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2143B1 - 조정기능을 제공하는 안테나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조정기능을 제공하는 안테나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2143B1
KR100862143B1 KR1020070043097A KR20070043097A KR100862143B1 KR 100862143 B1 KR100862143 B1 KR 100862143B1 KR 1020070043097 A KR1020070043097 A KR 1020070043097A KR 20070043097 A KR20070043097 A KR 20070043097A KR 100862143 B1 KR100862143 B1 KR 1008621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brackets
sector
adjustment function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3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태용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430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21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21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21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01Q3/02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using mechanical movement of antenna or antenna system as a whole
    • H01Q3/04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using mechanical movement of antenna or antenna system as a whole for varying one co-ordinate of the orientation
    • H01Q3/06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using mechanical movement of antenna or antenna system as a whole for varying one co-ordinate of the orientation over a restricted ang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1207Supports; Mounting means for fastening a rigid aerial el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1235Collapsible supports; Means for erecting a rigid antenna

Landscapes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용 구조물에 설치되는 고정용 지주에 섹터형 안테나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면서, 방향성 및 방사 방향각이 자유롭게 조정될 수 있도록 조정기능을 제공하는 안테나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정기능을 제공하는 안테나 고정장치에 의하면, 섹터형 안테나가 고정장치에서 발휘되는 조정기능에 의하여 지주를 중심으로 하는 원주방향과 상하방향에 대한 조정기능이 그대로 발휘되면서, 특히 좌우방향에 대한 조정이 수평이동을 통해 조정될 수 있는 구조이므로, 섹터형 안테나 간에 가려짐으로 인한 방사 주파수의 방해 및 간섭을 최소화하면서 방사 방향각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조정기능을 제공하는 안테나 고정장치에 의하여 방해 및 간섭을 피하면서 수평방향으로 방사 방향각을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음으로써, 최상의 통화품질을 구현할 수 있고, 음역 섹터의 완전해소로 사용자의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나아가 최적의 통신환경을 구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안테나가 지주에 고정될 수 있도록 지주와 결합 되는 하나 이상의 클램프; 주파수 방사 면과 대응하는 상기 안테나의 배면에 폭 방향으로 배치되면서 수직방향을 따라 간격을 가지고 하나 이상 구비되는 슬라이드 브라켓; 상기 슬라이드 브라켓에 형성되어 상기 클램프와 연결되는 고정 브라켓이 이동 가능하게 결합 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지주를 중심으로 안테나가 수평이동하여 좌우방향으 로 조정되도록 가이드 슬롯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조정 기능을 제공하는 안테나 고정장치가 제공된다.
안테나, 조정, 수평, 고정, 브라켓, 주파수, 간섭, 방해

Description

조정기능을 제공하는 안테나 고정장치{Antenna Fixing Apparatus with a Adjustment Function}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섹터형 안테나가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섹터형 안테나 고정장치가 지주에 결합 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이다.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섹터형 안테나가 유도방향을 가지고 운용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섹터형 안테나가 본 발명에 따른 고정장치를 이용하여 지주에 결합 된 모습을 보여주는 것으로, 도 4a는 결합 사시도 이고, 도 4b는 분리 사시도 이다.
도 5는 섹터형 안테나가 수평방향으로 조정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평단면도 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섹터형 안테나가 유도방향을 가지고 운용되는 모습과, 후방에 배치된 섹터형 안테나가 수평방향으로 조정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구조물 12 : 통발
14 : 지주 16 : 안테나
22,24 : 클램프 26 : 연결부재
28,30 : 고정 브라켓 32 : 연결대
34 : 힌지 40,42 : 슬라이드 브라켓
44 : 가이드 슬롯 46 : 표시부
48 : 걸림부재
본 발명은 조정기능을 제공하는 안테나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섹터형 안테나가 지주에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하면서, 방향성 및 방사 방향 각이 자유롭게 조정되도록 하여 섹터형 안테나 간에 가려짐으로 인한 방사 주파수의 방해 및 간섭을 최소화하고, 방사 방향각이 그대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섹터형 안테나가 수평방향으로 조정될 수 있는 구조에 의하여 최상의 통화품질을 구현하고, 음역 섹터의 완전해소로 인한 사용자의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음은 물론, 최적의 통신환경의 구축이 가능하여 광 중계기 안테나의 운용 범위 및 기능 개선을 통해 통화품질을 포함하는 유지,보완,운용이 합리적으로 관리될 수 있도록 새로운 타입으로 개선된 조정기능을 제공하는 안테나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용 구조물(10)에 원형으로 이루어진 통발(12)이 설치되고, 통발(12)의 외주 연을 따라 수직으로 고정되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 고정용 지주(14)에는 섹터형 안테나(16)가 설치된다.
