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7068B1 - 안테나 각도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안테나 각도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7068B1
KR102157068B1 KR1020200060787A KR20200060787A KR102157068B1 KR 102157068 B1 KR102157068 B1 KR 102157068B1 KR 1020200060787 A KR1020200060787 A KR 1020200060787A KR 20200060787 A KR20200060787 A KR 20200060787A KR 102157068 B1 KR102157068 B1 KR 1021570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gle
antenna
angle adjustment
coupled
extension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0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용
Original Assignee
(주)엘투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투비 filed Critical (주)엘투비
Priority to KR10202000607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70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70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70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08Means for collapsing antennas or parts thereof
    • H01Q1/084Pivotable antenn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65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screw-thread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1207Supports; Mounting means for fastening a rigid aerial el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125Means for positio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옥상 또는 난간에 설치되는 안테나를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각도 조절할 수 있는 안테나 각도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건물의 옥상 또는 난간에 기 설치된 설치봉에 연결되고, 상기 설치봉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하부에서 상기 설치봉에 연결되고, 상기 설치봉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각도 조절 핸들의 회전 방향에 따라 좌우로 직선 이동하는 이동 조절대를 통해 각도 조절하는 각도 조절부; 및 제1 측면에서 안테나와 결합되고, 상기 제1 측면에 대향하는 제2 측면에서 상기 고정부와 힌지 결합되며, 하단에서 상기 각도 조절부의 이동 조절대에 힌지 결합하여 상기 이동 조절대의 위치에 따라 상기 안테나의 각도를 조절하는 커넥팅부를 포함하는 안테나 각도 조절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안테나 각도 조절 장치{ANTENNA ANGLE ADJUSTMENT APPARATUS}
본 발명은 안테나 각도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의 옥상 또는 난간에 설치되는 안테나를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각도 조절할 수 있는 안테나 각도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테나는 송수신을 위해 전자파를 공간으로 보내거나 받기 위한 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무선으로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필수적인 장치이다. 최근 이동통신에 대한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통신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기지국, 중계기 등에 설치된 다양한 형태의 이동통신용 안테나들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이러한 이동통신용 안테나들은 효율적으로 전파의 송수신을 위해 최적의 송수신 비율을 얻을 수 있는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되고 유지될 필요성이 크다.
최근 4세대 이동통신(4G Networks)에서 최대속도가 20Ggps에 달하는 5세대 이동통신(5G Networks)으로 옮겨가고 있는데, GHz 이하의 주파수를 사용하는 4G와 달리, 5G는 센티미터파(3GHz~30GHz), 밀리미터파(30GHz~300GHz)의 높은 주파수 대역에서 수백 MHz 이상의 광대역 폭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고속으로 전송한다.
그러나 5G는 24GHz 이상의 밀리미터파(mmWAVE) 주파수 대역을 활용하게 되면 신호가 빛의 성질에 가까워져 산이나 건물 같은 장애물을 피해가지 못하고, 파장 길이도 1~10mm에 불과하여 각 기지국이 주파수를 송수신할 수 있는 영역(커버리지)도 좁아지며, 주파수대가 높은 신호를 한 방향으로 몰아서 보내지 않으면 신호 송수신에 많은 에너지가 소모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기존 4세대(4G) 이동통신용 안테나는 송수신 장치와 분리된 안테나로서 무게가 9~16kg이고, 5세대(5G) 이동통신용 안테나는 송수신 장치와 결합된 일체형 안테나로서 무게가 20~25kg에 달하기 때문에 건물의 옥상 또는 난간에 기 설치된 설치봉 중에서 3미터를 초과하는 원폴(one pole) 또는 2미터 이하의 모노폴(mono pole)에 설치시 무게로 인해 안전상 2미터 이하에 설치되어야 한다.
이에, 5세대 이동통신용 안테나는 주파수 신호의 효율적인 송수신 및 안전을 고려하여 기존 4세대 이동통신용 안테나에 비해 설치 방향의 설정, 각도 조절 및 유지가 더욱 중요하다.
한국등록특허 제10-2004127호는 내구성과 배수성을 가지면서 중량물인 안테나의 지향 유지성을 갖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지주에 기계적 강도와 배수 기능 및 지향유지 기능을 가지며 안테나 모듈의 지향각을 조절하여 장착할 수 있게 한 틸팅장치를 구비하고, 틸팅장치를 안테나 모듈의 상하 일측을 구속하여 각도조절 회전지점을 형성하며 좌우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모듈각도조절 고정부와 안테나 모듈의 상하 다른 일측을 구속하여 모듈각도조절 고정부를 지점으로 안테나 모듈의 회전에 따라 안테나 모듈의 구속부를 전개시키는 모듈전개조절 고정부로 구성한 5G 안테나 모듈을 개시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2004127호(2019.07.25, 등록)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건물의 옥상 또는 난간에 설치되는 안테나를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각도 조절할 수 있는 안테나 각도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핸들의 회전으로 안테나의 설치 각도를 쉽게 변경할 수 있고, 시각적으로 설치 각도를 표시하여 현재 안테나의 각도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안테나 각도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안테나 각도 조절 장치는 건물의 옥상 또는 난간에 기 설치된 설치봉에 연결되고, 상기 설치봉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하부에서 상기 설치봉에 연결되고, 상기 설치봉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각도 조절 핸들의 회전 방향에 따라 좌우로 직선 이동하는 이동 조절대를 통해 각도 조절하는 각도 조절부; 및 제1 측면에서 안테나와 결합되고, 상기 제1 측면에 대향하는 제2 측면에서 상기 고정부와 힌지 결합되며, 하단에서 상기 각도 조절부의 이동 조절대에 힌지 결합하여 상기 이동 조절대의 위치에 따라 상기 안테나의 각도를 조절하는 커넥팅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안테나 각도 조절 장치는 다음과 같은 실시예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고정부는 상기 설치봉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면서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 클램프; 일단이 상기 고정 클램프의 상단에 결합되고, 타단이 수평 연장되어 상기 커넥팅부의 제2 측면에서 제1 힌지축을 통해 힌지 결합하는 수평 고정대; 및 일단이 상기 고정 클램프의 하단에 결합되고, 타단이 경사 연장되어 상기 커넥팅부의 제2 측면에서 상기 제1 힌지축을 통해 힌지 결합하는 경사 고정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각도 조절부는 상기 설치봉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면서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각도 클램프; 일단이 상기 각도 클램프에 결합되고 상기 설치봉의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호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판과 상기 한 쌍의 가이드판의 타단을 연결하는 연결판으로 이루어지는 가이드 플레이트; 및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내측 공간에 배치되고, 