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7829B1 - 벽재 계지 보조구와 그 제조방법 및 그 벽재 계지 보조구를 사용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벽재 계지 보조구와 그 제조방법 및 그 벽재 계지 보조구를 사용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7829B1
KR100687829B1 KR1020017012356A KR20017012356A KR100687829B1 KR 100687829 B1 KR100687829 B1 KR 100687829B1 KR 1020017012356 A KR1020017012356 A KR 1020017012356A KR 20017012356 A KR20017012356 A KR 20017012356A KR 100687829 B1 KR100687829 B1 KR 1006878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locking
aid
concrete
form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2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10707A (ko
Inventor
고토요시아키
오카모토마사루
미조시타마사유키
고토에이조
혼다유즈루
쵸시도오루
가와하라마사오
하야시요시마사
오가와하루카
미타니히토후사
시미즈후미노리
이사야마슈이치
Original Assignee
도레이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도레이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1107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107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78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78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1/00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 E04G17/065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threaded to enable their fastening or tensioning
    • E04G17/0655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threaded to enable their fastening or tensioning the element consisting of several parts
    • E04G17/0658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threaded to enable their fastening or tensioning the element consisting of several parts remaining completely or partially embedded in the cast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 E04B1/4114Elements with sockets
    • E04B1/4121Elements with sockets with internal threads or non-adjustable captive nu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 E04B1/4157Longitudinally-externally threaded elements extending from the concrete or masonry, e.g. anchoring bolt with embedded hea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of plastic materials hardening after applying, e.g. plaster
    • E04F13/04Bases for plaster
    • E04F13/045Means for fastening plaster-bases to a supporting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9/00Auxiliary treatment of forms, e.g. dismantling; Clean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콘크리트 구조물의 벽면에 습식벽재(모르타르 등)를 도포하는 경우 그 박락 방지수단으로 사용되는 벽재 계지 보조구이다. 몸체 콘크리트(20) 내에 매설되는 베이스부(1)와 그 표면에 습식벽재(23)를 계지하도록 하는 계지부(2)가 수지로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벽재 계지 보조구

Description

벽재 계지 보조구와 그 제조방법 및 그 벽재 계지 보조구를 사용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제조방법 {AUXILIARY TOOL FOR FIXING WALL MATERIAL, AND ITS PRODUCTION METHOD, AND METHOD FOR PRODUCING CONCRETE STRUCTURE USING THE AUXILIARY TOOL FOR FIXING WALL MATERIAL}
본 발명은 벽재 계지 보조구와 그 제조방법 및 그 벽재 계지 보조구를 사용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체로 콘크리트 구조물은 전후 2장의 거푸집을 복수개의 스페이서 볼트를 개재시켜 일정간격으로 보지하고, 그 일정간격으로 보지된 거푸집의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그 콘크리트가 경화한 다음 거푸집을 떼어냄으로써 건조되었다. 이와 같이 거푸집이 제거된 후의 몸체 콘크리트의 표면은, 그냥 그대로는 외관이 나쁘기 때문에, 시멘트 모르타르나 수지 모르타르(이하 단지 모르타르라 총칭한다)를 일정한 두께로 도포하여 표면 마무리를 하는 것이 일반적인 공법이다. 그러나, 나중에 도포한 모르타르는 경시변화에 의해 몸체 콘크리트의 표면에서 박락(剝落)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박락방지가 효율적으로 행해지게 하는 대책이 강구되고 있다.
또, 기설의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벽을 모르타르 등으로 보수하는 경우 낡은 외벽을 철거하지 않고 직접 외벽면에 모르타르를 도포하는 공법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낡은 외벽에 대해서는 단지 모르타르를 칠해 겹치는 것 만으로는 충분한 접착강도가 얻어지지때문에, 모르타르를 도포하기 전에 미리 박락방지 처리를 시행하도록 하고 있다.
종래의 박락방지 처리는 외벽에 프라이머를 덧붙인 다음 중도용(中塗用) 수지를 도포하고, 다시 합성수지제 네트를 피복하도록 하였다. 합성수지제 네트는 일정간격 마다 앵커 핀을 박아 고정시켜, 그 합성수지제 네트 위에 모르타르를 도포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 박락방지 처리법에서는 합성수지제 네트를 외벽 전체면에 대하여 느슨한 개소가 없도록 고정할 필요가 있고, 인접하는 앵커 핀 상호간에 네트의 느슨함이 있으면, 모르타르의 접착강도가 저하하여, 모르타르가 박락하기 쉬워진다. 그러나, 합성수지제 네트를 외벽 전체면에 느슨함이 없는 상태로 고정하는데 상당한 숙련이 필요하기 때문에, 코스트의 상승의 원인이 되었다.
(발명의개시)
본 발명의 목적은 위에서 기술한 종래의 문제를 해소하여, 간단한 장착만으로 모르타르 등의 습식(濕式)벽재에 대한 계지강도(접착성)을 향상시켜, 그 습식벽재의 박락을 방지하는 벽재 계지 보조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벽재 계지 보조구의 이용에 의해 습식벽재가 박락하지 않도록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벽재 계지 보조구는 몸체 콘크리트의 표면에 형성된 콘 적(跡)에 매설되도록 한 베이스부와, 상기 몸체 콘크리트 표면에 도포되는 습식벽재에 계합하도록 한 계지부를, 상기 베이스 부에 공동(空洞)부를 형성하게 수지로 성형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벽재 계지 보조구는 거푸집 내에 배치되는 스페이서 볼트에 고정되는 동시에 거푸집 죔 용 볼트에 연결되는 베이스부와, 습식벽재에 계합하도록 한 계지부와, 상기 베이스 부의 외주연에 따라 상기 계지부를 내측에 에워싸는 동시에, 이 계지부보다 높은 테모양 방죽부를 성형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벽재 계지 보조구는 몸체 콘크리트 표면에 앵커 수단에 의해 고정되도록 한 평판상(狀)의 베이스부와, 상기 몸체 콘크리트 표면에 도포되는 습식벽재에 계합하도록 한 계지부를 수지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에서 기술한 각 벽재 계지 보조구의 제조방법은 수지를 이용한 사출성형법에 의해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 위에서 기술한 각 벽재 계지 보조구를 이용함으로써, 콘크리트 구조물을 다음과 같이 하여 제조할 수 있다.
