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5149B1 - 5g 기지국 안테나 지지대 - Google Patents

5g 기지국 안테나 지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5149B1
KR102145149B1 KR1020200058329A KR20200058329A KR102145149B1 KR 102145149 B1 KR102145149 B1 KR 102145149B1 KR 1020200058329 A KR1020200058329 A KR 1020200058329A KR 20200058329 A KR20200058329 A KR 20200058329A KR 102145149 B1 KR102145149 B1 KR 1021451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coupler
fastening
support
fast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8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소대영
김민기
장대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디에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디에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디에프
Priority to KR10202000583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51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51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51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1207Supports; Mounting means for fastening a rigid aerial el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6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base stations

Abstract

본 발명은 옥외에 설치되는 기지국 안테나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회절성이 낮은 초고주파 대역의 5G 기지국 안테나를 정확하게 설치할 수 있는 5G 기지국 안테나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5G 기지국 안테나 지지대 {5G antenna support apparatus for base station}
본 발명은 옥외에 설치되는 기지국 안테나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회절성이 낮은 초고주파 대역의 5G 기지국 안테나를 정확하게 설치할 수 있는 5G 기지국 안테나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노트북, 테블릿, 스마트폰 등 휴대하며 사용하는 각종 정보 통신 기기를 위해 옥외에 소정 간격마다 통신 기지국 안테나를 설치하고 있다.
최근에 5G 통신 서비스가 제공되기 시작하면서 5G 기지국 안테나가 설치되고 있다.
5G 서비스에 사용되는 주파수는 고주파와 초고주파인데, 5G 통신은 대역이 높기때문에 주파수 특성상 회절률이 LTE에 비해 현저하게 떨어지므로 중간에 장애물이 있으면 음영 지역이 되면서 통신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LTE 통신에 비해 더욱 많은 수의 기지국을 세워야 하고, 기지국 안테나가 설계된 대로 정확한 방향 및 각도로 설치하여야 한다.
또한, 기지국 안테나는 대부분 건물 옥상에 설치되므로 건물 옥상 범위에서만 기지국 안테나를 설치할 수 있는 제약이 발생한다.
그런데 5G 통신은 회절률이 떨어지기 때문에 건물 옥상 범위에서 조금만 바깥 위치에 안테나를 설치하여도 음영 지역 발생없이 기지국 안테나 한 개를 덜 설치할 수 있는데, 그러지 못하는 경우가 매우 빈번하게 발생한다.
문헌 1.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제10-0606455호,"이동통신 통합 기지국용 다급전 반사판 안테나" 문헌 2.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23265호, " 기지국용 멀티빔 안테나" 문헌 3.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제10-0304077호, "고양각 전파복사 억제 안테나 장치" 문헌 4.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93991호, "안테나 지지대"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회절률이 적은 주파수 특성을 갖는 5G 기지국 안테나를 옥상 외측으로 확장 설치함으로써 음영 지역 발생 없이 기지국 안테나를 정확하게 설계된 위치 및 방향으로 설치할 수 있는 5G 기지국 안테나 지지대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5G 기지국 안테나 지지대는 폴(110); 확장대 체결구(113)로 상기 폴(110)에 체결되는 확장대(111); 안테나(10)를 체결하는 안테나 체결대(140); 일측은 상기 안테나 체결대(140)에 체결되고, 타측은 상기 확장대(111)에 체결되어 안테나 지지대(140)를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커플러(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커플러(150)는 일측에 안테나 체결대(140)의 체결편(154)이 삽입되는 수평의 수평홈(172)이 형성되고, 타측에 수직의 수직홈(177)이 형성된 제1 커플러(171); 일측에는 커플러 체결편(184)이 형성되어 상기 제1 커플러(171)의 수평홈(172)에 삽입되고, 타측에는 확장대(111)에 삽입 체결되는 체결편(186)이 형성된 제2 커플러(183); 상기 수직홈(177)과 안테나 체결대(140)의 체결편(154)을 관통하여 체결하는 수평의 체결대 핀(179); 상기 수평홈(172)과 제2 커플러(183)의 커플러 체결편(184)을 관통하여 체결하는 수직의 커플러 핀(175);으로 