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9937B1 - 암반용 앵커 - Google Patents

암반용 앵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9937B1
KR100489937B1 KR10-2002-0012402A KR20020012402A KR100489937B1 KR 100489937 B1 KR100489937 B1 KR 100489937B1 KR 20020012402 A KR20020012402 A KR 20020012402A KR 100489937 B1 KR100489937 B1 KR 1004899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rock
anchor
adjustment bar
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2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3031A (ko
Inventor
김일신
김유신
Original Assignee
김유신
김일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유신, 김일신 filed Critical 김유신
Priority to KR10-2002-00124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9937B1/ko
Publication of KR200300730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30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99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99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02D5/805Ground anchors with deformable anchoring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암반의 구멍에 삽입되어 내부에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는 암반용 앵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앵커는, 하단부에는 키(K)가 결합될 수 있는 키홈(14)이 성형되고, 상기 키홈의 직상부에는 나사산부(12)가 형성된 조절바아(10)와; 상기 조절바아가 관통한 상태로 나사산부(12)와 나사결합되는 조절공(26a)이 구비된 상면(26)과, 상기 상면의 양측면에서 하방으로 연장 성형되고 각각 길이방향의 슬롯(22a,24a)를 구비하며 양측면에는 상향 톱니(22b,24b)가 각각 성형된 한쌍의 날개편(22,24); 그리고 상기 상면 보다 폭이 크고 중심에 구멍(32)에 형성된 몸체부(31)와, 상기 몸체부의 외측에 형성되어 상기 날개편의 슬롯에 삽입되는 넥부분(34a,34b)과, 상기 넥부분의 외측에 형성되고 수평상태에서 넥부분이 슬롯에서 이탈하지 외측으로 연장된 플랜지부(36a,36b)를 구비하는 상하이동편(30)을 포함한다. 조절바아(10)의 하단부가 상하이동편(30)의 하측에서 키(K)와 결합되고, 상하이동편(30)이 날개편 사이에서 조절바아에 의하여 상하이동하면서 날개편을 양측으로 확대된다.