상기 지주(14)에 안테나(16)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고정장치를 설명하기에 앞서 그 구성요소를 살펴보면, 주파수 방사 면과 대응하는 상기 안테나(16)의 배면 상 하부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28,30)과, 상기 고정브라켓(28,30)과 연결되며 지주(14)에 결합 되는 클램프(22,24)와, 상기 고정브라켓(28)와 클램프(22) 사이에 연결되어 접힘 각도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섹터형 안테나(16)가 조정될 수 있도록 하는 연결부재(26)로 구성된다.
아래에서는 앞서 언급된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섹터형 안테나(16)의 상부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28)은 체결 형태로 고정된다. 상기 고정 브라켓(28)의 양 측면과 클램프(22)의 양 측면 사이에는 연결부재(26)가 배치되며, 이와 같이 배치되는 연결부재(26)의 양단이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러한 연결부재(26)는 한 쌍의 연결대(32)가 힌지(34)를 중심으로 접히거나 펴질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된다.
상기 섹터형 안테나(16)의 하부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30)의 전면에는 앞서 와 같이 지주(14)에 고정할 수 있도록 클램프(24)가 구비되어 있다.
참고로, 상기 섹터형 안테나(16)의 구조 및 클램프(22,24)를 사용하여 지주에 결합 되는 구조는 이미 공지된 공지 기술에 불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위와 같이 섹터형 안테나(16)와 연결되는 고정장치를 이용하여 지주(14)에 안테나(16)가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각 클램프(22,24)의 내부로 지주(14)를 통과시키고 조임 체결함으로써 상기 섹터형 안테나(16)는 클램프(22,24)에 의하여 지주(14)에 고정된다.
그러나, 통상적으로 2G,3G 공용화 국소에 대하여 주파수 방향이 한 방향(또는 비슷한 방향)으로 유도되는 여러 개의 섹터형 안테나(16)가 지주(14)에 각각 설치되게 되면, 지주(14)는 원형으로 이루어진 통발(12)의 외주 연을 따라 배치되는 구조이므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섹터형 안테나(16)는 전방에 배치되는 섹터형 안테나(16)의 가려짐에 의해 방사 주파수에 대한 방해 및 간섭이 발생 된다.
위와 같은 방해와 간섭을 피하고자 지주(14)를 중심으로 후방에 배치된 섹터형 안테나(16)를 회동시키게 되면, 위에서 언급된 문제를 해소할 수 있으나, 방사 방향각이 바뀌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위와 같이 방사 주파수에 대한 방해 및 간섭이 발생 되게 되면, 원하는 지역 혹은 범위에 대하여 최상의 통화품질을 구현할 수 없고, 그로 인해 사용자의 불편을 초래함은 물론, 최적의 통신환경을 구축하기 어렵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고정장치의 조정기능에 의하여 지주를 중심으로 하는 원주방향 및 상하방향에 대한 조정기능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특히, 수평방향의 조정기능에 의해 방사 주파수에 대한 방해 및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조정기능을 제공하는 안테나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평방향으로 조정되는 기능에 의해 원하는 지역 혹은 범위에서 최상의 통화품질을 구현할 수 있는 점과, 음역 섹터의 완전해소로 사용자의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점, 나아가 최적의 통신환경의 구축이 가능하여 섹터형 안테나의 운용범위 및 기능 개선을 통해 원활한 통화품질을 보장하고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운용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안테나가 지주에 고정될 수 있도록 지주와 결합 되는 하나 이상의 클램프; 주파수 방사 면과 대응하는 상기 안테나의 배면에 폭 방향으로 배치되면서 수직방향을 따라 간격을 가지고 하나 이상 구비되는 슬라이드 브라켓; 상기 슬라이드 브라켓에 형성되어 상기 클램프와 연결되는 고정 브라켓이 이동 가능하게 결합 되고 상기 지주를 중심으로 안테나가 수평 이동하여 좌우방향으로 조정되도록 가이드 