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7664B1 - 이동통신 안테나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안테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7664B1
KR101277664B1 KR1020110096670A KR20110096670A KR101277664B1 KR 101277664 B1 KR101277664 B1 KR 101277664B1 KR 1020110096670 A KR1020110096670 A KR 1020110096670A KR 20110096670 A KR20110096670 A KR 20110096670A KR 101277664 B1 KR101277664 B1 KR 1012776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support
bracket
mobile communication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6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2941A (ko
Inventor
한승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신정보통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신정보통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신정보통신
Priority to KR10201100966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7664B1/ko
Publication of KR201300329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29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76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76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1207Supports; Mounting means for fastening a rigid aerial el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1235Collapsible supports; Means for erecting a rigid antenn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1242Rigid mas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n a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통신 기기의 전파를 송수신하는 이동통신 안테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용 안테나는 이동통신기기와 전파를 송수신하는 이동통신 안테나로서, 상기 이동통신기기와 전파를 송수신하는 송수신유닛, 상기 송수신유닛이 고정되는 고정막대, 상기 송수신유닛의 상단이 상기 고정막대에서 임의의 설정된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상기 송수신유닛와 상기 고정막대를 연결하는 각도조절브래킷, 상기 고정막대가 고정되고 바닥에 고정되는 받침대가 하단에 구비되는 지지대 및, 상기 고정막대의 상단이 상기 지지대에서 임의의 설정된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상기 고정막대를 상기 지지대에 고정하는 고정브래킷을 포함한다. 따라서, 전파의 사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지지력을 견고히 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 안테나{a antenna for mobile communication}
본 발명은 무선통신 기기의 전파를 송수신하는 이동통신 안테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안테나는 이동통신기기와 전파를 송수신하는 장치로서, 전파를 넓은 범위에서 송수신할 수 있도록 건물의 옥상과 같은 높은 곳에 설치된다.
이러한 이동통신 안테나에서 송수신하는 전파는 방향성을 가지기 때문에 높은 곳에서 바닥을 향해 임의의 각도로 기울어져 바닥을 향해 기울어지는 형태로 설치된다.
한편, 이동통신 안테나는 바닥을 향해 기울어지도록 설치하기 위해서 이동통신 안테나가 설치되는 지지대를 임의의 설정된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절곡하고, 절곡된 지지대에 이동통신 안테나를 설치하였지만, 이동통신 안테나의 기울어진 각도를 수정하기 위해서는 지지대를 재설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09-0012684호의 "안테나 고정장치"가 개시된 바가 있다.
종래의 안테나 고정장치는 안테나와 구조물 사이에 위치하여 안테나의 방향각을 조절하고 안테나를 구조물에 고정지지하는 상부고정장치를 포함하는 안테나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고정장치는 안테나에 연결되는 제1연결부재와, 인단은 구조물에 연결되는 타단은 제1연결부재에 피봇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연결부재와, 상기 제1연결부재와 상기 제2연결부재를 상호 회동가능하게 2차적으로 결속하는 결합부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제1연결부재와 제2연결부재 간에 견고한 결속력이 확보되어 안테나의 기울기가 외란에 의해 변동되지 아니하도록 구성되었다.
이렇게 구성된 종래의 안테나 고정장치는 제1연결부재와 제2연결부재가 상호 회동하여 안테나와 구조물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형태로 안테나가 기울어지는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안테나가 기울어지는 각도를 용이하게 수정할 수 있었다.
