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1595B1 - 5g 및 lte 안테나 공용 거치대 - Google Patents

5g 및 lte 안테나 공용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1595B1
KR102511595B1 KR1020210017069A KR20210017069A KR102511595B1 KR 102511595 B1 KR102511595 B1 KR 102511595B1 KR 1020210017069 A KR1020210017069 A KR 1020210017069A KR 20210017069 A KR20210017069 A KR 20210017069A KR 102511595 B1 KR102511595 B1 KR 1025115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panel
antenna
extension
turnbuck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70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13182A (ko
Inventor
김송태
Original Assignee
김송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송태 filed Critical 김송태
Priority to KR10202100170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1595B1/ko
Publication of KR20220113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31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1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15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1207Supports; Mounting means for fastening a rigid aerial el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65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screw-thread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6Turnbuck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01Q3/02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using mechanical movement of antenna or antenna system as a whole
    • H01Q3/04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using mechanical movement of antenna or antenna system as a whole for varying one co-ordinate of the orien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옥상 또는 난간 및 통신주에 기설치된 설치봉(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면서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설치봉(10)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V"자형 결합홈(110)이 각각 함몰 형성되고, 볼트 및 너트를 포함하는 체결수단(105)에 의해 서로 간의 결합 간격이 조절 가능한 한 쌍으로 구성된 바디클램프(body clamp, 100)와; 상기 바디클램프(100)의 하방에 위치하면서 상기 설치봉에 결합되고, 상기 설치봉(10) 및 바디클램프(100)의 하방을 지지 용도의 와이어(wire)를 연결하기 위한 와이어연결홀(210)이 등간격으로 다수개가 관통 형성된 와이어클램프(wire clamp, 200)와; 상기 바디클램프(100)에 좌우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일측이 상기 바디클램프(100)에 고정된 힌지결합부(310)가 구비되고, 상방에는 턴버클 체결홀(320)이 관통 형성되며, 하방에는 패널 체결홀(330)이 관통 형성된 복수의 커넥팅판(340)이 회전체(350)를 매개로 상기 힌지결합부(310)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넥팅암(connecting arm, 300)과; 턴버클바디(turn buckle body, 410)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턴버클바디의 양측에 각각 인출 또는 인입 동작되는 제1 확장로드(420a) 및 제2 확장로드(420b)가 구비되고, 상기 제1 확장로드(420a) 및 제2 확장로드(420b)의 인출 또는 인입 동작된 상태를 고정시키도록 상기 턴버클바디(410)의 양측에 고정수단(430)이 결합되며, 상기 제1 확장로드(420a)는 상기 커넥팅암(300)의 턴버클 체결홀(320)에 힌지 결합된 턴버클(turn buckle, 400)과; 상기 커넥팅암(300) 및 턴버클(400) 각각과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후방의 하방에는 상기 커넥팅암(300)의 패널 체결홀(330)과 힌지 결합되고, 후방의 상방에는 상기 턴버클(400)의 제2 확장로드(420b)와 힌지 결합되며, 상방 및 하방 각각에는 복수개의 고정결합홀(510)이 관통 형성된 패널(panel, 500)과; 안테나(20)의 후방의 상방에 상하 방향으로 결합된 상방연장패널(610) 및 안테나(20)의 후방의 하방에 상하 방향으로 결합된 하방연장패널(620)로 구성되되, 상기 상방연장패널(610) 및 하방연장패널(620) 각각에는 상하 방향으로 다수개의 길이가변홀(630)이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기 안테나(20)의 상하 방향 길이에 따라 다수개의 길이가변홀(630) 중에서 선택적으로 상기 고정결합홀(510)과 연통되어 결합되는 연장패널부(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5G 및 LTE 안테나 공용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5G 및 LTE 안테나 공용 거치대{Mounting apparatus of 5G and LTE antenna}
본 발명은 안테나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의 옥상 또는 난간 및 통신주에 기설치된 설치봉에 설치되되, 설치봉에 결합된 바디클램프(body clamp)를 통하여 안테나의 상하방향 이동 및 좌우방향 회전이 가능하고, 커넥팅암(connecting arm) 및 턴버클(turn buckle)을 통하여 상기 바디클램프가 고정된 상태로 안테나의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 각각으로의 회전을 미세하게 조정이 가능하며, 패널(panel) 및 연장패널부를 통하여 상하방향 길이가 다른 5세대 이동통신(5G Networks) 및 4세대 이동통신(4G Networks, LTE) 안테나 각각에 대응하여 모두 설치가 가능한 5G 및 LTE 안테나 공용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테나는 송수신을 위해 전자파를 공간으로 보내거나 받기 위한 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무선으로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필수적인 장치이다. 최근 이동통신에 대한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통신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기지국, 중계기 등에 설치된 다양한 형태의 이동통신용 안테나들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이러한 이동통신용 안테나들은 효율적으로 전파의 송수신을 위해 최적의 송수신 비율을 얻을 수 있는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되고 유지될 필요성이 크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62143호(2008. 09. 30)는 조정기능을 제공하는 안테나 고정장치가 제안된 바 있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16)가 지주(14)에 고정될 수 있도록 지주(14)와 결합 되는 클램프(22)와, 주파수 방사면과 대응하는 상기 안테나(16)의 배면에 폭 방향으로 배치되면서 수직방향을 따라 간격을 가지도록 구비되는 슬라이드 브라켓(40), 상기 슬라이드 브라켓(40)에 형성되어 상기 클램프(22)와 연결되는 고정 브라켓(32)이 이동 가능하게 결합 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지주(14)를 중심으로 안테나(16)가 수평이동하여 좌우방향으로 조정되도록 가이드 슬롯(44)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안테나 고정장치(26)가 제공된다.
