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4682B1 - 5g 안테나 거치대 - Google Patents

5g 안테나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4682B1
KR102014682B1 KR1020190069372A KR20190069372A KR102014682B1 KR 102014682 B1 KR102014682 B1 KR 102014682B1 KR 1020190069372 A KR1020190069372 A KR 1020190069372A KR 20190069372 A KR20190069372 A KR 20190069372A KR 102014682 B1 KR102014682 B1 KR 1020146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coupled
extension rod
turnbuckle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9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송태
Original Assignee
김송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송태 filed Critical 김송태
Priority to KR10201900693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46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46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46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1207Supports; Mounting means for fastening a rigid aerial el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65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screw-thread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01Q3/02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using mechanical movement of antenna or antenna system as a whole
    • H01Q3/04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using mechanical movement of antenna or antenna system as a whole for varying one co-ordinate of the orientation
    • H01Q3/06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using mechanical movement of antenna or antenna system as a whole for varying one co-ordinate of the orientation over a restricted ang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옥상 또는 난간에 기설치된 설치봉(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면서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설치봉(10)의 최상단에 걸쳐서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키(11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 바디클램프(body clamp, 100)와; 상기 바디클램프(100)의 하방에 위치하면서 상기 설치봉에 결합되고, 상기 설치봉(10) 및 바디클램프(100)의 하방을 지지 용도의 로프를 연결하기 위한 로프연결홀(210)이 관통 형성된 와이어클램프(wire clamp, 200)와; 상기 바디클램프(100)에 결합되고, 상방에는 턴버클 체결홀(310)이 관통 형성되며, 하방에는 파이프 체결홀(320)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턴버클 체결홀(310) 및 파이프 체결홀(320) 사이에는 다수의 에어홀(air hole, 330)이 관통 형성되어 단면이 "
Figure 112019060020002-pat00004
" 형상을 가지는 복수의 커넥팅판(340)이 구비된 커넥팅암(connecting arm, 300)과; 턴버클바디(turn buckle body, 410)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턴버클바디의 양측에 각각 인출 또는 인입 동작되는 제1 확장로드(420a) 및 제2 확장로드(420b)가 구비되고, 상기 제1 확장로드(420a)는 상기 커넥팅암(300)의 턴버클 체결홀(310)에 힌지 결합된 턴버클(turn buckle, 400)과; 상기 커넥팅암(300)의 파이프 체결홀(320) 및 상기 턴버클(400)의 제2 확장로드(420b)와 각각 힌지 결합되고, 상부에는 안테나(20)의 탈락 방지 목적의 로프를 연결하기 위한 로프연결용 아이볼트(510)가 결합된 안테나 지지파이프(500)와; 상기 안테나 지지파이프(500)에 안테나(20)가 결합되도록 상기 안테나 지지파이프(500)에 길이방향으로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결합된 상부 안테나 브라켓(610) 및 하부 안테나 브라켓(620)이 구비된 브라켓부(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5G 안테나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5G 안테나 거치대{Mounting apparatus of 5G antenna}
본 발명은 안테나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의 옥상 또는 난간에 기설치된 설치봉에 설치되되, 5세대 이동통신(5G Networks) 안테나의 상하방향 이동이 가능하면서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각각 각도 조절이 가능한 안테나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테나는 송수신을 위해 전자파를 공간으로 보내거나 받기 위한 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무선으로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필수적인 장치이다. 최근 이동통신에 대한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통신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기지국, 중계기 등에 설치된 다양한 형태의 이동통신용 안테나들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이러한 이동통신용 안테나들은 효율적으로 전파의 송수신을 위해 최적의 송수신 비율을 얻을 수 있는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되고 유지될 필요성이 크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62143호(2008. 09. 30)는 조정기능을 제공하는 안테나 고정장치가 제안된 바 있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16)가 지주(14)에 고정될 수 있도록 지주(14)와 결합 되는 클램프(22)와, 주파수 방사면과 대응하는 상기 안테나(16)의 배면에 폭 방향으로 배치되면서 수직방향을 따라 간격을 가지도록 구비되는 슬라이드 브라켓(40), 상기 슬라이드 브라켓(40)에 형성되어 상기 클램프(22)와 연결되는 고정 브라켓(32)이 이동 가능하게 결합 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지주(14)를 중심으로 안테나(16)가 수평이동하여 좌우방향으로 조정되도록 가이드 슬롯(44)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안테나 고정장치(26)가 제공된다.