일단이 상기 각도 클램프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연결판을 관통하여 연장되어 상기 각도 조절 핸들과 연결되는 연장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가이드판은 외측 상부에 각도를 표시하는 각도 표시대가 형성되고, 상기 각도 표시대의 하부에서 상기 이동 조절대의 이동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이동 조절대의 양 측이 끼워져 상기 이동 조절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홀이 형성되며, 지면 와이어가 연결되기 위한 지면 와이어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장바는 외측 둘레를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각도 조절 핸들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여 상기 이동 조절대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이동 조절대는 내측 둘레를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는 나사산홀을 통해 상기 연장바에 끼워지고 상기 커넥팅부의 하단과 제2 힌지축을 통해 힌지 결합하는 이동판과, 상기 이동판의 양 측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가이드판 각각에 형성되는 가이드홀에 끼워져 이동하는 돌출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각도 조절부는 상기 연장바에 끼워져 상기 연결판과 상기 각도 조절 핸들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연결판과 상기 각도 조절 핸들 사이를 이동하면서 이동 위치에 따라 상기 각도 조절 핸들의 회전을 락(Lock) 또는 언락(Unlock)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도 조절부는 상기 연장바에 끼워져 상기 연결판과 상기 각도 조절 핸들 각각에 결합되고, 상기 스토퍼의 이동에 따라 상기 스토퍼에 마찰력을 발생시켜 상기 각도 조절 핸들의 회전을 제한하는 마찰력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넥팅부는 상단에 안테나 와이어가 연결되기 위한 안테나 와이어 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측면에서 상기 안테나와 결합되는 접촉면에 절연을 위한 절연판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른 안테나 각도 조절 장치는 안테나의 일면 결합되어 절연을 제공하는 제1 및 제2 절연판; 건물의 옥상 또는 난간에 기 설치된 설치봉에 연결되고, 상기 설치봉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1 절연판과 힌지 결합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상부에서 상기 설치봉의 수평 방향으로 연결되고, 각도 조절 핸들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하로 직선 이동하는 이동 조절대를 통해 각도 조절하는 각도 조절부; 및 일단이 상기 제2 절연판과 힌지 결합하고, 타단이 상기 각도 조절부의 이동 조절대에 힌지 결합하여 상기 이동 조절대의 위치에 따라 상기 안테나의 각도를 조절하는 커넥팅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른 안테나 각도 조절 장치는 다음과 같은 실시예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절연판은 외측에 각도를 표시하는 각도 표시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설치봉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면서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 클램프; 및 일단이 상기 고정 클램프에 결합되고, 타단이 수평 연장되어 제3 힌지축을 통해 상기 제1 절연판과 힌지 결합하는 수평 고정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각도 조절부는 상기 설치봉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면서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및 제2 각도 클램프; 일단이 상기 제1 각도 클램프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2 각도 클램프에 결합되는 가이드 플레이트; 및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내측 공간에 배치되고, 일단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일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타단을 관통하여 연장되어 상기 각도 조절 핸들과 연결되는 연장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는 상기 이동 조절대가 노출되어 상기 이동 조절대와 상기 커넥팅부가 연결되도록 양 측 각각에 가이드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연장바는 외측 둘레를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각도 조절 핸들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여 상기 이동 조절대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이동 조절대는 내측 둘레를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는 나사산홀을 통해 상기 연장바에 끼워지고 상기 커넥팅부의 타단과 제4 힌지축을 통해 힌지 결합할 수 있다.
상기 각도 조절부는 상기 연장바에 끼워져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와 상기 각도 조절 핸들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와 상기 각도 조절 핸들 사이를 이동하면서 이동 위치에 따라 상기 각도 조절 핸들의 회전을 락(Lock) 또는 언락(Unlock)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도 조절부는 상기 연장바에 끼워져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와 상기 각도 조절 핸들 각각에 결합되고, 상기 스토퍼의 이동에 따라 상기 스토퍼에 마찰력을 발생시켜 상기 각도 조절 핸들의 회전을 제한하는 마찰력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른 안테나 각도 조절 방법은 건물의 옥상 또는 난간에 기 설치된 설치봉에 안테나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안테나 각도 조절 장치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안테나 각도 조절 장치에 상기 안테나를 결합하는 단계; 상기 안테나 각도 조절 장치의 각도 조절 핸들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각도 조절 핸들과 연결되는 연장바에 형성되는 나사산을 따라 각도 조절부가 이동하도록 하여 상기 안테나의 각도를 조절하는 단계; 및 상기 각도 조절 핸들의 회전을 락 또는 언락하는 스토퍼를 통해 상기 안테나의 각도를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각도 조절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건물의 옥상 또는 난간에 설치되는 안테나를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각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핸들의 회전으로 안테나의 설치 각도를 쉽게 변경할 수 있고, 시각적으로 설치 각도를 표시하여 현재 안테나의 각도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각도 조절 장치의 각도 조절 전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c 및 도 1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각도 조절 장치의 각도 조절 전후를 도시한 전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각도 조절 장치의 각도 조절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각도 조절 장치의 각도 조절 전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c 및 도 3d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각도 조절 장치의 각도 조절 전후를 도시한 전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각도 조절 장치의 각도 조절부를 도시한 전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안테나 각도 조절 장치에 대하여 도 1a 내지 도 4b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각도 조절 장치의 각도 조절 전후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c 및 도 1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각도 조절 장치의 각도 조절 전후를 도시한 전면도이며,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각도 조절 장치의 각도 조절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a 내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각도 조절 장치(100)는 고정부(110), 각도 조절부(120) 및 커넥팅부(130)를 포함한다.
고정부(110)는 건물의 옥상 또는 난간에 기 설치된 설치봉(10)에 연결되고, 설치봉(10)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커넥팅부(130)와 힌지 결합한다.