하지만, 종래의 안테나 고정장치는 안테나를 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기울일 수 없기 때문에 특히, 최근에 건물들이 고층화되면서 전파의 사각을 방지하기 위해 임의의 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안테나를 기울여 설치해야 할 경우, 안테나의 설치가 난해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부고정장치의 길이를 늘려, 안테나를 구조물에서 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기울어지도록 구성한다 하더라도 구조물에서 안테나를 지지하는 상부고정장치의 길이가 길어져 외력 예컨대, 외풍에 의해 상부고정장치가 용이하게 변형되기 때문에 안테나를 지지하는 지지력이 하락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비교적 높은 빌딩에서도 전파의 사각 없이 전파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임의의 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기울여 설치할 수 있으며, 외력에도 지지력을 견고히 할 수 있는 이동통신 안테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용 안테나는 이동통신기기와 전파를 송수신하는 이동통신 안테나로서, 상기 이동통신기기와 전파를 송수신하는 송수신유닛, 상기 송수신유닛이 고정되는 고정막대, 상기 송수신유닛의 상단이 상기 고정막대에서 임의의 설정된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상기 송수신유닛와 상기 고정막대를 연결하는 각도조절브래킷, 상기 고정막대가 고정되고 바닥에 고정되는 받침대가 하단에 구비되는 지지대 및, 상기 고정막대의 상단이 상기 지지대에서 임의의 설정된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상기 고정막대를 상기 지지대에 고정하는 고정브래킷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브래킷은 상기 지지대가 삽입되는 제1 고정홈이 형성된 제1 고정부, 및 상기 고정막대의 상단이 상기 지지대에서 임의의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삽입되는 제2 고정홈이 형성된 제2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브래킷은 상기 제1 고정홈 및 상기 제2 고정홈을 중심으로 양분되고, 양분된 상기 고정브래킷은 체결부재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제2 고정부는 상기 제2 고정홈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 고정홈에 삽입되는 상기 고정막대의 하단이 걸쳐지는 걸림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고정부에는 상기 제2 고정부의 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제2 고정홈에 삽입된 상기 고정막대를 지지하도록 고정볼트가 삽입되는 볼트 삽입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브래킷은 상기 제1 고정홈 및 상기 제2 고정홈을 중심으로 양분되고, 양분된 상기 고정브래킷의 일단은 힌지핀에 의해 상호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제1 고정홈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 고정홈으로 삽입된 상기 지지대를 가압하는 가압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도조절브래킷은 상기 지지대에서 상기 송수신유닛의 하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대와 상기 송수신유닛을 연결하는 제1 브래킷, 및 상기 지지대와 상기 송수신유닛의 상부의 사이 거리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대와 상기 송수신유닛의 상부를 연결하는 제2 브래킷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막대의 상부와 상기 지지대를 연결하여 상기 지지대에 상기 고정막대의 상부를 고정하는 연결브래킷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브래킷은 한 쌍이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막대와 상기 지지대의 양측에서 서로 체결부재로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브래킷에 의해 송수신유닛이 결합된 고정막대를 지지대에 기울여 설치함으로써, 전파의 사각이 발생되지 않도록 임의의 설정된 각도 보다 더 기울어진 각도로 송수신유닛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고정막대가 고정브래킷에 의해 지지대에 고정됨으로써, 송수신유닛의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분할된 고정브래킷이 상호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되어 빠르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고정막대의 상부와 지지대의 상부를 연결브래킷으로 연결함으로써, 송수신유닛의 지지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용 안테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용 안테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용 안테나를 구성하는 고정브래킷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용 안테나를 구성하는 고정브래킷의 내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용 안테나를 구성하는 고정브래킷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용 안테나를 구성하는 고정브래킷의 변형예의 내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용 안테나의 상부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용 안테나를 구성하는 연결브래킷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안테나(100)는 송수신유닛(1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송수신유닛(110)은 이동통신기기와 전파를 송수신할 수 있다. 한편, 송수신유닛(110)은 상하로 그 길이가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송수신유닛(110)의 정면으로는 전파를 송수신 할 수 있다.
한편, 송수신유닛(110)은 공지된 송수신유닛(110)이 사용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안테나(100)는 고정막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고정막대(120)는 송수신유닛(110)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상하로 그 길이가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고정막대(120)는 공지된 스틸 파이프(still pipe)로 대치될 수 있다.
한편, 고정막대(120)에는 송수신유닛(110)이 고정막대(120)와 나란하게 배치되어 고정막대(120)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안테나(100)는 각도조절브래킷(1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각도조절브래킷(130)은 고정막대(120)와 송수신유닛(110)을 결합할 수 있다. 이때, 각도조절브래킷(130)은 송수신유닛(110)의 하부가 고정막대(120)에 상하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송수신유닛(110)의 상부가 고정막대(120)에서 임의의 설정된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각도조절브래킷(130)은 제1 브래킷(131)과 제2 브래킷(13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브래킷(131)은 고정막대(120)와 송수신유닛(110)의 하부를 연결하며, 제1 브래킷(131)의 일측에는 고정막대(120)가 결합되고, 제1 브래킷(131)의 타측에는 송수신유닛(110)이 결합된다.
