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0473B1 - 안테나의 틸트각 유지를 위한 클램핑장치 - Google Patents

안테나의 틸트각 유지를 위한 클램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0473B1
KR101520473B1 KR1020130072663A KR20130072663A KR101520473B1 KR 101520473 B1 KR101520473 B1 KR 101520473B1 KR 1020130072663 A KR1020130072663 A KR 1020130072663A KR 20130072663 A KR20130072663 A KR 20130072663A KR 101520473 B1 KR101520473 B1 KR 1015204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antenna
fastening plate
til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26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0561A (ko
Inventor
박상대
정성채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블루엔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블루엔이(주)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726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0473B1/ko
Publication of KR201500005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05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04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04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1207Supports; Mounting means for fastening a rigid aerial el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125Means for positioning
    • H01Q1/1264Adjusting different parts or elements of an aerial un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6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base 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체결지점과 걸림지점이 반복형성되는 틸트조절공에 체결핀이 관통하면서 안테나의 틸트각 설정이 이루어짐으로써, 중력방향으로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초기 틸트각을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고 틸트각의 설정과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틸트각 변경방지가 동시에 이루어져 시공이 매우 용이하며 원형홀이 중첩되는 형태로 틸트조절공을 형성하여 틸트각의 설정이 미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안테나의 틸트각 유지를 위한 클램핑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Description

안테나의 틸트각 유지를 위한 클램핑장치{CLAMPING APPARATUS FOR MAINTAINING TILT ANGLE OF ANTENNA}
본 발명은 안테나의 틸트각 유지를 위한 클램핑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통신의 기지국 및 중계기에 사용되는 안테나의 초기에 설정한 틸트각이 안정되게 유지될 수 있도록 안테나를 고정할 수 있는 클램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의 기지국 및 중계기에 사용되는 안테나에는, 무지향성 안테나로서 주로 시골의 기지국에 설치되거나 옥외 중계기 등에서 주로 사용되는 옴니(omni) 안테나, 지향성 안테나로서 전파 방사가 특정각도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대부분의 기지국 및 옥외형 중계기 등에서 사용되는 섹터(sector) 안테나 등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안테나의 설치를 위하여, 각 기지국에 다수의 폴을 세우고 그 상단부에 안테나를 장착하거나 옥내에 경우 벽면 등에 안테나를 장착하게 되는데, 이때 클램핑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안테나들을 해당 폴에 고정하게 된다.
클램핑장치를 사용하여 안테나를 고정하는 경우, 지향성 안테나의 경우 원활한 통신 서비스를 위해서는 안테나와 지면이 이루는 각(틸트각)을 설계자가 미리 설정한 각도에 맞추에 설치하여야 하며, 이에 따라 안테나가 상향 또는 하향된 상태가 유지된다.
이처럼 경사진 형태로 틸트각이 설정되어 설치된 안테나에서, 바람, 눈, 비와 같은 외부적 요인 및 자체 중량과 같은 내부적 요인에 의하여 틸트각이 변경되는 경우 타깃 지점의 서비스 품질 불량을 초래하게 되므로, 안테나가 경사진 상태로 설치되도록 함은 물론 경사진 상태가 안정되게 유지될 수 있는 클램핑장치가 요구된다.
