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6362A - 안테나 브라켓 - Google Patents

안테나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6362A
KR20090116362A KR1020080042253A KR20080042253A KR20090116362A KR 20090116362 A KR20090116362 A KR 20090116362A KR 1020080042253 A KR1020080042253 A KR 1020080042253A KR 20080042253 A KR20080042253 A KR 20080042253A KR 20090116362 A KR20090116362 A KR 200901163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rotrusion
rotating member
antenna
bas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2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83201B1 (ko
Inventor
유병훈
성원모
신재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엠따블유안테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엠따블유안테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엠따블유안테나
Priority to KR10200800422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3201B1/ko
Publication of KR200901163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63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32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32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01Q3/02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using mechanical movement of antenna or antenna system as a whole
    • H01Q3/08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using mechanical movement of antenna or antenna system as a whole for varying two co-ordinates of the orient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08Means for collapsing antennas or parts thereof
    • H01Q1/084Pivotable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125Means for positioning
    • H01Q1/1264Adjusting different parts or elements of an aerial un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0Resilient mountings

Landscapes

  • Support Of Aerials (AREA)

Abstract

간단한 구조로 안테나의 위치 및 회전 이동이 가능한 안테나 브라켓이 개시된다. 상기 안테나 브라켓은 판형상으로 형성된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에 돌출된 제 1돌출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1돌출부의 외주를 따라 일부 천공된 제 1천공부가 형성된 베이스유닛, 일측에 안테나를 고정하는 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에 돌출된 제 2돌출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 2돌출부의 외주를 따라 천공된 제 2천공부가 형성된 거치유닛 및 상기 제1천공부와 제2천공부를 관통하여 서로 접하도록 상기 베이스유닛 및 상기 거치유닛을 연결하는 연결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유닛은 상기 제2천공부를 따라 이동하고, 상기 거치유닛은 상기 제1천공부를 따라 이동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적은 수의 구성요소로 구성되면서도 안테나를 2축 회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저가로 제작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브라켓, 받침대, 2축 회전, 안테나