구성됨으로써, 제2 커플러(183)에 대해 제1 커플러(171)가 커플러 핀(175)을 중심으로 스윙하고, 제1 커플러(171)에 대해 안테나 체결대(140)가 체결대 핀(179)을 중심으로 틸트 동작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결대 핀(179)이 삽입되는 핀 결합홈(178)의 일측에 형성된 인디케이터 홀(188); 일측에 볼트가 구비된 바늘 형태로 성형되어 상기 인디케이터 홀(188)에 삽입되어 안테나 체결대(140)와 체결되는 인디케이터(195); 및 상기 인디케이터 홀(188) 일측에 형성된 눈금(181);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플러 핀(175)이 삽입되는 핀 결합홈(173)의 일측에 형성된 눈금(174); 및 제2 커플러(183) 또는 확장대(111)에 체결되는 바늘 형태의 인디케이터(191);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커플러(171)의 상부에 돌출 형성된 스토퍼(196);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안테나 체결대(140)가 상기 스토퍼(196)와 접촉하면서 안테나(10)가 소정 각도 이상으로 상향 회전하는 것을 제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폴(110)에 일측이 체결되고, 상기 확장대(111)에 타측이 체결되어 확장대(111)를 지지하는 지지대(116);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대(116)의 확장대(111) 측이 연장되어 제2 커플러(183)와 더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테나 체결대(140)의 하부에서 돌출된 지지대(151); 및 상기 지지대(151)에 나사 결합되어 단부가 커플러(170)에 밀착되는 조절나사(1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테나 체결대(140)에 돌출되어 안테나(10)의 안테나 체결구(146)를 지지하는 스토퍼(15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확장대 체결구(113)의 하부 위치로 폴(110)에 체결되어 확장대 체결구(113)가 미끄러져 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12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설치범위가 제한된 건물 옥상에 기지국 안테나를 설치할 때 확장대를 이용하여 옥상 범위 바깥 위치에도 기지국 안테나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가 안테나의 설치 방향과 각도를 간편하고 정확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5G 안테나 기지국 안테나 지지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안테나 지지대를 구성하는 안테나 체결대를 분해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안테나 지지대를 구성하는 커플러를 분해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안테나 지지대를 구성하는 확장대, 지지대 및 폴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안테나 지지대를 구성하는 확장대, 지지대 및 폴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안테나 지지대를 구성하는 커플러와 확장대가 체결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안테나 지지대를 구성하는 커플러와 안테나 체결대가 체결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안테나 하중을 지지하는 안테나 체결대의 스토퍼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지지대를 이용하여 안테나의 스윙 각도를 조정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지지대를 이용하여 안테나의 수평 각도를 조정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지지대를 이용하여 안테나의 틸트 각도를 조정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되,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함을 전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당해 구성요소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상부", "하부", "저부", "전방", "후방", "아래" 등의 용어는 단지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구성요소의 배향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 의한 안테나 지지대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지국 안테나(10)를 체결하는 안테나 체결대(140)와, 안테나를 고정하기 위한 구조물로서 확장대(111) 및 폴(110)과, 상기 안테나 체결대(140)와 확장대(111)를 체결하기 위한 커플러(170)로 구성된다.
안테나 체결대(140)는 기지국 안테나(10)를 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의 바 형태로 몸체(141)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141) 전방에 안테나 체결구(146)가 위치하여 체결볼트(149)를 이용하여 몸체(141)에 체결된다.
상기 안테나 체결구(146)는 몸체(141)의 상부와 하부 위치에 체결되고, 기지국 안테나(10) 배면에 체결볼트(148)로 체결, 고정된다.
그리고 안테나 체결대(140)의 몸체(141) 배면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후방으로 돌출된 한 쌍의 체결편(154)이 형성되고, 상기 각 체결편(154)에는 천공된 구멍 형태로 핀 결합홈(143)과 인디케이터 결합홈(144)이 형성된다.