이와 관련하여 종래의 클램핑 장치는, 틸트각의 설정 및 회전을 위하여 호 형태의 장공에 볼트가 삽입되어 체결되도록 하고 장공 일측에 눈금이 형성되도록 하고 있는데, 이러한 클램핑 장치에서는, 클램핑 장치에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장공 내부에서 볼트가 미끄러지게 되어 결국 안테나의 틸트각이 변경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다른 형태의 안테나 클램핑 장치에서는, 안테나의 방향각(틸트각)을 설정하고 설치시에 설정된 안테나의 방향각이 바람이나 외부 충격 등에 의하여 변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호 형태의 장공에 볼트가 삽입되도록 하는 것 이외에, 다수의 홀을 연속하여 형성하고 이러한 홀이 핀이 삽입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의 안테나 클램핑 장치에서는 호 형태의 장공에 삽입되는 볼트에 의하여 각 브라켓이 고정되도록 하면서 별도의 홀에 핀이 삽입되도록 하여 구성이 복잡할 뿐 아니라 안테나의 고정 및 방향각 유지를 위하여 이중의 작업이 이루어지게 되어 시공이 번거로우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호 형태의 장공에 볼트가 먼저 삽입되어 각 브라켓이 고정되는 경우 별도의 홀이 서로 맞지않아 핀이 삽입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안테나를 설치함에 있어서 원활한 이동통신 서비스를 위해서 안테나를 경사진 상태로 설치하는 경우, 요구되는 틸트각에 따른 안테나의 고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면서 하중에 따른 틸트각 변경이 방지되는 안테나의 틸트각 유지를 위한 클램핑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른 안테나의 틸트각 유지를 위한 클램핑 장치는, 이동통신의 기지국 및 중계기에 사용되는 안테나를 지지체에 고정하는데 사용되는 클램핑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에 고정되고, 일측으로 돌출되어 판 형태로 이루어지는 제1 체결판이 구비되는 지지체브라켓; 및 상기 안테나에 고정되고, 일측으로 돌출되어 판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체결판과 평행한 상태에서 틸트축을 기준으로 회동가능하게 체결되는 제2 체결판이 구비되는 안테나브라켓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체결판과 제2 체결판 중, 어느 하나에는 장공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틸트축을 중심으로 원호를 이루고 폭이 D1인 체결지점과 폭이 D1보다 작은 D2인 걸림지점이 반복형성되는 틸트조절공이 구비되고, 다른 하나에는 직경이 D2보다 큰 체결핀이 상기 체결지점을 관통하여 고정되며, 상기 체결핀은 상기 걸림지점에 걸려 상기 틸트조절공의 어느 한쪽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틸트조절공은, 직경이 D1인 원형홀이 일정한 간격으로 중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체결판과 제2 체결판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틸트조절공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체결핀이 관통하도록 직경이 D1인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체결판 및 제2 체결판에는 각각 상기 틸트조절공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핀은 상기 체결지점을 관통하여 상기 제1 체결판과 제2 체결판을 체결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체결핀의 직경은 D1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테나브라켓은 상기 안테나의 하단에 고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체결판과 제2 체결판은 서로 밀착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체결판 및 제2 체결판 각각은 한 쌍으로 구비되어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체결판과 제2 체결판이 서로 마주하는 면은 지면과 수직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클램핑장치에 의하면, 체결지점과 걸림지점이 반복형성되는 틸트조절공에 체결핀이 관통하면서 안테나의 틸트각 설정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바람, 눈, 비와 같은 외부적 요인 및 자체 중량과 같은 내부적 요인에 의하여 중력방향으로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초기 틸트각을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틸트각의 설정과 틸트각 변경방지가 동시에 이루어져 시공이 매우 용이하며, 원형홀이 중첩되는 형태로 틸트조절공을 형성하여 틸트각의 설정이 미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의 틸트각 유지를 위한 클램핑장치를 사용하여 안테나를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안테나의 틸트각 유지를 위한 클램핑장치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안테나의 틸트각 유지를 위한 클램핑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안테나의 틸트각 유지를 위한 클램핑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의 틸트각 유지를 위한 클램핑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의 틸트각 유지를 위한 클램핑장치(1)를 사용하여 안테나(100)를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안테나의 틸트각 유지를 위한 클램핑장치(1)를 도시한 정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안테나의 틸트각 유지를 위한 클램핑장치(1)를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안테나의 틸트각 유지를 위한 클램핑장치(1)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특히, 도 1에서 (a)는 안테나(100)가 지면과 수직한 상태(지지체(200)와 평행한 상태)로 설치된 경우이고, (b)는 안테나(100)가 지면과 경사진 상태(지지체(200)와 경사진 상태)로 설치된 경우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의 틸트각 유지를 위한 클램핑장치(이하, '클램핑장치(1)'라고 함)는 이동통신의 기지국 및 중계기에 사용되는 안테나를 고정설치하기 위한 장치이며, 본 발명에서 안테나는 지향성 안테나 및 무지향성 안테나가 모두 포함될 수 있으나, 지면과 경사진 상태로 설치되는 지향성 안테나의 설치에 더욱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클램핑장치(1)는 