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0868B1 - 야기안테나를 지지대에 고정하는 회전 가능한 장치 - Google Patents

야기안테나를 지지대에 고정하는 회전 가능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0868B1
KR100610868B1 KR1020040056898A KR20040056898A KR100610868B1 KR 100610868 B1 KR100610868 B1 KR 100610868B1 KR 1020040056898 A KR1020040056898 A KR 1020040056898A KR 20040056898 A KR20040056898 A KR 20040056898A KR 100610868 B1 KR100610868 B1 KR 1006108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yagi antenna
fixing
support
antenn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6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08585A (ko
Inventor
방명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to KR1020040056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0868B1/ko
Publication of KR200600085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85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08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08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16Resonant antennas with feed intermediate between the extremities of the antenna, e.g. centre-fed dipo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125Means for positio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01Q3/02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using mechanical movement of antenna or antenna system as a whole
    • H01Q3/08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using mechanical movement of antenna or antenna system as a whole for varying two co-ordinates of the orientation

Landscapes

  • Support Of A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 가능한 야기안테나에 관한 것으로, 다이폴 구조의 복사기, 상기 복사기의 후방 및 전방에 각각 미리 설정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형성되는 반사기 및 도파기를 구비하는 야기안테나를 지지대에 고정하는 회전 가능한 장치는 상기 야기안테나를 볼트로 고정시키기 위한 다수의 홀이 형성되고, 상기 야기안테나와 연결되는 반대측에 천공된 복수의 제1플렌지가 형성된 클램프, 상기 복수의 제1플렌지와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복수의 제2플렌지가 형성되고, 일측에 제2브라켓과 연결되는 볼트를 수용하는 홀이 형성되며, 다른 일측에 봉을 수용하기 위한 홈이 형성되는 제1브라켓, 상기 제1브라켓과 볼트로 연결되고, 일측에 상기 제1브라켓과 연결되는 볼트를 수용하는 홀이 형성되며, 다른 일측에 상기 제1브라켓에 형성된 홈에 상응하여 상기 봉을 수용하기 위한 홈이 형성되는 제2브라켓, 상기 제1브라켓과 상기 제2브라켓을 관통하는 볼트 및 일측에서 상기 제1브라켓과 상기 제2브라켓간의 거리를 조절하여 상기 수용된 봉을 고정하는 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야기안테나를 지지대에 고정하는 회전 가능한 장치는 틸트 조정이 가능한 야기안테나를 제시할 수 있다.
야기안테나, 틸트, 클램프, 브라켓.

Description

야기안테나를 지지대에 고정하는 회전 가능한 장치 {Apparatus capable of tilting to fix Yagi antenna to supporter }
도 1a는 종래 기술에 따른 야기안테나를 고정하는 회전 가능한 장치의 평면도.
도 1b는 다른 종래 기술에 따른 회전 가능한 야기안테나의 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야기안테나를 지지대에 고정하는 회전 가능한 장치의 평면도.
도 2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야기안테나를 지지대에 고정하는 회전 가능한 장치의 측면도.
도 2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야기안테나를 지지대에 고정하는 회전 가능한 장치의 전체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
도 3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야기안테나를 지지대에 고정하는 회전 가능한 장치의 내부 홈을 나타낸 평면도.
도 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야기안테나를 지지대에 고정하는 회전 가능한 장치의 내부 홈을 나타낸 평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야기안테나를 지지대에 고정하는 회전 가능한 장치의 측면도.
도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야기안테나를 지지대에 고정하는 회전 가능한 장치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실시예에 따른 야기안테나를 지지대에 고정하는 회전 가능한 장치의 사시도.
도 6a는 종래 기술에 따른 지상용 중계기의 전파 상황을 나타내는 도면.
도 6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상용 중계기의 전파 상황을 나타내는 도면.
도 7a는 종래 기술에 따른 지하용 중계기의 전파 상황을 나타내는 도면.
도 7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하용 중계기의 전파 상황을 나타내는 도면.
도 8a는 종래 기술에 따른 야기안테나를 이용한 중계기 입력 신호를 나타낸 도면.
