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7965B1 - 곡면 조정이 가능한 대형 접시형 안테나 - Google Patents

곡면 조정이 가능한 대형 접시형 안테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7965B1
KR101957965B1 KR1020180008961A KR20180008961A KR101957965B1 KR 101957965 B1 KR101957965 B1 KR 101957965B1 KR 1020180008961 A KR1020180008961 A KR 1020180008961A KR 20180008961 A KR20180008961 A KR 20180008961A KR 101957965 B1 KR101957965 B1 KR 1019579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link
curved surface
mounting portion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8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성
박서현
박한솔
김효태
가득현
강준희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1800089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79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7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79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5/00Devices for reflection, refraction, diffraction or polarisation of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e.g. quasi-optical devices
    • H01Q15/14Reflecting surfaces; Equivalent structures
    • H01Q15/16Reflecting surfaces; Equivalent structures curved in two dimensions, e.g. paraboloidal
    • H01Q15/161Collapsible refl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125Means for position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erials With Secondary Devices (AREA)

Abstract

곡면 조정이 가능한 대형 접시형 안테나는 곡면을 갖는 안테나와, 안테나의 볼록한 형상을 갖는 배면에 배치된 장착부와, 일단은 장착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안테나에 연결되어 장착부로부터 안테나까지 연장되는 길이가 조정 가능한 링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곡면 조정이 가능한 대형 접시형 안테나{Large dish antenna with adjustable curved surface}
실시예들은 곡면 조정이 가능한 대형 접시형 안테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곡면 조정이 간편하며 기계적 강성이 우수한 대형 접시형 안테나에 관한 것이다.
위성통신용으로 사용되는 접시형 안테나 분야에서 고지향성 목적의 접시형 안테나의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위성통신용 접시형 안테나에는 일반적으로 카세그레인 타입(Cassegrain type) 또는 그레고리안 타입(Gregorian type)의 접시형 안테나가 사용된다.
대형 접시형 안테나는 주로 외부에서 사용되므로 장기간에 걸쳐 사용된 대형 접시형 안테나에서는 반사판의 곡면 오차율이 불량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러나 종래의 위성통신용 대형 접시형 안테나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소재로 제작되므로, 금속 소재의 특성으로 인하여 제작이 완료된 접시형 안테나의 곡면을 조정하는 작업은 매우 어렵다.
실시예들은 곡면 조정이 편리하며 곡면 오차율을 감소시키기 위한 유지 보수가 편리하며 기계적 강성이 향상된 대형 접시형 안테나를 제공한다.
실시예들은 곡면 조정이 가능한 대형 접시형 안테나를 구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관한 곡면 조정이 가능한 대형 접시형 안테나는 곡면을 갖는 안테나와, 안테나의 볼록한 형상을 갖는 배면에 배치된 장착부와, 일단은 장착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안테나에 연결되어 장착부로부터 안테나까지 연장되는 길이가 조정 가능한 링크를 구비한다.
링크는 외부에 나사면을 구비하는 가동링크와 나사면에 결합되는 나사구멍을 구비하여 가동링크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링크를 구비할 수 있다.
지지링크는 가동링크의 나사면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구멍을 구비한 너트와 너트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가동링크의 단부를 수용하는 지지봉을 구비할 수 있다.
가동링크는 조작용 너트를 더 구비할 수 있고, 가동링크의 나사면은 조작용 너트의 좌측과 우측의 각각에서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된 좌측 나사면과 우측 나사면을 구비할 수 있으며, 지지링크는 가동링크의 좌측 나사면에 나사 결합하여 좌측 나사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좌측 지지링크와 가동링크의 우측 나사면에 나사 결합하여 우측 나사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우측 지지링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장착부는 안테나의 중심에 대하여 원주 방향으로 연장하는 링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링크는 장착부의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안테나는 장착부가 결합된 중심부와, 중심부에 연결되어 중심부와 함께 곡면을 형성하며 중심부에 대해 접히도록 중심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접힘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실시예들에 관한 곡면 조정이 가능한 대형 접시형 안테나는 안테나의 후방에서 안테나와 장착부의 사이에 설치되어 안테나를 지지하는 링크에 길이 조정 가능한 구조를 채택하였다. 따라서 링크의 길이를 조정함으로서 안테나의 곡면을 미세하게 조정하여 고지향성의 이득을 확보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관한 대형 접시형 안테나에서는 링크의 길이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안테나의 곡면을 편리하게 조정할 수 있으며, 안테나의 곡면의 조정을 완료한 이후에는 링크가 안테나와 장착부의 사이에 장력을 부여함으로써 링크가 안테나의 조정된 곡면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대형 접시형 안테나를 옥외에서 장기간 운용할 경우 안테나의 반사판의 곡면 오차율이 불량해질 수 있으나, 상술한 실시예들에 관한 곡면 조정이 가능한 대형 접시형 안테나에서는 링크의 길이를 간편하게 조정함으로써 불량해진 안테나의 곡면을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으므로 안테나의 유지보수가 편리하다.