Description

안테나 브라켓{ANTENNA BRAKET}
본 발명은 안테나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적으로 크게 2개의 구성요소로 구성되어 상대적으로 간단하게 형성되면서도, 안테나의 위치 및 상대적 각도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고, 또한,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는 안테나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브라켓이라 함은, 구조물에 장착하고자 하는 장비를 설치함에 있어 장비와 구조물 간에 원활한 결합을 위하여 상기 구조물과 상기 장비를 서로 연결하여 고정하는 장치를 통칭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장치를 안테나로 상정하여 상기 브라켓이 안테나를 고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 때, 종래의 안테나 브라켓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안테나 브라켓을 간략히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테나 브라켓은 일반적으로 고정부(1), 매개체부(2) 및 연결부(3)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고정부(1), 매개체부(2) 및 상기 연결부(3)는 차례로 연결되어 상기 안테나와 상기 구조물간의 상대 위치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안테나의 사용 효율을 높이거나 또는 전파 특성에 대응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브라켓은 상기 안테나와 상기 구조물간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1), 매개체부(2) 및 상기 연결부(3)는 차례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매개체부(2)가 상기 고정부(1)를 중심으로 1축 회전(a)하고, 상기 연결부(3)는 상기 매개체부(2)를 중심으로 상기 1축에 직각이 되는 2축을 중심으로 회전(b)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고정부(1)가 구조물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부(1)에서 상기 매개체부(2)와 연결되는 부위는 회전이 가능한 구조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매개체부(2)는 일측에 상기 고정부(1)와 연결되고, 타측에는 상기 연결부(3)와 연결된다.
즉, 상기 매개체부(2)가 상기 고정부(1)를 중심으로 제 1축 회전이 가능하고, 상기 매개체부(2)와 연결된 상기 연결부(3)는 상기 매개체부(2)의 회전을 전달받아 상기 매개체부(2)를 따라 1축 회전하게 되고, 상기 연결부(3)는 상기 매개체부(2)와 별도로 상기 매개체부(2)를 중심으로 상기 2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연결부(3)의 상기 매개체부(2)와 연결되는 일측을 제외한 일부에서 상기 브라켓에 고정되는 상기 안테나가 연결된다.
그러나, 종래의 안테나 브라켓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 번째로, 서로 수직되는 2축을 중심으로 상기 안테나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구성요소로 구성되어 고가로 구성되는 문제점이 있다.
두 번째로, 구성요소를 서로 결합하고, 회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결합되는 구조가 상대적으로 복잡하고, 이에 따라 제작 및 설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세 번째로, 구성요소가 상대적으로 복잡하게 형성됨에 따라 관리 및 유지보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서로 수직되는 2축을 중심으로 상기 안테나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상대적으로 적은 수의 구성요소로 구성되고, 또한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저가로 제작될 수 있는 안테나 브라켓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성요소를 서로 결합하고, 회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결합되는 구조가 상대적으로 간단하고, 이에 따라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한 안테나 브라켓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성요소가 상대적으로 간단하게 형성됨에 따라 관리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안테나 브라켓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브라켓은 판형상으로 형성된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에 돌출된 제 1돌출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1돌출부의 외주를 따라 일부 천공된 제 1천공부가 형성된 베이스유닛, 일측에 안테나를 고정하는 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에 돌출된 제 2돌출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 2돌출부의 외주를 따라 천공된 제 2천공부가 형성된 거치유닛 및 상기 제1천공부와 제2천공부를 관통하여 서로 접하도록 상기 베이스유닛 및 상기 거치유닛을 연결하는 연결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유닛은 상기 제2천공부를 따라 이동하고, 상기 거치유닛은 상기 제1천공부를 따라 이동하 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베이스유닛은 내부에 제 1회전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거치유닛은 내부에 제 2회전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제 2돌출부, 상기 제 2회전부재, 상기 제 1돌출부 및 상기 제 1회전부재를 차례로 관통하여 연결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 1돌출부는 상기 제 1회전부재와 서로 맞물리고, 제 2돌출부는 상기 제 2회전부재와 서로 맞물리되, 서로 맞물리는 부분의 형상이 기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연결유닛은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거치유닛과 상기 제 2회전부재 또는 상기 베이스유닛과 제 1회전부재 중 적어도 두 개에 연결되어 탄성을 제공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연결유닛의 외주면을 감싸는 스프링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연결유닛은 머리 부분과 나사산이 형성된 축 부분을 포함하고, 실질적으로 수나사 형상으로 형성되는 수나사부재 및 상기 수나사 부재에 대응되는 암나사 형상으로 형성되는 너트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안테나 브라켓은 조절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베이스유닛 및 상기 거치유닛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유닛과 상기 거치유닛의 거리를 조절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 1천공부 및 상기 제 2천공부의 외곽 테두리 부분은 천공된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되, 각각 대응되어 접하는 상기 제 1 돌출부 또는 제 2돌출부 중 하나의 라운드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대적으로 적은 수의 구성요소로 구성되면서도 안테나를 2축 회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저가로 제작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구성요소를 서로 결합하고, 회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결합되는 구조가 상대적으로 간단하고, 이에 따라,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구성요소가 상대적으로 간단하게 형성됨에 따라 관리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나사산의 형상에 따라 일정 이상 힘을 가하는 경우에 일정 위치만큼 이동이 되도록 제작하여 견고하게 위치 및 각도를 유지할 수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이하 설명에서는 구성 및 기능이 거의 동일하여 동일하게 취급될 수 있는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특정될 수 있다.
