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1728A - 통신 장비의 설치 브라켓 세트 - Google Patents

통신 장비의 설치 브라켓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1728A
KR20160071728A KR1020140179241A KR20140179241A KR20160071728A KR 20160071728 A KR20160071728 A KR 20160071728A KR 1020140179241 A KR1020140179241 A KR 1020140179241A KR 20140179241 A KR20140179241 A KR 20140179241A KR 20160071728 A KR20160071728 A KR 201600717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mounting
brackets
fastening
p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9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은애
김규철
남기춘
이준택
주태형
최동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792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71728A/ko
Publication of KR201600717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17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 H04Q1/04Frames or mounting racks for selector switches; Accessories therefor, e.g. frame cov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74/00Electricity: conductors and insulators
    • Y10S174/09Pull-out cabinet or drawer with retractable c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는 통신 장비가 결합되는 제1브라켓; 및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제1브라켓들이 각각 장착되며, 폴대에 설치되는 제2브라켓을 포함하되, 상기 각각의 제1브라켓의 적어도 일부는 제2브라켓의 적어도 일부에 각각 수용된 후에 체결되어, 상기 두 대 이상의 통신 장비가 폴대에 설치가능하다.

Description

통신 장비의 설치 브라켓 세트{MOUNTING BRACKET SET FOR RRU}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통신 장비의 설치 브라켓 세트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통신 서비스를 원활하게 제공하기 위해서는 일정 거리마다 기지국, 중계기 등과 같은 통신 장비들을 설치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통신 장치는 높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건물 옥상 등에 설치하는데, 들판과 같은 곳에는 높은 건물이 없어 기지국이나 중계기와 같은 통신 장비를 설치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이럴 경우, 지반에 전주를 세우고, 전주의 상부에 중계기를 장착한다. 그리고 중계기가 전주에 장착된 상태에서 작업자는 주기적으로 중계기를 점검 및 정비를 하여야 한다.
때로는 작업자가 중계기를 전주에 설치하거나 또는 설치된 중계기를 점검 및 정비함에 있어서, 작업자가 딛고 설 수 있는 발판을 전주에 설치하기도 한다.
전파를 발산하거나 전파를 중계하는 전파 중계기 등의 통신 장비를 건물의 벽, 전봇대나 폴대 또는 옥상 등에 설치할 경우, 통신 장비를 지지하기 위한 설치 구조물이 필요하다. 통신 장비를 설치 구조물에 지지하는 방법은 다양한 방법이 있으나, 보통 볼트/너트 및 브라켓 등의 체결 부재를 이용하여 통신 장비를 설치 구조물에 장착하는 방식이 대부분이다.
기존의 설치 브라켓 세트는 RRU(remote radio unit) 한대 설치에 최적화되어 있어, 새로운 RRU 추가 설치시, 별도의 증축 설치 브라켓을 체결 후, 유닛 브라켓을 체결하는 방식으로 되어있다.