또한 턴버클 구조의 링크 조립체가 적용된 복수 개의 링크를 이용하여 안테나를 장착부에 대해 충분한 강성으로 지지할 수 있으므로, 기계적 강성이 향상된 대형 접시형 안테나의 제작이 가능하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관한 곡면 조정이 가능한 대형 접시형 안테나의 배면을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관한 대형 접시형 안테나의 일부 구성요소들의 결합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일부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관한 대형 접시형 안테나의 다른 일부 구성요소들의 결합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일부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관한 대형 접시형 안테나의 링크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관한 대형 접시형 안테나의 링크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상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링크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상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링크의 일 작동상태를 도시한 상면도이다.
도 8은 도 5에 도시된 링크의 다른 작동상태를 도시한 상면도이다.
도 9는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실시예들에 관한 대형 접시형 안테나의 곡면 조정 전의 상태에서의 곡면오차를 측정한 결과를 도시한 표시도이다.
도 10은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실시예들에 관한 대형 접시형 안테나의 곡면 조정을 완료한 상태에서의 곡면오차를 측정한 결과를 도시한 표시도이다.
본 발명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관한 곡면 조정이 가능한 대형 접시형 안테나의 배면을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곡면 조정이 가능한 대형 접시형 안테나는 곡면을 갖는 안테나(10)와, 안테나(10)의 볼록한 형상을 갖는 배면에 배치된 장착부(20)와, 장착부(20)와 안테나(10)의 사이에 연결되며 길이가 조정 가능함으로써 안테나(10)의 곡면 형상을 조정 가능하게 지지하는 링크(30)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안테나(10)는 카세그레인 타입(Cassegrain type)의 곡면을 갖는 대형 접시형 안테나로 설계되었다. 안테나(10)는 알루미늄만을 사용한 경우와 비교하여 비강도와 비강성이 높은 복합재질을 이용하여 제작하였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관한 대형 접시형 안테나의 일부 구성요소들의 결합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일부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관한 대형 접시형 안테나의 다른 일부 구성요소들의 결합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일부 사시도이다.
안테나(10)의 볼록한 형상을 갖는 배면에는 링크(30)를 지지하기 위한 구조물의 기능을 하는 장착부(20)가 배치된다. 장착부(20)는 안테나(10)의 중심(10c)에 대하여 원주 방향으로 연장하는 링 형상을 갖는다. 장착부(20)는 안테나(10)와 링크(30)를 지지할 수 있을 정도의 충분한 강성을 갖는 소재로 제작된다. 장착부(20)는 예를 들어 강철과 같은 금속소재 또는 합금소재나 강성이 높은 플라스틱 등의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장착부(20)는 예를 들어 볼트나 리벳과 같은 별도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안테나(10)에 조립될 수 있다. 실시예는 이와 같은 장착부(20)의 설치 구조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장착부(20)는 예를 들어 장착부(20)와 안테나(10)의 결합 부위에 나사면을 적용함으로써 나사 결합 방식으로 안테나(10)에 결합되거나, 용접과 같은 방식에 의해 장착부(20)가 안테나(10)에 고정될 수도 있다.
안테나(10)는 장착부(20)가 결합되는 중심부(11)와, 중심부(11)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어 중심부(11)와 함께 안테나(10)의 곡면을 형성하는 접힘부(12a, 12b)를 구비한다. 접힘부(12a, 12b)는 중심부(11)에 대해 미리 정해진 각도의 범위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중심부(11)의 양측 가장자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접힘부(12a, 12b)와 중심부(11)의 양측 가장자리의 사이에는 접힘부(12a, 12b)를 중심부(1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 조립체(50)가 설치된다. 안테나(10)를 사용하지 않아 특별한 공간에 안테나(10)를 보관하거나 설치 장소를 이동할 때에는 힌지 조립체(50)를 이용하여 접힘부(12a, 12b)를 중심부(11)에 대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접힘부(12a, 12b)의 일부 면이 중심부(11)에 맞닿도록 접을 수 있다.