Description

암반용 앵커{Anchor for Engineering works}
본 발명은 토목공사용 앵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암반중에 박혀 있는 상태에서, 임의의 외력에 의하여 외부로 빠지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에 의하여, 지지력이 우수한 토목공사용 앵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토목공사 또는 녹화공사에 있어서는 앵커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앵커는 지중에 매설되어, 지상에 설치되는 구조물 등을 지중에서 지지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현재 지상의 일정한 구조물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통상 지상의 구조물과 연결되는 앵커볼트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앵커볼트 등은, 실질적으로 지중에 단순히 박혀있는 상태로 지지되고 있는 것이기 때문에, 일정 이상의 외력이 작용하게 되면, 쉽게 빠질 우려가 있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추구하고 있는 바와 같은 암반에 박힌 상태로 지지하는 앵커의 경우에는, 종래의 것은 대부분 암반에서의 이탈이 수월하게 되어 있거나, 임의의 외력에 의하여 쉽게 변형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암반의 표면에 설치되는 구조물(예를 들면 녹화를 위한 구조)을 충분한 강도로 지지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암반에 성형되는 구멍 속에서 보다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어서, 암반의 표면에 설치되는 구조물을 더욱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암반용 앵커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암반용 앵커는, 암반에서 일정한 깊이로 형성된 구멍에 장착되기 위한 앵커로써: 하단부에는 키가 결합될 수 있는 키홈이 성형되고, 상기 키홈의 직상부에는 나사산부가 형성된 조절바아와; 상기 조절바아가 관통한 상태로 나사산부와 나사결합되는 조절공이 구비된 상면과, 상기 상면의 양측면에서 하방으로 연장 성형되고 각각 길이방향의 슬롯를 구비하며 양측면에는 상향 톱니가 각각 성형된 한쌍의 날개편; 그리고 상기 상면 보다 폭이 크고 중심에 구멍에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외측에 형성되어 상기 날개편의 슬롯에 삽입되는 넥부분과, 상기 넥부분의 외측에 형성되고 수평상태에서 넥부분이 슬롯에서 이탈하지 외측으로 연장된 플랜지부를 구비하는 상하이동편을 포함하고; 상기 조절바아의 하단부가 상하이동편의 하측에서 키와 결합되고, 상하이동편이 날개편 사이에서 조절바아에 의하여 상하 이동하면서 날개편을 양측으로 확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조절바아는, 암반의 구멍의 상부로 돌출한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조절바아의 상부에는 너트와 결합되는 나사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앵커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앵커는, 조절바아(10)와, 날개부재(20), 그리고 상하이동편(3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있다.
조절바아(10)는, 날개부재(20)와 연결되며, 조절바아(10)의 회전에 의하여 날개부재(10)의 날개편(22,24)이 양측으로 펼쳐지거나 접혀지게 된다. 상기 조절바아(10)의 하부에는 나사산부(1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나사산부(12)의 하부에는 키(K)가 삽입되기 위한 키홈(14)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조절바아(10)의 상부에는 너트(N)가 결합될 수 있는 나사산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너트(N)의 기능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날개부재(20)는, 양측에 성형된 날개편(22,24)과, 상기 날개편(22,24)을 상단부에서 연결하는 상면(26)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날개편(22,24)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성형된 슬롯(22a,24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날개편(22,24)의 양측단부에는 톱니(22b,24b)가 각각 성형되어 있는데, 상기 톱니(22b,24b)는 상방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톱니(22b,24b)가 다른 부재에 걸리게 되면, 적어도 상방을 향해서는 임의로 이동하지 못하는 상태가 될 것이다. 그리고 상기 날개부재(20)는 금속재질로 형성되고, 일정한 두께를 가지고 있어서, 소정의 탄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날개부재(20)의 날개편(22,24)이 외측으로 일정한 범위 내에서 벌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면(26)의 중심부분에는, 상기 조절바아(10)가 통과할 수 있는 조절공(26a)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조절공(26a)의 내주연에는 나사가공되어 있어서, 조절바아(10)의 하부에 성형된 나사산부(12)와 나사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는 상기 조절공(26a)을 단순한 구멍으로 형성하고, 상기 조절공(26a)과 연통할 수 있도록 별도의 너트를 상면(26)에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날개부재(20)의 중간부분으로는 상하이동편(30)이 결합된다. 상기 상하이동편(30)은, 구멍(32)이 중심부분에 형성된 몸체부(31)와, 상기 몸체부(31)에서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슬롯(22a,24a)에 수평상태로 수납될 수 있는 한쌍의 넥부분(34a,34b)과, 상기 넥부분의 외측에 형성되어, 넥부분(34a,34b)이 슬롯(22a,24a)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플랜지부(36a,36b)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상하이동편(30)의 폭(a)은, 상면(26)의 폭(b) 보다 약간 크게 성형된다.
다음에는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앵커의 기능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조절바아(10)는, 날개부재(20) 상면(26)의 조절공(26a)을 관통하여 들어간 상태에서, 그 하단부는 상하이동편(30)의 구멍(32)에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키(K)를 키홈(14)에 끼우는 것에 의하여, 상기 조절바아(10)의 하단부는, 상하이동편(30)의 저면에 고정된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조절바아(10)의 하부의 나사산부(12)는, 날개부재(20)의 상면(26)의 조절공(26a)에 나사결합된 상태이다.
그리고 상기 상하이동부재(30)의 넥부분(34a,34b)은, 날개편(22,24)의 슬롯(22a,24a)에 각각 삽입된 상태이기 때문에, 상하이동부재(30)는 슬롯(22a,24a)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이다.
이와 같이 결합된 상태에서는, 실질적으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암반(S)에 일정한 크기의 구멍(Sa)을 형성한 다음, 상기 날개부재(20)를 암반의 구멍속에 넣게 된다. 암반의 구멍(Sa)은 실질적으로 상기 날개부재(20)가 삽입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이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날개부재(20)의 날개편(22,24)이 확대되면, 구멍(Sa)에 걸려서 빠져나올 수 없게 되는 크기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조절바아(10)를 회전조작하게 되면, 조절공(26a)과 나사산부(12)가 나사결합되어 있고, 상기 날개부재(20)는 구멍(Sa) 속에서 회전할 수 없게 되어 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상기 조절바아(1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조절바아(10)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키(K)에 의하여 하단부가 걸려있는 상하이동편(30)이 상하로 이동하게 될 것이다.
여기서, 상기 상하이동편(30)의 폭(a)은, 날개부재(20)의 상면(26)의 폭(b)에 비하여 크게 형성되어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따라서 상기 상하이동편(30)이 날개부재(20)의 한쌍의 날개편(22,24)의 내부에서 상부로 이동하게 되면, 실질적으로 상기 날개편(22,24)은 상면(26)을 중심으로 외측으로 벌어질 것이다.
상기 날개편(22,24)이, 구멍(Sa)의 내부에서 외측으로 벌어지게 되면, 구멍의 내주면에 완전히 밀착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날개편(22,24)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톱니(22b,24b)가, 구멍(Sa)의 내부에서 암반면과 완전하게 밀착된다. 상기 톱니(22b,24b)는 상방을 향하는 형상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구멍(Sa) 내부의 암반면에 밀착되면, 실질적으로 날개부재(20)가 상방으로 올라오지 못하는 상태가 되어, 그 위치에서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조절바아(10)는 암반(S)의 외측 표면으로 돌출한 상태이다. 그리고 암반(S)의 표면에 있는 구조물(ST)은, 상기 조절바아(10)의 단부에 체결됨으로써, 암반(S)의 표면에 설치되는 구조물이 암반(S)의 표면에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조물(ST)을 조절바아(10)와 체결하는 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본다. 예를 들어 상기 구조물(ST)을 금속재 메쉬망이라고 가정하면, 상기 조절바아(10)를 금속재 메쉬망을 관통한 상태로 한 다음, 너트(N)를 조절바아(10)의 상부에 있는 나사산부(16)에 나사결합하게 된다. 이렇게 너트(N)가 조절바아(10)와 결합되면, 금속재 메쉬망 구조물(ST)은, 상기 너트(N)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너트(N)에 의하여 외측으로 이탈할 수 없이 지지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앵커를 이용하여, 암반(S)의 표면에 구조물(ST)을 보다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조절바아(10)와 날개부재(20)를 이용하여, 암반(S)에 성형된 구멍(Sa)의 내부에서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어서, 상기 조절바아(10)의 상단부를 이용하여, 암반(S)의 표면에 설치되는 구조물(ST)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은 첨부한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암반에 성형된 구멍에 본 발명의 앵커를 넣고 조절바아를 동작함으로써, 암반 구멍(Sa)의 내부에서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보다 간단한 장치를 이용하여, 암반 표면의 구조물을 보다 견고하면서도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되는 편리함이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앵커의 분해 상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앵커의 사용상태 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조절바아 12 ..... 나사산부
14 ..... 키홈 16 ..... 나사산부
20 ..... 날개부재 22, 24 ..... 날개편
22a, 24a ..... 슬롯 22b, 24b ..... 톱니
26 ..... 상면 26a ..... 조절공
30 ..... 상하이동편 32 ..... 구멍
34a, 34b ..... 넥부분 36a, 36b ..... 플랜지부