이러한 종래의 설치 브라켓 구조가 'EP 02309832 A1'에 상세하게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설치 브라켓 세트에서 추가 설치가 필요할 때는 별도의 증축 설치 브라켓 세트와 유닛 브라켓이 필요하므로 추가 설치 비용이 발생하였고, 브라켓 종수가 파생됨에 따라 관리하는 자재들도 많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1개의 설치 브라켓 세트에 3대를 수용하는 설치 브라켓 세트는 부피가 크므로, 1대 설치 브라켓 설치 시, 초기 설치 비용의 부담이 있으며, 함체 사이즈 변화를 수용할 수 없어서 큰 사이즈의 제품 3대를 동시에 달기에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1대 내지 3대의 RRU(소형 안테나 기지국) 설치가 가능한 설치 브라켓 세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소형화(Compact)한 사이즈의 설치 브라켓 세트로 RRU 1대 설치 내지 RRU 3대 설치까지 별도 브라켓의 추가 없이 설치 가능한 설치 브라켓 세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중력방식의 걸이 구조를 통하여 작업위치(주로 높은 폴대)에서 작업자의 설치 편의성 증진시키는 설치 브라켓 세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설치 위치(주로 높은 폴대나 옥상 위)에서 손을 자유롭게 하여 설치자 및 제품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설치 브라켓 세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통신 장비 설치 브라켓 세트에 있어서, 통신 장비가 결합되는 유닛 브라켓; 및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유닛 브라켓들이 각각 결합되는 메인 브라켓 세트를 포함하되, 상기 각각의 유닛 브라켓의 적어도 일부는 메인 브라켓에 각각 수용되어 구속된 후, 제1체결부에 의해 상기 메인 브라켓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통신 장비가 결합되는 제1브라켓; 및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제1브라켓들이 각각 장착되며, 폴대에 설치되는 제2브라켓을 포함하되, 상기 각각의 제1브라켓의 적어도 일부는 제2브라켓의 적어도 일부에 각각 수용된 후에 체결되어, 상기 두 대 이상의 통신 장비가 폴대에 설치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설치 브라켓 세트는 소형화(Compact)한 사이즈의 한 개의 설치 브라켓 세트로, RRU를 1대 내지 3대까지 별도 브라켓의 추가 없이 설치가능하여, 재료비 및 비용을 절감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설치 브라켓 세트는 중력 방식의 걸이 구조를 통하여 작업위치(주로 높은 폴대)에서 작업자의 설치 편의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설치 브라켓 세트는 설치 위치(주로 높은 Pole이나 옥상 위)에서 손을 자유롭게 하여 설치자 및 제품의 안정성을 증진시킨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설치 브라켓 세트는 유닛 브라켓의 홀 사이즈 간격을 달리하여, 상/하 구분을 확실히 함으로서, 상/하를 잘못끼워 높은 폴대(Pole) 위치에 올라가는 실수를 사전에 방지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의 상기 및 다른 측면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함께 취해지는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설치 브라켓 세트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한대의 유닛 브라켓 세트가 장착된 설치 브라켓 세트를 나타내는 조립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설치 브라켓 세트가 폴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폴대에 장착된 설치 브라켓 세트에 한대의 통신 장비가 유닛 브라켓 세트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폴대에 장착된 설치 브라켓 세트에 한대의 통신 장비가 유닛 브라켓 세트가 장착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세대의 유닛 브라켓 세트가 장착된 설치 브라켓 세트를 나타내는 조립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설치 브라켓 세트가 폴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폴대에 장착된 설치 브라켓 세트에 세대의 통신 장비가 유닛 브라켓 세트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유닛 브라켓 세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유닛 브라켓 세트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present disclosure)를 설명한다. 본 개시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이 도면에 예시되고 관련된 상세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본 개시를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개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또는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되었다.
본 개시 가운데 사용될 수 있는“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개시된 해당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하나 이상의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을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본 개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또는”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단어들의 어떠한, 그리고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A 또는 B”는, A를 포함할 수도, B를 포함할 수도, 또는 A 와 B 모두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개시 가운데 “제1,”“제2,”“첫째,”또는“둘째,”등의 표현들이 본 개시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수식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및/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표현들은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 짓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기기와 제 2 사용자 기기는 모두 사용자 기기이며,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본 개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개시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개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설치 브라켓 세트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설치 브라켓 세트는 적어도 두 대 이상의 통신 장비(R)를 폴대(P)에 쉽게 장착할 수 있는 장착 장치로서, 메인 브라켓 세트(10)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유닛 브라켓 세트(20-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브라켓 세트(10)는 폴대(P)에 장착가능하게 하고,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유닛 브라켓 세트(20-4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유닛 브라켓 세트(20-40)는 통신 장비(R)와 각각 결합되어 상기 메인 브라켓 세트(10)에 장착되는 장치일 수 있다. 상기 메인 브라켓 세트(10)와 각각의 유닛 브라켓 세트(20-40)는 경량의 금속체로 자작될 수 있다.