그리고, 고정막대(120)와 송수신유닛(110)을 연결하는 제1 브래킷(131)의 중앙부분은 힌지핀(132)에 의해 상호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고정막대(120)에서 송수신유닛(110)의 하부가 힌지핀(132)을 중심으로 상하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제2 브래킷(135)은 고정막대(120)와 송수신유닛(110)의 상부를 연결하며, 제2 브래킷(135)의 일측에는 고정막대(120)가 결합되고, 제2 브래킷(135)의 타측에는 송수신유닛(110)이 결합된다.
그리고, 고정막대(120)와 송수신유닛(110)을 결합하는 제2 브래킷(135)의 중앙부분은 상호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복수의 링크(136)로 연결되어 링크(136)의 회전 각도에 따라 고정막대(120)와 송수신유닛(110)의 상부의 사이를 거리를 조절하는 형태로 송수신유닛(110)의 상부를 고정막대(120)에서 임의의 설정된 각도로 기울일 수 있다.
즉, 고정막대(120)와 송수신유닛(110)은 제1 브래킷(131)에 의해 송수신유닛(110)의 하부가 고정막대(120)에 상하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제2 브래킷(135)에 의해 송수신유닛(110)의 상부가 고정막대(120)에서 사이 거리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제2 브래킷(135)의 링크(136)를 접거나 펼쳐 송수신유닛(110)의 상부와 고정막대(120)의 사이 거리를 조절할 경우, 제1 브래킷(131)의 힌지핀(132)을 중심으로 송수신유닛(110)이 고정막대(120)에서 임의로 설정된 각도(대략 5°이상 20°이하의 각도 범위)로 기울어지도록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도조절브래킷(130)은 송수신유닛(110)의 전파를 송수신하는 정면이 바닥을 향해 기울어지도록 임의로 설정된 각도를 조절하여 고정막대(120)에 송수신유닛(110)을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안테나(100)는 지지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지지대(140)는 송수신유닛(110)이 바닥에서 이격되도록 송수신유닛(110)이 설치된 고정막대(120)가 지지대(140)에 고정설치될 수 있다.
이때, 지지대(140)에는 고정막대(120)가 지지대(140)와 나란하게 배치되고, 고정막대(120)의 상단 부분이 지지대(140)의 외측으로 임의의 각도(a)로 벌어지도록 지지대(140)에 고정막대(120)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지지대(140)는 막대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지지대(140)의 하단에는 바닥에 고정되는 받침판(141)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대(140)는 중량체(1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중량체(143)는 받침판(141)의 하부에 결합되어 지지대(140)가 외력 예컨대, 외풍에 의해 쓰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중량체(143)는 상대적으로 무게가 무거운 금속이나 콘크리트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안테나(100)는 고정브래킷(15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고정브래킷(150)은 송수신유닛(110)이 결합된 고정막대(120)를 지지대(14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이때, 고정브래킷(150)은 고정막대(120)의 상단이 지지대(140)에서 임의의 설정된 각도(a)로 벌어지도록 고정막대(120)를 지지대(140)에 결합시킬 수 있다.
한편, 고정브래킷(150)은 제1 고정부(151)와 제2 고정부(155)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제1 고정부(151)는 지지대(140)가 결합되는 곳으로서, 지지대(140)가 상하로 관통하여 삽입되는 제1 고정홈(15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고정부(155)는 고정막대(120)가 결합되는 곳으로서, 제1 고정부(151)의 일측에 제1 고정부(151)와 연결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고정부(155)에는 고정막대(120)가 지지대(140)에서 기울어지도록 삽입되는 제2 고정홈(156)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고정홈(156)은 제2 고정부(155)를 비스듬히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고정부(155)에는 제2 고정홈(156)의 내면에서 제2 고정홈(156)의 중앙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고정막대(120)의 하단이 걸쳐지는 걸림턱(157)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고정홈(156)의 중심축은 제1 고정홈(152)의 중심축에 대해 임의의 설정된 각도(a, 대략 5°이상 30°의 각도 범위)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고정홈(156)이 제1 고정홈(152)에서 기울어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제2 고정홈(156)에 삽입되는 고정막대(120)가 제1 고정홈(152)에 삽입되는 지지대(140)에서 임의의 각도(a)로 기울어지도록 설치되어 임의의 설정된 각도로 고정막대(120)에 기울어지도록 설치된 송수신유닛(110)을 더 기울어지도록 설치할 수 있다.