베이스부와 계지부를 성형한 벽재 계지 보조구를 사용하여 큰크리트 구조물을 제조하는 경우 몸체 콘크리트의 표면에 형성된 콘 적에 베이스부를 매설하고, 그 몸체 콘크리트의 표면과 벽재 계지 보조구를 싸 감추도록 습식벽재를 도포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 테모양의 방죽부를 가지는 벽재 계지 보조구를 사용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을 제조하는 경우 거푸집 내에 배치되는 스페이서 볼트에, 베이스부의 거푸집 측 단면(端面)에 형성된 계지부와 이 계지부보다 높은 테모양의 방죽부를 가지는 벽재 계지 보조구를 고정하고, 이 거푸집 내에 생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콘크리트를 경화시켜 몸체 콘크리트로 하고, 이어서 거푸집을 탈형한 후 몸체 콘크리의 표면과 벽재 계지 보조구를 싸 감추도록 습식벽재를 도포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 계지부를 착탈할 수 있게 한 벽재 계지 보조구를 사용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을 제조하는 경우 거푸집 내에 배치되는 스페이서 볼트에, 베이스부의 거푸집 측 단면에 형성된 테모양 방죽 부를 가지는 벽재 계지 보조구를 고정하여, 이 거푸집 내에 생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콘크리트를 경화시켜 몸체 콘크리트로 하고, 이어서 거푸집을 탈형한 후, 베이스 부와는 별체로 형성한 계지부를 테모양 방죽 부보다 높아지도록 베이스 부에 고정하고, 이어서 몸체 콘크리의 표면과 벽재 계지 보조구를 싸 감추도록 습식벽재를 도포함을 특징으로 한다.
평판상의 베이스부와 계지부로 형성한 벽재 계지 보조구를 사용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을 제조하는 경우 베이스부가 몸체 콘크리트 측을 향하도록 앵커 수단에 의해 몸체 콘크리트에 고정하고, 이어서 몸체 콘크리트의 표면과 벽재 계지 보조구를 싸 감추도록 습식벽재를 도포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벽재 계지 보조구 이외에 계지 보조부재를 병용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을 제조하는 경우 거푸집 내에 배치되는 스페이서 볼트에, 베이스부의 거푸집 측 단면에 형성된 계지부와 이 계지부 보다 높은 테모양 방죽부를 가지는 벽재 계지 보조구를 고정하고, 이 거푸집 내에 생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콘크리트를 경화시켜 몸체 콘크리트로 하고, 이어서 거푸집을 탈형한 후, 계지 보조부재를 벽재 계지 보조구에 고정하여, 몸체 콘크리트의 표면과 벽재 계지 보조구를 싸 감추도록 습식벽재를 도포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로 이루어지는 벽재 계지 보조구를 보이며, (A)는 평면도이고, (B)는 (A)에 있어서의 A-A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로 이루어지는 벽재 계지 보조구를 보이며, (A)는 (B)에 있어서의 B-B 단면도이고, (B)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로 이루어지는 벽재 계지 보조구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로 이루어지는 벽재 계지 보조구의 측면도이다.
도 5 (A)∼(C)는 도 1의 벽재 계지 보조구를 사용하는 경우 콘크리트 구조물의 제조방법을 공정순으로 보이는 설명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로 이루어지는 벽재 계지 보조구를 보이며, (A)는 (C)에 있어서의 C-C 단면도이고, (B)는 (A)에 있어서의 6B 화살방향 그림이며, (C)는 (A)에 있어서의 6C 화살방향 그림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로 이루어지는 벽재 계지 보조구를 보이며, (A)는 (C)에 있어서의 D-D 단면도이고, (B)는 (A)에 있어서의 7B 화살방향 그림이며, (C)는 (A)에 있어서의 7C 화살방향 그림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로 이루어지는 벽재 계지 보조구를 보이며, (A)는 (C)에 있어서의 E-E 단면도이고, (B)는 (A)에 있어서의 8B 화살방향 그림이며, (C)는 (A)에 있어서의 8C 화살방향 그림이다.
도 9는 도 6의 벽재 계지 보조구를 사용하는 경우 콘크리트 구조물의 제조방법을 공정순으로 보이는 설명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로 이루어지는 벽재 계지 보조구를 보이며, (A)는 평면도이고, (B)는 (A)에 있어서의 10B-10B 단면도이며, (C)는 반(半)저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벽재 계지 보조구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로 이루어지는 벽재 계지 보조구를 보이며, (A)는 평면도이고, (B)는 (A)에 있어서의 12B-12B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로 이루어지는 벽재 계지 보조구의 요부를 보이는 종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2의 벽재 계지 보조구를 사용하는 경우 콘크리트 구조물의 제조방법의 일부를 보이는 설명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로 이루어지는 벽재 계지 보조구를 분리하여 보이는 종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벽재 계지 보조구를 사용하는 경우 콘크리트 구조물의 제조방법의 일부를 보이는 성명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로 이루어지는 벽재 계지 보조구를 사용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제조방법의 일부를 보이는 설명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로 이루어지는 벽재 계지 보조구를 보이며, (A)는 (B)에 있어서의 F-F 단면도이고, (B)는 평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로 이루어지는 벽재 계지 보조구의 종단면도이다.
도 20 (A), (B)는 도 18의 벽재 계지 보조구를 사용하는 경우 콘크리트 구조물의 제조방볍의 설명도이다.
도 21은 도 20 (B)에 대응하는 다른 방법을 보이는 설명도이다.
도 22 (A)∼(E)는 각각 계지부의 양태를 보이는 요부 단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로 이루어지는 벽재 계지 보조구의 평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로 이루어지는 벽재 계지 보조구를 보이며, (A)는 평면도이고, (B)는 (A)에 있어서의 G-G 단면도이다.
도 25는 거푸집의 조립법에 대하여 나타내며, (A)는 거푸집 조립시의 단면도이고, (B)는 거푸집 제거후의 단면도이다.
(발명을실시하기위한최량의형태)
본 발명에 있어서 습식벽재라는 것은 시공시에 가소상태로 도포가 가능하나, 도포후에 일정시간이 지나면 경화상태로 되는 벽재를 말한다. 예를 들면, 이와 같은 습식벽재로서 모르타르, 회반죽, 유기계 접착재, 코킹재(材)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아래에 설명하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벽면에 습식 벽재로서 모르타르를 도포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A), (B)는 본 발명의 벽재 계지 보조구의 일례를 보이며, 거푸집을 떼어 낸 후 신설 콘크리트 구조물에 모르타르를 도포하는 경우 모르타르의 박락 방지 용으로 사용된다.
벽재 계지 보조구(P)는 원추 사다리꼴의 베이스부(1)와 루프상(狀)의 계지부(2)를 열가소성 수지로 일체로 성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루프상의 계지부(2)는 충분한 강성(剛性)을 가지는 굵기로 형성되고, 베이스부(1)의 양 단면(端面) 중 넓은 면적측에 다수개를 열상(列狀)으로 한줄로 놓이도록 돌설되어 있다. 또, 베이스부(1)의 좁은 면적측의 단면에는 축심부에 삽입공(3)이 1개 마련되고, 또 그 삽입공(3)의 주위에 공동부(4)가 에워싸도록 마련되어 있다. 공동부(4)는 도너츠상(狀)으로 1개를 마련하여도 좋고, 또는 그 도너츠 형상을 구획벽으로 복수로 분할하게 한 것이라도 좋다.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벽재 계지 보조구(P)는 도 5 (A)∼(C)와 같이, 거푸집을 떼어낸 콘크리트 구조물에 모르타르를 도포할 때 모르타르의 박락 방지수단으로 사용된다.