상기 제안된 기술은 고정 브라켓(32)이 힌지 결합된 복수의 링크부재들로 접철 가능하게 구비되므로 안테나(16)의 설치방향을 상하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가이드 슬롯(44)을 이용하여 안테나(16)의 설치방향을 수평이동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조절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안테나의 설치방향을 조정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 경우, 가이드 슬롯(44)을 이용한 안테나(16)의 설치방향 조절은 안테나(16)의 폭을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지주(14)를 중심으로 하는 회전방향으로의 설치방향 조절은 불가능하므로 변위 범위가 작은 문제가 있으며, 설치방향이 조절된 안테나(16)의 설치상태를 바람 등에 의한 외력으로부터 유지시키는 힘은 가이드 슬롯(44)에 의해 결합된 슬라이드 브라켓(40)과 고정 브라켓(32) 사이의 마찰력으로 볼 수 있는데, 통상 이동통신용 기지국이 주로 설치되는 건물 옥상 또는 산 정상 등에서는 위와 같은 마찰력으로 높은 풍속을 이기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클램프(22)와 고정 브라켓(32)의 결합 및 슬라이드 브라켓(40)을 형성하는 링크부재들 사이의 결합이 모두 볼트와 너트를 이용한 힌지 결합(34)으로 이루어지는데 이 역시 높은 풍속을 이기는데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최근 4세대 이동통신(4G Networks)에서 최대속도가 20Ggps에 달하는 5세대 이동통신(5G Networks)으로 옮겨가고 있는데 GHz 이하의 주파수를 사용하는 4G와 달리, 5G는 센티미터파(3GHz~30GHz), 밀리미터파(30GHz~300GHz)의 높은 주파수 대역에서 수백 MHz 이상의 광대역 폭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고속으로 전송한다. 그러나 5G는 24GHz 이상의 밀리미터파(mmWAVE) 주파수 대역을 활용하게 되면 신호가 빛의 성질에 가까워져 산이나 건물 같은 장애물을 피해가지 못하고, 파장 길이도 1~10mm에 불과하여 각 기지국이 주파수를 송수신할 수 있는 영역(커버리지)도 좁아지며, 주파수대가 높은 신호는 한 방향으로 몰아서 보내지 않으면 신호 송수신에 많은 에너지가 소모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기존 4세대(4G) 이동통신용 안테나는 송수신장치와 분리된 안테나로서 무게가 9~16kg이고, 5세대(5G) 이동통신용 안테나는 송수신장치와 결합된 일체형 안테나로서 무게라 20~25kg에 달하기 때문에 5세대(5G) 이동통신용 안테나는 건물의 옥상 또는 난간에 기설치된 설치봉 중에서 3미터를 초과하는 원폴(one pole) 또는 2미터 이하의 모노폴(mono pole)에 설치시 무게로 인해 안전상 2미터 이하에 설치되어야 한다. 따라서, 5세대(5G) 이동통신용 안테나는 주파수 신호의 효율적인 송수신 및 안전을 고려하여 기존 4세대 이동통신용 안테나에 비해 설치방향의 설정 및 유지가 더욱 중요하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5세대(5G) 이동통신용 안테나의 특성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 출원 등록된 등록특허 제10-2014683호(2019.08.20)에는 5G 안테나 회전형 거치대가 제안된 바 있는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체결 방식의 상부 스윙(top swing, 530) 및 슬롯홀(slot hole) 방식의 하부 스윙(bottom swing)에 의존하여 바디클램프(100)의 조정없이 안테나를 좌우방향으로 회전을 조정하도록 함으로 인하여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비용이 상승하며 상부 스윙(top swing) 및 하부 스윙(bottom swing)을 함께 조작해야하므로 조작이 불편한 문제점은 여전히 남아있다.
또한, 5세대 이동통신(5G Networks) 및 4세대 이동통신(4G Networks, LTE) 안테나 각각은 대부분 상하방향 길이가 다르게 제조되는데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어 등록된 종래기술은 안테나와 결합되는 부분의 상하방향 길이 조절에 한계가 있으므로 4세대 이동통신(4G Networks, LTE) 안테나 보다 상하방향 길이가 짧은 5세대 이동통신(5G Networks) 안테나에 한정된 안테나 거치대이므로 효율성이 더욱 높아지도록 5세대 이동통신(5G Networks) 및 4세대 이동통신(4G Networks, LTE) 안테나 각각에 모두 사용 가능하게 개선될 필요성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건물의 옥상 또는 난간 및 통신주에 기설치된 설치봉에 설치되되, 설치봉에 결합된 바디클램프(body clamp)를 통하여 안테나의 상하방향 이동 및 좌우방향 회전이 가능하고, 커넥팅암(connecting arm) 및 턴버클(turn buckle)을 통하여 상기 바디클램프가 고정된 상태로 안테나의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 각각으로의 회전을 미세하게 조정이 가능하며, 패널(panel) 및 연장패널부를 통하여 상하방향 길이가 다른 5세대 이동통신(5G Networks) 및 4세대 이동통신(4G Networks, LTE) 안테나 각각에 대응하여 모두 설치가 가능한 5G 및 LTE 안테나 공용 거치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건물의 옥상 또는 난간 및 통신주에 기설치된 설치봉(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면서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설치봉(10)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V"자형 결합홈(110)이 각각 함몰 형성되고, 볼트 및 너트를 포함하는 체결수단(105)에 의해 서로 간의 결합 간격이 조절 가능한 한 쌍으로 구성된 바디클램프(body clamp, 100)와; 상기 바디클램프(100)의 하방에 위치하면서 상기 설치봉에 결합되고, 상기 설치봉(10) 및 바디클램프(100)의 하방을 지지 용도의 와이어(wire)를 연결하기 위한 와이어연결홀(210)이 등간격으로 다수개가 관통 형성된 와이어클램프(wire clamp, 200)와; 상기 바디클램프(100)에 좌우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일측이 상기 바디클램프(100)에 고정된 힌지결합부(310)가 구비되고, 상방에는 턴버클 체결홀(320)이 관통 형성되며, 하방에는 패널 체결홀(330)이 관통 형성된 복수의 커넥팅판(340)이 회전체(350)를 매개로 상기 힌지결합부(310)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넥팅암(connecting arm, 300)과; 턴버클바디(turn buckle body, 410)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턴버클바디의 양측에 각각 인출 또는 인입 동작되는 제1 확장로드(420a) 및 제2 확장로드(420b)가 구비되고, 상기 제1 확장로드(420a) 및 제2 확장로드(420b)의 인출 또는 인입 동작된 상태를 고정시키도록 상기 턴버클바디(410)의 양측에 고정수단(430)이 결합되며, 상기 제1 확장로드(420a)는 상기 커넥팅암(300)의 턴버클 체결홀(320)에 힌지 결합된 턴버클(turn buckle, 400)과; 상기 커넥팅암(300) 및 턴버클(400) 각각과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후방의 하방에는 상기 커넥팅암(300)의 패널 체결홀(330)과 힌지 결합되고, 후방의 상방에는 상기 턴버클(400)의 제2 확장로드(420b)와 힌지 결합되며, 상방 및 하방 각각에는 복수개의 고정결합홀(510)이 관통 형성된 패널(panel, 500)과; 안테나(20)의 후방의 상방에 상하 방향으로 결합된 상방연장패널(610) 및 안테나(20)의 후방의 하방에 상하 방향으로 결합된 하방연장패널(620)로 구성되되, 상기 상방연장패널(610) 및 하방연장패널(620) 각각에는 상하 방향으로 다수개의 길이가변홀(630)이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기 안테나(20)의 상하 방향 길이에 따라 다수개의 길이가변홀(630) 중에서 선택적으로 상기 고정결합홀(510)과 연통되어 결합되는 연장패널부(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5G 및 LTE 안테나 공용 거치대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바디클램프(body clamp, 100)의 "V"자형 결합홈(110)에는, 상기 설치봉(10)과의 접촉면을 높여 마찰 저항이 향상되도록 오목하고 볼록한 요철(凹凸, 11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넥팅암(connecting arm, 300)은, 상기 바디클램프(100)에 고정된 힌지결합부(310)의 일측에는 상기 안테나(20)의 좌우방향의 회전각도범위에 대한 좌우각도눈금선(360)이 표시되고, 상기 회전체(350)와 결합된 보강판(351)에는 상기 안테나(20)의 좌우방향 회전에 따라 상기 좌우각도눈금선(360)의 일부를 지시하는 좌우각도화살표(370)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넥팅암(connecting arm, 300)의 힌지결합부(310)는, 조이거나 푸는 동작에 따라 상기 커넥팅암(300)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거나 단속하는 회전단속볼트(311)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넥팅암(connecting arm, 300)의 