안테나(10)의 중심부(11)는 '중앙 반사판'이라고 부를 수 있고, 접힘부(12a, 12b)는 '좌측 분할 반사판'과 '우측 분할 반사판'으로 부를 수 있다.
안테나(10)와 장착부(20)를 연결하는 링크(30)는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링크(30)의 일단은 안테나(10)에 연결되고 타단은 장착부(20)에 연결되며, 장착부(20)로부터 안테나(10)까지 연장되는 링크(30)의 길이가 조정 가능하다. 링크(30)에는 예를 들어 턴버클(turnbuckle) 구조의 링크 조립체가 적용될 수 있다.
링크(30)는 장착부(2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링크(30)는 안테나(10)의 중심부(11)의 상측에 배치된 한 쌍의 상부 링크(31a, 31b)와 안테나(10)의 중심부(11)의 중앙의 가장자리의 상부측을 지지하는 상측 가로 링크(32)와, 중심부(11)의 하측에 배치된 하부 링크(36)를 포함한다.
한 쌍의 상부 링크(31a, 31b)는 안테나(10)의 중심부(11)의 중심(10c)을 세로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세로 중심축에 대하여 좌우로 대칭을 이루도록 2개의 그룹이 배치된다.
상부 링크(31a, 31b)의 일단은 장착부(20)에 연결된 장착부 브라켓(62)에 연결된다. 상부 링크(31a, 31b)의 타단은 안테나(10)의 중심부(11)에 연결된 안테나 브라켓(61)에 연결된다. 장착부(20)에 연결되는 상부 링크(31a, 31b)의 일단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안테나(10)에 연결된 상부 링크(31a, 31b)의 타단은 서로 인접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상부 링크(31a, 31b)의 각각의 타단은 안테나 브라켓(61)이 위치한 하나의 집중된 영역을 지지하고, 상부 링크(31a, 31b)의 각각의 일단은 장착부(20)에서 서로 이격된 지점에서 장착부(20)에 연결된 구조에 의해 상부 링크(31a, 31b)가 장착부(20)와 안테나(10)를 연결하므로 장착부(20)가 안테나(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며 안테나(10)의 곡면을 유지하기 위한 충분한 장력을 부여할 수 있다.
중심부(11)의 좌우 측으로 대칭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상부 링크(31a, 31b)는 안테나(10)의 중심부(11), 즉 중앙 반사판의 상부의 곡면을 조정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하부 링크(36)도 안테나(10)의 중심부(11)의 중심(10c)을 세로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세로 중심축에 대하여 좌우로 대칭을 이루며 2개가 배치된다. 하부 링크(36)는 안테나(10)의 중심부의 하측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며 안테나(10)의 곡면을 유지하기 위한 장력을 부여하는 기능을 한다.
중심부(11)를 중심으로 좌우로 대칭되게 배치되는 하부 링크(36)는 안테나(10)의 중심부(11), 즉 중앙 반사판의 하부의 곡면을 보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안테나(10)의 중심부(11)와 접힘부(12a, 12b)의 사이에는 분할 링크들(33, 34)이 더 설치될 수 있다. 분할 링크들(33, 34)의 각각은 일단이 안테나(10)의 접힘부(12a, 12b)에 연결되고 타단이 중심부(11)와 접힘부(12a, 12b)의 연결 지점에 연결되는 외측 링크(33b, 34b)와, 일단이 장착부(20)에 연결되고 타단이 중심부(11)와 접힘부(12a, 12b)의 연결 지점에 연결되는 내측 링크(33a, 34a)를 포함한다.
