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2362A - 각도 조정형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각도 조정형 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2362A
KR20220122362A KR1020210026896A KR20210026896A KR20220122362A KR 20220122362 A KR20220122362 A KR 20220122362A KR 1020210026896 A KR1020210026896 A KR 1020210026896A KR 20210026896 A KR20210026896 A KR 20210026896A KR 20220122362 A KR20220122362 A KR 202201223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angle
coupled
angle adjusting
fixed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6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3407B1 (ko
Inventor
이정호
이재홍
Original Assignee
이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호 filed Critical 이정호
Priority to KR10202100268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3407B1/ko
Publication of KR202201223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23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34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34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1207Supports; Mounting means for fastening a rigid aerial el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01Q3/02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using mechanical movement of antenna or antenna system as a whole
    • H01Q3/04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using mechanical movement of antenna or antenna system as a whole for varying one co-ordinate of the orientation

Landscapes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Steering-Linkage Mechanisms And Four-Wheel St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도 조정형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각도 조정형 고정 장치는, 지면으로부터 수직되게 설치되는 고정 샤프트와 결합되는 결합 수단과, 상기 결합 수단의 일측에 구비되며 가이드부와 결합됨과 더불어 결합 수단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안테나의 설치 각도를 조정하는 각도 조정 수단과, 상기 각도 조정 수단의 일측에 구비되며 안테나와 결합됨과 더불어 슬라이딩홈이 형성되어 각도 조정 수단이 슬라이딩홈 내부에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결합 수단과 각도 조정 수단이 체결되는 과정에서 각도 조정 수단이 자중에 의하여 지면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발생되는 안테나의 손상 또는 파손은 방지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각도 조정형 고정 장치{Angle adjustable fixing device}
본 발명은 각도 조정형 고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정 샤프트와 결합되는 결합 수단과 안테나와 결합되는 가이드부 및 결합 수단과 결합되며 안테나의 설치 각도를 조정하는 각도 조정 수단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각도 조정 수단이 자중에 의하여 지면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각도 조정형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테나(antenna)라 함은, 송수신을 위해 전자파를 공간으로 보내거나 받기 위한 장치이다.
상기 안테나는, 송수신함에 있어 높이와 각도 및 방향 등에 따라 영상 또는 통화 등의 품질이 변할 우려가 있으므로, 가급적 높게 또는 사람 등과 접촉하지 않도록 가능한 떨어진 곳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 등록 특허 제10-1517775호에서는, 외부 환경 또는 안테나의 자중에 의하여 각도 또는 방향이 틀어지지 않도록 하는 안테나 고정용 슬라이드 브라켓 및 이를 사용한 안테나 고정 장치가 개발되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 따른 안테나 고정용 슬라이드 브라켓 및 이를 사용한 안테나 고정 장치는, 제1 및 제2 슬라이드 몸체가 슬라이드됨에 따라 안테나의 틸팅 각도가 변하게 되고, 이러한 제1 및 제2 슬라이드 몸체를 슬라이드 한 후 고정 너트를 조임으로써 고정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이와 같은 고정 방식은 사용함에 있어 불편함이 따를 뿐만 아니라 고정 너트가 충분한 고정력을 제공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한국 등록 실용신안 제20-0242192호에서는, 결합되는 안테나의 방향 및 각도 설정이 용이하면서도 고정 및 변경 등이 용이하도록 한 안테나의 방향 및 각도 조정기가 개발되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 따란 안테나의 방향 및 각도 조정기는, 각도 조정용 프레임부의 원주를 따라 형성된 관통홈에 나사 조임수단을 결합하여 조이거나 풀어줌으로써 안테나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나사 조임수단을 풀어주는 과정에서 안테나의 자중에 의하여 각도 조정용 프레임부가 회전함으로써 안테나의 손상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한국 등록 특허 제10-1517775 한국 등록 실용신안 제20-0242192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고정 샤프트와 결합되는 결합 수단과 안테나와 결합되는 가이드부 및 결합 수단과 결합되며 안테나의 설치 각도를 조정하는 각도 조정 수단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각도 조정 수단이 자중에 의하여 지면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각도 조정형 고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지면으로부터 수직되게 설치되는 고정 샤프트와 결합되는 결합 수단과, 상기 결합 수단의 일측에 구비되며 가이드부와 결합됨과 더불어 결합 수단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안테나의 설치 각도를 조정하는 각도 조정 수단과, 상기 각도 조정 수단의 일측에 구비되며 안테나와 결합됨과 더불어 슬라이딩홈이 형성되어 각도 조정 수단이 슬라이딩홈 내부에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 수단은, 지면으로부터 수직되게 설치되는 고정 샤프트의 일부가 밀착될 수 있도록 하는 제1 결합홈이 형성되며 고정 샤프트와 밀착됨으로써 고정 샤프트의 일부를 감싸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면으로부터 일측에 돌출되며 각도 조정 수단의 일부가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결합부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며 고정 샤프트의 다른 일부가 밀착될 수 있도록 하는 제2 결합홈이 형성되면서 고정 샤프트와 밀착됨으로써 고정 샤프트의 다른 일부를 감싸는 보조 플레이트와, 상기 보조 플레이트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에 구비되며 