도 5 (A)∼(C)의 공정을 설명하기에 앞서, 콘크리트 구조물의 건조법에 대하여 도 25 (A), (B)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25 (A)는 거푸집(24)에 콘크리트가 타설된 상태를 나타내며, 20은 몸체 콘크리트이고, 21은 스페이서 볼트이며, 25는 커넥터이고, 26은 거푸집 죔 용 볼트이다.
거푸집(24)은 생 콘크리트 타설용의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전후 2장이 배치되고(그림에서는 한쪽만 도시), 그 전후 2장의 거푸집(24, 24) 사이에 스페이서 볼트(21)가 삽입되고, 그 양 단부에 커넥터(25)가 나합(螺合)하여 연결되어 있다. 이 커넥터(25)로부터 외측에 거푸집 죔 용 볼트(26)가 연장하고, 그 거푸집 죔 용 볼트(26)에 거푸집(24)이 커넥터(25)의 외측 단면에 맞닿도록 삽입되고, 그 외측에 한쌍의 횡단태재(橫端太材)(27, 27)와 폼 타이(form tie)(28)가 삽입되고, 다시 너트(29)가 나합하여 죄어지도록 되어 있다.
거푸집(24, 24) 사이의 공간에 타설된 생 콘크리트가 경화하여, 몸체 콘크리트(20)로 되면, 거푸집(24)이 탈형되어 도 25 (B)에 나타낸 바와 같은 콘크리트 건조물이 된다. 탈형작업은 너트(29), 폼 타이(28), 횡단태재(27), 거푸집(24)의 순으로 철거하고, 최후에 커넥터를 뽑아내며, 그 커넥터(24)를 뽑아 낸 자리에 콘 적(22)이 형성된다. 또, 콘 적(22)의 내측에는 스페이서 볼트(21)의 단부가 돌출한 상태로 된다.
본 발명의 벽재 계지 보조구(P)는 상기와 같이 거푸집 판이 철거된 몸체 콘크리트에 모르타르를 도포할 때, 모르타르 박락 방지수단으로 도 5 (A)∼(C)와 같이 하여 사용한다.
우선, 도 5 (A)와 같이 벽재 계지 보조구(P)의 베이스부(1)에 접착제(5)를 도포한다. 이 접착제(5)는 벽재 계지 보조구(P)측이 아니라, 몸체 콘크리트(20) 측의 콘 적(22)에 도포하여도 좋고, 또는 베이스부(1)와 콘 적(22)의 양방에 도포하여도 좋다. 접착제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으나 에폭시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등 열경화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접착제가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5 (B)와 같이 벽재 계지 보조구(P)의 베이스부(1)를 콘 적(22)에 매설하여, 벽재 계지 보조구(P)를 몸체 콘크리트(20)의 표면에 고정한다. 벽재 계지 보조구(P)가 고정되면, 도 5 (C)와 같이 몸체 콘크리트(20)의 표면에 모르타르(23)를 벽재 계지 보조구(P)를 싸서 감추도록 일정한 두께로 도포한다. 모르타르(23)는 1회칠로도 좋으나, 그림중에 파선으로 보인바와 같이 2회칠로 하여도 좋다. 2회칠로 하면, 한층 높은 접착력을 얻을 수 있다.
상기 벽재 계지 보조구(P)는 계지부(2)가 강성을 갖도록 성형되어 있기 때문에, 모르타르의 도포압으로 변형하는 일이 없이, 입체형상을 유지한 채 가소성 모르타르의 속에 깊이 몰입한다. 따라서, 계지부(2)는 강한 앵커 효과를 가져 모르타르를 보지하며, 몸체 콘크리트(20)에 대한 모르타르(23)의 접착력을 향상시킨다.
또, 벽재 계지 보조구(P)는 삽입공(3)에 스페이서 볼트(21)를 삽입하여 장착되기 때문에, 위치 엇갈림이 생기지 않게 고정된다. 또, 베이스부(1)는 공동(空洞)(4)을 갖도록 성형되어 있기 때문에, 소량의 수지사용량으로 성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저 코스트의 제조를 가능하게 한다. 또, 공동(4) 내에 접착제(5)가 침입, 고화하기 때문에 앵커 효과를 발휘하며, 벽재 계지 보조구(P)가 콘 적(22)에 더 강하게 고정된다.
도 1의 벽재 계지 보조구(P)에서는 삽입공(3)을 스페이서 볼트(21)의 외경보다 큰 내경의 쓸모없는 구멍으로 형성하였으나, 도 2 (A), (B)에 보인 바와 같이, 스페이서 볼트(21)의 수나사와 나합하도록 한 암나사로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은 암나사는 도시와 같이 베이스부(1)에 직접 마련하여도 좋으나, 암나사를 낸 금속 스페이서를 메우도록 하여도 좋다.
삽입공(3)을 암나사로 한 양태의 경우는 반대측의 단면 중앙에 드라이버의 선단을 집어넣는 계합구(溝)(6)를 마련하여, 그 계합구(6)에 드라이버를 집어넣어 베이스부(1)를 회전할 수 있게 하여 놓으면 좋다. 이와 같이 계합구(6)를 마련함으로써 벽재 계지 보조구(P)의 스페이서 볼트(21)에의 장착을 용이하게 한다. 계합구(6)의 형상은 드라이버의 종류(선단부 형상)에 따라 도시와 같이 십자(플러스)로 하기도 하고 -의 자(마이너스)로 하기도 한다.
베이스부(1)의 외주면은 도 1이나 도 2의 양태와 같이 원추상(狀)의 평활면만이라도 좋으나, 도 3이나 도 4의 양태와 같이 탄성재로 이루어지는 실 링(7)을 장착하게 하여도 좋다. 실 링(7)은 벽재 계지 보조구(P)의 베이스 부(1)와 몸체 콘크리트(20)의 콘 적(22)의 사이를 실 하여, 콘 적(22)에 우수가 침입함에 의한 스페이서 볼트(21)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의 벽재 계지 보조구(P)는 베이스부(1)의 외주면에 링상(狀)의 계지구(溝)(8)를 형성하여, 그 계지구(8)에 실 링(7)을 장착한 것이며, 또 도 4의 벽재 계지 보조구(P)는 베이스부(1)의 외주면에 외경이 약간 작은 단차부(9)를 형성하여, 이 단차부(9)에 실 링(7)을 계지시키게 한 것이다.