또한, 안테나 체결대(140)의 몸체(141) 하부에는 지지대(151)가 체결볼트(152)로 체결되고, 상기 지지대(151)에는 볼트 형태의 조절나사(150)가 나사 결합된다.
커플러(17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커플러(171)와 제2 커플러(183)가 커플러 핀(175)으로 체결되어 구성된다.
제1 커플러(171)의 몸체 일측 단부에는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한 쌍의 수평홈(172)이 단부에서 양 측면에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제1 커플러(171)의 몸체 일측에는 상기 수평홈(172)들을 관통하도록 수직 구멍 형태의 핀 결합공(173)이 형성되며, 상기 핀 결합공(173)의 일측에는 각도 눈금(174)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1 커플러(172)의 몸체 타측 단부에는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한 쌍의 수직홈(177)이 단부에서 양 측면에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제1 커플러(171)의 몸체 타측에는 상기 수직홈(177)들을 관통하도록 수평 구멍 형태의 핀 결합공(178)이 형성되며, 상기 핀 결합공(178)의 일측에는 각도 눈금(181)이 형성된다.
제2 커플러(183)의 몸체 일측에는 수직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고 핀 결합공(185)이 형성된 한 쌍의 커플러 체결편(184)이 돌출 형성되고, 몸체의 타측에는 체결공(187)이 형성된 한 쌍의 체결편(186)이 돌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2 커플러(183)의 커플러 체결편(184)이 제1 커플러(171)의 수평홈(172)에 삽입되고, 커플러 핀(175)이 제1 커플러(171)의 핀 결합공(173)과 제2 커플러(183)의 커플러 체결편(184)에 형성된 핀 결합공(185)에 삽입되어 너트(176)로 체결됨으로써, 제1 커플러(171)와 제2 커플러(183)가 체결된다.
상기 제1,2 커플러(171,183)는 커플러 핀(175)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체결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옥상 또는 지면에 고정되는 폴(110)에 확장대 체결구(113)를 이용하여 확장대(111)가 체결, 고정된다.
기지국 안테나(10)를 건물 옥상에 설치할 때 폴(110)을 옥상 가장자리에 설치하고, 이 폴(110)에 확장대(111)를 체결하여 안테나(10)를 옥상 외측으로 확장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확장대 체결구(113)는 반원통 형태의 제1,2 고정구(114,115)가 폴(110)에 체결되고, 상기 제1 고정구(114)에 확장대(111)가 체결됨으로써, 확장대(111)가 폴(110)에 체결되어 고정된다.
상기 확장대(111)의 단부에 커플러(170)의 제2 커플러(183)가 체결되는데, 도 6과 같이 제2 커플러(183)의 돌출된 체결편(186)이 확장대(111)의 단부에 형성된 삽입홈(미도시)에 삽입되고, 확장대(111)의 커플러 체결공(112) 및 체결편(186)의 체결공(187)에 볼트(193)를 삽입 체결함으로써, 커플러(170)와 확장대(111)가 체결, 고정된다.
제1 커플러(171)는 커플러 핀(175)을 중심으로 수평의 회전(스윙)이 가능한데, 이 스윙각을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커플러(170) 상부의 눈금(174)에 인디케이터(191)를 설치한다.
도 6과 같이 제1,2 커플러(171,183)를 체결하는 커플러 핀(175)이 인디케이터(191) 및 인디케이터 고정구(192) 일측을 관통하여 너트(176)와 체결하도록 하고, 상기 인디케이터 고정구(192)의 타측은 확장대(111)의 체결돌기(194)들과 체결되도록 한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인디케이터 고정구(192)의 일측 하부 면에는 인디케이터(191)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되고, 타측 하부 면에는 확장대(111)의 체결돌기(194)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된다.
따라서, 인디케이터 고정구(192)는 확장대(111)에 체결되어 인디케이터(191)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1 커플러(171)가 커플러 핀(175)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인디케이터(191)는 인디케이터 고정구(192)에 고정되므로, 회전한 제1 커플러(171)의 눈금(174)을 인디케이터(191)가 가르켜 회전각을 알려준다.