베이스 플레이트와 보조 플레이트가 제1 결합 부재를 통해 결합됨에 있어서 베이스 플레이트와 보조 플레이트의 사이 간격을 유지하는 제1 간격 유지 부재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또는 보조 플레이트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며 베이스 플레이트 및 보조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설치됨으로써 베이스 플레이트와 보조 플레이트를 결합하는 제1 결합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도 조정 수단은, 상기 가이드부와 밀착되며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각도 조정 몸체와, 상기 각도 조정 몸체의 일면으로부터 일측으로 돌출되며 결합 수단 내부에 삽입 가능하게 형성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 또는 결합부의 일측에 구비되며 삽입부 및 결합부를 관통하여 설치됨으로써 삽입부와 결합부를 결합하는 제2 결합 부재와, 상기 각도 조정 몸체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며 슬라이딩홈 내부에 삽입됨으로써 각도 조정 몸체가 슬라이딩홈을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하는 슬라이딩 부재와,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며 각도 조정 몸체와 슬라이딩 부재가 제3 결합 부재를 통해 결합됨에 있어서 각도 조정 몸체와 슬라이딩 부재의 사이 간격을 유지하는 제2 간격 유지 부재와, 상기 각도 조정 몸체의 다른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며 각도 조정 몸체 및 슬라이딩 부재를 관통하여 설치됨으로써 각도 조정 몸체와 슬라이딩 부재를 결합하는 제3 결합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삽입부의 내부에는 각도 유지 부재가 안착되는 부시가 형성되면서 부시에는 삽입부와 결합부가 제2 결합 부재를 통해 가체결됨에 있어서 삽입부 또는 결합부가 자중에 의하여 지면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각도 유지 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삽입부의 일측면 또는 양 측면에는 삽입부와 결합부가 결합됨에 있어서 풀림을 방지하기 위한 스파이크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부와 대향되는 삽입부의 일면에는 각도 유지 부재의 일부가 삽입부의 내부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관통될 수 있도록 하는 제1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의 내부에는 제2 관통홀이 형성되어 각도 유지 부재의 일부가 삽입되는 지지단이 형성되며, 상기 제2 관통홀을 지나 관통 삽입된 각도 유지 부재의 끝단은 절곡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각도 조정형 고정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각도 유지 부재가 구비됨에 따라 결합 수단과 각도 조정 수단이 결합되는 과정에서 각도 조정 수단이 자중에 의하여 지면 방향으로 급속도로 회전되는 것은 방지되게 되고, 이를 통해 각도 조정 수단과 결합되는 안테나의 손상은 방지될 수 있게 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삽입부에 스파이크가 형성됨에 따라 결합 수단과 각도 조정 수단이 결합됨에 있어서 보다 높은 체결력을 제공하게 되고, 이를 통해 안테나의 최초 설치 각도가 변경되는 것은 방지되게 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결합부에 방지단이 형성됨에 따라 제2 결합 부재의 풀림은 방지되게 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각도 조정형 고정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측방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각도 조정형 고정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다른 측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각도 조정형 고정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결합 수단의 구성을 보인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각도 조정형 고정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각도 조정 수단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각도 조정형 고정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각도 조정 수단의 구성을 보인 분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각도 조정형 고정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각도 조정 수단의 구성을 보인 배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각도 조정형 고정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가이드부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각도 조정형 고정 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각도 조정형 고정 장치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즉,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각도 조정형 고정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측방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각도 조정형 고정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다른 측방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각도 조정형 고정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결합 수단의 구성을 보인 분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각도 조정형 고정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각도 조정 수단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각도 조정형 고정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각도 조정 수단의 구성을 보인 분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본 발명에 의한 각도 조정형 고정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각도 조정 수단의 구성을 보인 배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7에는 본 발명에 의한 각도 조정형 고정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가이드부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각도 조정형 고정 장치는, 지면으로부터 수직되게 설치되는 고정 샤프트와 결합되는 결합 수단(100)과, 상기 결합 수단(100)의 일측에 구비되며 가이드부(300)와 결합됨과 더불어 결합 수단(100)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안테나(50)의 설치 각도를 조정하는 각도 조정 수단(200)과, 상기 각도 조정 수단(200)의 일측에 구비되며 안테나(50)와 결합됨과 더불어 슬라이딩홈(310)이 형성되어 각도 조정 수단(200)이 슬라이딩홈(310) 내부에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부(30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고정 샤프트는 본 발명에 의한 각도 조정형 고정 장치가 고정되는 대상물에 해당하는 것으로, 지면에 고정 설치되는 부위이다.
이러한, 고정 샤프트는 지면으로부터 수직되게 설치되는 관재를 예로 한다.
상기 고정 샤프트에는, 결합 수단(100)이 설치된다.
