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3185B1 - 설치 브라켓 세트 - Google Patents

설치 브라켓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3185B1
KR102193185B1 KR1020140149396A KR20140149396A KR102193185B1 KR 102193185 B1 KR102193185 B1 KR 102193185B1 KR 1020140149396 A KR1020140149396 A KR 1020140149396A KR 20140149396 A KR20140149396 A KR 20140149396A KR 102193185 B1 KR102193185 B1 KR 1021931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bolt
hook portion
nut
p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9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0684A (ko
Inventor
이은애
김규철
남기춘
윤지연
주태형
최동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493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3185B1/ko
Publication of KR201600506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06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31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31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 H04Q1/021Constructional details using pivoting mechanisms for accessing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04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comprising several parts forming a closed casing
    • H05K5/0008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comprising several parts forming a closed casing assembled by scre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1/00Constructional details of selecting arrangements
    • H04Q2201/08Pivotable parts

Abstract

본 발명에는 통신 장치의 설치 브라켓 세트가 개시된다. 개시된 설치 브라켓 세트는 제1,2브라켓; 및 상기 제1,2 브라켓을 폴에 고정하는 적어도 한 쌍의 볼트-너트 세트를 포함하되, 상기 볼트-너트 세트는 회전하여 제1브라켓에 걸리는 회전 걸이식 볼트-너트 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설치 브라켓 세트{MOUNTING BRACKET SE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통신 장비의 설치 브라켓 세트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통신 서비스를 원활하게 제공하기 위해서는 일정 거리마다 중계기 등을 설치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중계기는 높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건물 옥상 등에 중계기를 설치하는데, 들판과 같은 곳에는 높은 건물이 없어 중계기를 설치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이럴 경우에는, 지반에 전주를 세우고, 전주의 상부에 중계기를 장착한다. 그리고 중계기가 전주에 장착된 상태에서 작업자는 주기적으로 중계기를 점검 및 정비를 하여야 한다.
때로는 작업자가 중계기를 전주에 설치하거나 또는 설치된 중계기를 점검 및 정비함에 있어서, 작업자가 딛고 설 수 있는 발판을 전주에 설치하기도 한다.
전파를 발산하거나 전파를 중계하는 전파 중계기 등의 통신 장비를 건물의 벽, 전봇대나 폴대 또는 옥상 등에 설치할 경우, 통신 장비를 지지하기 위한 설치 구조물이 필요하다. 통신 장비를 설치 구조물에 지지하는 방법은 다양한 방법이 있으나, 보통 볼트/너트 및 브라켓등의 체결 부재를 이용하여 통신 장비를 설치 구조물에 장착하는 방식이 대부분이다.
하지만, 높은 한정된 설치 공간에서, 한 명의 작업자가 20~30kg의 RRU(remote radio unit) 무게를 지지하며 설치 구조물을 전봇대나 폴대 등에 설치하려면, 한 손의 쉬운 설치가 중요한 이슈가 된다.
또한, 한 명의 작업자가 상대적으로 높은 곳에 통신 장치를 설치 구조물을 설치할 경우에, 작업자 안전성도 고려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높은 폴이나 옥상에 RRU와 같은 통신 장비의 설치가 용이한 설치 브라켓 세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빠른 설치가 가능하여, 인건비를 줄일 수 있는 설치 브라켓 세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제1,2브라켓; 및 상기 제1,2 브라켓을 폴에 고정하는 적어도 한 쌍의 볼트-너트 세트를 포함하되, 상기 볼트-너트 세트는 회전하여 제1브라켓에 걸리는 회전 걸이식 볼트-너트 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전후방 브라켓; 상기 전후방 브라켓 일측을 폴에 고정하는 볼트-너트 세트; 및 상기 전후방 브라켓 타측을 폴에 고정하는 회전 걸이식 볼트-너트 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설치 브라켓 세트는 기존 부품수를 유지하면서, 높은 폴이나 옥상에 RRU와 같은 통신 장치의 손쉬운 설치가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는 최소한의 동작으로 빠른 설치가 가능(설치 편의성 증진)하며, 작업자 손을 좀 더 자유롭게 사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설치시간 단축으로 하루에 설치 건수를 늘려 인건비를 줄일 수 있고, 설치 위치(주로 지상에서 폴의 2-3미터 이상의 위치)이나 옥상 위)에서 손을 자유롭게 하여, 설치자 및 제품의 안정성 증진에 기여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의 상기 및 다른 측면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함께 취해지는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설치 브라켓 세트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폴에 설치 브라켓 세트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설치 브라켓 세트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폴에 설치 브라켓 세트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폴에 설치 브라켓 세트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폴에 설치 브라켓 세트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a 내지 도 7f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설치 브라켓 세트를 폴에 설치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각각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present disclosure)를 설명한다. 본 개시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이 도면에 예시되고 관련된 상세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본 개시를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개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또는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되었다.