도 6 (A), (B), (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로 이루어지는 벽재 계지 보조구이다. 상기 도 1이나 도 2의 벽재 계지 보조구는 거푸집 조립에 사용된 커넥터를 떼어 낸 후의 콘 적을 이용하여 장착하게 한 것이나, 이 도 6의 실시형태에서는 벽재 계지 보조구 자체가 커넥터를 겸하게 한 것이다.
도 6에 보이는 바와 같이, 벽재 계지 보조구(P)는 베이스부(1)가 원추 사다리꼴 모양으로 형성되고, 그 양 단부 중 좁은 면적 측에 루프상의 계합부(2)가 다수열상(列狀)으로 형성되어 있어, 열가소성 수지로 일체에 형성되어 있는 점은 전술한 도 1, 도 2 등의 실시양태와 같다. 그러나, 커넥터를 겸하게 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다른 구성을 가지고 있다.
베이스부(1)에는 넓은 표면적 측의 단면의 축심에 스페이서 볼트(21)에 나합시키는 나사구멍(1s)이 마련되고, 또 좁은 표면적 측의 단면의 축심에는 거푸집 죔 볼트(26)를 나합시키는 나사구멍(1m)이 마련되어 있다. 이들 둘의 나사구멍(1s와 1m)은 구획벽(10)을 끼고 동축으로 마련되어 있다. 구획벽(10)은 반드시 필요로 하는 것은 아니며, 양 나사구멍(1s, 1m)이 서로 연통하게 되어 있어서도 좋다. 그러나, 구획벽(10)을 마련하여 놓으면, 스페이서 볼트와 거푸집 죔 볼트의 어느 일방이 타방의 나사구멍까지 침입하여 타방의 볼트의 나사구멍 길이를 부족하게 하거나, 또 스페이서 볼트에 대한 베이스부(1)의 고정위치를 불안정하게 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더구나, 나사구멍(1s, 1m)은 수지의 베이스부(1)에 직접 형성하여도 좋으나, 금속 인서트에 마련한 것을 매설하게 한 것이어도 좋다.
또, 계지부(2)가 열상(列狀)으로 마련된 측의 단면에는 다시 계지부(2)의 열방향과 교차하게 다수의 요구(凹溝)(11)가 마련되어 있다. 요구(11)는 루프상의 계지부(2)와 함께 모르타르에 대한 앵커 효과를 증대시키는 작용을 한다. 또, 계지부(2)를 마련한 단면에는 이들 계지부(2)를 내측에 둘러 싸게 환상의 테모양 방죽부(12)가 마련되어 있다. 이 테모양 방죽부(12)는 높이를 계지부(2)와 동일 또는 그 이상으로 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나사구멍(1s)이 마련된 측의 단부에는 그의 외주에 복수(그림에서는 4개)의 철부(凸部)(13)가 마련되어 있다. 철부(13)는 1개이라도 지장은 없다. 복수의 철부(13)를 마련하는 경우 밸런스의 관점에서 등간격으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철부(13)는 거푸집의 탈형에 있어 거푸집 죔 용 볼트(26)를 회동시키면서 베이스부(1)의 나사구멍(1m)에서 이탈시킬 때, 벽재 계지 보조구(P)가 따라 돌지 않고 원활하게 이탈할 수 있게 마련되어 있다. 또, 베이스부(1)는 원추 사다리꼴로 형성되어, 그의 외경의 큰 측을 몸체 콘크리트(20)에 매설함으로써, 몸체 콘크리트(20)로부터 벽재 계지 보조구(P)가 절로빠짐을 일으키지 않게 한다.
따라 돎 방지수단의 철부(13)로는 도 7에 보이는 양태와 같이 철부(13')이라도 좋다. 철부(13')의 수는 복수이리도 좋고, 1개만이라도 좋다. 또, 이 따라 돎 방지수단은 도 8의 양태와 같이 베이스부(1)의 횡단면 형상을 비원형으로 형성하여, 철부(13)와 철부(13')의 양방을 마련하게 한 것이라도 좋다. 비원형 단면의 형상으로는 삼각형이상의 다각형, 꽃모양, 별모양 등이라도 좋다.
또, 벽재 계지 보조구(P)를 빠지지 않게 하는 베이스부(1)의 형상으로는 원추 사다리꼴에 한정되지 않고, 몸체 콘크리트의 매설측 부분에, 몸체 콘크리트의 표면 측의 단면보다 큰 외경 또는 외접원을 가지는 형상으로 하면 좋다.
위에서 설명한 커넥터 겸용형의 벽재 계지 보조구(P)는 커넥터 및 벽재 계지 보조구로서 도 9 (A), (B), (C)와 같이 사용된다.
도 9 (A)는 벽재 계지 보조구(P)가 도 25 (A)에 있어서의 커넥터(25)에 치환된 상태를 보이며, 스페이서 볼트(21)와 거푸집 죔 볼트(26)의 쌍방을 연결한다. 따라서, 커넥터를 겸하는 벽재 계지 보조구(P)가 너트(29)의 죔에 의해 거푸집(24)으로부터 눌리면, 베이스부(1)의 단면에 약 200 kg/cm2(19.6 MPa) 이상의 죔압이 부하된다. 그러나, 베이스부(1)의 단면에는 테모양 방죽부(12)가 마련되어, 거푸집(24)의 죔압을 지지하도록 하여, 그 압압력에 의해서 계지부(2)가 눌려 망가지는 일은 없다.
또, 생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때에는 테모양 방죽부(12)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계지부(2)가 마련된 단면에 생 콘크리트가 유입하는 일이 없어, 계지부(2)가 생 콘크리트에 매설되지 않게 한다. 따라서, 거푸집을 떼어낸 후에 모르타르를 도포하는 때, 계지부(2)의 모르타르에 대한 앵커를 유지할 수 있다.
생 콘크리트가 경화하면 탈형작업이 행해져, 그 최후에 거푸집 죔 용 볼트(26)를 회동시켜 벽재 계지 보조구(P)의 베이스부(1)로부터 이탈시킨다. 그러나, 베이스부(1)의 외주에는 철부(13)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벽재 계지 보조구(P)가 따라 도는 일이 없어, 거푸집 죔 용 볼트(26)를 원활하게 이탈할 수 있다. 또, 베이스부(1)가 원추 사다리꼴로, 그 매설측일수록 외경이 크기 때문에, 거푸집 죔 용 볼트(26)를 당기어도 벽재 계지 보조구(P)가 빠지는 일은 없다. 따라서, 도 9 (B)와 같이, 벽재 계지 보조구(P)는 스페이서 볼트(21)에 연결시킨 상태로, 몸체 콘크리트(20) 내에 잔치시킬 수 있다.
도 9 (B)의 상태로 한 다음, 몸체 콘크리트(20)의 표면에 모르타르(23)를 도포하면, 도 9 (C)의 상태로 할 수 있다. 루프상의 계지부(2)는 강성을 가지기 때문에 입체형상으로 유지되어, 도포한 모르타르(23)의 속에 깊이 침입하여 앵커 효과를 발휘한다. 이 앵커 효과는 계지부(2) 외에 요구(11)에 의해서도 얻을 수 있다.