상기 결합 수단(100)은, 지면으로부터 수직되게 설치되는 고정 샤프트의 일부가 밀착될 수 있도록 하는 제1 결합홈(111)이 형성되며 고정 샤프트와 밀착됨으로써 고정 샤프트의 일부를 감싸는 베이스 플레이트(110)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일면으로부터 일측에 돌출되며 각도 조정 수단(200)의 일부가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결합부(120)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며 고정 샤프트의 다른 일부가 밀착될 수 있도록 하는 제2 결합홈(131)이 형성되면서 고정 샤프트와 밀착됨으로써 고정 샤프트의 다른 일부를 감싸는 보조 플레이트(130)와, 상기 보조 플레이트(130)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에 구비되며 베이스 플레이트(110)와 보조 플레이트(130)가 제1 결합 부재(10)를 통해 결합됨에 있어서 베이스 플레이트(110)와 보조 플레이트(130)의 사이 간격을 유지하는 제1 간격 유지 부재(132)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 또는 보조 플레이트(130)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며 베이스 플레이트(110) 및 보조 플레이트(130)를 관통하여 설치됨으로써 베이스 플레이트(110)와 보조 플레이트(130)를 결합하는 제1 결합 부재(1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보조 플레이트(130)와 함께 결합 수단(100)의 외형을 이루는 것으로, 고정 샤프트의 일부를 감싸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고정 샤프트와 밀착될 수 있도록 하는 제1 결합홈(111)이 형성된다.
더불어, 제1 결합홈(111)에는 고정 샤프트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복수개의 홈이 상하(도 3에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즉,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전방면(도 3에서)으로부터 후방측 방향으로 제1 결합홈(111)이 함몰 형성되는 형상을 갖는다.
이처럼, 베이스 플레이트(110)에는 제1 결합홈(111)이 형성됨으로써 고정 샤프트와의 밀착이 이루어지며, 고정 샤프트의 후방측 일부를 감쌀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더불어,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후방면에는 결합부(120)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120)는,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후방면(도 3에서)으로부터 후방측으로 돌출되도록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 각도 조정 수단(200)과 결합되는 부위이다.
이러한, 결합부(120)는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후방면으로부터 후방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두 개의 돌출단(121)이 형성되고, 이 두 개의 돌출단은 좌우(도 3에서)로 소정 거리 이격되게 형성됨으로써 이루어진다.
여기서, 두 개의 돌출단(121) 사이에 삽입부(220)가 삽입되는 것이다.
또한, 두 개의 돌출단(121)에는 후술될 제2 결합 부재(20)가 관통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제2 결합 부재 홀(21)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제2 결합 부재 홀(21)은, 제2 결합 부재(20)가 두 개의 돌출단(121) 측면을 순차적으로 관통할 수 있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두 개의 돌출단(121)이 마주보지 않는 외측면 각각에는, 제2 결합 부재(20)가 설치됨에 있어서 풀림을 방지하기 위한 방지단(122)이 형성된다.
상기 방지단(122)은, 두 개의 돌출단(121)이 마주보지 않는 외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것으로, 하나의 돌출단(121) 외측면에서 두 개의 방지단(122)이 전후로 소정 거리 이격되게 형성된다.
즉, 각각의 돌출단(121) 외측면에 두 개의 방지단(122)이 전후(도 3에서)로 소정 거리 이격되게 형성됨으로써, 제2 결합 부재(20)가 안착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두 개의 방지단(122)은 제2 결합 부재 홀(21)로부터 외측에 위치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두 개의 돌출단(121) 사이에는 지지단(123)이 형성된다.
즉, 결합부(120)의 내부에는 제2 관통홀(124)이 형성되어 후술될 각도 유지 부재(224)의 일부가 삽입되는 지지단(123)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단(123)은, 서로 다른 돌출단(121) 사이에서 서로 다른 돌출단(121)을 잇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리브에 해당하는 것이다.
이러한, 지지단(123)은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제2 관통홀(124)이 전후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여기서, 제2 관통홀(124)은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한번 더 설명하면, 각도 유지 부재(224)의 일부가 제2 관통홀(124)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각도 유지 부재(224)가 갖는 탄성을 지지단(123)이 지지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전방측(도 3에서)에는 보조 플레이트(130)가 구비된다.
상기 보조 플레이트(130)는, 베이스 플레이트(110)와 함께 결합 수단(100)의 외형을 이루는 것으로, 고정 샤프트의 다른 일부를 감싸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보조 플레이트(130)는 고정 샤프트와 밀착될 수 있도록 하는 제2 결합홈(131)이 형성된다.
더불어, 제2 결합홈(131)에는 고정 샤프트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복수개의 홈이 상하(도 3에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즉, 보조 플레이트(130)는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후방면(도 3에서)으로부터 전방측 방향으로 제2 결합홈(131)이 함몰 형성되는 형상을 갖는다.