본 개시 가운데 사용될 수 있는“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개시된 해당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하나 이상의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을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본 개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또는”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단어들의 어떠한, 그리고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A 또는 B”는, A를 포함할 수도, B를 포함할 수도, 또는 A 와 B 모두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개시 가운데 “제1,”“제2,”“첫째,”또는“둘째,”등의 표현들이 본 개시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수식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및/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표현들은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 짓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기기와 제 2 사용자 기기는 모두 사용자 기기이며,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본 개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개시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개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설치 브라켓 세트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폴에 브라켓 세트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도 2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설치 브라켓 세트는 한 쌍의 브라켓(10,12)과, 한 쌍의 볼트-너트(13,14;15,1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브라켓(10,12)은 금속 재질로서, 전방 브라켓(10)과 후방 브라켓(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방 브라켓(10)과 후방 브라켓(12)은 폴(P)에 밀착하는 부분에 톱니모양부(100,1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폴의 외주면과 밀착하도록 곡률을 가지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제1,2볼트-너트는 상기 전후방 브라켓(10,12)과 체결되어, 상기 전후방 브라켓(10,12)을 폴(P)에 고정시킨다. 공지의 볼트와 너트 구성은 당업자라면 충분히 이해할 수 있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설치 브라켓 세트를 폴(P)에 장착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설치 브라켓 세트는 지상보다, 지상에서 대략 2-3미터 이상의 높은 곳의 폴에 설치되기 때문에, 지상에서 상기 전후방 브라켓(10,12)은 하나의 볼트-너트(13,14)를 이용하여, 선 조립한 상태로 작업과정이 진행된다.
상기 볼트-너트 체결의 특성상, 상기 제1볼트-너트(13,14)만 체결 가능하고, 나머지 제2볼트-너트(15,16)는 작업자는 입에 물거나, 주머니에 따로 보관하여 폴의 설치위치에서 제2볼트-너트(15,16)를 체결한다, 상기 폴(P)에 전후방 브라켓(10,12)을 끼운 이후, 상기 제2볼트-너트의 최종 조립을 하기 때문에 한 손이 자유롭지 못하여 작업 효율이 떨어진다. 또한, 한 손이 자유롭지 못해, 작업자의 안정과 제품의 안정을 확보할 수 없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과제를 해결한 다양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5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설치 브라켓 세트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설치 브라켓 세트는 단순한 공지의 제1,2볼트-너트 세트 체결방식을 사용하여 브라켓을 폴에 체결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는 공지의 볼트-너트 세트 체결 방식을 사용하되, 다른 하나의 볼트-너트 세트는 공지의 볼트-너트 체결방식을 사용하면서, 회전 동작과 걸이 동작으로 체결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설치 브라켓 세트는 한 쌍의 브라켓(20,22)과, 볼트-너트 세트(25,26)와, 회전 걸이식 볼트-너트 세트(23,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브라켓(20,22)은 금속 재질로서, 전방 브라켓(20)과 후방 브라켓(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방 브라켓(20)과 후방 브라켓(22)은 폴(P)에 밀착하는 부분에 톱니 모양부(200,220)를 각각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폴(P)의 외주면과 밀착하도록 곡률을 가지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방 브라켓(20)과 후방 브라켓(22)은 각각의 볼트가 관통하는 체결용 개구(201,202;221,222)를 각각 2개씩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볼트-너트 세트는 하나의 선형 볼트(25)와, 너트(2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형 볼트(25)는 외주면에 나삿니가 형성되어서, 상기 나삿니부에 너트(26)를 삽입하여 회전시킴으로서, 상기 전후방 브라켓(20,22)의 일측을 구속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너트(26)를 강하게 조일수록, 상기 전후방 브라켓(20,22)은 가까워지게 이동하여서, 상기 폴(P)과 더욱 밀착 고정상태가 될 수 있다.