내측 링크(33a, 34a)는 안테나(10)의 중심부(11), 즉 중앙 반사판의 우측과 좌측의 곡면을 보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외측 링크(33b, 34b)의 각각은 안테나(10)의 접힘부(12a, 12b), 즉 좌측 분할 반사판과 우측 분할 반사판의 곡면을 보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안테나(10)의 중심부(11)와 접힘부(12a, 12b)의 사이에는 안테나(10)의 중심부(11)의 중앙의 가장자리의 하부측을 지지하는 하부측 가로 링크(35)이 설치될 수 있다. 하부측 가로 링크(35)는 안테나(10)가 사용 중에 외력에 의해 접히지 않도록 중심부(11)와 접힘부(12a, 12b)를 연결하며 장력을 부여하는 기능을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안테나(10)와 장착부(20)의 사이에 연결되는 링크(30), 즉 상부 링크(31a, 31b)와 상측 가로 링크(32)와 하부 링크(36)와, 분할 링크들(33, 34)과, 하부측 가로 링크(35)의 각각에는 턴버클(turnbuckle) 구조의 링크 조립체가 적용될 수 있다. 링크(30)에 턴버클 구조의 링크 조립체가 적용됨으로써 링크(30)의 전체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관한 대형 접시형 안테나의 링크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링크(13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관한 링크(30)에 적용될 수 있는 링크 조립체의 구조를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링크(130)는 외부에 나사면(131s, 132s)을 구비하는 가동링크(131, 132)와, 가동링크(131, 132)의 나사면(131s, 132s)과 나사 결합될 수 있는 나사구멍을 구비하는 지지링크(133, 134, 135)를 구비한다.
지지링크(133, 134, 135)는 가동링크(131, 132)의 나사면(131s, 132s)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134, 135)와, 너트(134, 135)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가동링크(131, 132)의 단부를 수용할 수 있는 지지봉(135)을 구비한다.
지지링크(133, 134, 135)와 가동링크(131, 132)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링크(130)의 전체 길이를 조절할 때에는 너트(134, 135)를 회전시키면 너트(134, 135)가 가동링크(131, 132)의 나사면(131s, 132s)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가동링크(131, 132)를 지지봉(135)의 내부로 당기거나 가동링크(131, 132)를 지지봉(135)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당길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의 링크(130)를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관한 대형 접시형 안테나의 링크에 적용함으로써, 안테나(10)의 곡면 조정을 편리하면서도 정밀하게 시행할 수 있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관한 대형 접시형 안테나의 링크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상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링크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상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관한 대형 접시형 안테나의 링크에 적용될 수 있는 링크의 구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링크(230)는 외부에 나사면(231s, 231t)을 구비한 가동링크(231)와, 가동링크(231)의 나사면(231s, 231t)에 결합되는 나사구멍(232s, 233s)을 구비하여 가동링크(231)를 지지하는 지지링크(233, 232)를 구비한다.
가동링크(231)는 중심에 조작용 너트(231w)가 고정된다. 가동링크(231)의 조작용 너트(231w)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형성되는 나사면(231s, 231t)은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좌측 나사면(231s)과 우측 나사면(231t)을 구비한다.
지지링크(233, 232)는 가동링크(231)의 좌측 나사면(231s)에 나사 결합하는 나사구멍(232s)을 구비한 좌측 지지링크(232)와, 가동링크(231)의 우측 나사면(231t)에 나사 결합하는 나사구멍(233s)을 구비한 우측 지지링크(233)를 구비한다.
좌측 지지링크(232)의 나사구멍(232s)과 우측 지지링크(233)의 나사구멍(233s)도 나사면(231s, 231t)의 각각에 대응하도록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지지링크(233, 232)의 각각은 안테나와 장착부에 결합되는 브라켓(261, 262)의 각각에 연결된다.
지지링크(233, 232)의 각각이 안테나와 장착부에 연결된 상태에서는 지지링크(233, 232)의 각각이 안테나와 장착부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지지링크(233, 232)는 가동링크(231)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링크의 일 작동상태를 도시한 상면도이다.
지지링크(233, 232)의 각각이 안테나와 장착부에 연결된 상태에서 가동링크(231)의 조작용 너트(231w)를 회전시키면 가동링크(231)가 조작용 너트(231w)와 함께 지지링크(233, 232)에 대하여 회전 운동을 할 수 있다.
따라서 가동링크(231)가 도 7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 운동을 시작하면, 가동링크(231)의 우측 나사면(231t)은 우측 지지링크(233)의 나사구멍(233s)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가동링크(231)의 좌측의 나사면(231s)은 좌측 지지링크(232)의 나사구멍(232s)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가동링크(231)가 도 7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 운동을 할 때에는 가동링크(231)가 도 7에서 좌측 방향을 향하여 이동하고, 도 7에 도시된 화살표의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가동링크(231)가 회전 운동을 할 때에는 가동링크(231)가 도 7에서 우측 방향을 향하여 이동한다.
도 8은 도 5에 도시된 링크의 다른 작동상태를 도시한 상면도이다.