이처럼, 보조 플레이트(130)에는 제2 결합홈(131)이 형성됨으로써 고정 샤프트와의 밀착이 이루어지며, 고정 샤프트의 전방측 일부를 감쌀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더불어, 보조 플레이트(130)의 후방면(도 3에서) 양 끝단 일부는 후방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보조 플레이트(130)의 후방면 양 끝단에는 제1 간격 유지 부재(132)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제1 간격 유지 부재(132)는, 보조 플레이트(130)의 후방면 양 끝단에 각각 구비되는 것으로, 보조 플레이트(130)와 베이스 플레이트(110)가 결합됨에 있어서 보조 플레이트(130)와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사이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러한, 제1 간격 유지 부재(132)는 반원링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제1 간격 유지 부재(132)는 보조 플레이트(130)의 후방측으로부터 탄성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제1 간격 유지 부재(132)는, 보조 플레이트(130)와 베이스 플레이트(110)가 제1 결합 부재(10)를 통해 결합됨에 있어서 보조 플레이트(130)와 베이스 플레이트(110) 사이에서 외측 방향으로 탄성 지지함으로써 제1 결합 부재(10)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보조 플레이트(130)와 베이스 플레이트(110)가 고정 샤프트의 외부를 감싸면서 상호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제1 결합 부재(10)가 구비된다.
상기 제1 결합 부재(10)는, 보조 플레이트(130)와 베이스 플레이트(110)가 상호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일반적인 볼트와 너트에 해당하는 것이다.
따라서, 보조 플레이트(130)와 베이스 플레이트(110)에는 제1 결합 부재(10)가 보조 플레이트(130)와 베이스 플레이트(110)를 관통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제1 결합 부재 홀(11)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결합 수단(100)은 고정 샤프트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게 된다.
한편, 결합 수단(100)의 후방측(도 1에서)에는 각도 조정 수단(200)이 구비된다.
상기 각도 조정 수단(200)은, 상기 가이드부(300)와 밀착되며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각도 조정 몸체(210)와, 상기 각도 조정 몸체(210)의 일면으로부터 일측으로 돌출되며 결합 수단(100) 내부에 삽입 가능하게 형성되는 삽입부(220)와, 상기 삽입부(220) 또는 결합부(120)의 일측에 구비되며 삽입부(220) 및 결합부(120)를 관통하여 설치됨으로써 삽입부(220)와 결합부(120)를 결합하는 제2 결합 부재(20)와, 상기 각도 조정 몸체(210)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며 슬라이딩홈(310) 내부에 삽입됨으로써 각도 조정 몸체(210)가 슬라이딩홈(310)을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하는 슬라이딩 부재(230)와, 상기 슬라이딩 부재(230)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며 각도 조정 몸체(210)와 슬라이딩 부재(230)가 제3 결합 부재(30)를 통해 결합됨에 있어서 각도 조정 몸체(210)와 슬라이딩 부재(230)의 사이 간격을 유지하는 제2 간격 유지 부재(232)와, 상기 각도 조정 몸체(210)의 다른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며 각도 조정 몸체(210) 및 슬라이딩 부재(230)를 관통하여 설치됨으로써 각도 조정 몸체(210)와 슬라이딩 부재(230)를 결합하는 제3 결합 부재(3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각도 조정 몸체(210)는, 삽입부(220)와 함께 각도 조정 수단(200)의 외형을 이루는 부위로, 상하로 길게 형성되는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각도 조정 몸체(210)의 전방면(도 4에서)에는 삽입부(220)가 형성된다.
상기 삽입부(220)는, 각도 조정 몸체(210)의 전방면으로부터 전방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결합부(120) 내부에 삽입되어 결합부(120) 결합되는 부위이다.
이러한, 삽입부(220)는 결합부(120)와 결합되어 결합부(120) 내부에서 상하(도 1에서) 회전됨에 있어서 결합부(120)와의 간섭이 최소화 될 수 있도록 호 형상으로 돌출 형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더불어, 상기 삽입부(220)의 일측면 또는 양 측면에는 삽입부(220)와 결합부(120)가 결합됨에 있어서 풀림을 방지하기 위한 스파이크(221)가 형성된다.
자세히 설명하면, 삽입부(220)의 양 측면은 결합부(120)를 이루는 두 돌출단(121)의 내측면과 밀착하게 되는데, 삽입부(220)와 결합부(120)가 밀착 결합됨에 있어서 삽입부(220)와 결합부(120)는 특정 각도를 갖도록 설치된다. 이 때, 삽입부(220)와 결합부(120)가 제2 결합 부재(20)를 통해 결합됨에 있어서 자중에 의하여 최초 설치시의 특정 각도로부터 변경될 우려가 존재하게 되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삽입부(220)의 양 측면에는 스파이크(221)가 형성되는 것이다.