상기 제안된 기술은 고정 브라켓(32)이 힌지 결합된 복수의 링크부재들로 접철 가능하게 구비되므로 안테나(16)의 설치방향을 상하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가이드 슬롯(44)을 이용하여 안테나(16)의 설치방향을 수평이동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조절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안테나의 설치방향을 조정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 경우, 가이드 슬롯(44)을 이용한 안테나(16)의 설치방향 조절은 안테나(16)의 폭을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지주(14)를 중심으로 하는 회전방향으로의 설치방향 조절은 불가능하므로 변위 범위가 작은 문제가 있으며, 설치방향이 조절된 안테나(16)의 설치상태를 바람 등에 의한 외력으로부터 유지시키는 힘은 가이드 슬롯(44)에 의해 결합된 슬라이드 브라켓(40)과 고정 브라켓(32) 사이의 마찰력으로 볼 수 있는데, 통상 이동통신용 기지국이 주로 설치되는 건물 옥상 또는 산 정상 등에서는 위와 같은 마찰력으로 높은 풍속을 이기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클램프(22)와 고정 브라켓(32)의 결합 및 슬라이드 브라켓(40)을 형성하는 링크부재들 사이의 결합이 모두 볼트와 너트를 이용한 힌지 결합(34)으로 이루어지는데 이 역시 높은 풍속을 이기는데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최근 4세대 이동통신(4G Networks)에서 최대속도가 20Ggps에 달하는 5세대 이동통신(5G Networks)으로 옮겨가고 있는데 GHz 이하의 주파수를 사용하는 4G와 달리, 5G는 센티미터파(3GHz~30GHz), 밀리미터파(30GHz~300GHz)의 높은 주파수 대역에서 수백 MHz 이상의 광대역 폭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고속으로 전송한다. 그러나 5G는 24GHz 이상의 밀리미터파(mmWAVE) 주파수 대역을 활용하게 되면 신호가 빛의 성질에 가까워져 산이나 건물 같은 장애물을 피해가지 못하고, 파장 길이도 1~10mm에 불과하여 각 기지국이 주파수를 송수신할 수 있는 영역(커버리지)도 좁아지며, 주파수대가 높은 신호는 한 방향으로 몰아서 보내지 않으면 신호 송수신에 많은 에너지가 소모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기존 4세대(4G) 이동통신용 안테나는 송수신장치와 분리된 분리된 안테나로서 무게가 9~16kg이고, 5세대(5G) 이동통신용 안테나는 송수신장치와 결합된 일체형 안테나로서 무게라 20~25kg에 달하기 때문에 5세대(5G) 이동통신용 안테나는 건물의 옥상 또는 난간에 기설치된 설치봉 중에서 3미터를 초과하는 원폴(one pole) 또는 2미터 이하의 모노폴(mono pole)에 설치시 무게로 인해 안전상 2미터 이하에 설치되어야 한다. 따라서, 5세대(5G) 이동통신용 안테나는 주파수 신호의 효율적인 송수신 및 안전을 고려하여 기존 4세대 이동통신용 안테나에 비해 설치방향의 설정 및 유지가 더욱 중요하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건물의 옥상 또는 난간에 기설치된 설치봉에 결합된 바디클램프를 통하여 안테나의 상하방향 이동 및 좌우방향 회전의 조정 및 유지가 용이하고, 회전방향에 따라 길이가 늘어나거나 줄어드는 턴버클(turn buckle) 방식을 통하여 안테나의 상하방향 회전을 조정함으로써, 종래의 접철방식 및 나사체결방식에 비해 작업이 용이하고, 바람과 같은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종래 기술에 비해 상태유지가 우수한 5G 안테나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건물의 옥상 또는 난간에 기설치된 설치봉(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면서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설치봉(10)의 최상단에 걸쳐서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키(11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 바디클램프(body clamp, 100)와; 상기 바디클램프(100)의 하방에 위치하면서 상기 설치봉에 결합되고, 상기 설치봉(10) 및 바디클램프(100)의 하방을 지지 용도의 로프를 연결하기 위한 로프연결홀(210)이 관통 형성된 와이어클램프(wire clamp, 200)와; 상기 바디클램프(100)에 결합되고, 상방에는 턴버클 체결홀(310)이 관통 형성되며, 하방에는 파이프 체결홀(320)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턴버클 체결홀(310) 및 파이프 체결홀(320) 사이에는 다수의 에어홀(air hole, 330)이 관통 형성되어 단면이 "