한편, 고정브래킷(150)은 상부에서 바라봤을 때, 제2 고정홈(156) 및 제1 고정홈(152)을 중심으로 둘로 분할되어 한 쌍의 고정브래킷(150)이 서로 대향되어 겹쳐지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둘로 분할되어 겹쳐지는 고정브래킷(150)은 제2 고정홈(156) 및 제1 고정홈(152)의 둘레에 예컨대, 볼트와 너트 같은 복수 개의 체결부재(CB)가 제1 고정부(151) 및 제2 고정부(155)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형태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는 고정브래킷(150)의 변형예로서, 변형예에 따른 고정브래킷(150)은 제2 고정홈(156)이 제2 고정부(155)에 상하로 관통되지 않고, 제2 고정홈(156)의 하단부분이 제1 고정홈(152)과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고정홈(156)은 제2 고정부(155)에서 상단은 개방되고 하단은 막힌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변형예에 따른 고정브래킷(150)은 둘로 분할된 고정브래킷(150)의 서로 맞닿는 일측단에는 힌지핀(158a)이 관통설치되는 힌지결합부(158)가 형성되어 힌지핀(158a)을 중심으로 둘로 분할된 고정브래킷(150)이 상호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변형예에서와 같이 고정브래킷(150)의 힌지결합부(158)는 서로 겹쳐지는 고정브래킷(150)의 제2 고정부(155)의 외측면에 돌출되는 형태로 각각 형성되고, 각각의 제2 고정부(155)를 힌지핀(158a)이 관통하는 형태로 둘로 분할된 고정브래킷(150)을 결합하여 둘로 분할된 고정브래킷(150)이 힌지핀(158a)을 중심으로 상호 회전함으로써, 겹쳐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브래킷(150)의 힌지결합부(158)가 형성된 반대방향의 부분 더 구체적으로는 제1 고정부(151)의 외측에는 힌지핀(158a)을 중심으로 서로 회전하여 겹쳐진 고정브래킷(150)을 볼트와 너트 같은 체결부재(CB)로 서로 체결함으로써, 고정브래킷(150)을 지지대(140)에 설치할 수 있다.
여기서, 힌지결합부(158)는 제1 고정부(151)의 외측면에서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힌지핀(158a)에 의해 제1 고정부(151)의 외측이 상호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호 회전하여 겹쳐지는 제2 고정부(155)가 체결부재(CB)에 의해 결합되는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렇게 분할된 고정브래킷(150)이 일단이 서로 힌지핀(158a)에 의해 상호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됨으로써, 분할된 고정브래킷(150)이 서로 겹쳐지는 부분에만 체결부재(CB)를 체결하기 때문에 빠르고 용이하게 고정브래킷(150)을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변형예에 따른 고정브래킷(150)은 가압돌기(153)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가압돌기(153)는 지지대(140)를 가압하여 고정브래킷(150)이 지지대(140)에 결합되는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가압돌기(153)는 제1 고정부(151)에 형성된 제1 고정홈(152)의 내면에서 제1 고정홈(152)의 중앙을 향해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고정브래킷(150)을 설치 시 제1 고정홈(152)에 삽입되는 지지대(140)의 외면을 가압돌기(153)가 가압하는 형태로 지지대(140)에 고정브래킷(150)이 결합되는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가압돌기(153)는 제1 고정부(151)의 제1 고정홈(152) 뿐만 아니라, 제2 고정부(155)의 제2 고정홈(156)에도 동일하게 형성되어 제2 고정홈(156)에 삽입되는 고정막대(120)와 고정브래킷(150)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변형예에 따른 고정브래킷(150)에는 볼트 삽입공(159)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볼트 삽입공(159)에는 제2 고정부(155)에 고정되는 고정막대(120)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고정볼트(159a)가 나사체결될 수 있다.