즉, 삽입부(220)의 양 측면과 결합부(120)를 이루는 두 돌출단(121)의 내측면이 밀착되며 제2 결합 부재(20)를 통해 결합됨에 있어서 삽입부(220)의 양 측면과 결합부(120)를 이루는 두 돌출단(121)의 내측면에는 제2 결합 부재(20)에 의한 압력이 가해지게 되는데, 이 때 스파이크(221)가 돌출단(121)과 맞물리게 됨으로써 최초 설치시의 특정 각도에서 변경되는 우려는 방지되게 된다.
한번 더 설명하면, 삽입부(220)와 결합부(120)가 제2 결합 부재(20)를 통해 결합되는 과정에서 스파이크(221)가 돌출단(121)의 내부로 파고 들어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스파이크(221)의 경도 또는 강도가 돌출단(121)의 경도 또는 강도보다 높게 형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더불어, 삽입부(220)의 양 측면에는 제2 결합 부재(20)가 관통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제2 결합 부재 홀(21)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2 결합 부재(20)는 돌출단(121)에 형성되는 제2 결합 부재 홀(21)과 삽입부(220)에 형성되는 제2 결합 부재 홀(21)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설치되게 된다.
또한, 삽입부(220)의 전방면(도 4에서)에는 각도 유지 부재(224)의 일부가 삽입부(220)로부터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하는 제1 관통홀(225)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1 관통홀(225)은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을 것이며, 삽입부(220)의 전방면(도 4에서)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이와 함께, 삽입부(220)의 내부는 중공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삽입부(220)의 내부에는 각도 유지 부재(224)가 안착되는 부시(222)가 형성되면서 부시(222)에는 삽입부(220)와 결합부(120)가 제2 결합 부재(20)를 통해 가체결됨에 있어서 삽입부(220) 또는 결합부(120)가 자중에 의하여 지면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각도 유지 부재(224)가 구비된다.
상기 부시(222)는, 삽입부(220)의 내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각도 유지 부재(224)가 설치되는 부위이다.
이러한, 부시(222)는 제2 결합 부재 홀(21)로부터 삽입부(220)의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즉, 부시(222)는 제2 결합 부재(20)가 제2 결합 부재 홀(21)을 관통함에 있어서 제2 결합 부재(20)와 간섭이 발생되지 않으면서도 제2 결합 부재(20)의 외륜부에 각도 유지 부재(224)가 설치될 수 있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부시(222)는 삽입부(220)의 서로 다른 내측면을 완전히 잇지 않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부(220)의 내부에서 중간 부위가 끊어진 상태로 형성된다.
이는, 각도 유지 부재(224)가 삽입부(220) 내부로 삽입되어 부시(222)에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삽입부(220)의 후방면(도 4에서)에 해당되는 부위의 각도 조정 몸체(210)의 일부는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각도 조정 몸체(210)의 후방측으로부터 삽입부(220) 내부로 각도 유지 부재(224)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부시(222)에는 각도 유지 부재(224)가 구비된다.
상기 각도 유지 부재(224)는, 삽입부(220)의 내부에 형성되는 서로 다른 부시(222)에 안착되는 것으로, 탄성체로 이루어진다.
더불어, 상기 제2 관통홀(124)을 지나 관통 삽입된 각도 유지 부재(224)의 끝단은 절곡되게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으로 절곡되며, 이는 절곡된 부위가 제2 관통홀(124)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각도 유지 부재(224)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각도 유지 부재(224)는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측 끝단과 후방측 끝단이 항시 상측 방향으로 탄성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자세히 설명하면, 각도 유지 부재(224)의 전방측(도 5에서) 끝단은 제1 관통홀(225) 및 제2 관통홀(124)을 관통 설치됨으로써 지지단(123)에 의하여 지지되고, 각도 유지 부재(224)의 후방측(도 5에서) 끝단은 삽입부(220) 내부에서도 삽입부(220)의 상면에 의하여 지지되게 된다. 따라서, 삽입부(220)와 결합부(120)가 제2 결합 부재(20)를 통해 결합되는 과정에서 삽입부(220) 또는 결합부(120) 중 어느 하나가 자중에 의하여 급속도로 지면 방향을 향해 회전되는 것은 방지되게 되며, 이를 통해 안테나(50)로 충격이 전달되어 고가로 이루어지는 안테나(50)가 손상되는 것은 방지되는 것이다.
즉, 각도 유지 부재(224)는 삽입부(220)와 결합부(120)가 제2 결합 부재(20)를 통해 상호 결합되는 과정에서 삽입부(220)와 결합부(120) 중 어느 하나가 지면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한편, 삽입부(220) 또는 각도 조정 몸체(210)의 측면에는 삽입부(220) 또는 결합부(120)의 설치 각도를 안내하기 위한 각도 표시부(223)가 형성되고, 결합부(120)에는 각도 표시부(223)를 통하여 삽입부(220) 또는 결합부(120)의 설치 각도를 표시하는 각도 표시침(112)이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삽입부(220)와 결합부(120)를 결합하는 제2 결합 부재(20)가 구비된다.
상기 제2 결합 부재(20)는, 삽입부(220)와 결합부(120)가 상호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일반적인 볼트와 너트에 해당하는 것이다.