커넥팅판(340)은, 상기 턴버클(turn buckle, 400)의 동작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회전 하는 상기 안테나(20)의 회전각도범위에 대한 상하각도눈금선(380)이 상기 패널 체결홀(330)의 테두리면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패널(panel, 500)은, 상기 안테나(20)의 상하방향 회전에 따라 상기 상하각도눈금선(380)의 일부를 지시하도록 상기 커넥팅암(300)의 패널 체결홀(330)과 힌지 결합되는 부분에 상하각도화살표(520)가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패널(panel, 500)은, 상기 연장패널부(600)와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결합되되, 상기 고정결합홀(510)과 연통되는 연결홀(531)이 관통 형성되고, 슬라이딩돌기(532)가 형성된 슬라이딩이동체(5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장패널부(600)의 상방연장패널(610) 및 하방연장패널(620) 각각에는, 상기 슬라이딩이동체(530)가 슬라이딩하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길이가변홀(630)의 양측으로 상기 슬라이딩돌기(532)가 삽입되는 슬라이딩레일(640)이 함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디클램프(body clamp, 100)는, 제1 바디클램프(100a) 및 제2 바디클램프(100b)를 포함하여 복수개로 구성되되, 상기 제1 바디클램프(100a)는 상기 설치봉(10)에 결합되며, 상기 제2 바디클램프(100b)에는 상기 커넥팅암(connecting arm, 300)이 결합되고, 상기 5G 및 LTE 안테나 공용 거치대는, 상기 설치봉(10)으로부터 상기 안테나(20)의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 각각의 거리가 이격되어 확장되도록 일측은 상기 제1 바디클램프(100a)에 고정설치되고, 타측에는 상기 제2 바디클램프(100b)가 결합된 이격확장수단(7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격확장수단(700)은, 일정길이를 가지면서 일측은 상기 제1 바디클램프(100a)에 결합되고, 타측은 수직봉결합부(711)가 형성된 수평연장바(710)와, 하부는 상기 수평연장바(710)의 수직봉결합부(711)에 결합되고, 상부는 상기 제2 바디클램프(100b)가 결합된 수직연장봉(7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격확장수단(700)은, 상기 수평연장바(710)의 길이에 따라 상기 수평연장바(710)를 지지하도록 일측은 상기 와이어클램프(wire clamp, 2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수평연장바(71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턴버클(turn buckle) 방식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한 지지부(7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5G 및 LTE 안테나 공용 거치대는, 첫째 건물의 옥상 또는 난간 및 통신주에 기설치된 설치봉에 결합된 바디클램프를 통하여 안테나의 상하방향 이동 및 좌우방향 회전의 조정 및 유지가 용이하고, 회전방향에 따라 길이가 늘어나거나 줄어드는 턴버클(turn buckle) 방식을 통하여 안테나의 상하방향 회전 즉, 틸팅(tilting)을 쉽게 조정함으로써, 종래의 접철방식 및 나사체결방식에 비해 작업이 용이하고, 바람과 같은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종래 기술에 비해 상태유지가 우수한 효과가 있다.
둘째, 무게가 9~16kg에 달하는 기존 4세대(4G) 이동통신용 안테나에 비해 5세대(5G) 이동통신용 안테나는 20~25kg에 달하기 때문에 5세대(5G) 이동통신용 안테나는 건물의 옥상 또는 난간에 기설치된 설치봉 중에서 3미터를 초과하는 원폴(one pole) 또는 2미터 이하의 모노폴(mono pole)에 설치시 안전상 2미터 이하에 설치되는 것을 고려하여 설치봉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 바디클램프를 통해 높낮이 및 좌우방향 회전이 가능하므로 설치봉을 절단하는 불필요한 작업이 필요없는 효과가 있다.
셋째, 힌지결합부, 좌우각도눈금선 및 좌우각도화살표가 구비된 커넥팅암(connecting arm)을 통하여 상기 바디클램프가 고정된 상태로 안테나의 좌우방향으로의 회전의 미세 조정 및 회전 단속이 가능하므로 볼트체결 방식의 상부 스윙(top swing, 530) 및 슬롯홀(slot hole) 방식의 하부 스윙(bottom swing)에 의존한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고 등록된 종래 기술과 전혀 다른 방식으로 회전을 조정하고 단속함으로써, 구조를 더 간소화시켜 제조비용을 낮추면서 작업자가 현재의 회전각도를 용이하게 파악하면서 더욱 쉽게 미세조정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넷째, 상하각도눈금선이 표시된 커넥팅암(connecting arm)과 상하각도화살표가 구비된 패널(panel)을 통하여 턴버클(turn buckle)의 조작에 의해 안테나의 현재 상하방향 회전각도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패널 및 연장패널부를 통하여 상하방향 길이가 서로 다른 5세대 이동통신(5G Networks) 및 4세대 이동통신(4G Networks, LTE) 안테나 각각에 대응하여 모두 설치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여섯째, 이격확장수단을 통하여 안테나를 설치봉으로부터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 각각의 거리가 이격되어 확장되도록 설치가 가능함으로써, 설치환경에 따라 작업자가 용이하게 안테나를 설치봉으로부터 이격시켜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안테나 고정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 출원 등록된 종래 기술에 따른 5G 안테나 회전형 거치대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5G 및 LTE 안테나 공용 거치대의 일 실시예를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의 실시예에 4세대 이동통신(4G Networks, LTE) 안테나가 고정 설치되고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3의 실시예에 5세대 이동통신(5G Networks) 안테나가 고정 설치되고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4의 실시예 중 바디클램프 및 커넥팅암의 결합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하고, 바디클램프 및 커넥팅암의 직선이동 및 회전방향을 각각 화살표로 표시한 도면
도 7은 도 6의 실시예 중 바디클램프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6의 실시예 중 와이어클램프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9의 (A), (B)는 도 3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턴버클의 동작에 따른 상하방향 회전상태를 각각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3의 실시예 중 패널 및 연장패널부의 다른 실시예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11은 도 10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슬라이딩이동체가 표시되도록 위에서 바로보고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5G 및 LTE 안테나 공용 거치대의 다른 실시예를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하며 비록 종래기술과 동일한 부호가 표시되더라도 종래기술은 그 자체로 해석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5G 및 LTE 안테나 공용 거치대의 일 실시예는 도 3 내지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클램프(body clamp, 100), 와이어클램프(wire clamp, 200), 커넥팅암(connecting arm, 300), 턴버클(turn buckle, 400), 패널(panel, 500) 및 연장패널부(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바디클램프(body clamp, 100)는 도 3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의 옥상 또는 난간 및 통신주에 기설치된 설치봉(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면서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설치봉(10)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V"자형 결합홈(110)이 각각 함몰 형성되고, 볼트 및 너트를 포함하는 체결수단(105)에 의해 서로 간의 결합 간격이 조절 가능한 한 쌍으로 구성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5G 및 LTE 안테나 공용 거치대에 고정 설치된 안테나(2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 및 좌우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조정하고 유지시키기 위한 수단이다.