도 8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회전 가능한 야기안테나를 이용한 중계기 입력 신호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 야기안테나
210 : 클램프
220 : 제1플렌지
230 : 제1브라켓
240 : 제2플렌지
250 : 제2브라켓
본 발명은 야기안테나를 고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야기안테나를 지지대에 고정하는 회전 가능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야기안테나는 초단파(VHF), 극초단파(UHF)대에서 사용되는 지향성 안테나이며, 1926년 일본의 야기 히데쓰구에 의해 발명되었다. 야기안테나는 복사기, 반사기, 도파기로 구성된다. 야기안테나는 무선 신호가 공급된 복사기에 의하여 발생하는 자계로 인해 인접 소자인 반사기나 도파기에도 전파가 유도되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복사기는 자기 전류에 의하여 발생되는 전자파를 기생소자로 여기시키기 위해 길이가 수신하고자 하는 전파 파장의 반이 되는 다이폴 안테나이며 전파를 복사하는데 사용된다. 반사기는 복사기에서 발생되는 전자파의 후방 복사를 반사시키기 위하여 복사기로부터 1/4 파장 거리만큼 떨어지고 그와 평행하며 복사기의 길이와 같거나 그보다 약간 길다. 도파기는 복사기에서 발생되는 전자파와 반사기에서 반사된 전자파를 전방 복사를 통해 이득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반사기의 반대방향에서 복사기로부터 1/4 파장 거리만큼 떨어지고 그와 평행하며 복사기의 길이와 같거나 그보다 약간 짧다. 야기안테나가 상술한 바와 같이 반사기 및 도파기를 구비하 고 있는 경우에는 복사기 하나만 구비하고 있는 경우보다 지향성이 예민하고, 수신안테나를 사용할 경우에는 한쪽 방향에 대해 예민한 감도를 갖는다. 야기안테나는 높은 지향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현재 무선 이동 통신을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도 1a는 종래 기술에 따른 야기안테나를 고정하는 회전 가능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반원 모양의 결합부(110)가 형성되어 있어, 야기안테나를 고정하기 위한 봉을 반원의 안쪽에 삽입하여 고정하도록 하였다. 삽입되는 봉의 크기에 따라 반원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너트가 반원의 양 끝단에 연결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르는 경우 야기안테나는 그것을 고정하는 봉과 수직으로만 고정되어 틸트 조정이 불가능하므로 중계기의 입력 신호를 제대로 송,수신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도 1b는 다른 종래 기술에 따른 회전 가능한 야기안테나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공개특허공보 특2002-0004076에서 공개된 상하좌우 방향으로의 조정이 가능한 야기 안테나에 대한 발명에 첨부된 도면이다. 도 1b를 참조하면, 회전 가능한 야기안테나에서 회전축이 두개로 구성되어 상하 및 좌우로 야기안테나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는 야기안테나가 회전되는 각도에 일정한 한계가 있어 필요에 따라 다양한 각도로 야기안테나를 회전 및 고정시킬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목적은 틸트 조정이 가 능한 야기안테나를 지지대에 고정하는 회전 가능한 장치를 제시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야기안테나의 회전 각도를 크게 하여 필요에 따라 다양한 각도로 회전 및 고정될 수 있는 야기안테나를 지지대에 고정하는 회전 가능한 장치를 제시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저 비용으로 회전이 가능한 야기안테나를 지지대에 고정하는 회전 가능한 장치를 제시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회전 각도가 조절되어 입력되는 신호의 측정치가 향상되는 야기안테나를 지지대에 고정하는 회전 가능한 장치를 제시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야기안테나가 지지대에 고정된 후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야기안테나를 지지대에 고정하는 회전 가능한 장치를 제시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야기안테나를 지지대에 고정하는 회전 가능한 장치를 제시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다이폴 