실내 또는 실외에 설치될 수 있으며, 건물의 벽 또는 안테나의 고정을 위한 별도의 기둥 등에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지지체(200)'는 안테나가 설치되는 곳으로서, 건물의 벽 또는 기둥이 이에 해당될 수 있으며, 도 1에는 지지체(200)로서 폴대 형태의 기둥에 안테나(100)가 설치된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클램핑장치(1)는, 지지체브라켓(10), 안테나브라켓(20) 및 체결핀(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클램핑장치(1)를 구성하는 지지체브라켓(10), 안테나브라켓(20) 및 체결핀(40)은 안테나(100)의 안정된 고정 및 지지를 위하여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체브라켓(10)은 기둥과 같은 지지체(200)에 결합되는 부분이며, 볼트 등을 이용하여 지지체(200)에 단순히 체결되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고, 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체(200)를 감싸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지지체브라켓(10)은 지지체(200)의 일측면에 밀착되는 후방클램프(12), 후방클램프(12)와 반대쪽에서 지지체(200)의 타측면에 밀착되는 전방클램프(14) 및 후방클램프(12)와 전방클램프(14)가 지지체(200)에 밀착된 상태에서 양자를 서로 고정시키는 조임볼트(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지지체브라켓(10)은 제1 체결판(11)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 체결판(11)은 대체로 편평한 판 형태로 이루어지고, 전방클램프(14)에서 후방클램프(12) 반대쪽 방향으로 돌출되며 전방클램프(14)에서 일체로 연장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체결판(11)은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으로 구비되어 서로 이격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테나브라켓(20)은 안테나(100)에 결합되는 부분이며, 역시 볼트 등을 이용하여 안테나(100)에 단순히 체결되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고, 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100)의 하단을 감싸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안테나브라켓(20)은 안테나(100)의 하단이 수용되면서 결합되는 안테나수용부(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안테나브라켓(20)은 제2 체결판(21)을 포함하며, 제2 체결판(21)은 대체로 편평한 판 형태로 이루어지고, 안테나(100)수용부에서 지지체브라켓(10) 쪽을 향하여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제2 체결판(21)은 안테나수용부(22)와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2 체결판(21) 역시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한 쌍으로 구비되어 서로 이격된 형태로 형성된다.
한 쌍으로 구비되는 제1 체결판(11)과 제2 체결판(21)은 각각 서로 밀착된 상태로 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른 클램핑장치(1)에서 제1 체결판(11)과 제2 체결판(21)은, 서로 결합됨에 있어서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를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되면서, 안테나(100)의 요구되는 경사각(틸트각, θ)에 따라 제1 체결판(11)과 제2 체결판(21)을 서로 고정시키는 경우 체결핀(40)을 사용하여 양자 간의 상대회전이 저지되도록 이루어진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클램핑장치(1)는 우선, 제1 체결판(11)과 제2 체결판(21)이 틸트축(62)을 기준으로 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를 위하여 제1 체결판(11)과 제2 체결판(21)에는 수평방향으로 관통된 틸트홀(60a, 60b)이 형성되고, 이러한 틸트홀(60a, 60b)에 틸트축핀(61)이 꼭 맞게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다. 틸트축핀(61)은 통상의 볼트와 같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틸트각에 따라 제1 체결판(11)과 제2 체결판(21)을 서로 고정시키기 위하여, 제1 체결판(11)과 제2 체결판(21) 중, 어느 하나에는 장공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틸트축(62)을 중심으로 원호를 이루는 틸트조절공(30)이 관통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관통공(50)이 관통형성될 수 있다.
즉, 지지체브라켓(10)에 틸트조절공(30)이 형성되고, 안테나브라켓(20)에 관통공(50)이 형성될 수 있다.
틸트조절공(30)은 단순한 장공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고, 호 형태로 형성되면서 체결지점(31)과 걸림지점(32)이 반복된 형태로 형성되는데, 체결지점(31)의 폭이 D1인경우 걸림지점(32)은 그 폭이 D1보다 작은 D2로 이루어진다.(D1>D2) 예컨대 틸트조절공(30)은, 직경이 D1인 원형의 홀이 일정한 간격으로 중첩되어 연장된 모양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틸트조절공(30)은 틸트홀(60a, 60b) 위쪽에 위치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틸트홀(60a, 60b)의 좌측 또는 우측 등 다양하게 위치할 수 있다.
관통공(50)은 그 직경이 D2 보다 크게 이루어지며, 바람직하게는 틸트조절공(30)의 체결지점(31)과 동일하게 직경이 D1으로 이루어진다.
틸트축(62)에서 관통공(50) 까지의 거리는 틸트축(62)에서 틸트조절공(30) 까지의 거리와 같다.
체결핀(40)은 통상의 볼트와 같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틸트조절공(30)의 체결지점(31)과 관통공(50)을 관통하여 별도의 너트와 결합함으로써 제1 체결판(11)과 제2 체결판(21)을 서로 결합시킬 수 있다. 체결핀(40)의 직경은 D2보다 크고 바람직하게는 D1과 같게 이루어진다. 즉, 체결핀(40)의 직경은 체결지점(31) 및 관통공(50)의 직경과 같다. 다만, 여기서 '직경이 같다'는 것은, 물리적으로 완전히 동일한 수치를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체결핀(40)이 체결지점(31)과 관통공(50)을 관통함에 있어서 서로 간의 이격이 없이 꼭 맞게 끼워질 수 있는 정도임을 의미한다.