상기 메인 브라켓 세트(10)는 전방 브라켓(11)과, 후방 브라켓(12) 및 상기 전후방 브라켓(11,12)을 결합하여 폴대(P)에 장착하게 하는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브라켓 세트(10)는 폴대에 설치가능하게 하며, 적어도 두 개의 유닛 브라켓 세트(20-4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전방 브라켓(11)은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유닛 브라켓 세트(20-40)가 각각 결합되되,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장착 개구들(111-1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착 개구들은 상기 전방 브라켓 제1면에 구비된 제1장착 개구(111)와, 상기 전방 브라켓 제2면에 구비된 제2장착 개구(112)와, 상기 전방 브라켓 제2면의 반대방향에 있는 제3면에 구비된 장착 개구(11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방 브라켓(11)은 상단에 각각 3개의 체결 개구들(114-116)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상단 몸체를 체결구를 이용하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는 공지의 볼트-너트 세트(13)가 사용되고, 상기 전후방 브라켓(11,12)에 각각 형성된 톱니부(110,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볼트-너트 세트(13)는 볼트(25)와, 너트(2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볼트는 외주면에 나삿니가 형성되어서, 상기 나삿니부에 너트를 삽입하여 회전시킴으로서, 상기 전후방 브라켓(11,12)을 구속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너트를 강하게 조일수록, 상기 전후방 브라켓(11,12)은 가까워지게 이동하여서, 상기 폴대(P)과 더욱 밀착 고정상태가 될 수 있다. 상기 전방 브라켓(11)과 후방 브라켓(12)은 폴대(P)에 밀착하는 부분에 톱니 부(110,120)를 각각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폴대(P)의 외주면과 밀착하도록 곡률을 가지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방 브라켓(11)는 4개의 수직 측면을 가지는데, 하나의 면은 폴대(P)와 결합되어 사용되기 때문에, 나머지 3개의 수직 측면이 통신 장비를 장착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닛 브라켓 세트(20-40)는 전방 브라켓(11)에 적어도 두 개 이상 장착가능하며, 상기 세 개의 유닛 브라켓 세트는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제2면의 장착 개구에 장착되는 하나의 유닛 브라켓 세트(20)를 일예로 설명하고, 나머지 두 개의 유닛 브라켓 세트(30,40)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유리 브라켓 세트(20)는 통신 장비와 결합된 상태로 전방 브라켓(11)에 장착되는 장착 장치로서, 체결 본체(21)와, 제1,2걸림 몸체(22,23) 및 상단 몸체(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 본체(21)는 체결구에 의해 통신 장비(R)가 결합되어 지지지하기 위힌 몸체일 수 있다. 상기 체결 본체(21)는 일면에 통신 장비가 결합되고, 타면에 상기 제1,2걸림 몸체(22,23)와 상단 몸체(2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결 본체(21) 일면은 통신 장비가 위치하는 영역이고, 상기 체결 본체(21) 타면은 상기 전방 브라켓(11)에 연결되기 위한 구조물이 위치하는 영역일 수 있다. 상기 체결 본체(21)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수직방향으로 직립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걸림 몸체(22)는 상기 체결 몸체의 적어도 일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걸림 몸체(22)는 체결 몸체(21) 타면에서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전방 브라켓의 장착 개구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2걸림 몸체(23)는 상기 제1걸림 몸체(22)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2걸림 몸체(23)는 상기 제1걸림 몸체(22)에서 수직 방향으로 