구조의 복사기, 상기 복사기의 후방 및 전방에 각각 미리 설정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형성되는 반사기 및 도파기를 구비하는 야기안테나를 지지대에 고정하는 회전 가능한 장치는 상기 야기안테나를 볼트 로 고정시키기 위한 다수의 홀이 형성되고, 상기 야기안테나와 연결되는 반대측에 천공된 복수의 제1플렌지가 형성된 클램프, 상기 복수의 제1플렌지와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복수의 제2플렌지가 형성되고, 일측에 제2브라켓과 연결되는 볼트를 수용하는 홀이 형성되며, 다른 일측에 봉을 수용하기 위한 홈이 형성되는 제1브라켓, 상기 제1브라켓과 볼트로 연결되고, 일측에 상기 제1브라켓과 연결되는 볼트를 수용하는 홀이 형성되며, 다른 일측에 상기 제1브라켓에 형성된 홈에 상응하여 상기 봉을 수용하기 위한 홈이 형성되는 제2브라켓, 상기 제1브라켓과 상기 제2브라켓을 관통하는 볼트 및 일측에서 상기 제1브라켓과 상기 제2브라켓간의 거리를 조절하여 상기 수용된 봉을 고정하는 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브라켓 및 상기 제2브라켓의 일측에 형성된 상기 홈은 반원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브라켓 및 상기 제2브라켓의 일측에 형성된 상기 홈의 내측은 톱니 형상일 수 있고, 상기 제1브라켓 및 상기 제2브라켓의 일측에 형성된 상기 톱니의 끝단이 반원 형상일 수 있으며, 상기 제1브라켓 및 상기 제2브라켓의 일측에 형성된 상기 홈의 내측은 계단 형상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브라켓 양끝단의 외측의 너비는 상기 제1브라켓 양끝단의 내측의 너비보다 작을 수 있으며, 상기 제1브라켓 양끝단의 외측의 너비는 상기 제2브라켓 양끝단의 내측의 너비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브라켓과 상기 제2브라켓을 연결하는 볼트를 수용하는 홀은 중심을 대칭으로 한 쌍 또는 두 쌍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회전 가능한 야기안테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야기안테나를 지지대에 고정하는 회전 가능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클램프(210), 제1브라켓(230), 제2브라켓(250) 및 제1브라켓(230)과 제2브라켓(250)을 연결하는 볼트(260) 및 너트(270)가 도시 되어 있다.
클램프(210)는 일측에 야기안테나(200)가 연결되도록 야기안테나(200)를 볼트로 고정시키기 위한 다수의 홀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클램프(210)의 타측에는 복수의 플렌지(제1플렌지(220))가 돌출되어 있으며 각각의 플렌지는 천공되어 있고, 클램프(210)는 제1플렌지(220)에 형성된 홀을 중심으로 제1브라켓(230)과 연결된다. 제1플렌지(220)는 제1브라켓(230)과 연결되기 위해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고, 제1브라켓(230)이 90도로 방향을 바꾸어 연결될 수 있도록 제1플렌지(220)의 개수는 4개가 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각각 대향하는 두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a를 참조하면, 두 쌍의 제1플렌지(220)가 도시 되어 있다.
제1브라켓(230)과 제2브라켓(250)은 야기안테나(200)를 지지대에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클램프(210)측에 연결되는 제1브라켓(230)과 외측에 연결되는 제2브라켓(250)이 있으며, 제1브라켓(230)과 제2브라켓(250)에는 서로 마주 보는 방향으로 양측에 홈이 형성되어 있다. 홈은 그 내부에 지지대로서 봉이 수용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고, 홈의 내측은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되어 봉이 일정한 위치에 고정되면,그 위치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2a를 참조하면, 홈의 내측은 톱니 또는 계단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톱니 모양은 계단 모양보다 끝단이 더 날카롭게 형성된다. 또한, 홈의 내측이 톱니모양이면서, 끝단이 둥근 형상일 수도 있다. 각각의 브라켓에 형성된 홈의 전체적인 형상은 반원 모양, 삼각형 모양 등 다양한 형상이 될 수 있다. 