이 때, 제2 결합 부재(20)를 이루는 볼트의 볼트 머리가 방지단(122) 사이에 위치함으로써 제2 결합 부재(20)를 이루는 볼트의 풀림은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이와 함께, 제2 결합 부재(20)를 너트가 볼트와 체결됨에 있어서 볼트와 너트 사이에는 와셔가 구비될 수 있을 것이며, 이 와셔는 제2 결합 부재(20)를 이루는 볼트의 볼트 머리 반대편에 위치되는 방지단(122) 사이에 위치됨으로써 제2 결합 부재(20)를 이루는 너트의 풀림은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제2 결합 부재(20)는 삽입부(220)와 결합부(120)에 형성된 제2 결합 부재 홀(21)을 관통하여 설치된다.
한편, 각도 조정 몸체(210)의 후방면(도 6에서) 상측 또는 하측에는, 안착홈(211)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홈(211)은, 각도 조정 몸체(210)의 후방면(도 6에서)으로부터 전방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슬라이딩 부재(230)가 안착 설치되는 부위이다.
따라서, 안착홈(211) 내부에는 슬라이딩 부재(230)가 구비된다.
상기 슬라이딩 부재(230)는,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전방면에는 안착홈(211)과 대응되는 돌출부(231)가 형성된다.
이러한, 슬라이딩 부재(230)는 각도 조정 몸체(210)와 결합된 상태로 슬라이딩홈(310) 내부에 삽입됨으로써 각도 조정 몸체(210)가 슬라이딩홈(310)을 따라 상하(도 1에서)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그리고, 슬라이딩 부재(230)의 전방면에는 제2 간격 유지 부재(232)가 구비된다.
상기 제2 간격 유지 부재(232)는, 슬라이딩 부재(230)의 전방면(도 5에서)에 구비되는 것으로, 슬라이딩 부재(230)와 각도 조정 몸체(210)가 결합됨에 있어서 슬라이딩 부재(230)와 각도 조정 몸체(210)의 사이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러한, 제2 간격 유지 부재(232)는 제1 간격 유지 부재(132)와 동일한 구성으로 반원링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제2 간격 유지 부재(232)는 슬라이딩 부재(230)의 전방측으로부터 탄성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제2 간격 유지 부재(232)는 슬라이딩 부재(230)와 각도 조정 몸체(210)가 제3 결합 부재(30)를 통해 결합됨에 있어서 슬라이딩 부재(230)와 각도 조정 몸체(210) 사이에서 외측 방향으로 탄성 지지함으로써 슬라이딩 부재(230)와 각도 조정 몸체(210)의 사이 간격을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슬라이딩 부재(230)와 각도 조정 몸체(210) 사이에는 제2 간격 유지 부재(232) 만큼의 이격 거리가 형성되며, 이를 통해 슬라이딩 부재(230)는 슬라이딩홈(310) 내부로 용이하게 삽입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슬라이딩 부재(230)가 슬라이딩홈(310) 내부로 삽입되어 설치 위치가 결정될 경우 제3 결합 부재(30)를 조임으로써 슬라이딩 부재(230)와 각도 조정 몸체(210)는 보다 밀착하게 되면서 슬라이딩 부재(230)의 슬라이딩 이동은 제한되게 된다.
이와 함께, 제2 간격 유지 부재(232)는 슬라이딩 부재(230)와 각도 조정 몸체(210)가 제3 결합 부재(30)를 통해 결합됨에 있어서 슬라이딩 부재(230)와 각도 조정 몸체(210) 사이에서 외측 방향으로 탄성 지지함으로써 제3 결합 부재(30)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슬라이딩 부재(230)와 각도 조정 몸체(210)는 제3 결합 부재(30)를 통해 결합된다.
상기 제3 결합 부재(30)는 슬라이딩 부재(230)와 각도 조정 몸체(210)가 상호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일반적인 볼트에 해당하는 것이다.
따라서, 슬라이딩 부재(230)와 각도 조정 몸체(210)에는 제3 결합 부재(30)가 슬라이딩 부재(230)와 각도 조정 몸체(210)를 관통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제3 결합 부재 홀(31)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슬라이딩 부재(230)에 형성된 제3 결합 부재 홀(31)에는 탭이 형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각도 조정 수단(200)의 후방측(도 1에서)에는 가이드부(300)가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부(300)는, 각도 조정 수단(200)과 결합되면서 각도 조정 수단(200)이 가이드부(3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안테나(50)와 결합되는 부위이다.