한편, 볼트 삽입공(159)은 제2 고정부(155)의 외부와 제2 고정홈(156)과 서로 연통되도록 제2 고정홈(156)의 외면에서 제2 고정홈(156)을 향해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제2 고정홈(156)에 삽입된 고정막대(120)의 외면을 고정볼트(159a)가 가압함으로써, 제2 고정부(155)에 고정되는 고정막대(120)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각 구성 간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안테나(100)는 지지대(140)의 바닥판을 바닥에 고정되도록 설치한다. 이때, 바닥판에 중량체(143)가 구비될 경우, 중량체(143)를 바닥에 매설하거나 중량체(143)를 바닥에 고정하는 형태로 지지대(140)를 바닥에 고정시킨다.
그리고, 전파를 송수신하는 송수신유닛(110)을 각도조절브래킷(130)을 이용하여 고정막대(120)에 설치한다.
이때, 각도조절브래킷(130)은 제1 브래킷(131)과 제2 브래킷(135)으로 구성되어 제1 브래킷(131)은 고정막대(120)에서 송수신유닛(110)의 하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막대(120)와 송수신유닛(110)을 연결하고, 제2 브래킷(135)은 고정막대(120)와 송수신유닛(110)의 사이 거리를 조절하는 형태로 송수신유닛(110)이 힌지핀(132)을 중심으로 임의의 각도로 회전하도록 연결한다.
그리고, 송수신유닛(110)이 각도조절브래킷(130)에 결합된 고정막대(120)를 고정브래킷(150)을 이용하여 지지대(140)에 결합한다.
여기서, 지지대(140)는 고정브래킷(150)의 제1 고정부(151)에 형성된 제1 고정홈(152)에 삽입되고, 제2 고정부(155)에 형성된 제2 고정홈(156)에 고정막대(120)의 하단이 제2 고정홈(156)에 돌출된 걸림턱(157)에 걸쳐지도록 삽입된다.
한편, 고정브래킷(150)이 양분되도록 형성될 때에는 지지대(140)가 제1 고정홈(152)에 삽입되도록 지지대(140)의 양측에서 양분된 고정브래킷(150)을 서로 겹쳐지도록 결합하고, 제1 고정부(151)와 제2 고정부(155)의 둘레에 체결부재(CB)로 체결 후, 제2 고정홈(156)에 고정막대(120)를 끼우는 형태로 지지대(140)에 고정막대(120)를 설치한다.
아울러, 변형예에 따른 고정브래킷(150)으로 고정막대(120)를 지지대(140)에 결합할 경우, 제1 고정홈(152)에 지지대(140)가 삽입되도록 힌지핀(158a)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벌어진 형태의 양분된 고정브래킷(150)이 겹쳐지도록 상호 회전시키고, 서로 맞닿는 제1 고정부(151)의 부분에 체결부재(CB)로 체결 후, 제2 고정홈(156)에 고정막대(120)를 끼우는 형태로 지지대(140)에 고정막대(120)를 결합한다.
그리고, 제2 고정홈(156)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볼트 삽입공(159)으로 고정볼트(159a)를 체결하여 제2 고정홈(156)에 끼워진 고정막대(120)의 외면을 가압함으로써, 고정막대(120)가 제2 고정홈(156)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안테나(100)는 고층건물에 설치될 경우, 바닥을 향해 더 기울어지도록 송수신유닛(110)이 설치되어 전파의 사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지지대(140)에 고정막대(120)를 고정브래킷(150)으로 고정함으로써, 송수신유닛(110)을 지지대(140)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가압돌기(153)가 형성되어 지지대(140)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고정브래킷(150)이 힌지핀(158a)에 의해 상호 회동가능하도록 구성된 경우, 이동통신 안테나(100)를 빠르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안테나(100)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안테나(100)는 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안테나(100)와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부호를 병기하고, 동일한 구성은 효과도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안테나(100)는 연결브래킷(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연결브래킷(170)은 지지대(140)와 고정막대(120)의 상단 부분을 서로 연결하여 지지대(140)에 고정되는 고정막대(120)의 지지력을 견고히 할 수 있다.