Claims (2)

  1. 암반(S)에서 일정한 깊이로 형성된 구멍(Sa)에 장착되기 위한 앵커로써:
    하단부에는 키(K)가 결합될 수 있는 키홈(14)이 성형되고, 상기 키홈의 직상부에는 나사산부(12)가 형성된 조절바아(10)와;
    상기 조절바아가 관통한 상태로 나사산부(12)와 나사결합되는 조절공(26a)이 구비된 상면(26)과, 상기 상면의 양측면에서 하방으로 연장 성형되고 각각 길이방향의 슬롯(22a,24a)을 구비하며 양측면에는 상향 톱니(22b,24b)가 각각 성형된 한쌍의 날개편(22,24)을 구비하는 날개부재(20); 그리고
    상기 상면(26) 보다 폭이 크고 중심에 구멍(32)에 형성된 몸체부(31)와, 상기 몸체부의 외측에 형성되어 상기 날개편의 슬롯에 삽입되는 넥부분(34a,34b)과, 상기 넥부분의 외측에 형성되고 수평상태에서 넥부분이 슬롯에서 이탈하지 외측으로 연장된 플랜지부(36a,36b)를 구비하는 상하이동편(30)을 포함하고;
    상기 조절바아(10)의 하단부가 상하이동편(30)의 하측에서 키(K)와 결합되고, 상하이동편(30)이 날개편 사이에서 조절바아에 의하여 상하이동하면서 날개편을 양측으로 확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반용 앵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바아는, 암반의 구멍(Sa)의 상부로 돌출한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조절바아의 상부에는 너트(N)와 결합되는 나사산부(16)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반용 앵커.
KR10-2002-0012402A 2002-03-08 2002-03-08 암반용 앵커 KR1004899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2402A KR100489937B1 (ko) 2002-03-08 2002-03-08 암반용 앵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2402A KR100489937B1 (ko) 2002-03-08 2002-03-08 암반용 앵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3031A KR20030073031A (ko) 2003-09-19
KR100489937B1 true KR100489937B1 (ko) 2005-05-17