1실시예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브라켓을 도 2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 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브라켓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방향에서 바라본 것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II-II 방향으로 자른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I-I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테나 브라켓은 베이스유닛(100), 거치유닛(200) 및 연결유닛(3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유닛(100)은 플레이트(110) 및 제 1돌출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플레이트(110)는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돌출부(120)는 상기 플레이트(110)의 일측에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제 1돌출부(120)는 상부가 라운드 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돌출부(120)의 외주를 따라 일부 천공된 제 1천공부(125)가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안테나 브라켓은 일반적으로 전자제품, 자동차, 벽면 또는 바닥면과 같은 일반적인 구조물에 결합되도록 형성되고, 이를 위하여 상기 플레이트(110)의 일부에 천공된 구멍을 형성하고, 이곳에 일반적으로 상용되는 나사(10)를 관통하여 상기 구조물에 결합 고정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거치유닛(200)은 고정부(210) 및 제 2돌출부(2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210)는 일측에 안테나를 고정하는 고정부(210)가 형성되며, 상기 안테나의 크기, 형상 및 특성에 따라 자유롭게 변형될 수 있다.
상기 제 2돌출부(220)는 상기 고정부(210)에서 돌출 형성되되, 상기 안테나 가 고정되는 상기 고정부(210)의 회동이 상기 안테나의 형상에 의해 방해 받지 않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부(210)의 하부면 방향에 형성되는 것으로 제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 2돌출부(220)의 돌출된 외주에는 상기 제 1돌출부(120) 및 상기 제 1천공부(125)와 유사한 관계로 천공된 제 2천공부(225)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 1천공부(125) 및 상기 제 2천공부(225)는 서로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실질적으로 직선형이되 입체적으로 라운드 형으로 뚫려진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연결유닛(300)은 상기 제 1천공부(125)와 상기 제 2천공부(225)를 관통하여 서로 접하도록 상기 베이스유닛(100) 및 상기 거치유닛(200)을 연결하도록 구비되며, 핀 형상으로 형성되나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거치유닛(200)의 회동에 지장을 주지 않는 형태이면 자유롭게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 때, 상기 안테나 브라켓의 구동을 살펴보면, 상기 베이스유닛(100)은 상기 제 2천공부(225)를 따라 이동하고, 상기 거치유닛(200)은 상기 제 1천공부(125)를 따라 이동하는 것으로 제시되나, 실제로, 상기 베이스유닛(100)은 일정하게 고정되어 있는 구조물에 고정된 상태로 구비되므로, 결과적으로 상기 거치유닛(200)이 이동되게 된다.
즉, 상기 거치유닛(200)은 일차적으로 상기 제 1천공부(125)를 따라 이동되고, 또한, 상기 거치유닛(200)은 상기 제 2천공부(225)를 기준으로 자체적으로 이 동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천공부(125) 및 상기 제 2천공부(225)를 라운드 형상으로 제시하였으므로, 상기 거치유닛(200)은 상기 제 1천공부(125)를 따라, 상기 베이스유닛(100)의 일부를 중심으로 회전되고, 또한, 상기 거치유닛(200)은상기 제 2천공부(225)에서 상기 베이스유닛(100)과 접하면서 상기 제 2천공부(225)를 따라 자체적으로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거치유닛(200)은 상기 베이스유닛(100)에 대해 상대적인 위치 및 각도가 단계적으로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제 2실시예를 제시한다.
2실시예
본 발명의 제 2실시예를 도 6 내지 도 9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브라켓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B방향에서 바라본 것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IV-IV 방향으로 자른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6의 III-III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참고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 1실시예와 유사하거나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필요에 따라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테나 브라켓은 베이스유닛(100), 거치유닛(200) 및 연결유닛(350)을 포함한다.
이 때, 상기 베이스유닛(100)은 내부에 제 1회전부재(130)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유닛(200)은 내부에 제 2회전부재(230)를 포함한다. 상기 제 1돌출부(120)는 내면에서 상기 제 1회전부재(130)와 맞물리되, 서로 맞물리는 부분의 형상은 기어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때, 상기 기어 형상은 상기 제 1천공부(125)방향에 대략 수직인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2돌출부(220)와 상기 제 2회전부재(230)는 상기 제 1돌출부(120) 및 상기 제 2회전부재(230)와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마찬가지로, 상기 제 2돌출부(220) 및 상기 제 2회전부재(230)의 기어형상은 상기 제 2천공부(225)에 대략 수직인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연결유닛(350)은 상기 제 2돌출부(220), 상기 제 2회전부재(230), 상기 제 1돌출부(120) 및 상기 제 1회전부재(130)를 차례로 관통하여, 각각을 연결한다.