Figure 112019060020002-pat00001
" 형상을 가지는 복수의 커넥팅판(340)이 구비된 커넥팅암(connecting arm, 300)과; 턴버클바디(turn buckle body, 410)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턴버클바디의 양측에 각각 인출 또는 인입 동작되는 제1 확장로드(420a) 및 제2 확장로드(420b)가 구비되고, 상기 제1 확장로드(420a)는 상기 커넥팅암(300)의 턴버클 체결홀(310)에 힌지 결합된 턴버클(turn buckle, 400)과; 상기 커넥팅암(300)의 파이프 체결홀(320) 및 상기 턴버클(400)의 제2 확장로드(420b)와 각각 힌지 결합되고, 상부에는 안테나(20)의 탈락 방지 목적의 로프를 연결하기 위한 로프연결용 아이볼트(510)가 결합된 안테나 지지파이프(500)와; 상기 안테나 지지파이프(500)에 안테나(20)가 결합되도록 상기 안테나 지지파이프(500)에 길이방향으로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결합된 상부 안테나 브라켓(610) 및 하부 안테나 브라켓(620)이 구비된 브라켓부(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5G 안테나 거치대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안테나(20)는, 5세대(5G) 이동통신용 안테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디클램프(body clamp, 100)는, 볼트 및 너트를 조이거나 또는 푸는 동작에 따라 상기 설치봉의 외주면에 밀착되거나 헐거워지도록 상기 볼트의 체결을 위한 체결홀(121)이 관통 형성된 체결판(120)과, 상기 고정키(110)가 탈착 가능하도록 홈이 파여진 탈착홈(13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넥팅암(300)은, 상기 커넥팅판(340) 각각이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결합되도록 서로 이격된 상기 커넥팅판(340) 사이에 보강판(360)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턴버클(400)은, 상기 턴버클바디(410)를 시계방향(CW)으로 회전시 상기 제1 확장로드(420a) 및 제2 확장로드(420b)가 각각 인출 동작되고, 상기 턴버클바디(410)를 반시계방향(CCW)으로 회전시 상기 제1 확장로드(420a) 및 제2 확장로드(420b)가 각각 인입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턴버클(400)은, 상기 제1 확장로드(420a) 및 제2 확장로드(420b)의 인출 또는 인입 동작에 따라 상기 브라켓부(600)를 매개로 상기 안테나 지지파이프(500)에 결합된 안테나(20)를 상기 설치봉(10)을 기준으로 전방으로 70°, 후방으로 20°각도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테나 지지파이프(500)는, 상기 턴버클(400)의 제2 확장로드(420b)와 힌지 결합되도록 일측이 상기 제2 확장로드(420b)에 힌지 결합된 힌지수단(520)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브라켓부(600)의 상부 안테나 브라켓(610) 및 하부 안테나 브라켓(620) 각각은, 상기 안테나(20)와의 접촉면에는 절연을 위한 절연판(630)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5G 안테나 거치대는, 첫째 건물의 옥상 또는 난간에 기설치된 설치봉에 결합된 바디클램프를 통하여 안테나의 상하방향 이동 및 좌우방향 회전의 조정 및 유지가 용이하고, 회전방향에 따라 길이가 늘어나거나 줄어드는 턴버클(turn buckle) 방식을 통하여 안테나의 상하방향 회전을 조정함으로써, 종래의 접철방식 및 나사체결방식에 비해 작업이 용이하고, 바람과 같은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종래 기술에 비해 상태유지가 우수한 효과가 있다.
둘째, 무게가 9~16kg에 달하는 기존 4세대(4G) 이동통신용 안테나에 비해 5세대(5G) 이동통신용 안테나는 20~25kg에 달하기 때문에 5세대(5G) 이동통신용 안테나는 건물의 옥상 또는 난간에 기설치된 설치봉 중에서 3미터를 초과하는 원폴(one pole) 또는 2미터 이하의 모노폴(mono pole)에 설치시 안전상 2미터 이하에 설치되는 것을 고려하여 고정키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 바디클램프를 통해 높낮이 및 좌우방향 회전 기능과 함께 고정키의 탈착에 따라 설치봉의 최상단에 걸쳐 고정하거나 하방으로 이동시켜 고정할 수 있으므로 설치봉을 절단하는 불필요한 작업이 필요없는 효과가 있다.