즉, 도 9 및 도 10과 같이 안테나 체결대(140)에 체결된 안테나(10)의 수평각을 조절할 때 인디케이터(191)가 눈금(174)을 가르켜 안테나(10)의 정확한 수평각을 조정한 후 커플러 핀(175)과 너트(176)를 조여 고정시킨다.
커플러(170)의 제1 커플러(171)에는 안테나 체결구(146)가 체결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테나 체결대(140)의 배면에 형성된 체결편(154)을 제1 커플러(171)의 수직홈(177)에 삽입하고, 체결대 핀(179)을 제1 커플러(171)의 핀 결합홈(178)과 안테나 체결대(140)의 체결편(154)에 형성된 핀 결합홈(143)에 삽입하여 너트(180)로 체결함으로써, 커플러(170)와 안테나 체결대(140)가 체결된다.
상기와 같이 체결된 안테나 체결대(140)는 수평의 체결대 핀(179)을 중심으로 수직의 회전(틸트)이 가능한데, 이 틸트각을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커플러(170)의 측면의 눈금(181)에 인디케이터(195)를 설치한다.
도 3과 같이 커플러(170)의 핀 결합홈(178) 일측에 호 형태로 인디케이터 홀(188)이 형성되고, 도 7과 같이 바늘 일측에 볼트가 형성된 형태의 인디케이터(195)가 상기 인디케이터 홀(188)에 삽입되어 안테나 체결대(140)의 인디케이터 결합홈(144)에 체결된다.
따라서, 안테나 체결대(140)가 체결대 핀(179)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상기 인디케이터(195)는 안테나 체결대(140)에 체결된 상태이므로 인디케이터(195)가 안테나 체결대(140)의 회전과 연동하여 인디케이터 홀(188)을 따라 회전하면서 눈금(181)의 각도를 가르켜 몇도 회전하였는지를 알 수 있도록 구성된다.
안테나(10)의 틸트 각도를 조정할 때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절나사(150)를 풀어 조절나사(150)의 끝이 커플러(170)로부터 이격되도록 하고, 인디케이터(195)의 눈금(181) 지침을 확인하면서 도 12와 같이 안테나(10)의 수직 각도를 조정한 후 조절나사(150)를 조여 조절나사(150)의 끝이 커플러(170)에 닿도록 한다.
상기 조절나사(150)의 끝이 커플러(170)와 접촉하면 안테나(10)가 더 이상 회전하지 않도록 하는 스토퍼 역할을 한다.
안테나(10)는 고하중이므로 체결대 핀(179)을 중심으로 하향 회전하려 하는데, 안테나 체결대(140)의 지지대(151)에 나사 결합한 조절나사(150)의 끝이 커플러(170)에 접촉하고 있으므로 더 이상 회전하지 않고 고정된다.
상기 조절나사(150)는 스토퍼 역할 뿐만 아니라, 안테나(10)의 정확한 틸트각을 조정하는 역할도 한다. 도 12의 상태에서 조절나사(150)를 돌리면 조절나사(150)가 지지대(151)를 따라 미세하게 움직이며 안테나(10)를 상향 회전시키거나, 안테나(10)를 하향 회전시킨다.
따라서, 설치작업시 안테나(10)의 틸트 각도를 대충 맞추어 놓고 조절나사(150)를 이용하여 안테나(10)의 정확한 틸트각도를 조절함으로써, 간편하고 정확한 각도로 안테나(10)를 설치할 수 있다.