이를 위해 상기 바디클램프(body clamp, 100)의 "V"자형 결합홈(110)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설치봉(10)과의 접촉면을 높여 마찰 저항이 향상되도록 오목하고 볼록한 요철(凹凸, 111)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수단(105)이 체결되는 다수개의 바디클램프체결홀(120)이 관통 형성된다. 즉, 상기 바디클램프체결홀(120)에 상기 체결수단(105)을 헐겁게 체결한 상태에서 상하방향 이동 및 좌우방향 회전을 조정한 다음 상기 "V"자형 결합홈(110)의 요철(凹凸, 111)이 상기 설치봉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체결수단(105)을 조여서 그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더하여, 도 6은 상기 바디클램프(100) 및 후술할 커넥팅암(300)의 결합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하고, 바디클램프의 직선이동 및 회전방향을 설치봉(10)에 각각 화살표로 표시하였다.
한편, 상기 안테나(20)는 5세대(5G) 이동통신용 안테나 및 4세대(4G, LTE) 이동통신용 안테나가 모두 해당될 수 있다. 5세대 이동통신(5G Networks)은 GHz 이하의 주파수를 사용하는 4G와 달리, 센티미터파(3GHz~30GHz), 밀리미터파(30GHz~300GHz)의 높은 주파수 대역에서 수백 MHz 이상의 광대역 폭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고속으로 전송하는 특징이 있다. 그러나 5G는 24GHz 이상의 밀리미터파(mmWAVE) 주파수 대역을 활용하게 되면 신호가 빛의 성질에 가까워져 산이나 건물 같은 장애물을 피해가지 못하고, 파장 길이도 1~10mm에 불과하여 각 기지국이 주파수를 송수신할 수 있는 영역(커버리지)도 좁아지며, 주파수대가 높은 신호는 한 방향으로 몰아서 보내지 않으면 신호 송수신에 많은 에너지가 소모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4세대 이동통신용 안테나는 송수신장치와 분리된 분리된 안테나로서 무게가 9~16kg이고, 5세대 이동통신용 안테나는 송수신장치와 결합된 일체형 안테나로서 무게라 20~25kg에 달하기 때문에 5세대 이동통신용 안테나는 건물의 옥상 또는 난간에 기설치된 설치봉 중에서 3미터를 초과하는 원폴(one pole) 또는 2미터 이하의 모노폴(mono pole)에 설치시 무게로 인해 안전상 2미터 이하에 설치되어야 한다. 따라서, 5세대 이동통신용 안테나는 주파수 신호의 효율적인 송수신 및 안전을 고려하여 4세대 이동통신용 안테나에 비해 설치방향의 설정 및 유지가 더욱 중요하다. 즉, 5세대(5G) 이동통신용 안테나는 주파수 신호의 효율적인 송수신을 위하여 4세대 이동통신용 안테나에 비해 설치방향의 설정 및 유지가 더욱 중요하기 때문에 상기 바디클램프(body clamp, 100)와 후술할 커넥팅암(connecting arm, 300) 및 턴버클(turn buckle, 400)을 통해 종래의 클램프방식, 접철방식, 나사체결방식 및 슬롯홀방식에 비해 안테나의 상하좌우 설치방향의 조정작업이 용이하고, 바람과 같은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종래 기술에 비해 상태유지가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4세대 이동통신용 안테나는 5세대 이동통신용 안테나에 비해 상하방향 길이가 길게 제작되는데 본 발명에 따른 5G 및 LTE 안테나 공용 거치대는 후술할 패널(panel, 500) 및 연장패널부(600)를 통하여 4세대(LTE) 이동통신용 안테나 및 5세대(5G) 이동통신용 안테나 각각에 모두 사용 가능하며 상세한 설명은 패널(panel, 500) 및 연장패널부(600)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와이어클램프(wire clamp, 200)는 도 3 내지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클램프(100)의 하방에 위치하면서 상기 설치봉에 결합되고, 상기 설치봉(10) 및 바디클램프(100)의 하방을 지지 용도의 와이어(wire)를 연결하기 위한 와이어연결홀(210)이 등간격으로 다수개가 관통 형성된다. 또한, 상기 와이어클램프(wire clamp, 200)는 볼트 및 너트를 조이거나 또는 푸는 동작에 따라 상기 설치봉(10)의 외주면에 밀착되거나 헐거워지도록 상기 볼트의 체결을 위한 와이어클램프체결홀(220)이 관통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와이어연결홀(210)은 본 발명에 따른 5G 및 LTE 안테나 공용 거치대가 일반적으로 높이가 낮은 곳보다 바람이 강한 건물의 옥상 또는 난간에 설치되는 점을 고려하여 바람과 같은 외력으로 인한 상기 안테나의 탈락을 방지하도록 안테나 거치대의 하방 즉, 상기 설치봉(10) 및 바디클램프(100)의 하방을 고정 및 지지하기 위한 용도로 다수개의 와이어와 각각 연결되도록 등간격으로 다수개가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와이어의 일측은 상기 옥상 또는 난간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로프연결홀(210)에 연결된다.
한편, 상기 와이어클램프(wire clamp, 200)는 설치환경에 따라 복수개가 설치봉에 설치될 수 있다.
커넥팅암(connecting arm, 300)은 도 3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클램프(100)에 좌우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일측이 상기 바디클램프(100)에 고정된 힌지결합부(310)가 구비되고, 상방에는 턴버클 체결홀(320)이 관통 형성되며, 하방에는 패널 체결홀(330)이 관통 형성된 복수의 커넥팅판(340)이 회전체(350)를 매개로 상기 힌지결합부(310)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커넥팅판(340)의 단면 형상 역시 바람으로부터의 마찰저항이 최소화되도록 상기 턴버클 체결홀(320) 및 패널 체결홀(330)이 관통 형성된 부분을 제외한 면을 최소화한 "L"자 형상을 갖는다.