슬롯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 브라켓과 가이드 슬롯을 관통하여 가이드 슬롯의 내측에서 걸림 상태로 결합 되는 걸림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 슬롯을 따라 고정 브라켓과 함께 걸림부재가 이동하는 구조로 구성되는 조정 기능을 제공하는 안테나 고정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에서 슬라이드 브라켓에는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 량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도록 표시부가 가이드 슬롯을 따라 표기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삭제
삭제
또한, 상기에서 클램프와 고정 브라켓의 사이에는 힌지를 중심으로 접힘과 펴짐이 이루어질 수 있는 연결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양단이 클램프와 고정 브라켓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연결부재의 접힘 각도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안테나가 조정되는 구조가 제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a 및 도 4b는 섹터형 안테나가 본 발명에 따른 고정장치를 이용하여 지주에 결합 된 모습을 보여주는 것으로, 도 4a는 결합 사시도 이고, 도 4b는 분리 사시도 이다. 앞서 종래기술로 설명된 도 1 내지 도 3과 동일한 부품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하고, 중복 설명을 피하고자 생략한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정기능을 제공하는 안테나 고정장치의 구성을 살펴보면, 주파수 방사 면과 대응하는 섹터형 안테나(16)의 배면 상 하부에 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슬라이드 브라켓(40,42)이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 브라켓(40,42)에는 수평방향, 즉 안테나(16)의 폭 방향 으로 길이를 가지는 가이드 슬롯(44)이 형성되어 있고, 아울러 가이드 슬롯(44)을 따라 표시부(46)가 표기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슬라이드 슬롯(40,42)이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길이를 가지는 장공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로 한정할 필요는 없으며, 후술하는 고정 브라켓(28)이 슬라이드 브라켓(40,42)에 바로 결합 되어 수평으로 이동할 있다면 어떠한 결합구조를 취하더라도 무방할 것이다.
또한, 상기 표시부(46)로는 수평 조정 량이나 이동 거리 등에 대한 정보가 쉽고 정밀하게 파악될 수 있도록 눈금,숫자,기호, 문구 등으로 표기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브라켓(40,42)에는 클램프(22,24)와 연결되는 고정 브라켓(28,30)이 결합 되는데, 우선 상기 슬라이드 브라켓(40,42)에 고정 브라켓(28,30)이 밀착되는 상태에서 고정 브라켓(28,30)과 슬라이드 브라켓(40,42)의 가이드 슬롯(44)을 관통하여 서로 걸림 되도록 체결되는 걸림부재(48)로 결합 된다.
도시된 도면에서는 상기 걸림부재(48)가 볼트와 너트로 이루어져 서로 체결구조로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와 같은 것으로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슬라이드 브라켓(40,42)과 고정 브라켓(28,30) 간에 견고하게 고정되면서 가이드 슬롯(44)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면 그 어떤 걸림 구조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고정 브라켓(28,30) 중 어느 하나의 고정 브라켓(28)과 클램프(22) 사이에 연결되는 연결부재(32) 및 지주(16)에 고정되는 클램프(22,24)의 구성은 종래와 동일한 구조로 구성되므로 생략한다.
위와 같이 구성된 섹터형 안테나(16)는 클램프(22,24)를 이용하여 종래와 동일한 방법으로 지주(14)에 고정된다. 이때 여러 개의 섹터형 안테나(16)가 주파수 방사 방향이 서로 비슷한 방향으로 유도되도록 설치될 경우, 종래에서 설명되었듯이 후방에 배치되는 섹터형 안테나(16)는 전방에 배치되는 섹터형 안테나(16)에 의해 가려지게 되어 방사 주파수에 대한 방해 및 간섭이 발생 된다.