고정부(110)는 설치봉(10)에 결합되는 고정 클램프(111), 고정 클램프(111)에 결합되어 수평 연장되는 수평 고정대(112), 고정 클램프(111)에 결합되어 경사 연장되는 경사 고정대(113)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 클램프(111)는 설치봉(1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면서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고정 클램프(111)는 볼트 및 너트를 조이거나 푸는 동작에 따라 설치봉(10)의 외주면에 밀착되거나 헐거워지도록 체결되는 수단으로, 볼트의 체결을 위한 체결홀이 다수 형성될 수 있다. 고정 클램프(111)는 볼트 및 너트의 푸는 동작시 설치봉(10)의 외주면에서 헐거워져 설치봉(1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또는 좌우 방향으로 회전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수평 고정대(112)는 일단이 고정 클램프(111)의 상단에 결합되고, 타단이 수평 연장되어 커넥팅부(130)의 제2 측면(132)과 제1 힌지축(H1)을 통해 힌지 결합한다. 수평 고정대(112)는 각도의 변함없이 수평을 유지하면서 제1 힌지축(H1)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커넥팅부(130)를 지지할 수 있다.
경사 고정대(113)는 일단이 고정 클램프(111)의 하단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부로 경사를 가지도록 연장되어 커넥팅부(130)의 제2 측면(132)과 제1 힌지축(H1)을 통해 힌지 결합한다. 경사 고정대(113)는 각도의 변함없이 경사를 유지하면서 제1 힌지축(H1)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커넥팅부(130)를 지지할 수 있다.
고정부(110)는 수평 고정대(112) 및 경사 고정대(11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비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추가 수평 고정대와 추가 경사 고정대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각도 조절부(120)는 고정부(110)의 하부에서 설치봉(10)에 연결되고, 고정부(110)와 수평을 이루도록 설치봉(10)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커넥팅부(130)와 힌지 결합한다.
각도 조절부(120)는 설치봉(10)에 결합되는 각도 클램프(121), 각도 클램프(121)에 결합되어 수평 연장되는 가이드 플레이트(122), 가이드 플레이트(122)의 내측 공간에 배치되는 연장바(123), 연장바(123)에 결합되는 각도 조절 핸들(124), 연장바(123)를 관통하여 배치되고 각도 조절 핸들(124)의 회전에 따라 직선 이동하는 이동 조절대(125), 각도 조절 핸들(124)의 회전을 락 또는 언락시키는 스토퍼(126), 및 스토퍼(126)에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마찰력 부재(127)를 포함할 수 있다.
각도 클램프(121)는 설치봉(1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면서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각도 클램프(121)는 볼트 및 너트를 조이거나 푸는 동작에 따라 설치봉(10)의 외주면에 밀착되거나 헐거워지도록 체결되는 수단으로, 볼트의 체결을 위한 체결홀이 다수 형성될 수 있다. 각도 클램프(121)는 볼트 및 너트의 푸는 동작시 설치봉(10)의 외주면에서 헐거워져 설치봉(1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또는 좌우 방향으로 회전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가이드 플레이트(122)는 대략 ㄷ자 형태로 형성되어 연장바(123)와 이동 조절대(125)를 지지하는 구성으로, 일단이 각도 클램프(121)에 결합되고 설치봉(10)의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호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판(122-1, 122-2)과, 한 쌍의 가이드판(122-1, 122-2)의 타단을 연결하는 연결판(122-3)으로 이루어진다.
한 쌍의 가이드판(122-1, 122-2)은 상호 이격 배치되어 이격된 공간에서 연장바(123)와 이동 조절대(125)가 배치되고, 각각 각도 표시대(122-11), 가이드홀(122-12) 및 지면 와이어 홀(122-13)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에에서, 한 쌍의 가이드판(122-1, 122-2)은 이동 조절대(125)의 이동 방향으로 길이 조절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안테나(20)의 조절 가능한 각도 범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쌍의 가이드판(122-1, 122-2)은 각각 적어도 두개의 서브판으로 분리되고, 분리된 서브판이 상호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길이 조절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아래의 설명에서 한 쌍의 가이드판(122-1, 122-2) 중 하나의 가이드판(122-1)에 형성되는 각도 표시대(122-11), 가이드홀(122-12) 및 지면 와이어 홀(122-13)에 대하여 설명하나, 다른 가이드판(122-2)에도 동일하게 각도 표시대(122-11), 가이드홀(122-12) 및 지면 와이어 홀(122-13)이 형성되어 있다.
각도 표시대(122-11)는 가이드판(122-1)의 외측 상부에 눈금 및 숫자로 각도를 표시하고 있으며, 이동 조절대(125)의 위치에 대응하는 각도를 현재 안테나(20)의 경사진 각도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각도 표시대(122-11)는 형광 물질로 각도를 표시하여 불빛이 없는 어두운 환경에서도 각도를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가이드홀(122-12)은 각도 표시대(122-11)의 하부에서 이동 조절대(125)의 이동 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이동 조절대(125)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가이드홀(122-12)은 이동 조절대(125)의 양 측으로 돌출되는 돌출판(125-2)이 끼워져 흔들림 없이 이동 조절대(125)가 직선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이드홀(122-12)은 내측의 상부 및 하부에 복수의 볼베어링이 배치되어 이동 조절대(125)의 돌출판(125-2)이 보다 부드럽게 이동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지면 와이어 홀(122-13)은 지면 와이어가 연결되기 위한 구멍으로, 안테나(20)가 바람이 강한 건물의 옥상 또는 난간에 설치되는 점을 고려하여 바람과 같은 외력으로 인한 안테나의 탈락을 방지하도록 안테나(20)의 하방 즉, 설치봉(10) 및 각도 조절부(120)의 하방을 고정 및 지지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지면 와이어는 일단이 옥상 또는 난간에 고정되고, 타단이 지면 와이어 홀(122-13)에 연결된다.
연결판(122-3)은 한 쌍의 가이드판(122-1, 122-2)의 타단을 연결하여 일체화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연결판(122-3)은 볼트 및 너트를 사용하거나 용접을 사용하여 한 쌍의 가이드판(122-1, 122-2)의 타단에 연결될 수 있다.