도 6은 상기 바디클램프(100) 및 커넥팅암(300)의 결합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하고, 힌지결합부(310)를 통하여 커넥팅암(300)이 우측방향으로 회전한 상태를 표시하면서 회전방향을 회전체(350)에 화살표로 표시하였다.
또한, 상기 커넥팅암(300)은 상기 커넥팅판(340) 각각이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결합되도록 서로 이격된 상기 커넥팅판(340) 사이에 회전체(350)와 결합된 보강판(351)이 결합된다. 이를 통해 상기 커넥팅판(340) 각각의 사이로 바람이 통과되도록 유도하면서 후술할 턴버클(turn buckle, 400)의 제1 확장로드(420a) 및 패널(panel, 500)과의 힌지결합을 보강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커넥팅암(connecting arm, 300)은 상기 바디클램프(100)에 고정된 힌지결합부(310)의 일측에는 상기 안테나(20)의 좌우방향의 회전각도범위에 대한 좌우각도눈금선(360)이 표시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체(350)와 결합된 보강판(351)에는 상기 안테나(20)의 좌우방향 회전에 따라 상기 좌우각도눈금선(360)의 일부를 지시하는 좌우각도화살표(370)가 결합된다. 상기 좌우각도눈금선(360) 및 좌우각도화살표(370)를 구성시킨 이유는 작업자가 상기 힌지결합부(310)를 조작하면서 커넥팅암(300) 및 안테나(20)를 좌우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작업을 수행시 작업자가 현재의 회전각도를 용이하게 파악하면서 더욱 쉽게 미세조정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커넥팅암(connecting arm, 300)의 힌지결합부(310)는 상기 커넥팅암(300)의 회전 및 단속 작업이 용이하도록 조이거나 푸는 동작에 따라 상기 커넥팅암(300)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거나 단속하는 회전단속볼트(311)가 체결된다.
턴버클(turn buckle, 400)은 도 3 내지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턴버클바디(turn buckle body, 410)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턴버클바디의 양측에 각각 인출 또는 인입 동작되는 제1 확장로드(420a) 및 제2 확장로드(420b)가 구비되고, 상기 제1 확장로드(420a) 및 제2 확장로드(420b)의 인출 또는 인입 동작된 상태를 고정시키도록 상기 턴버클바디(410)의 양측에 고정수단(430)이 결합되며, 상기 제1 확장로드(420a)는 상기 커넥팅암(300)의 턴버클 체결홀(320)에 힌지 결합된다.
즉, 상기 턴버클바디(410)를 시계방향(CW)으로 회전시 상기 제1 확장로드(420a) 및 제2 확장로드(420b)가 인출 동작되고, 상기 턴버클바디(410)를 반시계방향(CCW)으로 회전시 상기 제1 확장로드(420a) 및 제2 확장로드(420b)가 인입 동작된다. 여기서, 상기 턴버클(400)은 도 9의 (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확장로드(420a) 및 제2 확장로드(420b)의 인출 또는 인입 동작에 따라 후술할 패널(panel, 500) 및 연장패널부(600)를 매개로 상기 턴버클(turn buckle, 400)에 결합된 안테나(20)를 상기 설치봉(10)을 기준으로 전방 및 후방으로 각각 각도 조절이 가능하다. 즉, 도 9의 (A) 도면은 상기 턴버클(400)의 제1 확장로드(420a) 및 제2 확장로드(420b)가 최대로 인출 동작되어 상기 설치봉(10)을 기준으로 전방으로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9의 (B) 도면은 상기 턴버클(400)의 제1 확장로드(420a) 및 제2 확장로드(420b)가 최대로 인입 동작되어 상기 설치봉(10)을 기준으로 후방으로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를 통해 종래 기술에 따른 안테나 고정장치에 있어서 전방으로만 상하방향으로 각도 조절이 한정된 접철방식 또는 나사체결방식에 비해 각도 조절 범위가 확장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턴버클(turn buckle, 400)은 상기 제1 확장로드(420a) 및 제2 확장로드(420b)의 인출 또는 인입 동작된 상태를 고정시키도록 상기 턴버클바디(410)의 양측에 고정수단(430)이 결합된다. 상기 고정수단은 제1 확장로드(420a) 및 제2 확장로드(420b)에 체결된 고정너트가 사용될 수 있고, 상기 제1 확장로드(420a) 및 제2 확장로드(420b)의 인출 또는 인입 동작된 상태에서 턴버클바디(410)의 양측에 고정수단이 밀착되어 결합되도록 조여주어 상기 턴버클바디(410)가 회전되지 않도록 단속한다. 반대로 제1 확장로드(420a) 및 제2 확장로드(420b)의 인출 또는 인입 동작이 필요한 경우 고정수단이 상기 턴버클바디(410)의 양측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풀어주어 상기 턴버클바디(410)가 회전되는데 방해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턴버클(400)의 동작에 따라 안테나(20)가 상하방향으로 회전을 조정하고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턴버클(turn buckle)은 두 점 사이에 연결된 강삭(鋼索) 등을 죄는 데 사용하는 죔기구의 하나로서, 좌우에 나사막대가 있고 나사부가 공통 너트로 연결되어 있고, 한쪽의 수나사는 오른나사이고, 다른쪽 수나사는 왼나사로 되어 있어 암나사가 있는 부분, 즉 너트를 회전하면 2개의 수나사는 서로 접근하고, 회전을 반대로 하면 멀어지는 죔기구이다.