상기 벽재 계지 보조구(P)는 거푸집 조립시의 커넥터로서의 역할과 함께, 그냥 떼어 내는 일 없이 박락 방지수단으로서 사용되기 때문에, 전술한 도 1, 도 2의 벽재 계지 보조구의 경우에는 떼어낸 커넥터의 이탈작업이 불필요하게 되고, 또 그 후의 벽재 계지 보조구의 장착작업도 불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모르타르 박락 방지용의 전처리 작업을 간략화하여, 작업시간을 현저하게 단축할 수 있다. 또, 사용을 마친 커넥터의 폐기처분도 없기 때문에, 산업폐기물로서의 환경오염의 문제도 해소할 수 있다.
도 10 (A), (B) 및 도 11은 커넥터 겸용형으로 한 벽재 계지 보조구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이 벽재 계지 보조구(P)는 도 6∼8의 실시양태와는 베이스부(1)가 거의 원반상으로 형성되어 계지부(2)를 마련한 측에 이들 계지부(2)를 둘러 싸게 한 테모양 방죽부(12)를 얇은 두께의 가변형 연결부(16)을 거쳐 연결하게 한 점에서 다르다. 가변형 연결부(16)의 높이 b는 계지부(2)와 동일하거나, 또는 그 이상으로 하며, 그를 관통하게 복수의 구멍(17)이 마련되어 있다. 이들의 구멍(17)은 성형용 금형에서, 계지부(2)의 내경과 요구(11)를 동시 성형하도록 핀 코어를 삽입할 때, 그 핀 코어를 빼내도록 하기 위해 형성되어 있다. 테모양 방죽부(12)는 두께 0.5∼4mm이고, 바람직하게는 1∼4mm로 형성되어, 거푸집 조립시에 거푸집으로부터 축방향의 누름압을 받아도 굴곡 변형하는 일이 없으나, 가변형 연결부(16) 측은 엷은 두께 0.05∼0.5mm의 엷은 두께로 되어 있어, 거푸집으로부터 압압력을 받으면 굴곡 변형하도록 되어 있다.
가변형 연결부(16)의 하연으로부터 거리 a 만큼의 하방에는 플랜지상(狀)의 받이면(15)이 횡방향으로 돌출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이 받이면(15)은 거푸집 조립시에 테모양 방죽부(12)를 가변형 연결부(16)를 굴곡 변형시키면서 축방향으로 내리 누를 때, 그 테모양 방죽부(12)의 하단을 받아 멈추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테모양 방죽부(12)가 받이면(15)에 계지한 때, 테모양 방죽부(12)의 상연측은 계지부(2)의 상단과 동등, 또는 그 이상의 높이가 되도록 한다.
또, 받이면(15)의 외경은 적어도 테모양 방죽부(12)의 내경(내주면)보다 크게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테모양 방죽부(12)의 외경(외주면)보다 크게 하는 것이 좋다. 또, 거리 a는 가변형 연결부(16)의 높이 b보다 짧은 편이 좋고(a<b), 또 테모양 방죽부(12)의 높이는 거리 a와 높이 b와의 합(a+b)과 동등, 또는 그 이상으로 하면 좋다. 상기 받이면(15)은 테모양 방죽부(12)의 외경(외주면)보다 크게 함으로써, 벽재 계지 보조구(P)가 몸체 콘크리트(20)로부터 빠지지 않게 한다. 이와 같은 빠짐 멈춤은 베이스부(1)의 외주측면에 두께방향으로 높이가 변화하는 요철(凹凸)을 마련하여도 얻을 수가 있다.
또 베이스 부(1)에 있어서 나사구멍 1s을 마련한 단면측에는 나사구멍(1s)을 중심으로 하여 핀상(fin狀)의 철부(13)와 공동부(4)가 교호로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중 철부(13)는 벽재 계지 보조구(P)의 따라 돎을 방지하고, 공동부(4)는 수지 사용량을 저감하도록 한다.
계지부(2)가 마련된 측의 단면에는 나사구멍 1m의 외측 주위를 둘러 싸도록 링상 홈(14)이 마련되고, 그 개구측 단부에 6각 너트(14a)가 형성되어 있다. 이 6각 너트(14a)의 부분은 렌치 등의 죔공구를 계합시켜, 반대측의 나사구멍(1s)을 스페이서 볼트에 나합시키는 때에 사용된다. 둘의 나사구멍(1s, 1m)이 서로 맞닿는 경계부는 도시의 예와 같이 서로 관통하여 있어도 좋으나, 구획벽으로 구획되어 있어도 좋다. 또, 나사구멍(1s, 1m)은 금속 인서트에 형성되어 베이스부(1)에 매설되게 되어 있어도 좋아, 전술한 다른 실시양태와 마찬가지이다. 금속 인서트를 매설하는 경우는 금속 인서트가 베이스부(1)에 대하여 헛돌지 않도록, 키 홈으로 계지하거나, 압입 등에 의해 고정하면 좋다.
상기 테모양 방죽부(12)에는 도 12 (A), (B)의 실시형태와 같이, 그의 내면에 다수개의 필라멘트부(18)를 내측 공간에 연장하도록 마련하여도 좋다. 필라멘트부(18)는 모르타르에 대하여 더 큰 앵커 효과를 발휘한다. 필라멘트부(18)를 마련하는 위치는 테모양 방죽부(12)의 내면인 한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13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테모양 방죽부(12)의 상연을 단차상(狀)으로 형성하여, 그 단차의 낮은 단부에 마련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 필라멘트부(18)는 서로 동일한 길이라도 좋으며, 다른 길이라도 좋다. 필라멘트부(18)의 배열은 정연하게 한줄로 늘어 놓아도 좋고, 랜덤하게 하여도 좋다. 필라멘트부(18)의 굵기로는 0.05∼5.0mm가 바람직하고, 길이는 2mm이상으로, 테모양 방죽부(12)의 내경과 동등이하인 것이 좋다.
도 10 또는 도 12의 커넥터 겸용형의 벽재 계지 보조구(P)의 사용법은 거푸집에 커넥터로서 맞붙일 때, 도 14에 보이는 바와 같이 세트하는 것 이외 그 후의 공정에 대해서는 도 9에서 설명한 경우와 같이하여 실시하면 된다.