위와 같이 주파수 방사에 대한 방해 및 간섭이 발생하게 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14)를 중심으로 하여 후방에 배치되는 섹터형 안테나(16)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 브라켓(28,30)이 슬라이드 브라켓(40,42)의 가이드 슬롯(44)을 따라 이동하게 되는 구조이지만, 여기서는 고정 브라켓(28,30)이 지주(14)에 결합 된 클램프(22,24)와 연결되어 있어 움직이지 못하므로, 후방에 배치된 섹터형 안테나(16)가 좌우방향으로 수평 이동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후방에 배치되는 섹터형 안테나(16)가 도 6에 보듯이 전방에 배치된 섹터형 안테나(16)로부터 수평 이동되어 가려짐이 벗어나는 상태로 위치하게 되면, 앞서 언급한 방사 주파수에 대한 방해 및 간섭이 자연히 해소되면서도 후방에 배치되는 섹터형 안테나(16)가 향하는 유도 방향이 그대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조정 기능을 갖는 안테나 고정장치를 사용하게 되면, 안테나(16) 간에 근접이나 가려짐이 있더라도 수평조정 기능에 의하여 방사 주파수의 방해 및 간섭이 최소화될 수 있음은 물론, 안테나(16)의 유도 방향이 그대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을 사용하게 되면, 위에서와 같이 주파수의 방해 및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므로, 원하는 지역 혹은 범위에서 최상의 통화품질을 구현할 수 있고, 음역 섹터의 완전해소로 사용자의 불편을 줄일 수 있으며, 나아가 최적의 통신환경의 구축과, 안테나(16)의 운용범위 및 원활한 통화품질의 보장을 통해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운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지주와 결합 되는 고정장치의 고정 브라켓이 안테나에 구비되는 슬라이드 브라켓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 되어, 안테나가 지주를 중심으로 좌우로 이동되는 구조이므로, 안테나의 유도 방향각을 보다 정확하고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사용하게 되면, 협소한 공간에서 여러 개의 안테나가 설치될 때, 안테나와 안테나 간에 가려짐을 방지할 수 있어, 방사 주파수에 대한 방해 및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사용하게 되면, 앞서 언급된 효과에 의하여 최상의 통화품 질을 구현할 수 있고, 음역 섹터의 완전해소로 사용자의 사용상 편의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나아가 안테나 간에 서로 주파수 방해 및 간섭 최소화로 최적의 통신환경을 구축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사용하게 되면, 안테나의 운용범위 및 원활한 통화품질이 보장되고, 아울러 효율적인 안테나 운용과 합리적인 유지보수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안테나(16)가 지주(14)에 고정될 수 있도록 지주(14)와 결합 되는 하나 이상의 클램프(22,24);
    주파수 방사 면과 대응하는 상기 안테나(16)의 배면에 폭 방향으로 배치되면서 수직방향을 따라 간격을 가지고 하나 이상 구비되는 슬라이드 브라켓(40,42);
    상기 슬라이드 브라켓(40,42)에 형성되어 상기 클램프(22,24)와 연결되는 고정 브라켓(28,30)이 이동 가능하게 결합 되고 상기 지주(14)를 중심으로 안테나(16)가 수평 이동하여 좌우방향으로 조정되도록 가이드 슬롯(44)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 브라켓(28,30)과 가이드 슬롯(44)을 관통하여 가이드 슬롯(44)의 내측에서 걸림 상태로 결합 되는 걸림부재(48)가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 슬롯(44)을 따라 고정 브라켓(28,30)과 함께 걸림부재(48)가 이동하는 구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 기능을 제공하는 안테나 고정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브라켓(40,42)에는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 량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도록 표시부(46)가 가이드 슬롯(44)을 따라 표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 기능을 제공하는 안테나 고정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22)와 고정 브라켓(28)의 사이에는 힌지(34)를 중심으로 접힘과 펴짐이 이루어질 수 있는 연결부재(26)가 배치되고, 상기 연결부재(26)의 양단이 클램프(22)와 고정 브라켓(28)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연결부재(26)의 접힘 각도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안테나(16)가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 기능을 제공하는 안테나 고정장치.