연장바(123)는 가이드 플레이트(122)의 내측 공간, 즉 한 쌍의 가이드판(122-1, 122-2) 사이에 배치되고, 일단이 각도 클램프(121)에 연결되고 타단이 가이드 플레이트(122)의 연결판(122-3)을 관통하여 연장된다. 연장바(123)는 연결판(122-3)을 관통하여 연장된 후 각도 조절 핸들(124)과 연결되어 각도 조절 핸들(124)의 회전에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연장바(123)는 외측 둘레를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고, 각도 조절 핸들(124)의 회전 방향에 동일하게 회전하여 나사산에 맞물리는 이동 조절대(125)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연장바(123)는 타단이 각도 조절 핸들(124)과 일체화되어 각도 조절 핸들(124)과 함께 회전하고, 일단이 각도 클램프(121)에서 헛돌도록 연결되어 제자리에서 이동 조절대(125)만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연장바(123)는 각도 조절 핸들(124)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이동 조절대(125)를 각도 조절 핸들(124)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안테나(20)의 각도를 낮아지도록 하고, 각도 조절 핸들(124)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이동 조절대(125)를 각도 조절 핸들(124)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안테나(20)의 각도를 높아지도록 할 수 있다.
각도 조절 핸들(124)은 연장바(123)의 타단에 결합되어 연장바(123)를 회전시키는 용도로 사용하는 것으로, 작업자가 안테나(20)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파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각도 조절 핸들(124)은 외측 둘레가 다각형으로 형성되거나, 다수의 돌기가 형성되거나, 고무 또는 실리콘과 같은 부재로 형성되어 작업자에 의해 회전될 때 마찰력을 증가시켜 미끄러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각도 조절 핸들(124)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연장바(123)를 회전시키고, 가이드 플레이트(122)의 연결판(122-3) 사이에 배치되는 스토퍼(126)에 의해 회전이 락(Lock) 또는 언락(Unlock)될 수 있다.
각도 조절 핸들(124)의 락 또는 언락 동작은 아래에서 스토퍼(126)의 설명시 기재한다.
이동 조절대(125)는 각도 조절 핸들(124)의 회전에 따라 연장바(123)를 따라 직선 이동하여 안테나(20)의 각도를 조절하는 구성으로, 각도 조절 핸들(124)에 가깝게 배치될수록 0도에 가까운 각도로 안테나(20)의 각도를 조절하고, 각도 조절 핸들(124)로부터 멀리 배치될수록 30도에 가까운 각도로 안테나(2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안테나(20)의 각도를 최대 30도까지 조절 가능한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며, 각도 조절대(120)의 길이에 따라 상이하게 구현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동 조절대(125)는 연장바(123)를 관통하여 끼워지고 커넥팅부(130)의 하단과 제2 힌지축(H2)을 통해 힌지 결합하는 이동판(125-1)과, 이동판(125-1)의 양 측에 돌출 형성되어 한 쌍의 가이드판(122-1, 122-2) 각각에 형성되는 가이드홀(122-12)에 끼워져 이동하는 돌출판(125-2)으로 이루어진다.
이동판(125-1)은 연장바(123)의 나사산에 대응하도록 내측 둘레를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는 나사산홀(125-11)을 통해 연장바(123)에 맞물려 끼워지고, 연장바(123)를 따라 이동하는 거리에 따라 제2 힌지축(H2)으로 연결되는 커넥팅부(130)의 각도를 가변시킬 수 있다.
제2 힌지축(H2)은 설치봉(10)에 고정대(110)가 고정되어 있는 특성 상 이동판(125-1)이 각도 조절 핸들(124)로부터 멀어질수록 이동판(125-1)으로부터 커넥팅부(130)가 더욱 기울어지도록 하여 안테나(20)의 각도 즉,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다.
돌출판(125-2)은 이동판(125-1)의 하단 양 측에 돌출 형성되고, 가이드홀(122-12)에 끼워져 이동 조절대(125)가 흔들림 없이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돌출판(125-2)은 외측의 상부 및 하부에 복수의 볼베어링이 배치되어 가이드홀(122-12)에서 보다 부드럽게 이동하도록 가이드될 수 있다.
스토퍼(126)는 연장바(123)에 끼워져 연결판(122-3)과 각도 조절 핸들(124) 사이에 배치되고, 연결판(122-3)과 각도 조절 핸들(124) 사이를 이동하면서 이동 위치에 따라 각도 조절 핸들(124)의 회전을 락(Lock) 또는 언락(Unlock)할 수 있다. 스토퍼(126)는 연장바(123)의 나사산에 맞물리는 나사산이 내측면에 형성된 너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126)는 연장바(123)를 따라 회전하여 각도 조절 핸들(124)에 밀착되면 각도 조절 핸들(124)의 회전을 언락시키고, 연장바(123)를 따라 회전하여 연결판(122-3)에 밀착되면 각도 조절 핸들(124)의 회전을 락시켜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스토퍼(126)는 각도 조절 핸들(124) 또는 연결판(122-3)에 밀착될 때 각도 조절 핸들(124)과 연결부(122-3) 각각의 면에 결합되는 마찰력 부재(127)와의 마찰력에 따라 각도 조절 핸들(124)이 회전하지 못하도록 막아주어 외부의 충격이나 힘이 가해져도 현재 안테나(20)의 각도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마찰력 부재(127)는 연장바(123)에 끼워져 연결판(122-3)과 각도 조절 핸들(124) 각각에 결합되고, 고무 또는 실리콘과 같은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되어 스토퍼(126)의 이동에 따라 밀착되면 스토퍼(126)에 마찰력을 발생시켜 각도 조절 핸들(124)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커넥팅부(130)는 일정 길이의 바 형태로 형성되고, 고정대(110) 및 각도 조절부(120)와 연결되어 안테나(20)를 지지하면서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부에 해당한다.
커넥팅부(130)는 제1 측면(131)에서 안테나(20)와 결합되고, 제1 측면(131)에 대향하는 제2 측면(132)에서 고정부(110)와 힌지 결합되며, 하단에서 각도 조절부(120)의 이동 조절대(125)에 힌지 결합하여 이동 조절대(125)의 위치에 따라 안테나(20)의 각도를 조절한다.