제1브라켓(230)에는 양측면에 각각 플렌지(제2플렌지(240))가 형성되어 있고, 제2플렌지(240)에는 클램프(210)에 형성된 제1플렌지(220)의 홀에 상응하는 홀이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플렌지에 형성된 홀을 관통하는 볼트를 중심으로 제1브라켓(230)은 회전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에 따른 야기안테나를 지지대에 고정하는 회전 가능한 장치가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현된다. 또한, 제1브라켓(230)은 상하로 약 90도 회전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회전시켜 고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야기안테나를 지지대에 고정하는 회전 가능한 장치는 브라켓 대신에 일정한 크기를 갖는 평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홀이 형성된 제2플렌지(240)가 형성되는 것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나, 지지대가 봉이 아니고, 벽면과 같은 평평한 면인 경우 야기안테나를 지지대에 고정하는 회전 가능 한 장치는 상술한 클램프(210)와 같이 사각모양의 평면일 수 있으며, 그 평면에는 다수의 볼트가 결합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제1브라켓(230)과 제2브라켓(250)은 서로 연결되는 볼트(260)가 관통되는 홀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 2a를 참조하면 2개의 볼트(260)가 도시 되어 있으며, 제2브라켓(250)의 일측에는 볼트(260)와 연결된 너트(270)가 회전하면서 제1브라켓(230)과 제2브라켓(250)의 거리를 조절하고, 따라서 그 안에 수용되는 봉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지지대가 봉의 형태로 되어 있는 경우로서 야기안테나를 지지대에 고정하는 회전 가능한 장치가 브라켓을 포함하는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2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야기안테나를 지지대에 고정하는 회전 가능한 장치의 측면도이다. 제1브라켓(230)과 제2브라켓(250)은 측면에서 바라볼 때, 'ㄷ'자 형상일 수 있으며, 양끝단은 일정한 너비를 가지므로, 그 안에 수용된 봉은 제1브라켓(230)과 제2브라켓(250)에 의해 안정되게 고정 된다. 또한, 그 안에 수용된 봉은 제1브라켓(230)과 제2브라켓(250)을 관통하는 볼트(260) 및 너트(270)에 의해 일정한 강도로 고정되므로 쉽게 고정된 위치에서 이탈되지 않는다. 제1클램프(220) 및 제2클램프(240)에 형성된 홀을 관통하는 볼트는 너트와 결합하여 사용자의 임의에 따라 볼트 축을 중심으로 제1브라켓(230)를 회전시키고, 제1브라켓(230)과 클램프(210)는 임의의 각도를 유지하여 고정될 수 있다.
도 2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야기안테나를 지지대에 고정하는 회전 가능한 장치의 전체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야기안테나(200)는 그 내부에 다이폴 구조의 복사기와 그 후방 및 전방에 각각 미리 설정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형성되는 반사기 및 도파기를 구비하고 있다. 야기안테나(200)는 상술한 제1클램프(220) 및 제2클램프(240)에 형성된 홀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이 가능하고, 도 2c를 참조하면, 야기안테나(200)는 결합되는 축을 중심으로 상하로 약 90도의 회전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회전 가능한 야기안테나를 일반적으로 도시한 도면를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회전 가능한 야기안테나를 구체적인 실시예를 기준으로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야기안테나를 지지대에 고정하는 회전 가능한 장치의 내부 홈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야기안테나를 지지대에 고정하는 회전 가능한 장치의 내부 홈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제1브라켓(230)과 제2브라켓(250)의 내부에 형성된 홈의 내측은 톱니 또는 계단 모양으로 형상되었으나, 도3a에 도시된 제1실시예에서는 홈의 내측에 다른 형상이 없다. 홈의 내측에 다른 형상이 없더라고 측면에서 볼 때, 상술한 브라켓이 'ㄷ'자 형상인 경우 제1브라켓(230)에서 2부분, 제2브라켓(250)에서 2부분이 지지대인 봉에 접촉되어 고정된 봉이 각각의 브라켓에서 쉽게 이탈되지는 않는다.