KR1020070043097A 2007-05-03 2007-05-03 조정기능을 제공하는 안테나 고정장치 KR1008621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3097A KR100862143B1 (ko) 2007-05-03 2007-05-03 조정기능을 제공하는 안테나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3097A KR100862143B1 (ko) 2007-05-03 2007-05-03 조정기능을 제공하는 안테나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2143B1 true KR100862143B1 (ko) 2008-10-09

Family

ID=40152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3097A KR100862143B1 (ko) 2007-05-03 2007-05-03 조정기능을 제공하는 안테나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2143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7664B1 (ko) * 2011-09-26 2013-06-21 주식회사 성신정보통신 이동통신 안테나
WO2015008900A1 (ko) * 2013-07-16 2015-01-22 주식회사 굿텔 안테나 고정용 슬라이드 브라켓 및 이를 사용한 안테나 고정 장치
KR101503236B1 (ko) 2014-08-04 2015-03-18 주식회사 케이에스정보통신 이동통신 중계기용 안테나 각도 조절장치
KR20160050684A (ko) * 2014-10-30 2016-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설치 브라켓 세트
KR20170033926A (ko) * 2015-09-17 2017-03-28 주식회사 굿텔 추가안테나 설치용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안테나 장치
KR102025583B1 (ko) * 2019-02-07 2019-09-27 (주)금성계전 안테나 각도 조절 장치
WO2020116801A1 (ko) * 2018-12-03 2020-06-11 김문규 기지국용 안테나 지지장치
CN111288276A (zh) * 2020-01-15 2020-06-16 宿迁比特科技有限公司 一种通讯工程变换器固定装置
KR20220140183A (ko) 2021-04-09 2022-10-18 전세진 안테나 거치 장치
WO2023080539A1 (ko) * 2021-11-03 2023-05-11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안테나 기기용 클램핑 장치
KR102566169B1 (ko) 2022-02-08 2023-08-10 김송태 안테나 거치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9260A (ko) * 2002-02-19 2003-08-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기지국용 안테나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9260A (ko) * 2002-02-19 2003-08-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기지국용 안테나장치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7664B1 (ko) * 2011-09-26 2013-06-21 주식회사 성신정보통신 이동통신 안테나
WO2015008900A1 (ko) * 2013-07-16 2015-01-22 주식회사 굿텔 안테나 고정용 슬라이드 브라켓 및 이를 사용한 안테나 고정 장치
KR101517775B1 (ko) * 2013-07-16 2015-05-07 주식회사 굿텔 안테나 고정용 슬라이드 브라켓 및 이를 사용한 안테나 고정 장치
KR101503236B1 (ko) 2014-08-04 2015-03-18 주식회사 케이에스정보통신 이동통신 중계기용 안테나 각도 조절장치
KR20160050684A (ko) * 2014-10-30 2016-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설치 브라켓 세트
KR102193185B1 (ko) 2014-10-30 2020-12-18 삼성전자주식회사 설치 브라켓 세트
KR101720484B1 (ko) * 2015-09-17 2017-04-11 주식회사 굿텔 추가안테나 설치용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안테나 장치
KR20170033926A (ko) * 2015-09-17 2017-03-28 주식회사 굿텔 추가안테나 설치용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안테나 장치
WO2020116801A1 (ko) * 2018-12-03 2020-06-11 김문규 기지국용 안테나 지지장치
KR102025583B1 (ko) * 2019-02-07 2019-09-27 (주)금성계전 안테나 각도 조절 장치
CN111288276A (zh) * 2020-01-15 2020-06-16 宿迁比特科技有限公司 一种通讯工程变换器固定装置
KR20220140183A (ko) 2021-04-09 2022-10-18 전세진 안테나 거치 장치
WO2023080539A1 (ko) * 2021-11-03 2023-05-11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안테나 기기용 클램핑 장치
KR102566169B1 (ko) 2022-02-08 2023-08-10 김송태 안테나 거치 장치
WO2023153575A1 (ko) * 2022-02-08 2023-08-17 김송태 안테나 거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2143B1 (ko) 조정기능을 제공하는 안테나 고정장치
KR101869756B1 (ko) 이동통신 시스템용 가변 빔 제어 안테나
ES2718923T3 (es) Sistema de antenas de doble polarización y unidades de radiación de las mismas
EP3413395B1 (en) Phase shifting device
JP6283043B2 (ja) ラックシステムのためのスライドレールアセンブリ
US10784666B2 (en) Bracket for electrical devices
RU2765544C2 (ru) Улучшенная передняя система регулировки ножек для мебели
CA2408272A1 (en) Improved rf shielding of a radio base station
US10833407B2 (en) Phase shifter assembly
CN110011196B (zh) 一种便于检修的安全型低压柜
US20160285175A1 (en) Antenna device and antenna apparatus
TWI677275B (zh) 連接總成及其理線裝置
US10615488B2 (en) Linkage mechanism for base station antenna
BR112021002344A2 (pt) antena e terminal móvel
CA3147599A1 (en) Pivotable and adjustable support for electrical device
KR20140069971A (ko) 빔폭 확대 장치를 구비한 이동통신 기지국 안테나
US20140043205A1 (en) Configurable antenna system and method
JP2019080224A (ja) アンテナ取付腕出し金具
EP4372907A1 (en) Base station device
US8683928B2 (en) Laser barrier system for optical tables
CN110797636A (zh) 双极化天线及其低频辐射单元
TW201603390A (zh) 具有高隔離度的天線裝置
KR20080019489A (ko) 벽걸이 브래킷
JP5473159B2 (ja) アンテナ装置
US20190132986A1 (en) Slide rail mechanis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