커넥팅부(130)는 상단에 안테나 와이어가 연결되기 위한 안테나 와이어 홀(133)이 형성되고, 제1 측면(131)에서 안테나(20)와 결합되는 접촉면에 절연을 위한 절연판(134)이 결합될 수 있다.
안테나 와이어 홀(133)은 바람과 같은 외력으로 인한 안테나(20)의 탈락을 방지하도록 커넥팅부(130)를 고정 및 지지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안테나 와이어는 일단이 옥상 또는 난간에 고정되고, 타단이 안테나 와이어 홀(133)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 지면 와이어 홀(122-13) 및 안테나 와이어 홀(133)을 통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각도 조절 장치(100)의 하방 및 상방 각각을 고정 및 지지함으로써, 안테나(20)가 외력으로 인해 탈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절연판(134)은 안테나(20)에 흐르는 전기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각도 조절 장치(100)로 통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안테나(20)의 고장 및 작업자의 감전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각도 조절 장치의 각도 조절 전후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c 및 도 3d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각도 조절 장치의 각도 조절 전후를 도시한 전면도이며,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각도 조절 장치의 각도 조절부를 도시한 전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각도 조절 장치(200)는 고정부(210), 각도 조절부(220), 커넥팅부(230), 제1 및 제2 절연판(241, 242)을 포함한다.
고정부(210)는 건물의 옥상 또는 난간에 기 설치된 설치봉(10)에 연결되고, 설치봉(10)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제1 절연판(241)과 힌지 결합한다.
고정부(210)는 설치봉(10)에 결합되는 고정 클램프(211), 고정 클램프(211)에 결합되어 수평 연장되는 수평 고정대(212)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 클램프(211)는 설치봉(1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면서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고정 클램프(211)는 볼트 및 너트를 조이거나 푸는 동작에 따라 설치봉(10)의 외주면에 밀착되거나 헐거워지도록 체결되는 수단으로, 볼트의 체결을 위한 체결홀이 다수 형성될 수 있다. 고정 클램프(211)는 볼트 및 너트의 푸는 동작시 설치봉(10)의 외주면에서 헐거워져 설치봉(1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또는 좌우 방향으로 회전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수평 고정대(212)는 일단이 고정 클램프(211)에 결합되고, 타단이 수평 연장되어 제3 힌지축(H3)을 통해 제1 절연판(241)과 힌지 결합한다. 수평 고정대(212)는 각도의 변함없이 수평을 유지하면서 제3 힌지축(H3)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제1 절연판(241)을 지지할 수 있다.
각도 조절부(220)는 고정부(210)의 상부에서 설치봉(10)의 길이 방향과 수평을 이루도록 설치봉(10)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커넥팅부(230)와 힌지 결합한다.
각도 조절부(220)는 설치봉(10)에 결합되는 제1 및 제2 각도 클램프(221, 222), 일단이 제1 각도 클램프(221)에 결합되고 타단이 제2 각도 클램프(222)에 결합되어 수평 연장되는 가이드 플레이트(223), 가이드 플레이트(223)의 내측 공간에 배치되는 연장바(224), 연장바(224)에 결합되는 각도 조절 핸들(225), 연장바(224)를 관통하여 배치되고 각도 조절 핸들(225)의 회전에 따라 직선 이동하는 이동 조절대(226), 각도 조절 핸들(225)의 회전을 락 또는 언락시키는 스토퍼(227), 및 스토퍼(227)에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마찰력 부재(228)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각도 클램프(221, 222)는 설치봉(1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면서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 및 제2 각도 클램프(221, 222)는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고, 볼트 및 너트를 조이거나 푸는 동작에 따라 설치봉(10)의 외주면에 밀착되거나 헐거워지도록 체결되는 수단으로, 볼트의 체결을 위한 체결홀이 다수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각도 클램프(221, 222)는 볼트 및 너트의 푸는 동작시 설치봉(10)의 외주면에서 헐거워져 설치봉(1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또는 좌우 방향으로 회전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가이드 플레이트(223)는 대략 ㅁ자 형태로 형성되어 연장바(224)와 이동 조절대(226)를 지지하는 구성으로, 설치봉(10)이 배치되는 측면에서 제1 및 제2 각도 클램프(221, 222)에 결합되고 설치봉(10)의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다.
가이드 플레이트(223)는 양측 각각에 이동 조절대(226)의 이동 방향, 즉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홀(223-1)이 형성되어 이동 조절대(226)가 노출 및 끼워져 이동 조절대(226)와 커넥팅부(230)가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연장바(224)는 가이드 플레이트(223)의 내측 공간에 배치되고, 일단이 가이드 플레이트(223)의 일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가이드 플레이트(223)의 타단을 관통하여 연장된다. 연장바(224)는 가이드 플레이트(223)를 관통하여 연장된 후 각도 조절 핸들(225)과 연결되어 각도 조절 핸들(225)의 회전에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연장바(224)는 외측 둘레를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고, 각도 조절 핸들(225)의 회전 방향에 동일하게 회전하여 나사산에 맞물리는 이동 조절대(226)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연장바(224)는 타단이 각도 조절 핸들(225)과 일체화되어 각도 조절 핸들(225)과 함께 회전하고, 일단이 가이드 플레이트(223)에서 헛돌도록 연결되어 제자리에서 이동 조절대(226)만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연장바(224)는 각도 조절 핸들(225)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이동 조절대(226)를 각도 조절 핸들(225)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안테나(20)의 각도를 낮아지도록 하고, 각도 조절 핸들(225)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이동 조절대(226)를 각도 조절 핸들(225)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안테나(20)의 각도를 높아지도록 할 수 있다.
각도 조절 핸들(225)은 연장바(224)의 타단에 결합되어 연장바(224)를 회전시키는 용도로 사용하는 것으로, 작업자가 안테나(20)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파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각도 조절 핸들(225)은 외측 둘레가 다각형으로 형성되거나, 다수의 돌기가 형성되거나, 고무 또는 실리콘과 같은 부재로 형성되어 작업자에 의해 회전될 때 마찰력을 증가시켜 미끄러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각도 조절 핸들(225)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연장바(224)를 회전시키고, 가이드 플레이트(223)와의 사이에 배치되는 스토퍼(227)에 의해 회전이 락(Lock) 또는 언락(Unlock)될 수 있다.