도 3b에 도시된 제2실시예에서는 홈의 내측이 끝단이 둥근 톱니 모양으로 형성된다. 제2실시예와 같이 끝단이 둥근 톱니 모양인 경우에는 지지대인 봉과 접촉되는 부분이 더 많아지므로, 제1실시예보다 지지대인 봉이 브라켓에 더 강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야기안테나를 지지대에 고정하는 회전 가능한 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야기안테나를 지지대에 고정하는 회전 가능한 장치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르면 제1브라켓(230) 및 제2브라켓(250) 중 어느 하나의 브라켓 양끝단의 외측의 너비가 다른 브라켓 양끝단의 내측의 너비보다 작게 형성되어 너비가 작은 브라켓이 다른 브라켓에 수용될 수 있다. 도 4a를 참조를 참조하면, 제2브라켓(250)의 양끝단의 외측의 너비가 제1브라켓(230) 양끝단의 내측의 너비보다 작게 형성되어 제2브라켓(250)이 제1브라켓(230)에 삽입되어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제2브라켓(250)이 제1브라켓(230)에 삽입됨으로써 브라켓 각각의 일측에 형성된 홈의 크기와 관련없이 브라켓들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지지대인 봉의 크기가 작은 경우 브라켓 사이의 거리를 작게 함으로써 지지대인 봉을 수용하는 미리 설정된 홈의 크기보다 더 작은 봉을 수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실시예에 따른 야기안테나를 지지대에 고정하는 회전 가능한 장치의 사시도이다. 제1브라켓(230)과 제2브라켓(250)에는 서로 연결되는 볼트(260)가 관통되는 홀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데, 제1브라켓(230)과 제2브라켓(250) 사이에 수용되는 봉의 크기에 따라 고정시키는 볼트의 개수를 달리할 수 있으며, 도 5를 참조하면, 한 쌍의 볼트(260)가 제1브라켓(230)과 제2브라켓(250)의 내측에 형성된 홈을 중심으로 대칭으로 도시 되어 있다. 지지대인 봉의 크기가 제1브라켓(230)과 제2브라켓(250)의 내측에 형성된 홈에 적당한 경우 볼트(260)는 그 홈에 가까운 한 쌍의 홀을 관통하며, 봉의 크기가 큰 경우에는 외측에 형성된 홀을 관통하여 제1브라켓(230)과 제2브라켓(250)을 지지대인 봉에 고정시킨다. 제2브라켓(250)의 일측에는 볼트(260)와 연결된 너트(270)가 회전하면서 제1브라켓(230)과 제2브라켓(250)의 거리를 조절하므로 제1브라켓(230)과 제2브라켓(250)의 내측에 형성된 홈 안에 수용되는 봉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야기안테나를 지지대에 고정하는 회전 가능한 장치에 대한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야기안테나를 지지대에 고정하는 회전 가능한 장치가 운용되는 환경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해 설명한다.
도 6a는 종래 기술에 따른 지상용 중계기의 전파 상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기지국(610), 디유(620)(DU : Donor Unit : 이하에서 는 'DU'라 한다), 알유(630)(RU : Remote Unit : 이하에서는 'RU'라 한다)가 도시 되어 있다.
DU(620)는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전파를 수신하여 RU(630)로 전송하고 RU(630)는 사용자 단말기와 송수신을 한다. 주파수 대역 변환 중계기를 예로 들면, 기지국(610)에서 전송된 주파수가 F1인 전파를 DU(620)에서 수신하여 링크 주파수 F2로 변환하고, 변환된 주파수 F2인 전파를 RU(630)로 전송하면, RU(630)에서는 수신된 전파를 최초 기지국(610)에서 전송된 전파의 주파수 F1으로 변환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한다.
여기에서 종래 기술에 따를 때, 야기안테나는 틸트 조정이 불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어서 일정한 각도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DU(620)와 RU(630)간에 전파 송수신시 고도차가 발생한다. 따라서 이러한 고도차의 발생에 의해 입력 레벨이 - 5dBm ~ -10dBm 이상 손실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현재 운용중인 SMART-W 및 주파수 대역 변환 중계기 대부분이 야기안테나로 시설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손실은 대부분의 중계기에 해당된다.
또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파라볼라 안테나를 이용할 수 있다(미도시). 파라볼라 안테나는 틸트 조정이 가능하므로, 기존의 야기안테나를 파라볼라 안테나로 교체하여 상술한 고도차 발생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는 있으나, 그 교체 비용이 크다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야기안테나에 비해 파라볼라 안테나는 다음 표와 같이 단가면에서 약 15배 이상의 비용 차이가 발생한다.