패널(panel, 500)은 도 3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넥팅암(300) 및 턴버클(400) 각각과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후방의 하방에는 상기 커넥팅암(300)의 패널 체결홀(330)과 힌지 결합되고, 후방의 상방에는 상기 턴버클(400)의 제2 확장로드(420b)와 힌지 결합되며, 상방 및 하방 각각에는 복수개의 고정결합홀(510)이 관통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결합홀(510)은 후술할 연장패널부(600)의 다수개의 길이가변홀(630) 중에서 선택적으로 연통되어 볼트 및 너트와 같은 체결수단으로 서로 체결되도록 형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패널은 상하각도화살표(520)가 결합된다. 이를 위해 상기 커넥팅암(connecting arm, 300)의 커넥팅판(340)은 상기 턴버클(turn buckle, 400)의 동작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회전 하는 상기 안테나(20)의 회전각도범위에 대한 상하각도눈금선(380)이 상기 패널 체결홀(330)의 테두리면에 표시된다. 즉, 상기 상하각도화살표(520)는 상기 안테나(20)의 상하방향 회전에 따라 상기 상하각도눈금선(380)의 일부를 지시하도록 상기 커넥팅암(300)의 패널 체결홀(330)과 힌지 결합되는 부분에 고정 결합된다. 따라서, 상하각도눈금선(380)이 표시된 커넥팅암(connecting arm, 300)과 상하각도화살표(520)가 구비된 패널(panel, 500)을 통하여 턴버클(turn buckle, 400)의 조작에 의해 안테나의 현재 상하방향 회전각도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연장패널부(600)는 도 3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20)의 후방의 상방에 상하 방향으로 결합된 상방연장패널(610) 및 안테나(20)의 후방의 하방에 상하 방향으로 결합된 하방연장패널(620)로 구성되되, 상기 상방연장패널(610) 및 하방연장패널(620) 각각에는 상하 방향으로 다수개의 길이가변홀(630)이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기 안테나(20)의 상하 방향 길이에 따라 다수개의 길이가변홀(630) 중에서 선택적으로 상기 고정결합홀(510)과 연통되어 결합된다. 이때, 상기 길이가변홀(630)과 고정결합홀(510) 간의 연통되는 홀의 개수는 2개 이상으로 하여 안정적으로 서로 결합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연장패널부(600)를 구성시킨 이유는 5세대 이동통신(5G Networks) 및 4세대 이동통신(4G Networks, LTE) 안테나 각각을 모두 거치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5세대 이동통신(5G Networks) 및 4세대 이동통신(4G Networks, LTE) 안테나 각각은 대부분 상하방향 길이가 다르게 제조되는데 5세대 이동통신(5G Networks) 안테나는 4세대 이동통신(4G Networks, LTE) 안테나 보다 상하방향 길이가 짧게 제작된다. 이러한 5G 및 LTE 안테나의 크기 차이로 인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어 등록된 종래기술[등록특허 제10-2014683호(2019.08.20)]은 5G 안테나 회전형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안테나와 결합되는 부분이 상하방향으로 길이 조절하는데 한계가 있어 5G 안테나를 거치하는 것에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패널(500)과 함께 연장패널부(600)를 구성시킨 것이다.
다시 말해서, 상기 연장패널부(600)의 상방연장패널(610) 및 하방연장패널(620) 각각을 5세대 이동통신(5G Networks) 안테나 또는 4세대 이동통신(4G Networks, LTE) 안테나에 결합시킨 다음 안테나의 상하방향 길이에 따라 다수개의 길이가변홀(630) 중에서 선택적으로 상기 패널(500)의 고정결합홀(510)과 연통시키고, 볼트 및 너트와 같은 체결수단으로 체결하여 패널과 결합시켜 최종적으로 상기 안테나는 상기 연장패널부(600)의 상방연장패널(610) 및 하방연장패널(620)을 매개로 상기 패널(500)에 결합되는 것이다.
예컨대, 도 4는 상하방향 길이가 긴 LTE 안테나가 결합된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은 LTE 안테나보다 상하방향 길이가 짧은 5G 안테나가 결합된 경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상기 고정결합홀(510) 및 길이가변홀(630) 간에 체결 위치를 조정하면서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는 LTE 안테나 및 5G 안테나를 모두 설치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상방연장패널(610) 및 하방연장패널(620) 각각은 상기 안테나(20)와의 접촉면에는 절연을 위한 절연판(미도시)이 결합되는데 이는 상기 안테나(20)에 흐르는 전기가 본 발명에 따른 5G 및 LTE 안테나 공용 거치대로 통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안테나의 고장 및 작업자의 감전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도 10 및 11은 패널(panel, 500) 및 연장패널부(60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특히, 도 11에는 고정결합홀(510), 연결홀(531) 및 길이가변홀(630)을 점선으로 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패널(panel, 500)은 상기 연장패널부(600)와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결합되되, 상기 고정결합홀(510)과 연통되는 연결홀(531)이 관통 형성되고, 슬라이딩돌기(532)가 형성된 슬라이딩이동체(530)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연장패널부(600)의 상방연장패널(610) 및 하방연장패널(620) 각각에는 상기 슬라이딩이동체(530)가 슬라이딩하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길이가변홀(630)의 양측으로 상기 슬라이딩돌기(532)가 삽입되는 슬라이딩레일(640)이 함몰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딩이동체(530) 및 슬라이딩레일(640)을 구성시킨 이유는 안테나의 상하 방향 길이에 따라 상기 연장패널부(600)의 다수개의 길이가변홀(630) 중에서 선택적으로 상기 패널의 고정결합홀(510)과 연통시키는 작업을 수행시에 상기 패널(500)이 상기 연장패널부(600)에 슬라이딩이동하여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 한편,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5G 및 LTE 안테나 공용 거치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이격확장수단(700)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바디클램프(body clamp, 100)는 제1 바디클램프(100a) 및 제2 바디클램프(100b)를 포함하여 복수개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바디클램프(body clamp, 100)는 제1 바디클램프(100a) 및 제2 바디클램프(100b)를 포함하여 복수개로 구성되되, 상기 제1 바디클램프(100a)는 상기 설치봉(10)에 결합되며, 상기 제2 바디클램프(100b)에는 상기 커넥팅암(connecting arm, 300)이 결합된다. 즉, 상기 제1 바디클램프(100a)는 상기 설치봉(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면서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 바디클램프(100b)에는 상기 커넥팅암(connecting arm, 30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이격확장수단(700)은 상기 설치봉(10)으로부터 상기 안테나(20)의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 각각의 거리가 이격되어 확장되도록 일측은 상기 제1 바디클램프(100a)에 고정설치되고, 타측에는 상기 제2 바디클램프(100b)가 결합된 수단이다. 이를 위해 수평연장바(710) 및 수직연장봉(720)을 포함한다.
상기 수평연장바(710)은 일정길이를 가지면서 일측은 상기 제1 바디클램프(100a)에 결합되고, 타측은 수직봉결합부(711)가 형성된다. 상기 제1 바디클램프(100a)에는 용접되어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수직연장봉(720)은 하부는 상기 수평연장바(710)의 수직봉결합부(711)에 결합되고, 상부는 상기 제2 바디클램프(100b)가 결합된다. 상기 수직봉결합부(711)에 용접되어 고정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제2 바디클램프(100b)는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면서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이격확장수단(700)은 상기 수평연장바(710)의 길이에 따라 상기 수평연장바(710)를 지지하도록 일측은 상기 와이어클램프(wire clamp, 2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수평연장바(71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턴버클(turn buckle) 방식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한 지지부(7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수평연장바(710)가 짧은 경우에는 지지부(730)가 구성되지 않으나 상기 수평연장바(710)가 긴 경우에는 지지목적으로 지지부(730)가 구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수평연장바(710)의 길이가 650mm 이상인 경우 상기 지지부(730)가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턴버클(turn buckle)은 두 점 사이에 연결된 강삭(鋼索) 등을 죄는 데 사용하는 죔기구의 하나로서, 좌우에 나사막대가 있고 나사부가 공통 너트로 연결되어 있고, 한쪽의 수나사는 오른나사이고, 다른쪽 수나사는 왼나사로 되어 있어 암나사가 있는 부분, 즉 너트를 회전하면 2개의 수나사는 서로 접근하고, 회전을 반대로 하면 멀어지는 죔기구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5G 및 LTE 안테나 공용 거치대는, 첫째 건물의 옥상 또는 난간 및 통신주에 기설치된 설치봉에 결합된 바디클램프를 통하여 안테나의 상하방향 이동 및 좌우방향 회전의 조정 및 유지가 용이하고, 회전방향에 따라 길이가 늘어나거나 줄어드는 턴버클(turn buckle) 방식을 통하여 안테나의 상하방향 회전 즉, 틸팅(tilting)을 쉽게 조정함으로써, 종래의 접철방식 및 나사체결방식에 비해 작업이 용이하고, 바람과 같은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종래 기술에 비해 상태유지가 우수한 효과가 있다.