이동 조절대(226)는 각도 조절 핸들(225)의 회전에 따라 연장바(224)를 따라 상하로 직선 이동하여 안테나(20)의 각도를 조절하는 구성으로, 각도 조절 핸들(225)에 가깝게 배치될수록 0도에 가까운 각도로 안테나(20)의 각도를 조절하고, 각도 조절 핸들(225)로부터 멀리 배치될수록 30도에 가까운 각도로 안테나(2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안테나(20)의 각도를 최대 30도까지 조절 가능한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며, 각도 조절대(220)의 길이에 따라 상이하게 구현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동 조절대(226)는 대략 장방형으로 형성되고, 연장바(224)의 나사산에 대응하도록 내측 둘레를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는 나사산홀(미도시)이 중앙에 형성되어 나사산홀(미도시)을 통해 연장바(224)에 맞물려 끼워질 수 있다. 이동 조절대(226)는 커넥팅부(230)의 타단과 제4 힌지축(H4)을 통해 힌지 결합하여 연장바(224)를 따라 이동하는 거리에 따라 제4 힌지축(H4)으로 연결되는 커넥팅부(230)의 각도를 가변시킬 수 있다.
스토퍼(227)는 연장바(224)에 끼워져 가이드 플레이트(223)와 각도 조절 핸들(225) 사이에 배치되고, 가이드 플레이트(223)와 각도 조절 핸들(225) 사이를 이동하면서 이동 위치에 따라 각도 조절 핸들(225)의 회전을 락(Lock) 또는 언락(Unlock)할 수 있다. 스토퍼(227)는 연장바(224)의 나사산에 맞물리는 나사산이 내측면에 형성된 너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227)는 연장바(224)를 따라 회전하여 각도 조절 핸들(225)에 밀착되면 각도 조절 핸들(225)의 회전을 언락시키고, 연장바(224)를 따라 회전하여 가이드 플레이트(223)에 밀착되면 각도 조절 핸들(225)의 회전을 락시켜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스토퍼(227)는 각도 조절 핸들(225) 또는 가이드 플레이트(223)에 밀착될 때 각도 조절 핸들(225)과 가이드 플레이트(223) 각각의 면에 결합되는 마찰력 부재(228)와의 마찰력에 따라 각도 조절 핸들(225)이 회전하지 못하도록 막아주어 외부의 충격이나 힘이 가해져도 현재 안테나(20)의 각도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마찰력 부재(228)는 연장바(224)에 끼워져 가이드 플레이트(223)와 각도 조절 핸들(225) 각각에 결합되고, 고무 또는 실리콘과 같은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되어 스토퍼(227)의 이동에 따라 밀착되면 스토퍼(227)에 마찰력을 발생시켜 각도 조절 핸들(225)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커넥팅부(230)는 일정 길이의 바 형태로 형성되고, 제2 절연판(242) 및 각도 조절부(220)와 연결되어 안테나(20)를 지지하면서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부에 해당한다.
커넥팅부(230)는 일단이 제5 힌지축(H5)을 통해 제2 절연판(242)과 결합되고, 타단이 제4 힌지축(H4)을 통해 각도 조절부(220)의 이동 조절대(226)에 힌지 결합하여 이동 조절대(226)의 위치에 따라 안테나(20)의 각도를 조절한다.
커넥팅부(230)는 이동 조절대(226)의 이동 위치에 따라 각도 조절부(220)와 가깝게 배치되거나 멀리 배치될 수 있으며, 각도 조절부(220)와 가깝게 배치되는 경우 안테나(20)의 각도가 0도에 가까워지고, 각도 조절부(220)와 멀리 배치되는 경우 안테나(20)의 각도가 30도에 가까워질 수 있다.
제1 및 제2 절연판(241, 242)은 안테나(20)의 일면 결합되어 절연을 제공하는 절연체로, 안테나(20)에 흐르는 전기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각도 조절 장치(200)로 통전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테나(20)의 고장 및 작업자의 감전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절연판(241)은 안테나(20)의 하부에서 제3 힌지축(H3)을 통해 고정부(210)와 연결되고, 외측에 각도를 표시하는 각도 표시대(241-1)가 형성될 수 있다. 각도 표시대(241-1)는 제1 절연판(241)의 외측에 눈금 및 숫자로 각도를 표시하고 있으며, 이동 조절대(226)의 위치에 대응하는 각도를 현재 안테나(20)의 경사진 각도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각도 표시대(241-1)는 형광 물질로 각도를 표시하여 불빛이 없는 어두운 환경에서도 각도를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제2 절연판(242)은 안테나(20)의 상부에서 제5 힌지축(H5)을 통해 커넥팅부(230)와 연결될 수 있다.
이하에서 안테나 각도 조절 장치(100, 200)를 이용한 안테나 각도 조절 방법을 설명하면, 건물의 옥상 또는 난간에 기 설치된 설치봉(10)에 안테나(20)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안테나 각도 조절 장치(100, 200)를 설치한다.
안테나 각도 조절 장치(100, 200)는 위에서 설명한 고정부(110), 각도 조절부(120) 및 커넥팅부(130)로 이루어지거나, 고정부(210), 각도 조절부(220), 커넥팅부(230), 제1 및 제2 절연판(241, 24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설치봉(10)에 안테나 각도 조절 장치(100, 200)가 설치되면 안테나 각도 조절 장치(100, 200)에 안테나(20)를 결합한다.
이후, 안테나 각도 조절 장치(100, 200)의 각도 조절 핸들(124, 225)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각도 조절 핸들(124, 225)과 연결되는 연장바(123, 224)에 형성되는 나사산을 따라 각도 조절부(120, 220)가 이동하도록 하여 안테나(20)의 각도를 조절한다.