한편, 연결브래킷(170)은 지지대(140)와 고정막대(120)의 측면을 함께 덮을 수 있는 길이의 한 쌍의 판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한 쌍의 판은 지지대(140)와 고정막대(120)의 양측에 위치되어 볼트와 너트 같은 체결부재(CB)로 서로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연결브래킷(170)에는 지지대(140)와 고정막대(120) 각각의 둘레에 체결부재(CB)가 체결될 수 있는 복수 개의 체결공(17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된 연결브래킷(170)은 송수신유닛(110)이 설치된 고정막대(120)의 상단 부분을 지지대(140)에 연결되도록 고정함으로써, 고정막대(120)가 지지대(140)에 지지되는 지지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안테나(100)는 고층건물에 설치될 경우, 바닥을 향해 더 기울어지도록 송수신유닛(110)이 설치되어 전파의 사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지지대(140)에 고정막대(120)를 고정브래킷(150) 및 연결브래킷(170)으로 고정설치함으로써, 지지대(140)에 송수신유닛(110)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가압돌기(153)가 형성되어 지지대(140)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고정브래킷(150)이 힌지핀(158a)에 의해 상호 회동가능하도록 구성된 경우, 이동통신 안테나(100)를 빠르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100: 이동통신용 안테나 110: 송수신유닛
120: 고정막대 130: 각도조절브래킷
131: 제1 브래킷 132: 힌지핀
135: 제2 브래킷 136: 링크
140: 지지대 141: 받침판
143: 중량체 150: 고정브래킷
151: 제1 고정부 152: 제1 고정홈
153: 가압돌기 155: 제2 고정부
156: 제2 고정홈 157: 걸림턱
158: 힌지결합부 158a: 힌지핀
159: 볼트 삽입공 159a: 고정볼트
170: 연결브래킷 171: 체결공
CB: 체결부재 a: 각도

Claims (10)

  1. 삭제
  2. 이동통신기기와 전파를 송수신하는 이동통신 안테나로서,
    상기 이동통신기기와 전파를 송수신하는 송수신유닛,
    상기 송수신유닛이 고정되는 고정막대,
    상기 송수신유닛의 상단이 상기 고정막대에서 임의의 설정된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상기 송수신유닛와 상기 고정막대를 연결하는 각도조절브래킷,
    상기 고정막대가 고정되고 바닥에 고정되는 받침대가 하단에 구비되는 지지대 및,
    상기 고정막대의 상단이 상기 지지대에서 임의의 설정된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상기 고정막대를 상기 지지대에 고정하는 고정브래킷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브래킷은
    상기 지지대가 삽입되는 제1 고정홈이 형성된 제1 고정부, 및
    상기 고정막대의 상단이 상기 지지대에서 임의의 설정된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삽입되는 제2 고정홈이 형성된 제2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안테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래킷은
    상기 제1 고정홈 및 상기 제2 고정홈을 중심으로 양분되고, 양분된 상기 고정브래킷은 체결부재로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안테나.
  4. 제2항에 있어서,
    제2 고정부는
    상기 제2 고정홈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 고정홈에 삽입되는 상기 고정막대의 하단이 걸쳐지는 걸림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안테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부에는
    상기 제2 고정부의 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제2 고정홈에 삽입된 상기 고정막대를 지지하도록 고정볼트가 삽입되는 볼트 삽입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안테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래킷은
    상기 제1 고정홈 및 상기 제2 고정홈을 중심으로 양분되고, 양분된 상기 고정브래킷의 일단은 힌지핀에 의해 상호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안테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제1 고정홈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 고정홈으로 삽입된 상기 지지대를 가압하는 가압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안테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브래킷은
    상기 지지대에서 상기 송수신유닛의 하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대와 상기 송수신유닛을 연결하는 제1 브래킷, 및
    상기 지지대와 상기 송수신유닛의 상부의 사이 거리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대와 상기 송수신유닛의 상부를 연결하는 제2 브래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안테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막대의 상부와 상기 지지대를 연결하여 상기 지지대에 상기 고정막대의 상부를 고정하는 연결브래킷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안테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브래킷은
    한 쌍이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막대와 상기 지지대의 양측에서 서로 체결부재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안테나.