만일, 안테나(10)가 도 11과 같이 수직인 상태로 설치된 경우라면, 안테나(10)가 하향 회전하려는 것은 조절나사(150)가 스토퍼 역할을 하여 회전하지 못하도록 하지만, 바람 등에 의해 안테나(10)가 상향 회전(뒤로 젖혀져 하늘을 향하는 회전)할 수도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도 7과 같이 제1 커플러(171)의 상부에 스토퍼(196)를 돌출 형성하고, 이 스토퍼(196)가 안테나 체결대(140)의 배면과 접하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제1 커플러(171)의 스토퍼(196)가 안테나 체결대(140)의 배면과 접하면 안테나(10)가 상향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확장대(111)는 폴(110)에서 안테나(10)를 더 멀리 설치할 수 있도록 확장하는 역할을 하는데, 확장대(111)의 길이가 긴 경우 확장대(111)를 보강하기 위해 지지대(116)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대(116)는 도 4 및 도 11과 같이 일측이 지지대 체결구(120)와 지지대 핀(119)으로 체결되고 타측의 확장대 체결공(118)이 형성된 바 형태로서 상기 지지대 체결구(120)가 폴(110)에 체결, 고정되고, 타측의 확장대 체결공(118)에 볼트가 체결되어 확장대(111)에 체결된다.
그리고 지지대(116) 단부에 형성된 커플러 체결공(117)에 볼트가 삽입되어 도 3에 도시한 제2 커플러(183)의 측면에 형성된 체결공(189)에 볼트 체결됨으로써, 고하중인 안테나(10)를 더욱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지지대 체결구(120)의 구성은 확장대 체결구(113)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안테나(10)는 고하중이므로 설치시 작업자가 매우 힘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도 8과 같이 안테나 체결대(140)에 스토퍼(153)가 전방 돌출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안테나(10)를 설치할 때 안테나(10)의 하부 안테나 체결구(146)를 상기 스토퍼(153)에 올려놓고 체결함으로써, 작업 편이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무거운 안테나(10)의 하중에 의해 확장대 체결구(113)가 폴(110)을 따라 미끄러져 내릴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확장대 체결구(113)의 하부에 스토퍼(123)를 밀착되게 설치한다.
상기 스토퍼(123)는 반원 형태의 제1 고정구(124) 및 제2 고정구(125)가 형성되고, 상기 제1,2 고정구(124,125)의 일측은 핀(126)으로 체결되어 여닫히도록 구성되어 폴(110)을 감싸도록 폴(110)에 체결되어 확장대 체결구(113)가 미끄러져 내리지 않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설치범위가 제한된 건물 옥상에 기지국 안테나를 설치할 때 확장대를 이용하여 옥상 범위 바깥 위치에도 기지국 안테나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가 안테나의 설치 방향과 각도를 간편하고 정확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상술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상기 살펴본 실시예를 다양하게 변형하거나 변경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비록 명시적으로 도시되거나 설명되지 아니하였다 하여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기술적 사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며, 이는 여전히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술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아니한다.
10 : 안테나
110 : 폴
111 : 확장대
112 : 커플러 체결공
113 : 확장대 체결구
114 : 제1 고정구
115 : 제2 고정구
116 : 지지대
117 : 커플러 체결공
118 : 확장대 체결공
119 : 지지대 핀
120 : 지지대 체결구
121 : 제1 고정구
122 : 제2 고정구
123 : 스토퍼
124 : 제1 고정구
125 : 제2 고정구
126 : 핀
140 : 안테나 체결대
141 : 몸체
142 : 체결공
143 : 핀 결합홈
144 : 인디케이터 결합홈
145 : 체결공
146 : 안테나 체결구
147 : 체결공
148 : 체결볼트
149 : 체결볼트
150 : 조절나사
151 : 지지대
152 : 체결볼트
153 : 스토퍼
154 : 체결편
170 : 커플러
171 : 제1 커플러
172 : 수평홈
173 : 핀 결합공
174 : 눈금
175 : 커플러 핀
176 : 너트