둘째, 무게가 9~16kg에 달하는 기존 4세대(4G) 이동통신용 안테나에 비해 5세대(5G) 이동통신용 안테나는 20~25kg에 달하기 때문에 5세대(5G) 이동통신용 안테나는 건물의 옥상 또는 난간에 기설치된 설치봉 중에서 3미터를 초과하는 원폴(one pole) 또는 2미터 이하의 모노폴(mono pole)에 설치시 안전상 2미터 이하에 설치되는 것을 고려하여 설치봉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 바디클램프를 통해 높낮이 및 좌우방향 회전이 가능하므로 설치봉을 절단하는 불필요한 작업이 필요없는 효과가 있다.
셋째, 힌지결합부, 좌우각도눈금선 및 좌우각도화살표가 구비된 커넥팅암(connecting arm)을 통하여 상기 바디클램프가 고정된 상태로 안테나의 좌우방향으로의 회전의 미세 조정 및 회전 단속이 가능하므로 볼트체결 방식의 상부 스윙(top swing, 530) 및 슬롯홀(slot hole) 방식의 하부 스윙(bottom swing)에 의존한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고 등록된 종래 기술과 전혀 다른 방식으로 회전을 조정하고 단속함으로써, 구조를 더 간소화시켜 제조비용을 낮추면서 작업자가 현재의 회전각도를 용이하게 파악하면서 더욱 쉽게 미세조정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넷째, 상하각도눈금선이 표시된 커넥팅암(connecting arm)과 상하각도화살표가 구비된 패널(panel)을 통하여 턴버클(turn buckle)의 조작에 의해 안테나의 현재 상하방향 회전각도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패널 및 연장패널부를 통하여 상하방향 길이가 서로 다른 5세대 이동통신(5G Networks) 및 4세대 이동통신(4G Networks, LTE) 안테나 각각에 대응하여 모두 설치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여섯째, 이격확장수단을 통하여 안테나를 설치봉으로부터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 각각의 거리가 이격되어 확장되도록 설치가 가능함으로써, 설치환경에 따라 작업자가 용이하게 안테나를 설치봉으로부터 이격시켜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설치봉 20 : 안테나
100 : 바디클램프 110 : "V"자형 결합홈
120 : 바디클램프체결홀 200 : 와이어클램프
210 : 와이어연결홀 220 : 와이어클램프체결홀
300 : 커넥팅암(connecting arm)
310 : 힌지결합부 320 : 턴버클 체결홀
330 : 패널 체결홀 340 : 커넥팅판
350 : 회전체 360 : 좌우각도눈금선
370 : 좌우각도화살표 380 : 상하각도눈금선
400 : 턴버클(turn buckle)
410 : 턴버클바디(turn buckle body)
420a : 제1 확장로드 420b : 제2 확장로드
500 : 패널(panel) 510 : 고정결합홀
520 : 상하각도화살표 530 : 슬라이딩이동체
600 : 연장패널부 610 : 상방연장패널
620 : 하방연장패널 630 : 길이가변홀
640 : 슬라이딩레일 700 : 이격확장수단
710 : 수평연장바 720 : 수직연장봉
730 : 지지부

Claims (11)

  1. 건물의 옥상 또는 난간 및 통신주에 기설치된 설치봉(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면서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설치봉(10)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V"자형 결합홈(110)이 각각 함몰 형성되고, 볼트 및 너트를 포함하는 체결수단(105)에 의해 서로 간의 결합 간격이 조절 가능한 한 쌍으로 구성된 바디클램프(body clamp, 100)와;
    상기 바디클램프(100)의 하방에 위치하면서 상기 설치봉에 결합되고, 상기 설치봉(10) 및 바디클램프(100)의 하방을 지지 용도의 와이어(wire)를 연결하기 위한 와이어연결홀(210)이 등간격으로 다수개가 관통 형성된 와이어클램프(wire clamp, 200)와;
    상기 바디클램프(100)에 좌우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일측이 상기 바디클램프(100)에 고정된 힌지결합부(310)가 구비되고, 상방에는 턴버클 체결홀(320)이 관통 형성되며, 하방에는 패널 체결홀(330)이 관통 형성된 복수의 커넥팅판(340)이 회전체(350)를 매개로 상기 힌지결합부(310)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넥팅암(connecting arm, 300)과;
    턴버클바디(turn buckle body, 410)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턴버클바디의 양측에 각각 인출 또는 인입 동작되는 제1 확장로드(420a) 및 제2 확장로드(420b)가 구비되고, 상기 제1 확장로드(420a) 및 제2 확장로드(420b)의 인출 또는 인입 동작된 상태를 고정시키도록 상기 턴버클바디(410)의 양측에 고정수단(430)이 결합되며, 상기 제1 확장로드(420a)는 상기 커넥팅암(300)의 턴버클 체결홀(320)에 힌지 결합된 턴버클(turn buckle, 400)과;
    상기 커넥팅암(300) 및 턴버클(400) 각각과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후방의 하방에는 상기 커넥팅암(300)의 패널 체결홀(330)과 힌지 결합되고, 후방의 상방에는 상기 턴버클(400)의 제2 확장로드(420b)와 힌지 결합되며, 상방 및 하방 각각에는 복수개의 고정결합홀(510)이 관통 형성된 패널(panel, 500)과;
    안테나(20)의 후방의 상방에 상하 방향으로 결합된 상방연장패널(610) 및 안테나(20)의 후방의 하방에 상하 방향으로 결합된 하방연장패널(620)로 구성되되, 상기 상방연장패널(610) 및 하방연장패널(620) 각각에는 상하 방향으로 다수개의 길이가변홀(630)이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기 안테나(20)의 상하 방향 길이에 따라 다수개의 길이가변홀(630) 중에서 선택적으로 상기 고정결합홀(510)과 연통되어 결합되는 연장패널부(600)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팅암(connecting arm, 300)의 힌지결합부(310)는,
    조이거나 푸는 동작에 따라 상기 커넥팅암(300)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거나 단속하는 회전단속볼트(311)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5G 및 LTE 안테나 공용 거치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클램프(body clamp, 100)의 "V"자형 결합홈(110)에는,
    상기 설치봉(10)과의 접촉면을 높여 마찰 저항이 향상되도록 오목하고 볼록한 요철(凹凸, 11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5G 및 LTE 안테나 공용 거치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암(connecting arm, 300)은,
    상기 바디클램프(100)에 고정된 힌지결합부(310)의 일측에는 상기 안테나(20)의 좌우방향의 회전각도범위에 대한 좌우각도눈금선(360)이 표시되고,
    상기 회전체(350)와 결합된 보강판(351)에는 상기 안테나(20)의 좌우방향 회전에 따라 상기 좌우각도눈금선(360)의 일부를 지시하는 좌우각도화살표(370)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5G 및 LTE 안테나 공용 거치대.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암(connecting arm, 300)의 커넥팅판(340)은,
    상기 턴버클(turn buckle, 400)의 동작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회전 하는 상기 안테나(20)의 회전각도범위에 대한 상하각도눈금선(380)이 상기 패널 체결홀(330)의 테두리면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5G 및 LTE 안테나 공용 거치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panel, 500)은,