안테나(20)의 각도 조절이 완료되면 각도 조절 핸들(124, 225)의 회전을 락 또는 언락하는 스토퍼(126, 227)를 통해 안테나(20)의 각도를 고정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안테나 각도 조절 장치(100, 200)를 도 1a 내지 도 4b에 도시된 형상으로 한정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며, 각도 조절 핸들(124, 225)과 같은 손잡이의 회전에 따라 안테나(2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것도 채택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200: 안테나 각도 조절 장치
110, 210: 고정부
120, 220: 각도 조절부
130, 230: 커넥팅부
241, 242: 제1 및 제2 절연판
10: 설치봉
20: 안테나

Claims (19)

  1. 건물의 옥상 또는 난간에 기 설치된 설치봉에 연결되고, 상기 설치봉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하부에서 상기 설치봉에 연결되고, 상기 설치봉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각도 조절 핸들의 회전 방향에 따라 좌우로 직선 이동하는 이동 조절대를 통해 각도 조절하는 각도 조절부; 및
    제1 측면에서 안테나와 결합되고, 상기 제1 측면에 대향하는 제2 측면에서 상기 고정부와 힌지 결합되며, 하단에서 상기 각도 조절부의 이동 조절대에 힌지 결합하여 상기 이동 조절대의 위치에 따라 상기 안테나의 각도를 조절하는 커넥팅부를 포함하고,
    상기 각도 조절부는
    상기 설치봉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면서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각도 클램프;
    일단이 상기 각도 클램프에 결합되고 상기 설치봉의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호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판과 상기 한 쌍의 가이드판의 타단을 연결하는 연결판으로 이루어지는 가이드 플레이트;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내측 공간에 배치되고, 일단이 상기 각도 클램프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연결판을 관통하여 연장되어 상기 각도 조절 핸들과 연결되는 연장바; 및
    상기 연장바에 끼워져 상기 연결판과 상기 각도 조절 핸들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각도 조절 핸들에 밀착되면 상기 각도 조절 핸들의 회전을 언락(Unlock)시키고, 상기 연장바를 따라 회전하여 상기 연결판에 밀착되면 상기 각도 조절 핸들의 회전을 락(Lock)시키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안테나 각도 조절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설치봉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면서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 클램프;
    일단이 상기 고정 클램프의 상단에 결합되고, 타단이 수평 연장되어 상기 커넥팅부의 제2 측면에서 제1 힌지축을 통해 힌지 결합하는 수평 고정대; 및
    일단이 상기 고정 클램프의 하단에 결합되고, 타단이 경사 연장되어 상기 커넥팅부의 제2 측면에서 상기 제1 힌지축을 통해 힌지 결합하는 경사 고정대로 이루어지는
    안테나 각도 조절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가이드판은
    외측 상부에 각도를 표시하는 각도 표시대가 형성되고, 상기 각도 표시대의 하부에서 상기 이동 조절대의 이동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이동 조절대의 양 측이 끼워져 상기 이동 조절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홀이 형성되며, 지면 와이어가 연결되기 위한 지면 와이어 홀이 형성되는
    안테나 각도 조절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바는
    외측 둘레를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각도 조절 핸들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여 상기 이동 조절대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각도 조절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조절대는
    내측 둘레를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는 나사산홀을 통해 상기 연장바에 끼워지고 상기 커넥팅부의 하단과 제2 힌지축을 통해 힌지 결합하는 이동판과, 상기 이동판의 양 측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가이드판 각각에 형성되는 가이드홀에 끼워져 이동하는 돌출판으로 이루어지는
    안테나 각도 조절 장치.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조절부는
    상기 연장바에 끼워져 상기 연결판과 상기 각도 조절 핸들 각각에 결합되고, 상기 스토퍼의 이동에 따라 상기 스토퍼에 마찰력을 발생시켜 상기 각도 조절 핸들의 회전을 제한하는 마찰력 부재를 더 포함하는
    안테나 각도 조절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부는
    상단에 안테나 와이어가 연결되기 위한 안테나 와이어 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측면에서 상기 안테나와 결합되는 접촉면에 절연을 위한 절연판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각도 조절 장치.
  10. 안테나의 일안테나의 일면 결합되어 절연을 제공하는 제1 및 제2 절연판;
    건물의 옥상 또는 난간에 기 설치된 설치봉에 연결되고, 상기 설치봉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1 절연판과 힌지 결합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상부에서 상기 설치봉의 수평 방향으로 연결되고, 각도 조절 핸들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하로 직선 이동하는 이동 조절대를 통해 각도 조절하는 각도 조절부; 및
    일단이 상기 제2 절연판과 힌지 결합하고, 타단이 상기 각도 조절부의 이동 조절대에 힌지 결합하여 상기 이동 조절대의 위치에 따라 상기 안테나의 각도를 조절하는 커넥팅부를 포함하고,
    상기 각도 조절부는
    상기 설치봉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면서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및 제2 각도 클램프;
    일단이 상기 제1 각도 클램프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2 각도 클램프에 결합되는 가이드 플레이트;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내측 공간에 배치되고, 일단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일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타단을 관통하여 연장되어 상기 각도 조절 핸들과 연결되는 연장바; 및
    상기 연장바에 끼워져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와 상기 각도 조절 핸들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각도 조절 핸들에 밀착되면 상기 각도 조절 핸들의 회전을 언락(Unlock)시키고, 상기 연장바를 따라 회전하여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에 밀착되면 상기 각도 조절 핸들의 회전을 락(Lock)시키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안테나 각도 조절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연판은
    외측에 각도를 표시하는 각도 표시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각도 조절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설치봉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면서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 클램프; 및
    일단이 상기 고정 클램프에 결합되고, 타단이 수평 연장되어 제3 힌지축을 통해 상기 제1 절연판과 힌지 결합하는 수평 고정대로 이루어지는
    안테나 각도 조절 장치.
  13. 삭제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는
    상기 이동 조절대가 노출되어 상기 이동 조절대와 상기 커넥팅부가 연결되도록 양 측 각각에 가이드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각도 조절 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바는
    외측 둘레를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각도 조절 핸들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여 상기 이동 조절대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각도 조절 장치.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조절대는
    내측 둘레를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는 나사산홀을 통해 상기 연장바에 끼워지고 상기 커넥팅부의 타단과 제4 힌지축을 통해 힌지 결합하는
    안테나 각도 조절 장치.
  17. 삭제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조절부는
    상기 연장바에 끼워져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와 상기 각도 조절 핸들 각각에 결합되고, 상기 스토퍼의 이동에 따라 상기 스토퍼에 마찰력을 발생시켜 상기 각도 조절 핸들의 회전을 제한하는 마찰력 부재를 더 포함하는
    안테나 각도 조절 장치.