177 : 수직홈
178 : 핀 결합홈
179 : 체결대 핀
180 : 너트
181 : 눈금
182 : 체결공
183 : 제2 커플러
184 : 커플러 체결편
185 : 핀 결합공
186 : 체결편
187 : 체결공
188 : 인디케이터 홀
189 : 체결공
190 : 체결돌기
191 : 인디케이터
192 : 인디케이터 고정구
193 : 볼트
194 : 체결돌기
195 : 인디케이터
196 : 스토퍼
197 : 볼트

Claims (10)

  1. 폴(110);
    확장대 체결구(113)로 상기 폴(110)에 체결되는 확장대(111);
    안테나(10)를 체결하는 안테나 체결대(140);
    상기 안테나 체결대(140)의 하부에서 돌출된 지지대(151);
    상기 지지대(151)에 나사 결합되어 단부가 커플러(170)에 밀착되는 조절나사(150); 및
    일측은 상기 안테나 체결대(140)에 체결되고, 타측은 상기 확장대(111)에 체결되어 안테나 지지대(140)를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커플러(15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5G 기지국 안테나 지지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150)는,
    일측에 안테나 체결대(140)의 체결편(154)이 삽입되는 수평의 수평홈(172)이 형성되고, 타측에 수직의 수직홈(177)이 형성된 제1 커플러(171);
    일측에는 커플러 체결편(184)이 형성되어 상기 제1 커플러(171)의 수평홈(172)에 삽입되고, 타측에는 확장대(111)에 삽입 체결되는 체결편(186)이 형성된 제2 커플러(183);
    상기 수직홈(177)과 안테나 체결대(140)의 체결편(154)을 관통하여 체결하는 수평의 체결대 핀(179);
    상기 수평홈(172)과 제2 커플러(183)의 커플러 체결편(184)을 관통하여 체결하는 수직의 커플러 핀(175);으로 구성됨으로써,
    제2 커플러(183)에 대해 제1 커플러(171)가 커플러 핀(175)을 중심으로 스윙하고, 제1 커플러(171)에 대해 안테나 체결대(140)가 체결대 핀(179)을 중심으로 틸트 동작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5G 기지국 안테나 지지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대 핀(179)이 삽입되는 핀 결합홈(178)의 일측에 형성된 인디케이터 홀(188);
    일측에 볼트가 구비된 바늘 형태로 성형되어 상기 인디케이터 홀(188)에 삽입되어 안테나 체결대(140)와 체결되는 인디케이터(195); 및
    상기 인디케이터 홀(188) 일측에 형성된 눈금(181);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5G 기지국 안테나 지지대.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 핀(175)이 삽입되는 핀 결합홈(173)의 일측에 형성된 눈금(174); 및
    제2 커플러(183) 또는 확장대(111)에 체결되는 바늘 형태의 인디케이터(191);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5G 안테나 지지대.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플러(171)의 상부에 돌출 형성된 스토퍼(196);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안테나 체결대(140)가 상기 스토퍼(196)와 접촉하면서 안테나(10)가 소정 각도 이상으로 상향 회전하는 것을 제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5G 안테나 지지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110)에 일측이 체결되고, 상기 확장대(111)에 타측이 체결되어 확장대(111)를 지지하는 지지대(116);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5G 안테나 지지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116)의 확장대(111) 측이 연장되어 제2 커플러(183)와 더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5G 안테나 지지대.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체결대(140)에 돌출되어 안테나(10)의 안테나 체결구(146)를 지지하는 스토퍼(15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5G 안테나 지지대.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대 체결구(113)의 하부 위치로 폴(110)에 체결되어 확장대 체결구(113)가 미끄러져 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12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5G 안테나 지지대.