구분 ANT-TYPE 규격 단가(원) 비고
기존 야기안테나 12dBi 21,000
교체 파라볼라 안테나 Standard(0.3m) 320,000 교체시 2,999,000원 차액 발생
도 6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상용 중계기의 전파 상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b를 참조하면, DU(620)와 RU(630)간에 전파를 송수신하는 경우 각각의 위치를 파악하고 기울어진 각도를 고려하여 야기안테나의 회전 각을 정한다. 이는 기존의 야기안테나를 이용하여 교체시 비용이 절감될 뿐만 아니라, 틸트 조정이 가능한 브라켓을 이용하기 때문에 회전 각도에 구애되지 않고, 고도차에 따른 전파의 손실 없이 전파의 송수신이 가능하다.
도 7a는 종래 기술에 따른 지하용 중계기의 전파 상황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하용 중계기의 전파 상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지하용 중계기도 지상용 중계기와 마찬가지로 틸트 조정이 가능한 야기안테나를 이용하여 고도차에 따른 전파의 손실 없이 전파의 송수신이 가능하다.
도 8a는 종래 기술에 따른 야기안테나를 이용한 중계기 입력 신호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회전 가능한 야기안테나를 이용한 중계기 입력 신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틸트 조정이 되지 않는 종래의 야기안테나를 이용하여 중계기의 입력 신호를 측정한 결과 - 43.3 dBm 의 측정치가 기록되었으나, 도8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야기안테나를 중계기 방향으로 각도를 조절한 후 입력 신호를 측정한 결과 - 26.9 dBm 으로 측정치가 기록되어 측정치가 16.40 dBm 만큼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많은 변형이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야기안테나를 지지대에 고정하는 회전 가능한 장치는 틸트 조정이 가능한 야기안테나를 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야기안테나를 지지대에 고정하는 회전 가능한 장치의 다른 효과는 야기안테나의 회전 각도를 크게 하여 필요에 따라 다양한 각도로 회전 및 고정될 수 있는 야기안테나를 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야기안테나를 지지대에 고정하는 회전 가능한 장치의 또 다른 효과는 저 비용으로 회전이 가능한 야기안테나를 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야기안테나를 지지대에 고정하는 회전 가능한 장치의 또 다른 효과는 야기안테나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여 야기안테나에 입력되는 신호의 측정치가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야기안테나를 지지대에 고정하는 회전 가능한 장치의 또 다른 효과는 야기안테나가 지지대에 고정된 후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데 있다.

Claims (8)

  1. 다이폴 구조의 복사기, 상기 복사기의 후방 및 전방에 각각 미리 설정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형성되는 반사기 및 도파기를 구비하는 야기안테나를 지지대에 고정하는 회전 가능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야기안테나를 볼트로 고정시키기 위한 다수의 홀이 형성되고, 상기 야기안테나와 연결되는 반대측에 천공된 복수의 제1플렌지가 형성된 클램프;
    상기 복수의 제1플렌지와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복수의 제2플렌지가 형성되고, 일측에 제2브라켓과 연결되는 볼트를 수용하는 홀이 형성되며, 다른 일측에 봉을 수용하기 위한 홈이 형성되는 제1브라켓;
    상기 제1브라켓과 볼트로 연결되고, 일측에 상기 제1브라켓과 연결되는 볼트를 수용하는 홀이 형성되며, 다른 일측에 상기 제1브라켓에 형성된 홈에 상응하여 상기 봉을 수용하기 위한 홈이 형성되는 제2브라켓; 및
    상기 제1브라켓과 상기 제2브라켓을 관통하는 볼트 및 일측에서 상기 제1브라켓과 상기 제2브라켓간의 거리를 조절하여 상기 수용된 봉을 고정하는 너트를 포함하되,
    상기 제1브라켓과 상기 제2브라켓은 'ㄷ'자 형상이며, 상기 제1브라켓과 상기 제2브라켓 중 어느 하나의 양끝단의 외측의 너비는 다른 하나의 내측의 너비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기안테나를 지지대에 고정하는 회전 가능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브라켓 및 상기 제2브라켓의 일측에 형성된 상기 홈은 반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기안테나를 지지대에 고정하는 회전 가능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브라켓 및 상기 제2브라켓의 일측에 형성된 상기 홈의 내측은 톱니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기안테나를 지지대에 고정하는 회전 가능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브라켓 및 상기 제2브라켓의 일측에 형성된 상기 톱니의 끝단이 반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기안테나를 지지대에 고정하는 회전 가능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브라켓 및 상기 제2브라켓의 일측에 형성된 상기 홈의 내측은 계단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기안테나를 지지대에 고정하는 회전 가능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브라켓 양끝단의 외측의 너비는 상기 제1브라켓 양끝단의 내측의 너비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기안테나를 지지대에 고정하는 회전 가능한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브라켓 양끝단의 외측의 너비는 상기 제2브라켓 양끝단의 내측의 너비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기안테나를 지지대에 고정하는 회전 가능한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브라켓과 상기 제2브라켓을 연결하는 볼트를 수용하는 홀은 중심을 대칭으로 한 쌍 또는 두 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기안테나를 지지대에 고정하는 회전 가능한 장치.