여기서, 상기 제 1회전부재(130) 및 상기 제 2회전부재(230)는 상기 연결유닛(350)의 관통되는 부위에 상기 연결유닛(350)의 외주에 대응되는 형상의 천공홀을 형성하여 견고한 연결이 용이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연결유닛(350)은 전체적으로 수나사 형상으로 머리부분(361)과 나사산이 형성된 축 부분(362)으로 형성되는 수나사부재(360)와 상기 수나사부재(360)에 대응되는 암나사 형상으로 형성되는 너트부재(370)를 포함한다. 즉, 상기 연결유닛(350)의 수나사부재(360)는 상기 제 2돌출부(220), 상기 제 2회전부재(230), 상기 제 1돌출부(120) 및 상기 제 1회전부재(130)를 차례로 관통하고, 관통된 후 잔여된 머리 부분(361)에 반대되는 첨단 인접부위에서 상기 너트부재(370)와 연결되어 연결을 공고히 한다.
이 때, 상기 연결유닛(350)은 탄성부재(380)를 더 포함한다. 상기 탄성부재(380)는 상기 수나사부재(360) 및 상기 거치유닛(200)과 상기 제 2회전부재(230)에 연결되어 연결된 부위에 탄성을 제공한다. 즉, 상기 거치유닛(200)의 일부에 상기 탄성부재(380)가 접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연결유닛(350)은 상기 거치유닛(200)에 이동되지 않도록 고정되며, 상기 탄성부재(380)는 상기 거치유닛(200)에 일정 이상의, 즉, 상기 탄성 이상의 힘이 제공되면 상기 제 2회전부재(230)와 상기 거치유닛(200) 간에 간격이 벌어지도록 하며, 그 외의 경우에는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탄성부재(380)는 상기 연결유닛(350)의 외주면을 감싸는 스프링 형상으로 구비되나,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코일스프링이나 판 스프링 또는 일 방향으로 탄성을 제공하도록 탄성을 보유한 부재이면 자유롭게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380)의 작동을 살펴보면, 상기 연결유닛(350)에 연결된 상기 탄성부재(380)는, 상기 거치유닛(200)이 일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외부에서 기 설정된 일정 이상의 힘을 받게 되면, 상기 거치유닛(200) 또는 상기 베이스유닛(100)에 형성된 상기 기어형상과 상기 연결유닛(350)의 결합력에 의해 상기 거치유닛(200)의 이동이 저지된다. 이 때, 상기 탄성부재(380)가 탄성을 작용하여, 상기 제 1돌출부(120)와 상기 제 1회전부재(130), 또는 상기 제 2돌출부(220)와 상기 제 2회전부재(230)간의 간격이 상기 탄성보다 큰 힘에 의해 벌 어지게 되고, 상기 기어 형상의 나사산 부분만큼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거치유닛(200)은 외부에서 기 설정된 일정 이상의 힘을 가하지 않는 경우에는 견고하게 위치 및 각도를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상기 기어 형상의 나사산 형상에 따라 회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돌출부(120)의 내면과 상기 제 1회전부재(130) 및 상기 제 2돌출부(220)의 내면과 상기 제 2회전부재(230)를 서로 기어 형상으로 대응되어 서로 맞물리는 것으로 제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제 1돌출부(120)의 내면과 상기 제 1회전부재(130) 및 상기 제 2돌출부(220)의 내면과 상기 제 2회전부재(230)는 서로 면 형태로 접하고 일정한 마찰력을 지니도록 구비되되, 상기 연결유닛(350)의 결합력에 의해 상기 마찰력 이상의 힘을 가하는 경우에만 상기 제 1회전부재(130) 또는 상기 제 2회전부재(230)가 회전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봐와 같이 상기 제 1돌출부(120)의 내면과 상기 제 1회전부재(130) 및 상기 제 2돌출부(220)의 내면과 상기 제 2회전부재(230)는 서로 면 형태로 접하고 일정한 마찰력을 지니도록 구비되는 경우, 회전 각도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탄성부재(380)를 상기 거치유닛(200)과 상기 제 2회전부재(230)에 연결된 것으로 제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상기 베이스유닛(100)과 상기 제 2회전부재(230)에 연결되어 탄성을 제공하도록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에는 상기 너트부재(370)가 상기 베이스유닛(100)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제 2회전부재(230)의 기어 형상이 형성되지 않은 상면은 상기 수나사부재(360)의 머리부분을 수용하도록 일부가 함몰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 1회전부재(130) 또한 상기 너트부재(370)를 수용하는 형상으로 일 측면이 함몰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거치유닛(200)은 상기 베이스유닛(100)에 대하여 2축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거치유닛(200)은 제 1실시예의 작동과 유사하게 이동된다.
이 때, 상기 제 1돌출부(120) 및 상기 제 2돌출부(220)는 서로 접하는 형태로 배치되며, 상기 거치유닛(200)의 원활한 회전을 위하여, 상기 제 1천공부(125)의 외곽 테두리 부분(126)은 천공된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되, 상기 제 1천공부(125)에 대응되는 상기 제 2돌출부(220)의 라운드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2천공부(225)의 외곽 테두리 부분(미도시)도 상기 제 1천공부(125)의 외곽 테두리 부분(126)과 유사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안테나 브라켓은 조절부재(129)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부재(129)는 상기 베이스유닛(100) 및 상기 거치유닛(20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유닛(100)과 상기 거치유닛(200)의 거리를 조절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조절부재(129)는 상기 제 1돌출부(120) 또는 상기 제 2돌출부(220) 중 적어도 하나에서 돌출되어 대응되는 상기 제 2회전부재(230) 또는 상기 제 1회전부재(130) 중 하나에 접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거치유닛(200)의 이동을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안테나 브라켓을 간략히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브라켓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방향에서 바라본 것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II-II 방향으로 자른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I-I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브라켓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B방향에서 바라본 것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IV-IV 방향으로 자른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6의 III-III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베이스유닛 110:플레이트
120:제 1돌출부 125:제 1천공부
129:조절부재 130:제 1회전부재
200:거치유닛 210:고정부
220:제 2돌출부 225:제 2천공부
230:제 2회전부재 300:연결유닛
360:수나사부재 370:너트부재
380:탄성부재