셋째, 안테나의 길이방향으로 결합된 안테나 지지파이프를 통해서 안테나와의 결합 지지력을 높이고, 바람과 같은 외력으로부터 장치가 좌우방향으로 뒤틀리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안테나 고정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5G 안테나 거치대의 일 실시예를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실시예에 안테나가 고정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2의 실시예 중 커넥팅암의 커넥팅판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5의 (가)는 도 2의 실시예 중 바디클램프에 따른 상하방향 이동상태를 화살표를 도시한 도면
도 5의 (나)는 도 2의 실시예 중 바디클램프에 따른 좌우방향 회전상태를 화살표를 도시한 도면
도 6의 (가) 및 (나)는 도 2의 실시예 중 턴버클의 동작에 따른 상하방향 회전상태를 각각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하며 비록 종래기술과 동일한 부호가 표시되더라도 종래기술은 그 자체로 해석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5G 안테나 거치대의 일 실시예는 도 2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클램프(body clamp, 100), 와이어클램프(wire clamp, 200), 커넥팅암(connecting arm, 300), 턴버클(turn buckle, 400), 안테나 지지파이프(500) 및 브라켓부(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바디클램프(body clamp, 100)는 도 2, 3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의 옥상 또는 난간에 기설치된 설치봉(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면서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설치봉(10)의 최상단에 걸쳐서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키(11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5G 안테나 거치대에 고정 설치된 안테나(2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 및 좌우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조정하고 유지시키기 위한 수단이다.
이를 위해 상기 바디클램프(body clamp, 100)는 볼트 및 너트를 조이거나 또는 푸는 동작에 따라 상기 설치봉의 외주면에 밀착되거나 헐거워지도록 상기 볼트의 체결을 위한 체결홀(121)이 관통 형성된 체결판(120)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키(110)가 탈착 가능하도록 홈이 파여진 탈착홈(130)이 형성된다. 즉, 상기 체결홀(121)에 볼트 및 너트를 헐겁게 체결한 상태에서 상하방향 이동 및 좌우방향 회전을 조정한 다음 상기 볼트 및 너트를 조여서 그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고정키(110) 및 탈착홈(130)을 구성시킨 이유는, 상기 고정키의 탈착에 따라 상기 바디클램프(100)를 상기 설치봉(10)의 최상단에 걸쳐서 고정시키거나, 상기 설치봉(10)의 최상단에서 하방으로 이동시켜 고정시키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고정키(110)는 상기 바디클램프(100)를 상기 설치봉(10)의 최상단에 걸쳐서 고정시킨 상태를 장기간에 걸쳐 유지할 경우에는 상기 탈착홈(130)에 용접되어 결합될 수도 있다.
더하여,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5G 안테나 거치대의 일 실시예를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서, 상기 바디클램프(100)를 통한 상하이동 및 좌우회전을 화살표로 표시하였으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5G 안테나 거치대에 안테나(20)가 고정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의 (가)는 상기 바디클램프(100)에 따른 상하방향 이동상태를 화살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의 (나)는 상기 바디클램프(100)에 따른 좌우방향 회전상태를 화살표를 도시한 도면이다.
한편, 상기 안테나(20)는 5세대(5G) 이동통신용 안테나가 해당될 수 있다. 5세대 이동통신(5G Networks)은 GHz 이하의 주파수를 사용하는 4G와 달리, 센티미터파(3GHz~30GHz), 밀리미터파(30GHz~300GHz)의 높은 주파수 대역에서 수백 MHz 이상의 광대역 폭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고속으로 전송하는 특징이 있다. 그러나 5G는 24GHz 이상의 밀리미터파(mmWAVE) 주파수 대역을 활용하게 되면 신호가 빛의 성질에 가까워져 산이나 건물 같은 장애물을 피해가지 못하고, 파장 길이도 1~10mm에 불과하여 각 기지국이 주파수를 송수신할 수 있는 영역(커버리지)도 좁아지며, 주파수대가 높은 신호는 한 방향으로 몰아서 보내지 않으면 신호 송수신에 많은 에너지가 소모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기존 4세대(4G) 이동통신용 안테나는 송수신장치와 분리된 분리된 안테나로서 무게가 9~16kg이고, 5세대(5G) 이동통신용 안테나는 송수신장치와 결합된 일체형 안테나로서 무게라 20~25kg에 달하기 때문에 5세대(5G) 이동통신용 안테나는 건물의 옥상 또는 난간에 기설치된 설치봉 중에서 3미터를 초과하는 원폴(one pole) 또는 2미터 이하의 모노폴(mono pole)에 설치시 무게로 인해 안전상 2미터 이하에 설치되어야 한다. 따라서, 5세대(5G) 이동통신용 안테나는 주파수 신호의 효율적인 송수신 및 안전을 고려하여 기존 4세대 이동통신용 안테나에 비해 설치방향의 설정 및 유지가 더욱 중요하다. 따라서, 5세대(5G) 이동통신용 안테나는 주파수 신호의 효율적인 송수신을 위하여 기존 4세대 이동통신용 안테나에 비해 설치방향의 설정 및 유지가 더욱 중요하기 때문에 상기 바디클램프(body clamp, 100)와 후술할 턴버클(turn buckle, 400)을 통해 종래의 클램프방식, 접철방식 및 나사체결방식에 비해 안테나의 상하좌우 설치방향의 조정작업이 용이하고, 바람과 같은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종래 기술에 비해 상태유지가 우수한 효과가 있다.