향하고, 상기 체결 몸체(21)와 대면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걸림 몸체(23)는 전방 브라켓(11)에 수용되어, 상기 유닛 브라켓 세트(20)를 전방 브라켓(11)에 구속하는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상기 상단 몸체(24)는 상기 체결 몸체(21) 상단에서 수평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체결 몸체(21) 타면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1,2걸림 몸체(22,23) 상단에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상단 몸체(24)는 체결구(b1)를 이용하여 전방 브라켓(11)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체결구(b1)는 상단 몸체(24)를 관통하여 전방 브라켓의 체결 개구(114)에 결합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설치 브라켓 세트의 장착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설치 브라켓 세트는 지상보다, 지상에서 대략 2-3미터 이상의 높은 곳의 폴대에 설치되기 때문에, 지상에서 상기 전후방 브라켓은 볼트-너트 반정도 선 조립한 상태로 작업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지상에서 상기 전후방 브라켓(11,12)을 마주보게 한 후, 상기 볼트-너트 세트(13)를 이용하여 전후방 브라켓(11,12) 일측을 체결한다. 이어서, 지상에서 상기 볼트-너트 세트(13) 일측이 체결된 전후방 브라켓(11,12)에 나머지 볼트-너트 세트를 이용하여 상기 전후방 브라켓(11,12)의 타측을 폴대(P)에 고정되게 체결한다. 즉, 상기 전후방 브라켓(11,12)은 체결부에 의해 폴대(P)에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지상에서 통신 장비(R)와 유닛 브라켓 세트(20)를 체결구를 이용하여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체결구는 공지의 볼트를 사용하며, 대략 수직방향(화살표 방향)으로 유닛 브라켓 세트(20)의 체결 몸체를 통신 장비에 체결할 수 있다. 4군데를 체결구를 이용하여 유닛 브라켓 세트(20)와 통신 장비(R)를 체결한다.
도 5c를 참조하면, 폴대(P)의 설치 위치에서, 상기 제1걸이부가 장착 개구에 삽입되고 난 후, 상기 통신 장비(R)의 자주을 이용하여, 상기 통신 장비(R)를 전방 브라켓에 걸치게 배치시킨다. 이어서 체결구를 이용하여 상단 몸체(24)와 전방 브라켓(11)을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한 과정으로 상기 통신 장비(R)를 전방 브라켓(11)에 장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설치 브라켓 세트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설치 브라켓 세트는 3개의 유닛 브라켓 세트를 이용하여 3개의 통신 장치를 폴대에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설치 브라켓 세트는 메인 브라켓과, 상기 메인 브라켓에 적어도 2개 이상 결합되는 유닛 브라켓 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메인 브라켓은 전후방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전방 브라켓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장착 개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장착 개구에 각각의 유닛 브라켓 세트가 각각 장착될 수 있다. 도 6에는 제1,2,3유닛 브라켓 세트가 전방 브라켓의 제1,2,3장착 개구에 수용된 후, 각각 체결된 상태가 도시되었다.
한편, 도 5b에 도시된 방법으로, 상기 제1유닛 브라켓 세트와 제1통신 장비를 체결구를 이용하여 체결할 수 있다. 상기 제2,3유닛 브라켓 세트와 제2,3통신 장치를 각각 체결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폴대()에 설치된 설치 브라켓 세트 상태에서, 작업자는 각각의 제1,2,3통신 장비(R1,R2,R3)를 전방 브라켓에 각각 체결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제1,2,3통신 장비(R1,R2,R3)를 전방 브라켓에 체결하는 방법은 도 5c를 참조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제1,2,3통신 장비(R1,R2,R3)가 유닛 브라켓 세트에 결합된 후에 상기 설치 브라켓 세트를 이용해서 폴대에 장착된 상태가 도 8에 도시되었다.