Family

ID=32223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2402A KR100489937B1 (ko) 2002-03-08 2002-03-08 암반용 앵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99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9769B1 (ko) * 2005-03-10 2007-03-08 김유신 암반용 앵커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96627A (en) * 1974-10-18 1975-07-29 Fosroc Ag Anchoring
JPS55136898U (ko) * 1979-03-20 1980-09-29
KR830001659A (ko) * 1980-01-30 1983-05-18 린-알 첸 자동 요동 장식구 장치
JPS61257600A (ja) * 1985-05-10 1986-11-15 東急建設株式会社 ロツクボルト等の施工方法と装置
JPH0571297A (ja) * 1991-01-22 1993-03-23 Hokuyou Kensetsu Kk アンカー材
EP0730099A1 (en) * 1995-03-03 1996-09-04 Louis N. Giannuzzi Wall dowell
JPH10280615A (ja) * 1997-04-04 1998-10-20 Otsuka Oomi Togyo Kk アンカー補助部材
KR100383453B1 (ko) * 2000-07-19 2003-05-14 주식회사 삼보기술단 락 볼트 시공용 고정구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96627A (en) * 1974-10-18 1975-07-29 Fosroc Ag Anchoring
JPS55136898U (ko) * 1979-03-20 1980-09-29
KR830001659A (ko) * 1980-01-30 1983-05-18 린-알 첸 자동 요동 장식구 장치
JPS61257600A (ja) * 1985-05-10 1986-11-15 東急建設株式会社 ロツクボルト等の施工方法と装置
JPH0571297A (ja) * 1991-01-22 1993-03-23 Hokuyou Kensetsu Kk アンカー材
EP0730099A1 (en) * 1995-03-03 1996-09-04 Louis N. Giannuzzi Wall dowell
JPH10280615A (ja) * 1997-04-04 1998-10-20 Otsuka Oomi Togyo Kk アンカー補助部材
KR100383453B1 (ko) * 2000-07-19 2003-05-14 주식회사 삼보기술단 락 볼트 시공용 고정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3031A (ko) 2003-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46622A (en) Adjustable securing means for joining two components together
KR102011241B1 (ko) 경사지에 설치 가능한 조립식 울타리
KR100689769B1 (ko) 암반용 앵커
KR20170003523U (ko) 확장 가능한 체결부가 구비된 앵커볼트 유닛
KR100489937B1 (ko) 암반용 앵커
KR101054443B1 (ko) 추락방지용 안전난간대
KR101055953B1 (ko) 도어용 하부 힌지 조립체
KR20030038893A (ko) 토목공사용 앵커
JP6814543B2 (ja) 屋根置き設備の取付金具
KR200269709Y1 (ko) 낙석방지책용 와이어 고정크립
KR100556510B1 (ko) 건축물 내실 천정 구조
KR200311721Y1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트러스 구조물용 연결부재
WO2011032283A1 (en) Seismic tool assembly for use in anchor insertion
KR200284085Y1 (ko) 석공사 건식시공용 앵글
KR200200344Y1 (ko) 앵커 플레이트가 부설된 샷터문 괘정 고리장치
KR200183386Y1 (ko) 방화문 문틀용 부재의 고정장치
CA2740088A1 (en) Seismic tool assembly for use in anchor insertion
KR200262330Y1 (ko) 천막시트 지지부재
JPS5825110Y2 (ja) 建具の建付調整装置
JP2003129733A (ja) 車輪の高さ調整が可能な戸車
US20110110736A1 (en) Seismic tool assembly for use in anchor insertion
JPH0128182Y2 (ko)
JP2766975B2 (ja) 手摺支柱立設装置
JP6756504B2 (ja) 手摺用ブラケット及び手摺装置
KR200328829Y1 (ko) 도어용 경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