와이어클램프(wire clamp, 200)는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클램프(100)의 하방에 위치하면서 상기 설치봉에 결합되고, 상기 설치봉(10) 및 바디클램프(100)의 하방을 지지 용도의 로프를 연결하기 위한 로프연결홀(210)이 관통 형성된다. 또한, 상기 와이어클램프(wire clamp, 200)는 볼트 및 너트를 조이거나 또는 푸는 동작에 따라 상기 설치봉(10)의 외주면에 밀착되거나 헐거워지도록 상기 볼트의 체결을 위한 체결홀(220)이 관통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로프연결홀(210)은 본 발명에 따른 5G 안테나 거치대가 일반적으로 높이가 낮은 곳보다 바람이 강한 건물의 옥상 또는 난간에 설치되는 점을 고려하여 바람과 같은 외력으로 인한 상기 안테나의 탈락을 방지하도록 상기 5G 안테나 거치대의 하방 즉, 상기 설치봉(10) 및 바디클램프(100)의 하방을 고정 및 지지하기 위한 용도로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로프의 일측은 상기 옥상 또는 난간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로프연결홀(210)에 연결된다.
커넥팅암(connecting arm, 300)은 도 2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클램프(100)에 결합되고, 상방에는 턴버클 체결홀(310)이 관통 형성되며, 하방에는 파이프 체결홀(320)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턴버클 체결홀(310) 및 파이프 체결홀(320) 사이에는 다수의 에어홀(air hole, 330)이 관통 형성되어 단면이 "
Figure 112019060020002-pat00002
" 형상을 가지는 복수의 커넥팅판(340)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에어홀(air hole, 330)을 관통 형성시킨 이유는 본 발명에 따른 5G 안테나 거치대가 일반적으로 높이가 낮은 곳보다 바람이 강한 건물의 옥상 또는 난간에 설치되는 점을 고려하여 바람이 통과하여 바람으로부터의 마찰저항을 줄이기 위해 형성시킨 것이다. 즉, 바람이 강한 건물의 옥상 또는 난간에 설치된 구조물은 바람에 부딪히면서 마찰저항이 높아져 구조물이 파손되거나 구조물 일부 또는 전체가 건물 아래로 추락하는 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구성시킨 것이다. 또한, 상기 커넥팅판(340)의 단면 형상 역시 바람으로부터의 마찰저항이 최소화되도록 상기 턴버클 체결홀(310), 파이프 체결홀(320) 및 에어홀(air hole, 330)이 관통 형성된 부분을 제외한 면을 최소화한 "L"자 형상으로 제작되고, 상기 바디클램프(100)와의 결합부분에도 다수의 에어홀(351)이 관통 형성된다.
또한, 상기 커넥팅암(300)은 상기 커넥팅판(340) 각각이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결합되도록 서로 이격된 상기 커넥팅판(340) 사이에 보강판(360)이 결합된다. 이를 통해 상기 커넥팅암(300) 각각의 사이로 바람이 통과되도록 유도하면서 후술할 턴버클(turn buckle, 400)의 제1 확장로드(420a) 및 안테나 지지파이프(500)와의 힌지결합을 보강시키는 효과가 있다.
턴버클(turn buckle, 400)은 도 2, 4 및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턴버클바디(turn buckle body, 410)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턴버클바디의 양측에 각각 인출 또는 인입 동작되는 제1 확장로드(420a) 및 제2 확장로드(420b)가 구비되고, 상기 제1 확장로드(420a)는 상기 커넥팅암(300)의 턴버클 체결홀(310)에 힌지 결합된다. 즉, 상기 턴버클바디(410)를 시계방향(CW)으로 회전시 상기 제1 확장로드(420a) 및 제2 확장로드(420b)가 인출 동작되고, 상기 턴버클바디(410)를 반시계방향(CCW)으로 회전시 상기 제1 확장로드(420a) 및 제2 확장로드(420b)가 인입 동작된다. 여기서, 상기 턴버클(400)은 도 6의 (가) 및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확장로드(420a) 및 제2 확장로드(420b)의 인출 또는 인입 동작에 따라 후술할 브라켓부(600)를 매개로 안테나 지지파이프(500)에 결합된 안테나(20)를 상기 설치봉(10)을 기준으로 전방으로 70°, 후방으로 20°각도 조절이 가능하다. 즉, 도 6의 (가)는 상기 턴버클(400)의 제1 확장로드(420a) 및 제2 확장로드(420b)가 최대로 인출 동작되어 상기 설치봉(10)을 기준으로 전방으로 70°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의 (나)는 상기 턴버클(400)의 제1 확장로드(420a) 및 제2 확장로드(420b)가 최대로 인입 동작되어 상기 설치봉(10)을 기준으로 후방으로 20°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를 통해 종래 기술에 따른 안테나 고정장치에 있어서 전방으로만 상하방향으로 각도 조절이 한정된 접철방식 또는 나사체결방식에 비해 각도 조절 범위가 확장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상기 턴버클(400)의 동작에 따라 안테나 지지파이프(500)에 결합된 안테나(20)가 상하방향으로 회전을 조정하고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턴버클(turn buckle)은 두 점 사이에 연결된 강삭(鋼索) 등을 죄는 데 사용하는 죔기구의 하나로서, 좌우에 나사막대가 있고 나사부가 공통 너트로 연결되어 있고, 한쪽의 수나사는 오른나사이고, 다른쪽 수나사는 왼나사로 되어 있어 암나사가 있는 부분, 즉 너트를 회전하면 2개의 수나사는 서로 접근하고, 회전을 반대로 하면 멀어지는 죔기구이다.