KR1020110096670A 2011-09-26 2011-09-26 이동통신 안테나 KR1012776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6670A KR101277664B1 (ko) 2011-09-26 2011-09-26 이동통신 안테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6670A KR101277664B1 (ko) 2011-09-26 2011-09-26 이동통신 안테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2941A KR20130032941A (ko) 2013-04-03
KR101277664B1 true KR101277664B1 (ko) 2013-06-21

Family

ID=48435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6670A KR101277664B1 (ko) 2011-09-26 2011-09-26 이동통신 안테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766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2923B1 (ko) * 2016-02-02 2016-06-23 (주)협신통신 도시 외관을 고려한 친환경 통신 안테나 지지대
KR102080143B1 (ko) * 2019-04-01 2020-02-21 (주)금성계전 안테나 각도 조절이 가능한 안테나 고정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3236B1 (ko) * 2014-08-04 2015-03-18 주식회사 케이에스정보통신 이동통신 중계기용 안테나 각도 조절장치
KR101634216B1 (ko) * 2014-12-02 2016-06-28 주식회사 필컴 비콘 안테나의 방사패턴 조절장치
KR101658467B1 (ko) * 2015-04-22 2016-09-22 국방과학연구소 이동용 쉘터 부착형 안테나 마스트 설치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9772U (ko) * 1996-07-11 1998-04-30 이장범 위성방송 수신 안테나의 설치장치
KR100551598B1 (ko) * 2005-09-05 2006-02-13 김원택 벽취부형 통신안테나
KR100862143B1 (ko) * 2007-05-03 2008-10-0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조정기능을 제공하는 안테나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9772U (ko) * 1996-07-11 1998-04-30 이장범 위성방송 수신 안테나의 설치장치
KR100551598B1 (ko) * 2005-09-05 2006-02-13 김원택 벽취부형 통신안테나
KR100862143B1 (ko) * 2007-05-03 2008-10-0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조정기능을 제공하는 안테나 고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2923B1 (ko) * 2016-02-02 2016-06-23 (주)협신통신 도시 외관을 고려한 친환경 통신 안테나 지지대
KR102080143B1 (ko) * 2019-04-01 2020-02-21 (주)금성계전 안테나 각도 조절이 가능한 안테나 고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2941A (ko) 2013-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7664B1 (ko) 이동통신 안테나
KR200454837Y1 (ko) 안테나용 고정브래킷
KR100943050B1 (ko) 이동통신 안테나용 틸팅장치
KR20150027101A (ko) 이동 전화 안테나 및 이동 전화 컴포넌트를 위한 리테이너 시스템
US11916284B2 (en) Small cell antenna assembly and module for same
US9692109B1 (en) Mount for co-locating an access point and an antenna
CN104100164A (zh) 一种具有承重增强结构的易拆装式内开内倒门窗铰链
US10627043B2 (en) Hinged magnetic mounting apparatus
US20210151851A1 (en) Stand-type portable antenna
JP7237139B2 (ja) アンテナ取付け構造物
CN215299483U (zh) 天线用夹紧装置
US6267339B1 (en) Pivotally joined bracket
KR102145149B1 (ko) 5g 기지국 안테나 지지대
KR102651220B1 (ko) 기지국 안테나 장치 및 그 어댑터
KR102128174B1 (ko) 기지국용 안테나 지지장치
KR101520473B1 (ko) 안테나의 틸트각 유지를 위한 클램핑장치
US11901607B2 (en) Mounting assembly for a base station antenna
KR102125626B1 (ko) 기지국용 안테나 지지장치
JP6151390B1 (ja) 通信装置用架台及び無線基地局
KR102293341B1 (ko)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
KR200330441Y1 (ko) 이동통신 중계기 및 패치 안테나의 틸트 유니트
US6158832A (en) Fastener with alignment and spacing features
KR102566169B1 (ko) 안테나 거치 장치
US11335989B2 (en) Sectorized antenna assembly
KR102504636B1 (ko) 안테나 거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