Claims (8)

  1. 판형상으로 형성된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에 돌출된 제 1돌출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1돌출부의 외주를 따라 일부 천공된 제 1천공부가 형성된 베이스유닛;
    일측에 안테나를 고정하는 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에 돌출된 제 2돌출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 2돌출부의 외주를 따라 천공된 제 2천공부가 형성된 거치유닛; 및
    상기 제1천공부와 제2천공부를 관통하여 서로 접하도록 상기 베이스유닛 및 상기 거치유닛을 연결하는 연결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유닛은 상기 제2천공부를 따라 이동하고, 상기 거치유닛은 상기 제1천공부를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브라켓.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유닛은 내부에 제 1회전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거치유닛은 내부에 제 2회전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제 2돌출부, 상기 제 2회전부재, 상기 제 1돌출부 및 상기 제 1회전부재를 차례로 관통하여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브라켓.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돌출부는 상기 제 1회전부재와 서로 맞물리고, 제 2돌출부는 상기 제 2회전부재와 서로 맞물리되, 서로 맞물리는 부분의 형상이 기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브라켓.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닛은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거치유닛과 상기 제 2회전부재 또는 상기 베이스유닛과 제 1회전부재 중 적어도 두 개에 연결되어 탄성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브라켓.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연결유닛의 외주면을 감싸는 스프링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브라켓.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닛은
    머리 부분과 나사산이 형성된 축 부분을 포함하여 실질적으로 수나사 형상으로 형성되는 수나사부재; 및
    상기 수나사 부재에 대응되는 암나사 형상으로 형성되는 너트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브라켓.
  7. 제 1항에 있어서,
    조절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베이스유닛 및 상기 거치유닛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유닛과 상기 거치유닛의 거리를 조절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브라켓.
  8. 제 1항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상기 제 1천공부 및 상기 제 2천공부의 외곽 테두리 부분은 천공된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되, 각각 대응되어 접하는 상기 제 1 돌출부 또는 제 2돌출부 중 하나의 라운드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브라켓.
KR1020080042253A 2008-05-07 2008-05-07 안테나 브라켓 KR1009832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2253A KR100983201B1 (ko) 2008-05-07 2008-05-07 안테나 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2253A KR100983201B1 (ko) 2008-05-07 2008-05-07 안테나 브라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6362A true KR20090116362A (ko) 2009-11-11
KR100983201B1 KR100983201B1 (ko) 2010-09-20