도 9,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유닛 브라켓 세트(20)는 통신 장비와 결합되기 위해 복수 개의 체결부(b2,b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체결부(b2,b3)를 이용하여 체결 몸체(21)를 통신 장비 일면에 체결할 수 있다. 상기 체결 몸체(21)는 통신 장비와 결합되기 위하여 상부 체결부(b2)와, 하부 체결부(b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체결부(b2)는 체결 몸체(21) 상부에 배치되어 통신 장비 상부에 결합되는 체결 장치이고, 상기 하부 체결(b3)부는 체결 몸체(21) 하부에 배치되어 통신 장치 하부에 결합되는 체결 장치일 수 있다. 상기 상하부 체결부(b2,b3)는 서로 상이하게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 체결부(b2)와 하부 체결부(b3)는 상하 비대칭으로 배치시킬 수 있다. 상기 상하 비대칭 배치에 의해 작업자는 통신 장비에 체결 몸체를 올바르게 체결할 수 있다. 상기 상하부 체결부(b2,b3)는 볼트-너트 세트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체결부는 제1,2체결구(b2)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체결구는 제3,4체결구(b3)를 포함하되, 상기 각각의 제1,2체결구(b2) 간의 제1거리(L1)보다, 상기 각각의 제3,4체결구(b3) 간의 제2거리(L2)를 작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1,2간(L1,L2)의 거리가 상이함으로서, 상기 통신 장비가 체결 몸체(21)에 올바르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상하부 체결부(b2,b3)의 위치에 따라서 상기 통신 장비의 오결합 상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달리, 상기 제1거리보다 제2거리를 크게 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체결구들은 상하 비대칭이 아니라, 좌우 비대칭을 각각 배치하여, 상기 통신 장비의 오결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개시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개시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개시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2)

  1. 통신 장비 설치 브라켓 세트에 있어서,
    통신 장비가 결합되는 유닛 브라켓 세트; 및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유닛 브라켓 세트들이 각각 결합되는 메인 브라켓 세트를 포함하되, 상기 각각의 유닛 브라켓 세트의 적어도 일부는 메인 브라켓에 각각 수용되어 구속된 후, 제1체결부에 의해 상기 메인 브라켓에 각각 결합되는 설치 브라켓 세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유닛 브라켓 세트는
    통신 장비와 결합되는 체결 본체;
    상기 체결 본체의 적어도 일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메인 브라켓에 수용되는 제1걸림 몸체;
    상기 체결 본체와 제1걸림 몸체 사이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메인 브라켓에 구속되는 제2걸림 몸체; 및
    상기 제1,2걸림 몸체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메인 브라켓에 체결되는 상단 몸체를 포함하는 설치 브라켓 세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브라켓 세트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유닛 브라켓 세트들이 장착되는 전방 브라켓;
    상기 전방 브라켓에 체결되어 통신 장비를 폴대에 장착하게 하는 후방 브라켓; 및
    상기 전방 및 후방 브라켓을 결합하는 제2체결부를 포함하는 설치 브라켓 세트.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브라켓은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유닛 브라켓 세트가 각각 결합되되,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장착 개구들을 포함하는 설치 브라켓 세트.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개구는
    상기 전방 브라켓 제1면에 구비된 제1장착용 개구;
    상기 전방 브라켓 제2면에 구비된 제2장착용 개구; 및
    상기 전방 브라켓 제2면의 반대방향에 있는 제3면에 구비된 장착용 개구를 포함하는 설치 브라켓 세트.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몸체는 통신 장비와 결합되기 위하여
    상부 체결부; 및
    하부 체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상하부 체결부는 서로 상이하게 구성되는 설치 브라켓 세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체결부는 제1,2체결구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체결구는 제3,4체결구를 포함하되,
    상기 제1,2체결구 간의 거리보다, 상기 제3,4체결구 간의 거리를 작게 구성한 설치 브라켓 세트.
  8. 통신 장비 설치 브라켓 세트에 있어서,
    통신 장비가 결합되는 제1브라켓; 및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제1브라켓들이 각각 장착되며, 폴대에 설치되는 제2브라켓을 포함하되, 상기 각각의 제1브라켓의 적어도 일부는 제2브라켓의 적어도 일부에 각각 수용된 후에 체결되어, 상기 두 대 이상의 통신 장비가 폴대에 설치가능한 설치 브라켓 세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브라켓은 4개의 수직 측면들을 구비하되, 한 개의 수직 측면은 폴대와의 결합에 사용되고, 나머지 3개의 수직 측면들은 각각의 제1브라켓과의 결합에 사용되는 설치 브라켓 세트.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브라켓은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적어도 두 개의 장착 개구들을 구비하며, 상기 각각의 장착 개구에 각각의 제1브라켓이 수용된 후에 걸리는 설치 브라켓 세트.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브라켓은 통신 장비의 오장착을 방지하는 장치를 포함하는 설치 브라켓 세트.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오장착을 방지하는 장치는 체결구의 장착 위치를 상하 비대칭으로 배치하는 설치 브라켓 세트.