즉, 상기 벽재 계지 보조구(P)를 커넥터로서 맞붙일 때에는 도 14에 보이는 바와 같이, 벽재 계지 보조구(P)의 나사구멍(1s)에 스페이서 볼트(21)를 연결하는 동시에, 외측의 나사구멍(1m)에 거푸집 죔 볼트(26)를 연결하여, 너트(29)에 의해 거푸집(24)을 벽재 계지 보조구(P) 측에 압압한다. 이 압압조작에 의해, 테모양 방죽부(12)는 가변형 연결부(16)를 굴곡 변형시키면서 눌리어, 최후에 하단을 받이면(15)에 맞댄다. 이 압압조작의 과정에서, 가변형 연결부(16)는 테모양 방죽부(12)와 베이스부(1)의 사이에 끼우도록 굴곡반전하고, 최후에 테모양 방죽부(12)의 내주면과 베이스부(1)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쐐기상(狀)으로 끼운 상태가 되어 테모양 방죽부(12)를 고정한다. 이처럼 거푸집(24)이 테모양 방죽부(12)를 압압하는 때의 죔압은 약 200 kgf/cm2(19.6 MPa) 이상이 되지만, 이 압압력을 테모양 방죽부(12)가 지탱하여 계지부(2)가 눌려무너지지 않도록 한다.
도 15는 커넥터 겸용형의 벽재 계지 보조구(P)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 벽재 계지 보조구(P)는 계지부(2)의 부분을 베이스부(1)와 별체로 성형하여, 베이스부(1)에 대하여 착탈할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착탈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기 위해, 다수의 계지부(2)는 지지판(31)의 표면에 일체로 성형되고, 또 지지판(31)의 이면측 중심부에 베이스부(1) 측의 나사구멍 (1m)에 나합시키게 한 수나사(32)가 일체로 마련되어 있다.
베이스부(1)와 계지부(2)가 일체로 성형된 커넥터 겸용 형의 벽재 계지 보조구의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거푸집으로부터의 압압이나 생 콘크리트의 침입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계지부(2)의 높이를 테모양 방죽부(12)의 상단과 동등이하로 낮게 할 필요가 있다. 그에 따라서 모르타르에 대한 계지강도도 낮아지지 않을 수 없고, 계지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스페이서 볼트의 개수를 늘리지 않으면 아니 되는 불리한 점이 있다.
그러나, 도 15의 양태에 의하면 거푸집의 조립은 베이스부(1) 만을 커넥터로서 사용하여, 생 콘크리트를 타입 후 거푸집을 떼어 낸 후에 계지부(2)를 장착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계지부(2)의 높이를 도 15 중에서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테모양 방죽부(12)의 상단보다 높게 할 수가 있어, 모르타르에 대한 계지강도를 높게 할 수 있다.
또, 도 15의 양태의 벽재 계지 보조구에서는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계지 보조부재로서 네트상(狀) 시트(33)를 병용할 수 있다. 네트상 시트(33)는 베이스부(1)와 계지부(2)의 지지판(32)과의 사이에 삽입하여, 벽재 계지 보조구(P)의 외측으로 몸체 콘크리트(20)의 표면에 따라 연장하도록 마련된다. 이 네트상 시트(33)는 벽재 계지 보조구(P)가 장착되어 있지 않는 개소에서 모르타르 박락 방지작용을 강화하여, 가령 모르타르 외벽에 크랙이 생기는 일이 있어도, 그의 성장을 억제할 수 있다.
네트상 시트(33)의 병용은 전술한 베이스부(1)와 계지부(2)가 일체로 성형된 커넥터 겸용형의 벽재 계지 보조구라도 채용이 가능하다. 즉, 도 17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볼트(34)를 나사구멍(1m)에 나합시켜, 그 볼트(34)의 머리부와 베이스 부(1)의 표면과의 사이에 네트상 시트(33)를 삽입할 수 있다. 네트상 시트(33)의 고정법으로는 상기와 같이 볼트를 이용하는 이외에, 접착제로 접착시키거나, 가열수단이나 초음파를 이용하여 용착시킬 수 있다.
계지 보조부재는 특히 형태나 제조방법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합성수지 섬유의 러셀 엮음, 트리코트 엮음 등의 편지(編地) 외, 합성 수지로 직접 네트상 시트에 압출 성형한 것, 수지 필름에 다공을 개구시킨 것 등, 어느 것이라도 좋다. 그물코의 형성도 3각, 4각, 5각 등의 다각형, 귀갑(龜甲)형, 능형, 타원형 등 어느 것이라도 좋다.
네트상 시트를 이용하는 경우 그물코의 크기는 고정용 볼트의 직경보다 크게, 또 볼트 머리보다 작게 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그물코의 크기는 네트상 시트 전체에 걸치게 하여도 좋고, 볼트로 고정하는 개소만 하여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최대 이간(離間)거리가 8∼15mm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네트상 시트의 크기는 최대변의 길이가 5∼60cm의 범위이고, 바람직하게는 15∼30cm의 범위로 하면 좋다. 5cm 미만에서는 모르타르의 계지효과를 충분히 발휘하기가 어렵다. 상한은 스페이서 볼트의 설치 피치가 통상 60cm이므로 이것에 맞추면 충분하다. 네트상 시트의 단부끼리 오버랩하면, 겹친 부분서의 모르타르의 충전이 부족해지기 쉽기 때문이다. 그러나, 벽재 계지 보조구마다 1장씩 네트상 시트를 병용하는 경우는 상기와 같은 치수로 하면 좋으나, 복수개소에서 벽재 계지 보조구에 걸쳐 있도록 하는 넓은 면적의 네트상 시트를 설치하는 경우는 이 범위가 아니다.
계지 보조부재를 형성하는 수지로는 나일론, 폴리비닐알코올, 폴리프로필렌, 아라미드 등이 바람직하다. 특히 나일론 6이나 폴리비닐알코올은 알칼리성인 모르타르에 대한 내성이 뛰어나고, 또 모르타르에 대한 접착성에도 뛰어나 바람직하다.
도 18 (A), (B)는 또 다른 실시형태로 이루어지는 벽재 계지 보조구를 보인다. 전술한 실시형태는 어느 것이나 주로 신설의 콘크리트 구조물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나, 도 18의 것은 기설의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벽에 모르타르를 도포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벽재 계지 보조구(P)는 섬유 또는 필러로 강화된 강화수지로 이루어지는 원판상의 베이스부(1)에, 그의 한쪽 표면에 다수의 루프상의 계지 부(2)를 열상(列狀)으로 돌출하도록 사출성형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물론, 베이스부(1)는 강화수지인 것이 필수는 아니며, 계지부(2)와 마찬가지로 섬유나 필러로 보강되지 않는 비강화수지이라도 좋다. 베이스부(1)에는, 계지부(2)와 함께 모르타르 계지강도를 높이는 요구(11)가 형성되고, 또 중앙부에 앵커 핀 등의 고정 쇠붙이를 삽입하는 삽입공(34)이 마련되어 있다. 이 벽재 계지 보조구(P)에는 도 19에 예시하는 형태와 같이, 베이스부(1)의 이면측에도 계지부(2) 및 요구(11)를 마련하게 하여도 좋다.