안테나 지지파이프(500)는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넥팅암(300)의 파이프 체결홀(320) 및 상기 턴버클(400)의 제2 확장로드(420b)와 각각 힌지 결합되고, 상부에는 안테나의 탈락 방지 목적의 로프를 연결하기 위한 로프연결용 아이볼트(510)가 결합된 수단이다. 여기서, 상기 안테나 지지파이프(500)는 상기 턴버클(400)의 제2 확장로드(420b)와 힌지 결합되도록 일측이 상기 제2 확장로드(420b)에 힌지 결합된 힌지수단(520)이 결합되고, 상기 힌지수단(520)의 타측은 볼트 및 너트와 같은 체결수단으로 상기 안테나 지지파이프(500)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 지지파이프(500)를 구성시킨 이유는 후술할 브라켓부(600)를 매개로 안테나(20)의 길이방향으로 결합됨으로써, 안테나와의 결합 지지력을 높이고, 바람과 같은 외력으로부터 장치가 좌우방향으로 뒤틀리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로프연결용 아이볼트(510)는 바람과 같은 외력으로 인한 상기 안테나의 탈락을 방지하도록 상기 5G 안테나 거치대의 상방 즉, 안테나(20) 및 안테나 지지파이프(500)를 고정 및 지지하기 위한 용도로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로프의 일측은 상기 옥상 또는 난간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로프연결용 아이볼트(510)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로프연결홀(210) 및 로프연결용 아이볼트(510)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5G 안테나 거치대의 하방 및 상방 각각을 고정 및 지지함으로써, 상기 안테나가 외력으로 인해 탈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브라켓부(6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테나 지지파이프(500)에 안테나가 결합되도록 상기 안테나 지지파이프(500)에 길이방향으로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결합된 상부 안테나 브라켓(610) 및 하부 안테나 브라켓(620)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 안테나 브라켓(610) 및 하부 안테나 브라켓(620) 각각은 볼트 및 너트와 같은 체결수단으로 상기 안테나 지지파이프(500)에 고정 결합될 수 있고, 이를 위해 상기 안테나 지지파이프(500)에는 체결홀이 관통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 안테나 브라켓(610) 및 하부 안테나 브라켓(620) 각각은 상기 안테나(20)와의 접촉면에는 절연을 위한 절연판(630)이 결합되는데 이는 상기 안테나(20)에 흐르는 전기가 본 발명에 따른 5G 안테나 거치대로 통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안테나의 고장 및 작업자의 감전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5G 안테나 거치대는, 첫째 건물의 옥상 또는 난간에 기설치된 설치봉에 결합된 바디클램프를 통하여 안테나의 상하방향 이동 및 좌우방향 회전의 조정 및 유지가 용이하고, 회전방향에 따라 길이가 늘어나거나 줄어드는 턴버클(turn buckle) 방식을 통하여 안테나의 상하방향 회전을 조정함으로써, 종래의 접철방식 및 나사체결방식에 비해 작업이 용이하고, 바람과 같은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종래 기술에 비해 상태유지가 우수한 효과가 있다.
둘째, 무게가 9~16kg에 달하는 기존 4세대(4G) 이동통신용 안테나에 비해 5세대(5G) 이동통신용 안테나는 20~25kg에 달하기 때문에 5세대(5G) 이동통신용 안테나는 건물의 옥상 또는 난간에 기설치된 설치봉 중에서 3미터를 초과하는 원폴(one pole) 또는 2미터 이하의 모노폴(mono pole)에 설치시 안전상 2미터 이하에 설치되는 것을 고려하여 고정키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 바디클램프를 통해 높낮이 및 좌우방향 회전 기능과 함께 고정키의 탈착에 따라 설치봉의 최상단에 걸쳐 고정하거나 하방으로 이동시켜 고정할 수 있으므로 설치봉을 절단하는 불필요한 작업이 필요없는 효과가 있다.