체결핀(40)이 틸트조절공(30) 중 어느 하나의 체결지점(31)을 관통하여 체결된 경우, 체결핀(40)의 직경이 D2보다 크므로 체결핀(40)은 걸림지점(32)에 걸려 틸트조절공(30)의 어느 한쪽으로 이동할 수 없으며, 제1 체결판(11)과 제2 체결판(21)의 고정(틸트각 고정)이 유지된다. 즉, 도 1(b)와 같이 안테나(100)가 하향 경사진 형태로 지지체(200)에 설치된 경우, 바람, 눈, 비와 같은 외부적 요인 및 자체 중량과 같은 내부적 요인에 의하여 지지체브라켓(10)과 안테나브라켓(20)의 연결부분(제1 체결판(11)과 제2 체결판(21)의 결합부분)에 하중이 가해져 회전모멘트가 작용하더라도, 제1 체결판(11)과 제2 체결판(21)이 서로 밀착된 상태에서 체결핀(40)이 체결되어 연결부분에서 강한 마찰력이 발생할 뿐 아니라, 체결지점(31)과 걸림지점(32)이 반복형성된 틸트조절공(30) 상에서 체결핀(40)의 위치고정이 이루어지므로 틸트각의 변경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방지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클램핑장치(1)에서는, 안테나(100)의 틸트각 설정과 함께 안테나(100)의 고정이 동시에 이루어지므로, 안테나(100)의 시공이 매우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b)에는 안테나(100)가 하향 경사진 형태로 지지체(200)에 설치되어 있으나, 안테나(100)의 설치 장소 및 목적 등에 따라 상향 경사진 형태로 설치될 수 있고, 이러한 경우에도 상술한 바와 동일하게 안테나(100)의 틸트각 유지가 안정되게 이루어짐은 물론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의 틸트각 유지를 위한 클램핑장치(1)를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클램핑장치(1)에서, 제1 체결판(11)과 제2 체결판(21) 모두에 틸트조절공(30)이 관통형성될 수 있다.
이때, 체결핀(40)은 제1 체결판(11)에 형성된 틸트조절공(30)의 체결지점(31)과 제2 체결판(21)에 형성된 틸트조절공(30)의 체결지점(31)을 관통하여 고정됨으로써, 지지체브라켓(10)을 기준으로 안테나브라켓(20)이 소정의 각도로 틸트된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클램핑장치(1)에 의하면, 체결지점(31)과 걸림지점(32)이 반복형성되는 틸트조절공(30)에 체결핀(40)이 관통하면서 안테나(100)의 틸트각 설정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중력방향으로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초기 틸트각을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틸트각의 설정과 틸트각 변경방지가 동시에 이루어져 시공이 매우 용이하며, 원형홀이 중첩되는 형태로 틸트조절공(30)을 형성하여 틸트각의 설정 간격이 미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의 틸트각 유지를 위한 클램핑장치에 의하면 이동통신의 기지국 및 중계기에 사용되는 안테나의 설치시 초기 틸트각 설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뿐 아니라 원하지 않는 틸트각 변경의 예방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 : 클램핑장치 10 : 지지체브라켓
11 : 제1 체결판 12 : 후방클램프
13 : 조임볼트 14 : 전방클램프
20 : 안테나브라켓 21 : 제2 체결판
30 : 틸트조절공 31 : 체결지점
32 : 걸림지점 40 : 체결핀
50 : 관통공 60a, 60b : 틸트홀
61 : 틸트축핀 62 : 틸트축
100 : 안테나 200 : 지지체

Claims (7)

  1. 이동통신의 기지국 및 중계기에 사용되는 안테나를 지지체에 고정하는데 사용되는 클램핑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에 고정되고, 일측으로 돌출되어 판 형태로 이루어지는 제1 체결판이 구비되는 지지체브라켓; 및
    상기 안테나에 고정되고, 일측으로 돌출되어 판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체결판과 평행한 상태에서 틸트축을 기준으로 회동가능하게 체결되는 제2 체결판이 구비되는 안테나브라켓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체결판과 제2 체결판 중, 어느 하나에는 장공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틸트축을 중심으로 원호를 이루고 폭이 D1인 체결지점과 폭이 D1보다 작은 D2인 걸림지점이 반복형성되는 틸트조절공이 구비되고, 다른 하나에는 직경이 D2보다 큰 체결핀이 상기 체결지점을 관통하여 고정되며,
    상기 체결핀은 상기 걸림지점에 걸려 상기 틸트조절공의 어느 한쪽으로 이동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의 틸트각 유지를 위한 클램핑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틸트조절공은, 직경이 D1인 원형홀이 일정한 간격으로 중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의 틸트각 유지를 위한 클램핑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판과 제2 체결판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틸트조절공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체결핀이 관통하도록 직경이 D1인 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의 틸트각 유지를 위한 클램핑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판 및 제2 체결판에는 각각 상기 틸트조절공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핀은 상기 체결지점을 관통하여 상기 제1 체결판과 제2 체결판을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의 틸트각 유지를 위한 클램핑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핀의 직경은 D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의 틸트각 유지를 위한 클램핑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판 및 제2 체결판 각각은 한 쌍으로 구비되어 서로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의 틸트각 유지를 위한 클램핑장치.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판과 제2 체결판이 서로 마주하는 면은 지면과 수직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의 틸트각 유지를 위한 클램핑장치.