이러한, 가이드부(300)는 상하로 길게 형성되는 육면체와 유사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는 슬라이딩 부재(230)가 삽입되는 슬라이딩홈(310)이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딩홈(310)은, 가이드부(300)의 내부에서 가이드부(3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것으로, 슬라이딩 부재(230)가 슬라이딩홈(310)의 상부 또는 하부로 삽입 가능하면서도 전방측(도 1에서) 방향으로는 이탈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물론, 상기 슬라이딩홈(310)은, 상부(도 1에서) 혹은 하부 중 어느 한 방향으로만 슬라이딩 부재(23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부 혹은 하부 중 다른 한 방향으로는 슬라이딩 부재(230)가 삽입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가이드부(300)는 슬라이딩 부재(230)가 슬라이딩홈(310) 내부로 삽입되면서 각도 조정 수단(200)과 결합될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가이드부(300)는 후방면(도 1에서)이 안테나(50)와 볼팅 체결됨으로써 안테나(50)와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가이드부(300)는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져 가벼우면서도 강성을 가지도록 형성됨을 예로 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각도 조정형 고정 장치에서는 각도 유지 부재가 구비됨에 따라 결합 수단과 각도 조정 수단이 결합되는 과정에서 각도 조정 수단이 자중에 의하여 지면 방향으로 급속도로 회전되는 것은 방지되게 되고, 이를 통해 각도 조정 수단과 결합되는 안테나의 손상은 방지될 수 있게 된 것이다.
더불어, 본 발명에 의한 각도 조정형 고정 장치에서는 삽입부에 스파이크가 형성됨에 따라 결합 수단과 각도 조정 수단이 결합됨에 있어서 보다 높은 체결력을 제공하게 되고, 이를 통해 안테나의 최초 설치 각도가 변경되는 것은 방지되게 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각도 조정형 고정 장치에서는 결합부에 방지단이 형성됨에 따라 제2 결합 부재의 풀림은 방지되게 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 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0. 제1 결합 부재 11. 제1 결합 부재 홀
20. 제2 결합 부재 21. 제2 결합 부재 홀
30. 제3 결합 부재 31. 제3 결합 부재 홀
50. 안테나 100. 결합 수단
110. 베이스 플레이트 111. 제1 결합홈
112. 각도 표시침 120. 결합부
121. 돌출단 122. 방지단
123. 지지단 124. 제2 관통홀
130. 보조 플레이트 131. 제2 결합홈
132. 제1 간격 유지 부재 200. 각도 조정 수단
210. 각도 조정 몸체 211. 안착홈
220. 삽입부 221. 스파이크
222. 부시 223. 각도 표시부
224. 각도 유지 부재 225. 제1 관통홀
230. 슬라이딩 부재 231. 돌출부
232. 제2 간격 유지 부재 300. 가이드부
310. 슬라이딩홈

Claims (5)

  1. 지면으로부터 수직되게 설치되는 고정 샤프트와 결합되는 결합 수단;
    상기 결합 수단의 일측에 구비되며, 가이드부와 결합됨과 더불어 결합 수단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안테나의 설치 각도를 조정하는 각도 조정 수단;
    상기 각도 조정 수단의 일측에 구비되며, 안테나와 결합됨과 더불어 슬라이딩홈이 형성되어 각도 조정 수단이 슬라이딩홈 내부에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조정형 고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수단은,
    지면으로부터 수직되게 설치되는 고정 샤프트의 일부가 밀착될 수 있도록 하는 제1 결합홈이 형성되며, 고정 샤프트와 밀착됨으로써 고정 샤프트의 일부를 감싸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면으로부터 일측에 돌출되며, 각도 조정 수단의 일부가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결합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며, 고정 샤프트의 다른 일부가 밀착될 수 있도록 하는 제2 결합홈이 형성되면서 고정 샤프트와 밀착됨으로써 고정 샤프트의 다른 일부를 감싸는 보조 플레이트;
    상기 보조 플레이트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에 구비되며, 베이스 플레이트와 보조 플레이트가 제1 결합 부재를 통해 결합됨에 있어서 베이스 플레이트와 보조 플레이트의 사이 간격을 유지하는 제1 간격 유지 부재;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또는 보조 플레이트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며, 베이스 플레이트 및 보조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설치됨으로써 베이스 플레이트와 보조 플레이트를 결합하는 제1 결합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조정형 고정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조정 수단은,
    상기 가이드부와 밀착되며,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각도 조정 몸체;
    상기 각도 조정 몸체의 일면으로부터 일측으로 돌출되며, 결합 수단 내부에 삽입 가능하게 형성되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 또는 결합부의 일측에 구비되며, 삽입부 및 결합부를 관통하여 설치됨으로써 삽입부와 결합부를 결합하는 제2 결합 부재;
    상기 각도 조정 몸체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며, 슬라이딩홈 내부에 삽입됨으로써 각도 조정 몸체가 슬라이딩홈을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하는 슬라이딩 부재;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며, 각도 조정 몸체와 슬라이딩 부재가 제3 결합 부재를 통해 결합됨에 있어서 각도 조정 몸체와 슬라이딩 부재의 사이 간격을 유지하는 제2 간격 유지 부재;
    상기 각도 조정 몸체의 다른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며, 각도 조정 몸체 및 슬라이딩 부재를 관통하여 설치됨으로써 각도 조정 몸체와 슬라이딩 부재를 결합하는 제3 결합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조정형 고정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의 내부에는, 각도 유지 부재가 안착되는 부시가 형성되면서 부시에는 삽입부와 결합부가 제2 결합 부재를 통해 가체결됨에 있어서 삽입부 또는 결합부가 자중에 의하여 지면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각도 유지 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삽입부의 일측면 또는 양 측면에는 삽입부와 결합부가 결합됨에 있어서 풀림을 방지하기 위한 스파이크;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조정형 고정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와 대향되는 삽입부의 일면에는 각도 유지 부재의 일부가 삽입부의 내부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관통될 수 있도록 하는 제1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의 내부에는 제2 관통홀이 형성되어 각도 유지 부재의 일부가 삽입되는 지지단이 형성되며, 상기 제2 관통홀을 지나 관통 삽입된 각도 유지 부재의 끝단은 절곡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조정형 고정 장치.