상기 회전 걸이식 볼트-너트 세트(23,24)는 상기 전후방 브라켓(20,22)의 타측을 고정하되, 상기 볼트-너트 세트(25,25)와 비교하여, 상이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 걸이식 볼트-너트 세트(23,24)는 반조립 상태에서 전후방 브라켓(20,22) 사이에 폴(P)을 삽입하고, 회전하여 상기 전방 브라켓(20)에 걸리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회전 걸이식 볼트-너트 세트는 하나의 직각 형상 볼트(23)와, 너트(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 걸이식 볼트-너트 세트(23,24)는 전후방 브라켓(20,22) 타측을 체결하는데 사용되며, 특히 반조립(선조립) 상태에서 설치 브라켓 세트에 폴을 삽입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직각 형상 볼트(23)는 선형부(230)와, 걸이부(2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직각형 볼트(23)는 선형부(230)에서 일부를 직각방향으로 벤딩하여 걸이부(231)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선형부(230)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너트(24)가 삽입되에 체결되는 부분일 수 있다. 상기 걸이부(231)는 직각 형상 볼트(23)를 회전시키기 위한 손잡이 부분과, 상기 회전 후에 상기 전방 브라켓(22)에 걸리는 연결 부분일 수 있다. 상기 걸이부(231) 단은 벤딩하여 추가 걸이부(232)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방 브라켓(20)은 상기 걸이부(231)가 관통하기 위한 장공(20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장공(202)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걸이부(231)가 수평 방향으로 관통할 정도의 충분한 크기로 구성될 수 있다. 달리, 상기 장공(202)의 연장된 방향은 수평 방향으로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수직 방향이나 경사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걸이부(231)는 회전 동작을 하는데, 대략 상기 장공(202)에 삽입된 후에 90도 정도 회전하여 상기 전방 브라켓 하단에 걸릴 수 있다.
상기 걸이부(231)는 선형으로, 단에 직각 방향으로 벤딩된 추가 걸이부(23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추가 걸이부(232)는 전방 브라켓(20) 하단에 걸려서, 상기 걸이부(231)를 전방 브라켓(20)에 구속하는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전방 브라켓(20) 외면에는 90도 회전하는 걸이부(231)가 배치되는 안착홈(203)이 구비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폴에 설치 브라켓 세트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설치 브라켓 세트의 걸이부(331)는 곡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6에는 걸이부(331)가 링형으로 구성된 상태가 도시되었다. 하지만, 상기 걸이부(331)는 선형이나 곡형으로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상기 장공을 통과하며, 손잡이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면,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f를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설치 브라켓 세트를 폴에 장착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설치 브라켓 세트는 지상보다, 지상에서 대략 2-3미터 이상의 높은 곳의 폴에 설치되기 때문에, 지상에서 상기 전후방 브라켓은 볼트-너트 선 조립한 상태로 작업과정이 진행된다.
도 7a, 도 7b를 참조하면, 지상에서 상기 전후방 브라켓(20,22)을 마주보게 한 후, 상기 볼트-너트 세트(25,26)를 이용하여 전후방 브라켓(20,22) 일측을 체결한다.
도 7c를 참조하면, 지상에서 상기 볼트-너트 세트(25,26)가 체결된 전후방 브라켓(20,22)에 회전 걸이식 볼트-너트 세트(23,24)를 이용하여 상기 전후방 브라켓(20,22)의 타측을 체결한다. 이때, 상기 걸이부(231)는 전방 브라켓(20)에 완전히 걸리게 배치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장공(202)에 걸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d를 참조하면, 폴(P)의 설치 위치에서, 상기 전후방 브라켓(20,22)을 벌려서, 상기 폴(P)을 전후방 브라켓(20,22) 사이에 삽입하여 위치시킨다.
도 7e를 참조하면, 폴(P)의 설치 위치에서, 상기 걸이부(231)가 장공(202)을 관통하고 나서, 90도 정도 회전시킨다. 이 때, 상기 전방 브라켓(20)에 형성된 안착홈(203)에 상기 걸이부(231)를 대면하게 위치시킨다. 상기 추가 걸이부(232)는 전방 브라켓(20) 하단에 위치한다.
도 7f를 참조하면, 폴(P)의 설치 위치에서, 상기 너트(24)와 상기 직각 형상의 볼트(25) 간의 조임으로서, 상기 폴(P)에 전후방 브라켓(20,22)의 고정이 완성된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개시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개시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개시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7)

  1. 설치 브라켓 세트에 있어서,
    제1 브라켓;
    제2 브라켓; 및
    상기 제1 브라켓 및 상기 제2 브라켓을 폴에 고정하기 위한 한 쌍의 볼트-너트 세트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볼트-너트 세트는 볼트와 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볼트는 상기 볼트의 제2 측이 벤딩되어 형성되는 걸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볼트의 제1 측은 상기 제1 브라켓을 관통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너트는, 상기 제1 브라켓을 고정시키도록 상기 볼트의 상기 제1 측에 체결되고,
    상기 볼트의 제2 측은 상기 제2 브라켓을 관통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걸이부는, 상기 볼트가 제2 브라켓에 걸리도록 체결되는 설치 브라켓 세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볼트-너트 세트는
    직각 형상의 볼트; 및
    상기 직각 형상의 볼트에 체결되는 상기 너트를 포함하는 설치 브라켓 세트.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는 회전하기 위한 손잡이 역할을 겸하는 설치 브라켓 세트.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는 상기 걸이부의 벤딩된 추가 걸이부를 포함하는 설치 브라켓 세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브라켓은 상기 걸이부가 관통하는 장공이 구비되는 설치 브라켓 세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장공은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걸이부가 수평 방향으로 관통할 정도의 크기로 구성되는 설치 브라켓 세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 브라켓 세트의 반조립 상태에서, 상기 걸이부가 상기 장공에서 분리된 후에 상기 폴이 상기 제1 브라켓 및 상기 제2 브라켓 사이로 삽입되고, 상기 걸이부가 상기 장공에 삽입된 후, 상기 걸이부를 회전하여 상기 제2 브라켓에 구속하는 설치 브라켓 세트.