KR1020200058329A 2020-05-15 2020-05-15 5g 기지국 안테나 지지대 KR1021451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8329A KR102145149B1 (ko) 2020-05-15 2020-05-15 5g 기지국 안테나 지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8329A KR102145149B1 (ko) 2020-05-15 2020-05-15 5g 기지국 안테나 지지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5149B1 true KR102145149B1 (ko) 2020-08-14

Family

ID=72050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8329A KR102145149B1 (ko) 2020-05-15 2020-05-15 5g 기지국 안테나 지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514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2362A (ko) * 2021-02-26 2022-09-02 이정호 각도 조정형 고정 장치
KR20220122909A (ko) 2021-02-27 2022-09-05 주식회사 에스디에프 전주 브라켓 타입 5g 기지국 안테나 지지대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8020Y1 (ko) * 1989-03-29 1991-10-10 최상웅 빨래줄 지지대
KR100304077B1 (ko) 1998-04-21 2001-11-22 이돈신 고앙각전파복사억제안테나장치
KR200293991Y1 (ko) 2002-08-09 2002-11-04 주식회사 휴텍이일 안테나 지지대
KR200323265Y1 (ko) 2003-05-07 2003-08-14 (주)하이게인안테나 기지국용 멀티 빔 안테나
KR100606455B1 (ko) 2005-11-28 2006-08-01 (주)뮤트로닉스 이동통신 통합 기지국용 다급전 반사판 안테나
KR20090078608A (ko) * 2008-01-15 2009-07-20 세원텔레텍 주식회사 이동통신 안테나용 틸팅장치
KR102095871B1 (ko) * 2019-04-22 2020-04-02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8020Y1 (ko) * 1989-03-29 1991-10-10 최상웅 빨래줄 지지대
KR100304077B1 (ko) 1998-04-21 2001-11-22 이돈신 고앙각전파복사억제안테나장치
KR200293991Y1 (ko) 2002-08-09 2002-11-04 주식회사 휴텍이일 안테나 지지대
KR200323265Y1 (ko) 2003-05-07 2003-08-14 (주)하이게인안테나 기지국용 멀티 빔 안테나
KR100606455B1 (ko) 2005-11-28 2006-08-01 (주)뮤트로닉스 이동통신 통합 기지국용 다급전 반사판 안테나
KR20090078608A (ko) * 2008-01-15 2009-07-20 세원텔레텍 주식회사 이동통신 안테나용 틸팅장치
KR102095871B1 (ko) * 2019-04-22 2020-04-02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2362A (ko) * 2021-02-26 2022-09-02 이정호 각도 조정형 고정 장치
KR102453407B1 (ko) * 2021-02-26 2022-10-12 이정호 각도 조정형 고정 장치
KR20220122909A (ko) 2021-02-27 2022-09-05 주식회사 에스디에프 전주 브라켓 타입 5g 기지국 안테나 지지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5150B1 (ko) 5g 기지국 안테나 지지대
KR102145149B1 (ko) 5g 기지국 안테나 지지대
US6232928B1 (en) Antenna mounting bracket assembly
US8052107B2 (en) Satellite receiver
KR200454837Y1 (ko) 안테나용 고정브래킷
US5926151A (en) Antenna unit having integral radio transmitter-receiver and fixed to a base affixable to a support strut
US20180351248A1 (en) Antenna-integrated base station apparatus and antenna fixing equipment of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US9935364B2 (en) Single-radome multi-antenna assembly
JP3181923B2 (ja) 調整可能な設置および整列機構を有するマイクロ波トランシーバ、アンテナシステム
US5029799A (en) Downtilt support bracket for mounting an antenna on a metallic tower
US10627043B2 (en) Hinged magnetic mounting apparatus
KR101414137B1 (ko) 방사 방향을 변경할 수 있는 안테나 조정장치
JP2001292015A (ja) アンテナ装置
US9622292B1 (en) Mount for co-locating an access point and an antenna
CN205488512U (zh) 一种垂直极化c波段宽频带短背射天线
KR101520473B1 (ko) 안테나의 틸트각 유지를 위한 클램핑장치
CN210926313U (zh) 引向器、辐射单元及基站天线
US11575195B2 (en) Mechanical tilt mounting system for a base station antenna
CN211208655U (zh) 高宽频gsm双极化平板天线
KR102134114B1 (ko) 기지국 안테나 지지대
KR20200066784A (ko) 기지국용 안테나 지지장치
KR102487612B1 (ko) 전주 브라켓 타입 5g 기지국 안테나 지지대
JP2010050791A (ja) 可変指向性アンテナ
CN211182532U (zh) 卫星天线方位角度调整装置
JP2811624B2 (ja) 衛星放送受信アンテナの取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