KR1020210026896A 2021-02-26 2021-02-26 각도 조정형 고정 장치 KR1024534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6896A KR102453407B1 (ko) 2021-02-26 2021-02-26 각도 조정형 고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6896A KR102453407B1 (ko) 2021-02-26 2021-02-26 각도 조정형 고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2362A true KR20220122362A (ko) 2022-09-02
KR102453407B1 KR102453407B1 (ko) 2022-10-12

Family

ID=83281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6896A KR102453407B1 (ko) 2021-02-26 2021-02-26 각도 조정형 고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34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4916B1 (ko) * 2022-12-23 2023-06-20 주식회사 동명전력 송배전용 지중케이블 시공에 이용되는 이송모듈을 위한 맞춤형 브라켓모듈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2192Y1 (ko) 2001-05-21 2001-10-29 미션텔레콤 주식회사 안테나의 방향 및 각도 조정기
KR101517775B1 (ko) 2013-07-16 2015-05-07 주식회사 굿텔 안테나 고정용 슬라이드 브라켓 및 이를 사용한 안테나 고정 장치
KR102070624B1 (ko) * 2019-06-20 2020-01-29 주식회사 성산암데코 안테나 고정장치
KR102145149B1 (ko) * 2020-05-15 2020-08-14 주식회사 에스디에프 5g 기지국 안테나 지지대
KR102157068B1 (ko) * 2020-05-21 2020-09-18 (주)엘투비 안테나 각도 조절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2192Y1 (ko) 2001-05-21 2001-10-29 미션텔레콤 주식회사 안테나의 방향 및 각도 조정기
KR101517775B1 (ko) 2013-07-16 2015-05-07 주식회사 굿텔 안테나 고정용 슬라이드 브라켓 및 이를 사용한 안테나 고정 장치
KR102070624B1 (ko) * 2019-06-20 2020-01-29 주식회사 성산암데코 안테나 고정장치
KR102145149B1 (ko) * 2020-05-15 2020-08-14 주식회사 에스디에프 5g 기지국 안테나 지지대
KR102157068B1 (ko) * 2020-05-21 2020-09-18 (주)엘투비 안테나 각도 조절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4916B1 (ko) * 2022-12-23 2023-06-20 주식회사 동명전력 송배전용 지중케이블 시공에 이용되는 이송모듈을 위한 맞춤형 브라켓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3407B1 (ko) 2022-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4837Y1 (ko) 안테나용 고정브래킷
EP0516475B1 (en) Swivel mounting assembly for televisions and the like
US20090224122A1 (en) Universal support for connecting to a base of a vehicle seat
KR102453407B1 (ko) 각도 조정형 고정 장치
US8808123B2 (en) Front derailleur with frame support structure
US8007145B2 (en) Worklight with a hands-free mounting system
US20090179115A1 (en) Retaining ring structure for fixing a satellite antenna
KR20050026461A (ko) 개선된 안테나용 틸트 브래킷
CN101010476B (zh) 用于将家具铰链可调节地保持在家具件体上的安装板
US2580350A (en) Antenna mounting
KR100815769B1 (ko) 카메라 고정장치
JP5701933B2 (ja) 腕金調整装置
JP2007124455A (ja) アンテナ装置
KR101627838B1 (ko) 미닫이 도어용 롤러조립체
KR101842530B1 (ko) 사슬형 밴드, 각도 조절이 가능한 안내판 거치장치 및 이들을 이용한 지주용 안내판 설치장치
JPH08181523A (ja) 偏波角度調整機構
KR101950481B1 (ko) 높이 조절 기구
KR200351036Y1 (ko) 수납선반용 신축지지봉
KR101887911B1 (ko) 사슬형 밴드
KR200280550Y1 (ko) 벽부착 고정장치
CN216765873U (zh) 一种预应力锚杆张拉台座
JP6471204B1 (ja) 果実支持体用支持具
JP6047624B2 (ja) 機器支持装置
CN211182532U (zh) 卫星天线方位角度调整装置
KR200466420Y1 (ko) 지향각 조절이 용이한 소형 클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