가동링크(231)를 지지링크(233, 232)에 대하여 이동시킨 후에는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가동링크(231)의 나사면(231s, 231t)의 각각에 결합된 고정용 너트(237, 238)를 조작용 너트(231w)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고정용 너트(237, 238)의 각각을 지지링크(233, 232)에 고정하여 링크(230)의 길이 조정 작업을 마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링크(230)를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관한 대형 접시형 안테나의 링크에 적용함으로써, 안테나의 곡면을 편리하면서도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다.
도 9는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실시예들에 관한 대형 접시형 안테나의 곡면 조정 전의 상태에서의 곡면오차를 측정한 결과를 도시한 표시도이고, 도 10은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실시예들에 관한 대형 접시형 안테나의 곡면 조정을 완료한 상태에서의 곡면오차를 측정한 결과를 도시한 표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의 곡면을 조정하기 전의 곡면 분포가 매끄럽지 못하며, 안테나의 곡면을 조정하기 전에 측정한 곡면 오차율의 수치는 0.63 RMS(Root Mean Square)이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실시예들에 관한 대형 접시형 안테나의 링크의 길이를 조정함으로써 안테나의 곡면을 미세하게 조정한 후에는 곡면 분포가 도 9와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향상되었다. 안테나의 곡면을 조정한 이후에 측정한 곡면 오차율의 수치는 0.49이었다. 측정된 곡면 오차율의 값이 작을수록 곡면의 오차가 작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곡면 조정이 가능한 대형 접시형 안테나에 의하면, 안테나와 장착부의 사이에 설치된 링크의 길이를 조정함으로서 안테나의 곡면을 미세하게 조정하여 고지향성의 이득을 확보할 수 있다.
링크의 길이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안테나의 곡면을 편리하게 조정할 수 있으며, 안테나의 곡면의 조정을 완료한 이후에는 링크가 안테나와 장착부의 사이에 장력을 부여함으로써 링크가 안테나의 조정된 곡면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대형 접시형 안테나를 옥외에서 장기간 운용할 경우 안테나의 반사판의 곡면 오차율이 불량해질 수 있으나, 상술한 실시예들에 관한 곡면 조정이 가능한 대형 접시형 안테나에서는 링크의 길이를 간편하게 조정함으로써 불량해진 안테나의 곡면을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으므로 안테나의 유지보수가 편리하다.
또한 턴버클 구조의 링크 조립체가 적용된 복수 개의 링크를 이용하여 안테나를 장착부에 대해 충분한 강성으로 지지할 수 있으므로, 기계적 강성이 향상된 대형 접시형 안테나의 제작이 가능하다.
상술한 실시예들에 관한 대형 접시형 안테나는 항공 통신용이나, 중계기용 단말 장치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에 대한 구성과 효과에 대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안테나 62: 장착부 브라켓
10c: 중심 33a, 34a: 내측 링크
11: 중심부 33, 34: 분할 링크들
20: 장착부 33b, 34b: 외측 링크
12a, 12b: 접힘부 135: 지지봉
30, 130, 230: 링크 131, 132, 231: 가동링크
32: 상측 가로 링크 131s, 132s, 231s, 231t: 나사면
35: 하부측 가로 링크 134, 135, 231w: 너트
36: 하부 링크 232s, 233s, 232s, 233s: 나사구멍
50: 힌지 조립체 133, 134, 135, 233, 232: 지지링크
61: 안테나 브라켓 237, 238: 고정용 너트
31a, 31b: 상부 링크 261, 262: 브라켓

Claims (6)

  1. 곡면을 갖는 안테나;
    상기 안테나의 볼록한 형상을 갖는 배면에 배치된 장착부; 및
    일단은 상기 장착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안테나에 연결되어 상기 장착부로부터 상기 안테나까지 연장되는 길이가 조정 가능한 링크;를 구비하고,
    상기 링크는 외부에 나사면을 구비하는 가동링크와, 상기 나사면에 결합되는 나사구멍을 구비하여 상기 가동링크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링크를 구비하는, 곡면 조정이 가능한, 곡면 조정이 가능한 대형 접시형 안테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링크는 상기 가동링크의 상기 나사면에 나사 결합되는 상기 나사구멍을 구비한 너트와, 상기 너트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가동링크의 단부를 수용하는 지지봉을 구비하는, 곡면 조정이 가능한 대형 접시형 안테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링크는 조작용 너트를 더 구비하고, 상기 가동링크의 상기 나사면은 상기 조작용 너트의 좌측과 우측의 각각에서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된 좌측 나사면과 우측 나사면을 구비하며, 상기 지지링크는 상기 가동링크의 상기 좌측 나사면에 나사 결합하여 상기 좌측 나사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좌측 지지링크와 상기 가동링크의 상기 우측 나사면에 나사 결합하여 상기 우측 나사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우측 지지링크를 더 구비하는, 곡면 조정이 가능한 대형 접시형 안테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안테나의 중심에 대하여 원주 방향으로 연장하는 링 형상을 가지며, 상기 링크는 상기 장착부의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복수 개가 배치되는, 곡면 조정이 가능한 대형 접시형 안테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는 상기 장착부가 결합된 중심부와, 상기 중심부에 연결되어 상기 중심부와 함께 상기 곡면을 형성하며 상기 중심부에 대해 접히도록 상기 중심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접힘부를 구비하는, 곡면 조정이 가능한 대형 접시형 안테나.