상기 벽재 계지 보조구(P)는 기설의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벽을 보수하는 때에, 그 낡은 외벽을 철거하지 않고 모르타르를 칠해 겹치게 하는 경우에, 도 20 (A), (B)에 보이는 바와 같이 사용된다.
기설의 콘크리트 구조물은 그림에 보이는 바와 같이 몸체 콘크리트(20)의 표면에 모르타르(23')을 도포시켜 구성되어 있다. 이 외벽보수를 할 때는 우선 도 20 (A)에 보이는 바와 같이, 낡은 모르타르(23')의 외벽에 상기 도 18의 벽재 계지 보조구(P)의 베이스부(1)의 이면측을 맞대어, 중앙의 삽입공(34)에 앵커 핀(35)을 집어 넣고, 화살표의 방향으로 쇠망치 등을 사용하여 박아 넣는다.
앵커 핀(35)으로는 공지의 것을 사용하면 좋고, 대체로 핀 본체가 통상(筒狀)으로 머리부(35a)에 플랜지부를 가지고, 선단부(35b)가 뾰족한 형상이며, 또 선단부(35b) 내에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심부(23c)를 삽입한 것을 사용하면 좋다. 이 앵커 핀(35)의 머리부(35a)를 박아 넣어, 머리부(35a)가 벽재 계지 보조구(P)의 베이스부(1)의 상면(上面)을 접한 상태로 한다. 이어서, 앵커 핀(35)의 내측에 봉상치구(棒狀治具)를 집어 넣어 내부의 심부(35c)만을 박아 넣으면, 선단부(35b)가 두다리 형상으로 갈라져, 도 20 (B)에 보이는 바와 같이 로크 되어, 벽재 계지 보조구(P)가 외벽 표면에 고정된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이 벽재 계지 보조구(P)가 고정된 모르타르(23')의 표면에 미경화 모르타르(23)를 도포하면, 벽재 계지 보조구(P)의 계지부(2)가 모르타르(23)의 내부에 깊이 침입하여 계지하고, 경화후에는 견고하게 보지한 상태로 된다. 또, 벽재 계지 보조구(P)의 모르타르 계지강도는 각각 개개의 벽재 계지 보조구(P) 마다 독립하여 있어, 다른 벽재 계지 보조구(P)의 계지강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상호간의 위치 엇갈림 등 신경쓰지 않고 외벽면에 장착하면 된다. 따라서, 특히 숙련이 불필요하여, 간단히 작업할 수 있다.
또, 도 18 (A), (B)의 양태와 같이, 베이스부(1)가 강화수지로 이루어지고, 계지부(2)가 비강화수지로 이루어지는 경우 베이스부(1)는 강도 및 탄성률(강성)이 큰데 대하여, 계지부(2)는 점성이 있는 큰 인성(靭性)을 가지고 있으므로 모르타르 계지강도와 함께 지지강도가 한층 향상되어, 모르타르의 박락 방지효과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벽재 계지 보조구에 의한 기설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벽보수는 도 21에 보이는 바와 같이 하여도 좋다.
도 21에 보이는 공법은 낡은 모르타르(23')의 외벽에 베이스부(1)의 두께에 상당하는 깊이의 요부(凹部)(36)를 미리 가공하여, 이 요부(36)에 벽재 계지 보조구(P)의 베이스부(1)를 끼어 맞추어, 도 20과 마찬가지로 모르타르(23)의 도포를 행하도록 한 것이다. 이 보수방법에 의하면, 외벽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벽재 계지 보조구(P)의 높이를 낮게 하므로, 모르타르(23)를 얇게 할 수 있다.
상술한 기설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벽의 모르타르 보수에 있어서, 벽재 계지 보조구(P)를 설치하는 분포수(밀도)는 피(被)시공면의 상황에 따라 설정하면 되나, 바람직하게는 1m2당 4개 이상으로 하는 것이 좋다. 또, 벽재 계지 보조구(P)를 벽면에 고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앵커 핀은 상술한 시공예에서 예시한 것 외에, 예를 들어 못이나 나사이라도 좋다. 특히, 내부식성이 뛰어난 스테인리스강 제의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벽재 계지 보조구는 상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부와 계지부를 기본구조로 하여 구성되어 있으나, 커넥터의 콘 적을 이용하는 것, 커넥터 겸용형의 것, 또는 앵커 핀으로 고정하는 것 등 어느 경우도, 계지부의 형상으로서는 루프상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된다고는 할 수 없다.
예를 들어, 커넥터 겸용형의 경우를 예로 하여 예시하면, 도 22의 (A), (B), (C), (D)에 보이는 바와 같은 훅 형상이라도 좋으며, 도 22의 (E)에 보이는 로드 형상이라도 좋다. 전자의 훅 형상은 도 22 (A)는 원호형상 훅, 동 (B)는 L형 훅, 동 (C)는 T형 훅, 동(D)는 버섯꼴 또는 구상의 훅이다.
또, 이들 계지부(2)의 배열은 어느 형태의 벽재 계지 보조구의 경우에도, 평행배열 외에, 도 23에 보이는 바와 같은 방사상의 배열이어도 좋으며, 커넥터 겸용형의 경우에는 도 24 (A), (B)와 같이 테모양 방죽부(12)의 내주면에 계지부(2)를 돌설하도록 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벽재 계지 보조구의 성형에 사용되는 재료로서는 수지나 스테인리스강 등의 금속을 아용할 수가 있다. 수지로서는 열가소성 수지나 열경화성 수지를 이용할 수가 있으나, 특히 사출성형이 용이한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열가소성 수지로는 나일론, 폴리페닐 설파이드(PPS),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고충격 폴리스티렌(HIPS), ABS 수지, 변성 폴리페닐렌옥사이드(변성 PPO), 폴리아미드엘라스토머(예를 들면, 도레이(가부) 제 "페박스" 등), 폴리에스테르엘라스토머(예를 들면, 도레이·듀퐁(가부) 제 "하이트렐" 등) 등을 예시할 수 있다. 그러나, 콘크리트는 알칼리성이기 때문에, 이들 중에서도 내알칼리성이 뛰어나고, 또 내열성이 뛰어난 PPS 수지나 나일론 수지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 이들의 수지에는 유리섬유, 탄소섬유 등의 단섬유상의 보강섬유를 혼입시킨 섬유강화 수지를 사용하여도 좋다. 섬유강화 수지의 경우는 모르타르의 접착력을 일층 향상시켜, 박락 방지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벽재 계지 보조구의 모르타르 등의 습식벽재에 대한 계지력은 스페이서 볼트의 단위면적당 사용하는 개수에도 의하지만, 1개당 500N 이상을 가지게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특성을 만족시키기 위해, 계지부의 치수로서는 루프형상의 경우 루프 굵기(직경)를 0.05∼5.0m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높이로는 2∼10mm의 범위가 좋다.