KR1020140179241A 2014-12-12 2014-12-12 통신 장비의 설치 브라켓 세트 KR201600717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9241A KR20160071728A (ko) 2014-12-12 2014-12-12 통신 장비의 설치 브라켓 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9241A KR20160071728A (ko) 2014-12-12 2014-12-12 통신 장비의 설치 브라켓 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1728A true KR20160071728A (ko) 2016-06-22

Family

ID=56364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9241A KR20160071728A (ko) 2014-12-12 2014-12-12 통신 장비의 설치 브라켓 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71728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16806A (zh) * 2021-11-11 2022-02-08 中国铁塔股份有限公司 一种杆/塔的链式加固方法
FR3122533A1 (fr) * 2021-05-03 2022-11-04 Nexans Piece de fixation universelle et procede de fixation associe
WO2022265311A1 (ko) * 2021-06-17 2022-12-22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안테나 기기의 클램핑 장치
WO2023163621A1 (en) * 2022-02-24 2023-08-3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 mounting system
KR20240033498A (ko) 2022-09-05 2024-03-12 주식회사 한빛티앤아이 중계기 설치용 폴에 사용되는 브라켓 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22533A1 (fr) * 2021-05-03 2022-11-04 Nexans Piece de fixation universelle et procede de fixation associe
EP4087073A1 (fr) * 2021-05-03 2022-11-09 Nexans Piece de fixation universelle et procede de fixation associe
WO2022265311A1 (ko) * 2021-06-17 2022-12-22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안테나 기기의 클램핑 장치
CN114016806A (zh) * 2021-11-11 2022-02-08 中国铁塔股份有限公司 一种杆/塔的链式加固方法
CN114016806B (zh) * 2021-11-11 2023-08-15 中国铁塔股份有限公司 一种杆/塔的链式加固方法
WO2023163621A1 (en) * 2022-02-24 2023-08-3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 mounting system
KR20240033498A (ko) 2022-09-05 2024-03-12 주식회사 한빛티앤아이 중계기 설치용 폴에 사용되는 브라켓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71728A (ko) 통신 장비의 설치 브라켓 세트
EP2797487B1 (en) Antenna assembly mounting system
KR102068726B1 (ko) 벽걸이 거치대 고정장치
US20140061411A1 (en) Wear reduction system for rooftop mounts
US10566677B2 (en) Satellite antenna mounting systems and methods
WO2010045608A3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vely mounting a hitch mount rack on a building wall
CA2612983A1 (en) Arrangement for positioning rock drilling rig on drilling site
MX2021004175A (es) Soportes para montar cables de antena.
KR102214034B1 (ko) 중계기 고정용 브라켓 및 그 설치 방법
US11081786B2 (en) Low-PIM universal cable hanger system
CN203808591U (zh) 升降式电缆承重架
US8307590B2 (en) Rooftop access system
KR20200024091A (ko) 안테나 설치 구조물
US20090065669A1 (en) Pole mounting systems and methods
CA2737327C (en) Hand rail mounting bracket for an electrical panel
WO2014151412A1 (en) Gangable conduit hanger assembly
KR200483337Y1 (ko) 고정용 장치
KR101707338B1 (ko) 회전식 송배전 케이블의 지지장치
KR101590048B1 (ko) 터널 벽취부형 장비 거치대
CN107250501B (zh) 悬挂支架
US8359678B1 (en) Urinal bracket extension plate
KR101243678B1 (ko) 중계기 설치용 브라켓
KR102193185B1 (ko) 설치 브라켓 세트
EP2247881B1 (en) A clamp assembly for securing a cable to a structural support
KR102028898B1 (ko) 공동주택용 전기단자함 고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