셋째, 안테나의 길이방향으로 결합된 안테나 지지파이프를 통해서 안테나와의 결합 지지력을 높이고, 바람과 같은 외력으로부터 장치가 좌우방향으로 뒤틀리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설치봉 20 : 안테나
100 : 바디클램프 110 : 고정키
120 : 체결판 130 : 탈착홈
200 : 와이어클램프 210 : 로프연결홀
220 : 체결홀
300 : 커넥팅암(connecting arm)
310 : 턴버클 체결홀 320 : 파이프 체결홀
330 : 에어홀(air hole) 340 : 커넥팅판
360 : 보강판
400 : 턴버클(turn buckle)
410 : 턴버클바디(turn buckle body)
420a : 제1 확장로드 420b : 제2 확장로드
500 : 안테나 지지파이프 510 : 로프연결용 아이볼트
520 : 힌지수단 600 : 브라켓부
610 : 상부 안테나 브라켓 620 : 하부 안테나 브라켓
630 : 절연판

Claims (8)

  1. 건물의 옥상 또는 난간에 기설치된 설치봉(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면서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설치봉(10)의 최상단에 걸쳐서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키(11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 바디클램프(body clamp, 100)와;
    상기 바디클램프(100)의 하방에 위치하면서 상기 설치봉에 결합되고, 상기 설치봉(10) 및 바디클램프(100)의 하방을 지지 용도의 로프를 연결하기 위한 로프연결홀(210)이 관통 형성된 와이어클램프(wire clamp, 200)와;
    상기 바디클램프(100)에 결합되고, 상방에는 턴버클 체결홀(310)이 관통 형성되며, 하방에는 파이프 체결홀(320)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턴버클 체결홀(310) 및 파이프 체결홀(320) 사이에는 다수의 에어홀(air hole, 330)이 관통 형성되어 단면이 "
    Figure 112019060020002-pat00003
    " 형상을 가지는 복수의 커넥팅판(340)이 구비된 커넥팅암(connecting arm, 300)과;
    턴버클바디(turn buckle body, 410)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턴버클바디의 양측에 각각 인출 또는 인입 동작되는 제1 확장로드(420a) 및 제2 확장로드(420b)가 구비되고, 상기 제1 확장로드(420a)는 상기 커넥팅암(300)의 턴버클 체결홀(310)에 힌지 결합된 턴버클(turn buckle, 400)과;
    상기 커넥팅암(300)의 파이프 체결홀(320) 및 상기 턴버클(400)의 제2 확장로드(420b)와 각각 힌지 결합되고, 상부에는 안테나(20)의 탈락 방지 목적의 로프를 연결하기 위한 로프연결용 아이볼트(510)가 결합된 안테나 지지파이프(500)와;
    상기 안테나 지지파이프(500)에 안테나(20)가 결합되도록 상기 안테나 지지파이프(500)에 길이방향으로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결합된 상부 안테나 브라켓(610) 및 하부 안테나 브라켓(620)이 구비된 브라켓부(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5G 안테나 거치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20)는,
    5세대(5G) 이동통신용 안테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5G 안테나 거치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클램프(body clamp, 100)는,
    볼트 및 너트를 조이거나 또는 푸는 동작에 따라 상기 설치봉의 외주면에 밀착되거나 헐거워지도록 상기 볼트의 체결을 위한 체결홀(121)이 관통 형성된 체결판(120)과,
    상기 고정키(110)가 탈착 가능하도록 홈이 파여진 탈착홈(13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5G 안테나 거치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암(300)은,
    상기 커넥팅판(340) 각각이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결합되도록 서로 이격된 상기 커넥팅판(340) 사이에 보강판(360)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5G 안테나 거치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턴버클(400)은,
    상기 턴버클바디(410)를 시계방향(CW)으로 회전시 상기 제1 확장로드(420a) 및 제2 확장로드(420b)가 각각 인출 동작되고, 상기 턴버클바디(410)를 반시계방향(CCW)으로 회전시 상기 제1 확장로드(420a) 및 제2 확장로드(420b)가 각각 인입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5G 안테나 거치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턴버클(400)은,
    상기 제1 확장로드(420a) 및 제2 확장로드(420b)의 인출 또는 인입 동작에 따라 상기 브라켓부(600)를 매개로 상기 안테나 지지파이프(500)에 결합된 안테나(20)를 상기 설치봉(10)을 기준으로 전방으로 70°, 후방으로 20°각도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5G 안테나 거치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지지파이프(500)는,
    상기 턴버클(400)의 제2 확장로드(420b)와 힌지 결합되도록 일측이 상기 제2 확장로드(420b)에 힌지 결합된 힌지수단(520)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5G 안테나 거치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부(600)의 상부 안테나 브라켓(610) 및 하부 안테나 브라켓(620) 각각은,
    상기 안테나(20)와의 접촉면에는 절연을 위한 절연판(630)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5G 안테나 거치대.