또, 벽재 계지 보조구 1개당 마련하는 계지부의 수로는 섬유로 강화하지 않은 비강화 수지제의 경우에는 20∼100개, 섬유강화 수지제의 경우에는 5∼70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설에 있어서, 그 외벽에 습식벽재(모르타르 등)를 도포하는 작업, 또는 기설의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벽을 습식벽재(모르타르 등)의 도포에 의해 보수하는 작업 따위에 있어서, 그 습식벽재를 박락하지 않도록 도포하는 데 이용할 수 있다.

Claims (19)

  1. 삭제
  2. 삭제
  3. 거푸집 내에 배치되는 스페이서 볼트에 고정되는 동시에 거푸집 죔 용 볼트에 연결되는 베이스부와, 습식벽재에 계합하게 한 계지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외주연에 따라 상기 계지부를 내측에 둘러쌈과 동시에, 이 계지부 보다 높은 테모양 방죽부를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벽재 계지 보조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외주연부와 상기 테모양 방죽부의 사이에 가변형 연결부를 개재시키게 한 벽재 계지 보조구.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테모양 방죽부의 내측에 다수의 필라멘트부를 마련한 벽재 계지 보조구.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계지부를 상기 베이스부와는 별체로 성형하며, 그 베이스부에 대하여 착탈할 수 있게 한 벽재 계지 보조구.
  7. 삭제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단부 면적보다 큰 네트상 시트를 상기 계지부의 외측에 부설하게 한 벽재 계지 보조구.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계지부를 루프상, 훅상 또는 로드상으로 형성한 벽재 계지 보조구.
  10. 삭제
  11. 수지를 이용한 사출성형법에 의해 성형하여 제 3항의 벽재 계지 보조구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재 계지 보조구의 제조방법.
  12. 삭제
  13. 거푸집 내에 배치되는 스페이서 볼트에, 베이스부의 거푸집측 단면에 형성된 계지부와, 이 계지부보다 높은 테모양 방죽부를 가지는 벽재 계지 보조구를 고정하며, 이 거푸집 내에 생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콘크리트를 경화시켜 몸체 콘크리트로 하고, 이어서 거푸집을 탈형한 후 몸체 콘크리트의 표면과 벽재 계지 보조구를 싸서 감추도록 습식벽재를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제조방법.
  14. 거푸집 내에 배치되는 스페이서 볼트에, 베이스 부의 거푸집측 단면에 형성된 테모양 방죽부를 가지는 벽재 계지 보조구를 고정하며, 이 거푸집 내에 생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콘크리트를 경화시켜 몸체 콘크리트로 하고, 이어서 거푸집을 탈형한 후 베이스부와는 별체로 형성한 계지부를 테모양 방죽부보다 높아지게 베이스부에 고정하며, 이어서 몸체 콘크리트의 표면과 벽재 계지 보조구를 싸서 감추도록 습식벽재를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제조방법.
  15. 삭제
  16. 삭제
  17.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콘크리트 구조물.
  1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계지부가 수지로부터 이루어지는 벽재 계지 보조구.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가 나일론 또는 폴리페닐렌설파이드인 벽재 계지 보조구.
KR1020017012356A 2000-01-28 2000-01-28 벽재 계지 보조구와 그 제조방법 및 그 벽재 계지 보조구를 사용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제조방법 KR1006878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0/000478 WO2001055531A1 (fr) 2000-01-28 2000-01-28 Outil auxiliaire destine a fixer un materiau de mur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et procede de construction d'une structure en beton au moyen dudit outil auxiliai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0707A KR20010110707A (ko) 2001-12-13
KR100687829B1 true KR100687829B1 (ko) 2007-03-09

Family

ID=11735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2356A KR100687829B1 (ko) 2000-01-28 2000-01-28 벽재 계지 보조구와 그 제조방법 및 그 벽재 계지 보조구를 사용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687829B1 (ko)
CN (1) CN1157522C (ko)
WO (1) WO200105553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58032A1 (en) 2016-06-17 2017-12-20 ULMA C y E, S. Coop Anchor for a vertical formwork and vertical formwork
JP7399483B2 (ja) * 2020-10-19 2023-12-18 株式会社祥起 コネクター兼用モルタル保持具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01325U (ko) * 1974-01-23 1975-08-21
JP3375503B2 (ja) * 1996-12-13 2003-02-10 株式会社大林組 躯体コンクリート表面の湿式仕上げ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7522C (zh) 2004-07-14
KR20010110707A (ko) 2001-12-13
CN1351689A (zh) 2002-05-29
WO2001055531A1 (fr) 2001-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22250A1 (en) A method of connecting a construction member to a structural element
KR100687829B1 (ko) 벽재 계지 보조구와 그 제조방법 및 그 벽재 계지 보조구를 사용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제조방법
JP3197235B2 (ja) プレキャスト埋設型枠を用いた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構築方法
CN111794546A (zh) 一种预应力加固装置及预应力加载施工方法
JP2000034898A (ja) 内面樹脂被覆セグメント用樹脂部材、および内面樹脂被覆セグメントの製造方法、並びに内面樹脂被覆セグメントによって構築されたシ―ルドトンネル
JP6492414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構築方法
JP3976427B2 (ja) コネクター兼用モルタル接着補助具
KR100937312B1 (ko) 비해체식 거푸집 및 상기 거푸집을 이용한 구조물의 보수보강 공법
KR100492221B1 (ko) 보강 구조를 가지는 유로폼 타입 거푸집
JP2006233632A (ja) 可撓止水継手およびその施工方法
JP3349384B2 (ja) 内面樹脂被覆セグメントの製造方法
KR200423452Y1 (ko) 거푸집 고정용 세파타이
JP2003253881A (ja) コネクタ兼用壁係止補助具及び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製造方法
JPH11131988A (ja) 現場打ちシールドトンネル用内面樹脂被覆材および内面樹脂被覆した現場打ちシールドトンネルの施工方法並びに内面樹脂被覆現場打ちシールドトンネル
JP2002295011A (ja) 壁係止補助具
KR102298690B1 (ko) 페로시멘트 거푸집이 구비된 강콘크리트 합성 부재용 선조립 철골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 부재의 시공 방법
JPH11117692A (ja) 樹脂被覆セグメントおよびその作製方法、並びに樹脂被覆セグメントによって構築されたシールドトンネル
JP4162822B2 (ja) コネクター兼用モルタル接着補助具
CN212152956U (zh) 一种预埋套管定位底座及预埋套管组件
KR101915184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줄눈 형성부재
KR20090030758A (ko) 물탱크 내벽 시공법
KR940003073B1 (ko) 금속박판이 피복된 구조용 부재
JP2006257814A (ja) コンクリート施工用型枠及びコンクリートの施工方法
JPH1181889A (ja) コンクリートセグメントの継手用ボルトボックスへの注入材の充填方法及びコンクリートセグメントの製法
KR200347584Y1 (ko) 건축물 내, 외장용 인조석 판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