은전자 주식회사 세대 단자함용 단자대 및 허브 고정구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487185B (zh) * 2011-06-28 2015-06-01 Wistron Neweb Corp 角度調整機構及其天線系統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2351Y1 (ko) * 2003-07-28 2003-11-07 대은전자 주식회사 세대 단자함용 단자대 및 허브 고정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326U (ko) 2016-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65844A (en) Mounting plate and cover for two electrical boxes in the same horizontal plane and method for installation
CA2585409C (en) Double mounted dual switch box bracket -- stud divider
US7476807B1 (en) Electrical box assembly including adjustable bracket
JP2006162094A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EP2481993A1 (en)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EP2481994A1 (en)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US9157619B1 (en) Reversible pole or wall mounting bracket
US10920999B2 (en) Outdoor unit for air-conditioning apparatus
JP2011117644A (ja) 空気調和機の内外通信線固定構造
US7210661B1 (en) Motor installation system
CN204438429U (zh) 一种电器盒用支架、电器盒及空调室内机
KR200483913Y1 (ko) 에어컨 실외기용 터미널블록의 고정 브래킷
WO2019198151A1 (ja) 空気調和装置の室外機
KR100771001B1 (ko) 배전반용 부스바 클램프
KR100836836B1 (ko) 천장 설치형 에어컨 고정 장치
US20160033147A1 (en) Heat source side unit for air conditioning apparatus
JP7121900B2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2005249268A (ja) 分離型空気調和機の発電装置
CN110360743B (zh) 用于空调室内机的安装组件
JP2007285617A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CN210772717U (zh) 用于空调室内机的安装组件
TW201410987A (zh) 風扇的安裝結構及風扇裝置
JP3470187B2 (ja) アウトレットボックス取付け具
KR102586018B1 (ko) 케이블 트레이
KR102515158B1 (ko) 벽걸이 거치대용 고정 브라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