KR1020130072663A 2013-06-24 2013-06-24 안테나의 틸트각 유지를 위한 클램핑장치 KR1015204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2663A KR101520473B1 (ko) 2013-06-24 2013-06-24 안테나의 틸트각 유지를 위한 클램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2663A KR101520473B1 (ko) 2013-06-24 2013-06-24 안테나의 틸트각 유지를 위한 클램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0561A KR20150000561A (ko) 2015-01-05
KR101520473B1 true KR101520473B1 (ko) 2015-05-18

Family

ID=52474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2663A KR101520473B1 (ko) 2013-06-24 2013-06-24 안테나의 틸트각 유지를 위한 클램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047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0287A (ko) 2019-07-18 2021-01-27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
KR20210027059A (ko) 2019-08-30 2021-03-10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4114B1 (ko) * 2020-03-16 2020-07-15 주식회사 에스디에프 기지국 안테나 지지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32118A (ja) * 2002-06-21 2004-01-29 Japan Radio Co Ltd アンテナ支持構造
KR200433753Y1 (ko) * 2006-09-23 2006-12-12 김문식 이동통신용 지향성 안테나의 지향각 조절 장치
KR20110131066A (ko) * 2010-09-01 2011-12-06 한종근 힌지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32118A (ja) * 2002-06-21 2004-01-29 Japan Radio Co Ltd アンテナ支持構造
KR200433753Y1 (ko) * 2006-09-23 2006-12-12 김문식 이동통신용 지향성 안테나의 지향각 조절 장치
KR20110131066A (ko) * 2010-09-01 2011-12-06 한종근 힌지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0287A (ko) 2019-07-18 2021-01-27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
KR20210027059A (ko) 2019-08-30 2021-03-10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0561A (ko) 2015-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45173B1 (en) Devices, assemblies, and methods for mounting a wireless access point to a post
US11264696B2 (en) Multi-antenna mounting device and multi-antenna assembly
KR200454837Y1 (ko) 안테나용 고정브래킷
US10826155B2 (en) Technician platform for antenna mount
US20010015707A1 (en) Adjustable antenna mount with rotatable antenna brackets for PCS and other antennas
US9853596B2 (en) Low-slope mounted photovoltaic array
KR101520473B1 (ko) 안테나의 틸트각 유지를 위한 클램핑장치
US8564498B2 (en) Variable angle mount for attaching a mast to a structure
KR20090017933A (ko) 안테나 클램프 장치
KR102145150B1 (ko) 5g 기지국 안테나 지지대
KR20120037686A (ko) 배관 높이조절 구조
JP2022552546A (ja) 改良型アンテナサポートシステム及びその設置方法
JP4838102B2 (ja) アンテナ装置
US20070273598A1 (en) Luneberg Lens Antenna Device
KR102080143B1 (ko) 안테나 각도 조절이 가능한 안테나 고정 장치
KR101414137B1 (ko) 방사 방향을 변경할 수 있는 안테나 조정장치
US9622292B1 (en) Mount for co-locating an access point and an antenna
KR102164283B1 (ko) 모노폴 안테나 고정 장치
KR102145149B1 (ko) 5g 기지국 안테나 지지대
KR100422324B1 (ko) 이동통신 기지국용 섹터 통합형 안테나
US11901607B2 (en) Mounting assembly for a base station antenna
US20120211632A1 (en) Supporting pedestal and related antenna system
KR102122177B1 (ko) 기지국용 안테나 지지장치
KR200433753Y1 (ko) 이동통신용 지향성 안테나의 지향각 조절 장치
KR102125626B1 (ko) 기지국용 안테나 지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