KR1020190069372A 2019-06-12 2019-06-12 5g 안테나 거치대 KR1020146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9372A KR102014682B1 (ko) 2019-06-12 2019-06-12 5g 안테나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9372A KR102014682B1 (ko) 2019-06-12 2019-06-12 5g 안테나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4682B1 true KR102014682B1 (ko) 2019-08-26

Family

ID=67806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9372A KR102014682B1 (ko) 2019-06-12 2019-06-12 5g 안테나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468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8567B1 (ko) * 2020-05-14 2020-09-22 커넥서스원(주) 안테나 고정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통신 장치
KR102246026B1 (ko) 2020-09-04 2021-04-29 김재민 안테나 틸트가 가능한 고정 장치
KR20220113182A (ko) * 2021-02-05 2022-08-12 김송태 5g 및 lte 안테나 공용 거치대
KR102612180B1 (ko) 2022-12-01 2023-12-13 (주)다위실업정공 안테나 거치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3991Y1 (ko) * 2002-08-09 2002-11-04 주식회사 휴텍이일 안테나 지지대
KR100478593B1 (ko) * 2002-02-19 2005-03-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기지국용 안테나장치
KR101957965B1 (ko) * 2018-01-24 2019-03-13 국방과학연구소 곡면 조정이 가능한 대형 접시형 안테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8593B1 (ko) * 2002-02-19 2005-03-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기지국용 안테나장치
KR200293991Y1 (ko) * 2002-08-09 2002-11-04 주식회사 휴텍이일 안테나 지지대
KR101957965B1 (ko) * 2018-01-24 2019-03-13 국방과학연구소 곡면 조정이 가능한 대형 접시형 안테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8567B1 (ko) * 2020-05-14 2020-09-22 커넥서스원(주) 안테나 고정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통신 장치
KR102246026B1 (ko) 2020-09-04 2021-04-29 김재민 안테나 틸트가 가능한 고정 장치
KR20220113182A (ko) * 2021-02-05 2022-08-12 김송태 5g 및 lte 안테나 공용 거치대
KR102511595B1 (ko) * 2021-02-05 2023-03-16 김송태 5g 및 lte 안테나 공용 거치대
KR102612180B1 (ko) 2022-12-01 2023-12-13 (주)다위실업정공 안테나 거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4682B1 (ko) 5g 안테나 거치대
KR102014683B1 (ko) 5g 안테나 회전형 거치대
US9391688B2 (en) System and method of relay communication with electronic beam adjustment
CN101694904B (zh) 移动通信网络室内分布系统中使用的全向吸顶天线
KR102157068B1 (ko) 안테나 각도 조절 장치
KR102014684B1 (ko) 5g 안테나 더블형 거치대
US20110221647A1 (en) Multi-Element Folded-Dipole Antenna
KR20220113192A (ko) 개선된 이동통신용 기지국 안테나 거치대
KR102511595B1 (ko) 5g 및 lte 안테나 공용 거치대
CN111342218A (zh) 一种短波天线及使用方法
CN211320320U (zh) 一种短波全向宽带天线
KR102172062B1 (ko) 안테나 각도 조절 장치
KR102280946B1 (ko) 개선된 5g 안테나 거치대
US6342861B1 (en) Loop antenna assembly
CN208226063U (zh) 一种4g定向天线
CN101651258B (zh) 宽带全向天线的改进结构
KR102566169B1 (ko) 안테나 거치 장치
KR20220140183A (ko) 안테나 거치 장치
CN110460979B (zh) 一种堆取料机无线通讯系统及方法
CN210578974U (zh) 一种壁挂式计算机无线网络传输路由器
CN113178682A (zh) 一种5g网络用基站天线和基站射频设备
CN213340698U (zh) 一种带吊装装置的电力铁塔5g天线共享扩展支架
CN209766645U (zh) 一种无线远程测控装置的接收天线
CN218896932U (zh) 一种用于中波硬馈管连接器的防雷装置及其连接器
CN218632455U (zh) 一种地铁中便于调节方向的天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