KR1020040056898A 2004-07-21 2004-07-21 야기안테나를 지지대에 고정하는 회전 가능한 장치 KR1006108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6898A KR100610868B1 (ko) 2004-07-21 2004-07-21 야기안테나를 지지대에 고정하는 회전 가능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6898A KR100610868B1 (ko) 2004-07-21 2004-07-21 야기안테나를 지지대에 고정하는 회전 가능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8585A KR20060008585A (ko) 2006-01-27
KR100610868B1 true KR100610868B1 (ko) 2006-08-08

Family

ID=37119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6898A KR100610868B1 (ko) 2004-07-21 2004-07-21 야기안테나를 지지대에 고정하는 회전 가능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08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6432Y1 (ko) 2009-08-03 2011-10-31 주식회사 감마누 야기 안테나 고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8117B1 (ko) * 2007-01-03 2007-03-02 (주)뮤트로닉스 안테나용 브라켓 장치
KR100882002B1 (ko) * 2007-04-19 2009-02-04 세원텔레텍 주식회사 이동통신 중계기의 안테나용 틸팅유닛
EP2885838B1 (en) * 2012-08-16 2020-10-07 Dish Network, L.L.C. Clamp device for mounting antenna to rail
KR102193185B1 (ko) * 2014-10-30 2020-12-18 삼성전자주식회사 설치 브라켓 세트
CN104875955B (zh) * 2015-06-15 2016-11-30 浙江天衣机械有限公司 钢管支撑架以及钢管支撑装置
US11159006B2 (en) 2018-10-12 2021-10-26 Commscope Technologies Llc Brackets for mounting antenna cabl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6432Y1 (ko) 2009-08-03 2011-10-31 주식회사 감마누 야기 안테나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8585A (ko) 2006-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59990B2 (en) Compact antenna with circular polarization
JP4692789B2 (ja) 金属壁付きパッチアンテナ
KR100657705B1 (ko) 안테나 시스템
US5666126A (en) Multi-staged antenna optimized for reception within multiple frequency bands
US5809429A (en) Radiating coaxial cable and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ing same
US20060181471A1 (en) UWB antenna having 270 degree coverage and system thereof
JPH10150319A (ja) 反射板付ダイポ−ルアンテナ
US6778845B2 (en) Antenna/coupler assembly for coaxial cable
KR100610868B1 (ko) 야기안테나를 지지대에 고정하는 회전 가능한 장치
WO1995030256A1 (en) Dual-array yagi antenna
GB2300308A (en) Radiating waveguide and communication system
US20020118140A1 (en) Antenna system
US6275196B1 (en) Parabolic horn antenna for wireless high-speed internet access
JP2005260567A (ja) 統合アンテナ
JP2004207856A (ja) ホーンアンテナ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方位探知用アンテナ装置
JP4878024B2 (ja) アンテナ
US20050068245A1 (en) Reflective signal booster for omini-antenna
ES2834974T3 (es) Estructura de antena parabólica
JP2000151264A (ja) 反射板を有する携帯端末装置
KR101031317B1 (ko) 루프안테나가 내장된 혼 안테나
KR100675196B1 (ko) 안테나
CN117855866B (zh) 基于超材料透镜技术的高增益全向天线
US7102583B1 (en) Multi-band antenna having a reflector
JP3978063B2 (ja) 無線通信装置
JP4925891B2 (ja) アンテ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8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2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