  9. 삭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 및 상기 추가 걸이부를 상기 제2 브라켓에 구속한 후, 상기 너트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브라켓 및 상기 제2 브라켓을 상기 폴에 고정하는 설치 브라켓 세트.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 브라켓 세트는 통신 장치를 설치하는데 사용되는 설치 브라켓 세트.
  12. 설치 브라켓 세트에 있어서,
    전방 브라켓; 및
    후방 브라켓;
    상기 전방 브라켓 및 상기 후방 브라켓의 제1 측을 폴에 고정하는 제1 볼트-너트 세트; 및
    상기 전방 브라켓 및 상기 후방 브라켓의 제2 측을 상기 폴에 고정하는 제2 볼트-너트 세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볼트-너트 세트는 직각 형상의 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직각 형상의 볼트는 상기 직각 형상의 볼트가 벤딩되어 형성되는 걸이부를 포함하는 설치 브라켓 세트.
  13. 삭제
  14. 삭제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는 회전하여 상기 전방 브라켓의 하단에 걸리는 추가 걸이부를 포함하는 설치 브라켓 세트.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는 선형 또는 곡형으로 구성되어, 손잡이 역할을 겸하는 설치 브라켓 세트.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브라켓의 외면에는 상기 걸이부가 회전하여 안착하는 안착홈을 구비하며, 상기 안착홈은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설치 브라켓 세트.
KR1020140149396A 2014-10-30 2014-10-30 설치 브라켓 세트 KR1021931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9396A KR102193185B1 (ko) 2014-10-30 2014-10-30 설치 브라켓 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9396A KR102193185B1 (ko) 2014-10-30 2014-10-30 설치 브라켓 세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0684A KR20160050684A (ko) 2016-05-11
KR102193185B1 true KR102193185B1 (ko) 2020-12-18

Family

ID=56025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9396A KR102193185B1 (ko) 2014-10-30 2014-10-30 설치 브라켓 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31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33498A (ko) 2022-09-05 2024-03-12 주식회사 한빛티앤아이 중계기 설치용 폴에 사용되는 브라켓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2143B1 (ko) 2007-05-03 2008-10-0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조정기능을 제공하는 안테나 고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0868B1 (ko) * 2004-07-21 2006-08-08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야기안테나를 지지대에 고정하는 회전 가능한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2143B1 (ko) 2007-05-03 2008-10-0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조정기능을 제공하는 안테나 고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33498A (ko) 2022-09-05 2024-03-12 주식회사 한빛티앤아이 중계기 설치용 폴에 사용되는 브라켓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0684A (ko) 2016-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82260B2 (en) Retainer system for a mobile-telephony antenna and a mobile-telephony component
US9010038B1 (en) Tile roof mount
US20150083875A1 (en) Antenna assembly mounting system
US20150315810A1 (en) Lightning protection and safety rail system
JP2016139916A (ja) 通信装置及び通信機器取付部材
US20140252195A1 (en) Solar equipment mounting system
CN203808591U (zh) 升降式电缆承重架
KR20160071728A (ko) 통신 장비의 설치 브라켓 세트
KR102193185B1 (ko) 설치 브라켓 세트
JPWO2005076406A1 (ja) ルーネベルグレンズアンテナ装置
JP5527290B2 (ja) 支持金具
CN203927324U (zh) 一种抱箍式高压塔用球机固定装置
US9518699B2 (en) Equipment mounting bracket for steel truss and method for electrical equipment
KR101867079B1 (ko) 방향 조절이 가능한 울타리와 기둥 체결장치
KR100547374B1 (ko) 피뢰침 고정장치
US11569648B2 (en) Joint-use bracket for installing communication lines on utility pole
KR101665642B1 (ko) 전주 가공지선 지지대
US20150102180A1 (en) Post Support
CN203099257U (zh) 摄像头安装支架
CN210739903U (zh) 一种通信设备的安装装置
JP6255316B2 (ja) アンテナ取付金具
CN202042588U (zh) 一种天线支架固定装置
CN202901756U (zh) 适用于圆杆的抱杆安装支架
CN202217779U (zh) 方位调节机构和天线装置
US20130146549A1 (en) Solar panel assembly kit and method of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