    상기 안테나(20)의 상하방향 회전에 따라 상기 상하각도눈금선(380)의 일부를 지시하도록 상기 커넥팅암(300)의 패널 체결홀(330)과 힌지 결합되는 부분에 상하각도화살표(520)가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5G 및 LTE 안테나 공용 거치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panel, 500)은,
    상기 연장패널부(600)와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결합되되, 상기 고정결합홀(510)과 연통되는 연결홀(531)이 관통 형성되고, 슬라이딩돌기(532)가 형성된 슬라이딩이동체(5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5G 및 LTE 안테나 공용 거치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패널부(600)의 상방연장패널(610) 및 하방연장패널(620) 각각에는,
    상기 슬라이딩이동체(530)가 슬라이딩하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길이가변홀(630)의 양측으로 상기 슬라이딩돌기(532)가 삽입되는 슬라이딩레일(640)이 함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5G 및 LTE 안테나 공용 거치대.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클램프(body clamp, 100)는,
    제1 바디클램프(100a) 및 제2 바디클램프(100b)를 포함하여 복수개로 구성되되, 상기 제1 바디클램프(100a)는 상기 설치봉(10)에 결합되며, 상기 제2 바디클램프(100b)에는 상기 커넥팅암(connecting arm, 300)이 결합되고,
    상기 5G 및 LTE 안테나 공용 거치대는,
    상기 설치봉(10)으로부터 상기 안테나(20)의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 각각의 거리가 이격되어 확장되도록 일측은 상기 제1 바디클램프(100a)에 고정설치되고, 타측에는 상기 제2 바디클램프(100b)가 결합된 이격확장수단(7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5G 및 LTE 안테나 공용 거치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확장수단(700)은,
    일정길이를 가지면서 일측은 상기 제1 바디클램프(100a)에 결합되고, 타측은 수직봉결합부(711)가 형성된 수평연장바(710)와,
    하부는 상기 수평연장바(710)의 수직봉결합부(711)에 결합되고, 상부는 상기 제2 바디클램프(100b)가 결합된 수직연장봉(7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5G 및 LTE 안테나 공용 거치대.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확장수단(700)은,
    상기 수평연장바(710)의 길이에 따라 상기 수평연장바(710)를 지지하도록 일측은 상기 와이어클램프(wire clamp, 2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수평연장바(71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턴버클(turn buckle) 방식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한 지지부(7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5G 및 LTE 안테나 공용 거치대.
KR1020210017069A 2021-02-05 2021-02-05 5g 및 lte 안테나 공용 거치대 KR1025115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7069A KR102511595B1 (ko) 2021-02-05 2021-02-05 5g 및 lte 안테나 공용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7069A KR102511595B1 (ko) 2021-02-05 2021-02-05 5g 및 lte 안테나 공용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3182A KR20220113182A (ko) 2022-08-12
KR102511595B1 true KR102511595B1 (ko) 2023-03-16

Family

ID=82803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7069A KR102511595B1 (ko) 2021-02-05 2021-02-05 5g 및 lte 안테나 공용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15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2180B1 (ko) 2022-12-01 2023-12-13 (주)다위실업정공 안테나 거치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1536B1 (ko) * 2004-11-03 2005-05-27 주식회사 선우커뮤니케이션 안테나용 틸트 브래킷
KR102014682B1 (ko) * 2019-06-12 2019-08-26 김송태 5g 안테나 거치대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7775B1 (ko) * 2013-07-16 2015-05-07 주식회사 굿텔 안테나 고정용 슬라이드 브라켓 및 이를 사용한 안테나 고정 장치
KR102660872B1 (ko) * 2019-03-18 2024-05-03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1536B1 (ko) * 2004-11-03 2005-05-27 주식회사 선우커뮤니케이션 안테나용 틸트 브래킷
KR102014682B1 (ko) * 2019-06-12 2019-08-26 김송태 5g 안테나 거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3182A (ko) 2022-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4682B1 (ko) 5g 안테나 거치대
KR102157068B1 (ko) 안테나 각도 조절 장치
US20210175619A1 (en) Wireless telecommunication antenna mount and control system
US9391688B2 (en) System and method of relay communication with electronic beam adjustment
CN217009540U (zh) 基站天线装置及其适配器
KR102511595B1 (ko) 5g 및 lte 안테나 공용 거치대
WO2018013602A2 (en) Wireless telecommunication antenna mount and control system
JP7387004B2 (ja) 基地局アンテナ用クランピング装置
KR102511602B1 (ko) 개선된 이동통신용 기지국 안테나 거치대
CN201523083U (zh) 一种双极化移动基站定向天线的辐射单元
KR102014683B1 (ko) 5g 안테나 회전형 거치대
JP2001292015A (ja) アンテナ装置
KR102014684B1 (ko) 5g 안테나 더블형 거치대
KR20210084197A (ko) 기지국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
KR102566169B1 (ko) 안테나 거치 장치
CN101651258B (zh) 宽带全向天线的改进结构
KR102504636B1 (ko) 안테나 거치 장치
KR102280946B1 (ko) 개선된 5g 안테나 거치대
CN111342234A (zh) 一种基站电调天线
CN219086239U (zh) 一种楼宇天线
CN216903350U (zh) 滑轨型天线
CN214505751U (zh) 可调节高度并馈式中波天线
CN217823241U (zh) 平板缝隙波导天线阵
CN219246919U (zh) 交通道路天线
KR102637305B1 (ko) Fm/dmb 누설 동축케이블의 고정 브라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