  19. 제1항, 제2항, 제4항, 제5항, 제6항, 제8항 및 9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 또는 제10항, 제11항, 제12항, 제14항, 제15항, 제16항 및 제18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의한 안테나 각도 조절 장치의 안테나 각도 조절 방법에 있어서,
    건물의 옥상 또는 난간에 기 설치된 설치봉에 안테나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안테나 각도 조절 장치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안테나 각도 조절 장치에 상기 안테나를 결합하는 단계;
    상기 안테나 각도 조절 장치의 각도 조절 핸들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각도 조절 핸들과 연결되는 연장바에 형성되는 나사산을 따라 각도 조절부가 이동하도록 하여 상기 안테나의 각도를 조절하는 단계; 및
    상기 각도 조절 핸들의 회전을 락 또는 언락하는 스토퍼를 통해 상기 안테나의 각도를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안테나 각도 조절 방법.
KR1020200060787A 2020-05-21 2020-05-21 안테나 각도 조절 장치 KR1021570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0787A KR102157068B1 (ko) 2020-05-21 2020-05-21 안테나 각도 조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0787A KR102157068B1 (ko) 2020-05-21 2020-05-21 안테나 각도 조절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7068B1 true KR102157068B1 (ko) 2020-09-18

Family

ID=72670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0787A KR102157068B1 (ko) 2020-05-21 2020-05-21 안테나 각도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706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39938A (zh) * 2022-03-17 2022-06-17 齐鲁空天信息研究院 展开铰链及星载天线
KR20220122362A (ko) * 2021-02-26 2022-09-02 이정호 각도 조정형 고정 장치
KR102566169B1 (ko) * 2022-02-08 2023-08-10 김송태 안테나 거치 장치
US11916279B1 (en) * 2022-05-20 2024-02-27 Anduril Industries, Inc. Modular system for detecting, tracking, and transmitting to identified objects
WO2024071727A1 (ko) * 2022-09-28 2024-04-04 삼성전자주식회사 조절 가능한 통신 장비 조립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9260A (ko) * 2002-02-19 2003-08-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기지국용 안테나장치
JP2004512719A (ja) * 2000-10-16 2004-04-22 ブイグ テレコム アンテナのマストとアンテナの方向づけを調節するための装置
JP2017017582A (ja) * 2015-07-02 2017-01-19 株式会社東芝 平面アンテナ装置
KR102004127B1 (ko) 2019-04-26 2019-07-25 주식회사 동양산업 틸팅장치를 갖는 5g 안테나모듈
KR102014683B1 (ko) * 2019-06-12 2019-08-26 김송태 5g 안테나 회전형 거치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12719A (ja) * 2000-10-16 2004-04-22 ブイグ テレコム アンテナのマストとアンテナの方向づけを調節するための装置
KR20030069260A (ko) * 2002-02-19 2003-08-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기지국용 안테나장치
JP2017017582A (ja) * 2015-07-02 2017-01-19 株式会社東芝 平面アンテナ装置
KR102004127B1 (ko) 2019-04-26 2019-07-25 주식회사 동양산업 틸팅장치를 갖는 5g 안테나모듈
KR102014683B1 (ko) * 2019-06-12 2019-08-26 김송태 5g 안테나 회전형 거치대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2362A (ko) * 2021-02-26 2022-09-02 이정호 각도 조정형 고정 장치
KR102453407B1 (ko) * 2021-02-26 2022-10-12 이정호 각도 조정형 고정 장치
KR102566169B1 (ko) * 2022-02-08 2023-08-10 김송태 안테나 거치 장치
WO2023153575A1 (ko) * 2022-02-08 2023-08-17 김송태 안테나 거치 장치
CN114639938A (zh) * 2022-03-17 2022-06-17 齐鲁空天信息研究院 展开铰链及星载天线
CN114639938B (zh) * 2022-03-17 2023-09-05 齐鲁空天信息研究院 展开铰链及星载天线
US11916279B1 (en) * 2022-05-20 2024-02-27 Anduril Industries, Inc. Modular system for detecting, tracking, and transmitting to identified objects
US20240097308A1 (en) * 2022-05-20 2024-03-21 Anduril Industries, Inc. Modular system for detecting, tracking, and transmitting to identified objects
WO2024071727A1 (ko) * 2022-09-28 2024-04-04 삼성전자주식회사 조절 가능한 통신 장비 조립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7068B1 (ko) 안테나 각도 조절 장치
US11539127B2 (en) Wireless telecommunication antenna mount and control system
US10511090B2 (en) Wireless telecommunication antenna mount and control system
EP2383836A1 (en) Antenna mast system and mounting apparatus
US11450940B2 (en) Mechanical actuators for a wireless telecommunication antenna mount
WO2018013602A2 (en) Wireless telecommunication antenna mount and control system
KR102145150B1 (ko) 5g 기지국 안테나 지지대
US11811126B2 (en) Antenna apparatus and radio base station
US4086599A (en) Dish antenna with adjustable and collapsible support
KR102014682B1 (ko) 5g 안테나 거치대
JP7387004B2 (ja) 基地局アンテナ用クランピング装置
US11804651B2 (en) Wireless telecommunication antenna mount and control system and methods of operating the same
KR101414137B1 (ko) 방사 방향을 변경할 수 있는 안테나 조정장치
US6052092A (en) Wireless telecommunication antenna mount
KR20200006926A (ko) 안테나 설치 구조물
KR102511595B1 (ko) 5g 및 lte 안테나 공용 거치대
KR102014684B1 (ko) 5g 안테나 더블형 거치대
KR19990077539A (ko) 브래킷
US11811129B2 (en) Mechanical actuators for a wireless telecommunication antenna mount
US6582147B1 (en) Adjustment joint, fastening elements and method for installation and position setting using an adjustment joint
KR102504636B1 (ko) 안테나 거치 장치
KR102566169B1 (ko) 안테나 거치 장치
WO2021226556A1 (en) Mechanical actuators for a wireless telecommunication antenna mount
KR102280946B1 (ko) 개선된 5g 안테나 거치대
KR101075374B1 (ko) 안테나 증설 가능한 안테나 지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