Family

ID=41601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2253A KR100983201B1 (ko) 2008-05-07 2008-05-07 안테나 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320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7789B1 (ko) * 2009-12-18 2011-04-07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인공위성 탑재 안테나 장착용 트롤리
KR200469765Y1 (ko) * 2012-03-19 2013-11-07 보성홀딩스 주식회사 다축 회전이 가능한 안테나 설치용 브래킷
EP4379950A1 (en) * 2022-11-30 2024-06-05 Banten Srl Support and position adjustment device for an antenna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5984B1 (ko) 1997-10-22 2001-04-16 김수진 로드 안테나 절곡장치
KR200330441Y1 (ko) * 2003-07-25 2003-10-17 (주)에어링크테크놀로지 이동통신 중계기 및 패치 안테나의 틸트 유니트
KR100688117B1 (ko) 2007-01-03 2007-03-02 (주)뮤트로닉스 안테나용 브라켓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7789B1 (ko) * 2009-12-18 2011-04-07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인공위성 탑재 안테나 장착용 트롤리
KR200469765Y1 (ko) * 2012-03-19 2013-11-07 보성홀딩스 주식회사 다축 회전이 가능한 안테나 설치용 브래킷
EP4379950A1 (en) * 2022-11-30 2024-06-05 Banten Srl Support and position adjustment device for an antenn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3201B1 (ko) 2010-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80228B2 (en) Hinge supporting apparatus for door of refrigerator
US10260262B2 (en) Integrated hinge structure
US9265166B2 (en) Parallelism control device applied to dual-shaft system
KR100983201B1 (ko) 안테나 브라켓
EP3282131B1 (en) Ceiling fan blade structure and ceiling fan comprising the same
CN101672323A (zh) 铰链结构
US8089011B2 (en) Control mechanism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20130127318A1 (en) Clamshell device
US10982475B2 (en) Hinge
US20070151076A1 (en) Two-shaft hinge mechanism enabling harness wiring
CN102939467A (zh) 铰链机构及显示器开闭机构
JP4811352B2 (ja) 回転ツマミのトルク調整構造及び弾性部材
JP5438199B2 (ja) 固定装置及びそれを用いるハウジング
US20070047201A1 (en) Fan with an arranging device for cable thereof
US20220268400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bracket device thereof
JP2009253187A (ja) 冷却ファンの取付構造
JP6640022B2 (ja) 回転コネクタ装置
WO2012008150A1 (en) Fixing structure and drive apparatus
JP2013108526A (ja) ヒンジ
KR100667851B1 (ko) 부품 고정용 홀더
CN212054133U (zh) 一种门锁安装套筒
CN209958931U (zh) 一种智能锁及其锥齿轮传动机构
JP5252594B2 (ja) 直付照明器具用の回転防止部材、及び直付照明器具
JP2008305693A (ja) 回転つまみのストッパー構造
JP4374261B2 (ja) 回転操作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