KR1020180008961A 2018-01-24 2018-01-24 곡면 조정이 가능한 대형 접시형 안테나 KR1019579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8961A KR101957965B1 (ko) 2018-01-24 2018-01-24 곡면 조정이 가능한 대형 접시형 안테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8961A KR101957965B1 (ko) 2018-01-24 2018-01-24 곡면 조정이 가능한 대형 접시형 안테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7965B1 true KR101957965B1 (ko) 2019-03-13

Family

ID=65761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8961A KR101957965B1 (ko) 2018-01-24 2018-01-24 곡면 조정이 가능한 대형 접시형 안테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79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4682B1 (ko) * 2019-06-12 2019-08-26 김송태 5g 안테나 거치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04860A (ja) * 1998-04-15 1999-11-05 Mitsubishi Electric Corp 測定装置
JP2006319424A (ja) * 2005-05-10 2006-11-24 Nippon Hoso Kyokai <Nhk> メッシュ展開アンテナおよび格子状メッシュ反射鏡面の製造方法
JP2013201480A (ja) * 2012-03-23 2013-10-03 Mitsubishi Electric Corp 展開型反射鏡アンテナ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04860A (ja) * 1998-04-15 1999-11-05 Mitsubishi Electric Corp 測定装置
JP2006319424A (ja) * 2005-05-10 2006-11-24 Nippon Hoso Kyokai <Nhk> メッシュ展開アンテナおよび格子状メッシュ反射鏡面の製造方法
JP2013201480A (ja) * 2012-03-23 2013-10-03 Mitsubishi Electric Corp 展開型反射鏡アンテナ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4682B1 (ko) * 2019-06-12 2019-08-26 김송태 5g 안테나 거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39930B2 (en) Antenna mount with fine adjustment cam
EP2817851B1 (en) Alignment stable adjustable antenna mount
US4656486A (en) Satellite TV dish antenna support
US7046210B1 (en) Precision adjustment antenna mount and alignment method
EP0707356A1 (en) Multiple beam lens antenna
KR101957965B1 (ko) 곡면 조정이 가능한 대형 접시형 안테나
US3624662A (en) Mobile deflectable antenna with impedance matching
US11600906B2 (en) Mounting assemblies and mounting kit for base station antennas
US8350778B2 (en) Adjustment method for dish antenna
US8378919B2 (en) Angle adjustment apparatus of dish antenna and dish antenna using the same
GB2114376A (en) Antenna apparatus
US10608316B2 (en) Ka-band antenna with fine azimuth and elevation adjustment
US3440659A (en) Tower supported microwave reflector with adjustable mount
WO2000044063A1 (en) An adjustment joint, fastening elements and a method for installation and position setting using an adjustment joint
US11942687B2 (en) Deployable reflectors
US9401546B2 (en) mmW low sidelobe constant beamwidth scanning antenna system
RU2012958C1 (ru) Опорно-поворо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путниковой антенны
US11469515B2 (en) Prism for repointing reflector antenna main beam
JP2558025B2 (ja) アンテナにおける屋外送受信機の取付構造
JPS60213101A (ja) パラボラアンテナ取付構造
US4716416A (en) Antenna dish reflector with integral declination adjustment
WO2022196067A1 (ja) 無線通信ユニット及び角度調整方法
US20200321704A1 (en) High operational frequency fixed mesh antenna reflector
JPS5819846Y2 (ja) パラボラアンテナの取付角度調整装置
CN108346962B (zh) 一种激光器光学镜片调整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